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 향당 - 편해(篇解) 본문

고전/논어

논어 향당 - 편해(篇解)

건방진방랑자 2021. 10. 9. 13:02
728x90
반응형

편해(篇解). 향당편의 내용에 대해

 

 

楊氏: “聖人之所謂道者, 不離乎日用之間也. 故夫子之平日, 一動一靜, 門人皆審視而詳記之.”

尹氏: “甚矣孔門諸子之嗜學也! 於聖人之容色言動, 無不謹書而備錄之, 以貽後世. 今讀其書, 卽其事, 宛然如聖人之在目也. 雖然, 聖人豈拘拘而爲之者哉? 蓋盛德之至, 動容周旋, 自中乎禮耳. 學者欲潛心於聖人, 宜於此求焉.”

舊說凡一章, 今分爲十七節.

 

 

 

 

 

 

해석

楊氏: “聖人之所謂道者,

양시(楊時)가 말했다. “성인이 말했던 도라는 것은

 

不離乎日用之間也.

일상생활의 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성경을 아무리 읽어도,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을 아무리 읽어도, 일상생활의 세목적 지혜는 우리에게 전달되지 않는다. 물론 서철(西哲)의 문제영역이 다르고 그러한 일용의 문제는 부수적인 결과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유학은 일상적 삶 그 자체를 철학의 최대의 중심과제로 삼았기 때문에 이러한 향당편의 기술과 같은 기록이 가능케 된 것이다. (중략) 21세기 철학의 과제는 바로 이렇게 비근한 일용지간의 삶의 문제를 반드시 취급해야 하는 것이다. 실존철학도 그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들은 일상성을 또다시 논리화하고 이론화했을 뿐 인간의 일상적 삶의 모습에 대한 충고는 제시하지 못했다. -김용옥, 논어한글역주, 3165.

 

故夫子之平日, 一動一靜,

그러므로 부자가 평상시에 행동하거나 고요하거나 한 것들을

 

門人皆審視而詳記之.”

문인들이 모두 자세히 보고서 상세하게 기록했다.”

 

尹氏: “甚矣孔門諸子之嗜學也!

윤순(尹淳)이 말했다. “대단하구나! 공자 문하의 제자들이 배우길 즐거워함이여!

 

於聖人之容色言動, 無不謹書而備錄之,

성인의 얼굴빛과 말, 행동에 있어서 삼가 기록하여 갖추어 기록하지 않음이 없어

 

以貽後世.

후세에 남겨놓았구나.

 

今讀其書, 卽其事,

그래서 이제 기록을 읽어 그 일에 나아가보면

 

宛然如聖人之在目也.

마치 성인이 눈앞에 있는 듯하도다.

 

雖然, 聖人豈拘拘而爲之者哉?

비록 그러나 성인이 어찌 구구하게 인위적으로 한 것이겠는가.

 

蓋盛德之至, 動容周旋,

대개 성덕의 지극함으로 태도와 일을 주선함이

 

自中乎禮耳.

절로 예에 맞았을 뿐이다.

 

學者欲潛心於聖人, 宜於此求焉.”

배우는 사람이 성인에게 빠져들고자 한다면 마땅히 이 책에서 구해야 한다.”

 

舊說凡一章, 今分爲十七節.

구설엔 모두 한 장으로 묶여 있었지만 지금은 나누어 17절로 만들었다.

 

 

. 1단락
정공10(상공됨)~정공13(去魯) 언저리 시기.
공인(公人)으로서의 공자
공자 제자가 아닌 제3자의 기술, 노나라 전승
1 공자(孔子)’로 시작. 1단락의 ()’의 역할 향당과 종묘조정에서의 모습 대조
2
3
4
5
조정에 출사(出仕)했을 때의 공인(公人)으로서의 모습
 
순순여(恂恂如), 변변(便便)과 같이 끝에 를 붙이거나 두 글자를 중복하여 만든 형용사 용법이 1~5장에 다 공통됨.
. 2단락
정공10~13년 언저리 시기
귀노(歸魯) 후 사인(私人)으로서의 공자
제자가 아닌 제3자의 기술. 노나라 전승
6 군자(君子)’라는 말로 시작. ‘군자(君子)’3인칭이지만 공자를 1인칭으로 가리키는 느낌이 있다. (7-30, 9-13, 17-7)
7 재시(齋時)의 의식주
8 평상시 음식 모습
9 앉을 때 좌석(坐席)의 문제
10 향인들과 사귈 때 음주ㆍ의복 모습
. 3단락
◎ Ⅰ에 대한 보충(해당시기도 비슷)
특정사건 중심으로 엿보이는 공자의 모습
◎ 「술이, 자한의 기술과 성격이 유사.
직전제자의 전송자료 중심.
노나라에서 편집된 보유(補遺)
11 계강자가 약을 보내옴
12 마구간에 불이 남
13 군주와 접촉하는 다양한 계기에 있어서의 공자의 태도
14 태묘에 들어갔을 때
15 붕우가 죽었을 때, 붕우에게서 선물이 왔을 때
16 일상생활에서의 행의(行儀) 서술. 잠잘 때, 상복 입은 자 만날 때
17 수레에 탈 때
. 부록
제나라에서 부가(附加)
18 () 나라 전승
색사거의(色斯擧矣)’. 나름대로 완결된 이야기

김용옥, 논어한글역주, 통나무출판사, 2009, 3162~163

 

 

인용

목차 / 전문 / 한글역주

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

출처: https://sakang.tistory.com/9 [🦘 40대 캥거루족: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