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도올선생 중용강의, 10장 - 1. 남방과 북방의 강함 본문

고전/대학&학기&중용

도올선생 중용강의, 10장 - 1. 남방과 북방의 강함

건방진방랑자 2021. 9. 17. 12:06
728x90
반응형

101. 남방과 북방의 강함

 

 

子路問强.
자로가 공자에게 용기에 대해 물었다.
 
子路, 孔子弟子仲由. 子路好勇, 故問强.
자로는 공자의 제자로 중유다. 자로는 용맹을 좋아했기 때문에, 강함에 대해 물은 것이다.

 

자로는 말했듯이 우직하고 저돌적인, 용기의 상징이었죠. 그래서 관심도 용기에 있었겠지. 그래서 “What is courage?”라고 물은 것입니다.

 

 

 

子曰: “南方之强與? 北方之强與? 抑而强與?
공자가 말했다. “남방의 강()을 말한 것인가, 북방의 강()을 말한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너 자신이 힘써야 할 강()을 말한 것인가?”
 
, 語辭. , 汝也.
()은 어조사다. ()은 너란 뜻이다.

 

여기 공자의 말은 일종의 변증법(Dialectic)입니다.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을 산파술이라고 하죠? 그러면 산파가 뭡니까? 자기는 애를 낳지 않으면서 남이 애를 낳도록 도와주는 사람이죠. 그러니까 변증법(Dialectic) 자체가 애를 낳는 것이 아니라, 변증법적 과정을 통해서 사람들이 깨달음을 얻게 된다는 말이예요. 이런 것은 동서고금이 같은 겁니다. 모든 문답법에는 필연적으로 변증법이 들어가는 겁니다. 그래서 윗 문장에서 보면 남방지강(南方之强)’이 테제(these), ‘북방지강(北方之强)’이 안티테제(antithese) 거기에 대해 이강(而强)’이 씬테제(synthese)가 되겠죠?

 

여기서, ‘남방은 당나라 때의 예기정의(禮記正義)에 의하면 형양지남(荊陽之南)’, 즉 지금의 광동성 지역에 해당된다고 합니다. 춘추 전국시대에는 광동성까지는 안 내려갔을 것 같기도 한데. 어쨌든 더운 곳을 말하겠지요. 이런 곳에서 사는 사람들은, 월남전에서 월남 사람들이 지독하게 항거하는 걸 보면 반드시 그렇지만도 않지만, 대개 유순하다는 느낌이 듭니다. 단적인 예를 들면 마하트마 간디가 적절한데 그의 비폭력주의(Nonviolence) 같은 게 여기에 해당될 거예요. 그 다음,

 

 

 

寬柔以敎, 不報無道, 南方之强也, 君子居之.
너그럽고 부드럽게 함으로써 가르치고, ()가 없는 것에도간디의 경우, 영국 놈들이 그렇게 나쁜 짓을 해도보복하지 않는 것이 남방의 강함이다. 군자가 이곳에 처한다.
 
寬柔以敎, 謂含容巽順以誨人之不及也. 不報無道, 謂橫逆之來, 直受之而不報也.
관유이교(寬柔以敎)란 용납함을 머금고 공손하고 부드러움으로 남의 미치지 못하는 것을 가르치는 것을 말한다. 불보무도(不報無道)는 나에게 무례하게 대우하며 오더라도 곧바로 그걸 감수하고 갚아주지 않는 것을 말한다.
 
南方風氣柔弱, 故以含忍之力勝人爲强, 君子之道也.
남방의 풍토와 기운이 부드럽고 약하기 때문에 참음을 머금은 힘으로 사람을 이기는 것을 강함이라 여기니, 군자의 도인 것이다.

 

우선 주자 주()를 봅시다. ‘불보무도(不報無道)’라는 것은 황당무계한 반역적인 사건이 벌어져도 받기 만하고 보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남방의 풍기가 유약하여 인내하는 힘으로 사람들을 이겨내는 것을 강함으로 여기니 군자의 도(). 여기서 군자는 강자와 대비되는 것으로 그냥 호인을 의미합니다. 다음 문장의 고군자화이불류(故君子和而不流)’에서의 군자와는 다른 뜻이예요.

 

 

 

衽金革, 死而不厭, 北方之强也. 而强者居之.
금혁을 깔고 자면서 죽는 것도 싫어하지 않는 것이 북방의 강함인데, 강자가 거기에 머문다.
 
, 席也. , 戈兵之屬; , 甲冑之屬. 北方風氣剛勁, 故以果敢之力勝人爲强, 强者之事也.
()은 깔다란 뜻이다. ()은 창과 병기류이다. ()은 갑옷과 투구의 종류다. 북방의 풍토와 기운은 굳세고 강경하기 때문에 과감한 힘으로 남을 제압함을 강함이라 여기니, 강한 자의 일인 것이다.

 

()은 명사로 방바닥에 까는 이고, 동사로는 요를 깔다의 뜻이며. ()은 창과 병기류, ()은 갑옷류을 말합니다.

 

 

 

 

인용

목차

전문

본문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