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맹자한글역주, 진심장구 하 - 4. 천하무적(天下無敵) 본문

고전/맹자

맹자한글역주, 진심장구 하 - 4. 천하무적(天下無敵)

건방진방랑자 2023. 1. 1. 04:56
728x90
반응형

 4. 천하무적(天下無敵)

 

 

7b-4. 맹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어떤 사람이 이르기를, ‘나는 진법(陳法)()’=‘()’의 도사다. 나는 전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는 자신있다라고 한다면, 그놈은 항상 대죄를 저지를 놈이다.
7b-4. 孟子曰: “有人曰: ‘我善爲陳, 我善爲戰.’ 大罪也.
 
한 나라의 군주로서 인()을 좋아하기만 한다면 천하무적이다. 남쪽을 향하여 정벌하면 북쪽의 적()이 원망하고, 동쪽을 향하여 정벌하면 서쪽의 이()가 원망하여 이르기를, ‘어찌하여 우리를 뒷 순번으로 미루시나이까? 빨리 오소서!’라고 하였다이 논점은 1b-11, 3b-5에 기출하였다. 그곳에는 정벌의 주체가 탕임금으로 되어있다.
國君好仁, 天下無敵. 南面而征, 北狄怨, 東面而征, 西夷怨. : ‘奚爲後我?’
 
주나라 무왕(武王)이 은나라를 정벌하는 데 쓰인 병거(兵車)는 불과 300대였고혁거(革車)’라 했는데 수레의 일정부분에 가죽이 쓰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레를 세는 단위로 ()’이 쓰이는 것은 바퀴가 두 개 달렸기 때문이다. 지금도 차량(車兩, 車輛)’이라 말하는 것은 이런 용법에서 유래한 것이다, 병사는 3천 명에 불과했다호분(虎賁)’은 근시(近侍)의 무사(武士).
武王之伐殷也, 革車三百兩, 虎賁三千人.
 
무왕(武王)은 은나라를 쳐들어가면서 은나라의 인민을 향해 이와 같이 소리쳤다: ‘그대들이여! 우리를 두려워말라! 나는 그대들을 평안케 해주려고 왔노라. 우리는 선량한 민중과 대적하지 아니 하노라.’ 이 말을 들은 은 나라의 민중들은 일시에 평복하여 이마를 땅에 대고 머리를 조아렸다약붕(若崩)’은 많은 사람이 일시에 엎드리는 모습. ‘궐각(厥角)’은 이마를 땅에 대는 것. 조기는 애매하고 주희의 설은 좋지 않다. 초순의 설을 취함.
王曰: ‘無畏! 寧爾也, 非敵百姓也.’ 若崩厥角稽首.
 
()이라는 말의 뜻은 바르게 한다는 뜻의 정()이다. 그러므로 정벌하는 사람이나 정벌을 당하는 사람들이 모두 자기 스스로를 바르게 하기를 원할 뿐이니, 어찌 전쟁을 할 필요가 있겠는가?”沃案: ‘각욕정기(各欲正己)’를 나는 피정벌국의 인민들만으로 보지 않고 정벌자, 피정벌자 쌍방 모두에게 해당되는 것으로 본다
征之爲言正也, 各欲正己也, 焉用戰?”

 

앞 장의 인자 천하무적의 논리가 연속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논지는 이미 1b-11, 3b-5, 4a-7, 4a-14, 6b-8, 6b-9에 나왔다.

 

천하무적(天下無敵)’이라는 말은 4a-7에 나왔다. 그리고 1b-5에서는 맹자가 양혜왕에게 인자무적(仁者無敵)이오니 부디 의심치 마소서!’라고 간곡하게 말한다. 앞 장에는 인인무적어천하(仁人無敵於天下)’라는 표현으로 나왔다. 그리고 무왕이 은나라 민중을 향하여 외치는 말은 상서주서(周書) 태서(泰誓)중에도 비슷한 취지의 언어로서 나온다. 상대방의 심리를 꺾기 위한 국왕의 선전용의 연설은 영화의 한 장면 같다.

 

 

 

 

인용

목차 / 맹자

전문 / 본문

중용 강의

논어한글역주

효경한글역주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