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 Ⅰ>
[Ⅰ읽기⑺] 한시를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읽기⑺], [2읽기⑺], [3읽기⑺]과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한시를 바르게 발음하여 읽을 수 있어야 한다. 또, 이 내용은 [Ⅰ읽기⑴]을 참고하되, 한시의 특징에 유의하도록 한다.
‘한시(漢詩)’는 한문으로 된 시를 말한다. 한시의 구(句)는 보통 오언시는 두 자, 세 자 단위로 띄어 읽고(○○/○○○), 칠언시는 네 자, 세 자 단위로 띄어 읽지만(○○○○/○○○), 하나의 구를 바르게 발음하여 읽기 위해서는 구를 이루는 단어와 단어 사이의 결합 관계에도 유의하여 읽어야 한다. 가령, 아래 보기 중에서 ‘滿四澤’은 ‘滿 / 四澤’으로, ‘世間何事’는 ‘世間 / 何事’로, ‘到吾心’ 은 ‘到 / 吾心’으로 읽어야 한다.
보기 |
春水(춘수) / 滿四澤(만사택). [봄물이 사방 연못에 가득하다.] 世間何事(세간하사) / 到吾心(도오심)? [세간의 어떤 일이 내 마음에 이르겠는가?] |
[Ⅰ읽기⑻] 한시를 끊어 읽을 수 있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읽기⑻], [2읽기⑻], [3읽기⑻]과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한시를 바르게 끊어 읽을 수 있어야 한다. 또, 이 내용은 [Ⅰ읽기⑵]를 참고하되, 한시의 특징에 유의하도록 한다.
한시의 토는 대개 하나의 구(句)가 끝나는 자리마다 달아서 그 구의 뜻을 풀어주거나 그 구와 다음 구의 연결 관계를 밝혀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한시에 달린 토의 구실에 유의하면서 한시를 읽으면 한시의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단, 한시의 토는 특별한 정서를 표현하기 위하여 현대 국어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조사나 어미가 토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한시에서 실제로 사용된 토에 대해서만 그 구실을 이해하도록 하여, 한시의 현토를 자연스럽게 체득하는 데 중점을 두고 현토의 원리를 지나치게 따지지 않도록 한다.
보기 |
秋風唯苦吟하니, [가을바람에 쓸쓸히 읊으니,] 擧世少知音이라. [세상에 알아주는 이 적구나.] 窓外三更雨요, [창밖에는 한밤중 비가 내리고,] 燈前萬里心이라. [등불 앞에 내 마음은 만 리 밖을 내닫네.] -최치원, 「秋夜雨中」 |
한시의 구두법 표기는 이미 현토되어 있는 한시를 토 대신에 문장 부호가 사용된 한시로 바꾸어 표기할 수 있도록 하여, 한시의 구두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는 데 중점을 두고 표점(標點)의 원리를 지나치게 따지지 않도록 한다. 한시는 대개 두 개의 구(句)가 모여 하나의 연(聯)을 이루므로, 첫째 구의 끝에는 보통 쉼표를 찍고 둘째 구의 끝에는 마침표를 찍는다.
보기 |
秋風唯苦吟, 擧世少知音. 窓外三更雨, 燈前萬里心. |
[Ⅰ읽기⑼] 한시를 바르게 풀이할 수 있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읽기⑼], [2읽기⑼], [3읽기⑼]와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한시를 바르게 풀이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이 내용은 [Ⅰ읽기⑶]을 참고하되, 한시의 특징에 유의하도록 한다.
한시는 간결한 어휘로 함축적인 표현을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직역을 하기 곤란하거나 직역만으로는 의미가 잘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한시를 풀이할 때에는 우선 직역의 단계를 충실하게 거친 후, 한시 속에 함축된 뜻이 시적으로 유려하게 드러나도록 의역하는 단계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보기 |
秋風唯苦吟, [가을바람에 오직 괴롭게 읊으니 → 가을바람에 쓸쓸히 읊으니,] 擧世少知音. [온 세상에 지음이 적구나 → 세상에 알아주는 이 적구나.] 窓外三更雨, [창밖에는 삼경의 비요 → 창밖에는 한밤중 비가 내리고,] 燈前萬里心. [등불 앞에는 만 리의 마음이라 → 등불 앞에 내 마음은 만 리 밖을 내닫네.] |
<한문 Ⅱ>
[Ⅱ읽기⑺] 한시를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이 학습 내용은 [Ⅰ읽기⑺]과 연계된다. 또, 이 내용은 [Ⅰ읽기⑴]을 참고하되, 한시의 특징에 유의하도록 한다. ‘한문 Ⅱ’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학습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확장된 한자가 활용된 한시를 바르게 소리 내어 읽을 수 있어야 한다.
[Ⅱ읽기⑻] 한시를 끊어 읽을 수 있다.
이 학습 내용은 [Ⅰ읽기⑻]과 연계된다. 또, 이 내용은 [Ⅰ읽기⑵]를 참고하되, 한시의 특징에 유의하도록 한다. ‘한문 Ⅱ’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학습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확장된 한자가 활용된 한시를 바르게 끊어 읽을 수 있어야 한다.
[Ⅱ읽기⑼] 한시를 바르게 풀이할 수 있다.
이 학습 내용은 [Ⅰ읽기⑼]와 연계된다. 또, 이 내용은 [Ⅰ읽기⑶]을 참고하되, 한시의 특징에 유의하도록 한다. ‘한문 Ⅱ’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학습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확장된 한자가 활용된 한시를 바르게 풀이할 수 있어야 한다.
인용
Ⅰ. 개정의 배경
Ⅱ. 개정의 중점
Ⅲ. 한문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 해설
1. 성격
2. 목표
3. 내용
4. 교수・학습 방법
5. 평가
'한문놀이터 > 한문과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3. 내용, 산문 이해 (0) | 2020.01.15 |
---|---|
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3. 내용, 단문 이해 (0) | 2020.01.15 |
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3. 내용, 산문 읽기 (0) | 2020.01.14 |
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3. 내용, 단문 읽기 (0) | 2020.01.14 |
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3. 내용, 가) 내용 체계 (0) | 2020.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