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자유학기제와 교육과정 재구성
3.1 중학교 자유학기제 -95쪽
(1) 의의 | ① 배경 | ㉠ 선다형 지필시험을 위한 정답 암기식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활동 및 참여중심 수업, 과정 중심평가를 위한 학교 교육 혁신으로 등장 ㉡ 2016년부터 전국에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했으며, 2020년부터는 대부분의 시ㆍ도교육청에서 ‘자유학년제’와 ‘연계학기’로 확대 시행함. |
② 목적 | ㉠ 학생들의 꿈과 끼를 찾아주고 ㉡ 미래 핵심역량을 함양하고 ㉢ 학습의 즐거움을 알게 하고 ㉣ 자기주도적 학습방법을 획득할 수 있고 ㉤ 개개인의 개성과 강점을 발견할 수 있는 체험을 하고 ㉥ 함께 협력하고 소통하며 학습하는 경험의 제공 | |
③ 편성ㆍ운영 | ㉠ 지속적인 자기성찰과 발전의 기회 제공 ㉡ 미래 역량 함양 | |
(2) 편성·운영 | ① 교육과정 편성·운영 | ㉠ 학교의 여건과 지역의 특색을 고려한 편성·운영 ㉡ 교과 교육과정 재구성 ㉢ 진로 탐색 및 체험 활동 활성화 |
② 교수ㆍ학습 방법 | ㉠ 학생 중심의 참여형ㆍ활동형으로 진행 ㉡ 협력학습 지향 ㉢ 융합ㆍ연계형 수업 지향 | |
③ 평가 | ㉠ 과정 중심의 평가 | |
(3) 4가지 활동 | ① 주제선택 활동 | 학생의 흥미, 관심사를 반영한 여러 가지 전문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습동기를 유발 |
② 예술ㆍ체육활동 | 다양하고 내실있는 예술ㆍ체육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소질과 잠재력을 계발 | |
③ 동아리 활동 | 학생들의 공통된 관심사를 기반으로 조직ㆍ운영함으로 학생 자치활동 활성화 및 특기ㆍ적성을 개발 | |
④ 진로탐색 활동 | 학생이 적성과 소질을 탐색하여 스스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진로교육 실시 | |
(4) 교육적 의미 | ① 주제선택 활동 | ㉠ 교과에서 확장된 ‘주제’에 대한 전문적 수업 ㉡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의 요구 및 선택 강조 ㉢ 교사 차원의 교육과정 창작 및 수업 운영 ㉣ 하생 참여 및 활동 중심 수업 |
② 예술ㆍ체육활동 | ㉠ 학생의 인성ㆍ감성 역량 함양을 통한 전인적 성장 ㉡ 학생의 스트레스 감소 및 행복감 재고 ㉢ 음ㆍ미ㆍ체 교과에서 확장된 예술ㆍ체육 경험 ㉣ 학교 외부 전문적 인력 자원의 학교교육 참여 | |
③ 동아리 활동 | ㉠ 학생 주도의 기획과 운영 ㉡ 학생 자치 경험 및 활성화 ㉢ 학교와 교사의 관심과 지원 ㉣ 관심 분야의 특기, 적성계발 | |
④ 진로탐색 활동 | ㉠ 학생의 적성과 소질을 탐색 ㉡ 스스로 자신의 진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함. ㉢ 학생들의 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진로 체험활동 기회 제공 | |
(5) 안착을 위한 노력 | ① 학교와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노력에 대한 전문성과 책무성이 필요함 ② 교육공동체(학교-지역사회-교육청-지방자치단체)가 함께 만들어가는 학교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재고해야 함 ③ 배움과 삶의 연계를 강화해야 함 ④ 학생의 희망을 반영한 다양한 선택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함 ⑤ 형식적인 자유학년제 운영 근절을 위해 자유학년제 방향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공감대 형성 필요 ⑥ 지역사회 및 지역 내 학교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체험활동을 다양화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춰야 함 |
구분 | 일반학기 평가 | 자유학기 평가 |
평가 유형 | •주로 총괄평가에 중점을 둠 | •주로 형성평가에 중점을 둠 |
평가 방법 | •지필평가 및 수행평가를 시행 | •지필식 총괄평가를 시행하지 않고, 과정 중심의 다양한 평가를 시행 |
평가의 시기 및 횟수 | •학교에서 정한 시기에 일괄적으로 시행하며, 학기당 1~2회의 지필식 총괄평가 포함 | •교과별로 담당교사가 평가의 시기 및 횟수를 결정하여 수업 과정 중 실시 |
평가 내용 | •교과 내용 중심의 평가 | •교과 내용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흥미와 태도 등의 정의적 영역, 꿈과 끼에 대한 탐색과 관련된 내용을 함께 평가 |
평가자 | •교사 평가 | •교사 평가, 동료 평가, 자기성찰 평가 |
평가 결과 | •원점수, 과목평균(표준편차)점수 산출 및 성취도 기재 | •서술식으로 기록 |
자유학기에는 교사 위주의 평가가 아니라 학생의 자기성찰 평가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학생들은 자기성찰 평가를 해봄으로써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학습 전략을 수립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자유학기제에서는 학생이 스스로 자신의 진로를 개발하고 성장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
3.2 교육과정 재구성 -98쪽
(1) 개념 | 주제에 맞는 학습활동을 할 수 있도록 →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 등을 조정하여 교사 자신의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것 | |
(2) 기본 방향 | ① 자유학기제는 종래의 단편적 지식 습득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자신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학교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것을 요구한다. ② 자유학기제는 학생들의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과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다양한 활동을 고안할 것을 요구한다. ③ 자유학기제는 학생들의 전통적인 교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의 범위를 확대할 것이 요구된다. ④ 자유학기제는 시험 준비를 위한 피상적인 학습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이 좋아하는 것, 잘 하는 것, 하고 싶은 것을 생각하면서 공부할 수 있도록 진로교육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⑤ 자유학기제는 학생들의 참여와 활동을 유도하고 다양한 체험 학습 기회를 부여하는 방향으로 학교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 |
(3) 절차 | ① 재구성을 위한 분석 | ㉠ 교육과정 분석 ㉡ 학생의 특성과 수준 ㉢ 학교 여건 |
② 재구성 유형 결정 ③ 목표 재구성 ④ 내용 재구성 ⑤ 교수방법 계획 ⑥ 평가 계획 | | |
(3) 유형 | ① 교과 내 재구성 ② 교과 간 재구성 ③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연계를 통한 재구성 | |
(4) 성취기준 재구성 | ① 학교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경우에는 국가에서 제공한 교과목별 성취기준을 학교 교육과정 운영 계획에 맞춰 재구성할 수 있다. ② 교수ㆍ학습 및 평가의 단위로 성취기준이 지나치게 포괄적인 경우 해당 성취기준에 도달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내용과 행동 요소를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성취기준을 세분화 혹은 구체화 하여 재진술할 수 있다. ③ 교수ㆍ학습 및 평가의 단위로 성취기준이 지나치게 한정적인 경우 다른 성취기준과 연계하거나 통합하여 재진술할 수 있다. ④ 성취기준 재구성 시 교육과정의 내용과 범위를 벗어날 수 없다. |
절차 | ⇒ | 국가 수준에서 개발된 교과별 성취기준 및 수준 검토 | ⇒ | 학교 교육과정 운영특성에 적합한 성취기준 마련 | ⇒ | 성취기준 확정 및 관리 |
방법 | ⇒ | 국가 수준 성취기준 자료를 준비하고, 국가수준 성취기준이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교과서, 학생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지 검토한다. 적합성 검토는 교과(학년)협의회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 국가에서 제공한 교과목별 성취기준이 적합하다고 판단한 경우 그대로 사용한다. 국가에서 제공한 교과목별 성취기준이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특성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교과(학년)협의회를 통해 성취기준을 재구성할 수 있다. | | 교과(학년)협의회의 합의를 거쳐 성취기준을 확정한다. 확정된 성취기준은 학교 여건에 따라 그 내용을 교과목별 교육과정에 포함시키거나 별도 자료로 보관한다. |
'교육학 > 교육학 이론&기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과정 - 3.5 고교학점제 (0) | 2021.11.01 |
---|---|
교육과정 - 3.4 학생 참여 수업과 과정 중심 평가 (0) | 2021.11.01 |
교육과정 - 3.2.1 2015 개정 교육과정 (0) | 2021.11.01 |
교육과정 - 3.1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역할 분담체계 (0) | 2021.11.01 |
교육과정 - 2.4 교육과정의 재개념주의 모형(파이나, 아이즈너, 애플) (0) | 2021.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