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도올선생 중용강의, 30장 - 1. 문명창시자의 특징 본문

고전/대학&학기&중용

도올선생 중용강의, 30장 - 1. 문명창시자의 특징

건방진방랑자 2021. 9. 22. 04:19
728x90
반응형

301. 문명창시자의 특징

 

 

仲尼, 祖述堯舜, 憲章文武, 上律天時, 下襲水土.
중니는, 요님금과 순임금을 조술(祖述)하셨고, 문왕과 무왕을 헌장(憲章)하셨다. 위로는 천시(天時)를 따르시고, 아래로는 수토(水土)를 습()하셨다.
 
祖述者, 遠宗其道. 憲章者, 近守其法. 律天時者, 法其自然之運. 襲水土者, 因其一定之理, 皆兼內外該本末而言也.
조술(祖述)이라는 것은 멀리는 그 도를 높였다는 것이다. 헌장(憲章)이라는 것은 가까이는 그 법을 지켰다는 것이다. 율천시(律天時)라는 것은 그 자연의 운행을 본받았다는 것이다. 습수토(襲水土)라는 것은 일정한 이치를 따랐다는 것이니, 모두 내외를 겸하고 본말을 포함하여 말한 것이다.

 

 

중니 조술요순 헌장문무(仲尼, 祖述堯舜, 憲章文武)’

이번 장의 주자주(朱子註)를 보면 조술이라는 것은 먼 곳에서 그 도를 따르는 것이요, 헌장이라는 것은 가까운 데서 그 법을 지키는 것[祖述者, 遠從其道. 憲章者, 近守其法].’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조술(祖述)은 시간적으로 좀 멀리 있는 것이 되고 헌장(憲章)이라는 것은 시간적으로 가까이 있는 것이 됩니다.

 

공영달의 예기정의(禮記正義)를 보면, ()이라는 것은 법(), 즉 본받는다는 의미로 되어있고, ()이라는 것은 명() 밝게 한다’, 혹은 밝힌다는 의미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헌장(憲章)이라는 것은 본받아서 밝힌다는 말이 되는 것이죠. 여기서 문무(文武)라고 것은, (()과 댓구를 이루는 것으로서, 단순히 일반적 개념의 문()과 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문왕(文王)과 무왕(武王)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을 조술하고 문(()를 헌장 했다는 표현을 쓴 것을 보면, 이 중용(中庸)의 저자에게는 이미 공자(孔子)라는 사람이 중국 역사에 있어서 정통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에서 주자(朱子)가 말하듯이 도통(道統)적인 관념도 어느 정도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상율천시 하습수토(上律天時, 下習水土)’

그런데 이 문장 안에 상율천시 하습수토(上律天時, 下習水土)’라는 구가 나오는데 이것은 두 번째 강의에서 말했듯이 텍스트 비평에서 중요한 문제를 제기합니다. 이 말에는 이미 천지론(天地論)적 세계관이 전제되어 있다고 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음에 천지지무불지재 무불복주(天地之無不持載, 無不覆幬).’라는 말도 나오고 있고, 다음 약간 앞질러 31을 보면, ‘범유혈기자 막불존친(凡有血氣者, 莫不尊親).’구에 혈기(血氣)’라는 말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것들을 보면 확실히 이 문장 안에는 이미 천지(天地)론적 세계관이 들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실 이것이 공자(孔子)에게 해당되는 말이라고 한다면 넌센스라 하지 아니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이것은 공자(孔子)의 사상을 후대에서 천지론(天地論)화 해서 해석한 것입니다.

 

여기서 천시(天時)라는 것은 하늘의 시(), 즉 율령(律令)이나 월령(月令)을 말하는 것입니다. 어떤 달에는 단오절이 어떤 달에는 추석이 있고 하는 그 월령(月令)의 의미입니다. 다시 말한다면 칼렌다 시스템을 뜻하는 것인데, 천시(天時)는 월령(月令)적 세계관, 소위 말해서 천체의 운행에서 오는 계절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수토(水土)라는 것은 수(), 즉 물의 세계와 토(), 즉 땅의 세계를 말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문장 바로 다음에 천()은 덮는 것이고, ()는 싣는 것이라고 하고 있습니다[天地之無不持載]. 그리고 여기 수토(水土)라는 개념에 벌써 혈()의 관념이 들어가 있는 것인데, 31장의 혈기(血氣)’에도 하늘은 기()고 땅은 혈()이라는 천지론(天地論)적 세계관이 들어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모든 혈기를 가진 것들은 서로 존경하고 친하지 않음이 없으니 고로 하늘을 짝한다고 말한 것이다[凡有血氣者莫不尊親故曰配天].’이라는 말을 볼 때 이미 이 중용(中庸)의 저자는 인체를 볼 적에도, 생명을 볼 적에도 모두 혈기(血氣)로 보고 있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중용(中庸)의 저자는 혈기론(血氣論)적 세계관과 천지론(天地論)적 세계관이라는 프레임웍(framework) 속에서 공자(孔子)의 사상을 보고 있는 것이죠. 그래서 중니 조술요순 헌장문무 상율천시 하습수토(仲尼, 祖述堯舜, 憲章文武, 上律天時, 下習水土).’라는 말이 사실 공자(孔子)의 사상을 요약하는 말로서는 넌센스라는 것입니다. 논어(論語)에는 이러한 공자(孔子)가 없습니다. 즉 이것은 한대의 천지론(天地論)적 세계관 속에서 공자(孔子)를 보는 어떠한 틀로서 이해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문헌비평의 굉장히 중요한 포인트가 됩니다.

 

 

 

   

 

辟如天地之無不持載, 無不覆幬; 辟如四時之錯行, 如日月之代明.
이것을 비유한다면 하늘과 땅이 실어주지 아니함이 없고, 덮지 아니함이 없다. 비유컨대 사시(四時)가 교대하여 운행하니 해와 달이 교대하면서 밝음과 같다.
 
, 猶迭也, 此言聖人之德.
()는 질()과 같으니, 여기선 성인의 덕을 말했다.

 

여기 이 문장에 나오는 착()이라는 것은, 바로 주역(周易)에 나오는 말인데, 중용(中庸)이 주역(周易)적 세계관과 밀착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단서입니다. ‘사시지착(四時之錯)’이라는 말은, 사시가 교대하면서 운행한다는 의미인데, 주자(朱子)는 이것을 성인(聖人)의 덕()으로 말하고 있습니다[此言 聖人之德也].

 

 

 

 

 

 

 

인용

목차

전문

본문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