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한문 모의고사
1. 다음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에 대한 한문 교사들의 대화이다. 괄호 안에 해당하는 내용을 쓰시오. [2점]
교사 A :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르면, 학교급별 학급 내용의 위계화가 개정의 중점이네요. 내용 체계를 보면, ‘중학교 한문’에서는 핵심 개념 ‘한자와 어휘’의 내용 요소로 ‘실사와 허사’가 제시되어 있는데, ‘고등학교 한문 Ⅰ․Ⅱ’에서는 ‘실사와 허사’ 외에 ‘( )’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교사 B : ‘중학교 한문’은 어휘를 의미와 기능에 따라 분류된 공통된 성질을 가진 것끼리 모아 놓은 단어들의 갈래를 중심으로 제시되었고, ‘고등학교 한문 Ⅰ․Ⅱ’에서는 문장 안에서의 쓰임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기도 하는 경우까지 고려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
2. 박 교사는 학생들이 한자 어휘의 뜻을 이해하고 이를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언어 활용법’을 이용한 수업을 계획하였다. 다음 ( ) 안에 들어갈 어휘를 漢字로 쓰시오. [2점]
孫叔敖之嬰兒也 出遊而還 憂而不食 其母問其故 泣而對曰 今日吾見兩頭蛇 恐去死無日矣 其母曰 今蛇安在 曰吾聞 見兩頭蛇者死 恐他人又見 吾已埋之也 其母曰 無憂汝不死 吾聞之 有(㉠)者는 必有(㉡) 有隱行者 必有昭明及長 爲楚令尹 -『新序』 |
3. 다음은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이 나눈 대화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을 쓰시오. [2점]
김 교사 : 학생들이 허사의 쓰임에 대해 어려워하는 것 같아요. 어떻게 하면 보다 쉽게 이해하게 할 수 있을까요? 이 교사 : 허사가 사용된 문장을 제시하고 그 속에서 허사를 찾아보도록 하는 ‘허사 쓰임 유추하기’의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어떨까요? 예를 들어 “於”의 경우, “一生之計在於幼 一年之計在於春 一日之計在於寅”에서는 “~에”로 쓰였고, “福生於淸儉 德生於卑退 道生於安靜 命生於和暢”에서는 “~에서”로, “霜葉紅於二月花”에서는 “( ㉠ )”로, “孔子曰 侍於君子有三愆 言未及之而言謂之躁 言及之而不言謂之隱 未見顔色而言謂之瞽”에서는 “( ㉡ )”로 쓰였습니다. 단순한 암 기보다는 허사가 활용된 예시를 제시하여 자연스럽게 허사의 특징을 익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
4. 밑줄 친 ㉠, ㉡의 품사를 순서대로 쓰시오. [2점]
洪公耆燮 少貧甚無聊 一日朝 婢兒踊躍獻七兩錢曰 此在鼎中 米可數石 柴可數馱 天賜天賜 公驚曰 是何金 卽書失金人推去等字 付之門楣而待 俄而姓劉者來問書意 公悉言之 劉曰 理無失金於人之鼎內 果天賜也 盍取之 公曰 非吾物何 劉俯伏曰 小的昨夜 爲竊鼎來 ㉠還憐家勢蕭條而施之 今感公之廉价 良心自發 誓不更盜 願欲常侍 勿慮取之 公卽㉡還金曰 汝之爲良則善矣 金不可取 終不受 後 公爲判書 其子在龍爲憲宗國舅 劉亦見信 身家大昌 -『明心寶鑑』 |
5. (가), (나)에 공통된 題材를 漢字로 쓰시오. [2점]
ㅇ 李穀 簷前相對語 客裏故相依 身世炎凉迫 乾坤羽翼微 巢成還棄去 雛長却分飛 見爾增悲慨 今年又未歸 ㅇ 李承召 畫閣深深簾額低 雙飛雙語復雙棲 綠楊門巷春風晩 靑草池塘細雨迷 趁蝶有時穿竹塢 壘巢終日啄芹泥 托身得所誰相侮 養子年年羽翼齊 |
6. (가), (나)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漢字를 쓰시오. [2점]
㈎ 監科後 卽設庭試於春塘臺 貴勢家人 皆預備十數張試紙 將呈券 必呼某也而授之 使納于命官 視其立落 落則摘取秘封而更呈一券 期於得中而後已 其不能然而投呈者 皆置落軸 故榜爲二十人 而四五人外 無非燀赫照爛 彼千里裹足者 眞愚之甚蔽之甚也 是時( )( )者 多至四五萬 而其試券爲掖隷輩所偸出者居半 故纔收券未及考 而有負出闕門者 -尹愭, 「後科說」 ㈏ 某少時讀書 至易觀之六四曰 ( )國之( ) 利用賓于王 竊謂萬一朝天 可以當此卦之義 耿耿五十年于茲矣 猥膺國命 私心甚喜 頓忘舟楫之危鞍馬之勞 庶幾得遂五十年之志 -金尙憲, 「朝天錄」 |
7.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를 漢字로 쓰시오. [2점]
( )詩起齊梁 盖文字中戱耳 昔竇稻妻織錦之後 杼柚猶存 而宋三賢亦皆工焉 南徐集中所載盤中體 雖連環讀之可以分四十首 其韻尙諧 然血脈不相聯 …(중략)… 夫( )者 順讀則和易 而逆讀之 亦無聲牙艱澁之態 語意俱妙 然後謂之工 -『破閑集』 |
8. 밑줄 친 부분을 국역하고, 이러한 결론에 도달한 이유를 본문에서 찾아 서술하시오. [4점]
夫中國固以奢而亡 吾邦必以儉而衰 何也 夫有其物而不費之謂儉 非無諸己而自絶之謂也 今國無採珠之戶 市無珊瑚之價 持金銀而入店 不可以買餅餌 豈其俗之眞能好儉而然歟 特不知所以用之之術耳 不知所以用之 則不知所以生之不知所以生之 則民日窮 夫財譬則井也 汲則滿 廢則竭 故不服錦繡 而國無織錦之人 則女紅衰矣 不嫌窳器 不事機巧 而國無工匠陶冶之事 則技藝亡矣 以至農荒而失其法商薄而失其業 -朴齊家, 「北學議」 |
9. 다음은 『孟子』 본문과 그에 대한 주석이다. 주석 (가)에 의거하여 본문을 국역하고, ㈏에 의거하여 본문을 풀이 하시오. [4점]
[本文] 孟子曰 存乎人者 莫良於眸子 眸子不能掩其惡 胸中正 則眸子瞭焉 胸中不正 則眸子眊焉 -『孟子』, 「離婁」 ㈎ 瞭明也 眊者蒙蒙目不明之貌 -『孟子集註』 ㈏ 處心純正者 其目安靜有神 黑白分明 其傷於物欲者 躁擾不定 神不內守 看來無淸淨意思 瞭眊之義 當以言外求之 若徒以明暗而別之 則離婁公輸 其賢於卜子夏左丘明乎先儒以貌言之者 欲令學者求之言外也 -『孟子要義』 |
10. 박 교사는 다음 <자료>를 활용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대명사’에 유의하여 교수ㆍ학습을 계획하고 있다. 다음 밑줄 친 ㉠, ㉡, ㉢에 해당하는 것을 쓰시오. [4점]
[本文] 顔淵季路侍 子曰 盍各言爾志 子路曰 願車馬衣輕裘 與朋友共 敝之而無憾 顔淵曰 願無伐善 無施勞 子路曰 願聞子之志 子曰 老者安之 朋友信之 少者懷之 -『論語』 「公冶長」 ㈎ 老者養之以安 朋友與之以信 少者懷之以恩 -『論語集註』 ㈏ 一說 安之安我也 信之信我也 懷之懷我也 -『論語集註』 ㈐ 懷歸也 言己願A者安 己事之以孝敬也 朋友信 己待之以不欺也 少者歸 己施之以恩惠也 -『論語註疏』 |
박 교사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교육 과정에는 “대명사는 사람이나 사물, 장소 및 상태나 동작 등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뜻을 나타내는 단어이다.”라고 되어 있어요. 김 교사 : 그래요. 대명사에는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등이 있지요. 박 교사 : <자료> 本文의 밑줄 친 ‘之’는 모두 대명사인가요? 김 교사 : 아닙니다. 5개 중에 ㉠ 4개는 대명사인데, ㉡ 1개는 어조사입니다. 박 교사 : 대명사도 ㉢ ㈎, ㈏, ㈐처럼 풀이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용법이 있습니다. |
11. 밑줄 친 ㉠에 해당하는 부분을 본문에서 찾아서 서술하시오. [4점]
民有業盜者 敎其子盡其術 盜子亦負其才 自以爲勝父遠甚每行盜 盜子必先入而後出 舍輕而取重 耳能聽遠 目能察暗爲羣盜譽 誇於父曰 吾無爽於老子之術 而強壯過之 以此而往 何憂不濟 盜曰 未也 智窮於學成 而裕於自得 汝猶未也盜子曰 盜之道 以得財爲功 吾於老子 功常倍之 且吾年尙少 得及老子之年 當有別樣手段矣 盜曰 未也 行吾術 重城可入 祕藏可探也 然一有蹉跌 禍敗隨之 若‘無形跡之可尋應變機而不括 則非有所自得者 不能也 汝猶未也 盜子猶未之念聞 盜後夜與其子 至一富家 令子入寶藏中 盜子耽取寶物 盜闔戶下鑰 攪使主聞 主家逐盜返 視鎖鑰猶故也 主還內 盜子在藏中 無計得出 以爪搔爬 作老鼠噬嚙之聲 主云鼠在藏中損物 不可不去 張燈解鑰 將視之 盜子脫走 主家共逐 盜子窘 度不能免 繞池而走 投石於水 逐者云 盜入水中矣 遮躝尋捕 盜子由是得脫歸 …(중략)… 夫盜賊 惡之術也 猶必 ㉠自得 然後乃能無敵於天下 -姜希孟, 「盜子說」 |
12. 밑줄 친 ㉠은 이 글의 결론에 해당한다. 이러한 결론에 이르게 된 이유를 본문에서 구체적으로 찾아 서술하시오. [4점]
益之詩 世或以花欠實病之 然洞山驛詩 隣家少婦無夜食雨中刈麥草間歸 靑薪帶濕煙不起 入門兒女啼牽衣 田家食苦之態 若親覩之 拾穗謠曰 田間拾穗村童語 盡日東西不滿筐 今歲刈禾人亦巧 盡收遺穗上官倉 凶歲村民之語 若親,之 嶺南道中 老翁負鼎林間去 老婦携兒不得隨 逢人却說移家苦 六載從軍父子離 其賦役煩重 民不聊生 流離辛苦之狀 備載於一篇中 使牧民者 覩此而惕然驚悟 施行惠活疲癃 則 ㉠其爲補於風化者 豈淺淺乎哉 爲文不關於 世敎 則亦徒作而已 此等製作 豈不賢於瞽誦工諫乎 -『鶴山樵談』 |
13. 밑줄 친 ㉠, ㉡의 이유를 본문에서 찾아 각각 서술하시오. [4점]
李氏從女李氏 亦烈女也 少喪母 育於其從姑 李氏通小學史記 十七歲八月 嫁龍崗縣金麟老 麟老十月將卛而歸 濟大江溺焉 烈女聞其報 大悲哀 剔地以哭 爪爲之流血 明日哭奔‘家 中流大慟曰 吾夫欲卛我而溺 從夫之死 無憾 乃赴江 左右衛之免 及到夫家 夜逃至江者數 輒爲人覺 不遂志 ㉠烈女紿曰 夫已矣 吾生 夫可祭 怡怡如平日 家人不疑 不爲守 夜潛往溺于井 日明衆覺而拯 自足至胷背 渾以紬纏之 ㉡堅不可解 其遺書處置家事 訣舅姑與父母諸兄弟又曰 願不脫紬纏與素服 仍以斂之 所大恨者 夫屍之不得如終不得 以夫之衣與髮同窆 是吾志也 後終不得屍 戊午監司上其事 命旌其閭 烈女事後母至誠 女死 母悲憾而沒 -李德懋, 「兩烈女傳」 |
14. 박 교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문 Ⅰ 교육과정에 따라 수업을 준비하였다. [학습 목표와 수업 자료]에서 ( )에 들어갈 내용을 쓰고, ㈎의 예시와 같이 ㈏에 대한 설명을 쓰시오. [4점]
[학습 목표와 수업 자료] -학습 목표 문장에서 ( )을/를 찾고, 이를 문장 풀이에 활용한다. -수업 자료 ㈎ 原思爲之宰 與之粟九百 辭 -『論語』 「雍也」 ㈏ 司馬牛憂曰 人皆有兄弟 我獨亡 -『論語』 「顏淵」
|
15. 다음은 『論語』의 본문과 그에 대한 주석이다. 주석 ㈎, ㈏에 의거하여 본문을 해석할 경우, 밑줄 친 ㉠의 주체가 달라진다. 달라지는 각각의 주체를 쓰고, 달라지는 내용에 따라 본문을 번역하시오. [4점]
[本文] 子夏問孝 子曰 ㉠色難 有事 弟子服其勞 有酒食 先生饌曾是以爲孝乎 [註釋] ㈎ 色難 謂事親之際 惟色爲難也 -『論語集註』 ㈏ 色難者 謂承順父母顔色 乃爲難 -『論語註疏』 |
16. 다음 글의 내용에 해당하는 것을 四字成語로 쓰고, ㈀과 ㈁이라 조롱한 이유를 본문에서 찾아 서술하시오. [4점]
晉陽 徵斂無藝 雖山林蔬果 利無少遺 寺社髡緇亦受其弊一日雲門寺僧來謁 宰曰 汝寺瀑布 今年想佳 僧不知瀑布爲何物 恐亦徵斂 應聲曰 瀑布今年爲猪喫盡 有人作詩 嘲之曰 ㈀寒松何日虎將去 ㈁瀑布當年猪盡喫 江陵有寒松亭山水之勝 擅於關東 使華賓客之往來 輪蹄輳集 供億不貲州人常詬曰 寒松亭何日虎來將去 -『海東雜錄』 |
17. 밑줄 친 ㈀이 가리키는 대상을 본문에서 찾아 쓰고, 밑줄 친 ㈁과 같은 심리상태를 보이는 까닭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 [4점]
橡栗橡栗栗非栗 誰以橡栗爲之名 味苦於荼色如炭 療飢未必輸黃精 村家父老裏糇糧 曉起趁取雄鷄聲 陟彼崔嵬一萬仞 捫蘿日與猿狖爭 崇朝掇拾不盈筐 兩股束縛飢腸鳴 天寒日暮宿空谷 燒桂燃松煮溪蔌 夜深霜露滿皎肌 男呻女吟苦悽咽 試向村家問老農 老農丁寧爲予說 近來權勢奪民田 標以山川作公案 或於一田田主多 徵後還徵無間斷 或罹水旱年不登 場圃年深草蕭索 剝膚槌髓掃地空 官家租稅奚由出 壯者散之知幾千 老弱獨守懸磬室 未忍將身轉溝壑 空巷登山拾橡栗 其言悽惋略而盡 聽終辭絶心如噎 -尹汝衡, 「橡栗歌」 |
18. 밑줄 친 ㈀과 같이 말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 [4점]
李氏子洛瑞年十六 從不佞學有年矣 心靈夙開 慧識如珠嘗携其綠天之稿 質于不佞曰 嗟乎 余之爲文 纔數歲矣 其犯人之怒多矣 片言稍新 隻字涉奇 則輒問古有是否 否則怫然于色曰 安敢乃爾 噫 於古有之 我何更爲 願夫子有以定之也 不佞攢手加額 三拜以跪曰 ㈀此言甚正 可興絶學蒼頡造字 倣於何古 顔淵好學 獨無著書 苟使好古者 思蒼頡造字之時 著顔子未發之旨 文始正矣 吾子年少耳 逢人之怒 敬而謝之曰 不能博學 未攷於古矣 問猶不止 怒猶未解 嘵嘵然答曰 殷誥周雅 三代之時文 丞相右軍 秦晉之俗筆 -朴趾源, 「綠天館集序」 |
19. ㉠에 해당하는 사람을 본문에서 찾아 漢字로 쓰고, 선정 이유를 설명하시오. [5점]
吾邦之文 三國高麗 專學六朝文 長於騈儷 而高麗中世 金文烈公 特爲傑出 其所撰三國史 豊厚樸古 綽有西漢之風其末世李益齋 始唱韓歐古文 尤長於記事 再修國史 韓朝所作高麗史 實皆益齋之筆也 李牧隱以益齋門生 始唱程朱之學 而其文多雜註疏語錄之氣 自是至吾韓二百餘年之間有權陽村金佔畢崔簡易辛象村李月沙諸家 而皆受病於牧隱金農巖所云 我東之文 膚率而不能切深 俚俗而不能雅麗冗靡而不能簡整者 卽指此也 張谿谷李澤堂二公 一洗前陋而陋未盡袪 至農巖則袪盡矣 然又稍病乎弱 朴燕巖承農巖之雅 而昌大雄變之 自後洪淵泉以下 去益愈淸 而元氣亦隨 而稍薄 此余之選㉠麗韓九家者也 如吾黃江漢 頗長於記事 而他體皆短 趙東溪洪沆瀣 雖皆能跳出於陋 而矯枉過直 病於佻薄 故選不及之也 -金澤榮, 『雜言』 |
20. ㈎의 내용을 근거로 ㈏의 글에서 그렇게 평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5점]
㈎ 此篇 以一祥字 反覆言之 始以爲祥 繼疑其不祥 未幾又以爲不爲不祥 末明斷之以爲不祥 -『古文眞寶』 「獲麟解小序」 ㈏ 麟之爲靈昭昭也 詠於詩 書於春秋 雜出於傳記百家之書 雖婦人小子 皆知其爲祥也 然麟之爲物 不畜於家 不恆有於天下 其爲形也不類 非若牛馬犬豕豺狼麋鹿然 然則雖有麟 不可知其爲麟也 角者吾知其爲牛 鬣者吾知其爲馬犬豕豺狼麋鹿 吾之其爲犬豕豺狼麋鹿 惟麟也不可知 不可知 則其謂之不祥也亦宜 雖然麟之出 必有聖人在乎位 麟爲聖人出也 聖人者必知麟 麟之果不爲不祥也 又曰 麟之所以爲麟者 以德不以形 若麟之出 不待聖人 則其謂之不祥也 亦宜哉 -『古文眞寶』 「獲麟解」 |
21. 다음의 『論語』 본문을 ㈎와 ㈏에 근거하여 구두점을 표시하고 내용을 풀이하시오.
[本文] 廐焚 子退朝曰 傷人乎 不問馬 ㈎ 非不愛馬 然恐傷人之意多 故未暇問 蓋貴人賤畜 理當如此 -『論語集註』 ㈏ 先儒皆以爲恐傷人之意多故未暇問馬 是得貴人賤畜之理 或人又謂傷人乎 不當爲一句 蓋先問人而後問馬也 今以理求之 恐或說爲得 蓋廏焚而問馬 人情之常而理亦當然 聖人先問人而後問馬 此可見恐傷人之意多而人畜貴賤各當其理矣 若曰遂不問馬則殆非人之常情 其於理亦未爲盡 馬雖賤畜 君子固不忘弊帷之施 況於廏焚而不問其死生 可乎 -朴世堂, 『思辨錄』 |
인용
'기출문제 > 전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학년도 한문 임용 B형 기출문제 (0) | 2021.05.13 |
---|---|
2024학년도 한문 임용 A형 기출문제 (0) | 2021.05.13 |
2024학년도 한문임용 - 스캔 (0) | 2021.02.14 |
2021학년도 수능 한문 기출문제 (0) | 2020.12.04 |
2023학년도 한문임용 - 스캔 (0) | 2020.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