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3. 내용, 전통문화 본문

한문놀이터/한문과 교육과정

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3. 내용, 전통문화

건방진방랑자 2020. 1. 16. 11:02
728x90
반응형

 <문 화>

 

<한문 >

 

[문화(1)]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한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문화(1)], [2문화(1)], [3문화(1)]과 연계된다. ‘한문 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한문 학습을 통하여 선인(先人)들의 삶과 지혜를 바르게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어야 한다.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한다.’는 것은 한문 학습을 통하여 한문에 담겨 있는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바르게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한글이 창제되기 이전에 우리의 선인들은 주로 한문으로 문자 생활을 영위하였다.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도 오랫동안 한문은 우리 민족의 삶과 역사를 표현하고 기록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우리의 선인들은 수천 년 동안 그들의 삶의 모습과 지혜, 사상, 감정 및 가치관을 한문으로 기록해 놓았으며, 이러한 기록들은 우리의 선인들이 이룩해 놓은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그러므로 전통문화의 단절이 없이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이를 계승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이 기록해 놓은 한문을 이해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한다.’는 것은 한문 학습을 통하여 21세기 지식기반사회(知識基盤社會)를 주도할 학습자에게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한문 기록 속에는 현대 한국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인간 소외, 물질 만능 주의, 극단적 이기주의, 환경 문제 등)에서 초래된 가치관의 혼란 및 인간성의 상실을 치유할 수 있는 자료들이 많이 있다. 따라서 한문을 학습할 때에는 학습자의 감각에 맞으면서도 실천 가능한 내용을 정선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해야 한다.

 

 

[문화(2)]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닌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문화(2)], [2문화(2)], [3문화(2)]와 연계된다. ‘한문 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한문 학습을 통하여 우리 민족의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이를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어야 한다.

 

전통문화(傳統文化)’, 생활 공동체가 집단적으로 형성발전시켜 온 것이며, 그들의 생산 활동과 생활 감정을 반영한 것으로, 타 집단의 문화와 구별되는 그 집단만의 특색을 갖춘 문화이다. 전통문화는 그들의 집단 성원들에게 생활의 질서와 정서를 잡아주어 생활에 안정감을 주며, 생활 공동체에 대한 귀속감(歸屬感)을 심어 주어 자아(自我)가 정체성(正體性)을 가질 수 있게 해 준다.

 

어떤 한 민족의 문화가 형성되어 가는 과정에는 외래문화를 수용하기도 하고 전통문화에 수정을 가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전통문화의 근간을 살려서 가꾸어 가는 것이다. 강력한 외래문화에 압도되어서 전통문화가 쇠퇴, 소멸되어 가는 현상은 참다운 문화의 계승발전이라고 할 수 없다.

 

우리의 선인들은 오랜 기간에 걸쳐 여러 민족들과 교류하면서, 그들의 문화를 수용하여 풍부한 전통문화를 형성발전시켜 왔으며, 이런 전통문화는 한자를 주된 기록 수단으로 하여 한문 문헌으로 보존전승되었다. 교과서에 수록된 한문의 대부분이 이를 반영한 것들이다. 따라서, 한문 학습을 통하여 우리의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도록 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긍지와 주체 의식을 가지고 전통문화를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문 >

 

[문화(1)] 한국 한문학사의 흐름을 이해한다.

 

이 학습 내용은 한국 한문학사의 흐름을 바르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설정하였다.

 

한국 한문학은 문학사 내부의 동인(動因)에 영향을 받는 한편, 각 시대마다의 사회역사적 현실을 반영하면서, 새로운 문학 담당층과 사상적 추이에 따라 다양한 변모, 분화, 발전을 보여 왔으며, 특히 한국 문학의 전체적 구조 안에서 정치(精緻)한 심미적(審美的) 의식과 풍부한 사유(思惟)의 세계를 이루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한국 한문학사의 흐름을 이해하는 것은 바로 한국 한문학이 통시적(通時的)으로 어떤 양상을 띠는지, 시기별작가별작품별로 각각 어떤 특징을 나타내는지, 한국 한문학의 역사적 전개 양상과 그 특징적 국면을 이해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한문학사의 흐름을 이해하는 활동에는 한국 한문학의 시대적 특성 이해하기, 한국 한문학의 주요 장르와 전개 양상 이해하기, 한국 한문학의 주요 작가층과 작품 이해하기, 한국 한문학에 중심적으로 드러난 주제 파악하기, 한국 한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이해하기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 이와 관련을 맺는 문학사 내부의 요인과 사상사, 문화사, 그리고 역사적 사건이나 현상들과 같은 배경 변인, 그리고 이들 여러 가지 요인들의 상호 작용에 대해서도 학습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 문학에서 한국 한문학의 가치를 찾고 계승,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 한문학사의 흐름을 이해하는 학습 활동은 한국 한문학사의 큰 틀에서 한문학 작품을 폭넓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고전과 문화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므로, 문학사나 이와 관련된 특정 지식 자체를 지나치게 강조하지 말고 구체적인 한문학 작품을 통해 문학사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의하여야 한다.

 

 

[문화(2)] 한국 한문학 작품을 한국 한문학사의 흐름에 비추어 이해한다.

 

이 학습 내용은 한국 한문학 작품을 한국 한문학사의 흐름에 비추어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 설정하였다.

 

한문학 작품의 이해와 감상 활동에서 작품 자체의 구조와 형식, 문체나 운율, 제재나 소재, 이미지나 은유 등 하나의 작품을 이루는 내적 구성 요소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특히, 한문학 작품은 갈래별(양식별, 장르별)로 작품 구조가 다르며, 한 작품은 구성 요소들의 유기적 결합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문학 작품의 내적 구성 요소에 대한 이해는 한문학 작품의 이해 활동에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전대 한문학 작품과의 관계에 있어서 특정 한문학 작품의 계승, 변화, 그리고 창조는 문학사 내부의 장르적 운동에 따른 결과라는 점에서, 그리고 작품의 구성 요소들과 긴밀하게 호응하는 작품의 주제는 당대의 문화사의 조류, 사상사의 동향, 사회역사적 현실 등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는 점에서, 한문학 작품의 이해와 감상 활동의 문학사적 통찰(通察)과 사상사적, 사회역사적 관점의 접근은 작품의 심층적 이해에 꼭 필요하다.

 

한국 한문학 작품을 한국 한문학사의 흐름에 비추어 이해한다는 것은 특정 한문학 작품을, 작품의 구조적, 형식적 요소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문학사 내부의 요인과 문학 작품을 산출한 당대의 사회역사적, 사상사적, 문화사적 배경 요인 등을 고려하여, 한국 한문학사의 흐름 속에서 총체적(總體的), 다층적(多層的)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한문학 작품을 한문학사의 전개 과정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학습자는 한문학 작품을 보다 폭넓게 이해, 감상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작품에 대한 심층적(深層的) 이해와 감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는, 특정 한문학 작품을 고립적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작품, 작가 그리고 문학사 내지 사회문화사를 유기적 결합체로 인식하고, 당대의 현실 속에서 작품의 의의를 찾아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의 한국 문학의 총체상에 유의미한 생명체로 살아 숨 쉬도록 하는 길이기도 하다.

 

 

[문화(3)]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한다.

 

이 학습 내용은 [문화]과 연계된다. ‘한문 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학습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확장된 한자가 활용된 한문 학습을 통하여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어야 한다.

 

 

[문화(4)]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닌다.

 

이 학습 내용은 [문화]와 연계된다. ‘한문 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학습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확장된 한자가 활용된 한문 학습을 통하여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어야 한다.

 

 

 

 

인용

목차 / 지도

. 개정의 배경

. 개정의 중점

. 한문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 해설

1. 성격

2. 목표

3. 내용

내용체계

읽기(단문, 산문, 한시)

이해(단문, 산문, 한시)

문화(전통문화, 한자문화권)

한자(특징, 짜임, 역사)

어휘(형성, 실사허사, 의미)

문장(구조, 유형, 수사)

4. 교수학습 방법

계획 / 방법 / 자료

5. 평가

계획 / 목표와 내용 / 방법 / 결과의 활용

. 기타(신ㆍ구 교육과정 비교, 참고문헌, 변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