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이인로 - 화귀거래사(和歸去來辭) 본문

산문놀이터/삼국&고려

이인로 - 화귀거래사(和歸去來辭)

건방진방랑자 2020. 8. 27. 08:24
728x90
반응형

헛된 부귀욕을 버리고 내 멋대로 살리

화귀거래사(和歸去來辭)

 

이인로(李仁老)

 

 

歸去來兮! 陶潛昔歸吾亦歸. 得隍鹿而何喜, 失塞馬而奚悲? 蛾赴燭而不悟, 駒過隙而莫追. 纔握手而相誓, 未轉頭而皆非. 摘殘菊以爲飡, 緝破荷而爲衣. 旣得反於何有, 誰復動於玄微? 蝸舍雖窄, 蟻陣爭奔. 蛛絲網扇, 雀羅設門. 臧穀俱亡, 荆凡孰存? 以神爲馬, 破瓠爲樽. 身將老於菟裘, 樂不减於商顔. 遊於物而無忤, 在所寓以皆安. 鱗固潛於尺澤, 翅豈折於天關. 肯逐情而外獲, 方收視以內觀. 途皆觸而無礙, 興苟盡則方還. 鵬萬里而奚適, 鷦一枝而尙寬. 解牛之悟惠, 斲輪之對桓,

歸去來兮, 老聃之所遊. 用必期於無用, 求不過於無求. 化蝶翅而猶悅, 續鳧足則可憂. 虛白於幽室, 種靈丹於良疇. 幻知捕影, 癡謝刻舟. 保不材於櫟社, 安深穴於神丘. 功名須待命, 遲暯宜歸休. 浮雲之無迹, 若枯槎之泛流.

已矣乎! 天地盈虛自有時. 行身甘作賈胡留, 遑遑接淅欲安之. 風斤思郢質, 流水憶鍾期. 尿死灰兮奚暖, 播焦穀兮何耔. 第寬心於飮酒, 聊遣興於作詩. 望紅塵而縮頭, 人心對面眞九疑. 東文選卷之一

 

 

 

 

 

 

해석

歸去來兮! 陶潛昔歸吾亦歸.

돌아가자! 도잠은 옛날에 돌아갔으니 나 또한 돌아갈래.

 

得隍鹿而何喜, 失塞馬而奚悲?

해자의 사슴 얻더라도득황록(得隍鹿): 세상의 일은 진위(眞僞)가 서로 뒤섞여 있는 가운데 마치 환영(幻影)이나 꿈을 꾼 것처럼 득실(得失)이 무상(無常)한 것을 뜻하는 말이다. () 나라 때 어떤 사람이 나무를 하다가 사슴을 잡아 해자()에 감춰두고 기뻐하며 돌아왔는데, 얼마 후에 감춰둔 곳을 깜박 잊어 그 일이 꿈 속에서 일어난 일이거니 생각하고 중얼거리며 돌아오는 것을 다른 사람이 듣고, 그곳을 찾아가 보니 사슴이 있었다. 집으로 가져 와서 그의 아내에게 그 내력을 얘기하고는 내가 사슴을 얻었으니 그 사람은 참 꿈을 꾼 것이다.” 하니, 그 아내가, “당신이 실제로 그 사람을 만난 것이 아니라 꿈 속에서 만난 것이며, 이제 사슴을 얻었으니 당신이 참 꿈을 꾸었소.” 하였다. 그날 밤에 사슴을 잃은 나무꾼이 정말 꿈을 꾸었는데, 그 꿈에 따라 사슴을 가져 간 사람을 찾아내어 송사를 일으켰더니, 재판관이 그 사슴을 각각 반분하도록 하였으며, 뒷날 정군(鄭君)이 이 얘기를 듣고, “그 재판관도 꿈 속에서 그 사슴을 반분하라 한 것이 아니냐.” 하였다는 고사(故事)이다. 열자(列子)』 「주목왕(周穆王)」】 무에 기쁘겠으며 변방의 말 잃더라도 무에 슬프리오?

 

蛾赴燭而不悟, 駒過隙而莫追.

나방이 불에 달려들어 죽을 줄 깨닫지 못하고 망아지 틈 지남구과극(駒過隙): 달리는 말을 벽의 틈에서 내다보면 순식간에 지나가 버림과 같이 세월이 매우 빠름을 이르는 말이다.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나가는 허무한 인생이라는 말이다. 장자(莊子)』 「지북유(知北遊)하늘과 땅 사이의 우리 인생은, 흰 망아지가 조그마한 틈 사이를 지나가는 것처럼 그렇게 순식간에 사라지고 마는 것이다[人生天地之間, 若白駒之過隙, 忽然而已].”라는 말이 있다.은 쫓을 수 없네.

 

纔握手而相誓, 未轉頭而皆非.

겨우 악수하며 서로 친하자 맹세했지만 채 머리 돌리지도 않았는데 모두 그르쳤네.

 

摘殘菊以爲飡, 緝破荷而爲衣.

진 국화 따다가 저녁밥을 삼고 해진 연꽃을 길쌈하여 옷을 만드세.

 

旣得反於何有, 誰復動於玄微?

이미 무하유(無何有)의 고향으로 돌아왔으니 누가 다시 현미(玄微)함을 움직일 것인가?

 

蝸舍雖窄, 蟻陣爭奔.

달팽이 집이 비록 좁더라도 개미떼는 경쟁하듯 달리네.

 

蛛絲網扇, 雀羅設門.

거미줄로 문짝을 얽고 참새 그물은 문에 설치했네.

 

臧穀俱亡, 荆凡孰存?

장과 곡은 양을 모두 잃었으며 형과 범형범(荊凡): 춘추 시대에 범 나라는 아주 작은 나라였는데, 초왕(楚王)과 범군(凡君)이 서로 만난 자리에서 초왕의 신하가 범 나라는 망한다.’는 말을 세 번 되풀이하자, 범군이 말하기를 범 나라가 망하더라도 나의 존재는 잃게 할 수 없다. 범 나라가 망하여도 나의 존재를 잃게 할 수 없고 보면, 초 나라의 존재함도 존재함이 되기에 부족하다. 그렇다면 범 나라는 애당초 망한 것이 아니요, 초 나라도 애당초 존재한 것이 아니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장자(莊子)』 「전자방(田子方)」】 무엇이 존재하는가?

 

以神爲馬, 破瓠爲樽.

정신으로 말 삼아 타고이신위마(以神爲馬): 나를 변화시켜 엉덩이를 수레바퀴로 삼고, ()을 말()로 삼아서 내가 탈 것이다.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 깨진 박으론 술잔 삼으려네파호위준(破瓠爲樽): 혜자(惠子)가 장자(莊子)에게 말하기를, “내가 큰 박()의 씨앗을 심었더니 열매가 열렸는데, 닷 섬(五石)을 담을 만큼 크고, 물을 담자니 바가지가 찌그러질까봐 들 수도 없으며, 쓸모가 없네.” 하였더니, 장자(莊子)가 답하기를, “그런 큰 바가지가 있다면 왜 띄움박()을 만들어 강호(江湖)에 띄우지 않는가.” 하였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

 

身將老於菟裘, 樂不减於商顔.

몸이 장차 토구토구(菟裘): 지금의 산동성사수현(泗水縣) 북쪽인 노() 나라 고을 이름인데, 노은공(魯隱公)이 말하기를, “도구에 별장(別莊)을 경영하라. 내 장차 거기에 가서 늙으리.” 하였으므로 은퇴해 살 곳을 말한다. 좌전(左傳)에서 늙으리니 즐거움은 상산의 네 늙은이의 얼굴상안(商顔): 상산(商山)의 꼭대기 진() 나라 말기에 은사(隱士)인 사호(四皓)가 있던 곳으로, 지금 섬서성(陝西省) 상현(商縣) 동남쪽에 있다.보다 덜하지 않으리.

 

遊於物而無忤, 在所寓以皆安.

사물에서 노닐 적에 거슬림이 없으니 붙어 사는 곳이 모두 편안하구나.

 

鱗固潛於尺澤,

물고기는 진실로 한 척 연못에 잠겼고

 

翅豈折於天關.

새가 난들 어찌 하늘의 관문에 날개가 꺾이랴.

 

肯逐情而外獲, 方收視以內觀.

기꺼이 정을 따라 밖에서 획득하려는가? 곧 시각을 거둬 내면을 보세.

 

途皆觸而無礙, 興苟盡則方還.

길은 모두 닿는 곳마다 막힘이 없고 흥이 진실로 다하면 곧 돌아오리흥구진즉방환(興苟盡則方還): () 나라 왕자유(王子猶)가 눈 오는 밤에 배를 타고 섬계(剡溪)로 대안도(戴安道)를 찾아 갔으나, 문 앞까지 갔다가 돌아왔는데, 사람이 그 까닭을 물으니, “흥이 나 왔다가 흥이 다해 돌아가니 하필 안도를 보아선 무엇하리오[乘興而來 興盡而去 何必見].” 하였다.

 

鵬萬里而奚適, 鷦一枝而尙寬.

붕새의 만 리 무엇하러 가는가? 메추라기의 한 가지가 오히려 넓은 걸.

 

解牛之悟惠, 斲輪之對桓,

소를 해체하는 백정이 문혜군을 깨우쳤다는 걸 믿겠고, 수레바퀴 깎던 노인이 제환공에 대답했음을 아네.

 

歸去來兮, 老聃之所遊.

돌아가자! 노담이 놀던 곳 물어보리.

 

用必期於無用, 求不過於無求.

쓰임은 반드시 무용(無用)을 기약하고 구함은 구함이 없음을 지나지 않네.

 

化蝶翅而猶悅, 續鳧足則可憂.

나비의 날개로 변함은 오히려 기쁘지만 오리 다리 이어붙임은 근심할 만하지.

 

虛白於幽室, 種靈丹於良疇.

그윽한 방에서 흰 빛허백어유실(虛白於幽室): 빈 방이 훤히 빛나는데 길상(吉祥)이 머무른다. 마음이 비는 것을 이른다. 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을 보고 좋은 밭에 신령한 단약을 심지종영단어양주(種靈丹於良疇): 사람의 배꼽 밑에 단전(丹田)이라고 하는 곳이 있는데, 선가(仙家)의 양생법(養生法)에 단전에 결단(結丹)한다는 말이 있다..

 

幻知捕影, 癡謝刻舟.

그림자를 잡는 것이 환영임을 알겠고 배에 새기는 것이 어리석다는 걸 받아들이네.

 

保不材於櫟社, 安深穴於神丘.

역사의 재목이 되지 못하는 나무가 남았고 신구의 깊은 구멍에서 편안하지.

 

功名須待命, 遲暯宜歸休.

공명은 반드시 천명을 기다리고 늙어선 마땅히 쉼으로 돌아가리.

 

浮雲之無迹, 若枯槎之泛流.

뜬 구름 자취 없음에 인생 내맡겨 마른 뗏목 둥둥 떠다니듯 살리.

 

已矣乎! 天地盈虛自有時.

그만두자! 천지가 차고 비는 건 스스로 제 때가 있지.

 

行身甘作賈胡留, 遑遑接淅欲安之.

몸 행동하길 기꺼이 되놈 장사치가 배에 구슬 담은 걸고호(賈胡): 장사하는 되놈[賈胡]이 보배 구슬을 감추기 위하여 제 배를 가르고 그 속에 넣는다고 하는데, 이것은 재물을 탐하여 제 몸이 죽을 것을 모르는 사람들을 비유한 것이다. 하겠으며, 바쁘게 불리던 쌀 담고서 어디 가려 하는가?

 

風斤思郢質, 流水憶鍾期.

바람내는 도끼는 영 땅의 질영질(郢質): 서로 어울리는 짝을 말한다. () 땅의 장석(匠石)이 도끼를 휘둘러 상대방 코 끝의 흰 흙만을 교묘하게 떼어 내는 기술을 발휘하다가, 그 짝()이 죽고 나서는 그런 기술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장자(莊子)』 「서무귀(徐無鬼)」】을 생각하고 흐르는 물(류수곡流水曲)은 종자기 기억하지.

 

尿死灰兮奚暖, 播焦穀兮何耔.

죽은 재에 오줌 눈들 어찌 따뜻해지겠으며 탄 곡식 뿌린들 어찌 싹트랴?

 

第寬心於飮酒, 聊遣興於作詩.

다만 술 마시며 마음을 너그럽게 하고 하릴없이 시를 지어 흥을 풀어내네.

 

望紅塵而縮頭, 人心對面眞九疑. 東文選卷之一

세상 먼지 바라보면 머리 움츠러들기만 하니 사람 마음 대면해봐야 의심을 자아내는 참으로 구의산구의산(九疑山): 구의산은 호남성(湖南省) 영원현(寧遠縣) 남쪽에 있는 주명(朱明석성(石城석루(石樓아황(娥皇순원(舜源여영(女英소소(蕭韶계림(桂林자림(梓林) 등 아홉 봉우리의 산으로 모두가 모양이 같이 생겨서 보는 사람이 누구나 어느 봉이 어느 봉인지 어리둥절하여 의심을 내게 되므로 구의(九疑)라 이름하였다 한다. 일명 창오산(蒼梧山)이라고도 하는데, 옛날 순() 임금의 무덤이 있다 하며 옆에 소상강이 있다. 순 임금은 순행하다가 이곳에 이르러 죽었는데, 그의 이비(二妃)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은 소상강을 건너지 못하여 남편의 시체가 있는 곳을 바라보며 슬피 울다가 그만 빠져 죽고 말았다 한다.인 것을.

 

 

해설

이 작품은 도잠(陶潛)귀거래사(歸去來辭)에 화운(和韻)한 것이다. 그러나 주제 면에 있어서는, 도잠이 전원(田園)으로 돌아가자는 것이라면, 이인로(李仁老)는 현실의 삶이 명리(名利)에 얽혀 있음은 무의미하다는 것으로 일종의 계세적(戒世的) 여운(餘韻)을 함유(含有)하고 있다.

원주용, 고려시대 한시 읽기, 이담, 2009, 129

 

 

 

 

 

 

인용

작가 이력 및 작품

문학통사

歸去來辭

0717~18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