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한국한시사, 서설(序說) - 2. 자료의 선택 문제: 『국조시산(國朝詩刪)』과 격조론(格調論)② 본문

카테고리 없음

한국한시사, 서설(序說) - 2. 자료의 선택 문제: 『국조시산(國朝詩刪)』과 격조론(格調論)②

건방진방랑자 2021. 12. 19. 16:20
728x90
반응형

한편 이 책에는 작자 또는 시작(詩作)과 관련된 제영(題詠)이나 고실(故實), 역대의 시화(詩話)ㆍ만록(漫錄)에서 찾아 음각(陰刻)으로 보주(補注)를 붙이고 있다. 이는 아마 고본(稿本)을 재편집(再編輯)하는 과정에서 박태순(朴泰淳) 자신이 붙인 것으로 보인다. 그의 서문에도 다음과 같이 쓰여 있다.

 

 

이때에 널리 제본(諸本)을 구()하여 거기에 정정(訂定)을 가()하고, 또 제가(諸家)의 시화(詩話)에서 따서 같은 종류의 것을 보충하고 베껴서 몇권을 만들었다.

於是, 廣求諸本, 頗加證定, 又取諸家詩話, 以類補綴, 繕寫爲幾卷.

 

 

이 언급으로 보아 박태순(朴泰淳)이 한 일임에 틀림 없는 듯하다. 보주(補注) 가운데는 양경우(梁慶遇)제호시화(霽湖詩話), 이수광(李睟光)지봉유설(芝峰類說), 차천로(車天輅)오산설림(五山說林)등도 보이는 바, 편자인 허균(許筠)이 동시대인의 저술까지 두루 섭렵했을 가능성은 희박하며, 특히 양경우(梁慶遇)이수광(李睟光)유몽인(柳夢寅) 등은 허균(許筠)보다도 뒤에 죽었다. 그리고 전기(前記) 시화서(詩話書) 가운데서 간행 연대가 알려져 있는 지봉유설(芝峰類說)허균(許筠)이 죽기 4년 전에 간행되었으나, 성수시화(惺叟詩話)에 따르면 정미년(丁未年, 39)에 이미 국조시산(國朝詩刪)이 완성(完成)된 것으로 보인다. 허균(許筠)의 태인은거(泰仁隱居) 이후의 시기이기 때문에 그가 득세(得勢)한 바쁜 생활 속에 저술을 할 여유는 없었을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허균(許筠)홍길동전(洪吉童傳), 은인(隱人)의 전기인 장산인전(張山人傳), 남궁선생전(南宮先生傳), 장생전(蔣生傳)등 서사체문장(敍事體文章)을 통하여 그의 산문(散文) 능력을 과시하기도 하였지만, 그러나 그가 문학으로 영채(英彩)를 발한 것은 시와 비평이다. 박순(朴淳)에게 당()을 배운 최경창(崔慶昌)백광훈(白光勳), 이들로부터 영향을 받은 듯한 이달(李達) 등이 등장함에 따라 조선중기 소단(騷壇)의 주류가 학당(學唐)으로 경도(傾倒)하게 되었거니와 이달(李達)로부터 당()을 배워 시인으로 성장하게 된 허균(許筠)은 맑고 고운 시로써 정평(定評) 받게 되었으며 이러한 그의 시세계는 비평에 있어서도 탁월한 재능을 발휘하였다. 국조시산(國朝詩刪)성수시화(惺叟詩話)학산초담(鶴山樵談)등의 저작을 통하여 격조 높은 당시(唐詩)의 성격과 학당(學唐)의 시사적(詩史的) 의미를 명쾌하게 개진함으로써 조선중기 시학(詩學)의 높은 경지를 모색하는 데 성공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조시산(國朝詩刪)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실에서 그 자료적 의미가 기록되어 마땅하다.

첫째, 당시(唐詩)에 근접하고 있는 조선 전기의 시작(詩作)에 대하여 일구일련(一句一聯)에 이르기까지 비평을 붙여 근당(近唐)의 사실을 증험(證驗)하고 있으며

둘째, 당시(唐詩)의 좋은 표준척(標準尺)으로 우리 시()의 성운(聲韻)을 점검하여 시에 있어서 형식적인 기교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그것이다.

 

그러므로 허균(許筠)국조시산(國朝詩刪)에서 이른바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 불리우는 최경창(崔慶昌)백광훈(白光勳)이달(李達)의 시편(詩篇)을 중심으로, 조선초기 근당(近唐)으로 알려진 이주(李胄)신광한(申光漢)김정(金淨)나식(羅湜) 등의 각체시(各體詩)에 대하여 그의 다양한 표현을 빌어 비()와 평()을 가()하고 있다.

 

이 밖에도 세상에서 해동(海東)강서시파(江西詩派)로 불러 온 이행(李荇)의 시()에 대해서도 당시풍(唐詩風)이 깃든 작품에 대해서는 관심을 아끼지 않았다. 그리고 조선초기 송시권(宋詩圈)에서 사실상 일탈(逸脫)한 바 있는 김종직(金宗直)의 작품에 대해서도 유독 당()에 핍근(逼近)하다고 할 정도로 허균(許筠)의 당()에 대한 관심은 절실하다.

 

 

 

 

 

 

인용

목차

서사한시

한시미학

16~17세기 한시사

존당파ㆍ존송파의 평론연구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