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015 개정 교육과정
2.1 2015 개정 교육과정 큰 틀 -76쪽
(1) 개정배경 | ① 미래 사회에는 지식을 많이 습득하는 것보다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새로운 환경과 상황 속에서 선택ㆍ조정ㆍ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생성할 수 있는 창의융합형 인재가 필요. ② 지금 우리 교육은 성취도가 높지만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동기를 효과적으로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음, 지식만 강조하는 문제풀이식 교육, 한 줄 세우기 교육으로 다양한 생각을 할 틈을 주지 않음. ③ ‘교사가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학생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전화 필요. | |
(2) 추구하는 인간상 | ① 자주적인 사람 |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삶을 개척하는 사람 |
② 창의적인 사람 | 기초능력 위에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사람 | |
③ 교양 있는 사람 |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화를 향유하고 발전시키는 사람 | |
④ 더불어 사는 사람 | 공동체 의식으로 세계와 소통하고, 민주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사람 | |
(3) 주요개정 내용 | ① 핵심역량 반영 ② 인문ㆍ사회ㆍ과학기술 소양교육ㆍ인성교육강화 ③ 교육과정 재구성 + 교과의 학습량과 적정화 ④ 학생 참여 중심 교수ㆍ학습방법(토의ㆍ토론학습, 협력학습, 탐구학습, 프로젝트 학습 등) ⑤ 과정중심평가 확대 |
2.2 2015 개정 교육과정 핵심역량 -76쪽
(1) 주요내용 | ① 미래사회를 살아가면서 직면하게 될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 ② 학생들이 삶 속에서 무언가를 할 줄 아는 실질적인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역량 ③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학교 생활 전반에 걸쳐 길러야 할 능력이며, 특히 교과에 맞게 역량을 제시하고, 교과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함. ④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이 갖춰야 하는 역량 | ||
(2) 구성요소 | ① 자기관리 역량 | 자아정체성과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삶과 진로에 필요한 기초 능력과 자질을 갖추어 자기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역량 | |
② 지식·정보처리 역량 |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정보를 처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 | ||
③ 창의적 사고 역량 | 폭넓은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전문분야의 지식, 기술, 경험을 융합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역량 | ||
④ 심미적 감성 역량 | 인간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문화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향유할 수 있는 역량 | ||
⑤ 의사소통 역량 |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며 존중하는 역량 | ||
⑥ 공동체 역량 | 지역ㆍ국가ㆍ세계 공동체의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공동체 발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역량 | ||
(3) 필요역량 | ① 21세기의 학생들에게 필요한 핵심역량(미국의 역량 연구 연합체 제시) | ㉠ 창의력(Creativity) ㉡ 비판적 사고력(Critical thinking) ㉢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on) ㉣ 협업능력(Collaboration) | |
② 21세기의 학생들에게 필요한 자질(2017 세계경제포럼) | ㉠ 호기심 ㉡ 주도성 ㉢ 일관성 ㉣ 도전정신 ㉤ 적응력 ㉥ 리더십 ㉦ 사회문화의식 | ||
③ 시책에서 강조하는 역량 | ㉠ 문제해결 역량 ㉡ 평화감수성 역량 ㉢ 민주시민 역량 ㉣ 공감 역량 ㉤ 글로컬(Golcal) 역량 ㉥ 학생자치 역량 ㉦ 인성 역량 ㉧ 진로 개발 역량 ㉨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역량 |
2.3 2015 개정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78쪽
(1) 인문·사회·과학기술 기초 소양 함양 및 선택학습 | | |
(2) 핵심 개념 중심의 교육내용 재구조화 | ① 핵심내용 중심의 교육내용 재구조화 및 학습량 정화 | |
② 장점 | ㉠ 큰 그림에 대한 이해 획득 가능 ㉡ 융합적 사고 계발 가능 ㉢ 핵심개념의 의미 | |
(3) 교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학생 참여형 수업 활성화 | ① 성취기준에 근거한 학습 ② 학습 경험 성장을 위한 수업 ③ 학습 경험 성장을 위한 평가 | |
④ 방식 | ㉠ 교사와 학생, 학생 상호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한 학습 ㉡ 협력적 문제 해결 방식 ㉢ 자기주도적 학습 | |
(4) 학습의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 | ① 학생의 학습 경험 성장 지원에 초점 ② 피드백 적극 활용 필요 ③ 평가 결과는 학습의 질 향상 및 수업 개선 자료로 활용 | |
(5) 교과의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수-학습 및 평가의 일관성 강화 | ① 성취기준에 근거한 학습 ② 학습 경험 성장을 위한 수업 ③ 학습 경험 성장을 위한 평가 |
2.4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89쪽
(1) 교과 학습의 중점 | ①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학습내용 구조화 ② 새로운 지식을 기존 지식과 관련지어 파악 → 원리 구성 → 적용 |
(2) 학생의 발달 단계에 따른 체계적인 수업 설계 | ① 발달단계에 따라 적절한 수준의 수업 제공 ② 생활과 관련된 경험을 바탕으로 수업 설계 |
(3) 융합적 사고 지도 방안 | 교사는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지식을 연결하여 교과 내 영역 간, 교과 간 내용을 통합한 교수-학습 계획을 구성할 수 있음 |
(4) 학생 참여 수업 활성화 | ① 학생 참여형·활동형 수업 활성화 ② 토의·토론 학습 활성화 |
(5) 학습자 특성에 맞는 개별 학습 활동 제공 | |
(6) 협동학습 경험 제공 | ① 소집단으로 구성된 학생들 →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함께 활동 및 학습목표 도달 ② 협력적인 문제 해결 과정 속에서 인지적 성장이 일어남 ③ 긍정적 상호작용 및 구성원이 맡은 역할과 관계가 공동 과제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체험 ④ 인지적 발달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능 습득 가능 |
(7) 학습 내용의 적용 기회 제공 | 탐구활동 속에서 개념과 원리를 습득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계획 |
(8) 메타인지적 전략 및 자기주도적 학습 | ① 학생의 선경험, 선지식을 고려하여 수업을 설계 ② 학생이 충분히 연습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9) 특별 보충 수업 | 학습 결손을 보충할 수 있도록 일과 전후에 별도의 시간을 활용하여 특별 보충 수업의 운영 가능 |
2.5 2015 개정 교육과정: 평가 -92쪽
(1) 평가의 목적 | ① 평가의 궁극적 목적 → 학습 촉진 ② 평가결과에 대한 피드백 제공 ③ 수업의 질 개선에 활용 |
(2) 성취기준에 근거한 평가 | ① 성취기준 → 학습을 통해 획득해야 할 지식, 기능, 태도 ② 배운 것에 대한 평가 ③ 평가 → 교수-학습 과정의 일부 → 과정 중심 평가 ④ 학생도 평가에 참여 |
(3) 교과의 성격과 특성에 적합한 평가 방법 활용 | ① 서술형 평가 ② 논술형 ③ 수행평가 |
(4) 평가 기준 | ① 공정성, 객관성, 신뢰성 확보를 위한 평가기준 마련이 중요 ② 전문적인 평가 기준과 척도 마련이 필요 |
(5) 실험·실습의 평가 | ① 교과목의 성격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세부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실시해야 함 ② 평가 시행에 있어 세부 평가 기준을 명확하게 학생에게 공개한 후 실시해야 함 |
(6) 창의적 체험활동의 평가 | ① 창의적 체험활동 → 다양하고 의미 있는 체험 활동 기회 제공 ② 학교 교육과정에 맞게 창의적 체험활동 평가의 주안점을 작성, 활용 |
인용
'교육학 > 교육학 이론&기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과정 - 3.4 학생 참여 수업과 과정 중심 평가 (0) | 2021.11.01 |
---|---|
교육과정 - 3.3 자유학기제(교육과정 재구성) (0) | 2021.11.01 |
교육과정 - 3.1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역할 분담체계 (0) | 2021.11.01 |
교육과정 - 2.4 교육과정의 재개념주의 모형(파이나, 아이즈너, 애플) (0) | 2021.11.01 |
교육과정 - 2.3 교육과정 실행 (0) | 2021.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