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위상 - 1. 머리말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위상 - 1. 머리말

건방진방랑자 2022. 10. 23. 19:08
728x90
반응형

 금오신화(金鰲新話)의 문학사적(文學史的) 위상(位相)

 

 

1. 머리말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 1435~1493)금오신화(金鰲新話)는 지금까지 작가론적(作家論的) 측면(側面), 작품론적(作品論的) 측면(側面), 비교문학적(比較文學的) 측면(側面)에서 많이 연구(硏究)되어 왔다. 작가론은 그의 생애와 사상을 추적하는 연구(硏究)가 중심이 되었으며, 연구(硏究) 분량이 가장 많은 작품론(作品論)은 작가와 작품(作品)의 상관성, 작품(作品)의 구조분석, 사상성 내지 우의성(寓意性), 근래에는 성리학적 논쟁을 불러일으키기까지 다양한 연구(硏究)성과가 집적되어 왔다. 비교문학적(比較文學的) 논문은 그리 많지는 않으나 주로 금오신화(剪燈新話)ㆍ가비자(伽婢子)와의 관계를 다룬 논문들근래 東方比較文學硏究會에서 월남의 傳記漫錄(臺灣學生書局 刊行)과의 관계가 소개된 바 있다. (20차 월례 발표 陳京浩) 1987. 9.이고 근래에는 금오신화(金鰲新話)가 우리나라의 설화(說話)적 전통을 계승했다는 국내적 소원(溯源)을 다룬 논문이 나와 주목되고 있다.

 

금오신화(金鰲新話)의 기록은 김안로(金安老, 1481~1537)용천담적기(龍泉談寂記)6에서 이미 금오신화(剪燈新話)등을 모방하여 기이한 것을 기록하여 뜻을 붙여 지어 석실에다 감추었다고 한 기록이 보인다近代詩僧, 岑爲之領袖, 爲詩典重, 蔬筍氣. 入金鰲山, 著書, 藏石室, 曰後世必有知岑者, 其書大抵, 述異寓意, 금오신화(剪燈新話)等作也. -金安老, 龍泉談寂記 大東野乘. 원각사낙성회시서(圓覺寺落成會詩序)에는 을유춘(乙酉春)에 금오산실(金鰲山室)을 짓고 들어앉아 거기서 삶을 마치려 하였다余於乙酉春, 金鰲山室, 若將終身, 三月晦, 孝寧大君以從馬召余 -梅月堂全集2, 圓覺寺落成會고 하였으니 이 해는 1465(世祖 11) 그의 31세 때로 대개 금오신화(金鰲新話)가 이 무렵을 전후해서 지어진 것으로 추정한다.

 

이퇴계(李退溪, 1501~1570)허균(許筠, 1551~1588)에게 답한 글 가운데서 보면 이미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읽고 있었으나梅月, 別是一種異人, 近於索隱行怪之徒, 而所値之世適然, 遂成其高節耳. 觀其與柳襄陽書, 금오신화(金鰲新話)之類, 恐不可太以高見遠識許之也(答許美叔問目, 退溪集) 조광정(趙光亭)송시열(宋時烈, 1607~1689)에 답한 글에서 보면 이 책이 무척 진본이었음을 알 수 있다【『금오신화(金鰲新話)弟家本無 兄之所聞 或差也耶. 그러나 정병욱이 소개한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 1574~1656)의 친필전기집(親筆傳奇集) 가운데도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가 필사되어 있는 것을 보면 제한된 독자나마 국내에서 그 명맥이 유지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鄭炳昱, 崔文獻傳紹介, 國文學散藁, 新丘文化社, 1960.

 

한편 금오신화(金鰲新話)는 임란을 계기로 일본에 건너가 세 차례나 번각(飜刻) 간행(刊行)을 되었다. 초간은 1653(孝宗 4, 承應 2)으로 이를 내각문고본(內閣文庫本)이라고 한다. 임란 후 50여년 만에 일본 내각의 주도로 간행된 것이다. 그 후 다시 1673(顯宗 14, 寬文 13), 1884(고종 21. 明治 17)에 동경의 대총언태랑(大塚彦太郞)에 의해 재간되는데 이를 대총본(大塚本)이라고 하며, 우리나라에 역수입되어 온 곳은 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1927년 계명(啓明) 19호에 상ㆍ하 2책의 이 대총본(大塚本)을 소개하면서부터다大塚本內閣本이 저본이 된 것으로 그 내용은 誤脫字를 제외하면, 동일하다. 내각본은 말미에 承應二年仲春 崑山館道可處士 刊行이라 하였고, 大塚本卷首日人 依田百川梅月堂小傳이 실려 있고, 卷末에는 李樹廷跋文이 있다. (丁奎福, 금오신화(金鰲新話)內閣文庫本 解題, 高大 人文論集241979). 금오신화(金鰲新話)는 그간 오히려 일본에서 독자를 더 많이 얻은 듯한데 최남선(崔男善)은 그 증거로 강호석서기(江戶釋書記)의 번각조선서(飜刻朝鮮書)에 논급한 1702(元祿 15) 왜판서적고(倭板書籍考, 寺島宗義)금오신화(金鰲新話)(一本), 덕천막부시대 서적고(德川幕府時代 書籍考, 牧野善兵衛) 금오신화(金鰲新話)(二卷)를 제시하고 있다崔男善, 금오신화(金鰲新話)解題(啓明 19).

 

그러면 본론에서는 먼저 김시습(金時習)금오신화(金鰲新話)의 관계를 검토하고, 다음으로 작품(作品) 전체의 성격을 구분하여 개별 작품(作品)의 문학(文學)적 위상을 알아보기로 하자.

 

 

 

 

인용

목차 / 지도

1. 머리말

2.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금오신화(金鰲新話)

3. 작품별 분석

1.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2.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3. 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

4.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

5.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

4. 맺음말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