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맹자한글역주, 고자장구 하 - 12. 신의가 있어야 일을 할 수 있다 본문

고전/맹자

맹자한글역주, 고자장구 하 - 12. 신의가 있어야 일을 할 수 있다

건방진방랑자 2022. 12. 31. 12:47
728x90
반응형

 12. 신의가 있어야 일을 할 수 있다

 

 

6b-12. 맹자께서 말씀하시었다: “큰 덕성을 갖춘 군자는 작은 신념에 구속되지 않는다. 그는 매사의 일면에만 고집하는 것을 미워하기 때문이다.”
6b-12. 孟子曰: “君子不亮, 惡乎執?”

 

이 장은 너무 짧기 때문에 많은 추론이 가능하다. 주희의 해석은 조기의 해석을 따른 것인데 정반대가 된다. 나는 ()’을 약간 부정적인 뜻으로 해석했는데, 조기나 주희는 모두 일반적인 성실함[]’으로 해석했다. 그렇다면 뜻은 이렇게 된다. ‘군자가 성실함의 미덕을 견지하지 않는다면 과연 어떻게 지조를 지킬 수 있겠는가?’ 혹은 과연 어디에 근거하여 일을 할 수 있겠는가?’ 등등의 해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논어(論語)에 보면 ()’은 모두 ()’으로 되어 있는데, 3차례 나온다.

 

1) 14-18, 豈若匹夫匹婦之爲諒也,

어찌 필부ㆍ필부들이 조그마한 신의를 위해 자신의 결백을 입증하는 것과 같겠느냐?

 

2) 15-36. 君子貞而不諒.

군자는 정도를 따르고 작은 신의에 얽매이지 않는다.

 

3) 16-4. 友直, 友諒, 友多聞, 益矣.

강직한 자를 벗하고, 성실한 자를 벗하고, 박식한 자를 벗하면 나에게 보탬이 된다.

 

1. 2는 부정적 뜻이고 3은 긍정적 뜻이다. 나는 군자정이불량(君子貞而不諒)’의 뜻을 따랐다.

 

이러한 논조는 이미 4b-11에서 토론된 것이다. 그리고 7a-2b에도 그 ()’의 뜻이 명료하게 해설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으로 볼 때, 조기와 주희의 해석은 모두 어불성설이다.

 

 

 

 

인용

목차 / 맹자

전문 / 본문

중용 강의

논어한글역주

효경한글역주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