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심경호, 세상을 향한 끊임없는 고뇌, 『금오신화』 - 7. 『금오신화』가 담고 있는 문학적ㆍ철학적 메세지는 무엇인가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심경호, 세상을 향한 끊임없는 고뇌, 『금오신화』 - 7. 『금오신화』가 담고 있는 문학적ㆍ철학적 메세지는 무엇인가

건방진방랑자 2022. 10. 24. 07:30
728x90
반응형

7. 금오신화(金鰲新話)가 담고 있는 문학적ㆍ철학적 메세지는 무엇인가

 

 

금오신화(金鰲新話)의 문학적ㆍ철학적 가치에 대하여, 기왕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들에 주목하여 왔다【『금오신화에 관한 기왕의 연구 가운데 대표적인 것만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임형택(林熒澤), 현실주의적 세계관과 금오신화, 국문학연구13, 서울대학교 국문학연구회, 1971. / 이재호(李載浩), 금오신화 고, 작자 김시습의 저항정신을 중심으로, 논문집14, 부산대학교, 1972. / 조동일(趙凍一), 초기 소설의 성립과 초기 소설의 유형적 특징,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77. / 정병욱(鄭丙昱), 금오신화 서설, 한국고전의 재인식, 홍성사, 1979. / 설중환(薛衆煥), 금오신화의 신연구,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1983. / 김명호(金明昊), 김시습의 문학과 성리학 사상, 35, 일지사, 1984. / 박혜숙(朴惠淑), 금오신화의 사상적 성격,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 안동준(安東濬), 김시습 문학사상 연구, 한국학대학원 박사논문, 1994. / 박희병(朴秉), 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1997. / 최귀묵(崔貴默), 김시습 글쓰기 방법의 사상적 근거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1997. / 윤채근(尹采根), 소설적 주체, 그 탄생과 전변, 월인, 1999. / 윤주필(尹柱弼), 한국의 방외인 문학, 집문당, 1999. / 이학주(李學周), 동아시아 전기소설의 예술적 특성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1999..

 

(1)

이재호 님은 금오신화를 김시습의 삶과 연결시켜, 단종의 손위(遜位) 사건에 대한 작가의 생각이 작품 속에 투영되어 있다고 보았다. 이를테면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에서 남원 여인의 환신이 삼대를 통해 양생을 받들겠다고 약속한 것은 작가가 세종에게서 받은 은총을 끝까지 보답하겠다는 염원을 보인 것이고,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의 최처녀가 도적의 칼날에 쓰러지면서까지 정조를 지킨 사실은 김시습 자신이 세조 정권에 지조를 팔지 않겠다는 굳센 의지를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에는 기준(箕準)위만(衛滿)에게 나라를 빼앗긴 사실과 약질인 선녀가 조상의 도움으로 천상으로 올라간다는 사건이 서술되어 있는데, 앞의 것은 세조의 정권탈취를 은연 중 가리키고, 후자의 선녀는 어린 단종을 상징한다고 하였다.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에서 박생이 염라왕의 다음 직책을 맡는 것은 찬탈자 세조를 저승에서나마 처단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에서 작가는 세종의 은총을 입은 자신의 과거를 추억하고 있으며, 한생은 작가 자신을, 용왕은 세종, 용녀는 문종과 단종을 그려낸 것이라고 하였다.

 

작중의 사건이나 인물을 작가의 일생과 무매개적으로 연결시킨 것은 문제점이 없지 않다. 다만 작품 곳곳에 작자 김시습의 삶이 배어 있는 것은 사실이며, 그렇기에 이 설은 참고로 해야 할 측면이 있다.

 

 

(2)

정병욱 님은 봉건적 속박으로부터의 인간성 해방내지 자유 연애의 제창금오신화(金鰲新話)의 주제라고 보았다.

 

 

(3)

임형택 님은 금오신화의 기본사상을 기일원론적 현실주의로 규정하였다. 즉 이 소설은 기일원론적 사유에 기초하여 미신적ㆍ비합리적 생활의식을 비판하고 이성에 기초한 민본적 정치 체제를 구현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는 것이다. 사실 김시습은 생사와 번뇌의 현실을 초탈할 필요가 있지만 생사와 번뇌의 현실을 떠나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여 현실주의 정신으로 불교사상을 받아들였고, 그렇기에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는 불교로써 불교를 부정하는 역설적 수법을 동원하였다.

 

 

(4)

김명호 님은 김시습이 성리학에 입각하여 불교를 적극적으로 비판했다는 관점에서 금오신화(金鰲新話)를 해석하였다. 예컨대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에서 다루어진 애정 갈등의 주제는 불교의 금욕주의에 맞서 인륜의 틀 내에서 인간의 정욕을 긍정한 성리학적 인성론이 반영되어 있다는 것이다. 고려말 이후 불교가 타락하여 그 극단적인 금욕주의의 이면에 성 풍속이 문란하게 되었는데, 김시습은 이 같은 풍속상의 갈등을 문제시하고 남녀의 애정 실현을 통해 인간성과 인륜에 대한 신뢰를 보여줌으로써 시대적 추세를 반영하였다는 설이다.

 

 

(5)

박희병 님은 금오신화(金鰲新話)의 주인공들은 작자의 고독과 그에 따른 심리감정을 형식화한 것이고, 비극적 결말 구조는 현존하는 세계를 부정하면서 초월하기를 희망하는 작자의 심리를 반영한다고 보았다. 금오신화(金鰲新話)에서 현존하는 인간 세계는 대단히 부정적인 것이며 그 속에서의 인간의 삶은 고독과 우수로 점철된 비극적인 것으로 인식된다. 작자는 이계(異界)를 설정함으로써 현존하는 세계의 부정적 면모를 비판하는 한 편, 있어야 할 세계의 모습을 제시한다. 그리고 세계와 운명의 횡포 앞에 굴하지 않는 인간의 아름다움과 숭고함을 묘사하여 횡포한 세계도 인간의 자기결단과 주체적 의지만큼은 어떻게 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했다.

 

 

(6)

역자는 이렇게 생각한다. 금오신화(金鰲新話)는 이승이든 저승이든, 속세든 용궁이든, 실재하는 현실 공간이든 상상 속에서 그려낼 수 있는 상징의 공간이든, 그 어떤 것도 독립적으로 원만구족한 의미를 지니지 못한다는 사실을 드러내었다. 자기 자신에게, 또 분별지에 휘둘리고 있는 독자에게, 이 소설은 우리가 사는 현실세계가 결함계(缺陷界)일 따름이라는 사실을 아프게 환기시키는 것이다. 결함계 속에 살아가는 등장 인물들은 모두가, 완전한 가치를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자각함으로써 슬픔을 느끼는 존재들이며, 독자들은 이 소설을 통하여 그 슬픔을 공감한다. 하지만 그러한 자각은 결코 현실로부터의 도피를 유도하지 않는다. 오히려 현실에 살면서 현실을 부정하는 자기 혁신의 고투를 개개인에게 요구한다.

 

김시습은 매월당집23에 수록된 잡설()의 한 논문에서, 천당ㆍ지옥의 설을 허설(虛設)’로 규정하면서 이렇게 말하였다. “불교에서 교()는 방편이니 권도와 진실을 병행한 것이고, ()은 곧바로 가리키는 것[直指]이니 순전히 참된 말이다.” 이것은 선의 직지를 일정하게 평가한 말이다. 그렇다고 김시습은 선종에 몰입한 불교도는 아니었다. 매월당집에 실린 시문을 보면 그는 유가적 현실주의자의 면모가 더 강하다. 그는 현실 속에 살면서 현실을 부정하려고 고뇌하였다. 그는 “12부의 불경에서 인연으로 비유하는 따위의 일은 모두 부처가 진실된 마음에서 말한 것이 아니다라고 단언한다. 그러한 그에게 어떠한 종교나 철학적 사상도 부분적 의미밖에 지니지 않으며, 기의(機宜)에 곡순(曲順)하는 언설에 불과하다. 그렇기에 그는 선사이면서도 부처를 좋아하지 않았다김시습보다 20세 연하로서, 그를 추종한 남효온이 수락산 은둔 시절의 김시습에게 준시(贈東峯) 2수 가운데 첫수에서 한 말이다. “시문으로 이름 떨친 지 삼십년 되었건만, 서울로는 발걸음을 돌리지 않으셨네. 수락산 앞바위는 때 만나 빼어나고, 뜨락의 나무들도 봄 맞아 아름답다. 선사께선 불법을 좋아하지 않으시고, 제자들은 모두 시짓기 능하도다. 스스로 한스러운 건 몸이 묶여 있어서, 스승 찾아 뵈올 뜻 이루지 못하기에[文名三十載 足不履京師 水落前巖得 春來庭樹宜 禪師不喜佛 弟子摠能詩 自恨身纏縛 尋師意未施].” 남효온은 이 시에서 김시습을 시인이라 불렀다. 물론 그 시인은 현실을 우울하게 응시하여 고통과 슬픔을 담아내는 그런 시인이었다. 남효온이 김시습과 주고받은 시에 대해서는 김성언(金性彦)남효온의 삶과 시(태학사, 1997)를 참조하시오.

 

김시습은 모든 상대적인 가치의 부정을 통해서 본래적 자아를 찾고자 시도하였다. 그가 보기에, 자기의 본래성을 직지(直指)’하는 일이야말로 결국 불완전한 현실성을 극복하고 본래성을 찾는 유력한 작략(作略)이었던 것이다.

 

 

 

 

 

 

인용

목차 / 지도

1. 금오신화?

2. 김시습

1) 김시습의 삶을 알 수 있는 자료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2) 김시습의 어릴 적은

3) 김시습이 방랑하게 된 것은

4) 김시습은 금오산에 정착하고는

5) 김시습이 환속하여 서울 근교에서 생활하기로 한 것은

6) 세간의 영욕에서 벗어나

7) 김시습은 또다시 방랑의 길을 떠나는데

8) 에필로그

3. 판본의 문제

1) 조선시대 초기 목판본 금오신화가 발견되었다

2) 금오신화는 언제, 몇 편이 지어졌는가

3) 금오신화를 목판으로 처음 간행한 윤춘년은 어떤 인물인가

4. 금오신화의 텍스트로는 또 어떤 것들이 있나

5. 금오신화의 다섯 이야기는 어떤 특징을 지니는가

6. 금오신화가 창작된 배경은 무엇일까

7. 금오신화가 담고 있는 문학적ㆍ철학적 메세지는 무엇인가

8. 금오신화는 후대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

9. 김시습의 저술로는 어떠한 것이 있었나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