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도올선생 중용강의, 중용장구서 - 1. 장구와 집주 본문

고전/대학&학기&중용

도올선생 중용강의, 중용장구서 - 1. 장구와 집주

건방진방랑자 2021. 9. 16. 07:35
728x90
반응형

중용장구서 1. 장구와 집주

 

 

동양에서의 정통과 반역은 어떠한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하는가? 주자는 정통인가? 반역인가? 주자는 불교라는 외래문명에 대하여 유교라는 정통을 갱생(Reclaim)하는 반역도다. 주자의 반역은 새로운 진테제임에도 불구하고 자기가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던 안티테제, 즉 불교의 성격을 대폭 수용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것이 이른바 도통론(道通論)’이다. 신유학이 얼마나 철저히 이 불교의 법통을 모방한 도통론에 지배되었나 하는 것을 주자의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는 여실히 증명하고 있다.

 

 

 

장구(章句)’라는 말과 집주(集註)’라는 말의 차이

 

중용장구(中庸章句)’란 말은 주자가 중용(中庸)이란 책을 장(, chapter)과 구(, paragraph)로 나누었다는 의미에서 붙인 이름으로서, 이것은 주자가 중용(中庸)을 새로 편집했다는 뜻이 됩니다. 사서집주(四書集註)를 보면 대학(大學)중용(中庸)에만 장구서(章句序)’가 붙어있고 논어(論語)맹자(孟子)에는 장구(章句)’란 말이 없는데 그 이유는 논어(論語)맹자(孟子)라는 서물(書物)은 기존에 이미 완정(完整)한 텍스트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주자가 새삼 장구화(chapterizing)할 필요가 없었다는 것입니다. 본문에도 대학(大學)중용(中庸)의 경우처럼 장으로 구분하여 각장에 대한 해설을 덧붙이고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논어(論語)맹자(孟子)논어서설(論語序說)맹자서설(孟子序說)이 붙어 있을 뿐이고 장구서(章句序)란 말은 쓰이지 않았습니다.

 

논어(論語)에서는 자왈(子曰)’하고 나간 다음에 작은 글씨로 주자집주(朱子集註)만 붙어 있고 학이제일(學而第一)이란 편명(篇名)도 이미 한대(漢代)에 성립된 것이다】 『중용(中庸)의 첫머리처럼 자정자왈(子程子曰)~’ 하고 나가는 주자의 편집(editor‘s note)이 들어가지 않았죠. ‘자정자왈(子程子曰)~’도 주주(朱註)와 같이 역시 주자가 쓴 것이지만 편을 나누는(chapterizing) 의도에서 큰 글자로 박고 내용의 설명에 해당하는 주주(朱註)는 작은 글자로 박았던 것입니다. 집주(集註)와 장구(章句)의 차이를 아시겠죠? 한문 전적(前績)을 볼 때 이런 걸 세심하게 봐야 합니다.

 

 

 

주희가 심혈을 기울여 마지막까지 수정하며 완성한 글

 

논어(論語)맹자(孟子)에 비해 대학(大學)중용(中庸)예기(禮記)라는 거대한 책의 한 편에 지나지 않던 것인데 대학(大學)예기(禮記)42, 중용(中庸)예기(禮記)31권에 수록주자가 그 중에 이들 두 편을 뽑아서 사서운동(四書運動)을 일으켰다는 건 이미 강의한 바 있습니다. 예기(禮記)에 실려 있을 때와는 다르게 책의 순서를 재편했다는 게 주자의 업적인데, 주자는 이렇게 자기 스스로 새로운 장구를 만들고 난 다음 거기에다 장구서(章句序)를 쓴 것이지요. 즉 이 장구서(章句序)에는 주자가 중용(中庸)대학(大學)을 장구화하게 된 동기와 배경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대학장구서(大學章句序)를 보면 제일 끝에 순희기유이월갑자(淳熙己酉二月甲子)라고 날짜가 적혀있고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에는 순희기유춘삼월무신(淳熙己酉春三月戊申, 서기 1189318일 당시 주자의 60)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보면 두 책의 서문이 기록된 시간이 불과 한 달 차이란 걸 알 수 있죠? 그런데 한 달 사이에 대학(大學)중용(中庸)을 모두의 장구화 작업을 했다고 할 수는 없는 일이고 보면 주자가 이미 장구를 만들고 난 뒤에 최종적으로 그에 대한 서문을 쓴 것이 분명합니다. 이 장구서는 주자학 전체에서도 최고의 문장으로 꼽히는 걸작으로서, 스킵(Skip)할 수가 없는 부분입니다. , 들어가겠습니다.

 

 

 

 

인용

목차

전문

본문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