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문집 (9338)
건빵이랑 놀자
金員外克己詩, 運思極巧, 咏冬日李花落句曰, “無乃異香來聚窟, 漢宮重見李夫人.” 此前賢所未道者. 在龍灣作詩曰, “文章向老歌相娛, 一劍遊邊尙五車. 衙罷不知爲塞吏, 紙窓明處臥看書.” 其排遣之懷, 翛然可想.
李堅幹詩, “旅館挑殘一盞燈 使華風味淡於僧. 隔窓杜宇終宵聽, 啼在山花第幾層.” 此詩, 當時以爲絶唱. 余慣遊關東, 其所謂杜鵑者, 卽鼎小也之類. 浙人王子爵, 泗川人商邦奇, 俱嘗來江陵, 余問之二人, 皆曰, “非杜鵑也.” 蓋詩人托興言之, 雖非其物, 用之於詩中, 如“隔林空聽杜猿啼”者. 我國本無猿也. 如“脩竹家家翡翠啼”者, 見靑禽而謂之炎洲翠也. “鷓鴣驚簸海棠花”者, 見大鵲呌磔磔, 而謂行不得也, 皆此類歟!
洪舍人侃詩, 穠艶淸麗, 其懶婦引․孤雁篇最好, 似盛唐人作.
同時陳翰林澕, 與文順齊名, 詩甚淸邵. 其“小梅零落柳僛垂, 閑踏淸嵐步步遲. 漁店閉戶人語少, 一江春雨碧絲絲” 淸勁可詠.
李文順富麗橫放, 其七夕雨詩, 信絶唱也. 其“輕衫小簟臥風欞, 夢覺啼鸎三兩聲. 密葉翳花春後在, 薄雲漏日雨中明”之作讀之爽然. 又“官人閑捻笛橫吹, 蒲席凌風去似飛. 天上月輪天下共, 自疑私載一船歸.”亦儘高逸矣.
翰林別曲稱元淳文․仁老詩, 則李大諫之詩, 固亦當時第一也. 其“半夜聞鷄聊起舞, 幾回捫蝨話良圖”之句, 殊好. 與瞿宗吉“射虎他年隨李廣, 聞鷄中夜舞劉琨”相似. 其八景詩亦好.
鄭大諫詩, 在高麗盛時最佳. 流傳者絶少, 篇篇皆絶倡也. 如‘風送客帆雲片片, 露凝宮瓦玉粼粼’ 稍佻, 而至於‘綠楊閉戶八九屋, 明月倚樓三四人.’ 方神逸也. 其‘石頭松老一片月, 天末雲低千點山.’ 雖苦亦自楚楚.
崔孤雲學士之詩, 在唐末, 亦鄭谷․韓偓之流, 率佻淺不厚. 唯‘秋風惟苦吟, 世路少知音. 窓外三更雨, 燈前萬里心.’ 一絶最好. 又一聯‘遠樹參差江畔路, 寒雲零落馬前峰.’ 亦佳.
惺叟詩話引 我國自唐末以至今日, 操觚爲詩者, 殆數千家, 而世遠代邈, 堧沒不傳者, 亦過其半. 况經兵燹, 載籍畧盡, 爲後學者, 何從考其遺跡乎? 深可慨已. 不佞少習聞兄師之言, 稍長, 壬以文事, 于今三十年矣. 其所記覽, 不可謂不富, 而亦嘗妄有涇渭乎? 中丁未歲, 刪東詩訖, 又著詩評, 其於東人, 稍以詩見於傳記者, 及所嘗耳聞目見者, 悉博採幷羅, 無不雌黃而評隲之, 凡二卷, 其所品藻, 或乖大雅, 而搜訪之殷, 足備一代文獻也. 書成, 削其藁, 只書二件, 一在浪州失去, 一在京邸遺佚, 此殆六丁下取將否? 欲更記載, 而不敢犯天忌, 聊以縮手耳. 辛亥歲, 俟罪咸山, 閑無事, 因述所嘗談話者, 著之于牘, 旣而看之, 亦自可意. 命之曰, 詩話, 凡九十六款, 其上下八百餘年之間, 所蒐出者, 只此, 似涉太簡, 而要之亦盡之已. 觀者詳焉. 是歲四月之念..
38. 가슴속의 감정들은 자연히 시에 담긴다 栗谷先生, 嘗就洪荷衣迪家, 金孝元ㆍ許, 兄弟方在座. 荷衣示近作一絶, ‘苔深窮巷客來稀, 鳥啼聲中午枕推. 茶罷小窓無箇事, 落花高下不齊飛.’ 栗谷, 賞之, 仍笑曰: “詩辭盡好. 而落句意頗不平, 何也?” 荷衣驚問, “何以知之?” 先生笑曰: “有參差不正齊之意. 若使胸中坦平, 必無此等語.” 荷衣笑謝曰: “年少輩果有劾公之意, 構成一文字, 未了之際, 偶有此吟. 不謂公之明鑑至此也.” 해석栗谷先生, 嘗就洪荷衣迪家, 율곡선생이 일찍이 하의 홍적의 집에 가니 金孝元ㆍ許, 兄弟方在座. 김효원과 김효허 형제가 곧 자리에 있었다. 荷衣示近作一絶, ‘苔深窮巷客來稀, 鳥啼聲中午枕推. 茶罷小窓無箇事, 落花高下不齊飛.’ 하의가 근래에 지은 한 절구를 보여줬으니 다음과 같다. 苔深窮巷客來稀이끼 ..
국가 정책인데도 고작 3일 만 유용하다 조선공사삼일(朝鮮公事三日) 西厓柳成龍, 爲都體察使, 有列邑移文事. 文旣成, 屬驛吏. 過三日後, 復收其文, 將追改之. 驛吏持文而至, 相國詰之曰: “爾何受書三日, 尙不頒列邑?” 吏對之曰: “俗談朝鮮公事三日, 小人知三日後復推之, 故延至今日矣.” 相國欲罪之, 仍思之曰: “是言可以警世, 吾過矣.” 遂改其文而使之頒. 해석 西厓柳成龍, 爲都體察使, 有列邑移文事. 서애 유성룡이 도체찰사가 되어 여러 고을에 공문서 보낼 일이 있었다. 文旣成, 屬驛吏. 공문이 이미 완성되자 역관에게 위임했다. 過三日後, 復收其文, 將追改之. 사흘이 지난 후에 다시 공문서를 檢收하여 장차 더 고치려 하니 驛吏持文而至, 相國詰之曰: 역관이 공문서를 가지고 왔고 유 상국은 그를 힐난했다. “爾何受書三日,..
사람답게 살기 위해 학문해야 한다 擊蒙要訣序 학문을 하지 않으면 사람이 될 수 없다 人生斯世, 非學問, 無以爲人. 所謂學問者, 亦非異常別件物事也. 마땅하게 행동하기 위해 학문을 한다 只是爲父當慈, 爲子當孝, 爲臣當忠, 爲夫婦當別, 爲兄弟當友, 爲少者當敬長, 爲朋友當有信, 皆於日用動靜之間, 隨事各得其當而已, 非馳心玄妙, 希覬奇效者也. 但不學之人, 心地茅塞, 識見茫昧. 故必須讀書窮理, 以明當行之路, 然後造詣得正, 而踐履得中矣. 현대인들은 학문을 매우 고답적인 것으로 착각한다 今人不知學問在於日用, 而妄意高遠難行. 故推與別人, 自安暴棄, 豈不可哀也哉? 책을 쓰게 된 이유와 이 책의 역할 余定居海山之陽, 有一二學徒, 相從問學. 余慙無以爲師. 而且恐初學不知向方, 且無堅固之志, 而泛泛請益, 則彼此無補, 反貽人譏. 故..
패관잡기의 말을 쓴 신하에게 내린 하교 정조(正祖) 정조가 생각하는 문장의 기능과 올바른 문체一日, 賤臣對抄啓策問, 妄用稗官雜記語. 下敎切責以爲“文章, 雖屬技藝中一事, 而語其至則上可以占治敎之汙隆, 下可以觀性情之邪正. 六經之道, 至大而簡, 西京ㆍ唐宋之文, 最稱爾雅. 현재 문장 짓는 이들의 문제점今世之爲文者, 學不充才, 因難生厭. 乃反下學於明淸小品, 沾沾自喜者, 相率爲瑣瑣啁啾之語, 此豈世道之福哉? 소품체로 문풍을 어지럽힌 이들에 대한 조치况爾曹家傳詩禮, 世掌絲綸, 擩染者軒冕之作, 誦習者詞命之體, 俯就跂及, 各隨才分. 萬有一舍宋而適越, 用夏而變夷, 捷徑窘步, 貪鳥錯人, 則其爲賊于敷文, 忝厥先武, 豈特无妄之小過.”仍命內閣發緘推問, 又命製進自訟文一篇. 言後不敢然後, 乃許供職. 『弘齋全書』 해석 정조가 생각하는 문..
소품체와 패관잡기와 전쟁을 선포한 정조 정조(正祖) 명청의 소품문을 싫어하는 정조明淸以來, 文章多險怪尖酸, 予不欲觀. 今人好看明淸人文集, 不知何所味也. 豈亦有味, 而予不能味之耶? 『弘齋全書』 161 과거시험에 쓰인 소품체를 극도로 배척하는 정조泮試試券, 若有一涉於稗官雜記者, 雖滿篇珠玉, 黜置下考, 仍坼其名而停擧, 無所容貸. 『正祖實錄』 16년 10월 19일 갑신 사학(邪學)보다 더 심각한 문제인 소품체予嘗言‘小品之害, 甚於邪學’ 人未知其信然. 乃有向日事矣, 蓋邪學之可闢可誅, 人皆易見. 而所謂小品, 初不過文墨筆硯間事, 年少識淺薄有才藝者, 厭常喜新, 爭相摸倣, 駸駸然如淫聲邪色之蠱人心術. 其弊至於非聖反經蔑倫悖義而後已. 况小品一種, 卽名物考證之學, 一轉而入於邪學. 予故曰: “欲祛邪學, 宜先祛小品.” 『弘齋全書』..
22. 사씨남정기의 가치와 한문으로 번역한 이유 小說, 無論『廣記』之雅麗, 『西遊』ㆍ『水滸』之奇變宏博. 如『平山冷燕』, 又何等風致? 然終於無益而已. 西浦頗多以俗諺爲小說, 其中所謂『南征記』者, 有非等閒之比. 余故翻以文字, 而其引辭曰: “言語文字以敎人, 自六經然爾. 聖人旣遠, 作者間出, 少醇多疵. 至稗官小記, 非荒誕則浮靡. 其可以敦民彝裨世敎者, 惟『南征』記乎. 記本我西浦先生所作, 而其事則以人夫婦妻妾之間. 然讀之者, 無不咨嗟涕泣, 豈非感於謝氏處難之節, 翰林改過之懿. 皆根於天具於性而然者. 其憤痛裂眦, 又豈不以喬ㆍ董之惡哉? 不惟如是, 推類引義, 將無往而非敎人者. 所謂‘放臣怨妻與所天者, 天性民彝, 交有所發,’ 則如『楚辭』. 所謂‘感發人之善心, 懲創人之逸志,’ 則又庶幾乎『詩』, 是烏可與他小說同日道哉. 然先生之作之以諺..
토론의 자세 不能舍己從人, 學者之大病. 天下之義理無窮, 豈可是己而非人? 人有質問, 則淺近說, 必留意, 少間而答之. 未嘗應聲而對. 先生與學者講論, 到疑處, 不主己見, 必博采衆論. 雖章句卑儒之言, 亦且留意聽之, 虛心理會, 反復參訂, 終歸於正而後已. 其論辨之際, 氣和辭暢, 理明義正. 雖羣言競起, 而不爲參錯. 說話必待彼言之定然後, 徐以一言條析之. 然不必其爲是, 第曰: “鄙見如此, 未知如何?” 해석 不能舍己從人, 學者之大病. 자기를 버리고 남을 따르지 못함이 학자들의 큰 병이다. 天下之義理無窮, 豈可是己而非人? 천하의 의리는 무궁하니 어찌 자기만이 옳고 남은 그르다 할 수 있는가. 人有質問, 則淺近說, 必留意, 少間而答之. 未嘗應聲而對. 사람이 질문하면 천근한 말일지라도 반드시 유의하고 잠깐 후에 대답했으니, 일..
방 안에서 똬리를 튼 뱀을 쫓아낸 아들의 재치 近世, 有田舍人, 亦當夏月之夕, 加足於門櫳之上, 仍着睡矣. 有蛇入盤于褌中, 不出. 覺而料之, 則難免矣. (중략) 兒捷起附耳曰: “潛臥勿動.” 卽出井甃間, 得一蛙而來, 觸柱聲出. 蛇聞之, 敍身修然而出, 遂得免害. - 『於于野談』 해석 近世, 有田舍人, 亦當夏月之夕, 최근에 어떤 시골 사람이 또한 여름날 저녁에 加足於門櫳之上, 仍着睡矣. 발을 문지방 위에 올리고서 곧 잠이 들었다. 有蛇入盤于褌中, 不出. 뱀이 들어가 잠방이(홑바지) 속에 똬리를 틀고서 나가지 않았다. 覺而料之, 則難免矣. 깨어나 상황을 헤아려보니 피하기 어려웠다. (중략) 兒捷起附耳曰: “潛臥勿動.” 아들이 민첩하게 일어나 귀에 대고서 “가만히 누워 움직이지 마세요.”라고 말했다. 卽出井甃間, ..
3. 어째서 귀에 대고 말하는 것인가 何以附耳相語 昔, 黃相國喜, 微時, 行役, 憩于路上. 見田夫架二牛而耕者, 問曰: “二牛何者爲勝?” 田夫不對, 輟耕而至, 附耳細語曰: “此牛勝.” 公怪之曰: “何以附耳相語?” 田夫曰: “雖畜物, 其心, 與人同也. 此勝則彼劣, 使牛聞之, 寧無不平之心乎.” 公大悟, 遂不復言人之長短云. 해석 昔, 黃相國喜, 微時, 옛날에 황희 정승이 벼슬하지 않을 때에 行役, 憩于路上. 먼 길을 가다가 길가에서 쉬고 있었다. 見田夫架二牛而耕者, 問曰: 그러다 농부가 두 마리를 멍에매어 밭가는 것을 보고 물었다. “二牛何者爲勝?” “두 마리 소 중에 어떤 놈이 나은가?” 田夫不對, 輟耕而至, 농부는 대답하지 않다가 밭 갈길 멈추고 다가와 附耳細語曰: “此牛勝.” 귀에 대고 작은 소리로 “이 ..
16. 허난설헌과 그녀의 시 세계 蘭雪軒許氏, 正字金誠立之妻, 爲近代閨秀第一. 早夭, 有詩集行世. 平生琴瑟不諧, 故多怨思之作. 其『采蓮曲』曰: “秋淨長湖碧玉流, 荷花深處繫蘭舟, 逢郞隔水投蓮子, 遙被人知半日羞.” 中朝人購其詩集, 至入於『耳談』. 金誠立少時, 讀書江舍, 其妻許氏寄詩云 ‘燕掠斜簷兩兩飛, 落花撩亂撲羅衣. 洞房極目傷春意, 草綠江南人未歸.’ 此兩作近於流蕩, 故不載集中云. -『芝峯類說』 해석 蘭雪軒許氏, 正字金誠立之妻, 爲近代閨秀第一. 난설헌 허씨는 正字 김성립의 아내이니 근대의 규수작가로 제일인자다. 早夭, 有詩集行世. 일찍 죽었지만 시집이 있어서 세상에 돌아다닌다. 平生琴瑟不諧, 故多怨思之作. 평생에 부부사이가 좋지 않아서 원망하고 서글퍼하는 작품이 많다. 其『采蓮曲』曰: “秋淨長湖碧玉流, 荷花深..
금강산을 묘사한 정사룡 시와 권근 시의 차이 余少時, 遇詩人鄭之升於外舅申家, 問曰: “鄭士龍遊金剛山無佳作, 獨一小詩絶句爲絶唱, 信乎?” 之升曰: “古人賦楓嶽, 無有放象楓嶽之面目者, 至於湖陰詩, ‘萬二千峰領畧歸, 蕭蕭黃葉打秋衣. 正陽風雨燒香夜, 蘧瑗方知四十非.’ 信是佳作. 但此詩, 雖於香林․淨土賦之亦佳. 香林․淨土兩寺, 京山俗刹也. 獨權近詩二句, ‘削立亭亭千萬峯, 碧雲開出玉芙蓉.’ 此則善形容金剛面目者. 今而思之, 眞所謂可與論詩者也. -『於于野談』 해석 余少時, 遇詩人鄭之升於外舅申家, 問曰: 내가 어릴 때 외가인 신씨의 집에서 시인 정지승을 만나 물었다. “鄭士龍遊金剛山無佳作, “정사룡이 금강산에서 노닐었는데 좋은 작품은 없고 獨一小詩絶句爲絶唱, 信乎?” 유독 한 짧은 절구만이 절창이라 하는데 참말입니까?”..
1. 정도전ㆍ이숭인ㆍ권근의 스스로 즐길 만한 것 三賢論自樂處 三峯鄭先生ㆍ陶隱李先生ㆍ陽村權先生相與論平生自樂處. 三峯曰: “朔雪初飛, 貂裘駿馬, 牽黃臂蒼, 馳獵平蕪, 此足樂也.” 陶隱曰: “山房靜室, 明窓靜几, 焚香對僧, 煮茶聯句, 此足樂也.” 陽村曰: “白雪滿庭, 紅日照窓, 燠室溫堗, 圍屛擁爐, 手執一卷, 大臥其間, 美人纖手刺繡, 時復停針, 燒栗啖之, 此足樂也.” 鄭ㆍ李兩先生大笑曰: “子之樂亦足起予也.” -徐居正, 『太平閑話滑稽傳』 해석 三峯鄭先生ㆍ陶隱李先生ㆍ 삼봉 정도전 선생과 도은 이숭인 선생, 陽村權先生相與論平生自樂處. 그리고 양촌 권근 선생이 서로 함께 평생에 스스로 즐길 만한 것을 이야기했다. 三峯曰: “朔雪初飛, 貂裘駿馬, 삼봉 정도전이 말했다. “북방에 눈이 처음으로 내릴 때 담비 가죽을 입힌..
51. 도은의 시적 재능을 질투한 삼봉 半山與東坡不相能. 然讀東坡『雪後又韻』詩, 追次至六七篇, 終曰: “不可及,” 時人服其自知甚明. 一日三峰假寐, 族姪黃鉉, 從傍誦陶隱『扈從』詩 ‘鼓角滄江動, 旌旗白日陰. 詞臣多侍從, 會見獻虞箴.’ 三峰忽開眼, 令鉉再誦曰: “語韻淸圓似唐詩,” 鉉曰: “李簽書崇仁所著也.” 三峰曰: “兒子輩何從得惡詩來乎.” 嗚呼! 以半山之執拗自是, 尙不廢公論, 鄭之不及半山, 亦遠矣. 해석半山與東坡不相能. 반산 왕안석(王安石)과 동파 소식(蘇軾)이 서로 사이가 좋지 않았다. 然讀東坡『雪後又韻』詩, 하루는 동파의 「눈 내린 뒤에 또 읊다雪後又韻」라는 시를 읽고 追次至六七篇, 終曰: “不可及,” 따라서 차운하며 6~7편을 지었는데 마침내 “동파의 실력에 이를 수가 없다”라고 말했으니, 時人服其自知..
7. 정지상과 김부식의 악연 侍中金富軾, 學士鄭知常, 文章齊名一時, 兩人爭軋不相能. 世傳知常有, ‘琳宮梵語罷, 天色淨琉璃’之句, 富軾喜而索之, 欲作己詩, 終不許. 後知常爲富軾所誅, 作陰鬼. 富軾一日詠春詩, 曰: ‘柳色千絲綠, 桃花萬點紅.’ 忽於空中鄭鬼批富軾頰曰: “千絲萬點, 有孰數之也? 何不曰 ‘柳色絲絲綠 桃花點點紅.’” 富軾頗惡之. 後往一寺, 偶登厠, 鄭鬼從後握陰卵, 問曰: “不飮酒何面紅?” 富軾徐曰: “隔岸丹楓照面紅.” 鄭鬼緊握陰卵曰: “何物皮卵子?” 富軾曰: “汝父卵, 鐵乎?” 色不變. 鄭鬼握卵尤力, 富軾竟死於厠中. 해석 侍中金富軾, 學士鄭知常, 文章齊名一時, 시중 김부식과 학사 정지상은 문장으로 한 때에 이름을 나란히 했지만 兩人爭軋不相能. 두 사람은 종알거리며 서로 화목하질 못했다. 世傳知常有,..
그대의 좋아하는 마음 잘 싣고 갑니다 又有我國一文士, 如中原. 見路上美妹, 坐驢車而往東. 士倚門而望, 貽兩句詩, 索美人聯句曰: “心逐紅粧去, 身空獨倚門.” 美妹駐驢, 續之而去. 其兩句曰: “驢嗔車載重, 添却一人魂.” -『於于野談』 해석 又有我國一文士, 如中原. 또한 우리나라의 한 명의 문인이 있었는데 중국에 갔습니다. 見路上美妹, 坐驢車而往東. 길 위에서 미녀를 봤는데 나귀가 끄는 수레에 앉아 동쪽으로 가고 있었다. 士倚門而望, 貽兩句詩, 선비가 문에 기대 바라보며 두 구절의 시를 주었고 索美人聯句曰: “心逐紅粧去, 身空獨倚門.” 미인에게 화답해주길 구하며 말했다. 心逐紅粧去 身空獨倚門 마음은 미인 따라 가고 있는데 이 몸은 부질없이 문 기대 섰소. 美妹駐驢, 續之而去. 미녀는 나귀 수레를 멈추고 화답하..
7. 과장함으로 시의 뜻은 더 분명해진다 陳司諫澕, “雨餘庭院簇莓苔, 人靜柴扉晝不開. 碧砌落花深一寸, 東風吹去又吹來.” 砭者曰: “落花稱深一寸, 似畔於理.” 予曰: “趙退菴, 詩曰: ‘蒲色靑靑柳色深, 今年寒食去年心. 醉來不記關河夢, 路上飛花一膝深.’ 其曰: ‘一膝, 則又深於一尺矣.’ 況太白詩, ‘燕山雪片大如席’. 又曰: ‘白髮三千丈’ 蘇子瞻詩, ‘大繭如甕盎.’ 是不可以辭害意, 但當意會爾. 해석陳司諫澕, “雨餘庭院簇莓苔, 人靜柴扉晝不開. 碧砌落花深一寸, 東風吹去又吹來.” 사간 진화는 다음과 같이 시(「춘만제산사春晩題山寺」)를 읊었다. 雨餘庭院簇莓苔비 온 나머지 정원엔 이끼 돋아나고 人靜柴扉晝不開사람 드무니 사립문이 낮인데도 열려 있지 않네. 碧砌落花深一寸푸른 섬돌에 떨어진 꽃이 한 치의 높이로 東風吹去又吹..
32. 이행부터 권필까지 한시 평가 我朝詩, 至中廟朝大成, 以容齋相倡始. 而朴訥齋祥ㆍ申企齋光漢ㆍ金冲庵淨ㆍ鄭湖陰士龍, 竝生一世. 炳烺鏗鏘, 足稱千古也. 我朝詩, 至宣廟朝大備. 盧蘇齋得杜法, 而黃芝川代興, 崔ㆍ白法唐而李益之闡其流. 吾亡兄歌行似太白, 姊氏詩恰入盛唐. 其後權汝章晩出, 力追前賢, 可與容齋相肩隨之, 猗歟盛哉! 해석我朝詩, 至中廟朝大成, 以容齋相倡始. 우리 조선시는 중종 때에 이르러 대성하여 용재 이행이 서로 창시했다. 而朴訥齋祥ㆍ申企齋光漢ㆍ金冲庵淨ㆍ鄭湖陰士龍, 그러다가 눌재 박상과 기재 신광한ㆍ충암 김정ㆍ호음 정사룡이 竝生一世. 아울러 한 세대에 태어났다. 炳烺鏗鏘, 足稱千古也. 밝고 쟁쟁하여 넉넉하게 천고(千古)에 칭찬할 만하게 되었다. 我朝詩, 至宣廟朝大備. 우리 조선의 시는 선조 때에 이르러 ..
63. 복고파인 정두경을 비판하다 정두경 시의 장점 鄭東溟出於晩季, 能知有漢魏古詩樂府爲可法. 歌行長篇, 步驟李杜; 律絶近體, 摸擬盛唐, 不肯以晩唐蘇黃作家, 計亦偉矣. 정두경의 한계 然其才具氣力, 實不及挹翠諸公. 又不曾細心讀書, 深究詩道, 沈潛自得, 充拓變化, 徒以一時意氣, 追逐前人影響. 복고파 정두경의 시가 단점이 많은 이유 故其詩, 雖淸新豪俊, 無世俗齷齪庸腐之氣. 然其精言妙思, 不足以窺古人之奧, 橫騖旁驅, 又未能極詩家之變. 要其所就, 未能超石洲ㆍ東岳而上之也. 해석 정두경 시의 장점 鄭東溟出於晩季, 能知有漢魏古詩樂府爲可法. 동명 정두경은 늦은 시기에 나왔으니 한나라와 위나라, 고시와 악부가 법 삼을 만한 것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歌行長篇, 步驟李杜; 律絶近體, 摸擬盛唐, 不肯以晩唐蘇黃作家, 計亦偉矣...
24. 복고파가 모방만을 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 이몽양의 주장은 편협하고 이반룡의 주장은 가소롭다獻吉勸人不讀唐以後書, 固甚狹陋, 然此猶以師法言可也. 至李于鱗輩, 作詩使事, 禁不用唐以後語, 則此大可笑. 夫詩之作, 貴在抒寫性情, 牢籠事物, 隨所感觸, 無乎不可. 事之精粗, 言之雅俗, 猶不當揀擇, 況於古今之別乎? 복고파는 겉모습만 따라했다于鱗輩學古, 初無神解妙悟, 而徒以言語摸擬. 故欲學唐詩, 須用唐人語; 欲學漢文, 須用漢人字. 若用唐以後事, 則疑其語之不似唐, 故相與戒禁如此, 此豈復有眞文章哉! 왕세정은 말년에 복고파에서 탈피하다元美亦初守此戒, 至續稿不盡然, 蓋由晩年識進, 兼亦勢不行耳. 해석 이몽양의 주장은 편협하고 이반룡의 주장은 가소롭다 獻吉勸人不讀唐以後書, 固甚狹陋, 然此猶以師法言可也. 헌길(獻吉..
박은과 박상의 시를 평가하다 정조(正祖) ‘我東詩學, 世不乏人. 而挹翠軒朴誾之天成, 訥齋朴祥之沈鬱, 皆盛世風雅之遺, 非後來擅名詞垣者之比也.’ 兩集. 遂命刊印以進. 『弘齋全書』「日得錄」 挹翠之詩, 最得正聲, 每一開卷, 想見其爲人. 『弘齋全書』「日得錄」 翠軒詩, 天機宕逸, 性情有可見處; 訥齋詩, 結構緻密, 乍看艱晦難知, 而久看其味漸雋. 『弘齋全書』 「日得錄」 해석 ‘我東詩學, 世不乏人. ‘우리 동방의 시학은 대대로 사람이 드물진 않았다. 而挹翠軒朴誾之天成, 訥齋朴祥之沈鬱, 그러나 읍취헌 박은의 천성과 눌재 박상의 침울함이 皆盛世風雅之遺, 非後來擅名詞垣者之比也.’ 다 성대한 세상의 국풍, 대아, 소아의 남은 것으로 후세의 사단에 이름을 떨친 사람들에 비교할 게 아니다’라고 하시고, 兩集. 遂命刊印以進. 『弘齋..
동악ㆍ읍취헌ㆍ눌재ㆍ석주ㆍ소재ㆍ삼연의 시에 대한 평가 정조(正祖) 삼연의 시는 중국 명문에 비교할 만하지만, 동악과 읍취헌과 눌재와 소재엔 못 미친다 三淵之詩, 不但近古無此格, 雖廁中國名家, 想或無媿. 而猶遜於東岳ㆍ挹翠ㆍ石洲ㆍ訥齋ㆍ蘇齋諸集. 근원 있는 샘물 같던 동악의 시 東岳詩, 驟看無味, 再看却好. 譬如源泉渾渾, 一瀉千里, 橫看竪看, 自能成章. 자득하여 절품의 시를 써낸 읍취헌 挹翠神與境造, 格以韻淸, 令人有登臨送歸之意. 世以爲學蘇ㆍ黃而蓋多自得, 毋論唐調宋格, 可謂詩家絶品. 읍취헌과 실력으로 겨룰 수 있던 박상 訥齋淸高淡泊, 自有無限趣味. 雖謂之頡頏挹翠, 未爲過也. 성당은 아니나 당의 수준에 이른 권필의 시 石洲雖欠雄渾, 一味裊娜, 往往有警絶處. 謂之盛唐則未也, 而謂之非唐則太貶也. 유배하며 좋은 시를 ..
30. 삼연ㆍ유하ㆍ손곡ㆍ귀봉ㆍ택당ㆍ읍취헌의 시를 평가하다 先輩往往推金乖厓爲東國第一文章 以余淺識 恐多冗俚 置崔立之於何處也 宣廟朝以下文章, 多可觀也. 詩文幷均者, 其農岩乎. 詩推挹翠軒爲第一, 是不易之論. 然至淵翁而後, 成大家藪, 葢無軆不有也. 纖麗而成名家者, 其柳下乎. 痼疾於模唐者, 其蓀谷乎. 蘭雪, 全用古人語者多, 是可恨也. 龜峯, 帶濂洛而神化於色香者. 澤堂之詩, 精緻有識且典雅, 不可多得也. 近世率菴 有理有聲色 不碎零 定難得也 雖與顧菴幷名 顧菴不知落下幾層矣 栢谷之詩 往往有逼唐者 而卑處全不免餒陳 平生讀書之多 定爲古今稀見 讀伯夷傳一億一萬三千番 它可類推也 其集中文只數篇 而無足可觀 才之至鈍者也 才氣之靈靈慧慧 搜括化竇者 四百年來罕有之 羅一千年 麗五百年 元無之 至觀復齋 足可當之 而不幸驥騏中蹶 楩楠半折 著輯不多 識者恨..
57. 조선의 7언고시 중 나은 작품은? 梁慶遇嘗問於余曰: “我國七言古詩孰優?” 曰: “未知何如.” 慶遇歷問朴ㆍ李蠶頭如何? 曰: “出韓而或悍或穠, 非其至也.” 問: “訥齋「晉陽兄弟圖」, 沖庵「牛島歌」如何?” 曰: “「晉陽」傑而滯, 「牛島」奇而晦.” 然則屬誰? 曰: “魚潛夫「流民歎」, 李益之「漫浪舞歌」也.” 因曰: “以詩觀之, 則奇才多出於君輩也.” 渠亦大笑. 해석梁慶遇嘗問於余曰: “我國七言古詩孰優?” 양경우가 일찍이 나에게 “우리나라의 7언고시 중에 누가 나은가?”라고 묻기에, 曰: “未知何如.” 나는 “어떠한지 모르네.”라고 대답했다. 慶遇歷問朴ㆍ李蠶頭如何? 그러자 양경우가 박은과 이행의 잠두시는 어떤지 차례대로 물었다. 曰: “出韓而或悍或穠, 그래서 내가 대답했다. “한유에게서 나왔지만 혹은 사납고 혹..
빗소리 같은 낙엽 지는 소리 余於往年, 宿松泉精舍, 夢覺, 聞有聲如雨, 驚問寺僧曰: “雨耶?” 僧曰: “瀑聲也, 非雨也.” 遂口占曰: “三月山寒杜宇稀, 遊人雲臥靜無機. 中宵錯認千林雨, 僧道飛泉洒石磯.” 後日, 有客來言鄭松江澈一絶曰: “空山落木聲, 錯認爲疎雨. 呼僧出門看, 月掛溪南樹.” 上年八月十四夜, 洪慶臣遊楓岳, 宿表訓寺, 夜將央, 同遊琴者朴生曰: “雨矣.” 慶臣聞而覺. 明月滿窓, 視之天無點雲, 只簷外刳木取泉, 風吹飛沫, 作雨聲矣. 慶臣笑而遂口號一絶曰: “崖寺無塵秋氣淸, 滿窓明月夢初驚. 淙淙一壑風泉響, 錯認前山夜雨聲.” 諺稱‘詩人意思一般,’ 信哉. -『於于野談』 해석 余於往年, 宿松泉精舍, 내가 예전에 송천정사에서 묵다가 夢覺, 聞有聲如雨, 잠에서 깨었는데 소리가 있어 들어보니 빗소리 같았다. 驚問寺僧..
5. 중국 사신마저도 인정한 이행의 이별시 華使之來, 容齋爲儐相, 湖陰諸公爲從事. 及其還也, 諸公以詩送之, 長篇傑句, 郁燁璀璨, 而華使皆不許可. 獨容齋句, ‘明月莫須出, 天風休更吹. 月出有驚鳥, 風吹無定枝.’ 華使稱賞不已. 湖陰竊怪之, 及還朝, 沈誦此句數月, 然後始知其妙. 蓋臨別時, 觸物易感, 彼月出而鳥驚, 風吹而枝動, 俱可以助離懷, 有言外之意. 華使之獎, 蓋以此也. 해석華使之來, 容齋爲儐相, 중국사신이 오니, 용재 이행이 접빈사의 보좌관【儐相: 손님을 인도하고 주인을 돕는 것】이 되었고, 湖陰諸公爲從事. 호음 정사룡과 나머지는 종사관이 되었다. 及其還也, 諸公以詩送之, 중국사신이 돌아갈 적에 모든 공들이 시를 지어 그를 전송하는데, 長篇傑句, 郁燁璀璨, 장편들은 걸출한 구절로, 문채 나고 빛나며 옥처럼..
50. 김시습의 시와 위작 논란 金時習五歲, 以奇童名. 英廟召試「三角山」詩, 詩曰: ‘束聳三峯貫大靑, 登臨可摘斗牛星. 非徒岳岫興雲霧, 能使王都萬世寧.’ 後佯狂被緇. 有詩曰: ‘趙吠眞榮兆, 飛黥是禍胎. 羊頭如欲爛, 柴盡爾園梅.’ 韓明澮以‘太公釣魚圖’求詩, 題贈曰: ‘風雨蕭蕭拂釣磯, 渭川魚鳥識忘機. 如何老作鷹揚將, 空使夷齊餓采薇.’ 蓋有所諷矣. 或言, 「三角山」詩, 乃世所僞作. -『芝峯類說』 해석 金時習五歲, 以奇童名. 김시습은 다섯 살 때 기이한 아이로 소문났다. 英廟召試「三角山」詩, 세종이 불러들여 「삼각산三角山」이란 시제로 시를 짓게 했더니, 詩曰: ‘束聳三峯貫大靑, 登臨可摘斗牛星. 非徒岳岫興雲霧, 能使王都萬世寧.’ 다음과 같은 시를 지었다. 束聳三峯貫大靑 세 봉우리를 묶어 세워 하늘을 뚫었으니, 登臨..
56. 뛰어난 점필재의 시재 佔畢齋之詩稱爲冠冕者, 實非誇也. 每誦其‘細雨僧縫衲, 寒江客棹舟.’ 則未嘗不服其精細. ‘十年世事孤吟裏, 八月秋容亂樹間,’ 則未嘗不服其爽朗. ‘風飄羅代蓋, 雨蹴佛天花,’ 則未嘗不服其放遠也. -『晴窓軟談』 해석佔畢齋之詩稱爲冠冕者, 實非誇也. “점필재의 시가 조정에서 으뜸이라고 일컬어진 것이 실로 과장이 아니다. 每誦其‘細雨僧縫衲, 寒江客棹舟.’ 매번 읊었던 「선사사에서[仙槎寺]」의 경련(頸聯)은 細雨僧縫衲 寒江客棹舟가랑비 속에 스님은 적삼을 꿰매고, 추운 강에서 나그네 배를 젓네. 則未嘗不服其精細. 일찍이 그 정밀하고 세밀함에 탄복하지 않음이 없었고, ‘十年世事孤吟裏, 八月秋容亂樹間,’ 「청심루에서 가정의 시에 차운하다[次淸心樓韻]」라는 시의 경련(頸聯)은 다음과 같으니, 十年世事..
14. 홍섬, 시로 자신의 미래를 예견하다 洪相國暹, 字退之, 號忍齋, 議政彥弼之子也. 少時爲金安老所陷, 受庭刑竄興陽, 安老敗, 遂光顯. 其刑也, 有人言於蘇贊成世讓曰: “惜夫! 退之之止於斯也.” 贊成曰: “此人必有前程, 豈遽死耶?” 其人曰: “何以知之?” 贊成曰: “曩日課製「灎澦堆」詩結句曰: ‘淸猿啼不盡, 送我上危灘.’ 如此詩句, 可知人休咎”云. 竟入相黃閣二十年, 年八十二卒. 詩亦可以占人窮達, 如是哉. 해석洪相國暹, 字退之, 號忍齋, 議政彥弼之子也. 상국 홍섬의 자(字)는 퇴지이고 호(號)는 인재로 의정을 지낸 언필의 자식이다. 少時爲金安老所陷, 受庭刑竄興陽, 젊었을 적에 김안로에게 모함을 당해 형벌을 받고 흥양으로 유배되었다가 安老敗, 遂光顯. 김안노가 실각하자 마침내 크게 현달했다. 其刑也, 有人言於..
20. 한시에 특출났던 임종비의 자신감청우(靑牛) 毅王初, 靑郊驛吏養一靑牛, 狀貌特異, 獻諸朝. 上命近署詞臣賦詩占韻, 而韻險峭, 莫不有難色. 東館金孝純爲第一, 玉堂愼應龍次之. 金云‘鳳慚覽德來巢閣, 馬愧儲精上應房.’ 愼云‘叩角昔嗟逢寗子, 釁鍾今免過齊堂’ 上讀之數四曰: “使事雖工, 而語頗涉不恭, 故以爲亞.” 因賜上尊酒, 疋帛各有差. 而西河林宗庇亦才士也, 聞之歎曰: “使我得預其席 當曰: ‘桃林春放踏紅房’” 竟未得其對, 今追續之, ‘銀河水渚隨仙女, 黑牧丹花到雪堂. 函谷曉歸浮紫氣, 桃林春放踏紅房’ 해석毅王初, 靑郊驛吏養一靑牛, 의종 초에 청교역리가 한 마리 푸른 소를 길렀는데, 狀貌特異, 獻諸朝. 모양이 매우 특이하여, 조정에 바쳤다. 上命近署詞臣賦詩占韻, 임금께서 근서사신(近署詞臣)에게 운을 달아 시를 짓게 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