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학년도 중등학교 교사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한 문
수험 번호 : ( ) | 성 명 : ( ) | |||
( 2 )교시 한 문 | ( 12 ) 문항 ( 70 )점 | 작성시간 ( 140 )분 | 감독관 확인 | (인) |
1. 다음 글을 읽고, 한문과 교육의 영역별 지향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7점)
6차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를 보면, 한문과 교육의 목적과 본질에는 두 가지 방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나는 ‘한자, 한자어, 한문’을 중심으로 한문과 교육을 통합하는 수렴적 방향이고, 다른 하나는 이를 통해 한문과 교육을 ‘21세기를 주도할 바람직한 한국인 육성’으로까지 나아가게 하는 확산적 방향이다. 이 두 방향은 서로 대립되는 것이 아니고, 각각 한문과 교육의 출발점과 지향점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조건」 답안은 한자, 한자어, 한문의 영역별로 작성하되, 총 600자 내외로 할 것.
2. 보통 수준의 중학교 2학년 학생에게 ‘한자어를 익혀 문장 독해에 활용하기’를 지도하려고 한다. 구체적인 내용을 다음 「조건」에 맞게 설명하시오. (6점)
「조건」 ① ‘한자어를 익혀 문장 독해에 활용하기’의 개념을 간략히 설명할 것. ② 한자어의 짜임의 유형별로 구체적인 예를 1개씩 제시할 것. |
3. 고등학교 ‘한문 Ⅰ’을 배우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시를 지도한 후 그 성취 수준을 평가하려고 한다. 한시의 평가에서 유의할 점과 중점을 두어야 할 구체적인 내용을 300자 내외로 쓰시오. (5점)
4.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총 7점)
管仲夷吾者 穎上人也 少時 常與鮑叔牙游 鮑叔知其賢 管仲貧困 常欺鮑叔 鮑叔終善遇之 不以爲言已而 鮑叔事齊 公子小白 管仲事公子糾 及小白立爲桓公 公子糾死 管仲囚焉 鮑叔遂進管仲 管仲旣用 任政於齊 齊桓公以覇九合諸侯 一匡天下 管仲之謀也 管仲曰 吾始困時 嘗與鮑叔賈 分財利 多自與 鮑叔不以我爲貪 知我貧也 吾嘗爲鮑叔謀事 而更窮困 鮑叔不以我爲愚 知時有利不利也 吾嘗三仕 三見逐於君 鮑叔不以我爲不肖 知我不遭時也 吾嘗三戰三走 鮑叔不以我爲怯 知我有老母也 公子糾敗 召忽死之 吾幽囚受辱 鮑叔不以我爲無恥 知我不羞小節 而恥功名不顯于天下也 生我者 父母 知我者 叔子也 曾子敝衣而耕 魯君聞之而致邑焉 曾子 固辭不受 或曰 非子之求 君自致之 奚固辭也 曾子曰 吾聞 受人施者 常畏人 與人者 常驕人 縱君有賜 不我驕也 吾豈能勿畏乎 吾與其富而畏人 不若貧而無屈 |
1) 위의 글 가)에서 유래된 고사성어를 漢字로 쓰고, 이처럼 우정을 의미하는 고사성어 및 한자 숙어를 3개 이상 漢字로 쓰시오. (1점)
2) 위의 글 나)에서 비교형의 문장을 찾아 해석하시오. (1점)
3) 위의 글 나)에는 성분이 도치된 문장이 있다. 이를 찾아서 쓰고 도치된 이유를 설명하시오. (2점)
4) 위의 글 가)의 밑줄 친 부분은 문장의 형식상 被動文이라 한다. 한문 문장에서 피동문이 되는 몇 가지 유형을 학생들에게 지도하려 한다. 적당한 예문을 들어 설명하시오. (예문은 기존의 문구를 인용하거나, 본인이 작문하여 인용해도 무방함) (3점)
5. 다음은 屈原의 『漁父辭』이다.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총 5점)
屈原旣放 游於江潭 行吟澤畔 顔色憔悴 形容枯槁 漁父見而問之曰 子非三閭大夫與 何故至於斯 屈原曰 擧世皆濁 我獨淸 衆人皆醉 我獨醒 是以見放 漁父曰 聖人不凝滯於物 而能與世推移 世人皆濁 何不淈其泥而揚其波 衆人皆醉 何不餔其糟而歠其醨 何故深思高擧 自令放爲 屈原曰 吾聞之 新沐者必彈冠 新浴者必振衣 安能以身之察察 受物之汶汶者乎 寧赴湘流 葬於江魚之腹中 安能以皓皓之白 而蒙世俗之塵埃乎 漁父莞爾而笑 鼓枻而去 乃歌曰 滄浪之水淸兮 可以濯吾纓 滄浪之水濁兮 可以濯吾足 遂去 不復與言 |
1) 위의 글에서 밑줄 친 ‘深思高擧’의 행동 주체가 실제 자신의 행동을 비유적으로 말한 부분을 찾아 번역하시오. (1점)
2) 어부의 노래가 담고 있는 교훈적 의미를 압축해서 표현한 단어가 본문에 있다. 이를 찾아 쓰시오. (1점)
3) 청소년들에게 삶의 자세 혹은 處世觀을 지도하려 한다. 작품에서 드러난 굴원과 어부의 삶의 자세 및 처세관을 상호 비교하여 어떻게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300자 내외로 서술하시오. (3점)
6.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5점)
가) ∙樊遲曰 子告之曰 孟孫問孝於我 我對曰 無違 樊遲曰 何謂也 子曰 生事之以禮 死葬之以禮 祭之以禮 -『論語』 「爲政」 ∙子游問孝 子曰 今之孝者 是謂能養 至於犬馬 皆能有養 不㉠□ 何以別乎 -『論語』 「爲政」 ∙子夏問孝 子曰 色難 有事 弟子服其勞 有酒食 先生饌 曾是以爲孝也 -『論語』 「爲政」 나) 不違農時 穀不可勝食也 數罟不入洿池 魚鼈不可勝食也 斧斤以時入山林 材木不可勝用也 穀與魚鼈 不可勝食 材木不可勝用 是使民養生喪死 無憾也 養生喪死無憾 ㉡□□之始也 -『孟子』 「梁惠王」 다) 道也者 不可須臾離也 可離非道也 是故 君子戒愼乎其所不睹 恐懼乎其所不聞 莫見乎隱 莫顯乎微 故君子愼其獨也 -『中庸』 1장 |
1) (가)와 (나)의 ㉠과 ㉡의 □에 맞는 글자를 각각 漢字로 쓰시오. (1점)
2) 밑줄 친 (가)의 ‘色難’과 (다)의 ‘莫見乎隱 莫顯乎微’의 뜻을 각각 정확하게 설명하시오. (2점)
3) (가)의 문장은 효에 대한 공자의 가르침이다. 이러한 공자의 교육 방식을 학생 지도에 원용하려 할 때 본받을 점이 무엇인지 200자 내외로 서술하시오. (2점)
7. 다음 시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총 6점)
西華已蕭索, 北塞(寨)尙昏濛, 坐待文明旦, 天東日欲紅 忠州美石如琉璃, 千人劚出萬牛移. 爲問移石向何處, 去作勢家神道碑. 神道之碑誰所銘, 筆力崛强文法奇. 皆言此公在世日, 天姿學業超等夷. 事君忠且直, 居家孝且慈. 門前絶賄賂, 庫裏無財資. 言能爲世法, 行足爲人師. 平生進退間, 無一不合宜. 所以垂顯刻, 盈盈無磷緇. 此語信不信, 他人知不知. 遂令忠州山上石, 日銷月鑠今無遺. 天生頑物幸無口, 使石有口應有辭. |
1) 가)의 시는 陳澕의 「奉使入金」이다. 여기서 ‘西華’, ‘北塞(寨)’, ‘天東’은 각각 무엇을 지칭하는지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1점)
2) 가)의 시에서 작자가 이 시를 통해 나타내려한 것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기술하시오. (2점)
3) 나)에서 神道碑의 내용을 말하고 있는 부분의 첫 두 글자와 끝 두 글자를 찾아 그대로 쓰시오. (1점)
4) 나)의 시는 神道碑의 내용적 허구성, 즉 ‘꾸미고자 애쓰는 문학’에 대한 맹렬한 풍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신도비의 허구성은 무엇 때문에 발생되는가? 신도비의 문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간단하게 답하시오. (2점)
8. 다음 詩話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총 3점)
光海妃兄柳希奢 專擅用事 權石洲嘗往人家 飮酒昏到 希奢適來 主人蹴石洲起 曰文昌公來矣 文昌者 希奢封號也 石州瞪目熟視曰 公享富貴 而國事至此 國亡 則公家 豈得不亡乎 柳無言慘沮而去 時進士任叔英 對策諷論朝政 言甚切直 光海命削其科 石洲又作宮柳詩曰 ㉠宮柳靑靑鶯亂飛 滿城冠盖媚春輝 朝廷共賀昇平樂 誰遺危言出㉡布衣 『石洲集』 |
1) 밑줄 친 ㉠은 어떤 상황을 풍자한 것인가?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 (2점)
2) 밑줄 친 ㉡의 ‘布衣’는 누구를 지칭하는가? 본문에서 찾아 쓰시오. (1점)
9. 다음은 韓愈의 「雜說」과 蘇軾의 「赤壁賦」이다.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총 8점)
有世伯樂 然後 有千里馬 千里馬常有 而伯樂不常有 故雖有名馬 秪辱於奴隸人之手 騈死於槽櫪之間 不以千里稱也 馬之千里者 一食或盡粟一石 食馬者 不知其能千里而食也 是馬 雖有千里之能 食不飽 力不足 才美不外見 且欲與常馬等 不可得 安求其能千里也 策之不以其道 食之不能盡其材 鳴之不能通其意 執策而臨之曰 天下無良馬 嗚呼 其眞無馬耶 其眞不識馬耶 客曰 月明星稀 烏鵲南飛 此非曹孟德之詩乎 西望夏口 東望武昌 山川相繆 鬱乎蒼蒼 此非孟德之困於周郞者乎 方其破荊州 下江陵 順流而東也 舳艫千里 旌旗蔽空 釃酒臨江 橫槊賦詩 固一世之雄也 而今安在哉 況吾與子 漁樵於江渚之上 侶魚鰕而友麋鹿 駕一葉之扁舟 擧匏樽而相屬 寄蜉蝣於天地 渺滄海之一粟 哀吾生之須臾 羨長江之無窮 挾飛仙以遨遊 抱明月而長終 知不可乎驟得 託遺響於悲風 蘇子曰 客亦知未夫水與月乎 逝者如斯 而未嘗往也 盈虛者如彼 而卒莫消長也 蓋將自其變者而觀之 則天地曾不能以一瞬 自其不變者而觀之 則物與我皆無盡也 而又何羨乎 且夫天地之間 物各有主 苟非吾之所有 雖一毫而莫取 惟江上之淸風 與山間之明月 耳得之而爲聲 目寓之而成色 取之無禁 用之不竭 是造物者之無盡藏也 而吾與子之所共樂 |
1) 가)에서 작자가 우언적 수법을 통해 말하려는 핵심적 주제는 무엇인가? 50자 내외로 쓰시오. (2점)
2) 가)는 ‘說’에 해당하는 양식의 글이다. ‘說’이란 산문의 분류에서 ‘論辨類’에 속하는 하위 文類인데, ‘說’이외에 논변류에 속하는 하위 文類를 漢字로 5개 쓰시오. (2점)
3) 나)에서 드러난 客과 蘇子의 사물을 보는 관점 혹은 인생관이 어떻게 다른지 간략히 비교하여 100자 내외로 서술하시오. (2점)
4) 나)는 ‘賦’에 속하는 작품이다. ‘賦’의 종류와 각각의 양식적 특징을 200자 내외로 서술하시오. (2점)
10. 다음 작품에 대해서 제시된 「조건」에 맞도록 종합적으로 논술하되, 500자 내외로 쓰시오. (6점)
新羅俗 每當仲春 初八至十五日 都人士女 競遶興輪寺之殿塔 爲福會 元聖王代 有郞君金現者 夜深獨遶不息 有一處女 念佛隨遶 相感而目送之 遶畢 引入屛處通焉 女將還 現從之 女辭拒而强隨之 行至西山之麓 入一茅店 有老嫗問女曰 附率者何人 女陳其情 嫗曰 雖好事 不如無也 然遂事不可諫也 且藏於密 恐汝弟兄之惡也 把郞而匿之奧 小選 有三虎咆哮而至 作人語曰 家有腥膻之氣 療飢何幸 嫗與女叱曰 爾鼻之爽乎 何言之狂也 時有天唱 爾輩嗜害物命尤多 宜誅一以懲惡 三獸問之 皆有憂色 女謂曰 三兄若能遠避而自懲 我能代受其罰 皆喜俛首妥尾而遁去 女入謂郞曰 始吾恥君子之辱臨弊族 故辭禁爾 今旣無隱 敢布腹心 且賤妾之於郞君 雖曰非類 得陪一夕之歎 義重結褵之好 三兄之惡 天旣厭之 一家之殃 予欲當之 (下略) -「金現感虎」 |
「조건」 ① 위의 글을 소설적 작품이라고 인정했을 때 한문소설사 발전 과정에서의 문학사적 의미 ② 작품의 양식(장르)적 특징과 관련한 작품의 공적적 배경과 주제 |
11.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총 7점)
가) 김만중, 『西浦漫筆』 人心之發於口者 爲言 言之有節奏者 爲歌詩文賦 西方之言 雖不同 苟有能言者 各因其言而節奏之 則皆足以動天地通鬼神 不獨中華也 今我國詩文 捨其言而學他國之言 設令十分相似 只是鸚鵡之人言 而閭巷間 樵童汲婦 咿啞而相和者 雖曰鄙俚 若論眞贋 則固不可與學士大夫所謂詩賦者 同日而論 況此三別曲者 有天機之自發 而無夷俗之鄙俚 自古左海眞文章 只此三篇 然又就此三篇而論之 則後美人尤高 關東前美人 猶借文字語 以飾其色耳 今懋官 朝鮮人也 山川風氣 地異中華 言語謠俗 世非漢唐 若乃効法於中華 襲體於漢唐 則吾徒見其法益高而意實卑 體益似而言益僞耳 左海雖僻 國亦千乘 羅麗雖儉 民多美俗 則字其方言 韻其民謠 自然成章 眞機發現 不事沿襲 無相假貸 從容現在 卽事森羅 惟此詩爲然 嗚呼 三百篇 無非鳥獸草木之名 不過閭巷男女之語 則邶檜之間 地不同風 江漢之上 民各其俗 故採詩者 以爲列國之風 攷其性情 驗其謠俗也 復何疑乎此詩之不古耶 若使聖人者 作於諸夏 而觀風於列國也 攷諸嬰處之稿 而三韓之鳥獸草木 多識其名矣 貊男濟婦之性情 可以觀矣 雖謂朝鮮之風 可也 다) 정약용, 「老人一快事六首效香山體 其五」 老人一快事 縱筆寫狂詞 競病不必拘 推敲不必遲 興到卽運意 意到卽寫之 我是朝鮮人 甘作朝鮮詩 卿當用卿法 迂哉議者誰 區區格與律 遠人何得知 |
1) 문장 가)의 밑줄 친 ‘學他國之言’에서 他國之言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본문 중에서 같은 의미로 사용한 단어를 찾아 쓰시오. (1점)
2) 문장 가)의 필자가 이글에서 주장하는 핵심이 되는 요지를 50자 내외로 쓰시오. (2점)
3) 위의 글 나)와 다)는 소위 ‘朝鮮風’․‘朝鮮詩’라는 개념이 도출된 문장이다. 이 조선풍․조선시의 문학사적 의의를 다음 「조건」에 맞게 500자 내외로 논술하시오. (4점)
<조건> ① 위의 글 가)의 내용과 관련될 것. ② ‘字所同而文所獨也’라는 글에 함축된 의미를 반영할 것. |
12. 다음은 정약용의 「高句麗論」이다. 정약용은 고구려 패망의 원인을 무엇이라고 보았는가? 본문 중에서 작자가 인용한 「傳」과 「兵法」의 말의 의미를 살려서 400자 내외로 서술하시오. (5점)
高句麗 都卒本四十年 徙都不而城 厥享國四百二十有五年 此時 士馬强壯 疆土恢拓 漢魏之際 中國屢發兵侵擾 莫之能勝 至長壽王十五年 徙都平壤 厥享國二百三十九年而亡 雖民物殷富 城郭鞏固 卒莫有補 若是者 何也 鴨綠之北 風氣早寒 地與蒙古接 其人皆雄勍鷙悍 又疆胡雜處 四面受敵 故其備禦深固 此所以能長久也 平壤在二河之南 山川秀麗 風俗柔軟 而堅城鉅鎭之重重外護者 若白巖∙蓋牟∙黃城∙銀城∙安市之類 項背相望 首尾聯絡 平壤之人 豈有懼哉 延壽∙惠眞擧城降敵 而莫之問焉 蓋蘇文 稱兵作亂 而莫之禁焉 安市城主 以彈丸一城 拒大唐百萬之師 而莫之賞焉 此其故無他 所恃者 平壤也 嗟乎 平壤其足恃乎 遼東拔 則白巖危 白巖拔 則安市危 安市拔 則愛州危 愛州拔 則薩水危 薩水者 平壤之藩籬也 脣亡則齒寒 皮剝則骨露 平壤其足恃乎 晉∙宋南渡而亡天下 此中國之殷鑑也 句麗∙百濟南渡而失其國 此東邦之覆轍也 傳曰 無敵國外患者亡 兵法曰 置之死地而後生 ※밑줄 친 부분은 고유명사임. |
인용
'기출문제 > 전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1학년도 한문 임용 기출문제 (0) | 2021.09.01 |
---|---|
2000학년도 한문 임용 기출문제 (0) | 2021.09.01 |
1998학년도 한문 임용 기출문제 (0) | 2021.09.01 |
1997학년도 한문 임용 기출문제 (0) | 2021.09.01 |
1993학년도 한문 임용 기출문제 (0) | 2021.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