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열하일기 산장잡기 - 11. 상기(象記) 본문

문집/열하일기

열하일기 산장잡기 - 11. 상기(象記)

건방진방랑자 2021. 11. 12. 07:40
728x90
반응형

만물의 변화무쌍함을 코끼리와 ()자를 보며 알게 되다

상기(象記)

 

박지원(朴趾源)

 

 

두 번의 코끼리를 보았던 추억

將爲怪特譎詭恢奇鉅偉之觀, 先之宣武門, 觀于象房可也.

余於皇城, 見象十六, 而皆鐵鎖繫足, 未見其行動. 今見兩象於熱河行宮西, 一身蠕動, 行如風雨.

余嘗曉行東海上, 見波上馬立者無數. 皆穹然如屋, 弗知是魚是獸, 欲俟日出, 暢見之, 日方浴海, 而波上馬立者, 已匿海中矣. 今見象於十步之外, 而猶作東海想.

 

코끼리의 생김새

其爲物也, 牛身驢尾, 駝膝虎蹄. 淺毛灰色, 仁形悲聲, 耳若垂雲, 眼如初月. 兩牙之大二圍, 其長丈餘, 鼻長於牙, 屈伸如蠖, 卷曲如蠐. 其端如蠶尾, 挾物如鑷, 卷而納之口.

 

코끼리의 코를 보고도 착각하는 사람들

或有認鼻爲喙者, 復覓象鼻所在, 蓋不意其鼻之至斯也. 或有謂象五脚者, 或謂象目如鼠, 蓋情窮於鼻牙之間, 就其通軆之最少者, 有此比擬之不倫.

蓋象眼甚細, 如姦人獻媚, 其眼先笑, 然其仁性在眼.

 

순진한 코끼리가 호랑이 두 마리를 죽인 사연

康熙, 南海子有二惡虎, 久而不能馴, 帝怒命驅虎, 納之象房. 象大恐, 一揮其鼻, 而兩虎立斃. 象非有意殺虎也, 惡生臭而揮鼻誤觸也.

 

하늘은 천지를 창조한 것이 아닌 혼돈을 만들었다

! 世間事物之微, 僅若毫末, 莫非稱天, 天何嘗一一命之哉. 以形軆謂之天, 以性情謂之乾, 以主宰謂之帝, 以妙用謂之神, 號名多方, 稱謂太褻. 乃以理氣爲爐鞴, 播賦爲造物, 是視天爲巧工, 而椎鑿斧斤, 不少間歇也.

: “天造草昧”, 草昧者其色皂而其形也霾, 譬如將曉未曉之時, 人物莫辨, 吾未知天於皂霾之中所造者, 果何物也.

麵家磨麥, 細大精粗, 雜然撒地. 夫磨之功, 轉而已, 初何嘗有意於精粗哉?

 

角者無齒를 통해 본 주물주는 다 계획이 있구나의 허상

然而說者曰: “角者不與之齒.” 有若爲造物缺然者, 此妄也.

敢問: “齒與之者誰也?” 人將曰: “天與之.”

復問曰: “天之所以與齒者, 將以何爲?” 人將曰: “天使之齧物也.”

復問曰: “使之齧物, 何也?”

人將曰: “此夫理也. 禽獸之無手也, 必令嘴喙, 俛而至地以求食也. 鶴脛旣高, 則不得不脛長, 然猶慮其或不至地, 則又長其嘴矣. 苟令鷄脚效鶴, 則餓死庭間.”

余大笑曰: “子之所言理者, 乃牛馬鷄犬耳. 天與之齒者, 必令俛而齧物也, 今夫象也, 樹無用之牙, 將欲俛地, 牙已先距, 所謂齧物者, 不其自妨乎?”

或曰: “賴有鼻耳.” 余曰: “與其牙長而賴鼻, 無寧去牙而短鼻?”

於是乎, 說者不能堅守初說, 稍屈所學.

 

눈에 보이는 코끼리를 통해서 사물의 변화무쌍함을 담아내다

是情量所及, 惟在乎馬牛鷄犬, 而不及於龍鳳龜麟也.

象遇虎, 則鼻擊而斃之, 其鼻也, 天下無敵. 遇鼠, 則置鼻無地, 仰天而立. 將謂鼠嚴於虎, 則非向所謂理也. 夫象猶目見, 而其理之不可知者如此, 則又況天下之物, 萬倍於象者乎?

故聖人作, 取象而著之者, 所以窮萬物之變也歟.

 

 

 

 

 

 

해석

 

두 번의 코끼리를 보았던 추억

 

將爲怪特譎詭恢奇鉅偉之觀,

장차 괴이하고 특이하며 날 속이는가 싶기도 하고 기괴하며 거대한 볼거리가 되는 것은

 

先之宣武門, 觀于象房可也.

먼저 선무문(宣武門)북경의 서쪽에 있는 문 안으로 가서 코끼리 우리를 보면 될 것이다.

 

余於皇城, 見象十六,

나는 북경에서 코끼리 16마리를 보았지만

 

而皆鐵鎖繫足, 未見其行動.

모두 철로 만든 자물쇠로 발이 묶여 있어 움직이는 건 보지 못했었다.

 

今見兩象於熱河行宮西,

그러다 지금 열하행궁의 서쪽에서 두 마리 코끼리를 보니

 

一身蠕動, 行如風雨.

한 몸이 꿈틀거리고 움직이니 다니면 바람이 불고 비가 오는 듯했었다.

 

余嘗曉行東海上, 見波上馬立者無數.

나는 일찍이 새벽에 동해가를 걷다가 파도 위에 말처럼 서 있는 동물이 엄청 많은 걸 보았다.

 

皆穹然如屋, 弗知是魚是獸,

모두 높이 솟은 것이 집 같아 이게 물고기인지 이게 짐승인지 알지 못해

 

欲俟日出, 暢見之,

해 뜨길 기다려 훤히 보길 바랐는데

 

日方浴海, 而波上馬立者, 已匿海中矣.

해가 곧 바다를 씻어내자 파도 위 말처럼 서 있는 동물은 이미 바다 속으로 사라져 있었다.

 

今見象於十步之外, 而猶作東海想.

그러다 이제야 코끼리를 10보 밖에서 보니 오히려 동해 때의 생각이 나는 것이다.

 

 

 

코끼리의 생김새

 

其爲物也, 牛身驢尾, 駝膝虎蹄.

코끼리의 생김새는 소의 몸에, 나귀의 꼬리에, 낙타의 무릎에, 범의 발굽이다.

 

淺毛灰色, 仁形悲聲,

얇은 털은 회색이고 인자한 생김새에 서글픈 소리를 내며,

 

耳若垂雲, 眼如初月.

귀는 쫙 펴진 구름 같고 눈은 초승달 같다.

 

兩牙之大二圍, 其長丈餘,

두 상아의 크기는 두 아름이고 길이는 1자 남짓인데

 

鼻長於牙, 屈伸如蠖, 卷曲如蠐.

코는 상아보다 길어 굽히고 펴니 자벌레 같고 돌돌 마니 굼벵이 같다.

 

其端如蠶尾, 挾物如鑷, 卷而納之口.

코의 끝은 누에꼬리 같아 집게처럼 물건을 잡아채서 돌돌 말아서는 입에 넣었다.

 

 

 

코끼리의 코를 보고도 착각하는 사람들

 

或有認鼻爲喙者,

혹자는 코를 부리라 여기는 사람도 있어

 

復覓象鼻所在, 蓋不意其鼻之至斯也.

다시 코끼리의 코가 있는 곳을 찾는데 대체로 그 코가 이렇게 길 줄 생각지 못한 것이다.

 

或有謂象五脚者, 或謂象目如鼠,

혹자는 코끼리는 발이 5개라고 하는 사람도 있고 혹자는 코끼리의 눈이 쥐 같다고 하는 사람도 있는데

 

蓋情窮於鼻牙之間, 就其通軆之最少者,

대체로 실정이 코와 상아 사이만을 궁리하느라 온몸의 가장 작은 부분에만 나아간 것이니,

 

有此比擬之不倫.

이것이 비유가 제대로 분류 짓지 못한 까닭이다.

 

蓋象眼甚細, 如姦人獻媚,

일반적으로 코끼리의 눈은 매우 작아 간사한 사람이 아양을 떨려고

 

其眼先笑, 然其仁性在眼.

눈이 먼저 눈웃음 짓는 것 같지만 코끼리의 인자한 본성은 눈에 있다.

 

 

 

순진한 코끼리가 호랑이 두 마리를 죽인 사연

 

康熙, 南海子有二惡虎, 久而不能馴,

강희제 때, 남해자(南海子)북경의 영정문(永定門) 밖에 있던 곳으로 명나라 영력(永曆) 연간에 원유(園囿)로 만든 것이다. 청나라 때에는 총위방어(總尉防御) 등을 두어 지켰으며, 그 안에서 동물들을 기르고, 이곳에서 수렵(狩獵)과 열병(閱兵)을 하였다고 한다. 남원(南苑)이라고도 불렀다에 두 마리 사나운 범이 있었는데 오래되어도 길들일 수 없자

 

帝怒命驅虎, 納之象房.

황제는 화내며 범을 몰아 코끼리 우리에 넣도록 명령했다.

 

象大恐, 一揮其鼻, 而兩虎立斃.

코끼리가 매우 두려워하며 한 번 코를 휘두르니 두 마리 범은 곧바로 죽었다.

 

象非有意殺虎也,

코끼리는 범을 죽일 의도일랑 없었지만

 

惡生臭而揮鼻誤觸也.

나는 냄새가 싫어 코를 휘둘렀다가 잘못 맞은 것이었다.

 

 

 

하늘은 천지를 창조한 것이 아닌 혼돈을 만들었다

 

! 世間事物之微, 僅若毫末,

! 세상 사이 사물의 작은 것은 겨우 터럭 끝 같더라도

 

莫非稱天, 天何嘗一一命之哉.

하늘을 일컫지 않음이 없지만 하늘이 어찌 일찍이 일일이 그것을 명명하였겠는가.

 

以形軆謂之天, 以性情謂之乾,

형체를 ()’이라 말하고 성정을 ()’이라 말하며

 

以主宰謂之帝, 以妙用謂之神,

주재하는 것을 ()’라 말하고 오묘한 쓰임을 ()’이라 말하니,

 

號名多方, 稱謂太褻.

호명한 것은 여러 방면이라 매우 각양각색이라 일컫는다.

 

乃以理氣爲爐鞴, 播賦爲造物,

그러하기에 이기(理氣)로 화로와 풀무를 삼고 뿌려 부여하는 것으로 조물주로 삼으니,

 

是視天爲巧工, 而椎鑿斧斤,

이것은 하늘을 기교 좋은 장인이라 보아서 몽둥이질하고 끌질하며 도끼질함에

 

不少間歇也.

조금도 쉬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 “天造草昧”,

그러므로 주역에선 하늘이 초매(혼돈)를 만들었다.”라고 말했으니,

 

草昧者其色皂而其形也霾,

초매라는 것은 그 색이 검고 모양새는 흐리멍덩하여

 

譬如將曉未曉之時, 人物莫辨,

비유하면 장차 새벽이 오려하는데 새벽이 오지 않은 때에 사람과 동물이 분간되지 않으니

 

吾未知天於皂霾之中所造者, 果何物也.

나는 하늘이 검고 흐리멍덩한 중에 만들었다는 것이 과연 어떤 사물인지 알지 못하겠다.

 

麵家磨麥, 細大精粗, 雜然撒地.

국수집에서 보리를 갈 때 가늘고 크며 정밀하고 거친 게 섞여 땅에 흩어진다.

 

夫磨之功, 轉而已,

대저 갈아내는 공능은 돌릴 뿐이지,

 

初何嘗有意於精粗哉?

애초에 어찌 일찍이 정밀하고 거칠 게 하는 것에 의도가 있겠는가.

 

 

 

각자무치(角者無齒)’를 통해 본 주물주는 다 계획이 있구나의 허상

 

然而說者曰: “角者不與之齒.”

그러나 말하는 사람은 뿔 있는 것엔 이빨을 주지 않는다.”라고 말한다.

 

有若爲造物缺然者, 此妄也.

마치 사물을 만듦에 빠진 게 있는 것 같지만 이것은 망령된 말이다.

 

敢問: “齒與之者誰也?”

감히 이빨을 그에게 부여한 자는 누구인가?”라고 묻겠다.

 

人將曰: “天與之.”

사람들은 장차 하늘이 이빨을 부여했다.”고 말하리라.

 

復問曰: “天之所以與齒者, 將以何爲?”

다시 하늘이 이빨을 준 까닭은 장차 무엇 때문인가?”라고 묻겠다.

 

人將曰: “天使之齧物也.”

사람들은 장차 하늘이 그에게 사물을 깨물어 먹도록 준 것이다.”라고 말하리라.

 

復問曰: “使之齧物, 何也?”

다시 그에게 사물을 깨물어 먹도록 한 것은 왜인가?”라고 묻겠다.

 

人將曰: “此夫理也.

사람들은 장차 말하리라. “이것은 대체로 이치다.

 

禽獸之無手也, 必令嘴喙,

금수는 손이 없어 반드시 부리나 주둥이를

 

俛而至地以求食也.

구부려 땅에 닿아야 먹을 것을 구하게 된다.

 

鶴脛旣高, 則不得不脛長,

그러므로 학의 정강이가 이미 높으니 부득불 정강이가 길어야 하는데

 

然猶慮其或不至地, 則又長其嘴矣.

오히려 간혹 땅에 닿지 않음을 염려하였기에 또한 부리를 길게 한 것이다.

 

苟令鷄脚效鶴, 則餓死庭間.”

만약 닭의 다리가 학의 다리처럼 길었다면 부리가 짧은 닭은 뜰 가운데서 아사했을 것이네.”

 

余大笑曰: “子之所言理者, 乃牛馬鷄犬耳.

나는 크게 웃으며 말했다. “자네가 말한 이치는 곧 소나 말이나 닭이나 개에서만 적용될 뿐이네.

 

天與之齒者, 必令俛而齧物也,

하늘이 이빨을 준 것은 반드시 구부려 사물을 깨물어 먹도록 한 것이라면,

 

今夫象也, 樹無用之牙,

이제 대체로 코끼리는 쓸모없는 상아를 심어주어

 

將欲俛地, 牙已先距,

장차 땅에 구부리려 하면 상아가 먼저 걸리게 되니

 

所謂齧物者, 不其自妨乎?”

말했던 사물을 깨물어 먹는다는 것이 절로 방해되지 않는가.”

 

或曰: “賴有鼻耳.”

혹자가 코가 있음에 의지하려 하는 것이네.”라고 말했다.

 

余曰: “與其牙長而賴鼻, 無寧去牙而短鼻?”

나는 상아가 길어 코를 의지하기보단 차라리 상아를 없애 코를 짧게 함이 낫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於是乎, 說者不能堅守初說, 稍屈所學.

이에 말하던 사람이 초반의 논리를 고수할 수가 없자 조금 주장하는 것을 바꿨다.

 

 

 

눈에 보이는 코끼리를 통해서 사물의 변화무쌍함을 담아내다

 

是情量所及, 惟在乎馬牛鷄犬,

이것은 정으로 헤아려 확장할 수 있는 것이 오직 말과 소와 닭과 개에만 있지

 

而不及於龍鳳龜麟也.

용과 봉황과 거북과 기린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象遇虎, 則鼻擊而斃之,

코끼리는 범을 만나면 코로 후려쳐서 범을 죽이니

 

其鼻也, 天下無敵.

코끼리의 코란 천하무적인 셈이다.

 

遇鼠, 則置鼻無地, 仰天而立.

그러나 쥐를 만나면 코를 둘 땅이 없어 하늘만 쳐다보며 서있다.

 

將謂鼠嚴於虎, 則非向所謂理也.

장차 쥐가 범보다 무섭다고 한다면 앞에서 말했던 이치는 아니게 된다.

 

夫象猶目見, 而其理之不可知者如此,

대체로 코끼리는 오히려 눈으로 보는데도 이치를 알 수 없는 것이 이와 같은데

 

則又況天下之物, 萬倍於象者乎?

또한 하물며 천하의 사물이 코끼리보다 만 배나 많으니 오죽할까.

 

故聖人作, 取象而著之者,

그러므로 성인은 주역을 지을 때 ()’을 취해 그것을 드러낸 것은

 

所以窮萬物之變也歟.

만물의 변화를 궁리하려 해서였으리라.

 

 

 

 

 

 

인용

목차

전문

작가 이력 및 작품

웃음과 역설의 시공간

1. 움베르토 에코와 연암으로 본 동서양의 철학 차이

2. 이전에 코끼리를 두 번 봤던 기억

3. 코끼리를 눈으로 보고도 코를 찾는 사람들

4. 하늘이 만든 건 아무 것도 없다

5. 하늘은 왜 코끼리에게 장난을 쳤는가?

6. 만물은 제각기 살아 숨 쉴 뿐, 절대적 법칙은 없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