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심경호, 세상을 향한 끊임없는 고뇌, 『금오신화』 - 6. 『금오신화』가 창작된 배경은 무엇일까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심경호, 세상을 향한 끊임없는 고뇌, 『금오신화』 - 6. 『금오신화』가 창작된 배경은 무엇일까

건방진방랑자 2022. 10. 24. 07:26
728x90
반응형

6. 금오신화(金鰲新話)가 창작된 배경은 무엇일까

 

 

금오신화(金鰲新話)가 창작된 배경과 관련하여 제일 먼저 생각할 것은 문학사적 전통이다. 조선초에 이르기까지 서사문학의 원초 형태인 설화가 끊임없이 발생하여 전승되고 변모되었고, 신라말 고려초에는 전기소설의 요소를 갖춘 우리 소설이 발생하여, 그것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물론 각 지역별로 설화를 정착시킨 풍토기(風土記)나 소설집이 실제로 발견되지는 않고 있으나, 이미 고려 중ㆍ후엽에는 많은 설화문학이 소설로 변모되어 있었으리라 추정된다. 수이전(殊異傳)의 일문(逸文)이나 삼국유사, 삼국사기등에 실린 일부 설화들은 소설적인 요건들을 상당히 갖추고 있다. 금오신화와 같은 완성된 형태의 소설이 출현할 문학사적 기반이 진작에 마련되어 있었다.

 

한편 금오신화(金鰲新話)라는 소설집이 나오게 된 것은 사상사의 흐름에서 그 요인을 찾아볼 수 있다. 조선왕조의 건설자들은 지배질서를 확립하고 전제개혁을 단행하여 집권층의 생활기반을 확립하고자 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소외된 일부의 지식인들은 민중의 처지에 동조하면서 새 왕조의 이념적 모순과 사회적 폐단을 비판하고 새로운 사상을 모색했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김시습이었다.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에서 작가는 우주의 이치로서 정도(正道)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믿고자 하였다. 나라를 다스리는 임금은 덕망이 있어야 하며, 천명(天命)이 떠나버리고 민심이 이반하면 임금도 자리를 지킬 수 없음을 강조하였다. 당시의 정치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을 드러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김시습은 또한 인간 개개인의 본래성이 당시의 현실 속에서 구현될 수 없다는 사실에 절망하여, 그 자각에서 느끼는 고통과 슬픔을 소설로 담아냈다.

 

한편 금오신화(金鰲新話)가 출현하게 된 외래적 요인으로는 명나라 구우(瞿佑, 1347~1427)전등신화(剪燈新話)가 유통된 사정을 고려할 수 있다【『전등신화는 조선 전기의 시문과 전기소설에 일정한 영향을 끼친 것이 사실이다. 연산군이 15064월 임술에 전등신화전등여화(剪燈餘話)의 간행을 명할 만큼, 전등신화등이 문장가의 모범으로 제시되었다. 명의 구준(丘濬)오륜전비기(五倫全備記)를 윤색하고 한글로 번역한 낙서거사(洛西居士)1531년에 쓴 오륜전비기서(五倫全備記序)에서, “민간의 무식쟁이들이 언자(諺字)를 배워 노인들이 전하는 이야기를 베껴 밤낮 떠들고 있는데, ‘이석단(李石端) 취취(翠翠) 이야기같은 것은 음설망탄하여 도무지 취해 볼 만하지 않다라고 하였다. 이석단과 취취의 이야기 가운데 취취는 전등신화취취전(翠翠傳)을 가리키는 듯하다. 전등신화는 이미 1494년에 조선본이 나왔으니, 민간에서 한문으로 전사되거나 한글로 번역되어 유통되었으며, 혹은 구전(口傳)을 통해 개작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낙서거사는 아마도 환혼담(還魂談) 등의 전기적(傳的) 요소를 두고 음설망탄하다고 하였던 듯하다. 심경호의 조선시대 한문학과 시경론(일지사, 1999)을 참조하시오. 김시습은 전등신화(剪燈新話)를 높이 평가하여, 매월당집4전등신화(剪燈新話)의 뒤에 적다[題剪燈新話後]라는 시를 남길 정도였다. 사실,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전등신화(剪燈新話)등목취유취경원기(騰穆醉遊聚景園記)에서 착상을 얻었고,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위당기우기(渭塘奇遇記)에서 착상을 얻었으며, 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등목취유취경원기기(騰穆醉遊聚景園記)감호야범기(鑑湖夜泛記)에서,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영호생명몽록(令狐生冥夢錄)에서,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수궁경회록(水宮慶會錄)용당영회록(龍堂靈會錄)에서 일부 착상을 얻었다. 소급하여 말한다면, 금오신화(金鰲新話)의 환생담이나 귀신 설화는 중국의 지괴소설인 수신기(搜神記)이래의 문학적 전통을 이은 측면도 있다.

 

하지만 금오신화(金鰲新話)전등신화(剪燈新話)의 모방작이 아니며, 수신기의 지괴담을 직접 이은 것도 아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그 소재는 이미 조선 민중의 상상력의 세계에서 취하여 온 것이 많다. 또한 우리 문학사에서 전기소설이 창작될 수 있는 충분한 여건이 조성되어 있었기에 금오신화가 출현할 수 있었다벌써 나말 여초에, 아도원광서학연오세오탈해왕선덕왕죽통미녀노옹화구보개지귀등 설화적 요소가 강한 서사물에서부터, 온달설씨녀도미백운제전수삽석남김현감호조신최치원등 소설적 허구성이 강한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태의 전기 서사물이 발달하였다. 금오신화는 우리 문학의 그러한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것이다.

 

 

 

 

 

 

인용

목차 / 지도

1. 금오신화?

2. 김시습

1) 김시습의 삶을 알 수 있는 자료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2) 김시습의 어릴 적은

3) 김시습이 방랑하게 된 것은

4) 김시습은 금오산에 정착하고는

5) 김시습이 환속하여 서울 근교에서 생활하기로 한 것은

6) 세간의 영욕에서 벗어나

7) 김시습은 또다시 방랑의 길을 떠나는데

8) 에필로그

3. 판본의 문제

1) 조선시대 초기 목판본 금오신화가 발견되었다

2) 금오신화는 언제, 몇 편이 지어졌는가

3) 금오신화를 목판으로 처음 간행한 윤춘년은 어떤 인물인가

4. 금오신화의 텍스트로는 또 어떤 것들이 있나

5. 금오신화의 다섯 이야기는 어떤 특징을 지니는가

6. 금오신화가 창작된 배경은 무엇일까

7. 금오신화가 담고 있는 문학적ㆍ철학적 메세지는 무엇인가

8. 금오신화는 후대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

9. 김시습의 저술로는 어떠한 것이 있었나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