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도마복음한글역주, 제7장 - 플라톤의 국가와 예수의 천국 본문

고전/성경

도마복음한글역주, 제7장 - 플라톤의 국가와 예수의 천국

건방진방랑자 2023. 3. 19. 15:25
728x90
반응형

 7

 

 

플라톤의 국가와 예수의 천국

이 세계는 지배자가 철인이 될 때만 정의롭다

 

 

도마복음은 상징언어로 가득차 있다. 그러기에 그것은 해석의 대상이다. 해석의 과정이 곧 추구와 발견의 과정이다. 그러나 발견은 번민을 낳는다. 그러나 번민이 있어야만 우리는 경이를 체험한다. 경이를 체험한다는 것은 내가 나의 왕이 된다는 것이다. 사람이 사자를 먹는다는 것은 결국 이 왕됨에 관한 이야기이다.

 

 

7

1예수께서 가라사대, “복되도다 사자여! 사람이 그대를 먹어삼키기에 그대는 사람이 되는 도다. 2저주 있을진저 사람이여! 사자가 그대를 먹어삼킬 것이니, 사자가 사람이 될 것이로다.”

1Jesus said, “Blessed is the lion that the human will eat, so that the lion becomes human. 2And cursed is the human that the lion will eat, and the lion will become human.”

 

 

도마복음을 읽다보면 우리는 당혹하게 될 때가 한두번이 아니다. 우선 그 뜻이 이해가 되질 않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살아있는 예수의 함축적인 말씀이다. 그러기에 반드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다(Th.1), 해석의 과정 자체가 추구의 과정이며, 그 추구의 결과 우리는 발견을 하게 되지만, 발견의 순간 우리는 번민에 휩싸이게 된다. 그러나 번민에 휩싸이는 순간이 있어야만 경이로움을 느끼게 되고, 따라서 자기를 지배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 2). 사실 2의 이 예수 말씀 속에 본장의 해답은 이미 다 주어져 있다.

 

자기를 지배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내가 나의 왕이 된다고 하는 명제 속에 본 장의 의미체계는 다 함축되어 있다. 도마복음을 읽어나가는 행위자체가 추구와 발견의 과정이다. 그러나 그 해석을 발견했을 때 번민에 휩싸이게 된다는 것은, 진리의 실천이라는 과제상황이 전개된다는 것이다. 도마복음은 한가로운 독서의 대상이 아니라 각고의 깨달음의 과정이 되어야 하며, 깨달음은 반드시 나의 삶속에서 실천될 때 경이(驚異)로 전위하게 되는 것이다. ‘사자를 먹는다운운, 도대체 이게 무슨 의미일까?

 

많은 주석가들이 도마복음 언어의 상징체계를 이해하지 못하고 본장의 개념들을 객체화된 사물로서 규정하고 그 의미를 찾으려 했다. 상당히 수준높은 주석가도, 본 장에서 말하는 사람과 사자를 실제로 사람이 사자고기를 먹는 다이어트(diet)의 문제로 파악하고, 사람과 사자간의 종()적인 하이어라키(hierachy, 계층제)를 운운하는 황당한 주석을 내리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예수운동식탁교제(the table fellowship)에 있어서의 모종의 문제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Richard Valantasis, The Gospel of Thomas 64-5).

 

이런 주석들은 1세기 희랍어문화권의 문학전통의 다양한 심볼리즘을 망각하고 있다. 일례를 들면, 플라톤의 대화중에서 가장 탁월한 작품으로 간주되고 있는 그 유명한 이상국가론(Republic)을 펼쳐보자! 재미있게도 이 이상국가론속에서 우리는 도마복음의 심볼리즘의 원형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국가론은 정의로운 사람이 정의롭지 못한 사람에 비해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을 어떻게 입증할 수 있는가? 과연 정의는 훌륭한 것이고 불의는 나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대하여 그 정당한 해답을 시도하려고 하는 소크라테스의 도전이다.

 

 

실루기아 항구(Seleucia Pieria)BC 300년경 셀레우코스1세 니카토르(Seleucus I Nicator, BC 301~281 재위)에 의하여 건설되었으며 시리아의 두 주요 카라반루트의 종점으로서 신약시대에는 지중해 동안(東岸)의 가장 중요한 상업지 중의 하나였다. 이곳이 바로 그 본 항구의 유적이며 바울의 배가 떠난 곳은 이곳에서 1km 정도 떨어져 있다.(p.222 사진), 두 바위 사이로 떠났다는 민간전승이 있다. 아마도 바울 일행은 사람의 눈을 피해 밀항지를 택했을 가능성이 높다.

 

 

소크라테스는 정의로운 자와 정의롭지 못한 자, 두 사람을 대비시켜 이러한 본질적 문제를 논구한다는 것에 어려움 느끼고, 정의를 구현할 수 있는 국가의 문제로 확대시킬 것을 제안한다. 다시 말해서 국가 속에서의 정의문제를 이야기한 후에, 그것의 축소판으로서의 인간 속에서 정의를 이야기해보자는 것이다. 그들은 대화를 통해 유감없이 정의가 실현되는 이상국가를 그려본다. 그러나 결국 이상국가란, 이상적 법률에 의하여 다스려지는 사회가 아니라, 오랜 기간의 훈련을 통하여 이성적으로 단련된 선남선녀에 의하여 다스려질 수밖에 없는 사회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이 세계는 지배자들이 철인(哲人)이 될 때만이 정의롭게 다스려진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지배자 철인들은 선()의 이데아에 의하여 지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들을 지배하는 선의 이데아는 신의 온전함(divine perfection)이며, 그것은 인간세에서 인간적인 온전함(human perfection)인 정의를 구현시키는 원동력이 된다. 그러기 때문에 플라톤의 국가론은 단순한 국가이론이기에 앞서 인간의 삶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정의로운 국가는 실현되지 않을지 몰라도 개인은 항상 정의로울 수 있으며, 정의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소크라테스 자신이 그 정의를 실천하고 영예롭게 정의를 위하여 목숨을 던졌던 것이다.

 

사실 우리가 너무 철학과 종교를 별개의 분야인 것처럼 생각하여 이러한 논의들을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있질 못하지만, 사실 플라톤이 말하는 이상국가론과 예수가 실천하려고 하는 천국운동은 그 본질에 있어서 매우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예수의 천국도 결국 이 지상에 어떻게 정의로운 하나님의 지배(basileia, reign)를 실현하는가에 관한 논의이다. 신적인 온전함(이데아의 세계)을 어떻게 인간적인 온전함으로서 구현시키느냐에 관한 논의인 것이다. 단지 예수는 그 논의를 아버지의 절대적 명령으로서 우리 실존에 직접 전달하고 있을 뿐이다.

 

플라톤은 인간세의 국가형태를 그 이상적인 형태로부터 타락의 단계에 따라 5가지로 분류한다. 1) 최선자(最善者) 정체 2) 명예지상정체 3) 과두정체 4) 민주정체 5) 참주정체. 그리고 이 정체에 상응하는 인간형을 또다시 5가지로 설정한다. 1) 최선자정체적 인간 2) 명예지상정체적 인간 3) 과두정체적 인간 4) 민주정체적 인간 5) 참주정체적 인간.

 

그러니까 플라톤에게 있어서는 민주정치란 좋은 것이 아니라 나쁜 것이다. 민주정체적 인간은 무슨 말이든지 할 수 있고 멋대로 행동할 수 있는 자유에 넘쳐 타락한 인간이다. 민주정체는 자유와 방종으로 인하여 참주정체를 탄생시키는데, 결국 참주(tyrant)는 개인적 야망의 달성을 위해 가진 것이 별로 없는 민중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국가사회를 파멸시키고 만다.

 

다시 말해서 참주정체야말로 인간세의 최악의 국가형태이며, 참주정체적 인간이야말로 인간 중에 가장 올바르지 못한 인간이며, 가장 비참한 자이다. 최선의 인간인 철인 치자와 극명하게 대비되는 인간이다. 국가론8권은 참주정체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제9권에서 우리는 참주정체적 인간에 관해 놀랍도록 적나라한 묘사를 만나게 되는데, 여기서 우리는 인간 속에 내재하는 사자(leon)’를 발견하게 된다. 그것은 에로스가 참주가 되어 한 사람 안에 거주하면서 그 혼()의 모든 것을 조종하는 그런 인간의 한 모습이다. 여기서 도마복음의 상징언어가 풀려 나가는 것이다.

 

 

사자를 삼켜라! 나 도올이 지금 사자를 삼켜 먹으려 하고 있는 이곳은 어디일까? 얼마 전에 앙드레 김을 만나 이곳 이야기를 했다. 그랬더니 앙드레 김의 얼굴이 확 변하면서 1966년 이곳을 방문했을 때 받은 충격을 이야기했다. 그리고 42년만에 이곳을 가본 한국인을 처음 만난다고 했다. 그 감동을 여태 하소연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내 인생에 그 많은 유적을 보았어도 이곳에서 받은 충격만큼 거대한 그 무엇은 없었다. 앙드레 김과 나는 깊은 공감의 이야기를 나누었다. 갈릴리 바다의 함몰지역을 그대로 올라가면 헤르몬산을 지나 레바논산맥과 안티레바논산맥 사이로 펼쳐지는 거대한 평원을 만난다. 그 평원이 베카밸리(The Bekaa Valley), 말이 평원이지만 평균 해발 900m의 고원, ‘로마의 빵바구니(Rome's breadbasket)’라 불렸을 정도로 풍요로운 대곡창이다. 바로 이곳에서 농경 신인 바알신이 태어났다. 페니키아문명의 주신이다. 구약에서 그토록 바알을 저주하지만 이 지역에서 보면 야훼야말로 아웃사이더로 보인다. 예루살렘이 초라하게 보인다. 안티레바논산맥의 중턱에 바알베크(Baalbek)신전이 자리잡고 있다. 알렉산더 대왕이 이곳을 헬리오폴리스(Heliopolis)로 만들었고 줄리어스 시저도 그곳을 모라의 시리아속주의 중심지 중의 하나로 만들었다. 제우스신전, 비너스신전, 바알신전이 같이 모여있는 그 웅장한 모습은 두고두고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가 너무도 많다.

 

 

인용

목차

본문

성경

주제상관도표

기독교성서의 이해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