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3. 내용, 한시 읽기 본문

한문놀이터/한문과 교육과정

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3. 내용, 한시 읽기

건방진방랑자 2020. 1. 14. 09:38
728x90
반응형

 <한문 >

 

[읽기] 한시를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읽기], [2읽기], [3읽기]과 연계된다. ‘한문 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한시를 바르게 발음하여 읽을 수 있어야 한다. , 이 내용은 [읽기]을 참고하되, 한시의 특징에 유의하도록 한다.

 

한시(漢詩)’는 한문으로 된 시를 말한다. 한시의 구()는 보통 오언시는 두 자, 세 자 단위로 띄어 읽고(○○/○○○), 칠언시는 네 자, 세 자 단위로 띄어 읽지만(○○○○/○○○), 하나의 구를 바르게 발음하여 읽기 위해서는 구를 이루는 단어와 단어 사이의 결합 관계에도 유의하여 읽어야 한다. 가령, 아래 보기 중에서 滿四澤滿 / 四澤으로, ‘世間何事世間 / 何事, ‘到吾心/ 吾心으로 읽어야 한다.

 

보기

春水(춘수) / 滿四澤(만사택). [봄물이 사방 연못에 가득하다.]

世間何事(세간하사) / 到吾心(도오심)? [세간의 어떤 일이 내 마음에 이르겠는가?]

 

 

[읽기] 한시를 끊어 읽을 수 있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읽기], [2읽기], [3읽기]과 연계된다. ‘한문 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한시를 바르게 끊어 읽을 수 있어야 한다. , 이 내용은 [읽기]를 참고하되, 한시의 특징에 유의하도록 한다.

 

한시의 토는 대개 하나의 구()가 끝나는 자리마다 달아서 그 구의 뜻을 풀어주거나 그 구와 다음 구의 연결 관계를 밝혀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한시에 달린 토의 구실에 유의하면서 한시를 읽으면 한시의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한시의 토는 특별한 정서를 표현하기 위하여 현대 국어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조사나 어미가 토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한시에서 실제로 사용된 토에 대해서만 그 구실을 이해하도록 하여, 한시의 현토를 자연스럽게 체득하는 데 중점을 두고 현토의 원리를 지나치게 따지지 않도록 한다.

 

보기

秋風唯苦吟하니, [가을바람에 쓸쓸히 읊으니,]

擧世少知音이라. [세상에 알아주는 이 적구나.]

窓外三更雨, [창밖에는 한밤중 비가 내리고,]

燈前萬里心이라. [등불 앞에 내 마음은 만 리 밖을 내닫네.] -최치원, 秋夜雨中

 

한시의 구두법 표기는 이미 현토되어 있는 한시를 토 대신에 문장 부호가 사용된 한시로 바꾸어 표기할 수 있도록 하여, 한시의 구두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는 데 중점을 두고 표점(標點)의 원리를 지나치게 따지지 않도록 한다. 한시는 대개 두 개의 구()가 모여 하나의 연()을 이루므로, 첫째 구의 끝에는 보통 쉼표를 찍고 둘째 구의 끝에는 마침표를 찍는다.

 

보기

秋風唯苦吟, 擧世少知音. 窓外三更雨, 燈前萬里心.

 

 

[읽기] 한시를 바르게 풀이할 수 있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읽기], [2읽기], [3읽기]와 연계된다. ‘한문 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한시를 바르게 풀이할 수 있어야 한다. , 이 내용은 [읽기]을 참고하되, 한시의 특징에 유의하도록 한다.

 

한시는 간결한 어휘로 함축적인 표현을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직역을 하기 곤란하거나 직역만으로는 의미가 잘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한시를 풀이할 때에는 우선 직역의 단계를 충실하게 거친 후, 한시 속에 함축된 뜻이 시적으로 유려하게 드러나도록 의역하는 단계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보기

秋風唯苦吟, [가을바람에 오직 괴롭게 읊으니 가을바람에 쓸쓸히 읊으니,]

擧世少知音. [온 세상에 지음이 적구나 세상에 알아주는 이 적구나.]

窓外三更雨, [창밖에는 삼경의 비요 창밖에는 한밤중 비가 내리고,]

燈前萬里心. [등불 앞에는 만 리의 마음이라 등불 앞에 내 마음은 만 리 밖을 내닫네.]

 

 

<한문 >

 

[읽기] 한시를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이 학습 내용은 [읽기]과 연계된다. , 이 내용은 [읽기]을 참고하되, 한시의 특징에 유의하도록 한다. ‘한문 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학습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확장된 한자가 활용된 한시를 바르게 소리 내어 읽을 수 있어야 한다.

 

 

[읽기] 한시를 끊어 읽을 수 있다.

 

이 학습 내용은 [읽기]과 연계된다. , 이 내용은 [읽기]를 참고하되, 한시의 특징에 유의하도록 한다. ‘한문 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학습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확장된 한자가 활용된 한시를 바르게 끊어 읽을 수 있어야 한다.

 

 

[읽기] 한시를 바르게 풀이할 수 있다.

 

이 학습 내용은 [읽기]와 연계된다. , 이 내용은 [읽기]을 참고하되, 한시의 특징에 유의하도록 한다. ‘한문 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학습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확장된 한자가 활용된 한시를 바르게 풀이할 수 있어야 한다.

 

 

 

 

인용

목차 / 지도

. 개정의 배경

. 개정의 중점

. 한문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 해설

1. 성격

2. 목표

3. 내용

내용체계

읽기(단문, 산문, 한시)

이해(단문, 산문, 한시)

문화(전통문화, 한자문화권)

한자(특징, 짜임, 역사)

어휘(형성, 실사허사, 의미)

문장(구조, 유형, 수사)

4. 교수학습 방법

계획 / 방법 / 자료

5. 평가

계획 / 목표와 내용 / 방법 / 결과의 활용

. 기타(신ㆍ구 교육과정 비교, 참고문헌, 변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