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서거정 - 동문선서(東文選序) 본문

산문놀이터/조선

서거정 - 동문선서(東文選序)

건방진방랑자 2019. 3. 19. 19:23
728x90
반응형

우리나라의 문선으로 올바른 문장의 모범을 공부하라

동문선서(東文選序)

 

서거정(徐居正)

 

 

사람의 무늬로서 문장의 탄생

乹坤肇判, 文乃生焉. 日月星辰, 森列乎上, 而爲天之文; 山海岳瀆, 流峙乎下, 而爲地之文, 聖人畫卦造書, 人文漸宣.

精一中極, 文之體也; 詩書禮樂, 文之用也. 是以, 代各有文, 而文各有體.

 

사람의 무늬는 책에 실려 있기 때문에 그 시대의 책을 보면 알 수 있다

典謨, 唐虞之文; 讀訓誥誓命, 知三代之文. , , , . 論其世, 考其文, 則以文選文粹文鑑文類諸篇, 而亦槩論後世文運之上下者矣. 近世論文者, 有曰: “, , 春秋戰國, 戰國三代唐虞.” 此誠有見之論也

 

우리나라 삼국까지의 문단 흐름

吾東方, 檀君立國, 鴻荒莫追, 箕子闡九疇, 八條. 當其時, 必有文治可尙, 而載籍不存.

三國鼎峙, 干戈日尋, 安事詩書. 然在高句麗, 乙支文德善辭命, 家百萬之師; 新羅. 登第者, 五十有餘人, 崔致遠黃巢之檄, 名震天下. 非無能言之士, 而今皆罕傳, 良可嘆已.

 

고려 이후 문단의 흐름

高麗氏統三以來, 文治漸興. 光宗設科取士, 睿宗好文雅, 繼而, 亦尙儒雅, 豪傑之士, 彬彬輩出. 兩宋搶攘之日, 屢以文詞, 得紓國患.

, 由賓貢中制科, 與中原才士頡頏上下者, 前後相望.

皇明混一, 光岳氣全, 我國家列聖相承, 涵養百年. 人物之生於其間, 磅礴精粹, 作爲文章, 動盪發越者, 亦無讓於古.

 

동문선을 만든 과정

是則我東方之文, 之文, 亦非之文, 而乃我國之文也. 宜與歷代之文, 幷行於天地間, 胡可泯焉而無傳也哉. 奈何金台鉉文鑑, 失之踈略, 崔瀣東人文, 散逸尙多, 豈不爲文獻之一大慨也哉.

恭惟殿下, 天縱聖學, 日御經筵, 樂觀經史, 以篇翰著述,, 雖非六籍之比 然亦可見文運之興替.

命領敦寧府事臣盧思愼, 吏曹判書臣姜希孟, 工曹判書臣梁誠之, 吏曹參判臣李坡曁臣居正, 裒集諸家所作, 粹爲一帙,

臣等仰承隆委, 採自三國, 至于當代辭賦詩文若干體. 取其詞理醇正, 有補治敎者, 分門類聚, 釐爲百三十卷, 編成以進, 賜名曰東文選.

 

동문선을 통해 학자들에게 바라는 점

居正竊念, : “觀乎人文, 以化成天下.” 盖天地有自然之文, 故聖人法天地之文; 時運有盛衰之殊, 故文章有高下之異.

六經之後, 皇朝之文, 爲近古. 由其天地氣盛, 大音自完, 無異時南北分裂之患故也.

吾東方之文, 始於三國, 盛於高麗, 極於聖朝. 其關於天地氣運之盛衰者, 因亦可考矣. 况文者, 貫道之器. 六經之文, 非有意於文, 而自然配乎道; 後世之文, 先有意於文, 而或未純乎道; 今之學者誠能心於道, 不文於文, 本乎經, 不規規於諸子, 崇雅黜浮, 高明正太, 則其所以羽翼聖經者, 必有其道.

如或文於文, 不本乎道, 六經之規彠, 落諸子之科臼, 則文非貫道之文, 而非今日開牖之盛意也.

然今聖明在上, 天地氣盛, 人物之應期而生, 以文鳴世者, 必于于而興焉. 亦何患乎無人也.

臣雖不才, 尙當秉筆竢之. 戊戌 四佳集卷之四

 

 

 

 

 

 

해석

 

사람의 무늬로서 문장의 탄생

 

乹坤肇判, 文乃生焉.

하늘과 땅이 처음으로 판이해지니 문장이 곧 생겨났다.

 

日月星辰, 森列乎上, 而爲天之文;

해와 달과 별이 빽빽하게 위에서 도열하니 하늘의 무늬가 되었고

 

山海岳瀆, 流峙乎下, 而爲地之文,

산과 바다와 산악과 강줄기가 아래에서 흘러 언덕이 만들어지니 땅의 무늬가 되었으며

 

聖人畫卦造書, 人文漸宣.

성인이 팔괘를 그리고 서계(書契)를 만들어 사람의 무늬가 점점 퍼져나갔다.

 

精一中極, 文之體也; 詩書禮樂, 文之用也.

정일함으로 중극하라라는 것이 문장의 체()이고, 시서예악은 문장의 용()이다.

 

是以, 代各有文, 而文各有體.

그러므로 시대마다 각각의 문장이 있고 문장에는 각각의 체가 있는 것이다.

 

 

 

사람의 무늬는 책에 실려 있기 때문에 그 시대의 책을 보면 알 수 있다

 

典謨, 唐虞之文; 讀訓誥誓命, 知三代之文.

서경의 전모【『서경堯典舜典大禹謨皐陶謨를 가리킴.를 읽으면 요순의 문장을 알게 되고 훈고와 서명【『서경에는 6종류의 문체가 있는데, 堯典舜典등의 전, 大禹謨皐陶謨등의 모, 伊訓의 훈, 湯誥康誥등의 고, 牧誓秦誓등의 서, 說命文侯之命등의 명이 그것이다.을 읽으며 하은주(夏殷周) 삼대의 문장을 알게 된다.

 

, ,

진나라에서 한나라로 한나라에서 위나라와 진나라로,

 

, .

위나라와 진나라에서 수나라와 당나라로, 수당에서 송나라와 원나라로 이어졌으니,

 

論其世, 考其文, 則以文選文粹文鑑文類諸篇,

시대를 논하고 문장을 상고해보면 문선문수문감문류의 여러 편으로

 

而亦槩論後世文運之上下者矣.

또한 대략적으로 후세 문운의 상하를 논할 수 있다.

 

近世論文者, 有曰: “, ,

근래에 문장을 논하는 사람이 말했다. “송나라 문장은 당나라 문장이 아니고 당나라 문장은 한나라 문장이 아니며

 

春秋戰國, 戰國三代唐虞.”

한나라 문장은 춘추전국의 문장이 아니고 춘추전국은 요순과 하은주 시대의 문장이 아니다.”

 

此誠有見之論也

이것은 진실로 식견이 있는 의론이다.

 

 

 

우리나라 삼국까지의 문단 흐름

 

吾東方, 檀君立國, 鴻荒莫追,

우리 동방은 단군이 나라를 세웠는데 아득하여 추리해볼 수 없고

 

箕子闡九疇, 八條.

기자가 홍범구주(洪範九疇)를 열었고 팔조법금(八條法禁)8가지 조항 중에 사람을 죽인 자는 즉시 죽인다.相殺以當時償殺”, “남에게 상해를 입힌 자는 곡물로써 배상한다.相傷以穀償”,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데려다 노비로 삼되, 돈으로 대신하고자 하면 1인당 50만 전을 내야 한다.相盜者 男沒入爲其家奴 女子爲婢 欲自償者 人五十萬의 세 조목만 전해지고 있다. 漢書28地理志」】을 펼쳤으니,

 

當其時, 必有文治可尙, 而載籍不存.

이 당시에 반드시 문치로 숭상할 만한 게 있겠지만 실린 전적이 보존되어 있지 않았다.

 

三國鼎峙, 干戈日尋, 安事詩書.

삼국이 솥발처럼 정립됨에 전쟁이 날로 이어졌으니 어찌 시서를 일삼았으리오.

 

然在高句麗, 乙支文德善辭命, 家百萬之師;

그러나 고구려에선 을지문덕이 외교문서를 잘 써서 수나라 백만 군사를 막았고,

 

新羅. 登第者, 五十有餘人,

신라에서 당나라에 들어가 급제한 사람이 50여 명이었는데,

 

崔致遠黃巢之檄, 名震天下.

최치원의 황소에게 쓴 격문[檄黃巢書]은 명성이 천하를 울렸다.

 

非無能言之士, 而今皆罕傳, 良可嘆已.

말에 재능이 있는 선비가 없는 건 아니었지만 지금은 모두 드물게 전해지니 진실로 탄식할 만할 뿐이다.

 

 

 

고려 이후 문단의 흐름

 

高麗氏統三以來, 文治漸興.

고려가 삼국을 통일한 이래로 문치가 점점 흥했다.

 

光宗設科取士, 睿宗好文雅,

광종은 과거제를 설치해서 선비를 취했고 예종은 문아함을 좋아했으며

 

繼而, 亦尙儒雅, 豪傑之士, 彬彬輩出.

이어서 인종과 명종 또한 시를 짓고 읊는 풍치를 숭상하여 호걸한 선비들이 연이어 배출되었다.

 

兩宋搶攘之日, 屢以文詞, 得紓國患.

북송과 남송, , 금나라가 창으로 쳐들어올 때 자주 문사들로 나라의 우환을 풀 수 있었다.

 

, 由賓貢中制科,

원나라 때에 빈공과에 급제하여

 

與中原才士頡頏上下者, 前後相望.

중원의 선비들과 상하로 겨룰 만한 사람들이 앞뒤로 서로 이어지게 되었다.

 

皇明混一, 光岳氣全,

명나라 황제께서 통일하셔서 삼광(三光)과 오악(五岳)의 기운이 온전해져

 

我國家列聖相承, 涵養百年.

우리나라의 열성列聖: 역대임금들이 서로 계승함으로 함양한 지 100년이다.

 

人物之生於其間, 磅礴精粹, 作爲文章,

인물들이 그 사이에서 나와 광대한 정수로 문장을 지었으니

 

動盪發越者, 亦無讓於古.

움직이며 발휘한 것이 또한 예전에 사양할 게 없었다.

 

 

 

동문선을 만든 과정

 

是則我東方之文, 之文,

그러니 우리나라의 문장은 한나라와 당나라의 문장이 아니고,

 

亦非之文, 而乃我國之文也.

또한 송나라와 원나라의 문장도 아니며 곧 우리나라의 문장일 뿐이다.

 

宜與歷代之文, 幷行於天地間,

마땅히 역대의 문장과 함께 천지의 사이에서 아울러 유행해야 한다.

 

胡可泯焉而無傳也哉.

어찌 사라져 전함이 없어서야 되겠는가.

 

奈何金台鉉文鑑, 失之踈略,

어찌하여 김태현이 지은 문감이 일실(逸失)되어 소략해졌으며

 

崔瀣東人文, 散逸尙多,

최해가 저술한 동인문이 흩어져 일실된 것이 오히려 많으니

 

豈不爲文獻之一大慨也哉.

어찌 문헌에 일대의 서글픈 일이 되지 않겠는가.

 

恭惟殿下, 天縱聖學,

삼가 생각건대 전하께서는 하늘이 내린 성스런 학자로

 

日御經筵, 樂觀經史,

날마다 경연을 여시고 즐겁게 경서와 역사서를 보시며

 

以篇翰著述,, 雖非六籍之比

역대의 편찬한 저술들이 비록 육경에 비할 건 아니지만

 

然亦可見文運之興替.

그럼에도 또한 문운의 흐름을 볼 만하다고 생각하시었다.

 

命領敦寧府事臣盧思愼, 吏曹判書臣姜希孟,

돈녕부사 노사신과 이조판서 강희맹과

 

工曹判書臣梁誠之, 吏曹參判臣李坡曁臣居正,

공조판서 양성지와 이조참판 이파와 거정에게

 

裒集諸家所作, 粹爲一帙,

여러 작가들이 지은 것들을 모아 순수하게 한 질을 만들라 명령하시었다.

 

臣等仰承隆委, 採自三國, 至于當代辭賦詩文若干體.

신하들은 우러러 융숭한 위임을 받들어 스스로 삼국으로부터 당대의 의 약간 편을 수집했다.

 

取其詞理醇正, 有補治敎者, 分門類聚,

말이 순정하고 다스림과 교육에 보탬이 될 만한 걸 취해 종류별로 분류했고

 

釐爲百三十卷, 編成以進, 賜名曰東文選.

130권으로 정리하여 편집하고서 올리니 동문선이란 이름을 하사해주셨다.

 

 

 

동문선을 통해 학자들에게 바라는 점

 

居正竊念, : “觀乎人文, 以化成天下.”

제가 삼가 생각해보건대 주역에서 인문에서 관찰하여 천하에 교화를 이룬다.”고 했다.

 

盖天地有自然之文, 故聖人法天地之文;

대개 천지엔 자연의 문장이 있기 때문에 성인은 천지의 문장을 본받았고

 

時運有盛衰之殊, 故文章有高下之異.

시기의 운세엔 성쇠의 다름이 있기 때문에 문장엔 고하의 다름이 있는 것이다.

 

六經之後, 皇朝之文, 爲近古.

육경 이후로 오직 한나라ㆍ당나라ㆍ송나라ㆍ원나라ㆍ명나라의 문장이 옛것에 가까웠다.

 

由其天地氣盛, 大音自完,

그래서 천지의 기가 성대했고 음률이 절로 완성됐던 것은

 

無異時南北分裂之患故也.

다른 시대처럼 남북 분열의 근심은 없었기 때문이었다.

 

吾東方之文, 始於三國, 盛於高麗, 極於聖朝.

우리 동방의 문학은 삼국에서 시작됐고 고려에서 성대해졌으며 조선에서 극대화되었다.

 

其關於天地氣運之盛衰者, 因亦可考矣.

이것이 천지기운의 성쇠에 관계되었다는 것을 또한 상고해 볼 수 있다.

 

况文者, 貫道之器.

하물며 문장이란 도를 싣는 그릇이다.

 

六經之文, 非有意於文, 而自然配乎道;

육경의 문장은 문식에 뜻을 두지 않았기 때문에 자연히 도에 짝했었다.

 

後世之文, 先有意於文, 而或未純乎道;

그러나 후세의 문장은 먼저 문식에 뜻을 두었기 때문에 간혹 도에 순수하지 않았다.

 

今之學者誠能心於道, 不文於文, 本乎經,

그러니 지금의 학자들이 진실로 마음을 도에 두고 문식함에 글을 짓지 않으며 육경에 근본하고

 

不規規於諸子, 崇雅黜浮, 高明正太,

제자백가에 급급하지 않으며 우아함을 숭상하고 부박함을 물리쳐 고명하고 정대히 한다면

 

則其所以羽翼聖經者, 必有其道.

성인의 경서에 도우려는 것이 반드시 그 길이 있으리라.

 

如或文於文, 不本乎道,

만약 혹 문식함에 글을 짓고 도에 근본하지 않으며

 

六經之規彠, 落諸子之科臼,

육경의 법칙을 저버리고 제자백가의 굴레로 떨어진다면,

 

則文非貫道之文,

문장은 도를 싣는 문장이 아니게 되고

 

而非今日開牖之盛意也.

오늘날의 주상께서 창을 연 성대한 뜻이 아니게 될 것이다.

 

然今聖明在上, 天地氣盛,

그러나 지금의 성스럽고 현명한 주상께서 윗자리에 계셔 천지의 기가 성대하니

 

人物之應期而生, 以文鳴世者,

사람과 사물이 기일에 응하여 태어날 것이고 문장으로 세상을 울릴 사람이

 

必于于而興焉.

반드시 연이어于于: 서로 이어지는 모양相屬貌 일어날 것이다.

 

亦何患乎無人也.

그러니 또한 어찌 사람이 없음을 근심하랴.

 

臣雖不才, 尙當秉筆竢之.

저는 비록 재주가 없기에 오히려 마땅히 붓을 잡고 후배들을 기다리겠다.

 

戊戌 四佳集卷之四

무술년(1478년 성종9)

 

 

인용

작가 이력 및 작품

한시사

문학통사

9344~46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