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1. 성격 본문

한문놀이터/한문과 교육과정

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1. 성격

건방진방랑자 2020. 1. 14. 08:48
728x90
반응형

 . 한문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 해설

 

 

1. 성 격

 

 

. 한문 과목의 일반적 성격

 

 

<한문 >

 

한문 과목의 일반적 성격은 중학교 한문’, 고등학교 한문 ’, ‘한문 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을 말한다.

 

한글이 창제되기 이전에 우리의 선조들은 주로 한자(漢字)한문(漢文)으로 문자 생활을 영위하였다. ,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도 오랫동안 한문은 우리 민족의 삶과 역사를 표현하고 기록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전근대 시대의 문자 생활에서 한문이 차지하는 이러한 특수한 사정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베트남 등 한자 문화권의 여러 나라에 공통되는 것이기도 하다. 한문은 구어(口語)로서의 언어 구사 능력을 중시하는 현대의 중국어, 일본어, 영어 등 여타의 외국어와 달리 한자 문화권의 여러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었던 고전(古典) 문언문(文言文)으로서 일종의 국제적 표기 수단의 하나였던 것이다. 따라서, 우리 민족이 수천 년 동안 사용해 온 한자한문을 남의 나라 글자나 글로 보는 것은 온당하지 않다. 문자는 어느 한 나라가 독점할 수 없는 인류 공동의 문화 자산이다. 가령, 한글 또한 누구나 가져다가 자기 나라의 글자나 글로 사용하여 그것이 전통이 된다면 곧 그 나라의 글자나 글이 될 수 있다. 더욱이 한자의 음을 중국어의 음과 달리 우리식 음으로 읽거나, 한문에 우리말의 어법을 적용하여 토를 달아 읽는 것 등은 한자한문이 우리말화()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한문 과목은 이와 같이 한자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었던 고전 문언문인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와 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데 필요한 도구 교과이다.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은 한자, 어휘, 문장의 차원에서 한문 독해와 언어생활에서의 활용을 위해 한문 과목에서 학습해야 할 최소한의 지식을 지칭한다. 이러한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의 학습을 통해서 얻어지는 한문 능력은 국어 어휘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한자어를 바르게 이해함으로써 언어생활을 원활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한문으로 이루어진 각종 한문 자료 및 이와 관련된 학문과 문화의 제 분야를 이해하는 데 기본적인 도구의 역할을 한다.

 

한문 과목은 한문의 학습을 통하여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과목이다. 한문의 학습에서 무엇보다도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한문을 읽고 풀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그러나 한문을 읽고 풀이할 수 있는 능력은 저절로 신장되는 것이 아니다. 한문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문체에 따라 달라지는 다양한 유형의 자료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들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의 그 역사적 성격 및 문체적 특징에 대해서 최소한이나마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한문을 읽고 풀이할 수 있는 능력 또한 제대로 기를 수 없을 것이다. 한문의 읽기와 풀이 및 이해와 감상은 상호 보완하는 관계에 있는 것이다.

 

한문은 기본적으로 고전어(古典語)이며 또한 문언문(文言文)으로서, 구어(口語)로서의 언어 구사 능력을 중시하는 여타의 외국어와 달리 한자 문화권의 특수한 역사적문화적 배경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한문 과목은 가치중립적인 다른 외국어와 달리 일정한 가치지향성을 포함하고 있는 과목이다. 선인들의 사상과 감정, 가치관과 문화 의식을 담고 있는 한문 자료의 학습은 전통적 가치관과 문화를 이해하여 최소한의 인문적 교양을 기르는 데에 도움을 주기도 하기 때문이다. , 한문 과목은 한문 자료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 사상과 감정을 이해함으로써, 오늘날 동양과 서양 및 과거와 현재의 다양한 가치관들이 혼재하여 가치관의 혼란을 겪기 쉬운 청소년들에게 우리의 전통문화에 기초한 가치관을 돌아보게 해주어 바람직한 인성을 기르도록 하며, 나아가 우리의 전통문화를 바르게 계승하여 이를 새로운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도록 하는 데 기여하는 과목이다.

 

, 한문 과목은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힘으로써, 과거와 현재는 물론 미래에도 한자 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증진시키는 데에 기여하는 과목이기도 하다. 특히, 한자 문화권의 특수한 역사적, 문화적 배경 아래 형성된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에 대한 이해는 한자 문화권에 공통된 문화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한문 독해 능력의 향상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기도 한다. 일반적인 외국어 교과는 가치중립적인 문법의 학습만으로 해당 교과의 이해가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한문은 가치중립적인 문법의 학습만으로 온전히 이해할 수 없다. 한문에서는 그 문장에 쓰인 단어 자체가 가지는 전고성(典故性), 곧 그 단어 내지 용어가 가지는 특정한 문화적, 역사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문법적 요소에 대한 이해에 못지않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상의 여러 점을 고려하여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한문 과목의 일반적 성격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한문은 한자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었던 고전(古典) 문언문(文言文)인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와 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데 필요한 도구 교과이며, 한문의 학습을 통하여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과목이다.

 

한문은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 사상과 감정을 이해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우리 생활 전반에 면면히 이어 온 전통문화를 바르게 계승하고, 창조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는 과목이다.

 

한문은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과거와 현재는 물론이고 미래에도 한자 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과목이다.

 

 

<한문 >

 

고등학교 한문 의 성격에서 설명한 . 한문 과목의 일반적 성격의 내용과 같다.

 

 

 

. 고등학교 한문 & 한문 과목의 성격

 

 

<한문 >

 

한문 과목은 학교급별로는 중학교 한문과 고등학교 한문으로 구별되고, 과목별로는 중학교 한문’, 고등학교 한문 ’, ‘한문 로 구별된다. 중학교 한문’, 고등학교 한문 ’, ‘한문 는 그 연계성의 측면에서는 일반적 성격을 공통으로 가지고 있지만, 그 위계성의 측면에서는 서로 각기 구별되는 특수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한문 과목의 과목별 성격은 한문 과목이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일반적 성격과 과목에 따라 구별되는 특수적 성격을 함께 고려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7차 교육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한문 과목의 학교급별에 따라 구별되는 특수적 성격을 학교급별로 정해진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에 의거하여 규정하였다. 따라서 중학교 한문은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에 의거하여, 그리고 고등학교 한문 한문 는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에 고등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더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에 의거하여 먼저 그 학교급별 성격을 규정하였다.

 

그런데 과목에 따라, 학교급별로 정해진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와 해당 과목 사이의 관계는 그 성격이 각기 다르다. 한자를 익히는 식자(識字) 교육의 측면에서만 보면, 중학교 한문에서 익혀야 할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는 중학생이 이를 처음 접한 때로부터 산술적으로 1년에 300자씩 익혀야 중학교 3년의 과정 동안 다 익힐 수 있는 것이다. , 고등학교 한문 은 중학교 한문의 이수, 곧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모두 익힌 것을 전제로 하는 과목이지만, 고등학교 한문 에서 익혀야 할 고등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는 여전히 고등학생이 소정의 단계적 과정을 거쳐서 한문 의 과정을 마쳐야 비로소 다 익힐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고등학교 한문 는 중학교 한문’, 고등학교 한문 과 성격이 다르다. 고등학교 한문 는 중학교 한문과 고등학교 한문 의 이수, 곧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를 모두 익힌 것을 전제로 하는 과목이다.

 

바로 이 과목에 따라 익혀야 할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와 해당 과목 사이의 관계가 가지는 그 특수한 성격을 살펴볼 때, 고등학교 한문 은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모두 익힌 것을 전제로 하고 새로이 고등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더 익혀야 하는 과목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이 점에 유의하여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한문 과목의 특수적 성격으로, “중학교 한문 교육의 성과 위에서 고등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중심으로 중학교 한문에 비해 보다 심화된 한문 독해 능력의 신장에 중점을 둔다.”라는 규정을 두었다.

 

한문 과목의 과목별 성격에 대한 서술 중에서 이상의 학교급별, 과목별에 따른 특수적 성격에 의거한 서술을 제외한 나머지 서술들은 한문 과목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일반적 성격에 의거한 서술들이다. 한문 과목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일반적 성격에 의거한 서술들을 통칭하여 한문 능력의 신장이라고 하고, 한문 과목의 연계성과 위계성, 곧 한문 과목의 일반적 성격과 특수적 성격을 함께 고려하여 한문 과목의 과목별 성격을 규정한다면, 고등학교 한문의 과목별 성격은 중학교 한문 교육의 성과 위에서 고등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중심으로 중학교 한문에 비해 보다 심화된 한문 능력의 신장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학교급별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범위는 그 자체가 식자(識字) 교육의 대상과 목표가 될 뿐만 아니라 한문 능력의 수준별, 학교급별 성격의 차이를 규정짓는 일차적인 근거로 작용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명확한 근거 이외에 이번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교급별로 한문 능력의 수준 별 차이를 묘사하는 표현으로 사용된 것은, ‘한문 독해 능력의 신장과 관련하여 사용된 보다 심화된이라는 다소 추상적인 표현뿐이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평이한 한문 문장의 독해’(중학교 한문의 경우), ‘한문에 체계적으로 접근’, ‘한문을 독해’(고등학교 한문의 경우) 등으로 표현하여 학교급별, 과목별에 따른 수준별 차이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표현들이 학교급별, 과목별 성격의 차이를 과연 제대로 드러낸 것인지는 의문이다. 중학교 한문에서 쓰인 평이한 한문 문장과 고등학교 한문에서 쓰인 한문의 차이는 그 중점이 평이한에 있는지, 아니면 한문 문장한문의 차이에 있는지 분명하지 않다. 만일 전자의 경우라면, 개정 교육과정의 보다 심화된이란 표현은 이 평이한이란 표현을 이어 받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후자의 경우라면, ‘한문 문장한문이 개념적으로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지가 문제가 된다. 결과적으로 중학교 한문 교육에서 한문 독해 능력의 신장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 이외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명하지 않다. ‘한문 독해 능력의 신장은 한문 과목의 일반적 성격 중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성격 요소이다. 따라서, 한문 독해 능력의 신장은 추상적인 표현으로 보이는 보다 심화된이라는 표현이 오히려 그 초급, 중급, 고급으로 구분될 수준의 차이를 제대로 드러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여러 점들을 고려하여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한문 의 과목별 성격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고등학교 한문 은 중학교 한문 교육의 성과 위에서 고등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중심으로 중학교 한문에 비해 보다 심화된 한문 독해 능력의 신장에 중점을 둔다. 그리고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를 바탕으로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와 언어생활에 활용하며, 한문 자료를 이해하고 향유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고,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계승, 발전시키며,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자 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의한다.

 

 

<한문 >

 

한문 과목은 학교급별로는 중학교 한문과 고등학교 한문으로 구별되고, 과목별로는 중학교 한문’, 고등학교 한문 ’, ‘한문 로 구별된다. 중학교 한문’, 고등학교 한문 ’, ‘한문 , 그 연계성의 측면에서는 일반적 성격을 공통으로 가지고 있지만, 그 위계성의 측면에서는 서로 각기 구별되는 특수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한문 과목의 과목별 성격은 한문 과목이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일반적 성격과 과목에 따라 구별되는 특수적 성격을 함께 고려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한문 과목의 학교급별에 따라 구별되는 특수적 성격을 학교급별로 정해진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에 의거하여 규정하였다. 따라서, 중학교 한문은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에 의거하여, 그리고 고등학교 한문 한문 는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에 고등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더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에 의거하여 먼저 그 학교급별 성격을 규정하였다.

 

그런데 과목에 따라, 학교급별로 정해진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와 해당 과목 사이의 관계는 그 성격이 각기 다르다. 한자를 익히는 식자(識字) 교육의 측면에서만 보면, 중학교 한문에서 익혀야 할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는 중학생이 이를 처음 접한 때로부터 산술적으로 1년에 300자씩 익혀야 중학교 3년의 과정 동안 다 익힐 수 있는 것이다. , 고등학교 한문 은 중학교 한문의 이수, 곧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모두 익힌 것을 전제로 하는 과목이지만, 고등학교 한문 에서 익혀야 할 고등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는 여전히 고등학생이 소정의 단계적 과정을 거쳐서 한문 의 과정을 마쳐야 비로소 다 익힐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고등학교 한문 는 중학교 한문’, 고등학교 한문 과 성격이 다르다. 고등학교 한문 는 중학교 한문과 고등학교 한문 의 이수, 곧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를 모두 익힌 것을 전제로 하는 과목이다.

 

바로 이 과목에 따라 익혀야 할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와 해당 과목 사이의 관계가 가지는 그 특수한 성격을 살펴볼 때, 고등학교 한문 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를 모두 익힌 것을 전제로 하는 과목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이 점에 유의하여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한문 과목의 특수적 성격으로, “중학교 한문과 고등학교 한문 의 교육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보다 심화된 한문 독해 능력의 신장에 중점을 둔다.”라는 규정을 두고, 또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명시하지 않았던, “한문학 작품을 한문학사의 흐름에 비추어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에 대한 조항을 추가하였다.

 

한문 과목의 과목별 성격에 대한 서술 중에서 이상의 학교급별, 과목별에 따른 특수적 성격에 의거한 서술을 제외한 나머지 서술들은 한문 과목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일반적 성격에 의거한 서술들이다. 한문 과목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일반적 성격에 의거한 서술들을 통칭하여 한문 능력의 신장이라고 하고, 한문 과목의 연계성과 위계성, 곧 한문 과목의 일반적 성격과 특수적 성격을 함께 고려하여 한문 과목의 과목별 성격을 규정한다면, 고등학교 한문 의 과목별 성격은 중학교 한문과 고등학교 한문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심화된 한문 능력의 신장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중학교 한문과 고등학교 한문 교육의 성과가 내포하고 있는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범위를 넘어서는 한문 의 한자 학습 수준과 이번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로이 추가된 한문학 작품을 한문학사의 흐름에 비추어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에 대한 조항을 제외한다면, 이번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교급별, 과목별로 한문 능력의 수준별 차이를 묘사하는 표현으로 사용된 것은, ‘한문 독해 능력의 신장과 관련하여 사용된 보다 심화된이라는 다소 추상적인 표현뿐이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평이한 한문 문장의 독해’(중학교 한문의 경우), ‘한문에 체계적으로 접근’, ‘한문을 독해’(고등학교 한문의 경우), ‘우리나라와 동양의 선인들이 남긴 문()()() 등 각종 한문의 독해 능력의 신장’(고등학교 한문 고전의 경우)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하여 학교급별, 과목별에 따른 수준별 차이를 묘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표현들이 학교급별, 과목별 성격의 차이를 과연 제대로 담보해 낼 수 있는 것인지는 의문이다. 중학교 한문에서 쓰인 평이한 한문 문장과 고등학교 한문에서 쓰인 한문의 차이는 결과적으로 중학교 한문 교육에서 한문 독해 능력의 신장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 이외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명하지 않다. 고등학교 한문에서 쓰인 한문한문 고전에서 쓰인 우리나라와 동양의 선인들이 남긴 문()()() 등 각종 한문의 차이 또한 고등학교 한문에서 우리나라와 동양의 선인들이 남긴 문()()() 등 각종 한문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명하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한문 독해 능력의 신장은 한문 과목의 일반적 성격 중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성격 요소이다. 따라서, 한문 독해 능력의 신장은 추상적인 표현으로 보이는 보다 심화된이라는 표현이 오히려 그 초급, 중급, 고급으로 구분될 수준의 차이를 제대로 드러내는 것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상의 여러 점들을 고려하여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한문 의 과목별 성격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고등학교 한문 는 중학교 한문과 고등학교 한문 의 교육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보다 심화된 한문 독해 능력의 신장에 중점을 둔다. 그리고 한문 자료를 이해하고 향유하며, 한문학 작품을 한문학사의 흐름에 비추어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고,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계승, 발전시키며,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자 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의한다.

 

 

 

 

인용

목차 / 지도

. 개정의 배경

. 개정의 중점

. 한문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 해설

1. 성격

2. 목표

3. 내용

내용체계

읽기(단문, 산문, 한시)

이해(단문, 산문, 한시)

문화(전통문화, 한자문화권)

한자(특징, 짜임, 역사)

어휘(형성, 실사허사, 의미)

문장(구조, 유형, 수사)

4. 교수학습 방법

계획 / 방법 / 자료

5. 평가

계획 / 목표와 내용 / 방법 / 결과의 활용

. 기타(신ㆍ구 교육과정 비교, 참고문헌, 변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