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우리 한시를 읽다, 프롤로그 - 시를 읽고 즐기는 법 본문

책/한시(漢詩)

우리 한시를 읽다, 프롤로그 - 시를 읽고 즐기는 법

건방진방랑자 2022. 10. 24. 08:23
728x90
반응형

프롤로그. 시를 읽고 즐기는 법

 

 

시의 본령은 아름다움이며 음풍농월이다 (정조의 강목강의(綱目講義))

 

 

정조주자(朱子)자치통감절목(資治通鑑綱目)을 열람하고 그 가운데 의문스러운 것들을 뽑아 문목(問目)을 만들었는데, 모두 695개 항목이었다. 그것을 성균관과 사학의 유생들에게 나누어 주어 한 사람이 각기 한 항목씩 조목별로 답을 짓도록 하고, 다시 초계문신(抄啟文臣) 심진현(沈晉賢) 등에게 답한 말을 산삭(산삭)하고 요약하여 문목 밑에 붙여 책자로 만들게 한 것이다. 정조실록(正祖實錄)1553

 

 

해와 달과 별은 하늘의 무늬가 되고, 산과 천과 풀과 나무는 땅의 무늬가 되니, 글에도 무늬가 있음이 또한 그러하다. 반드시 씻어내고 닦아 윤택하게 하며 환하게 노출시키며, 찬란하게 드러낸 후에야 도를 실으면 도가 더욱 분명해지고 일을 기술하면 일이 더욱 완비되는 것이다.

日月星辰, 爲天之文; 山川草木, 爲地之文, 詞之有文亦然. 必也淘汰修潤, 煥然而章, 爛然而著, 然後載道而道益明, 紀事而事益備.

 

이제 만약 문장이 화려하다는 걸 미워하여 일절 그걸 금지한다면, 이것은 구름 문양의 도자기가 민무늬 그릇이 아니라고 나무라고, 수놓은 비단이 포의가 되지 못한다고 나무라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今若惡文之有華, 一切禁之, 則是何異於責雲罍之不爲瓦樽, 黼黻之不爲草衣乎.

 

수나라 문제는 서리 출신으로 좋아하고 잘하는 것이 공문서 작성에 있었다. 그래서 마침내 문장을 쓰는 것을 쓸모없는 것이라 여겨 문장 짓는 걸 배척했었다.

隋文胥吏也, 所好所能, 在於簿書期會. 遂以文詞爲不可用而斥之歟.

 

시경의 비()와 흥()은 대부분 바람과 구름, 달과 이슬에서 취하였지만 이것들이 국풍(國風)과 아()가 되기에 하자가 있다는 말은 듣질 못했다. 이악(李諤)의 말이 또한 어찌 잘못된 것이겠는가?

三百篇比興, 多取風雲月露, 未聞以此爲風雅之疵. 李諤之言, 又何其謬歟. 홍재전서(弘齋全書)』 「진후주(陳後主)

 

 

1. 문학의 생명은 아름다움은 운뢰(雲罍)나 보불(黼黻)과 같은 화려한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는 것이라고 봄.

 

2. , 음풍농월이 시의 본질이기에 나라를 다스리는 것과 무관할지라도 흠이 되지 않는다고 하였음.

 

건빵의 궁금증
임란 이후부터 보수화된 성리학의 돌풍으로 문풍(文風)이 획일화되었기에 이런 말을 한 것 같다.
이런 문학관을 가진 정조임에도 왜 연암의 글엔 그토록 냉정하게 문체반정(文體反正)을 한 걸까?

 

 

 

한시를 감상하려면 청각과 시각, 후각 등 오각을 사용해야 한다

 

 

1. 내부의 소리

1) 사성(四聲)에 따른 높낮이의 변화로 낭송하는 맛이 있음.

2) 부드러운 소리, 거친 소리의 배열로 작가의 감정을 드러냄.

3) 글자 소리의 높낮이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소리와 거친 소리를 적절하게 배열하는 것이 중요함.

4) 시 내용에 나타나는 바람소리, 개울소리, 한 맺힌 소리 등

5) 시를 짓는 사람은 음향효과에 세심한 배려를 하기 때문에 읽는 사람도 이런 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함.

 

 

2. 당시와 송시에 들어있는 음향효과

() ()
부드러운 소리, 소리 울림 중시 거친 소리, 소리의 기세 중시
봄날의 흥취를 묘사하는 경우 시인의 울분이 묻어나는 경우

 

  

3. 시각으로 그려내야 하는 시

1) 음풍농월의 대상인 자연을 노래한 한시에는 아름다운 그림이 들어 있다.

2) 그러니 작품 속에 묘사된 풍경을 그려보며 감상해야 한시의 맛을 더욱 알게 된다.

 

 

4. 작가의 생각을 역추적하며 봐야 한다.

 

한시는 규칙이 매우 복잡하여 좋은 시상이 떠오른다 하더라도 바로 작품을 완성할 수 없다. 시상이 떠오르면 대략적으로 시를 얽어 놓고 조용한 방에 혼자 앉아 시구를 이리저리 배열해 보고 또 이 글자 저 글자 바꾸어가며 퇴고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종묵, 우리 한시를 읽다, 2009, 돌베개, 13.

 

1) 시인의 시상 전개가 어떻게 되는지 그리며 봐야 함.

2) ‘승퇴()월하문(僧推()月下門)’처럼 퇴()는 청각적 이미지를, ()는 시각적 이미지를 더 중시한 것으로 한 글자로 시의 이미지가 확 달라짐.

 

 

5. 한시의 종류

1) 시인의 감정을 드러낸 시

2) 철학적 깨달음을 써낸 시

3) 사회적 모순을 고발한 시

 

 

 

삼라만상을 담다

 

 

1. 경험하는 모든 것을 시로 담아내다

1) 무더운 여름과 겨울 추위의 괴로움, 밤잠을 설치게 한 모기에 대한 시, 사소한 기물을 읊은 시.

2) 축하할 일이나 슬퍼할 일을 읊은 시, 사람을 전송하며 지은 시.

 

 

2. 이규보(李奎報)구시마문(驅詩魔文)에서 시인의 역할과 시에 대해 말함.

 

 

구름과 노을의 영롱함과 달과 이슬의 순수함과 벌레와 물고기의 기이함과 새와 짐승의 특이함과 저 새싹과 꽃받침과 풀과 나무와 꽃은 천 가지 모습과 만 가지 모양으로 천지에 번성하며 화려한 것인데, 너는 그것을 취하면서도 부끄러워하지 않고 1/10조차도 내버려두질 않으며 하나라도 보면 한 번에 읊조린다.

雲霞之英, 月露之粹, 蟲魚之奇, 鳥獸之異, 與夫芽抽萼敷, 草木花卉, 千態萬貌, 繁天麗地, 汝取之無愧, 十不一棄, 一矚一吟. -동국이상국전집(東國李相國全集)卷第二十

 

1) 시인은 삼라만상을 시로 노래하는 사람이라는 걸 이 글에서 잘 묘사해냄.

2) 사랑과 우정, 죽음, 자연, 여행, 일상과 현실 등 삼라만상이 모두 소재가 되어 담김.

 

 

 

한시엔 시대적 변화양상이 담겨 있다

 

시대 내용
~여초(麗初) 만당(晩唐)의 시풍을 배웠기에 음풍농월(吟風弄月)을 함.
여중(麗中) 소식(蘇軾)으로 대표되는 송시(宋詩)를 배워 활달한 기상을 노래하거나, 사물을 기발하게 묘사함.
여말(麗末) 성리학 유입으로 시는 성정(性情) 도구의 수단이어야 한다고 생각함. 탕척비린(蕩滌鄙吝), 관풍찰속(觀風察俗)
선초(鮮初) 송풍(宋風)을 견지하며 황정견(黃庭堅)강서시파를 배워 글자 조탁에 힘씀.
16세기 당풍(唐風) 우세로 가슴으로 읽는 시가 유행. 그러나 여초(麗初) 시처럼 유약함에서 못 벗어남.
18세기 조선풍 시, 조선의 경물 풍속을 담으려 했고 우리말 어휘를 사용함.

 

 

 

 

인용

목차

한시사 / 略史 / 서사한시

한시미학 / 고려ㆍ조선

眞詩 / 16~17세기 / 존당파ㆍ존송파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