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한 문
수험 번호 : ( ) | 성 명 : ( ) | ||
제1차 시험 | 2교시 전공A | 12문항 40점 | 시험 시간 90분 |
1. 다음은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22-33호)의 고등학교 ‘한문’에 따른 ‘한자와 어휘’의 <활동 결과물>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대화>이다. 괄호 안의 ㉠에 해당하는 것을 쓰고, <활동 결과물>을 참고하여 괄호 안의 ㉡에 해당하는 것을 쓰시오. [2점]
<활동 결과물>
② 白眉는 ‘흰 눈썹’으로 풀이되고, ‘희다’는 수식어, ‘눈썹’은 피수식어이므로 수식 관계이다. ③ 美醜는 ‘아름다움과 추함’으로 풀이되고, 서로 상대되는 의미를 가진 한자가 나란히 놓여 이루어진 단어이므로 (㉠)이다. |
<교사와 학생의 대화>
교 사 : 결과물 작성을 마쳤으면 학습 소감을 각자 발표해 볼까요? 학생 1 : 제가 말해 보겠습니다. 저는 주술 관계, 수식 관계, (㉠)(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찾아 적어 보니 단어의 뜻을 바르게 이해하고 풀이할 수 있었습니다. 교 사 : 단어를 형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의 결합 관계를 잘 파악한 것 같군요. 학생 2 : 저는 단어를 이루고 있는 한자들이 어떻게 결합하는지 그 유사점이나 차이점을 생각하며 풀이해 보니, 한자 어휘를 쉽게 기억할 수 있었어요. 그리고 새로운 한자 어휘도 만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교 사 : 네. 좋습니다. 단어의 짜임을 (㉡) 위해서는, 단어를 형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의 결합 관계를 학습한 후, 단어의 짜임을 이해하여 언어생활과 한문 학습에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활동을 마치겠습니다. |
답안
㉠: 병렬 관계 / ㉡: 구별하기
2. 괄호 안의 ㉠, ㉡에 해당하는 漢字를 순서대로 쓰시오. [2점]
(가)
◦太甲顚覆湯之(㉠)刑 伊尹放之於桐三年 - 『孟子』 - (나)
◦詩云 伐柯伐柯 其(㉡)不遠 - 『中庸』 - |
답안
㉠: 典 / ㉡: 則
3. 밑줄 친 ㉠에 해당하는 것을 찾아 같은 시대에 발생한 문체끼리 2개씩 漢字로 쓰시오. [2점]
按題跋者 簡編之後語也 凡經傳子史詩文圖書之類 前有序引後有後序 可謂盡矣 其後 覽者 或因人之請求 或因感而有得則復撰詞以綴於末簡 而總謂之題跋 ㉠至綜其實則有四焉 一曰題二曰跋 三曰書某 四曰讀某 夫題者 締也 審締其義也 跋者 本也因文而見本也 書者 書其語 讀者 因於讀也 題讀始於唐 跋書起於宋 曰題跋者 擧類以該之也 - 徐師曾, 『文體明辯』 - |
4. 밑줄 친 ㉠이 가리키는 내용을 찾아 서술하시오. [2점]
余謂有王者作 必自蘇李以下 嚴法禁抑 然後人風少變矣 何也今人家子弟 全無拘撿 能作短篇長律 時論翕翕 稱佳士 其於質行善人 則賤穢之 俗安得不偷 雖明知㉠其然 然生子不能免俗必使先誦五言 遍及諸大家 至於元明聞人 不習則取譏 實無餘力暇及於經史也 余觀史策若古文詞 其引三百篇 莫不詠歎激切其或及五七言 則不啻駭矣 益覺詩道之漸譌矣 - 李瀷, 『星湖僿說』 - |
5. 다음은 2022 개정 고등학교 ‘한문 고전 읽기’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22-33호)에 따라 작성한 <교수․학습 지도안>의 일부와 <학생 활동 결과물>, <수업 내용>의 일부이다. <작성 방법>에 따라 서술하시오. [4점]
<교수․학습 지도안>
구분 | 내용 |
학습 목표 | ◦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문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글을 읽고 오늘 자신이 경험한 일에 대입하여 성찰할 수 있다. |
성취 기준 | ◦글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과 주제를 파악한다. ◦글을 읽고 자신의 삶에 대입하여 반성적으로 사고할 수 있다. |
지도상의 유의점 | ◦동아시아의 전통적 인성과 인간관을 현재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반성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도한다. ◦우리가 당면한 문제와 관련된 내용과 주제를 담고 있는 글을 읽고 풀이하며, ㉠이 글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를 잘 새길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도입 | ◦전시 학습 확인 -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
수업 자료 | 今有無名之指 屈而不信 非疾痛害事也 如有能信之者 則不遠秦楚之路 爲指之不若人也 指不若人 則知惡之 心不若人 則不知惡 - 『孟子』 - |
전개 | 전개 1 ◦학습자 주도로 글의 주제를 찾는다. 전개 2 ◦오늘 경험한 일 가운데 ‘수업 자료’의 주제와 관련하여 자신을 되돌아보는 글을 쓴다. |
<학생 활동 결과물>
소재 | 친구들보다 인기가 많은 내 짝 |
관련 원문 | 指不若人 則知惡之 心不若人 則不知惡 |
되돌아 보기 | 나는 어떤 일을 할 때 내 자신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내 짝은 그렇지 않다. 겉으로 보기엔 나나 내 짝이나 친구들과 사이좋게 지낸다고 생각했는데, 내 짝이 나보다 급우들에게 훨씬 인기가 많다. 그래서 내 짝이 나보다 친구들에게 더 인기가 많은 이유를 생각해 보니, 내 짝은 친구들을 대할 때 자신보다 친구들을 먼저 생각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렇지 못한 나를 반성하게 되었다. |
<수업 내용>
교 사 : 수업 자료에 나타난 두 가지 비교 대상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학생 1 : 저는 (㉡)와/과 (㉢)(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가 남과 같지 않으면 속상해하면서도, (㉢)이/가 남과 같지 않으면 속상해하지 않는 것을 비교하고 있습니다. 교 사 : 그렇군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눈에 보이는 것만 중요하게 여기다가 정작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을 놓치는 경우가 있거든요. 그러면 오늘 경험한 일 가운데 수업 자료의 주제와 관련하여 작성한 글을 차례대로 발표해 볼까요? (중략) 교 사 : 네. 발표를 잘했습니다. 겉으로 드러난 것보다 보이지 않는 마음 씀씀이가 더 중요하다는 점을 이야기해 주었네요. 한문 고전을 자신의 삶에 대입하여 스스로를 돌아보는 태도를 기르면 좋겠습니다. |
<작성 방법> ◦<교수․학습 지도안>과 <학생 활동 결과물>을 참고하여 ‘전개 1․2’에 적용된 교수․학습 방법을 쓸 것. ◦밑줄 친 ㉠에 해당하는 내용을 <교수․학습 지도안>의 ‘전개 1․2’와 <수업 내용>에서 찾아 서술할 것. ◦괄호 안의 ㉡과 ㉢에 해당하는 것을 <교수․학습 지도안>의 ‘수업 자료’에서 찾아 순서대로 漢字로 쓸 것. |
6. 다음은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에 따라 작성한 고등학교 ‘한문Ⅰ’ <수업 계획>과 <활동 결과물> 이다. <작성 방법>에 따라 서술하시오. [4점]
<수업 계획>
구분 | 내용 | ||||||||
학습 목표 |
◦글을 바르게 풀이할 수 있다. ◦한자로 이루어진 성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
||||||||
수업 자료 | 臣本布衣 躬耕於南陽 茍全性命於亂世 不求聞達於諸侯 先帝不以臣卑鄙 猥自枉屈 三顧臣於草廬之中 諮臣以當世之事 由是感激 遂許先帝以驅馳 - 『三國志』 - | ||||||||
성어의 배경 | 후한 말엽, 유능한 참모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던 유비가 남양에 은거하던 제갈량의 존재를 알게 되어, 예물을 갖춰 세 번이나 그의 초가집을 방문한 끝에 그를 군사(軍師)로 모셔올 수 있었다. 이 글은 제갈량이 첫 번째 북벌을 나서기 전, 후주 유선에게 바친 글의 일부이다. | ||||||||
원문 풀이 |
|
||||||||
성어의 의미 |
|
<활동 결과물>
성어를 활용한 (㉢ ) | 학생 1 : 축구 대회를 앞두고 수비를 잘하는 친구를 삼고초려하여 데려왔습니다. 학생 2 : 제 꿈은 TV프로그램의 PD가 삼고초려하여 섭외할 정도로 유명한 연예인이 되는 것입니다. 학생 3 : 국가나 단체의 장은 무엇보다 삼고초려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
<작성 방법> ◦괄호 안의 ㉠에 들어갈 말을 ‘원문’을 참고하여 쓸 것. ◦괄호 안의 ㉡을 <수업 계획>의 ‘성어의 배경’과 <활동 결과물> 에 근거하여 쓸 것. ◦괄호 안의 ㉢에 들어갈 교수․학습 방법을 <활동 결과물>을 참고하여 쓸 것. |
7. 밑줄 친 ㉠, ㉢을 [註釋]에 의거하여 각각 번역하고, 밑줄 친 ㉡을 평가한 부분을 (가), (나)의 [本文]에서 찾아 각각 서술하시오.
[4점]
(가) [本文] 子路宿於石門 晨門曰 ㉠奚自 子路曰 自㉡孔氏 曰 是知其不可而爲之者與 - 『論語』 - [註釋] 石門 地名 晨門 掌晨啓門 蓋賢人隱於抱關者也 自 從也 問其何所從來也 - 『論語集註』 - (나) [本文] 逸民 伯夷 叔齊 虞仲 夷逸 朱張 柳下惠 少連 子曰 不降其志不辱其身 伯夷 叔齊與 謂柳下惠 少連 降志辱身矣 言中倫行中慮 其斯而已矣 謂虞仲 夷逸 隱居放言 身中淸 ㉢廢中權 我則異於是 無可無不可 - 『論語』 - [註釋] 馬曰 淸 純潔也 遭世亂 自廢棄以免患 合於權也 - 『論語注疏』 - |
8. 밑줄 친 ㉠을 번역하고, 밑줄 친 ㉡에 해당하는 내용을 찾아 서술하시오. [4점]
世之論畵者 必以元伯之畵 配三淵之詩 盖國朝之畵 至元伯而始極其變 然元伯之畵出 而世之學元伯者 無元伯筆力 而徒竊其法 畵之衰 未必不自元伯始 余嘗謂今之爲詩者 不步趨三淵則人爭怪之 而無三淵學識 而徒學其奇 故適足以受其病 詩之衰三淵又不得辭其責矣 ㉠吾非不服三淵 而惡世之羣爲三淵者也 聞者 皆以爲狂言 今觀元伯畵 聊書此 以㉡戒夫學元伯者 - 李天輔, 『晉菴集』 - |
9. 다음은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고등학교 ‘한문’에 따라 작성한 <수업 계획>의 일부와 <수행평가 안내문>의 일부이다. <활동 결과물>을 참고하여 <작성 방법>에 따라 서술하시오. [4점]
<수업 계획>
구분 | 내용 |
학습 목표 | ◦어휘의 의미를 이해하고, 언어생활에서 (㉠)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
지도상의 유의점 |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개별화된 맞춤형 활동으로 의미 있는 배움이 일어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어휘를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수업 자료 | ◦藥師, 醫師, 義士, 議事, 史庫, 思考, 緣故, 事故 |
<수행평가 안내문>
수행평가 안내 1. 활동 소개 : 어휘를 설명하는 카드 뉴스를 제작한 뒤 발표 2. 제작 방식 : 언어생활에서 혼동하기 쉬운 어휘를 ‘수업 자료’에서 선정하고 관련 자료를 조사하여 제작 3. 활동 과정 : 어휘 선정 → 자료 조사 → 제작 → 발표 4. 유의 사항 : 저작권에 위배되지 않도록 할 것. |
<활동 결과물>
어휘 | 가족 뉴스 |
醫師 | “의사의 치료로 건강을 회복한 할머니” 폐렴에 걸린 할머니는 의사의 치료를 받아 건강을 되찾으셨다. |
어휘 | 역사 뉴스 |
(㉡) | “윤봉길 의사의 맹세” 의로운 지사 윤봉길은 거사를 앞두고 굳게 맹세하였다. |
어휘 | 가족 뉴스 |
事故 | “고속도로 대형 사고” 지난밤에 내린 폭설로 경부 고속도로에서 자동차 사고가 발생했다. |
어휘 | 가족 뉴스 |
(㉢) | “현대판 사고 ‘나라기록관’ ○○시에” 중요한 정부 문서와 역사 자료를 보존하고 관리하는 기록 관리 시설이 ○○시에 들어선다. |
<작성 방법> ◦괄호 안의 ㉠에 들어갈 말을 <수업 계획>의 ‘수업 자료’와 <활동 결과물>을 참고하여 쓸 것. ◦수업에 사용된 교수ㆍ학습 방법을 <수행평가 안내문>과 <활동 결과물>에 근거하여 쓸 것. ◦괄호 안의 ㉡, ㉢에 들어갈 어휘를 <수업 계획>의 ‘수업 자료’에서 찾아 漢字로 쓸 것. |
10. (가)~(다)를 출현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가), (다)의 소재를 쓰고, (가), (다)의 장르를 특징짓고 있는 공통된 수사법을 서술하시오. [4점]
(가) 天君卽大位元年 登靈臺御明堂 泊乎無爲 澹乎自持 蕩蕩乎無能名焉 君之民鼓腹而遊 咸曰 一哉吾君 越三年 君之德漸不克于初 有盜乘其釁 侵凌我 殘害我 梏亡我 翦劉我年年而賊日滋 君之國幾不振 君遂遯于荒 周流四海 若晉公子之在外者十餘年 時或有思歸之念 隱然而萌 油然而生盜賊縱橫 道路擁隔 有志未就 且如赤子之早離鄕 迷不知其歸 適有一人自稱惺惺翁 稍除國賊 喚君而歸 復卽于大位 (나) 王怒曰 汝不從我敎 則固不得爲吾女也 安用同居 宜從汝所適矣 於是 公主以寶釧數十枚 繫肘後 出宮獨行 路遇一人 問溫達之家 乃行至其家 見盲老母 近前拜 問其子所在 老母對曰 吾子貧且陋 非貴人之所可近 今聞子之臭芬馥異常 接子之手 柔滑如綿 必天下之貴人也 因誰之侜以至於此乎 惟我息不忍飢 取楡皮於山林 久而未還 (다) 生姓楮 名白 字無玷 會稽人也 漢中常侍尙方令蔡倫之後生之生也 浴蘭湯 弄白璋 藉白茅 故濯濯也 其同母弟凡十九人 皆與之親睦 造次不失其序 性本精潔 不喜武人樂與文土游 中山毛學士 其契友也 每狎之 雖點汚其面不拭也 學而通天地陰陽之理 達聖賢性命之源 以至諸子百家之書 異端寂滅之敎 無不記識 徵之班班可見 |
11. 밑줄 친 ㉠, ㉣이 의미하는 바를 각각 적고, 밑줄 친 ㉡, ㉢에 드러난 시인의 생각을 각각 서술하시오. [4점]
(가) - 金富軾, 「甘露寺次惠遠韻」 - ㉠俗客不到處 登臨意思淸 ㉠山形秋更好 江色夜猶明 ㉠白鳥孤飛盡 孤帆獨去輕 ㉡自慚蝸角上 半世覓功名 (나) - 元天錫, 「㉣杜門覽古 寓物興懷 此不遇時者之所爲也因賦古器 作四絶以寓歎」 - ㉠曾照蛾眉粉面新 ㉠十年奩底久埋塵 ㉠皎然本質元無損 ㉢刮垢磨光欠一人 |
12. 밑줄 친 ㉠, ㉡을 번역하시오. [4점]
竹似賢 何哉 竹本固 固以樹德 君子見其本 則思善建不拔者竹性直 直以立身 君子見其性 則思中立不倚者 竹心空 空以體道君子見其心 則思應用虛受者 竹節貞 貞以立志 ㉠君子見其節 則思砥礪名行夷險一致者 夫如是故 君子人多樹之 爲庭實焉 … (중략)… 嗟乎 竹植物也 於人何有哉 以其有似於賢 而人猶愛惜之 封植之 況其眞賢者乎 然則竹之於草木 猶賢之於衆庶嗚呼 ㉡竹不能自異 惟人異之 賢不能自異 惟用賢者異之 故作養竹記 書于亭之壁 以貽其後之居斯者 亦欲以聞於今之用賢者云 - 白居易, 「養竹記」 - |
인용
'기출문제 > 전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학년도 수능 한문 기출문제 (4) | 2024.11.16 |
---|---|
2023학년도 한문 임용 B형 기출문제 (0) | 2022.11.28 |
2023학년도 한문 임용 A형 기출문제 (0) | 2022.11.28 |
수능한문 기출문제 - 목차 (0) | 2022.11.18 |
2023학년도 수능 한문 기출문제 (0) | 2022.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