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심경호, 세상을 향한 끊임없는 고뇌, 『금오신화』 - 2. 김시습, 6) 세간의 영욕에서 벗어나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심경호, 세상을 향한 끊임없는 고뇌, 『금오신화』 - 2. 김시습, 6) 세간의 영욕에서 벗어나

건방진방랑자 2022. 10. 24. 07:03
728x90
반응형

6) 세간의 영욕에서 벗어나

 

 

1481년에 김시습은 제문을 지어 조부와 부친을 제사지내고, 안씨(安氏)를 새 아내로 맞았다. 이때 수천부정(秀川副正) 이정은(李貞恩)남효온(南孝溫)ㆍ안응세(安應世)ㆍ홍유손(洪裕孫) 등 몇 사람과 깊이 교유하였다.

 

그 무렵, 노사신(盧思愼)에게서 장자를 배운 일이 있고 뒤에 송광사 주지가 된 조우(祖雨), 즉 우송광(雨松廣)이 수락산으로 김시습을 찾아왔다. 김시습은 그에게 밥을 짓게 해놓고는 먼지를 일으켜 한 숟갈도 들지 못하게 하였다. 이것은 월정만필(月汀漫筆)39에 전하는 일화다. 조우로부터 그 이야기를 들은 박지화(朴枝華)동봉은 주공과 공자를 대단찮게 여기고, 탕왕(湯王)과 무왕(武王)을 그르다고 여긴 적이 있다. 그런데 노사신이 그때 총애받는 정승이었기 때문에 이와 같이 하였을 것이다[東峰嘗有薄周孔非湯武之意 盧其時幸相 故必如此云爾]”라고 말하였다.

 

그러한 김시습이었지만 남효온이 과거에 응하지 않자, “나는 영묘(英廟, 세종) 조의 사람으로 노산(魯山, 단종)의 일을 직접 보았기 때문에 지금 조정에서 벼슬하기 어렵네만, 그 뒤에 태어난 자네가 벼슬하지 않는다는 것은 너무 지나쳐!”라고 하면서 과거 응시를 권하였다. 남효온은 생육신의 한사람으로 꼽힌 인물이다. 25세 때 단종 모[昭陵]의 복위를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자, 홍유손 등과 죽림칠현을 자처하였다. 세상일에 비분강개하여 가끔 무악(毋岳)에 올라가 통곡하고는 하였다고 한다. 그도 방랑을 일삼다가 39세로 죽었다. 의분을 참지 못하는 성격이었고, 김시습을 스승으로 섬겨 세상 밖에 놀았던 것이다.

 

이 시기에 김시습은 북명(北銘)이라는 좌우명을 지어 선비로서의 풍모와 염치를 지켜야 한다는 뜻을 다잡았다.

 

水一瓢食一簞 切勿素餐 쪽박 물과 찬 밥을 먹을지언정 거저먹지 말며,
受一飯使一力 須知義適 한그릇 밥 받으면 걸맞는 힘을 써서 의리를 지켜야 하리라.
無一朝之患而憂終身之憂 하루 닥칠 근심보다는 종신토록 근심할 일 근심하고
有不病之癯而樂不改之樂 파리함을 병으로 여기지 않고 뜻 바꾸지 않는 즐거움을 누리리.
敦尙士風廉恥 선비의 풍모와 염치를 지키도록 하고
輕厭俗態詐慝 세속의 간특한 짓을 미워하라.
勿喜矜譽 勿嗔毀辱 뭇사람 칭찬에 기뻐하지 말고 뭇사람 깔봄에 노여워 말라.
怡然順理 悠然有得 기꺼이 천리(天理)를 따라 넉넉히 얻음이 있으리라.
無心出岫之雲影 무심히 봉우리 위로 피어나는 구름 그림자같이
不阿懸空之月色 사심 없이 허공에 달려 있는 달빛과도 같이
動靜語默忘形骸 일상의 동작 언어와 침묵에서 겉껍데기 육신을 잊어버려
羲皇上世之淳朴 상고시대의 순박함을 보존하고
容止軌則存想像 몸가짐과 행동에서 옛 성인의 전형을 지켜서
唐虞三代之典則 요순과 삼대의 전형을 따르라.
冀子觀省 感於北壁 부디 그대는 반성할 때마다 북벽에서 느끼시라.

 

김시습은 세간의 영욕을 벗어나 인()과 예()를 완성하는 생활을 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그가 추구한 예는 개인의 삶을 외적으로 구속하는 그런 것이 아니라 내면의 참된 가치를 발현하는 일 그 자체를 뜻한다. 인과 예를 추구하는 삶이란, ()와 이()를 엄격히 구분해서 의를 최고 가치로 삼아 인간 본연의 주체성을 확보하는 삶에 다름 아니었다.

 

 

 

 

 

 

인용

목차 / 지도

1. 금오신화?

2. 김시습

1) 김시습의 삶을 알 수 있는 자료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2) 김시습의 어릴 적은

3) 김시습이 방랑하게 된 것은

4) 김시습은 금오산에 정착하고는

5) 김시습이 환속하여 서울 근교에서 생활하기로 한 것은

6) 세간의 영욕에서 벗어나

7) 김시습은 또다시 방랑의 길을 떠나는데

8) 에필로그

3. 판본의 문제

1) 조선시대 초기 목판본 금오신화가 발견되었다

2) 금오신화는 언제, 몇 편이 지어졌는가

3) 금오신화를 목판으로 처음 간행한 윤춘년은 어떤 인물인가

4. 금오신화의 텍스트로는 또 어떤 것들이 있나

5. 금오신화의 다섯 이야기는 어떤 특징을 지니는가

6. 금오신화가 창작된 배경은 무엇일까

7. 금오신화가 담고 있는 문학적ㆍ철학적 메세지는 무엇인가

8. 금오신화는 후대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

9. 김시습의 저술로는 어떠한 것이 있었나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