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박희병, 조선 후기 한문소설의 발전 - Ⅰ. 기존 연구의 방향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박희병, 조선 후기 한문소설의 발전 - Ⅰ. 기존 연구의 방향

건방진방랑자 2019. 11. 26. 10:49
728x90
반응형

 조선 후기 한문소설의 발전

 

박희병(朴熙秉)

 

 

. 기존 연구의 방향

 

 

조선 후기의 한문소설은 허균(許筠)의 작품을 중심으로 다양한 경향으로 발전한다김시습 금오신화, 우화소설 의인(擬人)소설, 화사(花史) 수성지(愁城誌) 등의 심성(心性) 가전. 대 한학자들이 즐겨 쓴 몽유록(夢遊錄)은 인간의 현실적인 삶의 문제를 꿈이라는 환상적인 비전을 통해 새로이 해석하고 있는 우화적 서사양식이다.. 17세기 초 허균성소부부고(惺所覆螺藁)에 실려 있는 남궁선생전(南宮先生傳), 엄처사전(嚴處士傳)」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 「장산인전(張山人傳)」 「장생전(蔣生傳)등은 ()’이라는 한문 서사양식의 구조에 따라 이야기가 전개되는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이들 작품은 세상을 등지고 숨어 사는 선비가 주인공인 소설이라는 뜻으로 흔히 일사(逸士) 소설로 지칭하기도 한다. 이 작품들에 등장하는 주인공은, 당대 사회에서 소외된 가난한 선비, 중인계층, 천민들이며, 자신들이 처해 있는 현실 상황에 대하여 불만을 품고 세상을 등진 채 살고 있는 재사(才士)나 이인(異人)들이다.

 

작가 허균은 이러한 인물들의 삶의 과정을 '()'이라는 서사 양식의 틀에 맞춰 서술하고 있지만, 사실의 기록이라는 차원을 뛰어넘어 일정한 방향으로 인물의 삶을 허구화시키고 그 성격을 재창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라는 양식에 창작 의식이 가미됨으로써 소설의 형상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여기서 조선 후기라는 시대구분은 대개 17세기 중반 이후 19세기 말까지의 시기를 가리킨다. 이 시기는 임진왜란병자호란의 두 전쟁을 계기로 하여, 조선조 봉건사회의 해체가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모든 분야에서 급속히 진행되었던 때라는 점에서 이전 시대와 그 역사적 성격을 달리한다.

 

이 시대의 특징으로 주목되는 것은 당대에 이룩된 사회적 생산력의 발전으로 기존의 봉건적 사회관계 내부에 상당한 변화가 야기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즉 양반층 안에서 소수의 집권 사대부 계층과 다수의 몰락 사대부 계층으로의 분화가 심각하게 일어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평민층 내부에서도 경제적 소유관계에 따른 활발한 계층분화가 일어나고 있었다.

 

특히 평민층은 그 계층적 분화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는 현실적이며 물질적인 의식과 그에 의거한 사회적 실천으로 봉건질서 내부에서 자신의 힘을 꾸준히 상승시켜 갔다. 그리하여 점점 자신의 물질적 기반을 상실해 간 양반층과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사회적 힘의 대립관계를 형성하기에 이른다【「양반전」】.

 

평민층은 이러한 대립관계 속에서 그 상승된 힘을 바탕으로 하여, 이미 경직되고 생동성을 잃은 양반층의 문화에 대체하여 자신의 구체적 생활에 어울리는 자기의 고유한 문화 창조를 시도했다. 이 시기에 발흥한 평민적인 문화 예술 장르들은 바로 이러한 시도의 발현이었다고 할 수 있다판소리, 한글소설, 탈춤,.

 

그런데 이러한 평민층의 사회ㆍ경제ㆍ문화적 힘의 상승은 기존의 전통적인 양반층 문화의 내용과 형식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며 그 변화를 일으켰다. 이 항목에서 우리가 살펴보려는 조선 후기의 한문소설은 바로 그러한 것들 중의 하나에 해당된다.

 

이처럼 이 시기 한문소설의 성립과 그 성격은, 당대의 역사적 변화와 대단히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 시대 한문소설로 가장 많이 연구되어 온 것은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작품들이다. 박지원의 소설작품으로는 호질(虎叱)」 「허생전(許生傳)이상 열하일기(熱河日記)에 수록, 마장전(馬駔傳)」 「민옹전(閔翁傳)」 「김신선전(金神仙傳)」 「예덕선생전(穢德先生傳)」 「양반전(兩班傳)」 「광문자전(廣文者傳)」 「우상전(虞裳傳)이상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에 수록 열녀함양박씨전(烈女咸陽朴氏傳)연상각선본(烟湘閣選本)에 수록 10편이 현전하고 있다. 봉건 말기의 위유(僞儒)를 풍자한 작품인 역학대도전(易學大盜傳)봉산학자전(鳳山學者傳)2편은 의론(議論)이 너무 과격해 나중에 박지원 스스로 없애버린 것으로 되어 있다정신으로서 모더니티 역시 마찬가지다.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박지원의 소설들이다. ‘양반전’ ‘호질’ ‘예덕선생전’ ‘열녀함양박씨전등 일련의 작품을 통해 박지원은 봉건적인 신분제를 비판하고 평등주의에 기반을 둔 새로운 사회윤리를 모색했을 뿐만 아니라 합리적 이성과 자연스러운 감정을 가진 보편적 존재로서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추구했다. 한편 그의 소설은, 문체는 굉장히 높고 신분은 낮은 매력적 모순이 있다. 연암은 조선이 근대화되어 가는 과정에서 의식 있는 지식인이었던 것이다. 그가 남긴 작품들에 담긴 모더니티를 생각할 때, 문화사적 측면에서 박지원은 참으로 이채로운 지식인이었다..

 

연암소설은 일찍이 김태준(金台俊)이 봉건사회에 대한 그 비판적 성격을 높이 평가한 이래 사회소설(社會小說)로서사회문제를 직접 취급하거나, 사회적 관심이 농후한 소설. 허생전은 허생이 10년 계획으로 글공부를 하다가, 가난을 이기지 못하여, 7년 만에 중단하고, 장안의 갑부 변씨(卞氏)를 찾아가 1만 냥을 빌려 안성장에서 장사를 시작하였다. 얼마 뒤 많은 돈을 벌어 좋은 일을 한 다음 10만 냥을 변 씨에게 갚은 뒤 두 사람은 친구가 되었다. 하루는 어영대장 이완(李浣)이 찾아와 북벌의 묘책을 묻자, 3가지의 지혜를 제공하였으나 이완이 모두 어렵다고 하자, 이완을 쫓아낸 후 자취를 감추었다는 줄거리이다. 이 소설은 북학파(北學派)에 속하는 저자 자신의 견해인 해외통상론(海外通商論)’ ‘용차론(用車論)’ 등 작가의 실학자로서의 경륜을 볼 수 있는 작품이며, 전기(傳奇)소설이 주류를 이루던, 당시에 현실 문제를 직시한 소설이었다는 점에서 한국소설사의 새 지평을 연 것으로 평가된다. 크게 주목받아 왔다. 해방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박지원에 대해 숱한 작가론이나 작품론이 씌어져왔지만, 여기에서는 그중 몇 가지만을 들어 그동안의 주요한 연구경향과 방법론의 갈래 및 그 문제점 등을 간략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가원(李家源), 이재수(李在秀) 등은 연암소설의 문학적 배경과 사상적 성격을 주로 실증적 비교문학적 방법에 입각하여 논술한 바 있다. 이들에 의해 연암 소설의 문헌적 측면은 소상히 밝혀질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에서는 작품 외적인 조건들과 작품 간의 관계가 다분히 기계적으로 파악되고 있고, 종종 작품 안의 개별적 요소가 작품 전체에서 분리되어 자의적이고 과대하게 해석되곤 하는 문제점이 엿보인다. 여기에서는 연암사상과 작품의 각각의 범주적 구조 및 그 상호관계가 특수하게 문제시되고 있지 못하다는 점에서 아직 본격적인 연암론이나 연암소설론이라고는 보기 어려울 것 같다.

 

이에 반해 이정탁, 이원주 등은 연암소설이 지니는 풍자적 성격에 주목하고 거기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연암소설의 두드러진 특징을 이루는 풍자정치적 현실과 세상 풍조, 기타 일반적으로 인간생활의 결함 ·악폐(惡弊) ·불합리 ·우열(愚劣) ·허위 등에 가해지는 기지 넘치는 비판적 또는 조소적(嘲笑的)인 발언.의 성격과 양태, 또 그 풍자의 대상 등이 집중적으로 규명될 수 있었던 것은 이들의 업적에 해당될 것이다.

 

박지원에게 풍자란, 중세적 봉건사회가 무너져가고 그 속에서 새로운 사회의 맹아가 싹트기 시작한 역사적 전변의 시대에 살면서 그 모든 추이들을 직시했던 작가 자신의 당대 사회현실에 대한 정신의 태도, 달리 말해 작가의 세계관과 직접 관계되는 문제일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봉건사회 해체와 대응되는 구조적 역사적 성격을 띠는 하나의 양식적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까지 파악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한다양반전은 조선조 후기의 사회가 와해의 징후를 보이기 시작한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의 배경은 벽촌인데, 그것은 이런 벽촌에서도 양반의 매매가 이루어진 것을 묘사함으로써 당시의 신분 질서가 심한 동요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호질은 작자가 실학사상을 확립해 가던 시기의 작품으로 풍자성이 가장 짙으며 사회에서 서민을 기만하고 사회의 질서를 어지럽게 하는 에 대한 자아비판이다. 그에게 당시 리더 계층인 선비()와 관리(大夫)는 둘이 아니었다. 그래도 지식인의 전범은 글 읽는 선비이다. 그는 선비들이 사론(士論:천하의 공정한 말)을 펼쳐 세상에 사기(士氣:의로운 기운)가 넘칠 때 천하가 바로 선다고 보았다. ‘연암집잡저(雜著)에 실린 원사(原士)’는 조선시대의 선비론이다. 글 속의 선비지식인으로 바꾸면 오늘날의 지식인론이 된다. 그는 말한다. “깨어 있으라, 지식인이여. 지식인이 바로서야 나라가 선다.”. 연암소설의 풍자적 성격에 대한 연구는 그 기왕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이런 각도에서 새롭게 재조명될 여지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박지원에 대한 개별논문은 아니지만, 민병수는 한문소설사를 기술하는 자리에서 종래 박지원의 소설작품으로 소개되어 온 10편을 모두 소설로 보는 데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있어 주목된다.

 

마장전(馬駔傳)민옹전(閔翁傳)」 「김신선전(金神仙傳)작가의 주관이 양()적으로 표현된 주관적인 문학이며 거기에 나오는 1인칭은 바로 작자 자신을 지칭하는 것이므로 소설이 될 수 없고, 예덕선생전(穢德先生傳)이나 광문자전(廣文者傳)」 「열녀함양박씨전(烈女咸陽朴氏傳)등은 시정에 흘러 다니는 이야기를 작자의 주관에 따라서 기술한 전기적인 수필에 불과하며, 우상전(虞裳傳)은 역관(譯官) 이언진의 시화(詩話)를 중심으로 한 실화이므로 이를 소설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민병수에 의하면 양반전」 「호질(虎叱)」 「허생전(許生傳)3편만이 소설로 인정될 뿐이다【「양반전」 「호질」 「허생등에서는 당시의 위정자ㆍ, 지식인 등 상층계층에 대한 현실적 비판과 각성을 촉구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한문 서사의 주류를 이루었던 ()’의 양식적 특성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는 것인데, ‘이라는 서사양식이 조선 후기에 이르러 소설적 형상성을 풍부하게 드러내면서 한문소설로 변모하고 있음을 말해주는 징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에는 이론적인 허점과 무리가 뒤따를 뿐 아니라 우리 고전소설사의 특수성이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긴 하지만 우리는 이를 통하여 앞으로 ()소설사이의 장르적 차이에 대한 이론적 규명이나 연암소설의 서사 전개 양상에 대한 더욱 깊은 논구가 필요함을 깨닫게 된다.

 

한편 연암소설을 당대의 실학사상, 그중에서도 특히 이용후생(利用厚生)백성들의 일상적인 생활에 이롭게 쓰이고,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이야말로 실천적인 학문의 내용이라는 뜻이다의 사상과 결부시켜 연구한 것으로 이우성의 논문이 있다. 그에 따르면 민중과 집권층의 중간에서 자기에게 부여된 올바른 임무를 수행하려는 자세, 이것이 바로 박지원의 사회적 입장이었으며, 근대 양심적 인텔리의 사명감에 상통하는 것으로서, 박지원에게 있어서의 이러한 ()즉 선비로서의 자각이 종래 사대부들에게 전혀 의식되지 못했던 세계, 서민의 세계를 그의 의식세계 속에 선명히 떠오르게 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이처럼 서민의 세계를 향하여 새로운 의식세계를 확장하면서 창조적이며 진보적인 작품을 쓸 수 있었던 것은 결국 그의 배후에 신흥상공업자를 위시한 서민들의 움직임이 있었으며, 그 속에서 역사의 방향이 희구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이 논문의 기초가 되고 있는 박지원의 사상에 대한 해석이, 그 사상구조의 전체적 파악이나 시기에 따른 사상 내용의 성격변화에 대한 고찰이 충분히 이루어진 다음에 행해진 것은 아니라는 점, 또 일단 그렇게 해석된 박지원의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작품을 이해하고 있어 사상과 작품과의 관계가 다분히 정태적이며 일면적으로 파악되고 있지 않은가 하는 점 등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은 앞으로의 박지원의 문학에 대한 연구에 대단히 중요한 방향을 제시해 놓고 있다고 보인다. 그것은 무엇보다 박지원 사상의 성격이 총체적으로 파악되고 그것과의 매개 속에서 그의 문학이 조명되지 않으면 안 되겠다는 것, 뿐만 아니라 그의 그와 같은 사상까지도 그 속에 포괄되는 바인 당대의 역사상황 속에서 그의 문학이 고찰되어야 하겠다는 것, 그래야만 작품의 엄정한 객관적인 해석과 올바른 문학사적 위치정립이 비로소 기대될 수 있을 것이라는 등의 사실이다. 그러나 이 논문이 발표된 지 이미 20여 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이 논문이 시사한 이러한 연구방법론을 심화 발전시키면서 그 문제점을 보완하는 업적은 별로 나오고 있지 못한 것 같다.

 

물론 그간 연암소설의 역사적 성격에 주목하는 연구물은 적지 않았지만 이들은 대부분 이우성이 도달한 수준에마저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실은 박지원에 대한 그동안의 숱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우리 학계에는 아직 체계적이며 과학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보아 좋을 듯하다.

 

박지원을 단순히 그 작품 몇 편만을 놓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그것은 자칫 박지원을 왜소화시키거나 왜곡할 위험이 많다. 작품의 뒤에 굳건하게 버티고 있는 그의 사상과 그 시대적 고뇌의 성격이 문제되고 그것의 문학적 매개로서 그의 작품들이 연구될 때에만 비로소 박지원의 소설작품은 생동하는 것으로서 객관적으로 파악될 수 있을 것이며, 당대 정신의 거봉(巨峰)이며 위대한 소설가로서의 박지원의 모습이 실상대로 재구될 수 있으리라 믿는다. 거듭 말하지만, 박지원의 세계관의 역사적 운동과 구조를 보다 깊이 파고 들어가고, 그것과 작품과의 관계를 변증법적으로 문제 삼지 않는 한, 그에 대한 작가론이나 작품론은 그 어떤 것이든 자의와 피상의 테두리를 벗어나기 힘들 것이며, 따라서 그 본질에는 접근하지 못한 채 계속 공전할 가능성이 많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런데 연암소설은 적막 속에서 돌연 솟아오른 것이 아니다. 그 시대에는 한문단편소설의 창작이 박지원 이외의 많은 문인들에 의해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이옥(李鈺)심생전(沈生傳)·장복선전(張福先傳)·신아전(申啞傳)·상랑전(尙娘傳)·부목한전(浮穆漢傳)등에서는 시정인(市井人충효열녀(忠孝烈女이인(異人) 등을 주인공으로 하여 인간 존엄성의 긍정적인 수용과 시속의 부도덕성에 대한 고발과 그리고 현실에 대한 자각과 비극적 갈등이 반영되었다.. 연암소설은 당대의 이러한 분위기와 추세 속에서 산출된 것이었다. 그럼에도 지금까지의 이 시기 한문소설에 대한 연구는 박지원의 작품에만 한정되어 수행되어 왔었다. 종래의 이러한 연구경향과 태도는 연암소설 자체의 문학적인 발생의 측면을 신비 속에 빠뜨렸을 뿐 아니라 연암소설 이외의 훌륭한 많은 한문단편소설들을 문학사에서 소외시켜 버렸다.

 

김균태는 최근 무문자 이옥1760~1815년 조선 후기 정조 때 문신으로 문체반정에 연루되면서 잘못된 글을 짓는다는 공식 낙인이 찍혀 벼슬길에 나아가지 못하였다.의 작가론을 통해 종래의 이러한 연구태도에 반성을 가하고 있다. 비단 이옥에 대한 연구뿐만이 아니라 앞으로 이 시대의 다른 한문소설 작가들, 보기를 들면 석북(石北) 신광수(申光洙)나 담정(潭庭) 김려(金鑢)1766(영조 42)1822(순조 22). 조선 후기의 문인·학자. 15세에 성균관에 들어갔으며, 당시에 유행하던 패사소품(稗史小品)체의 문장을 익혔다. 그리고 김조순(金祖淳)우초속지라는 패사소품집을 냈다. 이옥(李鈺) 등과 활발한 교유를 하면서 소품체 문장의 대표적 인물로 주목받았다. 등의 작가들에 대한 계속적인 발굴과 연구가 시급하다 하겠다.

 

 

 

 

인용

목차 / 지도

. 기존 연구의 방향

. 초석 마련과 한문단편의 규정

. 관계설정과 한문소설의 의의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