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이제현李齊賢: 1287(충렬왕 14)~1367(공민왕 16) 본문

한문놀이터/인물지도

이제현李齊賢: 1287(충렬왕 14)~1367(공민왕 16)

건방진방랑자 2019. 1. 16. 02:20
728x90
반응형

이제현李齊賢: 1287(충렬왕 14)~1367(공민왕 16)

자는 중사(仲思), 호는 익재(益齋)ㆍ실재(實齋)ㆍ역옹(櫟翁)

 

1287   검교정승 이진(李瑱)의 아들로 개성에서 출생. 본관은 경주, 초명은 지공(之公), 자는 중사(仲思), 호는 익재(益齋)ㆍ역옹(櫟翁)
1301 15 성균시에 장원, 이어 과거에 합격. 당시의 유력한 학자이자 권세가였던 권부(權溥)의 사위가 됨.
1308 22 예문관(藝文館)ㆍ춘추관(春秋館)에 들어감.
1310 24 선부산랑(選部散郞)에 승진.
1312 26 서해도안렴사(西海道按廉使)로 나갔다가 성균악정(成均樂正)ㆍ농저창사(豊儲倉事)를 지냄.
1313 27 내부부령(內府副令)ㆍ풍저감두곡(豐儲監斗斛)에 오름.
1314 28 백이정(白頤正)의 문하에서 수학하던 도중 충선왕의 부름을 받아 원나라 연경(燕京)의 만권당(萬卷堂)에 머물며, 당대 명류들과 교유.
1316 30 충선왕을 대신하여 아미산에 제사를 올리기 위해 3개월 동안 서촉(西蜀) 지방을 다녀옴. 이때 팔월십칠일 방주향아미산(八月十七日 放舟向峨眉山)이란 시를 지음.
1317 31 선부전서(選部典書)에 임명되고, 9월에는 명을 받들고 원나라에 가서 상왕의 탄일을 축하함.
1319 33 절강(浙江)의 보타사(寶陀寺)에 강향(降香)하러 가는 충선왕을 수행함. 이해에 충선왕(忠宣王)이 모함으로 유배됨.
1320 34 지밀직사(知密直事)에 올라 단성익찬공신(端誠翊贊功臣)이 됨. 지공거가 되어 최룡갑(崔龍甲)이곡(李穀) 등을 뽑음.
1321 35 부친 동암 이진의 상을 당함.
1323 37 원이 고려에 정동성(征東省)이라는 행성을 설치하려 하자 반대상서를 씀. 유배된 충선왕을 만나 위로하기 위해 감숙성(甘肅省) 타사마(朶思馬)에 다녀오고, 충선왕의 방환(放還)운동을 벌임.
1325 39 김해군(金海君)에 봉해짐.
1330 44 충혜왕 복위. 정당문학이 되었다가 얼마 안 되어 그만 둠.
1336 50 삼중대광(三重大匡)으로 영예문관사(領藝文館事)가 됨.
1339 53 조적(曺頔)의 난이 일어나 충혜왕이 원나라에 잡혀가자 그를 좇아 원에 가서 사태를 수습하여 왕이 복위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
1340 54 원에서 영구 귀국. 정국에 불만을 느껴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두문불출함.
1342 56 역옹패설(櫟翁稗說)을 저술함.
1344 58 충목왕이 8세의 나이로 즉위. 익재를 스승으로 삼고 판삼사사(判三司事) 직을 맡김. 정치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개혁안을 제시함.
1346 60 충렬ㆍ충선ㆍ충숙 3조의 실록을 찬수함.
1351 65 공민왕 즉위. 개혁정치를 추진하려 할 때 정승에 임명되어 국정을 총괄함.
1353 67 정승을 사임.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이색 355인을 뽑음.
1354 68 다시 우정승이 됨.
1356 70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오름.
1357 71 벼슬에서 물러남.
1367 81 7월 병으로 죽음. 공민왕 묘정에 배향됨. 시호는 문충(文忠)

 

평가

1. 성리학 발전에 역할을 했으며, 영사시(詠史詩) 위주로 주로 지음.

2. 익재집(益齋集), 익재난고(益齋亂稿), 역옹패설(櫟翁稗說)

 

  

민지

澠池

소악부

小樂府

다경루배권일재용고인운동부

多景樓陪權一齋用古人韻同賦

산중설야

山中雪夜

팔월십칠일 방주향아미산

八月十七日 放舟向峨眉山

범려

范蠡

과표모분시

過漂母墳詩

등곡령

登鵠嶺

금강산

金剛山

노상 자촉귀연

路上 自蜀歸燕

고정산

高亭山

감회

感懷

황토점

黃土店

 

범증론

范增論

송신원외북상서

送辛員外北上序

송신원외북상서

送辛員外北上序

소악부와 죽지사

역옹패설전서

櫟翁稗說前序

역옹패설후

櫟翁稗說後

상원백주승상서

上元伯住丞相書

상정동성서

上征東省書

송대선사호공지정혜사시서

送大禪師瑚公之定慧社詩序

금서밀교대장서

金書密敎大藏序

중수개국사기

重修開國寺記

운금루기

雲錦樓記

역옹패설

 

문학통사

한국한시사

 

 

 

 

 

인용

안내도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