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장 군주 길들이기
폭탄을 품은 왕
당연한 말이지만 원래 강한 왕권은 강한 왕의 것이다. 그런데 대개 강한 왕이란 새 왕조를 세우거나 정변으로 집권한 왕인 경우가 많다. 건국자나 성공한 쿠데타의 리더는 그 인물됨과 상관없이 강력한 카리스마를 공인받을 수 있으며, 이는 자연히 강력한 왕권으로 이어진다. 지금까지 본 조선 초기의 역사에서는 태종과 세조가 그런 임금이었다. 그 뒤를 이은 세종과 성종은 사실 전 왕들이 다져놓은 강력한 왕권 덕분에 왕권과 신권, 즉 국왕과 사대부(士大夫)가 조화와 균형을 이루며 안정과 번영의 치세를 누릴 수 있었다. 이렇듯 왕권이 강하면 사대부는 자연히 국왕에게 협조하면서 관료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게 된다.
그러나 아무리 강력한 왕권이라도 몇 대에 걸쳐 약발이 지속되기는 어렵다. 태종과 세종이 누린 왕권도 문종과 단종(端宗)에게까지는 이어지지 못했다. 그 이유는 한동안 왕권에 눌려 지내다가도 왕권에 조금이라도 허점이 보이면 즉각 사대부들이 도전해오기 때문이다. 왕의 인물됨이 유약하거나 성격이 포악하거나 할 경우, 사대부들은 왕을 가지고 놀거나 자신들의 이익을 위한 도구로 이용한다. 예종(睿宗)이 사대부의 놀잇감이었다면, 성종의 맏아들로 1494년에 왕위를 이은 연산군(燕山君, 1476~1506, 재위 1494~1506)은 사대부(士大夫)의 도구로 활용된 경우다. 그는 사대부에게 저격당해 날개를 접은 최초의 군주가 된다【다른 군주들처럼 종(宗)이나 조(祖)자가 들어간 묘호를 받지 못하고 연산군이라는 이름으로 기록에 남은 사실 자체가 그 점을 말해준다(조선 왕계에서 보통은 ‘종(宗)’은 전 왕의 직계일 경우, ‘조(祖)’는 방계일 경우에 쓴다), 한 왕의 치세가 끝나면 다음 왕의 치세 초기에 전 왕에 관한 실록을 편찬하는데, 그 담당자는 춘추관(春秋館, 역사 기록을 담당한 관청이자 서고)에 소속된 사관(史官)이므로 실록 내용에 사대부의 관점이 강하게 투영되는 건 당연하다. 물론 현직 왕의 감수를 받지만 후임 왕이 전 왕을 타도하고 들어선 경우라면 사대부(士大夫)의 주장을 거부할 수 없다. 게다가 왕의 묘호를 정하는 것도 사관의 고유 권한이다. 연산군은 사대부의 배척을 받았기 때문에 군주였음에도 군주에 어울리는 묘호를 받지 못했다(그래서 그의 치세를 적은 기록도 다른 왕들처럼 ‘실록’이 아니라 ‘일기[연산군일기]’로 불린다)】.
사실 연산군은 세자로 책봉될 때도 아버지를 상당히 고민하게 만들었을 만큼 성격상의 결함이 있었다. 비록 나중에 그를 폐위시킨 사대부들의 일방적인 견해이기는 하지만, 학문을 싫어하고 폭력을 즐긴 데다 잔인한 고문 방법을 사용한 것을 보면 그가 전형적인 폭군이었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굳이 그를 변명하자면 거기에는 가정적인 문제가 개입되어 있다.
▲ 실록과 일기의 차이 위가 『성종실록』이고 아래가 『연산군일기』다. 연산군은 사대부들이 추존하는 국왕의 묘호를 받지 못했기에 그의 치세를 서술한 기록도 아버지 성종의 기록처럼 실록이 되지 못하고 일기에 머물렀다(사진 오른쪽 윗부분에 ‘日記’라고 쓴 게 보인다). 물론 그가 폭군이었다는 데는 의문의 여지가 없지만, 군주에게서 사후의 권리마저 빼앗은 것은 사대부(士大夫) 국가이기에 가능한 일이다.
문제의 발단은 성종 때인 1476년 성종의 비인 공혜왕후(恭惠王后)가 죽으면서부터다(한명회에게 딸이 더 있었더라면 즉각 후임 왕비로 들였으리라). 그녀는 아들은커녕 딸도 남기지 못하고 열여덟의 어린 나이로 죽었다. 다른 때라면 몰라도 성종이 친정을 시작한 첫해였으니 후사도 후사지만 왕비 자리를 공석으로 남길 수는 없다. 그래서 그는 숙의(淑儀, 후궁의 하나)였던 윤씨(원래 왕의 이름은 기록에 남지만 왕비는 대개 이름 대신 시호만 전해지는데, 윤씨의 경우에는 폐위되었기 때문에 시호도 받지 못했다)를 계비로 맞아들였다. 과연 그녀는 바로 그 해에 아들(연산군)을 낳아 성종을 흡족케 한다. 그러나 앞서도 말했듯이 성종은 유달리 여색을 밝혔다. 윤비는 유달리 질투심이 강한 여자였으니 그냥 넘어갈 리 없다. 아들을 낳은 위세를 등에 업고 그녀는 다른 후궁들에게 심한 투기를 보였으며, 급기야 성종의 얼굴에 손톱 자국을 내는 사건까지 일으켜 시어머니인 인수대비(仁粹大妃, 1437~1504, 덕종의 비 소혜왕후)와도 고부 갈등을 빚었다.
일반 가정 내의 다툼이라면 별 것 아니겠지만 왕실의 부부싸움이고 고부갈등이기에 문제가 된다. 이런 왕실의 허점을 사대부(士大夫)들이 놓칠 리 없다. 그래도 다수는 왕실 내의 문제에 개입하지 않으려 했으나 좌의정 윤필상을 비롯해서 한치형(韓致亨, 1434~1502), 성준(成俊, 1436~1504), 이극균(李克均, 1437~1504) 등 일부 대신들은 윤비의 행실을 공격하며 ‘자질론’을 거세게 주장한다. 이에 밀린 성종은 결국 1479년에 윤비를 폐위시키고 3년 뒤에는 사약까지 내렸다. 이미 사대부는 왕실의 사건을 빌미삼아 왕비마저 퇴출시킬 만큼 왕실에 대해 강력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어머니가 죽은 이듬해인 1483년에 연산군(燕山君)은 세자로 책봉되었다. 아직 일곱 살밖에 되지 않은 그에게 ‘어른들의 부끄러운 이야기’를 상세히 전할 필요는 없었을뿐더러 장차 왕위를 계승할 세자에게 자신의 생모가 겪은 비극을 알게 할 필요도 없었다. 그래서 이 사건은 비밀에 부쳐졌으나 실은 공공연한 비밀이었으니 연산군이 과연 진정으로 모르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가 이상 성격을 지니게 된 데는 필경 생모의 그런 운명에서 받은 영향이 컸으리라.
그래도 일단 즉위 초에는 아무런 문제도 없었다. 왜구와 건주여진이 해안과 변경을 침략하는 사건이 잦은 탓에 연산군은 비융사(備戎司)라는 특별기관을 두어 철갑옷과 투구를 생산하게 했고, 북도에 백성들을 이주시켜 장기적인 국방의 안정을 꾀했다. 게다가 학문을 싫어했음에도 그 전부터 진행된 문헌 편찬 사업을 독려해서 완간시키기도 했다. 아마 이는 성종 대의 평화로운 분위기가 자연스럽게 연장된 덕분이겠지만, 어쨌든 걱정했던 것과는 달리 순조로운 출발이다. 그런 분위기를 산산조각 내고 연산군의 내부에 숨어 있던 폭탄이 터지게 만든 건 사대부들이다.
성종 치세에 사림파가 훈구파에 맞설 만큼 성장하자 불안해진 것은 훈구대신들이다. 특히 성종의 큰 존경을 받았던 김종직(金宗直)의 제자들인 김굉필(金宏弼,1454~1504), 정여창(鄭汝昌, 1450~1504), 김일손(金馹孫, 1464~98) 등 이른바 영남학파 학자-관료들이 학문을 숭상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스승의 명성에 편승해서 사림파의 핵심으로 떠오르자 훈구파의 타깃은 자연히 김종직 일파에게로 향한다. 남이의 사건에서 보듯이 원래 꼬투리만 잡으면 실체가 없는 사건도 훌륭하게 역모로 엮어내는 게 훈구파의 특기가 아니던가? 과연 남이의 사건에서 ‘말만의 역모’로써 신흥 반대파를 쉽게 제거했던 유자광은 여기서도 크게 한 건 올린다.
사실 유자광은 개인적으로도 사림파를 물고 늘어질 꼬투리가 절실하게 필요했다. 앞서 남이의 사건에서 김종직은 유자광이 모함을 일삼는 소인배라며 공개적으로 경멸했기 때문이다. 비록 큰 모욕이긴 하지만 사적인 원한만으로 반대파를 공격할 수는 없는 일, 그래서 그는 때를 기다리며 ‘건수’를 노린다. 때마침 동병상련을 겪는 동지가 출현한다. 1483년 정희왕후가 죽었을 때 전라도 관찰사였던 이극돈(李克墩, 1435~1503)이 국상을 맞아 근신하지 않고 기생들과 술판을 벌인 일이 있었는데, 그 일이 사관의 귀에까지 들어가 사초에 기록된 것이다. 그 사관이 바로 김종직(金宗直)의 제자인 김일손이다. 이극돈 역시 훈구파의 한 보스였으므로 자연히 유자광과 함께 사림파에 대한 한풀이를 도모하게 된다【사초(史草)란 춘추관의 사관들이 매달 시정을 기록한 것인데(이것을 시정기時政記라 부른다), 나중에 왕이 죽고 난 뒤 실록을 편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실록의 ‘초고’인 셈이니, 이극돈은 그 기록을 그대로 놔두면 실록(그의 경우에는 『성종실록』)에까지 올라 대대손손 남게 된다는 게 두려웠을 것이다. 이런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원래 사관은 사초를 공개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었지만, 그런 원칙이 매번 엄격히 지켜질 수는 없다. 그래서 사초의 내용이 누설되면서 정치적 사건으로 비화되는 경우가 흔히 있었는데, 이번 경우가 그런 예다】.
사림파가 끗발을 올렸던 성종의 치세에는 꾹 참고 지냈던 그들이지만 이제 연산군이 즉위하고 사림의 대부인 김종직도 죽었으니 때가 왔다고 판단한다. 1498년 『성종실록』의 편찬이 시작되고 공교롭게도(과연 우연이었을까?) 이극돈이 그 책임자가 된 것은 절호의 찬스다.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아무리 상사라 해도 사관이 작성한 사초의 내용을 변경할 수는 없다. 그러나 적어도 실록이 편찬되기 전에 문제될 만한 내용을 공개해서 사건을 만들어낼 수는 있다. 이극돈이 주목한 것은 일찍이 김종직(金宗直)이 작성한 이른바 「조의제문(弔義帝文)이 사초에 수록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글은 김종직이 성종 때 쓴 것으로, 초나라의 항우가 황제인 의제를 죽이고 제위를 찬탈한 사건을 운문체로 비판한 내용이다. 옛 고사를 다룬 것처럼 보이지만 글이 씌어진 때가 때인지라 누가 보기에도 그것은 세조가 단종(端宗)에게서 왕위를 빼앗은 사건을 비난하고 있다는 게 분명하다(아무리 성종의 존경을 받는 김종직이라 해도 노골적으로 세조를 공격할 수는 없으니까 그런 간접 비판의 형식을 취했으리라). 게다가 그 글을 사초에 실은 김일손은 ‘김종직이 그 글을 통해 은연중 충정을 나타냈다’는 평가까지 덧붙여 놓았다.
이극돈은 즉각 유자광에게 통보했고 유자광은 즉각 작업에 들어갔다. 그는 훈구파의 양대 보스인 노사신과 윤필상을 움직여 연산군에게 그 사실을 보고한다(노사신은 친척들을 멋대로 관직에 등용했다가 사림의 공격을 받아 영의정 자리에서 물러난 적이 있었으니 역시 사적인 원한이 크다). 물론 세조를 비난하는 것은 연산군(燕山君)의 조상을 비난하는 것이다. 하지만 아버지 성종도 묵과한 일을 그가 발끈한 데는 말할 것도 없이 평소에도 사림파에 대한 불만이 컸기 때문이다. 사사건건 성리학을 앞세우며 왕에게까지 수신(修身)을 요구하는 건방진 사대부(士大夫) 사림파를 싫어했던 연산군은 기꺼이 훈구파의 책략에 넘어간다. 이렇게 해서 1498년 사림파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이 일어나는데, 이것이 바로 조선 최초의 사화(士禍)로 알려진 무오사화(戊午士禍)다(사초 문제로 비롯된 사건이니까 무오 ‘사화(史禍)’라고 할 수도 있겠다. 물론 1498년이 무오년이기 때문에 간지에 따른 이름이다).
죽은 김종직(金宗直)이 부관참시(剖棺斬屍, 관을 뜯어내고 시신의 목을 자르는 형벌)된 것을 필두로 김일손, 권오복(權五福), 권경유(權景裕) 등 사관들은 능지처참(陵遲處斬, 죄인을 죽인 다음 시신을 여섯 개로 쪼개 전시하는 형벌)을 당했고, 그밖에 사림파 계열의 학자-관료 수십 명이 곤장을 맞고, 유배되고, 파면되고, 투옥되었다. 심지어 중앙 관직에 오른 적이 없는 정여창까지도 사림의 태두라는 비공식적인 괘씸죄로 유배형을 받았다.
물론 사건이 이렇게 비화된 데는 유자광이라는 모리배의 역할이 컸으나, 이 사건을 단순히 개인들 간의 불화와 원한이 빚어낸 것으로 볼 수는 없다. 또한 역사가들이 흔히 말하는 것처럼 훈구파와 사림파의 파워게임으로만 보는 것도 충분하지 않다. 이 사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앞서 남이의 사건에서 보았듯이 다시 ‘말만의 역모’가 엄청난 피바람을 불렀다는 점이다. 세계 어느 나라의 역사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이 독특한 현상은 조선식 유교 정치의 특이성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유교 정치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명분이다. 설사 실력에서 앞선다 해도 명분에서 뒤지면 권력다툼에서 패배하게 된다. 성종의 치세에 사림파가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왕의 지원도 있었지만 온갖 수단으로 사리사욕을 채우는 데 급급한 훈구파에 비해 사림파가 유교적 명분에서 앞섰기 때문이다. 또한 힘에서 사림파를 압도함에도 불구하고 훈구파가 사화(士禍)를 일으키기 위해 굳이 구실을 찾은 이유도 그 때문이다. 이렇듯 정치에서 명분이 가장 중요했기에 ‘말만의 역모’라 해도 막강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이 점에서 보면 오늘날의 한국 정치도 옛 유교 정치의 폐단으로부터 결코 자유롭지 못하다).
무오사화(戊午士禍)가 밝혀준 또 다른 사실은 조선의 성격이다. 앞서 말했듯이 조선은 형식상으로 보면 왕국이지만 단순한 왕국이 아니라 사대부(士大夫) 왕국이다. 왕은 모든 권력의 중심이지만 실제적인 권한은 사대부 관료들에게 위임하고 있는 상징적인 존재이기도 하다. 따라서 왕권과 사대부의 권력, 즉 신권 사이에는 늘 갈등이 일어날 소지가 내포되어 있다. 개국 초기에는 왕권이 상대적으로 강했으므로 사대부 관료 세력을 어렵지 않게 제압할 수 있었으나(정도전이 섣부르게 사대부 국가를 건설하려다 파멸한 것은 앞서 본 바 있다), 점차 사대부(士大夫)의 힘이 성장하면서 특별히 강력한 카리스마를 지니지 않은 왕은 언제든 사대부에 의해 퇴출될 수 있게 된다. 연산군이 무오사화(戊午士禍)를 빚은 것은 어찌 보면 왕권이 신권을 확실히 제압할 만큼 여전히 강하다는 것을 말해주는 듯하지만, 실은 발단과 진행 과정이 모두 훈구파의 조종을 받은 것이었으니 전체적으로 보면 오히려 왕이 사대부의 손에 놀아났다고 봐야 한다. 개국 초에 사대부는 킹메이커로서의 역할에만 그쳤으나 이제 사대부는 군주를 입맛에 맞도록 길들이는 작업에 나서게 된 것이다. 이 점은 곧이어 또 한 차례의 사회를 겪으면서 더 분명해진다.
▲ 바다와 이어질 뻔한 경회루 역사에 폭군으로 기록된 인물들은 대개 후대에 볼 만한 유적을 남겼다. 진시황제의 여산릉이나 수 양제의 대운하가 그런 예다. 연산군도 하마터면(?) 그런 걸작을 남길 뻔했다. 그는 궁성의 지하에 수로를 뚫어 밀물 때 한강 하구를 통해 마포로 들어오는 바닷물을 경회루 앞의 연못까지 이어지도록 하는 대역사를 벌였으나 결국 미완성으로 끝났다.
연속되는 사화
무오사화(戊午士禍)는 연산군(燕山君)의 가슴 속에 품은 폭탄을 터뜨린 게 아니라 뇌관만 겨우 건드렸을 뿐이다. 그에게는 아직 풀지 못한 한이 있다. 그것은 바로 비명에 죽어간 그의 생모와 관련된 한이다. 포악하고 무도한 이상성격에다 출생의 비밀이 어우러졌다. 전형적인 3류 드라마의 주제다. 불행히도 그 드라마가 연극 무대가 아닌 현실의 무대에서 상연되면서 조선은 3류 국가로 전락하게 된다.
무오사화를 통해 사대부(士大夫)들은 중요한 신무기를 얻었다. 모함만으로도 반대파를 숙청할 수 있다면 그보다 더 좋은 일은 없다. 구체적인 역모의 증거 같은 것도 필요없고 그저 세 치 혀만 잘 놀리면 된다. 그런 다음에는, 성질은 더러워도 멍청하기 그지없는 꼭두각시 연산군이 다 알아서 처리해줄 것이다. 그 신무기를 처음 실전에 사용한 자는 성종 때 유자광과 죽이 맞아 비위에 거슬리는 관리들을 탄핵하다가 유배당한 경험이 있던 임사홍(任士洪, ?~1506)이다. 연산군이 즉위하면서 재기에 성공한 그는 아직 사화(士禍)의 피비린내가 채 가시지 않은 1504년에 또 다시 피바람을 불러일으킨다.
앞서 말했듯이 연산군이 자기 생모 윤비의 운명에 관해 전혀 모르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짐작으로 아는 것과 정확한 정보는 다르다. 그렇잖아도 한 차례의 사화(士禍)로는 사대부(士大夫)에 대한 증오가 완전히 풀리지 않았던 연산군(燕山君)에게 임사홍은 윤비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한다. 거기서 통로 역할을 맡은 자는 연산군의 처남인 신수근(愼守勤, 1450~1506)이다【신수근은 또한 연산군의 배다른 동생인 이역(李懌, 1488~1544)의 장인이기도 하다. 따라서 신수근은 같은 항렬의 형제에게 각각 여동생과 딸을 시집보낸 셈이 된다. 앞서 예종(睿宗)과 성종의 경우처럼 이것 역시 유교적 격식에 어긋나는 일이다. 이런 관행은 곧이어 조선이 사대부(士大夫) 국가가 되면서 유교적 예법이 강화됨에 따라 사라지게 된다. 신수근에 관해서는 또 다른 흥미로운 점이 있다. 얼마 뒤 그의 사위인 이역이 반정(反正)을 통해 중종으로 즉위하게 되지만, 신수근은 연산군(燕山君)에 붙었던 탓으로 살해되고 만다. 또 임사홍도 그 자신은 훈구파였으나 아들은 김종직(金宗直)의 제자였기 때문에 무오사화(戊午士禍)에서 피해를 입었다. 결국 훈구파와 사림파의 구분도 일부 골수분자들 외에는 그다지 뚜렷하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이렇게 당파의 이해 차이보다 공동의 이해관계가 더 컸기에 사대부(士大夫)는 조선을 사대부 국가로 만들 수 있었던 것이다】.
연산군은 바로 그들이 예상한 대로 움직여주었다. 생모가 폐위되고 사약까지 받았다는 사실에 꼭지가 돈 연산군은 아직 살아 있던 아버지 성종의 후궁 두 명을 궁중의 뜰에서 쳐죽인 다음 그들의 아들(그에게는 이복동생)들도 귀양을 보내고 사약을 내렸다. 더욱 심한 짓은 할머니인 인수대비에게 직접 폭력을 가해 살해한 행위다. 사실 연산군 개인을 위해서는 그쯤에서 끝냈어야 했다. 그랬다면 비록 패륜아로 취급될지언정 군주의 지위는 유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고삐가 풀려 버린 그는 20년도 더 지난 사건의 당시 주동자들을 색출해서 잡아죽이기로 결심한다. 그로 인해 정계에서 은퇴한 뒤 노년을 느긋하게 보내고 있던 윤필상을 비롯해서 이극균, 성준, 김굉필 등이 윤비 폐위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혐의로 처형되었다(김굉필은 무오사화로 유배되어 있던 중 처형되었으니 가장 재수없는 케이스다). 게다가 이미 죽은 한명회(韓明澮), 정창손, 정여창, 남효온 등은 부관참시를 당했으며, 그밖에 수백 명의 조정 대신들과 그 가족들이 처벌을 받았다. 이것이 이른바 갑자사화(甲子士禍)라 불리는 사건인데, 규모나 폭력성에서 전의 무오사화(戊午士禍)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다.
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한 점은 훈구파와 사림파 가릴 것 없이 무차별적으로 숙청당했다는 사실이다. 사림파의 정신적 지주였던 정여창(그는 사화士禍가 일어나기 불과 몇 개월 전에 죽었다)과 현실적 지주인 김굉필까지 화를 입은 데서 그 점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연산군(燕山君)의 의도는 뭘까? 두 차례나 대규모로 사대부(士大夫) 숙청을 단행한 그의 난폭한 행위에서 이상성격에 기인하는 부분을 빼면 뭐가 남을까? 일단 그는 생모의 사건이 아버지 성종의 의도와 무관하게 순전히 사대부들의 책동으로 빚어진 것이라고 판단했던 듯하다. 물론 후궁들과 인수대비도 관여했지만 그들의 배후에는 왕실 내의 알력을 이용해서 왕실을 조종하려 한 사대부들의 입김이 있었다. 따라서 연산군은 사대부 전체를 적으로 돌리고 모조리 싹쓸이하려 했을 것이다. 게다가 그로서는 그럴 만한 다른 동기도 있다.
학문을 싫어하는 군주가 대개 그렇듯이 연산군도 노는 데는 특별한 감수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알다시피 화끈하게 놀려면 많은 돈이 필요하다【당시 연산군(燕山君)의 파티 파트너는 TV 3류 사극에서 즐겨 다루는 장녹수(張綠水)였다. 원래 노비였던 그녀는 여러 차례 결혼해서 아이까지 낳은 몸이었으나 영리하고 가무에 능해 궁궐에 들어갈 수 있었다. 게다가 나이가 서른이 넘었음에도 얼굴이 열여섯 살 소녀처럼 예뻤던 덕분에 그녀는 곧 연산군의 총애를 받아 숙원(淑媛, 숙의보다 몇 아래 후궁)에까지 오른다. 폭군의 애첩이라면 권력과 부는 자연히 따르는 것, 그러나 장녹수는 거기에 머물지 않고 국정에도 간섭하면서 연산군의 머리 위에 군림하기에 이른다. 그녀는 연산군에게 교태와 아양을 떠는 것은 물론 때로는 그를 어린아이처럼 가지고 놀면서 욕설까지도 서슴지 않았다고 하는데, 연산군(燕山君)의 콤플렉스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치료제였던 셈이다】.
사치와 향락으로 왕실 재정이 바닥나자 그는 세금의 양을 늘리고 공신전과 그 소속 노비들마저 몰수하려 했다. 그렇게 되면 왕실의 재정 문제가 국가의 재정 문제로 비화되는 것은 시간문제일 뿐 아니라 사대부(士大夫)들의 이해관계와도 정면으로 충돌하게 된다. 이래저래 연산군은 사대부(士大夫) 전체와 대립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비록 두 차례의 사화(士禍)가 벌어진 데는 연산군이라는 폭군이 등장했다는 우연적 요인이 크게 작용했으나, 알고 보면 그것은 결코 단순한 우연이 아니다(그랬다면 폭군이 사라진 뒤 다시 원래의 체제로 컴백했어야 했으리라). 앞서 말했듯이 사대부는 훈구파는 사림파든 관계없이 왕권에 대해서만큼은 공동의 이해관계를 지니는 세력이다. 쉽게 말해 왕권이 강력하면 사대부의 처지는 똑같이 피곤해질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다. 따라서 왕권의 허점은 사대부에게 자신들의 권력을 증대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연산군은 폭군이었던 만큼 얼핏 보기에는 강력한 군주인 듯하지만 실상은 약점투성이의 허약한 군주다(사실 모든 폭군이 그런 점에서는 다 마찬가지다). 생모의 비극적 운명과 난폭한 이상성격이라는 치명적 약점이 결국 사화라는 사건으로 드러난 셈이다.
사대부의 승리
어쨌든간에 국왕의 총체적 공격을 받은 사대부(士大夫)는 일단 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덕분에 훈구와 사림의 수뇌부가 몰락한 것은 오히려 사대부 세력이 전열을 새로 정비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 한바탕 회오리가 몰아친 뒤 2년이 지난 1506년 연산군(燕山君)에게 미움을 받아 이조참판과 경기도 관찰사에서 좌천된 성희안(成希顔, 1461~1513)과 박원종(朴元宗, 1467~1510)은 사대부의 기득권층이 물갈이된 틈을 타서 새로운 리더가 되고자 한다. 마침 성희안은 문신이고 박원종은 무신이니 역할 분담도 좋다. 이들은 화를 면한 조정의 대신들과 지방의 유배자들을 움직여 세를 불리고 무사들마저 끌어모아 정권 타도 계획을 구체화한다(연산군은 유배자들이 반란을 일으킬지 모른다는 걱정에서 그들에게 고된 노동을 시키고 감시를 붙였으므로 어차피 그들은 살기 위해서라도 반란을 꾀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D-데이로 정해진 1506년 9월 1일 그들은 일사불란하게 움직여 임사홍과 신수근을 살해하는 데 성공한다. 권력을 행사하는 데는 두려움이 없었던 연산군(燕山君)이었으나 막상 자신이 권력 행사의 대상이 되자 졸지에 겁쟁이로 변한다. 하긴, 승지들조차 살려달라는 왕의 호소를 버리고 도망치는 판에 그를 도울 사람은 아무도 없다. 게다가 쿠데타 세력은 이미 거사의 성공을 예감하고 진성대군 이역을 다음 왕으로 정해둔 터였다(그는 성종의 둘째 아들이었으니 서열에도 맞는다). 이렇게 해서 이튿날 진성대군이 왕위에 오르는데, 그가 바로 중종(中宗, 1488~1544, 재위 1506~44)이므로 이 사건을 중종반정(中宗反正)이라고 부른다【이 사건에서는 재미있는 행적을 보인 두 사람이 있다. 하나는 앞서 말한 신수근이다. 그는 비록 연산군에 협력했고 사화의 주범이기는 하지만 진성대군의 장인이었으므로 처신만 잘했다면 새 정권에 합류하거나 적어도 죽음만은 면할 수 있었을 것이다. 사실 쿠데타 세력은 진성대군을 왕위 후보로 낙점하면서 먼저 신수근에게 합류를 권했으나 거부당했다. 결국 그로서는 막판까지도 눈이 어두웠던 대가를 혹독하게 치른 셈이다. 또한 반정 세력이 회유한 인물들 가운데는 유자광이 있었다. 성희안과 안면이 있고 지모가 뛰어나다는 이유 때문인데, 그 덕분에 유자광은 예종(睿宗)-성종-연산군 3대에 걸친 숱한 대형 사건에서 늘 승자의 편에서는 대단한 행운을 누렸다. 그러나 그과정에서 많은 적을 만들었던 그는 반정 이후 여러 차례 탄핵을 받아 결국 훈작을 모두 빼앗기고 유배되었다가 맹인이 되어 비참하게 죽는다】.
이제 사대부(士大夫)는 왕권에 대해 최종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연산군(燕山君)까지의 조선 임금들 열 명 가운데 왕족에 의해서 폐위된 왕은 있어도(단종의 경우) 사대부에 의해 실각한 왕은 없었다. 정도전(鄭道傳) 이래로 끊임없이 왕권을 제약하고 자신들의 권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바꿔 말하면 유교 이념에 입각한 사대부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노력해왔던 조선의 사대부는 마침내 목적을 달성했다. 이제 조선은 사대부(士大夫) 국가가 된 것이다.
물론 연산군(燕山君)이 결함투성이의 폭군이었던 것은 사실이다. 또한 군주가 폭군일 경우 신하들이 반란을 일으키는 것도 세계 어느 나라의 역사에서나 흔히 볼 수 있는 일이다. 그러나 폭군의 대명사라 할 옛 로마 제국의 황제 네로의 경우에서 보듯이(『종횡무진 서양사』, 「뿌리 2」 4장 참조), 또 숱한 권력다툼과 암살로 황궁이 조용할 날이 없었던 비잔티움 제국 황제들의 경우에서 보듯이(『종횡무진 동로마사』 참조), 중국 고대의 유명한 폭군인 은나라 주왕의 경우에서 보듯이, 폭군이 타도되면 반란 세력의 리더가 새 왕이 되는 게 보통이다. 그래서 왕조 자체가 바뀌거나, 아니면 적어도 왕계의 혈통이 바뀌게 마련이다. 그런데 이 점에서 조선은 세계사에 유례가 없을 정도로 아주 색다르다. 쿠데타를 주도한 조선의 사대부(士大夫)는 자기들 가운데서 왕을 선출하지 않고 기존의 이씨 왕실에서, 그것도 타도된 군주의 이복동생을 왕으로 삼은 것이다.
그 이유는 뭘까? 우선은 사대부들이 지향하는 게 유교 정치이기 때문이다. 그들이 지향하는 사대부 국가는 공화정이 아니라 엄연한 왕정이다. 그런데 유교왕국에서 왕이란 혈통이 고정되어 있고 세습되는 존재다. 따라서 아무리 사대부의 권력이 막강하다 해도 왕위 세습 자체를 무시하면 안 된다. 만약 그럴 경우에는 왕조 자체가 바뀌어야만 하는데, 고려-조선의 교체가 그랬듯이 원래 역성(易姓)이란 대단히 큰 사건이다【이 점이 서양식 왕국과의 가장 큰 차이다. 물론 서양식 왕국에서도 왕위의 세습은 있다. 예컨대 영국의 플랜태저넷, 튜더 왕조, 프랑스의 카페, 발루아 왕조 등은 모두 세습 왕조다. 하지만 중국이나 한반도의 왕조들과 달리 서양의 경우에는 왕조의 교체가 별로 큰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 그저 왕조의 마지막 왕에게 직계 후사가 없으면 방계 혈통으로 왕조가 바뀌는 것뿐이다(후사가 자주 끊어진 이유는 그리스도교의 법 때문에 국왕이 동양의 왕들처럼 많은 후궁들을 거느릴 수 없었기 때문이다). 보통 수백 년씩 지속되는 동양의 왕조들에 비해 서양 왕조들의 수명이 짧은 것은 그런 이유에서다】.
그래서 사대부(士大夫)들은 비록 연산군을 타도했으나 조선 왕조 자체는 유지하고자 한 것이다. 다시 말해 그들의 쿠데타는, ‘반정’이라는 용어가 말해주듯이 실종된 정의를 되찾은 것일 뿐이었다.
그러나 왕실 자체를 타도하지 않았다고 해서 왕권 자체를 인정한 것은 아니다. 사대부들이 오직 연산군(燕山君)만을 제거하기 위해 거사한 것이라면, 비록 지금은 성공을 거두었다 해도 향후 두 번 다시 그와 같은 폭군이 등장하지 않으리라고 보장할 수는 없다. 만약 또 다시 사화(士禍) 같은 일을 걱정해야 한다면 아무리 유교 이념에 충실한 사대부라 해도 왕조 교체를 결행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 반정 세력이 연산군의 이복동생을 왕으로 옹립한 것은 앞으로 왕권을 확실히 제압할 수 있다는 자신감의 발로라고 봐야 한다. 다시 말하면 중종은 그들의 꼭두각시라는 이야기다. 사실 중종은 그들덕분에 팔자에 없던 왕위를 물려받았으니 꼭두각시에도 만족해야겠지만.
▲ 부부의 소원 서울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연산군(燕山君) 묘다. 그는 중종반정(中宗反正)이 일어난 해(1506년) 11월에 유배지인 강화도에서 아내인 폐비 신씨가 보고 싶다는 유언을 남기고 죽었다. 과연 그가 죽고 나서 소원은 이루어졌다. 신씨가 중종에게 건의해서 연산군묘를 강화도에서 현재의 장소로 이장한 것이다. 사진에 보이는 두 개의 봉분은 그들 부부의 것이다.
인용
'역사&절기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횡무진 한국사 - 9부 사대부 국가의 시대, 양아치 세상 (0) | 2021.06.18 |
---|---|
종횡무진 한국사 - 9부 사대부 국가의 시대, 1장 개혁과 수구의 공방전 (0) | 2021.06.17 |
종횡무진 한국사 - 8부 왕국의 시대, 2장 진화하는 사대부 (0) | 2021.06.17 |
종횡무진 한국사 - 8부 왕국의 시대, 1장 왕권의 승리 (0) | 2021.06.17 |
종횡무진 한국사 - 7부 유교왕국의 완성, 3장 팍스 코레아나 (0) | 2021.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