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문집/농암잡지 (145)
건빵이랑 놀자
韓碑體格 固極簡嚴可法 而其句字 亦時有太生割奇僻處 如曹成王碑 通篇皆然 要非後人所當學 鹿門議之 亦不爲無見 但不當專以史漢律之耳 吾東文人爲碑誌 類多襲用韓碑句字 如櫛垢爬痒 肧胎前光之類 而通篇體段 實不似此 如疏布裙裳 綴錦繡片段 奚其稱也
鹿門八大家文鈔論云 世之論韓文者 共首稱碑誌 予獨以韓公碑誌 多奇崛險譎 不得史漢序事法 故於風神或少遒逸 至於歐陽公碑誌之文 可謂獨得史遷之髓 鹿門此論 似然矣 然碑誌史傳 雖同屬敍事之文 然其體實不同 況韓公文章命世 正不必摸擬史遷 其爲碑誌 一以嚴約深重 簡古奇奧爲主 大抵原本尙書左氏 千古金石文字 當以此爲宗祖 何必以史遷風神求之耶 然其敍事處 往往自有一種生色 但不肯一向流宕以傷簡嚴之體耳 若歐公則其文調本自太史公來 故其碑誌敍事 多得其風神 然典刑則亦本韓公 不盡用史,漢體也
韓文孔司勳墓誌云 前夫人從葬舅姑兆次 卜人曰 今玆歲 未可以祔 從卜人言不祔 茅鹿門批云 附誌前夫人所以不及祔葬舅姑兆次之故 而不詳與司勳合葬處 不可曉 今按本文之意 謂前夫人初沒時 從葬舅姑兆次矣 今宜祔葬於司勳 而卜人云云 故不得祔云爾 鹿門誤認卜人以下竝爲從葬舅姑時事 而反疑韓公之疎 殊可笑也
茅鹿門於歐文,張應之墓表 批云宋制 以觀察推官 徙參軍而知陽武縣 又以通判眉州 入爲員外郞而復知陽武縣 可見當時重令職如此 按宋之官制 有階官 有職事官 今以應之所履者言之 始遷著作佐郞知陽武縣 通判眉州 又累遷屯田員外郞 復知陽武縣 其著作佐郞及員外郞 皆階官也 通判知縣 職事官也 方其爲通判爲知縣 固帶佐郞員外銜 非入爲員外郞 而又自員外郞 出知陽武縣也 鹿門所謂入爲員外郞 恐未察 此凡看宋人碑誌敍履歷處 須分別階官職官 不令混淆始得
朱子張魏公行狀과 王弇州徐階行狀과 錢牧齋孫承宗行狀은 皆至二卷之多하니 古所未有也라 前此에 唯東坡司馬公行狀頗多나 而尙未至此라 張魏公行狀 一百三十板 孫承宗行狀 一百十一板
牧齋碑誌中에 說京師處에 多云長安한데 此殊未當이라 長安은 本關中一小縣也라 漢唐時都此라 故遂爲京師之稱이라 明之京師는 乃燕地也라 何得復以關中一小縣之名稱之乎아 凡詩文은 用事有可假借者한데 而惟地名不可라 詩猶可而文尤不可하고 他文猶可하나 而碑誌敍事之文은 尤不可라
牧齋碑誌는 不盡法韓歐하다 其大篇敍事議論에 錯綜經緯寫에 得淋漓하여 要以究極事情하여 模寫景色하고 又時有六朝句語로 錯以成文에 自是一家體라 如張益之墓表와 陳愚母墓誌等數篇은 其風神感慨하야 絶似歐公하니 明文中所罕得也라
近觀牧齋有學集한대 亦明季一大家也라 其取法不一하니 而大抵出於歐,蘇하고 其信手寫去이 不窘邊幅이라 頗類蘇長公하고 俯仰感慨하고 風神生色하니 又似乎歐公이라 但豪逸駘宕之過하야 時有俠氣하고 亦時有冶情하야 少典厚嚴重之致라 又頗雜神怪不經之說하야 殊爲大雅累라 然余猶喜其超脫自在하니 無砌湊綑縳하니 不似弇州,太函輩에一味勦襲耳라
明之文弊는 始於李,何하여 深於王,李하고 轉變於鍾,譚하여 而極矣라 近看錢牧齋文字하니 論此最詳이라 其推究源委하고 鍼砭膏肓에 語多切覈하니 諸人見之하고 亦當首肯이라
簡易文章名世하니 人謂詩非本色이라하니 而要亦穌芝之流라 其風格豪橫하고 質致深厚 不及穌齋요 而鑱畫矯健이 過之라 其警絶處가 聲響鏗然하야 若出金石하니 要非後來詩人所能及也라 嘗聞하니 權石洲見簡易問曰 當今文筆은 固有吾丈이나 在詩則當推何人擅場이라하니 蓋意其必許己也라 簡易瞑目良久曰 不知老夫死後何人擅場耳라 石洲憮然有慚色이라하니 其自負如此云이라
世稱湖,穌,芝라하다 然三家詩實不同하니 湖陰은 組織鍛鍊頗似西崑이나 而風格不如穌라 芝川은 矯健奇崛하고 出自黃,陳이나 而宏放은 不及穌라 穌齋其最優乎인져
盧穌齋詩는 在宣廟初에 最爲傑然이라 其沈鬱老健하고 莽宕悲壯하며 深得老杜格力하니 後來學杜者莫能及이라 蓋其功力이 深至하여 得於憂患者爲多라 余謂此는 老十九年에 在海中하여 只做得夙興夜寐箴解나 而亦未甚受用이라 後日出來에 氣節太半消沮나 獨學得杜詩하니 如此好耳라
31. 목릉성세 이후로 복고파에 휩쓸리며 모든 시가 비슷해지다 至穆廟之世, 文士蔚興, 學唐者寢多. 中朝王ㆍ李之詩, 又稍稍東來, 人始希慕倣效, 鍛鍊精工. 自是以後, 軌轍如一, 音調相似, 而天質不復存矣. 是以讀穆廟以前詩, 則其人猶可見; 而讀穆廟以後詩, 其人殆不可見, 此詩道盛衰之辨也. 해석 至穆廟之世, 文士蔚興, 學唐者寢多. 목릉(穆廟)의 시대에 이르러 작가들이 많이 배출되어 당풍(唐風)을 배우는 사람이 점점 많아졌다. 中朝王ㆍ李之詩, 又稍稍東來, 人始希慕倣效, 鍛鍊精工. 그리고 중국의 왕세정과 이반룡의 강서시파 시도 점점 우리나라로 유입되어, 사람들이 처음으로 모방하길 희망하여 단련하고 정밀히 하며 공교히 했다. 自是以後, 軌轍如一, 音調相似, 而天質不復存矣. 이때 이후로 바퀴자국이 하나인 것처럼 음률과 격..
30. 목릉 이전의 시엔 송풍(宋風)의 시로 일가(一家)를 이루었다 世稱‘本朝詩, 莫盛於穆廟之世.’ 余謂詩道之衰, 實自此始. 蓋穆廟以前, 爲詩者, 大抵皆學宋, 故格調多不雅馴, 音律或未諧適. 而要亦疎鹵質實, 沈厚老健, 不爲塗澤艶冶, 而各自成其爲一家言. 해석 世稱‘本朝詩, 莫盛於穆廟之世.’ 余謂詩道之衰, 實自此始. 세상에선 “조선의 시는 목릉(선조)의 시대보다 성대함이 없다.”고 말하는데, 나는 시도(詩道)의 쇠함은 실제론 이때부터 시작되었다고 생각한다. 蓋穆廟以前, 爲詩者, 大抵皆學宋, 故格調多不雅馴, 音律或未諧適. 대체로 목릉의 이전에 시를 짓는 사람들은 대저 송풍(宋風)을 배웠기 때문에 격조는 우아하거나 올바르지 않은 것이 많았고 음률은 간혹 적당하지 않기도 했다. 而要亦疎鹵質實, 沈厚老健, 不爲塗澤艶..
容齋詩는 雖格力不及挹翠나 而圓渾和雅하고 意致老成하고 足爲一時對手라 其五言古詩는 往往有絶佳者하니 非東岳所及也라
挹翠詩에 如風從木葉蕭蕭過하고 酒許山妻淺淺斟라 春陰欲雨鳥相語이오 老樹無情風自哀라 怒瀑自成空外響하고 愁雲欲結日邊陰이라 夜深纖月初生影이오 山靜寒松自作聲이라 一年秋興南山色이오 獨夜悲懷缺月懸이라 故人自致靑雲上이오 老我孤吟黃菊邊이라 雨後海山皆秀色이오 春還禽鳥自和聲이라 風帆飽與潮俱上이면 漁戶渾臨岸欲傾이라.等語는 悲壯老健하고 淸新警絶하여 如李奎報集中에 那得有一語似此이리오
余嘗謂挹翠之詩는 正與安平書相似라 安平書는 雖規摹松雪이나 而其筆畫則二王也요 挹翠詩는 雖師法黃,陳이나 而其神情興象은 猶唐人也라 此皆天才高故爾라
挹翠軒은 雖學黃,陳이나 而天才絶高하여 不爲所縳이라 故로 辭致淸渾하고 格力縱逸하여 至其興會所到면 天眞瀾漫하고 氣機洋溢하여 似不犯人力이라 此則恐非黃,陳所得囿也인져
近見壺谷所編箕雅目錄하니 稱李奎報文章爲東國之冠이어늘 余意此論殊不然이라 奎報詩擅名東方久矣라 前輩諸公이 亦皆推爲不可及하니 蓋其材力捷敏하고 蓄積富博하여 爭多鬪速에 一時莫及이라 又能自造言語하여 不蹈襲前人以爲工하니 亦可謂有詩人之才矣라 然이나 其學識鄙陋하고 氣象庸下하여 格卑而調雜하며 語瑣而意淺하니 其古律絶數千百篇에 無一語一句道得淸明灑落하고 高古宏闊意思라 其所沾沾自喜하여 以爲不經人道語者도 大抵皆徐凝之惡詩요 眞嚴羽卿所謂下劣詩魔가 入其肺腑者也라 試拈其數句하면 如滿院松篁僧富貴요 一江煙月寺風流로다 竹根逬地龍腰曲요 蕉葉當窻鳳尾長이라 湖平巧印當心月하고 浦闊貪呑入口潮라 此等은 皆人所膾炙하여 以爲奇警者어늘 而自今觀之하면 殆同村學童所習百聯鈔句語耳이니 亦何足尙哉아 當時之人이 目見其贍敏擅場하고 固宜畏服이라 至於後來尙論이면 宜有不然하니 而..
何大復은 天才溫雅라 故로 雖以學古自命이나 而不至如後來諸人之矯激이라 其詩는 雖少眞至警絶이나 然寬平和雅하여 猶有詩人之度라
弇州輩는 雖宗尙空同이나 而其論常若有所不滿하니 蓋以其淘洗刻削之功未盡也라 然今觀空同之長하면 在於莽蒼勁渾하고 倔强疎鹵에 正以其淘洗刻削之功未盡으로 而眞氣猶有不喪耳라 至弇州諸人하얀 揣摩愈工하고 鍛鍊愈精이나 而眞氣則已喪하니 此所以反遜於空同也라
高子業之詩는 隱約幽古하고 沖深溫雅하여 雖語氣似簡短이나 而旨味實雋永하다 其光黯然하고 其聲漻然하여 使讀者反復吟咀而不能已하니 使在唐時라도 亦當不失爲名家라 嘗見其自序數篇한데 亦大類라 其詩甚愛之한데 惜不多得耳라
明詩에 如徐昌穀,高子業은 雖與李(이몽양)何(하경기)相和應이나 而其天才自近唐人이라 故로 所就高出一時라 徐以神秀勝하고 高以幽澹勝한데 而子業於性情尤近이라 此外如唐應德,蔡子木諸人은 皆學唐하여 而其詩沖和閒靜하여 無叫呼激詭之習이라
明文에 如遜志,陽明,遵巖,荊川은 皆是歐,蘇流派라 就中遜志는 規模宏大하고 筆力滂沛하나 而少收斂裁翦之功하며 陽明은 天才豪敏하고 有操縱有闔闢이나 而少深渟典厚之致하니 此-所以不及歐,蘇라 遵巖,荊川은 宏大不如遜志하고 豪敏不如陽明이나 而體裁則加密焉이라 然이나 要不出方(방손지)王(왕양명)度內耳라
茅鹿門(茅坤)作八大家文鈔는 蓋以矯王(王世貞).李(李攀龍)諸人의 贗勦之習이라 其論古今文章偏正得失之際에 亦多中竅이나 及觀其所自爲하얀 則曼衍冗長하고 浮靡華艶하여 辭繁而意寡하고 文勝而質弱이라 其視弇州(왕세정)之體裁遒整하고 結構緻密이면 反不及焉하니 蓋慕歐公之風神紆餘이나 而不得矩矱理致爾라 信乎文之難也라
黃.蘇以前에 如歐陽,荊公(왕안석)諸人은 雖不純乎唐이나 而其律絶諸體는 猶未大變唐調라 但歐公太流暢하고 荊公太精切하며 又有議論故實之累耳라 自東坡出而始一變하고 至山谷.后山出하얀 則又一大變矣라
宋詩에 如山谷(黃庭堅),后山(陳師道)은 最爲一時所宗尙이라 然이나 黃之橫拗生硬과 陳之瘦勁嚴苦는 旣乖溫厚之旨하고 又乏逸宕之致라 於唐固遠하고 而於杜亦不善學이라 空同所譏가 不色香流動者가 誠確論也라 簡齋雖氣稍詘이나 而得少陵(두보)之音節하고 放翁雖格稍卑나 而極詩人之風致라 與其學山谷,后山으론 無寧取簡齋放翁이라 以其去詩道猶近爾라
詩는 固當學唐이나 亦不必似唐이라 唐人之詩는 主於性情興寄하고 而不事故實議論하니 此其可法也라 然이나 唐人自唐人이오 今人自今人하여 相去千百載之間하니 而欲其聲音氣調無一不同이면 此는 理勢之所必無也라 强而欲似之면 則亦木偶泥塑之象人而已니 其形雖儼然이나 其天者 固不在也니 又何足貴哉아
宋人之詩는 以故實議論爲主하니 此 詩家大病也라 明人攻之是矣라 然其自爲也는 未必勝之而或反不及焉은 何也오 宋人이 雖主故實議論이나 然其問學之所蓄積과 志意之所蘊結이 感激觸發하고 噴薄輸寫하여 不爲格調所拘하고 不爲塗轍所窘이라 故로 其氣象豪蕩하고 淋漓時有近於天機之發하여 而讀之猶可見其性情之眞也라 明人太拘繩墨하여 動涉摸擬하고 效顰學步하여 無復天眞하니 此其所以反出宋人下也歟인져
詩者는 性情之發而天機之動也라 唐人詩가 有得於此라 故로 無論初盛中晩하고 大抵皆近自然이나 今不知此하고 而專欲摸象聲色하고 黽勉氣格하여 以追踵古人이면 則其聲音面貌가 雖或髣髴이나 而神情興會는 都不相似하니 此明人之失也라
明人稱詩에 動言漢魏盛唐이나 漢魏固遠矣요 其所謂唐者- 亦非唐也라 余嘗謂唐詩之難하여 不難於奇俊爽朗이요 而難於從容閒雅이며 不難於高華秀麗이요 而難於溫厚淵澹이며 不難於鏗鏘響亮이요 而難於和平悠遠이라 明人之學唐也에 只學其奇俊爽朗하고 而不得其從容閒雅이며 只學其高華秀麗하고 而不得其溫厚淵澹이며 只學其鏗鏘響亮하고 而不得其和平悠遠하니 所以便成千里也라
范文正公이 宋朝第一人物也라 其平生行事- 可爲後世法者極多나 而歐陽公作神道碑에 只敍其出處事業과 終始大節하고 而其餘嘉言善行은 皆略之라 如義田及麥舟事는 尤古人所難能이어늘 而碑猶不載也라 其敍事簡嚴이 不苟如此矣라 後來碑誌는 雖名賢偉人이 有大事業大名節이라도 亦必俱載其細行하고 至於筆翰小事에 亦皆不遺라 不如此則得者不滿이오 而作者亦不安이라 習俗之弊久矣한 其難變也라
碑誌與史傳은 文體略同이나 而史傳猶以該贍爲主하고 至於碑誌 則一主於簡嚴이라 故로 韓碑敍事에 與史漢大不同이라 不獨文章自別인 亦其體當然也라 歐陽公雖學司馬遷이나 而其爲碑誌- 猶不盡用史傳體하니 亦以此耳라 至明人하얀 始純用史傳體하여 爲碑誌하고 而又不識古人敍事之法이라 故로 其文遂無體要이나 而碑誌簡嚴之法이 掃地矣라
馬史는 如信陵君傳에 敍迎侯生과 及灌夫傳에 敍罵坐等處는 曲折纖悉하여 毫髮不遺라 弇州,滄溟諸人이 作誌傳에 大抵皆摹倣此等이나 而不知信陵君傳이 專以禮士下賢하여 臨難得力으로 爲案이오 灌夫傳이 專以田竇兩家恩怨傾奪로 爲案하니 迎侯生及罵坐處는 正其緊要關節이라 故로 敍得愈詳愈妙하니 推此例之컨대 史漢諸傳이 皆然이라 若事無巨細緊歇하고 皆欲纖悉敍次면 則豈復有體要乎아? 弇州諸人이 惟不識此意라 故로 其爲誌傳에 擧其人一生行事하여 以至日用細瑣하니 一準史漢敍次之法하여 而摸寫之라 其亦可笑也已라
古人之簡은 簡於篇法이요 明人之簡은 簡於句字라 古人之詳은 詳於大體이나 明人之詳은 詳於小事라 故로 歐陽公作王,范二文正碑에 其文不滿二千言이나 而其作相事業與平生大節은 摸寫殆盡이라 弇州作商販婦女誌傳에 其人瑣瑣無足記나 而其文이 動累百千言하니 此可見工拙之辨也라
왕세정의 비지문은 구양수와 왕안석에 못 미친다 王弇州自謂學班ㆍ馬, 其爲碑誌敍事, 極力摹畫, 若將以追踵古人. 而其實遠不及宋之歐ㆍ王. 구양수 비지문의 특징 今讀歐公諸碑誌, 其提挈綱領, 錯綜關節, 種種有法. 簡而能該, 詳而不繁, 意度閒暇而情事曲盡. 風神生色處, 又往往如畫, 茅鹿門以爲得太史公之髓者此也. 왕세정이 쓴 비지문엔 핵심이 빠졌다 弇州不知古人提挈錯綜之妙, 而只欲以句字, 步趣摸擬. 故其爲碑誌敍事, 不問巨細輕重, 悉書具載. 煩冗猥瑣, 動盈篇牘, 綱領眼目, 未能挈出點注, 首尾本末, 全無伸縮變化. 其所自以爲風神景色者, 不過用馬字班句, 緣飾傅會耳. 此何足與議於古人之妙哉? -『農巖集』 해석 왕세정의 비지문은 구양수와 왕안석에 못 미친다 王弇州自謂學班ㆍ馬, 其爲碑誌敍事, 왕세정은 스스로 반고와 사마천을 배웠다고 말하..
6. 비지문(碑誌文)에 ‘역책(易簀)’이란 단어를 써선 안 되는 이유 ‘역책(易簀)=정종(正終)’이 된 이유와 전고로 사용해선 안 되는 이유 又碑誌文字襲謬可笑者, 無如‘易簀’二字, 夫易簀, 固聖賢正終之事. 然曾子之簀, 乃季孫之賜, 非禮之物, 故易之, 所以爲正終也. 夫人安得皆有季孫之簀, 而必於將死焉易之耶? 文章家用事, 固多此類. 증자에게만 있었던 특수한 사실을 보편의 전례로 사용해선 안 된다 而至於碑誌文字. 其體本自謹嚴, 凡敍履歷生卒, 惟當據實直書, 不必引用古語. 雖或用事, 亦須詳審的當. 且如啓體ㆍ易簀, 皆曾子事, 然啓體, 人皆可用, 而易簀則非人人所可用. 朱子祭延平文, 雖有‘擧扶’語, 而亦與直說‘易簀’者有間. 且祭文, 異於碑誌, 不可援例也. 해석 ‘역책(易簀)=정종(正終)’이 된 이유와 전고로 사용해선 안..
孔子曰 喪與其易也론 寧戚아라하시니 後人作碑誌文字에 言人善居喪에 類多云戚易咸備라하니 其意는 蓋曰禮文與哀痛俱備也라 然이나 聖人之意는 正以易爲病이니 而寧有取於戚이리오 故로 朱子訓之曰- 易은 治也니 節文習熟하여 而無哀痛慘怛之實也라 戚則一於哀而文不足耳라하니 此二者는 正自相反하니 豈容兩兼耶아? 且如夫子云與其奢也론 寧儉을 今若曰奢儉俱備라하면 則成何義理文字耶아? 然이나先輩文字中에 用此語甚多하니 恐一時偶然失誤하여 而承襲用之하니 不復深察也라 又意此語之誤는 恐始於明人하니 歐,王碑誌中엔 無此語라 以下 辛未壬申間所錄
余夜夢游山水極多라 自游金剛還으로 八九年間은 夢踏毗盧萬瀑之間者가 不可記라 往往遇奇異光景은 殆不能名言하니 此豈亦好之篤故耶아? 昔朱子自言호대 連夜夢中解書나 以爲雖事之善者도 亦不合形於夢이라하니 夢山水는 雖異於夢榮利나 其爲偏係之發은 一也라 此宜自警이니 聊書此以觀之하노라
自永平鷹巖으로 向鐵原豐田驛하여 過狼踰嶺이라가 嶺底水石頗佳라 駐馬少坐하니 激湍澄潭과 蒼崖老樹가 極有泓崢幽敻之趣하여 令人忘起라 仍念深山絶谷中에 其奇勝處가 不止此比언마는 而人自不識하고 又不能往하니 可慨也라 崔孤雲云 人間之要路通津에 眼無開處요 物外之靑山綠水는 夢有歸時라하니 三復此語하고 爲之悵然이라
夜夢游一寺院이라가 遇老僧名辨師者하여 與談儒釋之辨이라 余擧喜怒哀樂云云하니 僧曰 此는 乃根塵妄想也라 余曰 然則心是何物인고 僧曰 眞如體也라 余曰 喜怒哀樂은 是心之用이니 卽用卽體어늘 是獨非眞如乎아? 以下己未所錄
韓文은 原道外에 與孟簡書及文暢序가 論議正大하고 筆力宏肆하여 不減孟子文章이라 孟簡書尤好하여 其論孟子處는 抑揚反復하여 極好看이라 戊午所錄
我仲氏農巖先生旣沒之踰年 門人金時佐等 裒輯其遺文 略有刊汰編次 爲三十餘卷 將以印行于世 謂昌翕合有一語 以著卷尾 嗚呼 先生之蘊 其高大遠密 匪斯集可盡 若余鹵莽 於斯集猶未之究 其何以有所發揮哉 然竊念在昆季中 論其齒比而周旋者廣 則惟昌翕爲然 粤自左提右挈 以至長大且老 其間同案而連業 若藏修之爲某所 呻佔之爲某書 旣皆歷歷矣 亦其追踵步驟 從淺入深 穿歷乎文苑理藪者 終始覩其難窮 則以是爲述 其亦可乎 先生生而朗悟 慧解絶倫 甫踰髫齔 已能潛心竹素 忘寢與食 家人或失所在 搜得於几閣僻奧 則兀然手一編也 出而端坐 咿唔之聲 若裂金石 其高下往復 妙有韻折 婦孺聳聽 以當韶匀 其中進士 未弱冠也 是時 朝野淸平 門戶華赫 先生之意 若將乘運高蹈 大鋪鴻藻 以應一世黼黻笙簧之需 優優乎沛有餘地 吾則以淵,雲華國之業 擬先生也 及至乙卯以後 世途與家運 日入於艱 大牢騷矣 流離南北..
63. 복고파인 정두경을 비판하다 정두경 시의 장점 鄭東溟出於晩季, 能知有漢魏古詩樂府爲可法. 歌行長篇, 步驟李杜; 律絶近體, 摸擬盛唐, 不肯以晩唐蘇黃作家, 計亦偉矣. 정두경의 한계 然其才具氣力, 實不及挹翠諸公. 又不曾細心讀書, 深究詩道, 沈潛自得, 充拓變化, 徒以一時意氣, 追逐前人影響. 복고파 정두경의 시가 단점이 많은 이유 故其詩, 雖淸新豪俊, 無世俗齷齪庸腐之氣. 然其精言妙思, 不足以窺古人之奧, 橫騖旁驅, 又未能極詩家之變. 要其所就, 未能超石洲ㆍ東岳而上之也. 해석 정두경 시의 장점 鄭東溟出於晩季, 能知有漢魏古詩樂府爲可法. 동명 정두경은 늦은 시기에 나왔으니 한나라와 위나라, 고시와 악부가 법 삼을 만한 것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歌行長篇, 步驟李杜; 律絶近體, 摸擬盛唐, 不肯以晩唐蘇黃作家, 計亦偉矣...
24. 복고파가 모방만을 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 이몽양의 주장은 편협하고 이반룡의 주장은 가소롭다獻吉勸人不讀唐以後書, 固甚狹陋, 然此猶以師法言可也. 至李于鱗輩, 作詩使事, 禁不用唐以後語, 則此大可笑. 夫詩之作, 貴在抒寫性情, 牢籠事物, 隨所感觸, 無乎不可. 事之精粗, 言之雅俗, 猶不當揀擇, 況於古今之別乎? 복고파는 겉모습만 따라했다于鱗輩學古, 初無神解妙悟, 而徒以言語摸擬. 故欲學唐詩, 須用唐人語; 欲學漢文, 須用漢人字. 若用唐以後事, 則疑其語之不似唐, 故相與戒禁如此, 此豈復有眞文章哉! 왕세정은 말년에 복고파에서 탈피하다元美亦初守此戒, 至續稿不盡然, 蓋由晩年識進, 兼亦勢不行耳. 해석 이몽양의 주장은 편협하고 이반룡의 주장은 가소롭다 獻吉勸人不讀唐以後書, 固甚狹陋, 然此猶以師法言可也. 헌길(獻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