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맹자 고자 하 - 6. 직하학파 총장 순우곤, 맹자에게 능력 없다고 비판하다 본문

고전/맹자

맹자 고자 하 - 6. 직하학파 총장 순우곤, 맹자에게 능력 없다고 비판하다

건방진방랑자 2021. 10. 20. 12:19
728x90
반응형

6. 직하학파 총장 순우곤, 맹자에게 능력 없다고 비판하다

 

 

淳于髡: “先名實者, 爲人也; 後名實者, 自爲也. 夫子在三卿之中, 名實未加於上下而去之, 仁者固如此乎?”

, , , 皆去聲.

, 聲譽也. , 事功也. 言以名實爲先而爲之者, 是有志於救民也; 以名實爲後而不爲者, 是欲獨善其身者也. 名實未加於上下, 言上未能正其君, 下未能濟其民也.

 

孟子: “居下位, 不以賢事不肖者, 伯夷; 五就, 五就, 伊尹; 不惡汙君, 不辭小官者, 柳下惠. 三子者不同道, 其趨一也. 一者何也? : ‘仁也.’ 君子亦仁而已矣, 何必同?”

, , 並去聲.

仁者, 無私心而合天理之謂.

氏曰: “伊尹之就, 以三聘之勤也. 其就, 進之也. 豈有伐之意哉? 其進伊尹以事之也, 欲其悔過遷善而已. 伊尹旣就, 則以之心爲心矣; 及其終也, 人歸之, 天命之, 不得已而伐之耳. 初求伊尹, 卽有伐之心, 伊尹遂相之以伐, 是以取天下爲心也. 以取天下爲心, 豈聖人之心哉?”

 

: “魯繆公之時, 公儀子爲政, 子柳子思爲臣, 之削也滋甚. 若是乎賢者之無益於國也!”

公儀子, , . 子柳, 泄柳. , 地見侵奪也. 孟子雖不去, 亦未必能有爲.

 

: “不用百里奚而亡, 秦穆公用之而霸. 不用賢則亡, 削何可得與?”

, 平聲.

百里奚, 事見前篇.

 

: “昔者王豹處於淇, 而河西善謳; 綿駒處於高唐, 而齊右善歌; 華周杞梁之妻善哭其夫, 而變國俗. 有諸內必形諸外. 爲其事而無其功者, 未嘗覩之也. 是故無賢者也, 有則必識之.”

, 去聲.

王豹, , 善謳. , 水名. 綿駒, , 善歌. 高唐, 西邑. 華周杞梁, 二人皆, 戰死於. 其妻哭之哀, 國俗化之皆善哭. 以此譏孟子無功, 未足爲賢也.

 

: “孔子爲魯司寇, 不用, 從而祭, 燔肉不至, 不稅冕而行. 不知者以爲爲肉也, 其知者以爲爲無禮也. 孔子則欲以微罪行, 不欲爲苟去. 君子之所爲, 衆人固不識也.”

, 音脫. 爲肉, 爲無之爲, 並去聲.

史記: “孔子爲魯司寇, 攝行相事. 人聞而懼, 於是以女樂. 季桓子君往觀之, 怠於政事. 子路: ‘夫子可以行矣.’ 孔子: ‘今且, 如致膰于大夫, 則吾猶可以止.’ 桓子卒受齊女樂, 郊又不致膰俎于大夫, 孔子遂行.”

孟子言以爲爲肉者, 固不足道; 以爲爲無禮, 則亦未爲深知孔子. 蓋聖人於父母之國, 不欲顯其君相之失, 又不欲爲無故而苟去, 故不以女樂去, 而以膰肉行. 其見幾明決, 而用意忠厚, 固非衆人所能識也. 然則孟子之所爲, 之所能識哉?

氏曰: “淳于髡未嘗知仁, 亦未嘗識賢也, 宜乎其言若是.”

 

 

 

 

 

 

해석

淳于髡: “先名實者, 爲人也; 後名實者, 自爲也. 夫子在三卿之中, 名實未加於上下而去之, 仁者固如此乎?”

순우곤이 명성과 실정을 먼저 하는 사람은 사람을 위한 것이고, 명성과 실정을 뒤로 하는 사람은 자신을 위한 것입니다. 부자께서 삼경(三卿) 속에 있었는데도 명성과 실정이 위아래에 더해지지 않고서 떠났으니, 어진 사람이 진실로 이와 같습니까?”라고 말했다.

, , , 皆去聲.

, 聲譽也. , 事功也.

()은 명성과 명예다. ()은 일에 따른 공적이다.

 

言以名實爲先而爲之者,

명실을 앞세우며 그것을 하는 사람은

 

是有志於救民也;

이것은 백성을 구제하는 데에 뜻을 둔 것이다.

 

以名實爲後而不爲者, 是欲獨善其身者也.

명실을 뒤로 여겨 하지 않는 사람은 이것은 홀로 그 몸을 선하게 하는 사람이다.

 

名實未加於上下, 言上未能正其君,

명실미가어상하(名實未加於上下)는 위로는 임금을 바르게 하지 못하고

 

下未能濟其民也.

아래로는 백성을 구제하지 못한다는 말이다.

 

孟子: “居下位, 不以賢事不肖者, 伯夷; 五就, 五就, 伊尹; 不惡汙君, 不辭小官者, 柳下惠. 三子者不同道, 其趨一也. 一者何也? : ‘仁也.’ 君子亦仁而已矣, 何必同?”

맹자께서 아래 지위에 있으며 어짊으로 불초한 사람을 섬기지 않은 사람이 백이이고, 다섯 번 탕왕에게 나가고 다섯 번 걸왕에게 나간 사람은 이윤이며, 더러운 임금도 미워하지 않고 작은 벼슬도 사양하지 않은 사람은 유하혜입니다. 세 사람은 방법은 같지 않았지만 취지는 하나였습니다. 하나는 무엇입니까? ()입니다. 군자는 또한 인할 뿐이니, 하필 같겠습니까?”라고 말씀하셨다.

, , 並去聲.

仁者, 無私心而合天理之謂.

()이란 사심이 없이 천리에 합치되는 걸 말한다.

 

氏曰: “伊尹之就, 以三聘之勤也.

양시(楊時)가 말했다. “이윤이 탕에게 나간 것은 세 번 초빙한 부지런함 때문이다.

 

其就, 進之也.

걸왕에게 나간 것은 탕이 그를 추천한 것이다.

 

豈有伐之意哉?

탕이 어찌 걸왕을 정벌할 뜻이 있었겠는가?

 

其進伊尹以事之也, 欲其悔過遷善而已.

이윤을 추천하여 섬기게 한 것은 개과천선하도록 할 것이다.

 

伊尹旣就, 則以之心爲心矣;

이윤이 이미 탕에게 나간 것은 탕의 마음으로 마음을 삼은 것이다.

 

及其終也, 人歸之,

걸왕의 종말에 미쳐 사람이 탕에 귀의했고

 

天命之, 不得已而伐之耳.

하늘이 그에게 명했으니, 부득이하게 정벌했을 뿐이다.

 

初求伊尹, 卽有伐之心,

만약 탕이 처음에 이윤을 구했을 때 곧바로 걸왕을 정벌할 마음이 있어

 

伊尹遂相之以伐,

이윤이 마침내 그를 도와 걸왕을 정벌했다면,

 

是以取天下爲心也.

이것이 천하를 취하는 것으로 마음을 삼은 것이다.

 

以取天下爲心, 豈聖人之心哉?”

천하를 취하는 것으로 마음을 삼았다면 어찌 성인의 마음이겠는가?”

 

: “魯繆公之時, 公儀子爲政, 子柳子思爲臣, 之削也滋甚. 若是乎賢者之無益於國也!”

순우곤이 노목공 시절에 공의자가 정치를 했고 자류와 자사가 신하가 됐지만 노나라의 영토의 줄어듦이 점점 심해졌다. 이와 같이 어진 사람도 나라에 무익합니다.”라고 말했다.

公儀子, , .

공의자의 이름은 휴이니 노나라의 재상이 되었다.

 

子柳, 泄柳. , 地見侵奪也.

자류는 설류다. ()은 영토가 점점 약탈당하는 것이다.

 

孟子雖不去,

순우곤은 맹자가 비록 떠나지 않았더라도

 

亦未必能有爲.

또한 반드시 훌륭한 일을 하지 못했을 거라 비난했다.

 

: “不用百里奚而亡, 秦穆公用之而霸. 不用賢則亡, 削何可得與?”

맹자께서 우나라는 백리해를 등용하지 않아 망했고, 노목공은 그를 등용하여 패자가 됐습니다. 어진 사람을 등용하지 않으면 망하니 영토가 덜어지는 것을 어찌 얻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말씀하셨다.

, 平聲.

百里奚, 事見前篇.

백리해의 일은 만장9에 보인다.

 

: “昔者王豹處於淇, 而河西善謳; 綿駒處於高唐, 而齊右善歌; 華周杞梁之妻善哭其夫, 而變國俗. 有諸內必形諸外. 爲其事而無其功者, 未嘗覩之也. 是故無賢者也, 有則必識之.”

순우곤이 옛날에 왕표(王豹)가 기수에 사니 하서지방 사람들이 노래를 잘 했고, 면구(綿駒)가 고당(高唐)에 사니 제나라 서쪽의 사람들이 노래를 잘 했고, 화주(華周)와 기량(杞梁)의 아내춘추(春秋) 때 제() 대부 기량(杞梁)이 전사(戰死)하자, 그 아내 맹강(孟姜)이 교외에서 상여를 맞이하는데 곡소리가 몹시 구슬퍼 듣는 이가 모두 눈물을 흘리고, 성벽(城壁)이 그 소리에 무너지고 말았다고 한다. 최표(崔豹)고금주(古今注)』 「기량처(杞梁妻)에는 남편이 죽자 그녀가 위로는 아비 없고, 가운데 지아비 없고, 아래로 자식도 없으니 산 사람의 고통이 지극하고나[上則無父, 中則無夫, 下則無子, 生人之苦至矣].”하며 길게 곡하자 도성의 성벽이 감동하여 무너졌고, 그녀 또한 물에 뛰어들어 죽었다고 했다가 잘 남편을 곡하니 나라의 풍속이 변했습니다. 내면에 있으면 반드시 외부로 드러나니 일을 하고서 공이 없는 사람은 제가 일찍이 본 적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어진 사람이 없는 것이니, 있다면 제가 반드시 알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 去聲.

王豹, , 善謳.

왕표는 위나라 사람으로 노래를 잘 부른다.

 

, 水名.

()는 물 이름이다.

 

綿駒, , 善歌.

면구는 제나라 사람으로 노래를 잘 부른다.

 

高唐, 西邑.

고당은 제나라 서쪽의 읍이다.

 

華周杞梁, 二人皆, 戰死於.

화주와 기량, 두 사람은 모두 제나라 신하로

 

其妻哭之哀, 國俗化之皆善哭.

아내의 곡이 애통했으니, 나라 풍속이 변하여 모두 곡을 잘하게 되었다.

 

以此譏孟子無功,

순우곤은 이것으로 맹자가 제나라에서 벼슬했지만 공이 없어

 

未足爲賢也.

어진 사람이라 할 수 없다고 비난한 것이다.

 

: “孔子爲魯司寇, 不用, 從而祭, 燔肉不至, 不稅冕而行. 不知者以爲爲肉也, 其知者以爲爲無禮也. 孔子則欲以微罪行, 不欲爲苟去. 君子之所爲, 衆人固不識也.”

맹자께서 공자께서 노사구가 되었는데 말이 쓰여지지 않고 따라가 제사했지만 제사고기가 오지 않자 면류관을 벗지 않고 떠나셨습니다. 공자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고기 때문이라 생각했고 공자를 아는 사람들은 예가 없었기 때문이라 생각했습니다. 공자께서는 작은 죄로 떠나고자 했던 것이지 구차하게 떠나려 했던 것은 아닙니다. 군자가 하는 것을 백성들은 진실로 알지 못합니다.”라고 말씀하셨다.

, 音脫. 爲肉, 爲無之爲, 並去聲.

史記: “孔子爲魯司寇, 攝行相事.

사기를 살펴보면 써있다. “공자가 노사구가 되어 재상의 일을 대신 행했다.

 

人聞而懼, 於是以女樂.

제나라가 듣고 두려워하며 이에 여인과 악공을 노나라 임금에게 보냈다.

 

季桓子君往觀之, 怠於政事.

계환자와 노나라 임금이 가서 그것을 보고 정치를 게을리 했다.

 

子路: ‘夫子可以行矣.’

자로가 부자께서 떠날 만하십니다.’라고 말했다.

 

孔子: ‘今且,

공자께서는 노나라는 이제 장차 교제를 지낼 것이니

 

如致膰于大夫, 則吾猶可以止.’

만약 제사고기가 대부에게 이르면 나는 오히려 그칠 만하다.’라고 말했다.

 

桓子卒受齊女樂,

계환자는 마침내 여인과 악공을 받았고

 

郊又不致膰俎于大夫, 孔子遂行.”

교제(郊祭)에 또한 제사고기가 대부에게 이르지 않아 공자는 마침내 떠났다.”

 

孟子言以爲爲肉者, 固不足道;

맹자가 말했다. “고기 때문이라 여기는 사람은 진실로 말할 만하지 않고

 

以爲爲無禮, 則亦未爲深知孔子.

무례했기 때문이라고 여기는 사람은 또한 깊이 공자를 안 사람이 되지 못한다.

 

蓋聖人於父母之國, 不欲顯其君相之失,

대개 성인이 부모의 나라에 대해 임금과 재상의 실수를 드러내고자 하지 않고,

 

又不欲爲無故而苟去,

또한 이유 없이 구차하게 떠나려 하지 않기 때문에

 

故不以女樂去, 而以膰肉行.

여악(女樂)으로 떠나지 않고 제사고기로 떠난 것이다.

 

其見幾明決, 而用意忠厚,

기미를 봄이 명쾌하고 뜻을 씀이 충후하니

 

固非衆人所能識也.

진실로 백성들이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然則孟子之所爲, 之所能識哉?

그렇다면 맹자가 행하는 것을 어찌 순우곤이 알 수 있는 것이겠는가?

 

氏曰: “淳于髡未嘗知仁,

윤순(尹淳)이 말했다. “순우곤을 일찍이 인을 알지 못했고

 

亦未嘗識賢也, 宜乎其言若是.”

또한 일찍이 어짊을 알지 못했으니 그 말이 이와 같은 게 마땅하다.”

 

 

인용

목차 / 전문 / 역주

삼천지교 / 생애 / 孟子題辭

12115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