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철학과 굴뚝청소부, 제3부 독일의 고전철학 : 근대철학의 재건과 ‘발전’ - 2. 피히테 : 근대철학과 자아, ‘자아’의 복권 본문

책/철학(哲學)

철학과 굴뚝청소부, 제3부 독일의 고전철학 : 근대철학의 재건과 ‘발전’ - 2. 피히테 : 근대철학과 자아, ‘자아’의 복권

건방진방랑자 2022. 3. 25. 04:07
728x90
반응형

2. 피히테 : 근대철학과 자아

 

 

자아의 복권

 

 

피히테는 오직 12개의 범주만을 가지고 있는 칸트의 선험적 주체가 확실한 만큼이나 공허하다고 생각하며, 주체(피히테 용어로는 자아)의 활동과 무관하게 정의되어 있다고 비판합니다. 오히려 판단의 범주나 원리는 자아(주체)의 활동과정의 산물이라고 봅니다. 하지만 특히 그가 주목하는 지점은 칸트철학의 인식론적 문제점입니다. 그것은 사물 자체선험적 주체라는 칸트의 개념에 관련된 것입니다.

 

피히테는 일단 사물 자체가 논리적으로 성립될 수 없다고 봅니다. 칸트에 따르면 사물 자체는 있기는 있으되 인식되지 않는 무엇입니다. 그러나 사물 자체가 인식되지 않는 무엇이라면 사물 자체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인식했는가 하고 피히테는 반문합니다. 무언가가 있는데 그것을 인식할 수는 없다는 말은, “맛이 있긴 있는데 맛을 알 수는 없어라는 말처럼 부당하다는 것입니다. 즉 인식할 수 없는 것이라면 말을 할 수도 없을 거라는 겁니다.

 

이로 인해 칸트 체계의 부정합성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체계를 만들어가는 논리는 서로 배타적인 것을 함께 설명할 수 없는 법인데 칸트의 경우에는 사물 자체와 현상이라는, 서로 배타적인 것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부정합성과 모순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나아가 이론적으로도 칸트가 해결하려고 했던 진리의 문제를, 다시 말해 대상과 주체의 동일성이란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봅니다. 사물 자체와 현상 간의 심연은 결코 메워질 수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한편 선험적 주체의 개념 역시 근본적이지 못하며 불철저하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선험적 주체에 대해 무언가 말할 수 있다는 건, 선험적 주체에 대해서 인식하고 판단하며 말하는 또 다른 주체가 먼저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요컨대 선험적 주체에 대해 인식하고 말하는 칸트는 선험적 주체보다 앞선 주체인 셈이 됩니다. 결국 가장 근본적인 것은 설명될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그렇다면 피히테로선 두 가지 문제를 앞에 두고 있는 셈입니다. 하나는 사물 자체와 현상, 대상과 주체를 어떻게 하면 통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피히테 자신의 용어를 쓰면 자아와 비아(非我)를 어떻게 통일적으로 설명할 것인가 하는 문제입니다. 다른 하나는 선험적 주체보다 더 근본적인 것, 다시 말해 경험적인 조건에 전혀 제약되지 않기에 (무제약적이기에) 설명될 수 없는 자아를 어떻게 얘기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입니다.

 

피히테는 이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합니다. 그것은 어찌 보면 매우 간단합니다. 자아와 비아를, 주체와 대상을 연관지우고 통일시키는 원리를 자아로서 정립하는 것입니다. 직접적으론 경험되지도 않고 인식되지도 않으나 주체와 대상을 연관지워 주는 활동, 그리고 그 활동의 결과를 통해서만 스스로를 드러낼 뿐인 이 원리를 피히테는 자아라고 합니다(이때 지아는 비아와 함께 짝을 이루는 자아와 다릅니다. 이는 일종의 절대자입니다. 자아를 절대적 자아라고 합시다), 그리고 바로 이 자아의 활동을 연구하는 것이 바로 지식의 연구에서 핵심이며, 이런 점에서 지식학이란 자신의 본질적인 통일성 안에서 자기 스스로를 서술하는 지()”라고 합니다. 피히테에게 철학이란 바로 이 지식학을 말합니다.

 

 

 

 

인용

목차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