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중용장구서 - 1. 중용은 왜 짓게 되었는가 본문

고전/대학&학기&중용

중용장구서 - 1. 중용은 왜 짓게 되었는가

건방진방랑자 2021. 9. 22. 17:13
728x90
반응형

1. 중용은 왜 짓게 되었는가

 

 

예로부터 도통의 전수는 활발히 진행되었다

中庸, 何爲而作也? 子思子憂道學之失其傳而作也.

蓋自上古聖神, 繼天立極, 而道統之傳有自來矣. 其見於經, 允執厥中, 之所以授. ‘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一, 允執厥中, 舜之所以授禹也. 之一言, 至矣盡矣, 復益之以三言者, 則所以明夫之一言, 必如是而後可庶幾也.

 

도심과 인심의 긴밀한 관계

蓋嘗論之, 心之虛靈知覺, 一而已矣. 而以爲有人心道心之異者, 則以其或生於形氣之私, 或原於性命之正, 而所以爲知覺者不同. 是以或危殆而不安, 或微妙而難見耳. 然人莫不有是形, 故雖上智不能無人心; 亦莫不有是性, 故雖下愚不能無道心. 二者雜於方寸之間而不知所以治之, 則危者愈危, 微者愈微, 而天理之公, 卒無以勝夫人欲之私矣. , 則察夫二者之間而不雜也; , 則守其本心之正而不離也. 從事於斯, 無少間斷, 必使道心常爲一身之主, 而人心每聽命焉, 則危者安, 微者著, 而動靜云爲, 自無過不及之差矣.

  

 

 

 

 

 

해석

 

예로부터 도통의 전수는 활발히 진행되었다

 

中庸, 何爲而作也?

중용은 무엇 때문에 지어졌는가?

 

子思子憂道學之失其傳而作也.

자사 선생께서 도학이 전하여지는 것을 잃게 될까 걱정하셔서 지으셨다.

 

蓋自上古聖神, 繼天立極,

대저 상고시대의 성신으로부터 하늘을 계승하셨고 법을 세워서

 

而道統之傳有自來矣.

도통의 전함이 유래하였다.

 

其見於經, 允執厥中,

경전에 보이는 진실로 가운데를 잡아라라는 말은

 

之所以授.

요임금이 순임금에게 전수한 것이다.

 

人心惟危, 道心惟微,

인심은 위태롭고 도심은 은미하니,

 

惟精惟一, 允執厥中,

오로지 정밀하게 생각하고 오로지 전일하게 행동함으로 진실로 그 가운데를 잡아라라는 말은

 

之所以授.

순임금이 우임금에게 전수한 것이다.

 

之一言, 至矣盡矣,

요임금의 한 마디 말이 지극하고 완전하지만,

 

復益之以三言者,

순임금이 다시 세 마디의 말을 덧붙인 것은,

 

則所以明夫之一言, 必如是而後可庶幾也.

요임금의 한 마디 말이 반드시 이 세 마디로 말로 갈무리되어야만 거의 참된 말에 가까워지기 때문임을 밝히신 것이다.

 

 

 

도심과 인심의 긴밀한 관계

 

蓋嘗論之, 心之虛靈知覺, 一而已矣.

대저 그것을 논해보자면 마음의 비어 있으며 신령하며 지각하는 것은 하나일 뿐이다.

 

而以爲有人心道心之異者,

그러나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의 차이가 생긴 까닭은

 

則以其或生於形氣之私, 或原於性命之正,

혹은 형체와 기의 사사로움에서 태어나며, 혹은 성명의 바름에서 근원하여

 

而所以爲知覺者不同.

지각하는 것들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是以或危殆而不安, 或微妙而難見耳.

그래서 어떤 것은 위태롭고 불편하며, 어떤 것은 미묘하여 보기가 어렵게 되었을 뿐이다.

 

然人莫不有是形, 故雖上智不能無人心;

그러나 사람은 육체가 없을 수 없기에 비록 최고의 지혜를 지닌 이라도 인심(人心)이 없을 순 없으며,

 

亦莫不有是性, 故雖下愚不能無道心.

또한 이 본성이 없을 수 없기에 비록 매우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도심(道心)이 없을 순 없다.

 

二者雜於方寸之間而不知所以治之,

이 두 가지는 한 마디의 협소한 곳에서 섞여 있어 그것을 다스리길 알지 못하면

 

則危者愈危, 微者愈微,

위태로운 것은 더욱 위태롭게 되고, 은미한 것은 더욱 은미해져,

 

而天理之公, 卒無以勝夫人欲之私矣.

천리(天理)의 공정함이 마침내 인욕(人慾)의 사사로움을 이기지 못하게 된다.

 

, 則察夫二者之間而不雜也;

정밀히 하면 두 가지의 사이에서 살펴 섞이지 않게 되고,

 

, 則守其本心之正而不離也.

한결같이 하면 본심의 바름을 지켜 떠나질 않게 된다.

 

從事於斯, 無少間斷,

여기에 종사하면 조그마한 틈이라도 없어져

 

必使道心常爲一身之主,

반드시 도심이 반드시 항상 한 몸의 주인이 되어

 

而人心每聽命焉,

인심(人心)이 매번 도심(道心)의 명을 듣게 되니,

 

則危者安, 微者著,

위태로운 것은 편안해지고 은미한 것은 드러나

 

而動靜云爲, 自無過不及之差矣.

움직이거나 고요히 있거나 말하거나 행동할 때 스스로 지나치거나 미치지 못하는 차이가 사라지게 된다.

 

 

인용

목차

전문

1. 장구와 집주

2. 도통의 전해지지 않을까봐

3. 순임금에게 전수한 말

4. 은 구체적이면서 전체적인 개념

5. 누구나 가지고 태어난 것

6. 도심으로 인심을 통제하라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