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소화시평 감상 - 하권 3. 몰입하며 욕심을 내려놓는 경지에 대해 본문

연재/한문이랑 놀자

소화시평 감상 - 하권 3. 몰입하며 욕심을 내려놓는 경지에 대해

건방진방랑자 2021. 10. 28. 08:28
728x90
반응형

몰입하며 욕심을 내려놓는 경지란

 

 

迷花歸棹晩 待月下灘遲 꽃에 빠져 배 돌리기 늦었는데 달을 기다리다 여울 내려가기 또 늦었네.
醉睡猶垂釣 舟移夢不移 취해 자면서도 오히려 낚시대 드리우니 배는 가도 꿈은 그대로구나.

 

소화시평권하 3에 여섯 번째로 소개된 송익필의 시도 시 자체에 담겨 있는 의미보다 그 시를 읽고 홍만종이 그려낸 의미가 더 적나라하기 때문에 홍만종의 시를 보는 관점을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시다.

 

1~2구에선 배를 타고 꽃구경을 나선 이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꽃구경에 흠뻑 빠지다 보니 시간이 가는 줄도 몰랐고 그러다 보니 자연히 배를 돌려 떠나야 할 시간이 지체되었다. 지금처럼 일분 일초 단위로 시간을 체크하며 움직이는 시대엔 더 이상 볼 수 없게 된 모습이기도 하다. 꽃에 한 눈 파는 건 씨잘데기 없는 것에 정신을 파는 것으로 치부하는 세상이니 말이다. 하지만 우치다 타츠루쌤이 강연에서 말한 것처럼 한눈 팔 수 있는 것, 미혹될 수 있는 것이야말로 사람에겐 축복이라 할 수 있다. 바로 거기서 창조성이 발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꽃에 흠뻑 빠져들었던 시인은 어느덧 저녁이 되었음을 인지하게 됐고 그때부턴 달 한 번 보고 가야지라는 마음으로 달을 기다리며 느리게 노를 젓기도 했다. 여유로움과 자연에 깊이 빠져들 수 있는 그 마음이 무척이나 부럽기만 하다.

 

3~4구에 오면 시인은 꽃을 보느라, 달을 보느라 시간을 보내면서 홀짝 홀짝 술을 마셨던가 보다. 이 구절은 마치 이백의 월하독작(月下獨酌)이 절로 생각나게 하는 구절이다. 꽃을 벗 삼아, 달을 벗 삼아 술을 한잔씩 기울이다 보니 어느새 취기는 올라왔고 자신은 모른 채 몽환적인 분위기에 휩싸이게 됐다. 그러니 배는 움직이지만 그런 몽환적인 분위기의 꿈은 그대로 남아 있었던 것이다. 이 구절을 술 때문에 취기가 올라와 몽환적인 분위기가 펼쳐졌다고 보아도 좋지만, 더 시적으로 보자면 꽃과 달에 취해 마치 선경(仙境)에 들어간 듯 느껴졌다고 보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이걸 현재의 뇌과학에선 몰입이란 말로 쓰듯이, 자신과 외부의 경계가 완전히 허물어져 그대로 빠져드는 경지이니 말이다.

 

이에 대해 홍만종은 지조를 지키고 변하지 않으려는 뜻이 있다[有操守不變之意].’라고 평을 쓰고 있다. 지조를 지킨다는 건 자신이 평소에 가지고 있던 신념을 지킨다는 말일 것이다. 그런데 과연 무얼 지킨다는 걸까? 잘 이해가 되지 않았는데 교수님은 이에 대해 무욕(無慾), 무심(無心)하려는 마음을 견지하려는 것이라 풀이해줬다.

 

하권 3
遆職後 示兒
일희일비하거나 욕망을 따르는 무리에게
復寄仲始司藝 送僧之楓岳
사람의 인품과 물욕에 대해
江上 南溪暮泛
벼슬길에 나가려는 사람에게
詠雲 歧灘
改頭換面口蜜腹劒하는 사람에 대해

 

 

 

 

 

 

 

인용

목차

상권 목차

하권 목차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