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公冶長 (28)
건빵이랑 놀자
공야장(公冶長) 제오(第五) 此篇皆論古今人物賢否得失, 蓋格物窮理之一端也. 凡二十七章. 胡氏以爲疑多子貢之徒所記云. 1. 공자 형의 딸과 자신의 딸을 시집보내다 子謂公冶長, “可妻也. 雖在縲絏之中, 非其罪也”. 以其子妻之. 妻, 去聲, 下同. 縲, 力追反. 絏, 息列反. ○ 公冶長, 孔子弟子. 妻, 爲之妻也. 縲, 黑索也. 絏, 攣也. 古者獄中以黑索拘攣罪人. 長之爲人無所考, 而夫子稱其可妻, 其必有以取之矣. 又言其人雖嘗陷於縲絏之中, 而非其罪, 則固無害於可妻也. 夫有罪無罪, 在我而已, 豈以自外至者爲榮辱哉? 子謂南容, “邦有道, 不廢; 邦無道, 免於刑戮”. 以其兄之子妻之. 南容, 孔子弟子, 居南宮. 名縚, 又名适. 字子容, 謚敬叔. 孟懿子之兄也. 不廢, 言必見用也. 以其謹於言行, 故能見用於治朝, 免禍於亂世也...
27. 호학(好學)해야만 한다 子曰: “十室之邑, 必有忠信如丘者焉, 不如丘之好學也.” 焉, 如字, 屬上句. 好, 去聲. ○ 十室, 小邑也. 忠信如聖人, 生質之美者也. 夫子生知而未嘗不好學, 故言此以勉人. 言美質易得, 至道難聞, 學之至則可以爲聖人, 不學則不免爲鄕人而已. 可不勉哉? 해석 子曰: “十室之邑, 必有忠信如丘者焉, 不如丘之好學也.” 공자께서 “10실의 작은 읍에도 반드시 충성스럽고 믿음직스러움이 나와 같은 사람은 있겠지만 나의 호학(好學)과 같지는 않다.”라고 말씀하셨다. 焉, 如字, 屬上句. 好, 去聲. ○ 十室, 小邑也. 십실(十室)은 작은 읍이다. 忠信如聖人, 生質之美者也. 충성스럽고 믿음직스럽다는 것은 타고난 자질이 아름다운 것이다. 夫子生知而未嘗不好學, 부자는 나면서 알기에 일찍이 호학하지 ..
26. 자신의 허물을 알고 자책하는 사람 子曰: “已矣乎! 吾未見能見其過而內自訟者也.” 已矣乎者, 恐其終不得見而歎之也. 內自訟者. 口不言而心自咎也. 人有過而能自知者鮮矣, 知過而能內自訟者爲尤鮮. 能內自訟, 則其悔悟深切而能改必矣. 夫子自恐終不得見而歎之, 其警學者深矣. 해석 子曰: “已矣乎! 吾未見能見其過而內自訟者也.” 공자께서 “그만두어라. 나는 자신의 허물을 보고 내적으로 스스로 판결하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라고 말씀하셨다. 已矣乎者, 恐其終不得見而歎之也. ‘이의호자(已矣乎者)’는 마침내 보지 못할까 두려워하며 그것을 탄식한 것이다. 內自訟者. 口不言而心自咎也. ‘내자송자(內自訟者)’란 입으로 말하지 않고 마음으로 스스로 나무라는 것이다. 人有過而能自知者鮮矣, 사람이 허물이 있어 스스로 알 수 있는 사람..
25. 안연과 자로와 공자가 각자의 포부를 얘기하다 顔淵, 季路侍. 子曰: “盍各言爾志?” 盍, 音合. ○ 盍, 何不也. 子路曰: “願車馬, 衣輕裘, 與朋友共. 敝之而無憾.” 衣, 去聲. ○ 衣, 服之也. 裘, 皮服. 敝, 壞也. 憾, 恨也. 顔淵曰: “願無伐善, 無施勞.” 伐, 誇也. 善, 謂有能. 施, 亦張大之意. 勞, 謂有功, 『易』曰“勞而不伐” 是也. 或曰: “勞, 勞事也. 勞事非己所欲, 故亦不欲施之於人.” 亦通. 子路曰: “願聞子之志.” 子曰: “老者安之, 朋友信之, 少者懷之.” 老者養之以安, 朋友與之以信, 少者懷之以恩. 一說: 安之, 安我也; 信之, 信我也; 懷之, 懷我也. 亦通. ○ 程子曰: “夫子安仁, 顔淵不違仁, 子路求仁.” 又曰: “子路ㆍ顔淵ㆍ孔子之志, 皆與物共者也, 但有小大之差爾.” ..
24. 좌구명이 부끄럽다고 여긴 사람 子曰: “巧言, 令色, 足恭, 左丘明恥之, 丘亦恥之. 匿怨而友其人, 左丘明恥之, 丘亦恥之.” 足, 將樹反. ○ 足, 過也. 程子曰: “左丘明, 古之聞人也.” 謝氏曰: “二者之可恥, 有甚於穿窬也. 左丘明恥之, 其所養可知矣. 夫子自言 ‘丘亦恥之’, 蓋竊比老彭之意. 又以深戒學者, 使察乎此而立心以直也.” 해석 子曰: “巧言, 令色, 足恭, 左丘明恥之, 丘亦恥之. 匿怨而友其人, 左丘明恥之, 丘亦恥之.” 공자께서 “말을 듣기 좋게 하고 얼굴색을 좋게 하며 공손함을 지나치게 하는 것을 옛날에 좌구명이 부끄러워했었는데 나 또한 그것을 부끄러워한다. 원망하는 마음을 숨기고서 그 사람과 사귀는 것을 좌구명이 그것을 부끄러워했었는데 나 또한 그것을 부끄러워한다.”라고 말씀하셨다. 足, ..
23. 미생고는 자신에게 없는 것을 옆집에서 빌려서주다 子曰: “孰謂微生高直? 醯, 呼西反. ○ 微生姓, 高名, 魯人, 素有直名者. 或乞醯焉, 乞諸其鄰而與之.” 醯, 醋也. 人來乞時, 其家無有, 故乞諸鄰家以與之. 夫子言此, 譏其曲意殉物, 掠美市恩, 不得爲直也. ○ 程子曰: “微生高所枉雖小, 害直爲大.” 范氏曰: “是曰是, 非曰非, 有謂有, 無謂無, 曰直. 聖人觀人於其一介之取予, 而千駟萬鍾從可知焉. 故以微事斷之, 所以敎人不可不謹也.” 해석 子曰: “孰謂微生高直? 공자께서 “누가 미생고를 정직하다고 하는가? 醯, 呼西反. ○ 微生姓, 高名, 魯人, 素有直名者. 미생은 성이고 고는 이름이고 노나라 사람으로 평소에 정직하다고 이름났다. 或乞醯焉, 乞諸其鄰而與之.” 어떤 사람이 초를 빌리러 오자 이웃집에서 빌려와..
22. 백이와 숙제는 묵은 원한으로 괴롭히지 않았다 子曰: “伯夷ㆍ叔齊不念舊惡, 怨是用希.” 伯夷ㆍ叔齊, 孤竹君之二子. 孟子稱其“不立於惡人之朝, 不與惡人言. 與鄕人立, 其冠不正, 望望然去之, 若將浼焉.” 其介如此, 宜若無所容矣, 然其所惡之人, 能改卽止, 故人亦不甚怨之也. ○ 程子曰: “不念舊惡, 此淸者之量.” 又曰: “二子之心, 非夫子孰能知之?” 해석 子曰: “伯夷ㆍ叔齊不念舊惡, 怨是用希.” 공자께서 “백이와 숙제는 예전의 미움을 생각지 않았으니, 그래서 원망하는 사람들이 드물었다.”라고 말씀하셨다. 伯夷ㆍ叔齊, 孤竹君之二子. 백이와 숙제는 고죽군의 두 아들이다. 孟子稱其“不立於惡人之朝, 맹자는 「공손추」상9에서 말했다. “나쁜 사람의 조정에 입조하지 않았고, 不與惡人言. 나쁜 사람과 말을 섞지 않았다...
21. 우리 학단의 소자들이 광간하구나 子在陳曰: “歸與! 歸與! 吾黨之小子狂簡, 斐然成章, 不知所以裁之.” 與, 平聲. 斐, 音匪. ○ 此孔子周流四方, 道不行而思歸之歎也. 吾黨小子, 指門人之在魯者. 狂簡, 志大而略於事也. 斐, 文貌. 成章, 言其文理成就, 有可觀者. 裁, 割正也. 夫子初心, 欲行其道於天下, 至是而知其終不用也. 於是始欲成就後學, 以傳道於來世. 又不得中行之士而思其次, 以爲狂士志意高遠, 猶或可與進於道也. 但恐其過中失正, 而或陷於異端耳, 故欲歸而裁之也. 해석 子在陳曰: “歸與! 歸與! 吾黨之小子狂簡, 斐然成章, 不知所以裁之.” 공자께서 진나라에 계실 때 “돌아가자! 돌아가자! 나의 학당의 소자들이 광간하여 찬란히 문장을 이루었지만 다듬을 줄을 모르는구나.”라고 말씀하셨다【이 사건은 공자가 노나..
20. 영무자의 지혜로움은 따라할 수 있지만, 어리석음은 따라할 수 없다 子曰: “甯武子邦有道則知, 邦無道則愚. 其知可及也, 其愚不可及也.” 知, 去聲. ○ 甯武子, 衛大夫, 名兪. 按『春秋傳』, 武子仕衛, 當文公ㆍ成公之時. 文公有道, 而武子無事可見, 此其知之可及也. 成公無道, 至於失國, 而武子周旋其閒, 盡心竭力, 不避艱險. 凡其所處, 皆智巧之士所深避而不肯爲者. 而能卒保其身以濟其君, 此其愚之不可及也. ○ 程子曰: “邦無道能沈晦以免患, 故曰不可及也. 亦有不當愚者, 比干是也.” 해석 子曰: “甯武子邦有道則知, 邦無道則愚. 其知可及也, 其愚不可及也.” 공자께서 “영무자는 나라에 도가 있으면 지혜로웠고 나라에 도가 없으면 어리석었으니, 지혜로움에는 미칠 수 있지만 어리석음에는 미칠 수 없다.”라고 말씀하셨다. ..
19. 세 번 생각하지 말고 두 번이면 된다 季文子三思而後行. 三, 去聲. ○ 季文子, 魯大夫, 名行父. 每事必三思而後行, 若使晉而求遭喪之禮以行, 亦其一事也. 子聞之, 曰: “再, 斯可矣.” 斯, 語辭. 程子曰: “爲惡之人, 未嘗知有思, 有思則爲善矣. 然至於再則已審, 三則私意起而反惑矣, 故夫子譏之.” ○ 愚按: 季文子慮事如此, 可謂詳審, 而宜無過擧矣. 而宣公簒立, 文子乃不能討, 反爲之使齊而納賂焉, 豈非程子所謂私意起而反惑之驗歟? 是以君子務窮理而貴果斷, 不徒多思之爲尙. 해석 季文子三思而後行. 계문자가 세 번 생각한 후에 실행하니 三, 去聲. ○ 季文子, 魯大夫, 名行父. 계문자는 노나라 대부로 이름은 행보다. 每事必三思而後行, 매번 일할 적에 반드시 세 번 생각한 후에 행동하니, 若使晉而求遭喪之禮以行, 예를..
18. 영윤인 자윤은 충성스럽고 진자문은 청렴하다 子張問曰: “令尹子文三仕爲令尹, 無喜色; 三已之, 無慍色. 舊令尹之政, 必以告新令尹. 何如?” 子曰: “忠矣.” 知, 如字. ○ 令尹, 官名, 楚上卿執政者也. 子文, 姓鬪, 名穀於菟. 曰: “仁矣乎?” 曰: “未知, 焉得仁?” 焉, 於虔反. ○ 其爲人也, 喜怒不形, 物我無閒, 知有其國而不知有其身, 其忠盛矣, 故子張疑其仁. 然其所以三仕三已而告新令尹者, 未知其皆出於天理而無人欲之私也. 是以夫子但許其忠, 而未許其仁也. “崔子弑齊君, 陳文子有馬十乘, 棄而違之. 至於他邦, 則曰: 猶吾大夫崔子也. 違之. 之一邦, 則又曰: 猶吾大夫崔子也. 違之. 何如?” 子曰: “淸矣.” 乘, 去聲. ○ 崔子, 齊大夫, 名杼. 齊君, 莊公, 名光. 陳文子, 亦齊大夫, 名須無. 十乘, ..

17. 장문중은 지혜롭지 못하다 子曰: “臧文仲居蔡, 臧文仲, 魯大夫臧孫氏, 名辰. 居, 猶藏也. 蔡, 大龜也. 山節藻梲, 何如其知也?” 梲, 章悅反. 知, 去聲. ○ 節, 柱頭斗栱也. 藻, 水草名. 梲, 梁上短柱也. 蓋爲藏龜之室, 而刻山於節, 畫藻於梲也. 當時以文仲爲知, 孔子言其不務民義, 而諂瀆鬼神如此, 安得爲知? 『春秋傳』所謂作虛器, 卽此事也. ○ 張子曰: “山節藻梲爲藏龜之室, 祀爰居之義, 同歸於不知宜矣.” ○ 『春秋左氏傳』「文公」2年條曰: “仲尼曰 ‘臧文仲, 其不仁者三, 不知者三. 下展禽, 廢六關, 妾織蒲, 三不仁也; 作虛器, 縱逆祀, 祀爰居, 三不知也.’” ○ 『春秋左氏傳』「襄公」24年條曰: “穆叔曰 ‘以豹所聞, 此之謂世祿, 非不朽也. 魯有先大夫曰臧文仲, 既沒, 其言立, 其是之謂乎. 豹聞之, 大上..
16. 공자가 존경하던 선배님 안영 子曰: “晏平仲善與人交, 久而敬之.” 晏平仲, 齊大夫, 名嬰. 程子曰: “人交久則敬衰, 久而能敬, 所以爲善.” ○ 『史記』「管晏列傳」曰: “晏平仲嬰者, 萊之夷維人也. 事齊靈公ㆍ莊公ㆍ景公, 以節儉力行重於齊. 旣相齊, 食不重肉, 妾不衣帛. 其在朝, 君語及之, 卽危言; 語不及之, 卽危行. 國有道, 卽順命; 無道, 卽衡命. 以此三世顯名於諸侯.” 해석 子曰: “晏平仲善與人交, 久而敬之.” 공자께서 “안평중은 잘 사람과 사귀는 구나. 오래되어도 그를 공경하는 도다.”라고 말씀하셨다. 晏平仲, 齊大夫, 名嬰. 안평중은 제나라 대부로 이름은 영이다. 程子曰: “人交久則敬衰, 정이천이 말했다. “사람이 사귄 지가 오래되면 공경함이 쇠하니, 久而能敬, 所以爲善.” 오래되어도 공경하는 것..
15. 선배 정자산을 평가한 공자 子謂子産, “有君子之道四焉: 其行己也恭, 其事上也敬, 其養民也惠, 其使民也義.” 子産, 鄭大夫公孫僑. 恭, 謙遜也. 敬, 謹恪也. 惠, 愛利也. 使民義, 如都鄙有章, 上下有服, 田有封洫, 廬井有伍之類. ○ 吳氏曰: “數其事而責之者, 其所善者多也, 臧文仲不仁者三, 不知者三是也. 數其事而稱之者, 猶有所未至也, 子産有君子之道四焉是也. 今或以一言蓋一人, 一事蓋一時, 皆非也.” 해석 子謂子産, “有君子之道四焉: 其行己也恭, 其事上也敬, 其養民也惠, 其使民也義.” 공자께서 정자산【자산이 정치를 행한 정나라는 노나라와 같은 소국이었다. 그가 집정을 하고 있었던 정나라 간공(簡公)ㆍ정공(定公)ㆍ헌공(獻公)ㆍ성공(聲公)의 22년간의 시기는 진(晉)나라와 초(楚)나라 양대국이 강쟁(爭强)..
14. 공문자가 문(文)이란 시호를 받은 이유 子貢問曰: “孔文子何以謂之文也?” 子曰: “敏而好學, 不恥下問, 是以謂之文也.” 好, 去聲. ○ 孔文子, 衛大夫, 名圉. 凡人性敏者多不好學, 位高者多恥下問. 故謚法有以“勤學好問” 爲文者, 蓋亦人所難也. 孔圉得謚爲文, 以此而已. ○ 蘇氏曰: “孔文子使太叔疾出其妻而妻之. 疾通於初妻之娣, 文子怒, 將攻之. 訪於仲尼, 仲尼不對, 命駕而行. 疾奔宋, 文子使疾弟遺室孔姞. 其爲人如此而謚曰文, 此子貢之所以疑而問也. 孔子不沒其善, 言能如此, 亦足以爲文矣, 非經天緯地之文也.” 해석 子貢問曰: “孔文子何以謂之文也?” 子曰: “敏而好學, 不恥下問, 是以謂之文也.” 자공이 “공문자는 어째서 문(文)이라 일컬어지는 것입니까?”라고 여쭈니, 공자께서 “민첩하고 배우길 좋아하며, 아랫사..
13. 자로는 실천하지 못하고선 다시 듣는 걸 두려워하다 子路有聞, 未之能行, 唯恐有聞. 前所聞者旣未及行, 故恐復有所聞而行之不給也. ○ 范氏曰: “子路聞善, 勇於必行, 門人自以爲弗及也, 故著之. 若子路, 可謂能用其勇矣.” 해석 子路有聞, 未之能行, 唯恐有聞. 자로는 공자께 배워놓고 실천하지 못하고선 다른 것을 배우게 될까 두려워했다. 前所聞者旣未及行, 전에 들었던 것을 이미 실천함에 미치지 못하였기 때문에 故恐復有所聞而行之不給也. 다시 듣는 게 있어 실천함에 충분치 못할까 걱정한 것이다. ○ 范氏曰: “子路聞善, 勇於必行, 범조우(范祖禹)가 말했다. “자로는 선을 듣고 용감히 반드시 행하니, 門人自以爲弗及也, 문인이 스스로 자로에 미치지 못한다고 여겼다. 故著之. 그렇기 때문에 기록한 것이다. 若子路, ..
12. 성(性)과 천도(天道)를 거의 말하지 않던 공자 子貢曰: “夫子之文章, 可得而聞也; 夫子之言性與天道, 不可得而聞也.” 文章, 德之見乎外者, 威儀文辭皆是也. 性者, 人所受之天理; 天道者, 天理自然之本體, 其實一理也. 言夫子之文章, 日見乎外, 固學者所共聞; 至於性與天道, 則夫子罕言之, 而學者有不得聞者. 蓋聖門敎不躐等, 子貢至是始得聞之, 而歎其美也. ○ 程子曰: “此子貢聞夫子之至論而歎美之言也.” 해석 子貢曰: “夫子之文章, 可得而聞也; 夫子之言性與天道, 不可得而聞也.” 자공이 “부자의 문장은 얻어 들을 수 있지만, 부자께서 성(性)과 천도(天道)를 말하는 것은 얻어 들을 수 없었습니다.”라고 말하였다. 文章, 德之見乎外者, 威儀文辭皆是也. 문장(文章)은 덕이 외부로 표현된 것으로 위의(威儀)와 문사(文..
11. 남이 나에게 하지 않았으면 하는 일을 남에게 하지 않다 子貢曰: “我不欲人之加諸我也, 吾亦欲無加諸人.” 子貢言我所不欲人加於我之事, 我亦不欲以此加之於人. 子曰: “賜也, 非爾所及也.” 此仁者之事, 不待勉强, 故夫子以爲非子貢所及. ○ 程子曰: “我不欲人之加諸我, 吾亦欲無加諸人, 仁也; 施諸己而不願, 亦勿施於人, 恕也. 恕則子貢或能勉之, 仁則非所及矣.” 愚謂無者自然而然, 勿者禁止之謂, 此所以爲仁恕之別. 해석 子貢曰: “我不欲人之加諸我也, 吾亦欲無加諸人.” 자공이 “저는 남이 저에게 더하길 원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더하려 하지 않습니다.”라고 말하니, 子貢言我所不欲人加於我之事, 자공은 ‘내가 남이 나의 일에 더하길 원하지 않는 것을 我亦不欲以此加之於人. 나 또한 이것으로 남에게 더하지 않는다.’라고 말했..
10. 나는 굳센 사람을 보질 못했다 子曰: “吾未見剛者.” 剛, 堅强不屈之意, 最人所難能者, 故夫子歎其未見. 或對曰: “申棖.” 子曰: “棖也慾, 焉得剛?” 焉, 於虔反. ○ 申棖, 弟子姓名. 慾, 多嗜慾也. 多嗜慾, 則不得爲剛矣. ○ 程子曰: “人有慾則無剛, 剛則不屈於慾.” 謝氏曰: “剛與慾正相反. 能勝物之謂剛, 故常伸於萬物之上; 爲物揜之謂慾, 故常屈於萬物之下. 自古有志者少, 無志者多, 宜夫子之未見也. 棖之慾不可知, 其爲人得非悻悻ㆍ自好者乎? 故或者疑以爲剛, 然不知此其所以爲慾爾.” 해석 子曰: “吾未見剛者.” 공자께서 “나는 강(剛)한 자를 보지 못했다.”라고 말씀하셨다. 剛, 堅强不屈之意, 강(剛)은 굳세고 강하여 굽히지 않는 뜻이니 最人所難能者, 사람으로 가장 행하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에 故夫子歎其..
9. 재아, 낮잠을 자다 宰予晝寢. 子曰: “朽木不可雕也, 糞土之牆不可杇也, 於予與何誅.” 朽, 許久反. 杇, 音汙. 與, 平聲, 下同. ○ 晝寢, 謂當晝而寐. 朽, 腐也. 雕, 刻畫也. 杇, 鏝也. 言其志氣昏惰, 敎無所施也. 與, 語辭. 誅, 責也. 言不足責, 乃所以深責之. 子曰: “始吾於人也, 聽其言而信其行; 今吾於人也, 聽其言而觀其行. 於予與改是.” 行, 去聲. ○ 宰予能言而行不逮, 故孔子自言於予之事而改此失, 亦以重警之也. 胡氏曰: “ ‘子曰’ 疑衍文, 不然, 則非一日之言也.” ○ 范氏曰: “君子之於學, 惟日孜孜, 斃而後已, 惟恐其不及也. 宰予晝寢, 自棄孰甚焉, 故夫子責之.” 胡氏曰: “宰予不能以志帥氣, 居然而倦. 是宴安之氣勝, 儆戒之志惰也. 古之聖賢未嘗不以懈惰荒寧爲懼, 勤勵不息自强, 此孔子所以深責..
8. 자공과 안회, 둘 중에 누가 나은가? 子謂子貢曰: “女與回也孰愈?” 女, 音汝, 下同. ○ 愈, 勝也. 對曰: “賜也何敢望回. 回也聞一以知十, 賜也聞一以知二.” 一, 數之始. 十, 數之終. 二者, 一之對也. 顔子明睿所照, 卽始而見終; 子貢推測而知, 因此而識彼. “無所不悅, 告往知來”, 是其驗矣. 子曰: “弗如也! 吾與女弗如也.” 與, 許也. ○ 胡氏曰: “子貢方人, 夫子旣語以不暇, 又問其與回孰愈, 以觀其自知之如何. 聞一知十, 上知之資, 生知之亞也. 聞一知二, 中人以上之資, 學而知之之才也. 子貢平日以己方回, 見其不可企及, 故喩之如此.夫子以其自知之明, 而又不難於自屈, 故旣然之, 又重許之. 此其所以終聞性與天道, 不特聞一知二而已也.” ○ 『論語集解』曰: “包曰: ‘旣然子貢不如’ 復云: ‘吾與女俱不如’者, ..
7. 자로와 염구와 공서화는 인합니까? 孟武伯問: “子路仁乎?” 子曰: “不知也.” 子路之於仁, 蓋日月至焉者. 或在或亡, 不能必其有無, 故以不知告之. 又問. 子曰: “由也, 千乘之國, 可使治其賦也, 不知其仁也.” 乘, 去聲. ○ 賦, 兵也. 古者以田賦出兵, 故謂兵爲賦, 『春秋傳』所謂“悉索敝賦” 是也. 言子路之才, 可見者如此, 仁則不能知也. “求也何如?” 子曰: “求也, 千室之邑, 百乘之家, 可使爲之宰也, 不知其仁也.” 千室, 大邑. 百乘, 卿大夫之家. 宰, 邑長家臣之通號. “赤也何如?” 子曰: “赤也, 束帶立於朝, 可使與賓客言也, 不知其仁也.” 朝, 音潮. ○ 赤, 孔子弟子, 姓公西, 字子華. 해석 孟武伯問: “子路仁乎?” 子曰: “不知也.” 맹무백이 “자로는 인합니까?”라고 물으니, 공자가 “모르겠습니..
6. 도가 행해지지 않으니, 떠나고 싶어라 子曰: “道不行, 乘桴浮于海. 從我者其由與.” 桴, 音孚. 從, 好, 並去聲. 與, 平聲. ○ 桴, 筏也. 程子曰: “浮海之歎, 傷天下之無賢君也. 子路勇於義, 故謂其能從己, 皆假設之言耳. 子路聞之喜. 子曰: “由也好勇過我, 無所取材.” 材, 與裁同, 古字借用. ○ “子路以爲實然, 而喜夫子之與己, 故夫子美其勇, 而譏其不能裁度事理, 以適於義也.” ○ 子路信夫子欲行, 故言好勇過我. 無所取材者, 無所取於桴材, 以子路不解微言, 故戲之耳. ○ 乘桴之歎, 原屬寓言, 忽復作莊語. 譏其不裁度事理, 則于夫子本旨, 全然不合. 子路不解微言, 故復以微言諷之曰: “大海蕩蕩, 桴材極難.” ○ 孔子爲道不行, 爲譬言我道之不行, 如乘小桴入於巨海, 終無濟理也. 非唯我獨如此, 凡門徒從我者道皆不行,..

5.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 칠조개 子使漆雕開仕. 對曰: “吾斯之未能信.” 子說. 說, 音悅. ○ 漆雕開, 孔子弟子, 字子若. 斯, 指此理而言. 信, 謂眞知其如此, 而無毫髮之疑也. 開自言未能如此, 未可以治人, 故夫子說其篤志. ○ 程子曰: “漆雕開已見大意, 故夫子說之.” 又曰: “古人見道分明, 故其言如此.” 謝氏曰: “開之學無可考. 然聖人使之仕, 必其材可以仕矣. 至於心術之微, 則一毫不自得, 不害其爲未信. 此聖人所不能知, 而開自知之. 其材可以仕, 而其器不安於小成, 他日所就, 其可量乎? 夫子所以說之也.” ○ 『孔子家語』 「七十二弟子解」曰: “漆雕開, 蔡人, 字子若. 少孔子十一歲, 習『尚書』, 不樂仕. 孔子曰: ‘子之齒可以仕矣. 時將過,’ 子若報其書曰: ‘吾斯之未能信.’ 孔子悅焉.” ○ 『韓非子』 「顯學篇」曰: ..
4. 중궁은 어질지만 말재간은 없다 或曰: “雍也仁而不佞.” 雍, 孔子弟子, 姓冉, 字仲弓. 佞, 口才也. 仲弓爲人重厚簡黙, 而時人以佞爲賢, 故美其優於德, 而病其短於才也. 子曰: “焉用佞? 禦人以口給, 屢憎於人. 不知其仁, 焉用佞?” 焉, 於虔反. ○ 禦, 當也, 猶應答也. 給, 辨也. 憎, 惡也. 言何用佞乎? 佞人所以應答人者, 但以口取辨而無情實, 徒多爲人所憎惡爾. 我雖未知仲弓之仁, 然其不佞乃所以爲賢, 不足以爲病也. 再言焉用佞, 所以深曉之. ○ 或疑仲弓之賢而夫子不許其仁, 何也? 曰: 仁道至大, 非全體而不息者, 不足以當之. 如顔子亞聖, 猶不能無違於三月之後; 況仲弓雖賢, 未及顔子, 聖人固不得而輕許之也.” 해석 或曰: “雍也仁而不佞.” 어떤 이가 “중옹은 어질기는 하지만 말을 잘하진 않습니다.”라고 말했다. ..
3. 자장은 호련과 같은 사람이다 子貢問曰: “賜也何如?” 子曰: “女器也.” 女, 音汝. ○ 器者, 有用之成材. 曰: “何器也?” 曰: “瑚璉也.” 瑚, 音胡. 璉, 力展反. ○ 夏曰瑚, 商曰璉, 周曰簠簋, 皆宗廟盛黍稷之器而飾以玉, 器之貴重而華美者也. 子貢見孔子以君子許子賤, 故以己爲問, 而孔子告之以此. 然則子貢雖未至於不器, 其亦器之貴者歟. ○ 孔子以子貢擬於顏子, 問其孰愈, 則其期許大矣. 不應復以一偏之器貶之. 孔子謂管仲之器小, 未必以管仲爲一偏之器, 而又嫌其小也. 子貢學貫三代, 故許以夏ㆍ商之器. 君子不器, 自是一義, 恐不必與此經牽連言之也. 해석 子貢問曰: “賜也何如?” 子曰: “女器也.” 자공이 “저는 어떻습니까?”라고 여쭈니, 공자께서 “너는 그릇이니라.”라고 대답해주셨다. 女, 音汝. ○ 器者, 有用之..
2. 자천을 군자라 칭찬하다 子謂子賤,“君子哉若人! 魯無君子者, 斯焉取斯?” 焉, 於虔反. ○ 子賤, 孔子弟子, 姓宓, 名不齊. 上斯斯此人, 下斯斯, 此德. 子賤蓋能尊賢ㆍ取友以成其德者, 故夫子旣歎其賢. 而又言若魯無君子, 則此人何所取以成此德乎? 因以見魯之多賢也. ○ 蘇氏曰: “稱人之善, 必本其父兄師友, 厚之至也.” 해석 子謂子賤,“君子哉若人! 魯無君子者, 斯焉取斯?” 공자께서 자천을 평가하시며 “군자로구나 이 사람이여! 노나라에 군자가 없다면, 이 사람이 어디서 이 덕을 취했겠는가?”라고 말씀하셨다. 焉, 於虔反. ○ 子賤, 孔子弟子, 姓宓, 名不齊. 자천이 공자의 제자니, 성은 복이고, 이름은 불제다. 上斯斯此人, ‘사언취사(斯焉取斯)’에서 처음 나오는 사(斯)는 ‘이 사람이다’는 것이고, 下斯斯, 此德..
1. 공자 형의 딸과 자신의 딸을 시집보내다 此篇皆論古今人物賢否得失, 蓋格物窮理之一端也. 凡二十七章. 胡氏以爲疑多子貢之徒所記云. 子謂公冶長, “可妻也. 雖在縲絏之中, 非其罪也”. 以其子妻之. 妻, 去聲, 下同. 縲, 力追反. 絏, 息列反. ○ 公冶長, 孔子弟子. 妻, 爲之妻也. 縲, 黑索也. 絏, 攣也. 古者獄中以黑索拘攣罪人. 長之爲人無所考, 而夫子稱其可妻, 其必有以取之矣. 又言其人雖嘗陷於縲絏之中, 而非其罪, 則固無害於可妻也. 夫有罪無罪, 在我而已, 豈以自外至者爲榮辱哉? 子謂南容, “邦有道, 不廢; 邦無道, 免於刑戮”. 以其兄之子妻之. 南容, 孔子弟子, 居南宮. 名縚, 又名适. 字子容, 謚敬叔. 孟懿子之兄也. 不廢, 言必見用也. 以其謹於言行, 故能見用於治朝, 免禍於亂世也. 事又見第十一篇. ○ 或曰: “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