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과 굴뚝청소부 목차
이진경
포스트모던 ‘시대정신’
철학의 경계
경계읽기와 ‘문제설정’
제1부 철학의 근대, 근대의 철학
1. 데카르트 : 근대철학의 출발점
중세의 철학
은폐된 공세
중세 너머의 철학
두 개의 코기토
데카르트의 문제설정
주체의 분리와 진리의 인식
데카르트가 가정한 두 가지 실체
이성은 완전성을 타고 난다
과학을 통해 진리를 인식할 수 있다
이성의 통제를 위해 육체를 억제하라
근대철학의 문제설정
근대철학의 딜레마
2. 스피노자 : 근대 너머의 ‘근대’ 철학자
데카르트와 스피노자
스피노자의 ‘자연주의’
주체를 자연에 돌려주다
스피노자의 진리
무한히 소급되는 보증인의 문제점
진리와 공리
코나투스
‘무의식’의 윤리학
스피노자의 탈근대적 ‘이탈’
제2부 유명론과 경험주의 : 근대철학의 동요와 위기
1. 유명론과 경험주의
실재론과 유명론
스콜라철학의 탄생
보편논쟁
토마스 아퀴나스
윌리엄 오컴
유명론과 경험주의
2. 로크: 유명론과 근대철학
로크의 입지점
‘본유관념’ 없는 진리를 위하여
로크의 딜레마
유명론의 근대화
3. 버클리 : 유명론에서 관념론으로
로크에 대한 두 가지 비판
관념론으로
4. 흄 : 근대철학의 극한
과학주의에서 회의주의로
주체의 해체, 주체철학의 해체
근대철학의 전복
탈출도, 귀환도 아닌……
5. 근대철학의 위기
제3부 독일의 고전철학 : 근대철학의 재건과 ‘발전’
1. 칸트 : 근대철학의 재건
근대철학의 위기와 칸트철학
진리 개념의 전환과 재건
근대적 주체의 재건
근대적 윤리학 확립
영광
그늘
2. 피히테 : 근대철학과 자아
‘자아’의 복권
피히테의 철학적 테제
자아철학의 봉쇄장치
3. 헤겔 : 정점에 선 근대철학
비판철학과 헤겔
‘절대정신’의 변증법
지식과 진리의 변증법
근대철학을 정점에 올리다
‘철학의 종말’, 근대철학의 종말
제4부 근대철학의 해체 : 맑스, 프로이트, 니체
1. 맑스 : 역사유물론과 근대철학
맑스의 ‘유물론 비판’
대상으로서의 실천
실천 속에서의 지각
진위는 실천을 통해서
계몽주의 비판
역사유물론
주체철학의 전복
맑스철학의 근대성과 탈근대성
2. 프로이트 : 정신분석학과 근대철학
무의식의 발견
보편적인 무의식
무의식의 분열
무의식과 주체철학
3. 니체 : 계보학과 근대철학
극단적 평가의 철학자
권력에의 의지
계보학의 문제설정
자명한 것이란 애초에 없다
반(反)근대적 비판철학
4. 근대철학 해체의 양상들
제5부 언어학과 철학 ‘혁명’ : 근대와 탈근대 사이
1. 언어학과 철학
언어라는 주체
언어 연구의 이유
2. 홈볼트 : 언어학적 칸트주의
선험적 주체와 언어학
문법의 논리학, 논리학의 문법
3. 소쉬르의 언어학적 ‘혁명’
소쉬르 언어학의 기본명제
소쉬르 ‘혁명’의 효과
구조언어학의 기착지
4. 비트겐슈타인 : 언어게임과 언어적 실천
구조언어학의 난점
실천을 통한 언어학습
언어게임과 ‘인식론’
근대철학과 비트겐슈타인
제6부 구조주의와 포스트구조주의 : 근대 너머의 철학을 위하여
1. 구조주의와 철학
2. 레비-스트로스와 구조주의
구조언어학에서 구조주의로
친족관계의 보편적 질서
사고구조의 보편적 질서
성공과 실패
레비-스트로스의 귀향
3. 라캉 : 정신분석의 언어학
정신분석학의 대상
타자의 담론, 무의식의 담론
무의식에 담긴 타자의 욕망
타자의 욕망 : 도둑 맞은 편지
진리의 배달부, 그리고 주체화
야누스 라캉 : 구조주의 혹은 포스트구조주의
4. 알튀세르 : 맑스주의와 ‘구조주의’
과학을 위하여
맑스를 위하여
이데올로기와 ‘표상체계’
이데올로기를 위한 변명
이데올로기의 중요 명제들
알튀세르 철학의 모순들
5. 푸코 : ‘경계허물기’의 철학
세 명의 푸코
‘침묵의 소리’
고고학
타자의 역사
역사적 구조주의
경계선의 계보학
해체의 철학, 철학의 해체
6. 들뢰즈와 가타리 : 차이의 철학에서 노마디즘으로
차이의 철학
특이성
다른 것으로의 변이
차이의 반복
차이와 반복
사건의 철학
라쇼몬을 통해 본 사건의 철학
의미의 논리
욕망의 배치
탈주의 철학
노마디즘
기계주의
결론
근대철학을 정점에 올린 헤겔
현대철학의 두 가지 방향
철학 자체의 한계 뛰어넘기
보론 : 근대적 지식의 배치와 노마디즘
인문학의 위기
근대적 사유의 시작
인용
'책 > 철학(哲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치다 타츠루 - 청년이여, 마르크스를 읽자 목차 (1) | 2024.09.29 |
---|---|
철학과 굴뚝청소부 - 결론 (0) | 2022.03.27 |
철학과 굴뚝청소부 - 제6부, 5. 푸코 : ‘경계허물기’의 철학 (0) | 2022.03.26 |
철학과 굴뚝청소부 - 제6부, 3. 라캉 : 정신분석의 언어학 (0) | 2022.03.26 |
철학과 굴뚝청소부 - 제5부, 4. 비트겐슈타인 : 언어게임과 언어적 실천 (0) | 2022.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