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맹자한글역주, 진심장구 상 - 41. 당기되 쏘진 않는다 본문

고전/맹자

맹자한글역주, 진심장구 상 - 41. 당기되 쏘진 않는다

건방진방랑자 2023. 1. 1. 04:40
728x90
반응형

 41. 당기되 쏘진 않는다

 

 

7a-41. 공손추가 여쭈었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시는 성인의 도라는 것은 진실로 고매하기 그지없고, 아름답기 그지없나이다. 그러나 그것은 거의 하늘로 올라가는 사다리를 타고 끊임없이 기어오르는 듯하여 도저히 미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 그것을 보통사 람들로 하여금 올라갈 수 있겠다는 희망을 가질 수 있게끔 조금 낮 게 조정하여 사람들이 매일매일 부지런히 노력할 수 있게 하여 주실 수는 없겠나이까?”여기 쓰인 자자(孶孶)’7a-25에 기출.
公孫丑曰: “道則高矣, 美矣, 宜若登天然, 似不可及也. 何不使彼爲可幾及而日孶孶也?”
 
맹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위대한 도목수는 졸렬한 목수들을 가르치기 위해서 승묵(繩墨)을 쓰는 방법을 바꾸거나 폐하거나 하는 짓을 하지는 않는다. 활의 명인 예(羿)【】4b-24, 6a-20에 진출)는 졸렬한 사수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그 구률(彀率)활시위를 당기는 표준을 변경하지는 않는다. 군자가 사람을 가르칠 때에도 꼭 활쏘는 것과도 같아 활시위를 당겨 화살이 발사되지는 않았지만, 그 화살이 곧 과녁에 적중할 듯이 최고조의 긴장이 유지되는 약동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교육자의 자세란 이와 같이 긴장 속에서 약동하는 모습이니 그것은 중용의 도()에 서서 사람을 인도하는 것이다. 오직 능력있는 자만이 따라올 수 있는 것이다.”
孟子曰: “大匠不爲拙工改廢繩墨, 羿不爲拙射變其彀率. 君子引而不發, 躍如也. 中道而立, 能者從之.”

 

교육에 있어서는 타협이라는 것이 있을 수 없다는 것, 다시 말해서 원칙을 어겨서 설득하는 이지 고잉(easy-going)의 방법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것은 이미 6a-20에서 명료히 논술된 것이다.

 

현재는 교육의 개념이 대중교육(mass education)’이라는 기준으로 바뀌어 될 수 있는 대로 눈높이를 낮춘다는 데에 모든 관심이 집중되어 있지만, 눈높이 낮추기교육이란 결국 학원교육이며, 이 학원교육을 아무리 쌓아올린들 그 속에서 위대한 인격이 탄생되지는 않는다. 공자가어』 「재액(在厄)편에도 공자와 제자들 사이에서 오간 비슷한 주제의 대화가 자세히 실려있다. 자공이 공자에게 이와 같이 청한다: “선생님의 도가 너무 큰 까닭에 천하에서 선생님을 능히 용납하지 못하오니, 선생님께서는 조금 도를 낮추시는 것이 어떻겠습니까[夫子之道至大, 故天下莫能容夫子, 夫子盍少貶焉]?”

이에 대하여 여러 이야기가 오가는 끝에 안회가 들어와서 이렇게 말한다: “맞습니다. 선생님의 도가 지극히 크기 때문에 선생님을 능히 용납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선생님께서는 타협하지 마시고 더욱 이 도를 밀고 나가셔야 할 줄로 압니다. 세상이 선생님을 쓰지 못하는 것은 나라를 주무르는 자들이 못났기 때문일 뿐이옵니다. 선생님께 무슨 병이 있사옵겠나이까? 세상이 선생님을 수용하지 못해야만 비로소 이 세상에는 뜻있는 군자들이 길러지게 되는 것이오니이다[夫子之道至大, 天下莫能容. 雖然, 夫之推而行之. 世不我用, 有國者之醜也. 夫子何病焉? 不容, 然後見君子].”

 

오늘날의 대중교육의 문제점은 대중사회의 인력수급이라는 저급한 보편기준 하나 때문에 교육의 본래의 목적이나 원칙이 망각되고 있다는 것이다. 맹자의 교육관에는 누구든지 공평하게 교육의 기회를 누리게 만든다는 원칙은 분명히 있다. 그러나 맹자시대의 교육의 통념은 피교육자의 자발성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고매한 상향(上向)에 대한 최고수준의 자발적 의지를 가진 자만이 결국 성인의 길에 들어설 수 있는 것이다. 공자도 유교무류(有敎無類)’(15-38)를 말하였지만 그 또한 나는 분발치 아니 하는 학생을 계도하려고 노력하지는 않는다[불분불계(不憤不啓)]’(7-8)를 말하였다. 오늘날의 대중교육, 무엇이든지 쉽게만 가르치면 장땡이라는 생각에 깊은 반성을 요한다. 이것은 결코 엘리티즘의 독선이 아니다. 교육이 고매한 도덕이나 이상의 목표가 없이 저급한 기능에만 매달린다는 것은 국가의 공 기능의 기본원칙을 망각하는 것이다.

 

반드시 3b-1, 7b-5를 같이 참조할 것.

 

 

 

 

인용

목차 / 맹자

전문 / 본문

중용 강의

논어한글역주

효경한글역주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