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금오신화(金鰲新話)』의 다섯 이야기는 어떤 특징을 지니는가
『금오신화(金鰲新話)』에 수록된 다섯 작품이 지닌 주요한 특징은 무엇일까?
첫째, 우리 나라를 배경으로 하고 우리 나라 사람을 등장인물로 하였으며, 시대적 배경이 현실적이다.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는 고려말 왜적의 침략을 배경으로 하였고,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은 고려말 홍건적의 난을 배경으로 삼았다. 이 두 작품은 외적의 침략으로 민족 구성원의 삶이 유린당한 사실을 아프게 그려 내었다.
한편 「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는 옛 도읍 평양을 무대로 삼아, 풍경 속에 민족사의 흐름이 스며 있다는 사실을 환기시켰다.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는 조선초에 유행한 지옥 신앙을 소재로 삼으면서, 등장인물의 대화를 통하여, 올바른 이념이 실현되지 못하는 현실의 악(惡)의 상태를 고발하였다.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은 비현실적인 환상의 공간을 그려보이되, 그 개성의 박연폭포에 연관된 용 전설을 소재로 삼았다.
『금오신화(金鰲新話)』의 인물들은 이체험을 하면서 일상의 희노애락을 더욱 확실하게 경험한다. 그들은 불완전한 보통 사람의 모습을 그대로 지니고 있다.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ㆍ「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ㆍ「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의 이생ㆍ양생ㆍ홍생은 물론,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ㆍ「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의 박생ㆍ한생도 실은 범부일 따름이다. 그리고 주인공은 대체로 작자 자신을 본보기로 하고 있어서, 이야기 속에 자서전적 내용이 담겨 있다.
둘째, 귀신ㆍ염왕ㆍ용왕ㆍ염부주ㆍ용궁 같은 비현실적인 소재를 이용하여 현실적인 것의 의미를 생생하게 드러내었다. 비현실적 소재들로 허구화된 이야기 속에는 당시의 지식인 및 민중들이 지녔던 심리적 고통과 사상적 고뇌가 투영되어 있다.
이를테면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의 중심 내용인 귀신과의 결연담은 최자(崔滋)의 『보한집(補閑集)』에 나오는 귀교(鬼交)의 이야기를 계승한 측면이 있다. 또한 그 주인공 양생(梁生)은 남원의 토성(土姓)이어서, 이 소설은 양씨 가문의 설화를 토대로 창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이가원(李家原)의 『조선문학사』(태학사, 1995)를 참조하시오】.
그리고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에서 박생이 염마왕으로 취임하는 것은 이색적인 허구의 장치가 아니라, 오히려 민간의 전승을 계승한 것이다. 『수서(隋書)』에 입전(立傳)되어 있는 한금호(韓擒號)란 인물은 죽어서 한염라(韓閻羅)가 되었다고 전하며, 송대의 공명정대한 인물들이었던 구준(寇準)ㆍ범중엄(范仲淹)ㆍ포증(包拯)도 모두 죽은 뒤에 염라왕이 되었다고 믿어왔다. 이렇게 속인이 염라왕이 된다고 믿는 전승은 우리 나라에도 있었을 법하다. 김시습은 그러한 민간 전승을 이용하여, 현실계의 부조리를 역설적으로 부각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에 등장하는 조강신(神江神)ㆍ낙하신(洛河神)ㆍ벽란신(碧瀾神)은 동아시아의 수신(水神) 사상의 계보를 잇되, 조선 민중의 수신 사상을 직접 반영하고 있다. 그 신들이 매우 생동적이고 친근한 모습으로 그려져 있는 것도, 김시습이 당시 민중의 수신 사상을 참조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셋째, 문어체 문장이나 시는 대상을 서정적으로 미화하고 등장인물의 심리, 사건 전개의 암시, 인물과 사건에 대한 작가의 심정적 평가를 섬세하게 드러내는 데 성공하였다.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는 예외이지만, 다른 네 작품은 모두 시(절구ㆍ율시ㆍ배율ㆍ고시ㆍ잡언장편고시)나 사(詞)ㆍ초사체(楚辭體)ㆍ악장(樂章)을 이용하여 정경과 사건의 흐름을 묘사ㆍ서술ㆍ암시하였으며, 극적 긴장을 고조시켰다.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에서 여러 여인들의 심리를 각기 다른 시풍 속에 담아낸 것은 문학적 수사의 극치를 이루었다. 우리 문학에서 보면, 시의 삽입은 본래 설화가 문헌으로 정착될 때 이야기의 진행이나 등장 인물의 심리를 드러내는 장치로 진작에 활용되었다. 이를테면 『삼국유사』에 수록된 노힐부득과 달달박박의 이야기에서 아미타불의 화신인 여인은 남암(南庵)과 북암(北庵)에서 각각 칠언절구와 오언율시를 남김으로써 아미타불의 뜻을 제시하였다. 『금오신화에 시가 삽입된 것은 이처럼 설화의 전기소설적 편성에서 축적된 문학적 전통을 계승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에서는 곽개사ㆍ현선생의 자기소개 내용을 유머러스한 가전체의 방백으로 처리하여 가전체 문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연극적 효과를 낳았다.
인용
1. 『금오신화』란?
2. 김시습
1) 김시습의 삶을 알 수 있는 자료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2) 김시습의 어릴 적은
5) 김시습이 환속하여 서울 근교에서 생활하기로 한 것은
6) 세간의 영욕에서 벗어나
8) 에필로그
3. 판본의 문제
3) 『금오신화』를 목판으로 처음 간행한 윤춘년은 어떤 인물인가
5. 『금오신화』의 다섯 이야기는 어떤 특징을 지니는가
7. 『금오신화』가 담고 있는 문학적ㆍ철학적 메세지는 무엇인가
'한문놀이터 >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경호, 세상을 향한 끊임없는 고뇌, 『금오신화』 - 7. 『금오신화』가 담고 있는 문학적ㆍ철학적 메세지는 무엇인가 (0) | 2022.10.24 |
---|---|
심경호, 세상을 향한 끊임없는 고뇌, 『금오신화』 - 6. 『금오신화』가 창작된 배경은 무엇일까 (0) | 2022.10.24 |
심경호, 세상을 향한 끊임없는 고뇌, 『금오신화』 - 4. 『금오신화』의 텍스트로는 또 어떤 것들이 있나 (0) | 2022.10.24 |
심경호, 세상을 향한 끊임없는 고뇌, 『금오신화』 - 3. 판본의 문제, 3) 『금오신화』를 목판으로 처음 간행한 윤춘년은 어떤 인물인가 (0) | 2022.10.24 |
세상을 향한 끊임없는 고뇌, 『금오신화』 - 3. 판본의 문제, 2) 『금오신화』는 언제, 몇 편이 지어졌는가 (0) | 2022.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