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문과교육과정 (41)
건빵이랑 놀자
초과근무 1. 내용① 하루 최대 4시간 / 월 최대 57시간까지 인정(초과근무 결재 승인 시에만)② 평일엔 1시간의 시간을 공제 / 휴일이나 토요일엔 공제없이 분 단위까지 합산하여 계산③ 시간 단위로 수당이 지급되며 분 단위는 인정되지 않음. ④ 월 10시간의 시간외근무수당이 지급됨(한 달에 15일 이상 지각이나 조퇴 없이 정상근무한 경우)⑤ 출장비와 시간외근무수당 동시지급이 가능함. 2. 수당 단가 2024년 교감, 장학관15,291원 30호봉 이상14,312원 20~29호봉13,333원 19호봉 이하12,003원 수당지급정액분월 10시간초과분월 57시간최대월 67시간 초과근무 관련 주요사항 안내◆초과근무 신청 ⇒ ‘시간외근무’ 선택 신청 후 승인권자의 사전 승인◆ 초과근무 관련 ..

사전답사 유의사항 2024학년도 현장체험학습 사전답사 유의사항 안내 ○ 충남교육청 현장체험학습 운영 길라잡이(사전답사 부분, p. 24) 가. 숙박형 현장체험학습은 현장 답사를 하여야 한다. - 실시 전 1회 이상 현장 답사를 실시하되 시기, 방법, 대상 등은 당해 계약 방식 및 학교 사정 등을 고려하여 추진 1) 수학여행 현장답사는 1회 이상 실시하여야 하며 학교 사정에 따라 운영한다. 단, 현장답사 결과는 학교장에게 보고한다. 2) 현장 답사는 학생의 안전사고 예방에 중점을 두어 시행하되, 다음 사항을 중점 확인한다. 가) 실시경로ㆍ예정지와 수학여행ㆍ수련활동의 교육목적 부합 여부 나) 거리, 필요시간, 시설(식당 포함)의 수용 인원 및 안전위생 상태 다) 유해환경 인접 여부, 목적지 및 경유지의 ..

5. 내가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禍福在己, 得失在天. 해석禍福在己, 得失在天. 재앙과 복은 나에게 달려 있고 얻고 잃음은 하늘에 달려 있다. 인용전문

4. 성현과 영웅의 기질 聖賢多畏, 英雄多忌. 해석聖賢多畏, 英雄多忌. 성인과 현인은 두려워하는 것이 많고 영웅은 꺼려하는 게 많다. 인용전문

3. 자연의 이치를 따르다 盈天地之間者, 感應報復之理也. 해석盈天地之間者, 感應報復之理也.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것은 감응하여 되갚아주는 이치다. 인용전문

2. 기교 있음과 지혜에 대해 至巧無如造化, 大智無如聖人. 해석至巧無如造化, 大智無如聖人. 엄청 기교로운 것은 조화로운 것만 한 게 없고 매우 지혜로운 이는 성인만 한 게 없다. 인용전문

1. 거스름이 없는 따름 天地之開物成務, 順之而已; 聖賢之輔世行道, 推之而已; 英雄俊傑之興事造功, 待之而已. 古語曰: “順理行將去, 隨天分付來.” 與此語一種. 해석天地之開物成務, 順之而已; 聖賢之輔世行道, 推之而已; 英雄俊傑之興事造功, 待之而已. 하늘과 땅이 사물을 열어주고 힘써 이룸은 이치를 따랐을 뿐이고 성인과 현인이 세상을 도우며 도를 유행시킴은 이치를 확충했을 뿐이며 영웅과 준수한 이들이 사업을 일으키고 공을 만듦은 이치를 대우했을 뿐이다. 古語曰: “順理行將去, 隨天分付來.” 與此語一種. 옛 말에 “이치의 유행을 따라 가고[藏去] 하늘의 분수를 따라 온다”라고 했으니 이 말과 동일한 종류다. 인용전문

듀얼센스 PC 설정법 1. 기본 작업① 듀얼센스 유선 연결② 작업표시줄의 스피커에서 ‘우클릭 – 소리’로 들어가거나 제어판에서 ‘소리’로 들어감. 2. 햅틱 피드백 적용하기① 기기 이름(Wireless Controller)에서 ‘스피커 구성’ 들어가기 ② 오디오 채널에서 ‘4채널’로 설정한 걸 확인 후 다음 클릭 ③ ‘앞 양쪽 스피커’와 ‘서라운드 스피커’ 모두 체크 ④ 기기 이름(Wireless Controller)에서 ‘속성’ 들어가기 ⑤ ‘Enhancements’의 텝에서 ‘speaker Fill’ 체크 4. 듀얼센스를 연결하면 컴퓨터 스피커 소리가 안 날 경우① ‘소리’ 항목에서 기존의 쓰던 스피커를 찾기② 그 스피커를 클릭하고 ‘기본 장치로 설정’을 선택함. 인용목차
2022 개정 교육과정 문해력 향상을 위한 2024 중등 교육과정 현장교원 배움자리 추진계획 2024. 5 교육과정과Ⅰ 근거 및 목적 1. 근거 ○ 2024 충청남도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제2023-21호) ○ 2024 충청남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제2023-22호) ○ 2024 중등 교육과정 편성·운영 계획(교육과정과-1639, 2024.1.19.) 2. 목적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내실화 지원 ○ 교원의 교육과정 문해력 향상과 협업을 통한 민주적 학교문화 조성 ○ 2022 개정 교육과정 역량 강화 연수로 교실 수업 개선과 수업 나눔 확..

컴시간 주간 사용설명서( 주간시간표 ) 컴 시 간(http://comcigan.co.kr) 1. 프로그램으로 들어가기 가. 로그인 (1) 주간시간표작성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등록을 하고 등록된 사용자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주간시간표로 들어갑니다. (2) [컴시간 서버에서 불러오기]에서 마지막으로 저장한 파일을 선택합니다. - [현재 컴퓨터에서 불러오기]를 클릭하면 현재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파일을 열람하고 불러올 수 있습니다. - 처음 사용하는 경우에는 현재 화면을 건너뛰고 넘어갑니다. 2. 기본적인 시간표 작성 순서 (1) 다음과 같은 형식의 교사별 시수표 엑셀파일을 준비합니다.1) 반드시 위 형식에 맞추어 교사별 시수표를 작성하여야 합니다.2) ..
기획주제 Ⅱ ‘한문 고전 읽기의 고전 교육 실천방안 탐색’ 발표‘한문 고전 읽기’ 중 유가 경전·제자서 활용에 대한 이론과 적용 모색 발표자 : 김수경(공주대) ∥ 토론자 : 공민정(세종시교육청) ‘한문 고전 읽기’ 중 유가 경전⋅제자서 활용에 대한 이론과 적용 모색 김수경(국립공주대) Ⅰ. 서론 본 발표는 2022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 ‘한문 고전 읽기’의 교과서 편찬 과정이나 수업 운영 과정에서 유가 경전⋅제자서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데 주요 목적이 있다. 2022 개정교육과정이 공포되고 해당 교육과정에 교과서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문 고전 읽기’ 교육과정의 교과서 성격⋅목표체계⋅성취기준 및 교과서 개발 방향에 대한 논의들이 진행..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성취수준 및 평가 도구 개발-언어생활과 한자- 이군선(원광대학교), 오주학(가정고등학교) 1. 서론 ‘언어생활과 한자’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과목으로 정확하고 풍부한 언어생활에 필요한 한자와 한자 어휘를 익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고등학교 융합선택 과목이다. 신설된 과목이지만 2015 고등학교 한문의 내용 체계와 중복되는 부분(한자와 어휘,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과 새로운 개념으로 들어온 부분이 혼재해 있다. 그러나 언어생활 속에서 한자와 어휘의 활용이 주가 되는 만큼 현장 교사가 교수․학습 활동을 하는 데 생소하지는 않다. 그러나 아직 교육과정이 적용되지 않았고 성취수준이 결정되지도 않았으며 교과서가 존재하지 않아 수..

2. 영역별 성취수준 ∘한자와 어휘성취수준일반적 특성A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B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C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대체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D일부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E일부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문의 독해성취수준일반적 특성A문장의 구조, 문장 성분의 생략과 도치 등 문법적인 지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글의 내용과 ..

고등학교 한문 II 1. 교육과정 성취기준⋅평가준거 성취기준⋅평가기준 교육과정 성취기준 평가기준 [12한문Ⅱ01-01]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 상 모양․음․뜻이 다른 한자를 구별할 수 있다. 중 해당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 수 있다. 하 해당 한자의 모양이나 음이나 뜻을 알 수 있다. [12한문Ⅱ01-02] 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상 문장에 사용된 서로 다른 단어의 짜임을 구별할 수 있다. 중 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짜임을 알 수 있다. 하 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짜임을 추측해 볼 수 있다. [12한문Ⅱ01-03] 문장에 사용된 실사와 허사를 구별한다. 상 문장에 사용된 실사와 허사의 쓰임을 구별할 수 있다. 중 문장에 사용된 실사와 허사를 알 수 있다. 하 문장에 사용된 실사와 ..

2. 영역별 성취수준 ∘한자와 어휘 성취수준 일반적 특성 A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B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중 다수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C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중 다수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대체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D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중 일부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E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중 일부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

고등학교 한문 Ⅰ 1. 교육과정 성취기준⋅평가준거 성취기준⋅평가기준 교육과정 성취기준 평가기준 [12한문Ⅰ01-01]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 상 모양․음․뜻이 다른 한자를 구별할 수 있다. 중 해당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 수 있다. 하 해당 한자의 모양이나 음이나 뜻을 알 수 있다. [12한문Ⅰ01-02] 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 상 해당 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을 수 있다. 중 해당 한자의 부수를 추측하여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할 수 있다. 하 해당 한자의 부수를 추측해 볼 수 있다. [12한문Ⅰ01-03] 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 상 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른 모양으로 쓸 수 있다. 중 한자를 순서에 맞게 쓸 수 있다. 하 한자를 ..

2. 영역별 성취수준 ∘한자와 어휘 성취수준 일반적 특성 A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B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 중 다수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C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 중 다수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대체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D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 중 일부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E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 중 일..

Ⅱ. 성취기준ㆍ평가기준 중학교 한문 1. 교육과정 성취기준⋅평가준거 성취기준⋅평가기준 교육과정 성취기준 평가기준 [9한01-01]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 상 모양․음․뜻이 다른 한자를 구별할 수 있다. 중 해당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 수 있다. 하 해당 한자의 모양이나 음이나 뜻을 알 수 있다. [9한01-02] 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 상 해당 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을 수 있다. 중 해당 한자의 부수를 추측하여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할 수 있다. 하 해당 한자의 부수를 추측해 볼 수 있다. [9한01-03] 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 상 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른 모양으로 쓸 수 있다. 중 한자를 순서에 맞게 쓸 수 있다. 하 한자를..

5. 예시 평가도구의 활용 방안 학교 현장의 교사는 교과 교육과정에 입각하여 교수·학습을 진행하며, 수업과 연계된 평가를 통해 학생의 교육목표 도달도를 확인하여야 한다. 교과별로 다양한 평가 유형(선다형, 서술형, 수행평가) 및 상황(토론, 체크리스트, 관찰보고서, 체험 활동 보고서, 포트폴리오)에 알맞은 예시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써 학교현장에서의 평가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예시 평가도구는 지역별, 학교별 특성에 따라 개발되었다기보다는 전국의 평균적인 학교의 여건 및 수준을 고려하여 개발하였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단위학교에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교별 특성과 여건, 학생들의 실제 능력 수준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수정·보완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예시 평가도구의 활용 방안..

4. 단원/영역별 성취수준의 활용 방안 단원/영역별 성취수준은 각 단원 또는 영역에 해당하는 교수·학습이 끝났을 때 학생이 성취하기를 기대하는 지식, 기능, 태도에 도달한 정도를 수준별로 ‘종합적’이고 ‘포괄적’으로 기술한 것이다. 이 성취수준은 단원/영역별 교수‧학습의 계획 수립을 비롯하여 학생의 성취 정도 평가, 학생 및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단원/영역별 교수‧학습 설계 및 개선에 활용 단원/영역별 성취수준은 무엇보다 교수‧학습을 설계하거나 개선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평가기준이 개별 성취기준에 따른 학생의 성취 정도를 수준별로 제시하고 있어 단위 수업의 교수‧학습을 설계할 때 도움이 된다면, 단원/영역별 성취수준의 경..
2015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교육과정 목차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7] ① 한자와 어휘[9한01-0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12한문Ⅰ01-0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12한문Ⅱ01-0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9한01-02]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12한문Ⅰ01-02]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 [9한01-03]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12한문Ⅰ01-03]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 [9한01-04]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12한문Ⅰ01-04]한자의 짜임을 구별한다. [9한01-05]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12한문Ⅰ01-05]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12한문Ⅱ..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한문 • 문장의 구조나 문장 성분 찾기, 문장의 유형을 구별하도록 하되, 학습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 형태가 되도록 하고 문법적 내용보다는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학습의 경험 이전과 이후의 변화에 집중하며 학습의 과정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지필 평가, 관찰, 면담, 점검표, 논술 등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지필 평가의 결과, 토의 및 토론의 참여도와 결과물 등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다양한 산출물 및 참여 태도를 종합하여 평가 자료로 활용한다. 한문 Ⅰ • 문장의 구조나 문장 성분 찾기, 문장의 유형을 구별하도록 하되, 학습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 형태가 되도록 하고 문법적 내용보다는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교수・학습 방법 한문 • ‘문장의 구조’를 학습할 때에는 문장 구조 분석하기, 어순에 유의하여 문장 독해하기, 허사의 쓰임에 유의하여 문장 독해하기, 비교・분석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문장의 유형’을 학습할 때에는 비교・분석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소리 내어 읽기’를 학습할 때에는 낭송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끊어 읽기’를 학습할 때에는 토 달아 읽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내용과 주제’를 학습할 때에는 토의・토론하기, 역할 놀이 학습, 그림・만화 활용하기, 연극・방송 대본 만들기, 역사 신문 만들기, 가상 인터뷰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
2022 개정 교육과정 한문(고)[12한문02-04] 한시의 특징을 통해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가) 성취기준 해설• [12한문02-04] 이 성취기준은 한시의 특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한시의 특징이란 한시의 시체(詩體), 압운, 대우(對偶), 시상 전개 방식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한시의 형식적 특징을 이해하면 함축과 상징의 시어로 구성된 한시를 다면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한시를 감상할 때는 한시의 표면적 뜻뿐만 아니라 시어 속에 숨겨진 의미, 창작 배경, 문학적 영향 관계, 심미적 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아야 시를 감상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나) 성취기준 적용 시 ..

2015 개정 교육과정 한문 [9한02–06] 한문 산문은 문학적인 글은 물론 역사적・철학적인 글이나 심지어 실용적인 글조차도 각기 감상의 대상이 되는 하나의 작품이기도 하다. 여기서 감상(鑑賞)은 작품의 내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의 가치를 평가・감정(鑑定)하고 아름다움과 재미를 느끼는 심미적(審美的) 활동이다.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고 감정할 때에는 작품의 내용이 가지는 의미를 자신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어야 하며, 작품의 아름다움과 재미를 느낄 때에는 작품에서 자신이 느끼기에 특별히 멋있거나 재미있는 부분이 왜, 그리고 어떻게 멋있거나 재미있는지를 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문 Ⅰ[12한문Ⅰ02–07]한문 산문은 글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서술 방식을 사용한다. ① 가령,..

(라)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한문 • 한자는 그와 관련된 기초적인 지식의 성취와 활용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단순히 한자를 쓰는 순서를 묻기보다는 한자를 정확하고 바르게 쓰는 것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단순히 한자의 짜임이 무엇인지를 묻기보다는 한자의 짜임을 이해하고 한자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단순히 단어의 짜임이 무엇인지를 묻기보다는 단어의 짜임을 이해하고 한문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단순히 실사와 허사가 무엇인지를 묻기보다는 그 차이점을 구분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 텍스트만 제시하기보다는 삽화나 사진, 신문, 광고 등 실생활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평가 방식을 다양화한다. 한문 Ⅰ ..
2022 개정 교육과정 한문(고)[12한문01-04] 실사와 허사를 구별한다. (가) 성취기준 해설• [12한문01-04] 이 성취기준은 기본 품사를 이해하여 실사와 허사의 차이를 구별하고 단어, 성어, 문장의 풀이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품사에는 단독으로 어휘적 의미를 가진 ‘실사’와 문법적 의미만을 나타내는 ‘허사’가 있다. 실사에 속하는 품사로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부사가 있으며, 허사에 속하는 품사로는 개사, 접속사, 어조사, 감탄사가 있다. 개사(介詞)는 일반적으로 명사나 대명사 등 명사류(名詞類) 앞에 놓여 그 명사류를 서술어와 연결해주면서 처소, 대상, 도구, 시간, 원인, 비교 등의 뜻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접속사(接續詞)는 단어와 단어, 어구(語句)..

나. 성취기준 (1) 한자와 어휘 한문 한자는 글자 하나하나가 높은 형상성과 강력한 의미 전달력, 풍부한 조어력을 지닌 문자이다. 따라서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중심으로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문장 학습과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9한01-0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9한01-02]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9한01-03]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9한01-04]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9한01-05]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9한01-06]문장에 사용된 실사와 허사를 구별한다. 한문 Ⅰ 한자는 글자 하나하나가 높은 형상성과 강력한 의미 전달력, 풍부한 조어력을 지닌 문자이다. 따라서 한문 교육..

1. 성격 한문은 고전 문언문(文言文)으로 한자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던 국제적 표기 수단의 하나였다. 우리 조상들 역시 수천 년 동안 한자와 한문을 사용하여 사상과 감정을 표현해 왔으므로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사상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한문으로 기록된 각종 전적(典籍)들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독해력을 길러야 한다. 또한 우리가 일상생활에 쓰는 상당 부분의 어휘가 한자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특히 다른 교과에서 주로 사용하는 학습 용어의 상당수가 한자 어휘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원활한 언어생활과 다른 교과에서 사용하는 학습 용어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한문 학습이 필요하다. 그리고 한문 기록 속에는 우리의 정신문화가 대부분 축적되어 있어 현재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가치관의 문제 등을 치..

3.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가. 내용 체계 영역핵심 개념일반화된 지식내용 요소기능한문의 이해한자와 어휘한자는 하나의 글자가 모양・음・뜻을 지니고 있다.한자의 모양・음・뜻읽기풀이하기이해하기표현하기탐구하기조사하기분석하기활용하기한자의 부수한자의 필순한자의 짜임단어를 구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에는 일정한 결합 관계가 있다.단어의 짜임한문의 품사에는 단독으로 어휘적 의미를 가지는 실사와 문법적 의미만을 나타내는 허사가 있다.실사와 허사한문의 독해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 사이에는 일정한 결합 방식이 있다.문장의 구조읽기풀이하기이해하기표현하기비평하기감상하기탐구하기조사하기분석하기토의・토론하기활용하기화자(話者)가 자기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문장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문장의 유형글을 이루는 단어, 구절, 문장..
2015 개정교육과정 한문교과서 모음집 목차 1) 단문 1. 2자 성어 2. 3자 성어 3. 4자 성어 4. 격언 5. 속담 6. 기타 2) 산문 1. 고사 2. 과학 3. 명문 4. 사상 5. 설화 6. 소설 7. 역사 8. 인물 9. 일화 10. 지리 11. 풍속 12. 철학 3) 한시 1. 중국한시 2. 한국한시 4) 글 모음 효 매질에 눈물 흘린 백유 배려 洪相國瑞鳳之大夫人 賑恤 재치 음식에서 귀한 것(광해군) 借鷄騎還 지혜 旬日而體輕, 凌空而去 한 걸음의 철학 절제 子罕辭寶 욕심의 절제와 추구의 차이 직업 傳奇叟 웃긴 얘기 勸睡之物爾 신의 인용 지도

나라 표기법 가나가봉 가납(加納) 가봉(加蓬) 가이아나 감비아규아나(圭亞那) 강비아(岡比亞)과테말라 그레나다과지마랍(危地馬拉), 위지마랍(危地馬拉) 격림납달(格林納達)그리스 그린란드희랍(希臘) 녹주(綠州), 격능란군도(格陵兰群岛)기니 기니비사우기내아(幾內亞) 기내아비소(幾內亞比紹)나미비아 나우루납미비아(納米比亞) 노로(瑙魯)나이지리아 남수단니일리아(尼日利亞) 남소단(南蘇丹)남아공 네덜란드남비(南非), 남아공(南阿共) 화란(和蘭), 하란(荷蘭), 니덕란(尼德蘭)네팔 노르웨이니박이(尼泊爾) 낙위(諾威), 나위(那威)뉴질랜드 니제르신서란(新西蘭) 니일이(尼日爾)니카라과 니가랍과(尼加拉瓜) 덴마크 도미니카정말(丁抹), 단맥(丹麥) 다명니가(多明尼加), 다미니가(多米尼加)도이칠란트 동티모르독일(獨逸), 덕국(德國..

‘언어생활과 한자’ 성취기준 해설과 수업 적용의 실제 김소명․송은비 【국문초록】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우리 교육이 지향해야 할 가치와 교과교육 방향 및 성격을 기초로 미래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으로 ‘협력적 소통 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협력적 소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인 어휘력은 사람의 사고력을 보여주는 수단이자 사람의 생각을 결정짓게 하는 중추적 도구이다. 그런 의미에서 의사소통 능력과 문해력 신장을 목표로 두고 있는 ‘언어생활과 한자’는 현대 사회의 유의미한 과목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언어생활과 한자’의 성취기준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현직 교사의 관점에서 해석을 제시하고, 지도안의 형태로 수업 적용의 실제를 제안하여 새롭게 도입될 교..

가인박명(佳人薄命) 아름다운 이는 단명하리 한자어 佳 人 薄 命 뜻 아름다울 사람 엷을 목숨 음 가 인 박 명 풀이 아름다운 여인은 운명이 기구하거나 짧다는 말. 유래 아래 시를 지은 작자 소식(蘇軾)이 항주(杭州), 양주(揚州) 등의 지방장관으로 있을 때 우연히 절에서 나이 삼십이 이미 넘었다는 예쁜 여승을 보고 그녀의 아름다웠을 소녀시절을 생각하며 미인은 역사적으로 운명이 기박하였음을 시로 쓴 데서 전하여졌다. 雙頰凝酥髮抹漆 쌍협응소발말칠 두 볼은 엉긴 우유와 같고 머리는 옻칠을 한 것처럼 새까맣고, 眼光入簾珠白樂 안광입렴주백락 눈빛이 발에 들어오니 주옥과 같이 빛난다. 故將白練作仙衣 고장백련작선의 본디 흰 비단으로써 선녀의 옷을 지으니, 不許紅膏汚天質 불허홍고오천질 입술연지는 천연의 바탕을 더럽힌다..

절부지의 지도안 활동지 2장, 평가지 1장 1. 산문풀이 人有亡鈇者 意其鄰之子 문장의 구조: 주술목 구조 相其谷而得其鈇 相: 서로상, 재상상, 볼상 2. 내용이해(모둠활동, 본문을 그대로 적고 해석 쓰기) 의심나는 부분: 行步, 顏色, 言語, 動作態度 해소이유: 相其谷而得其鈇 결말: 無似竊鈇者 3. 가치관 함양(疑心) 이향: 본성, 아담과 하와 / 의처ㆍ의부 힘듦 승빈: 병, 믿질 않음 / 성경이나 고전에도 있음에 놀람 의심하는 건 사람으로서 당연한 것이지만 그렇기에 의심이 들 때마다 제어할 줄 알아야 올바른 관계를 맺을 수 있음. 자기ㆍ동료 평가지 작성 후 반장에게 제출 EBS 온라인 클래스에 업로드, 복습 시 참고 인용 목차 / 문제지 지도안(20, 21, 24) 영상(20, 21, 24)

각주구검 지도안 활동지1장, 평가지 1장 1. 산문풀이 楚人有涉江者 涉江: 술목관계(從墜. 求劍) - 從墜는 술목관계로 봤지만 다시 확인해보니 是吾劍之所從墜는 ‘이 곳은 내 검이 따라 떨어진 곳이다’로 해석되므로 수식관계로는 볼 수 있겠다. 其劍自舟中墜於水 自: ~로부터, 登高自卑 문장의 구조: 주술보구조 以此爲治 豈不難哉 문장의 유형: 감탄문(哀哉, 善哉) 2. 내용 이해(문답법, 토의ㆍ토론) 楚人 - 까마귀 / 劍 - 고기 / 舟 - 구름 (時刻)(舟料)(求人)(長劍) ⇒ 愚, 癡 3. 가치관 함양(愚) 지민 수영 성찰 틀린 거 또 틀림 설거지 그릇 깸 보완 유형 파악 천천히 인용 목차 / 문제 지도안(20, 22, 24) 영상(20, 22, 24)

이공수 지도안 1. 吾心得安 활동지2장, 평가지1장 1. 산문풀이(개사, 의문문, 수식관계) 粟積于野, 從者, 取飼馬 개사: 명사류를 서술어와 연결해주면서 처소, 대상, 도구, 시간, 원인, 비교 등의 뜻을 나타내는 단어이다.(於, 乎) 粟一束直, 布幾尺(일반) 直=値, 一束: 수식관계(從者, 兩端) 의문문: 의문문에는 화자가 청자에게 실제 대답을 요구하는 일반 의문문 외에 말하는 사람이 상대방의 대답을 바라지 않으면서도 의식적으로 물어보는 반어 유형이 있다.(焉, 寧) 人必取去, 何益(반어) 2. 내용이해 모둠학습, 활동지의 물음에 대해 모둠별 토의 후 답을 기입할 것. 말이 굶주리자 취한 행동 말이 굶주리자 취한 행동 → 길가의 조를 먹임 그때 공이 취한 행동 → 베를 잘라서 값을 대신함 종자의 반응..

20XX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한 문 수험번호 성명 관리번호 1. 문제지 1. 이전 시간에 본문을 읽고, 풀이함. 2. PPT자료를 활용할 것. 3. 수식관계의 단어짜임과 의문문의 문장유형을 지도할 것. 4. 모둠활동을 지도할 것. 5. 자기평가, 동료평가 활용할 것. 2. 학습목표 1. 산문을 풀이한다. 1. 글의 내용을 이해한다. 3. 선인들의 가치관을 함양한다. 3. 수업자료 中途馬困 無人 粟積于野 從者 取飼馬 公遂問 粟一束直 布幾尺 如其言 書布兩端 置粟積中 從者曰 人必取去 何益? 曰 吾固知之 然必如是 吾心得安 『高麗史』 「李公遂」 인용 지도 / 목차 / 문제 지도안 / 영상

불언장단 지도안 활동지 1장, 평가지 1장 1. 산문풀이 의문문: 일반, 반어유형(何, 焉, 寧, 誰) 二牛何者爲勝(이기다, 낫다) - 일반 유형 公怪之(동사, 대명사, 어조사)曰 何以附耳相語 - 일반 유형 使(사동형)牛聞之 寧無不平之心乎 - 반어 유형 내용 문답 황희가 길 가다 본 사람은? 밭 가는 농부 무얼 물었나? 두 소의 평가 농부의 반응은? 귓속말로 대답함 귓속말로 답한 이유는? 평가를 소가 들을까봐 황희의 반응: 다신 남 평가 안 함. 3. 지혜 함양(不言長短) 4모둠 6모둠 교훈 愼重 禁言 속담 낮말 쥐, 밤날 새 男兒一言重千金 이유 말의 가치 말의 무게 자기평가ㆍ동료평가지는 반장에게 제출 수업내용은 EBS 온라인 클래쓰에 업로드했으니 복습 시 참고 인용 지도 / 목차 / 문제 지도안 /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