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2023학년도 한문 임용 A형 기출문제 본문

기출문제/전체

2023학년도 한문 임용 A형 기출문제

건방진방랑자 2022. 11. 28. 04:39
728x90
반응형

2023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한 문

수험 번호 : ( ) 성 명 : ( )
1차 시험 2교시 전공A 12문항 40 시험 시간 90

 

 

1. 다음은 2015 개정 고등학교 한문교육과정에 따라 작성한 <교수학습 지도안>의 일부이다. 괄호 안의 에 해당하는 말을 쓰고, 괄호 안의 에 해당하는 것을 漢字로 쓰시오. [2]

 

<교수학습 지도안>

학습
목표
()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증진시키려는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
도입 전시 학습 확인
-()의 개념과 범위, 공통적 특징과 차이점 등에 대하여 모둠별로 토의토론함.
수업
자료
臣崔溥 自濟州漂流 泊甌東 過越南 經燕北 以今六月十四日 到靑坡驛 敬奉傳旨 一行日錄 撰集以進
- 崔溥-
전개 수업 자료 소개 및 상호 이해와 교류
- 조선시대 문신 崔溥는 제주도에 관원으로 부임했는데, 부친상을 당하여 고향으로 돌아오던 중 풍랑을 만나 표류하다가 중국 浙江省에 도착하였고, 반년 뒤에 본국으로 귀환하였다. 이후 그는 왕명에 따라, ‘바다를 표류한 기록이라는 제목을 지닌 ( )/를 썼다.
- 중국에 도착했을 당시 중국 관원은 崔溥 일행이 탄 배를 해안 지대에 출몰하는 왜선인 줄 잘못 알고 나포하여 처형하려고 하였다. 이때 崔溥는 조선의 연혁과 도읍지, 산천과 역사 등에 대해 글로 써서 설명하였다. 이에 관원은 의심을 풀고 음식물을 보내 주었다고 한다.

 

 

 

2. 괄호 안의 , 에 해당하는 漢字를 순서대로 쓰시오. [2]

()

小篆
()
楷書
 
附也 -說文解字-
子夏曰 博學而篤志 切問而()思 仁在其中矣 -論語-
 
()

小篆
()
楷書
 
養子使作善也 -說文解字-
大哉 聖人之道 洋洋乎發()萬物 峻極于天 -中庸-

 

 

 

3. 밑줄 친 에 해당하는 명칭을 본문에서 찾아 쓰고, 밑줄 친 에 뛰어났던 우리나라 작가를 본문에서 찾아 쓰시오. [2]

百家衣者 大原王舒王始唱之 山谷輩 繼起而和於後 觀其體每於古之詩 摘取一句 闘湊而別著新篇 語意牽連 全如創造 夫人之能於至此 雖古猶乏也 求之於今而有獲焉 襄陽林先生惟正性聦敏 凡文章一經於耳目 輒誦之 無一語忘于心 斯所以負記識平生綴述 効王體多矣 -東文選-

 

 

 

4. 밑줄 친 , 에 해당하는 것을 본문에서 찾아 순서대로 쓰시오. [2]

詩書六藝 皆經術也 詩書六藝之文 卽其文章也 苟能因其文而究其理 精以察之 優而游之 理之與文 融會於吾之胸中 則其發而爲言語詞賦 自不期於工而工矣 自古 以文章 鳴於時而傳後者 如斯而已 人徒見夫今之所謂經術者 不過句讀訓誥之習耳 今之所謂文章者 不過雕篆組織之巧耳 句讀訓誥 奚以議夫黼黻經緯之文 雕篆組織 豈能與乎性理道德之學 於是乎 遂岐經術文章爲二致 而疑其不相爲用 嗚呼 其見亦淺矣 -金宗直, 尹先生祥詩集序-

 

 

 

5. 다음은 2015 개정 고등학교 한문교육과정한자와 어휘를 지도하기 위해 예비 교사와 한문 교사가 나눈 대화이다. 밑줄 친 , 에 해당하는 내용을 <수업 자료>를 활용하여 각각 설명 하시오. [4]

예비 교사 : 품사에 관한 연구 수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준비 단계에서 유의 사항이 있으면 조언을 부탁합니다.
한문 교사 : 한문의 품사는 본래 지니고 있는 의미뿐만 아니라 문장에서의 쓰임인 활용까지 고려하는 것이 중요해요. 또한 하나의 한자가 어휘적 의미를 가지는 실사로 쓰이기도 하고,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는 허사로도 쓰여요.
예비 교사 : 구체적으로 어떤 경우가 있나요?
한문 교사 : 하나의 한자가 명사로 쓰이기도 하고, 동사 앞에서 부사처럼 쓰이기도 해요. 그리고 하나의 한자가 문장에서 대명사로 쓰이기도 하고, 접속사로 쓰이기도 해요.
예비 교사 : , 잘 이해했습니다.

 

<수업 자료>
日就月將
時已徙矣 而法不徙 -呂氏春秋-
王擇吉日 册位太子 -三國遺事-
夫差 而忘越王之殺而父乎 -左傳-
人法地 地法天 天法道 道法自然 -老子-

 

 

 

6. 다음은 2015 개정 고등학교 한문교육과정에 따라 작성한 <교수학습 지도안>의 일부이다. <작성 방법>에 따라 서술하시오. [4]

학습
목표
한시의 ( ) 및 시상 전개 방식을 통해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수업
자료
十五越溪女 羞人無語別
歸來掩重門 泣向梨花月
- 林悌, 無語別-
=== =========================
전개 한시의 시체압운대우
- 한시의 시체는 크게 고체시와 근체시로 나뉘며, 字數에 따라 오언시, 칠언시 등으로 나뉜다.
- 압운법은 한시에서 특정한 의 끝자리를 韻母가 같은 글자로 맞추는 것을 말한다.
- 대우법은 한시에서 나란히 이어지는 두 가 내용상으로나 어법상으로 서로 짝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한시의 시상 전개
- 한시의 시상 전개 방식은 起承轉結의 네 단계로 구성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리 한시의 시체압운대우
구분 내 용
시체 오언절구
운자 ( )
대우 없음.
 
한시의 시상 전개
단계 시상 전개 과정
기구 열다섯 살 아리따운 소녀를 등장시켜 시상을 불러일으킴.
승구 () 장면을 묘사하여 시상을 이어받아 확대발전시킴.
전구 () 행위로 시상에 변화를 주어 장면이나 분위기를 비약전환시킴.
결구 배꽃에 걸린 달을 보며 눈물짓는 소녀의 모습을 통해 전체의 시상을 마무리함.

 

<작성 방법>
괄호 안의 에 해당하는 것을 한문의 독해성취기준에 근거하여 쓸 것.
괄호 안의 에 해당하는 漢字수업 자료전개를 활용하여 순서대로 쓸 것.
괄호 안의 , 에 해당하는 내용을 수업 자료전개를 활용하여 순서대로 서술할 것.

 

 

 

7. 다음은 교사가 2015 개정 고등학교 한문교육과정에 따라 작성한 <수업 계획>의 일부이다. <작성 방법>에 따라 서술하시오. [4]

 

<수업 계획>

학습
목표
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짜임을 구별할 수 있다.
문장의 구조를 구별할 수 있다.
글을 바르게 풀이할 수 있다.
지도
중점
단어의 짜임을 지도할 때에는 단순히 짜임이 무엇인지를 묻기보다는 단어의 짜임을 이해하고 한문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둔다.
문장의 구조를 지도할 때에는 문장을 이루는 주성분들 사이의 관계를 살펴 문장의 구조를 구별하고 문장의 독해에 활용하도록 한다.
글의 풀이를 지도할 때에는 문장 성분의 배열에 나타나는 일정한 순서를 분석하고 우리말 어순과 비교하여 문장의 독해에 활용하도록 한다.
수업
자료
雖小技 有所忘 然後能成 而況大道(中略)李澄幼登樓而習畵 家失其所在 三日乃得 父怒而笞之 泣引淚而成鳥 此可謂忘榮辱於畵者也 鶴山守通國之善歌者也 入山肄 每一闋 拾沙投屐 滿屐乃歸 嘗遇盜將殺之 倚風而歌 群盜莫不感激泣下者 此所謂死生不入於心
- 朴趾源, 炯言桃筆帖序-

 

<작성 방법>
밑줄 친 의 단어의 짜임을 쓸 것.
밑줄 친 의 문장의 구조를 순서대로 쓸 것.
밑줄 친 을 어순에 맞추어 바르게 풀이할 것.

 

 

 

8. 밑줄 친 에 해당하는 인물 및 그와 관련되는 장소를 ()에서 찾아 쓰고, ()를 참고하여 밑줄 친 을 번역하시오. [4]

() - 論語-
佛肹召 子欲往 子路曰 昔者 由也聞諸夫子 曰 親於其身爲不善者 君子不入也 佛肹以中牟畔 子之往也 如之何 子曰然 有是言也 不曰堅乎 磨而不磷 不曰白乎 涅而不緇 吾豈匏瓜也哉 焉能繫而不食
 
() - 朱熹, 論語集註-
匏 瓠也 匏瓜 繫於一處 而不能飮食 人則不如是也

 

 

 

9. 밑줄 친 에 해당하는 것 2가지를 본문에서 찾아 서술하고, 밑줄 친 을 번역하시오. [4]

余嘗涉園中 有一竹介于群竹之間 其本末枝節類他竹 至其中 其節密 其枝曲 不類他竹 余怪之 就視其故 蓋有蟲蠧其心也 夫下密而中疎 竹節之常也 直而不曲 竹枝之常也 今疎者反密直者反曲 咸失其常 噫 是豈竹之性哉 其爍於外物者乎哉余於是喟然而嘆 夫人受天地之中以生 其初罔有不善 及其蔽於物欲 以梏良心 則其不類竹者 幾希矣 嗚呼 竹以蟲而失其常 人以欲而喪其性 心受病 則人物何擇焉 古人有言 觀物反己 病竹說之作 余豈徒然哉
- 河受一, 病竹說-

 

 

 

10. 밑줄 친 , 의 이유를 본문에서 찾아 각각 서술하고, 밑줄 친 에 해당하는 것 2가지를 본문에서 찾아 서술하시오. [4]

彼以士夫家郎君 年方靑 血氣未定 只知蜂蝶之貪花 不顧風露之可憂 能幾日而病不作耶 病則必不起 是非我殺之而我殺之也 雖人不知 必有陰報 且兒身不過一中路家處子也 非有傾城絶世之色沈魚羞花之容 而郎君見鴟爲鷹 其致誠於我 若是其勤 然而不從郎君者 天必厭之 福必不及於兒矣 兒之意決矣 願父母勿以憂 噫 兒親老而無兄弟 嫁而得一贅壻 生而盡其養 死而奉其祀 兒之願足矣 而事忽至此 此天也 言之何益其父母默然無可言 生亦無可言者 仍與女同寢 渴仰之餘 其喜可知 - 李鈺, 沈生傳-

 

 

 

11. 시인이 거처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시어 2가지를 본문에서 찾아 쓰고, 밑줄 친 , 의 의미를 각각 풀이하시오. [4]

旅遊孤島歲崢嶸
千里音書何日到
交情似水流難定
賴有使君眞一酒
南徼兵塵賊未平
五更燈火爲誰明
愁緖如絲亂更縈
雪深窮巷擁爐傾
- 鄭澈, 臘月初六日夜坐-

 

 

12. 밑줄 친 ㉠~㉢을 번역하시오. [4]

今得東亭先生陶詩後序曰 憔悴於飢寒之苦 而有悠然之樂 沈冥於麴糵之昏 而有超然之節 伏而讀之 不覺嘆息曰 噫 此所以爲淵明也 雖去千載之遠 如聞其謦咳而接見其容儀也 且其憔悴於飢寒之苦 沈冥於麴糵之昏者 迹也外也 有悠然之樂 超然之節者 心也內也 在外者易見 在內者難知 宜後學未能窺其藩籬也 向者 韓杜之言 特託而言之耳 先生曰 不然也 淵明生於衰叔之世 知其時之不可爲 高蹈遠引 養眞衡茅之下 塵視軒冕 銖看萬鍾 雖衣食不給 而悠然樂以忘其憂 及乎宗國旣滅世代遷易 一時之輩 相招仕進 若吾淵明則不然 拳拳本朝之心 如靑天白日 不事二姓 隱於詩酒之中 其高風峻節 凜乎秋霜之烈不足比也
- 鄭道傳, 讀東亭陶詩後序-

 

 

 

23년도 A.pdf
0.42MB

 

 

 

 

인용

목차

시험지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