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이종묵, 16~17세기 한시사 연구 - 3. 16세기말~17세기 복고풍과 그 반발, 2) 만당풍을 극복하기 위해 두보와 한유의 시를 배우다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이종묵, 16~17세기 한시사 연구 - 3. 16세기말~17세기 복고풍과 그 반발, 2) 만당풍을 극복하기 위해 두보와 한유의 시를 배우다

건방진방랑자 2022. 10. 23. 14:50
728x90
반응형

 2) 만당풍을 극복하기 위해 두보와 한유의 시를 배우다

 

 

시의 기세를 올리기 위해 두보를 존숭하다

 

삼당시인이 일시를 풍미할 때 동시에 그들의 시가 갖고 있는 위와 같은 약점에 대한 인식도 보편화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권필(權韠)은 삼당시인의 한계가 약한 기세에 있다고 생각하여 이를 극복하고자 하였고, 정두경(鄭斗卿), 기가 쇠약하여 떨치지 못한 한계를 극복하였다고 평가된다최석정, 동명집서(東溟集序), 동명집』】. 특히 명 복고파(復古派)가 수용된 이후에는 김득신(金得臣)평호소지석시설(評湖蘇芝石詩說)에서 근래 학사대부의 무리가 모두 명나라의 시를 본받아서 권필의 시를 가지고 원기가 시들었다고들 생각한다.”고 증언한 것처럼, 권필의 시조차 기세가 약하다는 비판을 받았던 것이다. 그만큼 17세기 시단의 제일 큰 이슈는 시의 기세를 높이는 일이었다.

 

시의 기세를 높이기 위한 노력 중 하나는 두보(杜甫)한유(韓愈) 시를 더욱 존숭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한편으로 강서시풍(江西詩風)를 극복하고 다른 한편으로 만당풍을 극복하고자 한 권필(1569-1612)이안눌(1571-1637)은 특히 두시(杜詩)를 모범으로 하였다. 권필은 두보의 여운을 얻어 울연(蔚然)하게 중엽의 정종이 되었다고 평가된 바 있으며, 이안눌은 더욱 두시에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안눌이 두보에 대한 더욱 적극적인 관심은 젊은 시절 겪은 임진왜란 등 여러 번의 전쟁 체험에서 비롯한 듯하다. 자연스럽게 전쟁 체험으로 시사(詩史)의 가장 큰 전범이 되었던 두보(杜甫)의 시가 그에게 모범이 되었을 것이다. 이에 이안눌은 두보의 시를 만삼천번 읽었고 이에 그 시가 청건(淸健)하고 침울하여 두보(杜甫)의 법을 깊이 터득하였다고 평가된 바 있다. 실제 그의 시는 두시(杜詩)에서 점화(點化)한 것이 많거니와, 그의 대표작으로 평가되는 통군정(統軍亭)은 두시와 흡사한 기풍을 보여주고 있다.

 

 

한유의 시를 주목하다

 

두보(杜甫)의 시와 함께 한유(韓愈)의 시에 대한 관심이 이 시기 더욱 높아졌다. 이식(李植)학시준적(學詩準的)에서 요즘 시를 배우는 자들은 한유의 시를 기초로 하고 두보의 시를 모범으로 하는데, 이는 오산 차천로와 동악 이안눌이 가르친 바다. 석주 권필도 나중에는 당률을 배웠으나 처음에는 한유를 읽었다. 고죽 최경창도 말년에 재주가 마르고 기운이 시들자 또한 한유의 시를 읽었다[近代學詩者, 或以詩爲基, 詩爲範, 五山東岳所敎也. 石洲雖終學唐律, 初亦讀. 崔孤竹末年, 才涸氣萎, 亦讀].”고 하였다. 이안눌(李安訥)의 시를 두고 차운로(車雲輅)는 그의 시가 한유(韓愈)에서 나와서 두보로 들어갔음을 밝힌 바 있다이식, 東岳集跋.동악집』】. 차천로(車天輅)노자장자(莊子), 사기(史記)를 자주 읽고 두보(杜甫)이백(李白), 한유(韓愈)의 시를 숙독하였다고 한다.

 

이 시기 한유(韓愈)의 시에 대한 새로운 관심은 당시풍이 풍미한 후의 약한 기세를 극복하기 위한 한 방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심수경(沈守慶)견한잡록(遣閑雜錄)에서 명 의고파가 득세하기 전에는 한유(韓愈)의 시와 고시를 배우는 방편으로 소식(蘇軾)의 시와 함께 많이 읽혔다고 한 것도 이러한 풍조를 지적한 말이다. 좌전(左傳)사기(史記)를 모범으로 하여 문장을 제작하였던 조찬한(趙纘韓, 1572-1631)의 율시 역시 두보(杜甫)한유(韓愈)를 배운 것임을 그의 문집 서문을 쓴 이식(李植)이 명시한 바 있다. 서포만필(646)에 젊은 시절 이명한의 재주가 너무 뛰어나 그 날리는 단처를 꺾기 위하여 한유(韓愈)남산시(南山詩)를 천 번 읽도록 이정구가 권하였는데, 이를 본받아 사람들이 남산시를 많이 읽는 것을 좋은 시를 짓는 비결로 여겼다고 한 기록도 보인다.

 

 

 

 

인용

목차 / 지도

1. 서론

2. 16세기의 강서시풍(江西詩風)과 당풍(唐風)

1) 송풍(강서시풍)의 전개 양상

2) 송시에서 당시로의 전환, 그리고 강서시파의 영향력

3) 삼당시인, 강서시풍 넘어서기

3. 16세기말~17세기 복고풍과 그 반발

1) 삼당시인의 한계

2) 만당풍을 극복하기 위해 두보와 한유의 시를 배우다

3) 기세를 높이기 위해 복고풍을 차용하다

4) 명 복고파의 유행: 시경체 한시나 고악부체의 유행

5) 17세기 다양한 시풍을 추구하라(feat. 장유와 이식)

6) 17세기 후반에 등장한 의고주의 비판(feat. 김창협)

7) 17세기 말에 다시 등장한 송시

8) 17세기 후반 조선적 당풍의 대두

4. 결론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