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墨子 (515)
건빵이랑 놀자

소염(所染) 제삼(第三) 1. 염색과 변화 子墨子言見染絲者而嘆曰: “染於蒼則蒼, 染於黃則黃. 所入者變, 其色亦變, 五入必而已則爲五色矣.” 故染不可不愼也. 2. 잘 물든 임금들과 잘못 물든 임금들 非獨染絲然也, 國亦有染. 舜染於許由ㆍ伯陽, 禹染於皐陶ㆍ伯益, 湯染於伊尹ㆍ仲虺, 武王染於太公ㆍ周公. 此四王者, 所染當, 故王天下, 立爲天子, 功名蔽天地, 擧天下之仁義顯人, 必稱此四王者. 夏桀染於干辛ㆍ推哆, 殷紂染於崇侯ㆍ惡來, 厲王染於厲公長父ㆍ榮夷終, 幽王染於傅公夷ㆍ蔡公穀. 此四王者, 所染不當, 故國殘身死, 爲天下僇, 擧天下不義辱人, 必稱此四王者. 3. 춘추오패를 물들인 인물들 齊桓染於管仲ㆍ鮑叔, 晉文染於舅犯ㆍ高偃, 楚莊染於孫叔ㆍ沈尹, 吳闔閭染於伍員ㆍ文義, 越句踐染於范蠡ㆍ大夫種. 此五君者, 所染當, 故霸諸侯, 功名傅..

6. 좋은 벗과 나쁜 벗 非獨國有染也, 士亦有染. 其友皆好仁義, 淳謹畏令, 則家日益, 身日安, 名日榮, 處官得其理矣, 則段干木ㆍ禽子ㆍ傅說之徒是也. 其友皆好矜奮, 創作比周, 則家日損, 身日危, 名日辱, 處官失其理矣, 則子西ㆍ易牙ㆍ豎刁之徒是也. 詩曰: ‘必擇所堪, 必謹所堪’者, 此之謂也. 해석 非獨國有染也, 士亦有染. 나라만 물들이는 게 있을 뿐만 아니라 선비도 또한 물들게 하는 게 있다. 其友皆好仁義, 淳謹畏令, 則家日益, 身日安, 名日榮, 벗이 모두 인의(仁義)를 좋아하고 순박하고 조심하며 법령을 두려워한다면 집은 날로 불어나고 몸은 날로 편안해지며 명성은 날로 영예로워져 處官得其理矣, 則段干木ㆍ禽子ㆍ傅說之徒是也. 공무를 처리함에 올바른 이치를 얻으리니 단간목(段干木)과 금자(禽子)【금자(禽子): 전국시..

5. 좋은 임금과 나쁜 임금의 차이 凡君之所以安者何也? 以其行理也, 行理性於染當. 故善爲君者, 勞於論人, 而佚於治官. 不能爲君者, 傷形費神, 愁心勞意, 然國逾危, 身逾辱. 此六君者, 非不重其國, 愛其身也, 以不知要故也. 不知要者, 所染不當也. 해석 凡君之所以安者何也? 以其行理也, 行理性於染當. 대체로 임금이 안정(安定)된 정치를 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올바른 이치를 행하기 때문이니 올바른 이치를 행하는 것은 물듦의 합당함에 근본해서 이다. 故善爲君者, 勞於論人, 而佚於治官. 그러므로 잘 임금노릇하는 이는 사람을 따지는 데엔 힘을 쓰지만 관리를 다스리는 데엔 느긋하다. 不能爲君者, 傷形費神, 愁心勞意, 然國逾危, 身逾辱. 임금노릇을 잘 하지 못하는 이는 몸을 상하게 하고 정신을 소비하며 마음을 근심스레 하..

4. 잘못 물든 춘추시대 임금들 范吉射染於長柳朔ㆍ王胜, 中行寅染於籍秦高彊, 吳夫差染於王孫雒ㆍ太宰嚭, 智伯搖染於智國ㆍ張武, 中山尙染於魏義ㆍ偃長, 宋康染於唐鞅ㆍ佃不禮. 此六君者, 所染不當, 故國家殘亡, 身爲刑戮, 宗廟破滅, 絶無後類, 君臣離散, 民人流亡, 擧天下之貪暴苛擾者, 必稱此六君也. 해석 范吉射染於長柳朔ㆍ王胜, 中行寅染於籍秦高彊, 吳夫差染於王孫雒ㆍ太宰嚭, 智伯搖染於智國ㆍ張武, 中山尙染於魏義ㆍ偃長, 宋康染於唐鞅ㆍ佃不禮. 범길역(范吉射)은 장류삭(長柳朔)과 왕성(王胜)에게 물들었고, 중항인(中行寅)은 적진(籍秦)과 고강(高彊)에게 물들었으며, 오나라 부차(夫差)는 왕손락(王孫雒)과 태재(太宰) 비(嚭)에게 물들었고, 지백요(智伯搖)는 지국(智國)과 장무(張武)에게 물들었으며, 중산상(中山尙)은 위의(魏義)..

3. 춘추오패를 물들인 인물들 齊桓染於管仲ㆍ鮑叔, 晉文染於舅犯ㆍ高偃, 楚莊染於孫叔ㆍ沈尹, 吳闔閭染於伍員ㆍ文義, 越句踐染於范蠡ㆍ大夫種. 此五君者, 所染當, 故霸諸侯, 功名傅於後世. 해석 齊桓染於管仲ㆍ鮑叔, 晉文染於舅犯ㆍ高偃, 楚莊染於孫叔ㆍ沈尹, 吳闔閭染於伍員ㆍ文義, 越句踐染於范蠡ㆍ大夫種. 제환공은 관중(管仲)과 포숙아(鮑叔牙)에게 물들었고, 진문공은 구범(舅犯)과 고언(高偃)에게 물들었으며, 초장왕은 숙손오(孫叔敖)와 심윤(沈尹)에게 물들었고, 오나라 합려(闔閭)는 오원(伍員)과 문의(文義)에 물들었으며, 월나라 구천(句踐)은 범려(范蠡) 대부 종(種)에게 물들었다. 此五君者, 所染當, 故霸諸侯, 功名傅於後世. 이 5명의 임금은 물들여진 게 합당하였기 때문에 제후에서 패자(霸者)가 되었고 공과 명성이 후세..

2. 잘 물든 임금들과 잘못 물든 임금들 非獨染絲然也, 國亦有染. 舜染於許由ㆍ伯陽, 禹染於皐陶ㆍ伯益, 湯染於伊尹ㆍ仲虺, 武王染於太公ㆍ周公. 此四王者, 所染當, 故王天下, 立爲天子, 功名蔽天地, 擧天下之仁義顯人, 必稱此四王者. 夏桀染於干辛ㆍ推哆, 殷紂染於崇侯ㆍ惡來, 厲王染於厲公長父ㆍ榮夷終, 幽王染於傅公夷ㆍ蔡公穀. 此四王者, 所染不當, 故國殘身死, 爲天下僇, 擧天下不義辱人, 必稱此四王者. 해석非獨染絲然也, 國亦有染. 실을 물들이는 것뿐만 아니라 나라 또한 물들이는 게 있다. 舜染於許由ㆍ伯陽, 禹染於皐陶ㆍ伯益, 湯染於伊尹ㆍ仲虺, 武王染於太公ㆍ周公. 요임금은 허유(許由)와 백양(伯陽)에게 물들었고, 우임금은 고요(皐陶)와 백익(伯益)에게 물들였으며, 탕임금은 이윤(伊尹)과 중훼(仲虺)에게 물들었고, 무왕은 태공..

1. 염색과 변화 子墨子言見染絲者而嘆曰: “染於蒼則蒼, 染於黃則黃. 所入者變, 其色亦變, 五入必而已則爲五色矣.” 故染不可不愼也. 해석 子墨子言見染絲者而嘆曰: 자묵자(子墨子)가 실을 물들이는 사람을 보고 말하며 탄신했다. “染於蒼則蒼, 染於黃則黃. “파란 물감으로 물들이면 파란색이 되고 노란 물감으로 물들이면 노란색이 되네. 所入者變, 其色亦變, 五入必而已則爲五色矣.” 넣는 물감이 변하면 색 또한 변하니 다섯 물감을 넣고 그치면 다섯 색깔이 되었다.” 故染不可不愼也. 그러므로 물들이는 것을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인용 목차 전문 여씨춘추

차이성동헌운(次利城東軒韻)② 鎭望東南大藪蒼 松林十里翠綿長蔽虧官道施帷帟 隄障滄波傲雪霜當日只消栽種了 至今留與職方藏願言樵斧無傷伐 不見邦家乏壯樑 堤上垂楊手折持 征人相贈淚如絲及吾暇日聊行樂 莅此芳盟有嫩枝但願歸期先病葉 莫敎愁色上姸姿春風却喜南還好 休道依依此別離 『芝川集』 卷之二 해석鎭望東南大藪蒼진망동남대수창명산대천(名山大川)【진망(鎭望): 각 고을을 수호하는 명산대천을 가리키는 말이다. 진(鎭)은 진산(鎭山)을 가리키고, 망은 망제사(望祭祀)에서 나온 말로, 『서경』 「순전(舜典)」에 “산천에 망제사를 지낸다.[望于山川]” 하였는데, 채침(蔡沈)의 주(注)에 “산천은 명산대천으로 오악(五嶽)과 사독(四瀆) 따위이니, 바라보고 제사하기 때문에 ‘망’이라고 한 것이다.” 하였다.】이 동남쪽으로 매우 우거져 푸르니松林十里翠..

차이성동헌운(次利城東軒韻)① 황정욱(黃廷彧) 目力東收碧海來 茫茫溟渤在亭臺二儀高下輪輿轉 太極鴻濛汞鼎開貝闕珠宮生睇眄 馮夷河伯送風雷時危兵甲猶如許 誰挽滄波洗得回 萬里滄溟掃翳昏 乾坤初闢坎離門衆峯父祖皆相揖 高頂星辰却可捫驅石漫傳秦帝跡 割腸誰慰楚臣魂桑田亦是須臾事 賊滅時平海水飜 해석目力東收碧海來목력동수벽해래눈의 힘을 동쪽으로 거두니 푸른 바다가 오고,茫茫溟渤在亭臺망망명발재정대아득한 바다에 누대가 있네.二儀高下輪輿轉이의고하륜여전음양이 오르내리더니 수레바퀴 구르고,太極鴻濛汞鼎開태극홍몽홍정개태극이 열리기 전이라 수은 솥이 열리네.貝闕珠宮生睇眄패궐주궁생제면진주조개 궁궐이 얼핏 보니 생겨났고馮夷河伯送風雷풍이하백송풍뢰해신(海神) 하백이 바람과 우레 보내주네.時危兵甲猶如許시위병갑유여허시기는 위태롭고 병사들 오히려 이와 같으니誰挽滄波..

8. 상황에 따라 달리 봄을 느끼다 若隴西子者何爲哉醉而望也樂 醒而望也哀窮而望則雲霧塞 達而望則天日開可以喜則喜 可以悲則悲誠能遇境㳂機與物推移 而不可以一揆測知者乎 『東文選』 卷之一 해석若隴西子者何爲哉약롱서자자하위재농서자인 나의 경우는 어떤가?醉而望也樂취이망야락취하고서 바라보면 즐겁고醒而望也哀성이망야애깨어서 바라보면 슬프고窮而望則雲霧塞궁이망칙운무색곤궁할 때 바라보면 구름과 안개가 막은 듯하고達而望則天日開달이망칙천일개현달할 때 바라보면 하늘의 해가 열린 듯하네.可以喜則喜가이희칙희기뻐할 만하면 기뻐하고可以悲則悲가이비칙비슬퍼할 만하면 슬퍼하니 誠能遇境㳂機與物推移성능우경연기여물추이진실로 경우를 만나거나 기회를 따라 사물과 함께 옮겨갈 수 있으니而不可以一揆測知者乎이불가이일규측지자호하나로 헤아리고 예측할 수 없는 사람이다...

7. 온갖 감정이 뒤섞인 봄 吾知夫夏之望兮 拘於蒸暑秋專蕭瑟 冬苦凝閉兹三者之偏兮 若昧變而一泥唯此春望 隨物因勢或望而和懌 或望而悲淚或望而歌 或望而涕各觸類以感人兮 紛萬端與千緒 해석吾知夫夏之望兮오지부하지망혜나는 여름의 바라봄을 아니拘於蒸暑구어증서찌는 듯한 더위에 구속되고秋專蕭瑟추전소슬가을은 스산함에 독차지되며冬苦凝閉동고응폐겨울은 하늘은 응결되고 땅은 닫혀[天凝地閉] 괴롭네.兹三者之偏兮자삼자지편혜이 세 계절은 치우쳤으니若昧變而一泥약매변이일니마치 어둡게 변해 한결같이 막힌 듯하구나.唯此春望유차춘망오직 이 봄날의 바라봄만은隨物因勢수물인세사물에 따르거나 형세에 연유하거나 하여或望而和懌혹망이화역혹 바라보면 온화롭고 기쁘기도 하고或望而悲淚혹망이비루혹 바라보면 슬프고 눈물나기도 하며或望而歌혹망이가혹 바라보면 흥얼거리기도 하고..

6. 나그네의 봄 至若征夫邈寄乎關山 見邊草之再榮逐客南遷乎湘水 望靑楓之冥冥莫不翹首延佇 抱恨怦怦此則春望之覊離也 해석至若征夫邈寄乎關山지약정부막기호관산만약 수자리 사내가 관문인 산에 기숙하다가見邊草之再榮견변초지재영국경지의 풀이 두 번 피어남을 보거나逐客南遷乎湘水축객남천호상수쫓겨난 객경(客卿)이 남쪽의 상수를 건너다望靑楓之冥冥망청풍지명명푸른 단풍의 어둑어둑함을 바라봄에莫不翹首延佇막불교수연저머리를 들고 우두커니 기다려 抱恨怦怦포한평평한을 움켜잡고 두근거리지 않는 경우는 없을 것이니此則春望之覊離也차칙춘망지기리야이는 타향살이 하는 이의 봄날 바라봄이라네. 인용작가 이력 및 작품전문

2. 부귀한 봄 鬱予望之止兹 何區區而齪齪有若丹禁日長 萬機多簡感韶光之駘蕩 時登覽乎飛觀羯鼓聲高 紅杏齊綻望神州之麗景 宸歡洽兮玉觴滿此則春望之富貴也 해석鬱予望之止兹울여망지지자나의 바라봄이 여기에 그침을 울적해 하니何區區而齪齪하구구이착착얼마나 구구하고 악착 같은가?有若丹禁日長유약단금일장만약 궁궐【단금(丹禁): 붉은 빛깔로 아름답게 장식한 금원(禁苑). 『수서(隋書)』 「백관지(百官志)」에 “각각으로 갈라져 있는 단금에는 시위병(侍衛兵)이 좌우로 열지어 있다.” 하였다.】에 해가 길고萬機多簡만기다간정치적인 일들이 많이 간단하니感韶光之駘蕩감소광지태탕봄기운이 넘실거림을 느껴時登覽乎飛觀시등람호비관이따금 날아갈 듯 높은 누각에 올라 보네.羯鼓聲高갈고성고갈고【갈고(羯鼓): 서방의 갈(羯)이라는 부족(部族)이 치는 북이다. 그..
묵자(墨子) 목차 1. 친사(親士)12345 2. 수신(修身)123 3. 소염(所染)123456 4. 법의(法儀)12345 5. 칠환(七患)123456 6. 사과(辭過)12345678910 7. 삼변(三辯)123 8. 상현상(尙賢上)1234567 9. 상현중(尙賢中)123456789101112131415 10. 상현하(尙賢下)123456789 11. 상동상(尙同上)123456 12. 상동중(尙同中)1234567891011121314 13. 상동하(尙同下)123456789 14. 겸애상(兼愛上)1234 15. 겸애중(兼愛中)12345678 16. 겸애하(兼愛下)12345678910111213141516 17. 비공상(非攻上)123 18. 비공중(非攻中)12345678 19. 비공하(非攻下)123456789..

계생(桂生, 1573 선조6~1610 광해군2, 일명 癸生ㆍ癸娘ㆍ香今, 자 天香, 호 梅窓ㆍ蟾初)은 부안(扶安)의 명기(名妓)로 가금(歌琴), 한시, 시조에 능한 여류시인(女流詩人)이다. 아전 이양종(李陽從)의 딸로 개성의 명기(名妓) 황진이(黃眞伊)와 쌍벽을 이루었으며 당대의 문사 유희경(劉希慶), 허균(許筠) 등과 교유가 깊었으나 38세로 요절하였다. 홍만종(洪萬宗)은 『소화시평(小華詩評)』 권하 99번에서 근세의 송도(松都) 황진이(黃眞伊)와 부안(扶安)의 계생(桂生)은 그 사조(辭藻)가 문사들과 더불어 다툴 만하니 기이하다고 칭송하였다. 유희경의 『촌은집(村隱集)』에 계생에게 준 시 7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그 중 「증계낭(贈癸娘)」 시를 보면 “일찍이 남국 계랑의 명성을 들었거니 시운(詩韻)과 가..

이옥봉(李玉峰, ?~?)은 조선중기의 여류시인으로 옥봉(玉峰)은 그의 호(號)다. 옥봉은 옥천군수(沃川郡守) 이봉(李逢)의 서녀(庶女)로 태어나 조원(趙瑗)의 소실(小室)이 되었다. 임진왜란(壬辰倭亂) 직전 35세를 전후하여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시는 대부분 산일(散逸)되었으나 조원(趙瑗)의 현손(玄孫)인 조정만(趙正萬)이 편한 『가림세고(嘉林世稿)』 편말(編末)에 수록되어 있는 「옥봉집(玉峰集)」에 32수가 전하고 있다. 『가림세고(嘉林世稿)』는 조원(趙瑗)ㆍ조희일(趙希逸)ㆍ조석형(趙錫馨) 등 삼대(三代)의 시문 3권과 옥봉의 시로 편차되어 있다. 허균(許筠)은 옥봉의 시를 맑고 굳세며(淸健ㆍ淸壯) 여성의 화장기가 없어 가작이 많다고 평가하였으며 신흠(申欽)과 홍만종(洪萬宗)도 옥봉이 시문에 ..
01 士景伯如楚, 叔魚爲贊理. 邢侯與雍子爭田, 雍子納其女於叔魚以求直. 及斷獄之日, 叔魚抑邢侯, 邢侯殺叔魚與雍子於朝. 韓宣子患之. 叔向曰: “三姦同罪, 請殺其生者, 而戮其死者.” 宣子曰: “若何?” 對曰: “鮒也鬻獄, 雍子賈之以其子, 邢侯非其官也而干之. 夫以回鬻國之中, 與絶親以買直, 與非司寇而擅殺, 其罪一也.” 邢侯聞之, 逃. 遂施邢侯氏, 而尸叔魚與雍子於巿. 인용목차

사마광의 『고문효경지해』로부터 주희 『간오』, 동정 『대의』까지 그리고 고문효경은 공전(孔傳)이 사라진 본문만 남아있는 좀 기묘한 판본이 송나라 비각(秘閣)에 보존되어 있었는데, 사마광이 그 본문에 의거하여 『고문효경지해(古文孝經指解)』를 짓게 된 경위는 전술한 바와 같다. 사마광은 『지해』의 본문을 고문에 의거했다고 말하면서도, 실상은 금문인 정주(鄭注)와 어주(御注)의 본문을 대폭 수용하였으므로 『지해』의 본문은 고문인 듯하면서도 고문이 아닌 좀 엉터리 잡탕이다. 도저히 고문효경이라고 말할 수 없다. 세상에서는 이 사마광의 『지해』 본문을 ‘송본효경宋本孝經’이라고 부른다. 이 아리까리한 송본효경을 가지고 주자가 고문경의 모범이라 착각하고, 『효경간오(孝經刊誤)』라는 불행한 책을 지었고, 그 책의 체제..

『공전』 『정주』의 망일과 쵸오넨의 『정주』 헌상 보통 ‘어주(御注)’라고 하면 ‘천보중주(天寶重注)’를 가리키며 ‘개원시주(開元始注)’는 중국에서도 망일되었다. ‘개원시주’는 다행히 일본에 보존되어 오늘 그 모습을 볼 수 있는데, 개원시주와 천보중주의 차이는 「서문」의 이동(異同)과 주문(注文)의 증감뿐이며, 경문(經文)의 변화는 없다. 하여튼 어주가 세상에서 통용되게 되자 공(孔)ㆍ정(鄭) 이주(二)는 모두 빛이 바래버렸고, 안타깝게도 오대(五代)의 난(亂)을 거치면서 모두 사라졌다. 그 후, 북송의 옹희(雍熙) 원년(984)에 일본의 승려 쵸오넨(奝然, ?~1016, 헤이안平安 중기의 토오다이지東大寺의 학승, 코오토京都의 사람. 983년에 入宋, 송태종을 알현)이 태종에게 『정주(鄭注)』한 책을 헌..

외로운 소나무 고송(孤松) 이언적(李彦迪) 群木鬱相遮 孤松挺自誇 군목울상차 고송정자과 煙霞祕幹質 雨露長枝柯 연하비간질 우로장지가 千尺心應直 九泉根不斜 천척심응직 구천근불사 棟樑雖有待 斤斧奈相加 동량수유대 근부내상가 不似巖邊老 含姿歲暮多 불사암변로 함자세모다 『晦齋先生集』 卷之一 해석 群木鬱相遮 孤松挺自誇 온 나무는 빼곡이 서로 막지만 외론 소나무는 꼿꼿하게 스스로 자아하네. 煙霞祕幹質 雨露長枝柯 안개 낀 노을에 줄기와 바탕을 숨겼고 비와 이슬에 가지 자랐네. 千尺心應直 九泉根不斜 천 길이이니 내면은 응당 곧겠고 구천이니 뿌리는 기울지 않으리라. 棟樑雖有待 斤斧奈相加 동량으로 비록 대우하려 해도 도끼질 서로 가해짐은 어찌하랴? 不似巖邊老 含姿歲暮多 바위 근처에서 늙어감만 못하니 세밑에도 많이들 자태 머금기..

진사 이정지의 시에 차운하며 차이진사정지운(次李進士定之韻) 이언적(李彦迪) 五載酸辛飽世味 怡愉數月侍親庭 人間至樂無如此 此外浮雲非我榮 暮年強健保天和 畎畝風煙樂不窮 羲皇上客吾兄是 觴詠朝朝小檻中 今春不雨大無麥 又悶西疇少揷秧 自愧空疏忝侍從 凶年無術撫流亡 『晦齋先生集』 卷之三 해석 五載酸辛飽世味 오재산신포세미 5년동안 고생스레 세상맛에 배불렀다가 怡愉數月侍親庭 이유수월시친정 온화하고 부드럽게 몇 개월 간 부모님 모시네. 人間至樂無如此 인간지락무여차 인간의 지극한 즐거움이 이와 같은 게 없으니 此外浮雲非我榮 차외부운비아영 이 밖의 뜬 구름이란 내 영화가 아니라네. 暮年強健保天和 모년강건보천화 노년에도 강건해 천연의 온화함을 보전했으니 畎畝風煙樂不窮 견무풍연락불궁 밭의 풍광에 즐거움 무궁해라. 羲皇上客吾兄是 희황상객..

계문 성중엄의 시에 차운하다 차계문운(次季文韻) 정희량(鄭希亮) 過眼如雲事事新 狂歌獨立路岐塵 百年三萬六千日 四海東西南北人 宋玉怨騷悲落木 謫仙哀賦惜餘春 醉鄕倘有閒田地 乞與劉伶且卜隣 『虛庵先生遺集』 卷之二 해석 過眼如雲事事新 과안여운사사신 눈을 지나는 구름처럼 일마다 새로워 狂歌獨立路岐塵 광가독립로기진 미친 척 노래하며 홀로 갈림길 먼지에 서 있네. 百年三萬六千日 백년삼만육천일 백년은 3만 6천 일인데 四海東西南北人 사해동서남북인 온 세상 마구 돌아다니던 사람이라네. 宋玉怨騷悲落木 송옥원소비락목 송옥【송옥(宋玉): 굴원(屈原)을 이은 초사의 대가(大家)】의 원망하는 글은 지는 잎을 슬퍼했고 謫仙哀賦惜餘春 적선애부석여춘 이백의 슬픈 시는 남은 봄 애달파했네. 醉鄕倘有閒田地 취향당유한전지 취했음에도 거닐[倘=徜..

술회를 지지당에 올라 풀어내다 술회이절 상지지당(述懷二絶 上止止堂) 김굉필(金宏弼) 日邊揮翰玉堂春 靄靄靑雲鬧後塵 嶺外枕書茅屋夜 娟娟孤月屬斯人 해석 日邊揮翰玉堂春 일변휘한옥당춘 임금 곁에서 붓 휘두르던 홍문관【옥당(玉堂): 홍문관(弘文館)의 별칭으로 옥서(玉署)·영각(瀛閣)으로도 불림. 조선시대 궁중의 경서(經書)와 사적(史籍)의 관리와, 국가문서의 처리, 왕의 각종 자문에 응하는 일을 관장하던 관아다】의 봄 靄靄靑雲鬧後塵 애애청운료후진 자욱하게 낀 푸른 구름에 후진이 시끄럽네. 嶺外枕書茅屋夜 령외침서모옥야 고개 바깥에 책을 벤 초가집의 밤 娟娟孤月屬斯人 연연고월속사인 곱디 고운 외론 달이 이 사람에 속하네. 해설 이 시는 지지당에 올라 소회를 읊은 시로, 중앙관료로서의 삶과 지방 처사로서의 삶이 여실히 ..

직산현 성거산 원통암의 창벽에 쓰다 제성거산원통암창벽(題聖居山元通庵囱壁) 남효온(南孝溫) 東日出杲杲 木落神靈雨 동일출고고 목락신령우 開囱萬慮淸 病骨欲生羽 개창만려청 병골욕생우 『秋江先生文集』 卷之三 해석 東日出杲杲 木落神靈雨 동쪽의 해가 나와 밝아지고 나무에선 신령한 비인 듯 지네. 開囱萬慮淸 病骨欲生羽 창 여니 온갖 생각 맑아져 병든 몸임에도 날개 나려 하네. 『秋江先生文集』 卷之三 해설 이 시는 성거산에 있는 원통암 창 벽에 쓴 시이다. 서늘한 가을 아침, 동쪽으로 맑은 해가 눈부시게 솟아오르고 있고, 신령스러운 비처럼 낙엽이 아침에 떨어지고 있다(힘없이 저녁에 떨어지는 것이 아니다. 가을 아침인데도 생동감을 느끼게 한다). 창문을 열자 온갖 근심들이 맑아져 병든 몸인데도 날개가 돋아 하늘을 날아갈 ..

한강 하류의 압도를 유람하며 유압도(遊鴨島) 남효온(南孝溫) 芳洲十里露潮痕 手自持鋤採艸根 野水汲來澆麥飯 擬將身世付江村 天陰斜日一川明 準擬歸舟軋櫓聲 遊子倦來江霧合 晩程歸馬看潮生 『秋江先生文集』 卷之三 해석 芳洲十里露潮痕 방주십리로조흔 꽃 모래톱 십리에 조수의 흔적 드러나 手自持鋤採艸根 수자지서채초근 손수 호미 가지고 풀 뿌리 캐네. 野水汲來澆麥飯 야수급래요맥반 들판 물이 급히 들어와 보리를 씻으니 擬將身世付江村 의장신세부강촌 헤아리건대 신세를 강촌에 더부살이할 만하네. 天陰斜日一川明 천음사일일천명 하늘 어두워지고 비낀 해에 한 냇물 밝아지고 準擬歸舟軋櫓聲 준의귀주알로성 배 돌리려 생각하는지 삐걱이는 노 소리 나네. 遊子倦來江霧合 유자권래강무합 나그네는 게을리 와서 강과 이슬에 합치되었다가 晩程歸馬看潮生 만..

영현암에서 어머니 꿈을 꾸며 영현암 몽자당(靈顯庵 夢慈堂) 남효온(南孝溫) 遠客辭親四浹旬 破衫蚤蝨長兒孫 裁書付僕重重語 魂先歸書到蓽門 『秋江先生文集』 卷之三 해석 遠客辭親四浹旬 원객사친사협순 먼 나그네 어버이께 사직인사한 지 40일이니 破衫蚤蝨長兒孫 파삼조슬장아손 해진 적삼엔 벼룩과 이의 새끼들까지 자랐네. 裁書付僕重重語 재서부복중중어 편지 써서 머슴에게 보내며 거듭 말하니 魂先歸書到蓽門 혼선귀서도필문 넋이 편지 돌아가기에 앞서 사립문에 당도했네. 『秋江先生文集』 卷之三 해설 이 시는 그의 나이 29세 되던 해인 1482년에 지은 것으로, 영현암에서 어머니를 꿈꾸며 지은 것이다. 남효온은 소릉(昭陵) 추복이 좌절된 후 술로 세월을 보내다가 어머니의 걱정을 듣고 부근의 영현암에 들어가 친구와 함께 과거(科學..

간성의 공양왕릉【간성은 현재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이다. 고려 공양왕(恭讓王)의 능은 강원도 삼척과 경기도 고양에 있는데, 공양왕이 간성으로 추방되어 이곳에서 살해되어 묻혔다는 설이 있기에 간성릉이라 부른 듯하다.】을 지나다 저물어 방문할 수 없자 느꺼움이 있어 짓다 과간성릉 일모불극방 유회(過杆城陵 日暮不克訪 有懷) 남효온(南孝溫) 秦家不韋移神器 函谷山川付子嬰 虛器擁名纔四歲 百年神算詎能成 杆城無復萬機憂 落日陵含千古羞 包胥不能存楚社 微箕猶復盡宗周 房訓知天禪授明 九原猶得讓王名 千村煙火皆非舊 陵後陵前水自聲 『秋江先生文集』 卷之三 해석 秦家不韋移神器 진가불위이신기 진나라의 여불위는 옥새(玉璽)를 옮겨서 신돈을 말한다[謂辛旽也] 函谷山川付子嬰 함곡산천부자영 함곡의 산천이 자영【자영(子嬰): 진 시황의 손자】에게 ..
차김대유상필재선생운(次金大猷上畢齋先生韻) 夏蟲那可語寒氷 大聖猶謙一未能 欲識古人無犯隱 莫將牛馬說耕乘 人於處世戒淵氷 用舍行藏久鮮能 縱使幽蘭蓬艾混 芳香肯被臭蕕乘 藍出其靑水出氷 立言休道覓吹能 淸夷和惠俱先覺 進退中間時各乘 空山花落月如氷 蜀魄聲中哭未能 自是無心人世事 帝鄕何處白雲乘 道亦多岐似炭氷 身家日用世皆能 也知心性非空寂 頓悟何須效演乘『濯纓先生文集』 續上 이 시는 김굉필이 필재 선생에게 올린 시에 차운한 시이다. 텅 빈 산에 꽃이 지고 달도 얼음처럼 차가운데, 두견새 울음소리를 듣고도 통곡할 수 없다(두견새 울음은 원통하게 죽은 端宗의 울음이요, 이 울음소리를 듣고도 통곡할 수 없다는 것은 당시의 허탈한 상실감을 의미함). 이로부터 세상사에 뜻이 없어져 현실을 등지고, 흰 구름을 타고 제향으로 가고 싶다(흰 구름을..

소쩍새야 두견(杜鵑) 정여창(鄭汝昌) 杜鵑何事淚山花 遺恨分明託古査 淸怨丹衷胡獨爾 忠臣志士矢靡他 『一蠹先生續集』 卷之一 해석 杜鵑何事淚山花 두견하사루산화 소쩍새야 어떤 일로 산꽃에 눈물 뿌리니? 遺恨分明託古査 유한분명탁고사 남은 한은 분명히 오래된 나무등걸에 의탁했겠지. 淸怨丹衷胡獨爾 청원단충호독이 맑은 원한과 붉은 충심이 어찌 홀로 너뿐이겠니? 忠臣志士矢靡他 충신지사시미타 충신과 지사가 맹세컨대[矢] 너와 다를 게 없지. 『一蠹先生續集』 卷之一 해설 이 시는 두견새를 두고 노래한 것으로, 정여창의 「안령대풍(鞍嶺待風)」과 마찬가지고 절의(節義)가 잘 드러난 시이다. 두견새야, 무슨 일로 그렇게 슬피 울어 진달래에 눈물을 뿌리고 있는가? 나라가 망한 한(恨), 이제 옛일이 되었는데, 임을 향해 구슬프게 우..

삼가며 율정 이관의(李寬義)의 운에 차운하다 근차율정이선생운(謹次栗亭李先生韻) 정여창(鄭汝昌) 學究天人冠一時 而居陋巷不求知 聖君特召問治道 因許山林意所之 『一蠹先生續集』 卷之一 해석 學究天人冠一時 학구천인관일시 학문은 하늘과 사람을 연구함이 한 시대에 으뜸이었지만 而居陋巷不求知 이거루항불구지 보잘 것 없는 곳에 살면서 알려지길 구하지 않았네. 聖君特召問治道 성군특소문치도 성스런 임금께서 특별히 불러 다스림의 방법을 물으시고 因許山林意所之 인허산림의소지 산림에 가려는 뜻을 허락하셨네. 『一蠹先生續集』 卷之一 해설 이 시는 스승인 율정 이관의의 운(韻)에 차운한 시이다. 이관의의 학문은 성리학을 궁구하여 당대의 으뜸이었고, 어려운 처지에 있으면서도 세상에 이름이 알려지기를 구하지 않았다. 성스러운 임금인 성종..

태종의 이궁인 낙천정에 쓰다 제낙천정(題樂天亭) 변계량(卞季良) 樂天亭上又淸秋 地戴明君佳氣浮 踈雨白鷗麻浦曲 落霞孤鶩漢山頭 仁風浩蕩草從偃 聖澤瀰漫水共流 宵旰餘閒觀物象 人間仙境更何求 『春亭先生詩集』 卷之三 해석 樂天亭上又淸秋 낙천정상우청추 낙천정 위로 또 맑은 가을이 와 地戴明君佳氣浮 지대명군가기부 땅이 현명한 임금 이니 아름다운 기운이 떠오네. 踈雨白鷗麻浦曲 소우백구마포곡 이슬비에 흰 갈매귀가 마포 돌고 落霞孤鶩漢山頭 락하고목한산두 지는 노을에 외로운 오리는 한산 위로 나네. 仁風浩蕩草從偃 인풍호탕초종언 어진 풍속 호탕하여 풀이 따라서 눕고 聖澤瀰漫水共流 성택미만수공류 성스러운 은택이 넘실대 물이 함께 흐르네. 宵旰餘閒觀物象 소간여한관물상 소의간식(宵衣旰食)으로 바쁜 여가에 사물의 모양을 감상하니 人間仙境..

근정전에서 근정전(勤政殿) 변계량(卞季良) 煌煌金殿照層巒 琪樹葱籠景氣閒 閶闔九天開日月 衣冠五夜集䲶鸞 衆心離合分毫忽 百代興衰可鑑觀 裁決萬機猶未罷 日斜花影上欄干 『春亭先生詩集』 卷之四 해석 煌煌金殿照層巒 황황금전조층만 밝디 밝은 금빛 궁궐이 층층이 산을 비추고 琪樹葱籠景氣閒 기수총롱경기한 옥 같은 나무 푸르게 쌓여 경치 한가하네. 閶闔九天開日月 창합구천개일월 구천【구천(九天)은 구중천(九重天)의 약칭이다】의 대궐문[閶闔]에 해와 달 열리니 衣冠五夜集䲶鸞 의관오야집원란 의관을 갖춘 관리가 오경(五更)에 봉황처럼【란(鴛鸞): 모두 봉황에 속하는 새 이름인데, 보통 조정의 관원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모여드네. 衆心離合分毫忽 중심리합분호홀 뭇 사람의 마음이 흩어지고 합함이 짧은 시간【호홀(毫忽): 터럭 끝만큼..

구름이 북쪽 궁궐에 걸쳐 있어 운횡북궐(雲橫北闕) 정이오(鄭以吾) 玉葉橫金闕 朱甍照碧天 옥엽횡금궐 주맹조벽천 丁東傳促漏 戌北釀霏煙 정동전촉루 술북양비연 佳氣晴相擁 高標望更連 가기청상옹 고표망갱연 南山將獻壽 穆穆萬斯年 남산장헌수 목목만사년 『新增東國輿地勝覽』 卷三 해석 玉葉橫金闕 朱甍照碧天 구름【옥엽(玉葉): 시어(詩語)로 구름을 뜻한다.】이 금빛 궁궐에 비껴 있고 붉은 용마루는 푸른 하늘을 비추네. 丁東傳促漏 戌北釀霏煙 뚝뚝【정동(丁東): 물시계의 물방울이 떨어지는 소리의 의성어(擬聲語)이다.】 촉급히 물시계소리【옥루(玉漏): 물시계의 미칭】 전하고 북쪽에선 안개 연기 뭉치네. 佳氣晴相擁 高標望更連 아름다운 기운이 갠 날에 서로 끌어당기고 높은 기상 바라보니 다시 연이어지네. 南山將獻壽 穆穆萬斯年 남산【..

경상도 선산에 있는 죽장사에서 죽장사(竹長寺) 정이오(鄭以吾) 衙罷乘閑出郭西 僧殘寺古路高低 祭星壇畔春風早 紅杏半開山鳥啼 寺有老人星壇 『東文選』 卷之二十二 해석 衙罷乘閑出郭西 아파승한출곽서 관청일 마치고 한가함을 타고서 서쪽 성곽으로 나오니 僧殘寺古路高低 승잔사고로고저 스님 조금 있고 사찰은 낡아 길은 높다가 낮다가 하네. 祭星壇畔春風早 제성단반춘풍조 별 제사 지내는 사단【제성단(祭星壇): 고려ㆍ조선 시대에, 태백성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 함경남도 광포에 있다.】에 봄 바람 이르지만 紅杏半開山鳥啼 홍행반개산조제 붉은 살구는 반쯤 펴 산새 지저귀네. 절에 노인성단이 있다[寺有老人星壇] 『東文選』 卷之二十二 해설 이 시는 선산부사로 있을 때 관청 일을 마치고 시간을 내어 인근(隣近)에 있는 죽장사에 올라 쓴..

몹시 게을러져용심(慵甚) 이첨(李詹) 平生志願已蹉𧿶 爭奈慵踈十倍多 午寢覺來花影轉 暫携稚子看新荷 『東文選』 卷之二十二 해석平生志願已蹉𧿶평생지원이차이평생 뜻으로 원하는 것이 이미 어긋나서爭奈慵踈十倍多쟁내용소십배다게으르고 어설픔이 열 배나 많은 걸 어찌 하랴[爭奈]?午寢覺來花影轉오침각래화영전낮잠 깨고 나니 꽃 그림자 옮겨 와서暫携稚子看新荷잠휴치자간신하잠시 어린 아들 데리고 새 연꽃 본다네. 『東文選』 卷之二十二 해설인간이란 어른이 되어서도 마냥 무지개를 쫓는 어린이의 연장선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존재이다. 그러다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마침내 비틀거리는 발길로 실의(失意)의 언덕에 와 주저앉아 버리고 만다. 인제 여일(餘日)이 얼마 남지 않은 노경에 이르렀음을 자각함에서다. 만사휴재(萬事休哉)! 팽팽히 버텨오던 ..

백성을 대신하여 노래하다 대민음(代民吟) 원천석(元天錫) 生涯寒似水 賦役亂如雲 생애한사수 부역난여운 急抄築城卒 兼抽鍛鐵軍 급초축성졸 겸추단철군 風霜損禾稼 縷雪弊衣裙 풍상손화가 루설폐의군 未忘妻孥養 心煎火欲焚 미망처노양 심전화욕분 『耘谷行錄』 卷之五 해석 生涯寒似水 賦役亂如雲 생애 차갑기가 물 같고 부역 어지럽기가 구름 같네. 急抄築城卒 兼抽鍛鐵軍 급하게 성을 쌓을 졸병을 뽑고 겸하여 철을 단련할 군사를 뽑네. 風霜損禾稼 縷雪弊衣裙 바람과 서리가 벼농사 망치고 실눈이 옷을 해지게 했네. 未忘妻孥養 心煎火欲焚 처자식 양육을 잊지 못해 마음 졸여 불타려 하네. 『耘谷行錄』 卷之五 해설 농민의 참상을 대신 읊은 노래이다. 차가운 물처럼 살아가기 힘들고 뒤엉켜 있는 구름처럼 부역은 뒤죽박죽이다. 성을 쌓는다고 급..

9월 15일에 국가에서 정창군을 왕위에 세우고 전왕의 부자를 신돈의 자손이라 하여 서인으로 폐위한 것을 듣고서 문금월십오일 국가이정창군립왕위 전왕부자 이위신돈자손 폐위서인(聞今月十五日 國家以定昌君立王位 前王父子 以爲辛旽子孫 廢爲庶人) 원천석(元天錫) 前王父子各分離 萬里東西天一涯 可使一身爲庶類 正名千古不遷移 祖王信誓應乎天 餘澤流傳數百年 分揀假眞何不早 彼蒼之鑑照明然 『耘谷行錄』 卷之四 해석 前王父子各分離 전왕부자각분리 전 왕조의 부자가 각각 떨어지니 萬里東西天一涯 만리동서천일애 만 리 동쪽과 서쪽으로 하늘의 한 끝이라네. 可使一身爲庶類 가사일신위서류 가령 한 몸을 평민으로 만들 수 있다해도 正名千古不遷移 정명천고불천이 정명은 천고토록 옮기지 못하리. 해설 이 시는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1389년 9월 ..

성균관에서 우연히 읊조리다 반궁우음(泮宮偶吟) 길재(吉再) 龍首正東傾短墻 水芹田畔有垂楊 身雖從衆無奇特 志則夷齊餓首陽 『冶隱先生言行拾遺』 卷上 해석 龍首正東傾短墻 용수정동경단장 개경의 용수산 바로 동쪽에 짧은 담장이 기울었고 水芹田畔有垂楊 수근전반유수양 물미나리 밭두둑에 버들 드리워졌네. 身雖從衆無奇特 신수종중무기특 몸은 비록 무리를 따라도 특기란 없더라도 志則夷齊餓首陽 지즉이제아수양 뜻이라면 백이와 숙제처럼 수양산에서 굶주릴 만하다네. 『冶隱先生言行拾遺』 卷上 해설 이 시는 36세 때 성균박사로 있으면서 지은 시이다. 고려가 멸망하기 전에 지은 것으로, 백이와 숙제처럼 절의(節義)를 본받아 수양산에서 굶어 죽겠다는 야은(冶隱)의 심정을 읽을 수 있는 시이다. 원주용, 『고려시대 한시 읽기』, 이담, 20..
잡수(雜守) 제칠십일(第七十一) 1. 禽子問曰. 客衆而勇. 輕意見威. 以駭主人. 薪土俱上. 以爲羊坽. 積土爲高以臨民. 蒙櫓俱前. 遂屬之城. 兵弩俱上. 爲之奈何. 子墨子曰. 子問羊坽之守邪. 羊坽者. 攻之拙者也. 足以勞卒. 不足以害城. 羊坽之政. 遠攻則遠害. 近城則近害. 不至城. 矢石無休. 左右趣. 射蘭爲柱后. 望以固. 厲吾銳卒. 愼無使顧. 守者重下. 攻者輕去. 養勇高奮. 民心百倍. 多執數少. 卒乃不怠. 作士不休. 不能禁御. 遂屬之城. 以御云梯之法應之. 凡待煙衝云梯臨之法. 必應城以御之. 曰不足. 則以木**[木+享(槨??)]之. 左百步. 右百步. 繁下矢石沙炭以雨之. 薪火水湯以濟之. 2. 選厲銳卒. 愼無使顧. 審賞行罰. 以靜爲故. 從之以 急. 無使生慮. 恚痛高憤. 民心百倍. 多執數賞. 卒乃不怠. 衝臨梯皆以衝. ..
9. 有讒人. 有利人. 有惡人. 有善人. 有長人. 有謀士. 有勇士. 有巧士. 有使士. 有內人者. 外人者. 有善人者. 有善門人者. 守必察其所以然者. 應名乃內之. 民相惡. 若議吏. 吏所解. 皆札書藏之. 以須告之至. 以參驗之. 睨者小五尺. 不可卒者. 爲署吏. 令給事官府若舍. 藺石. 厲矢諸材. 器用皆謹部. 各有積分數. 爲解車以. 枱城矣. 以軺車. 輪軲. 廣十尺. 轅長丈. 爲三輻. 廣六尺. 爲板箱. 長與轅等. 高四尺. 善蓋上治. 令可載矢. 子墨子曰. 凡不守者有五. 城大人少. 一不守也. 城小人衆. 二不守也. 人衆食寡. 三不守也. 去城遠. 四不守也. 畜積在外. 富人在虛. 五不守也. 率萬家而城方三里.
8. 取疏. 令民家有三年畜蔬食. 以備湛旱. 歲不爲. 常令邊縣. 豫種畜芫芸烏喙袾葉. 外宅. 溝井可窴. 塞. 不可. 置此其中. 安則示以危. 危示以安. 寇至. 諸門戶令皆鑿而類竅之. 各爲二類一鑿而屬繩. 繩長四尺. 大如指. 寇至. 先殺牛羊雞狗烏雁. 收其皮革筋角**[艹+山+刂]羽. 彘皆剝之. 吏橝桐**[卜+目]. 爲鐵錍. 厚簡爲衡枉. 事急. 卒不可遠. 令掘外宅林. 謀多少. 若治城口爲擊. 三隅之. 重五斤已上諸林木. 渥水中. 無過一茷. 塗茅屋. 若積薪者. 厚五寸已上. 吏各擧其步界中財物. 可以左守備者上.
7. 池外廉. 有要有害. 必爲疑人. 令往來行夜者射之. 謀其疏者. 牆外水中. 爲竹箭. 箭尺廣二步. 箭下于水五寸 雜.長短 三十步一弩廬. 廬廣十尺. 袤丈二尺. 隊有急. 極發其近者往佐. 其次襲其處. 守節出入. 使主節必疏書. 署其情. 令若其事. 而須其還報. 以劍驗之. 節出. 使所出門者. 輒言節出時摻者名. 百步一隊. 閤通守舍. 相錯穿室. 治復道. 爲築墉. 墉善其上.
6. 寇近. 亟收諸雜鄕金器. 若銅鐵. 及他可以左守事者. 先擧縣官室居. 官府不急者. 材之大小長短. 及凡數. 卽急先發. 寇薄. 發屋伐木. 雖有請謁勿聽. 入柴. 勿積魚鱗簪. 當隊. 令易取也. 材木不能盡入者. 燔之. 無令寇得用之. 積木. 各以長短大小惡美形相從. 城四面外. 各積其內諸木. 大者皆以爲關鼻. 乃積聚之. 城守司馬以上. 父母昆弟妻子. 有質在主所. 乃可以堅守署. 都司空. 大城四人. 候二人. 縣候面一. 亭尉次司空. 亭一人. 吏侍守所者. 財足 廉信. 父母昆弟妻子. 有在葆宮中者. 乃得爲侍吏. 諸吏必有質. 乃得任事. 守大門者二人. 夾門而立. 令行者趣其外. 各四戟. 夾門立. 而其人坐其下,吏日五閱之. 上逋者名.
5. 卽有驚. 擧孔表. 見寇擧牧表. 城上以麾指之. 斥步鼓整旗. 旗. 以備戰從麾所指. 田者男子以戰備從斥. 女子亟走入. 卽見放. 到傳到城止. 守表者三人. 更立捶表而望. 守數令騎若吏. 行**[方+方]視. 有以知爲所爲. 其曹一鼓. 望見寇. 鼓傳到城止. 斗食. 終歲三十六石. 參食. 終歲二十四石. 四食. 終歲十八石. 五食. 終歲十四石四斗. 六食. 終歲十二石. 斗食食五升. 參食食參升小半. 四食食二升半. 五食食二升. 六食食一升. 大半. 日再食. 救死之時. 日二升者二十日. 日三升者三十日. 日四升者四十日. 如是. 而民免. 于九十日之約矣.
4. 寇烽驚烽亂烽. 傳火以次應之. 至主國止. 其事急者. 引而上下之. 烽火以擧. 輒五鼓傳. 又以火屬之. 言寇所從來者少多. 旦弇還. 去來屬次烽勿罷. 望見寇擧一烽. 入境. 擧二烽射妻. 擧三烽一藍. 郭會. 擧四烽. 二藍. 城會. 擧五烽. 五藍. 夜以火如此數. 守烽者事急. 候無過五十. 寇至葉. 隨去之. 唯弇逮. 日暮出之. 令皆爲微職. 距阜山林. 皆令可以迹. 平明而迹. 無迹. 各立其表. 下城之應. 候出置田表. 斥坐郭內外立旗幟. 卒半在內. 令多少無可知.
3. 民. 先擧城中官府. 民宅室署. 大小調處. 葆者. 或欲從兄弟知職者. 許之. 外宅粟米畜産財物. 諸可以佐城者. 送入城中. 事卽急. 則使積門內. 民獻粟米布帛 金錢牛馬畜産. 皆爲置平賈. 與主券書之. 使人各得其所長. 天下事當. 鈞其分職. 天下事得. 皆其所喜. 天下事備. 强弱有數. 天下事具矣. 築郵亭者圜之. 高三丈以上. 令侍殺. 爲辟梯. 梯兩臂長三尺. 連門三尺報以繩連之. 槧再雜爲縣梁. 聾竈. 亭一鼓.
2. 選厲銳卒. 愼無使顧. 審賞行罰. 以靜爲故. 從之以 急. 無使生慮. 恚痛高憤. 民心百倍. 多執數賞. 卒乃不怠. 衝臨梯皆以衝. 衝之 渠. 長丈五尺. 其埋者三尺. 矢長丈二尺. 渠廣丈六尺. 其弟丈二尺. 渠之垂者四尺. 樹渠無傅葉五寸. 梯渠十丈一梯. 渠荅大數. 里二百五十八. 渠荅百二十九. 諸外道. 可要塞以難寇. 其害者. 爲築三亭. 亭三隅. 織女之. 令能相救諸距阜. 山林溝瀆. 丘陵阡陌. 郭門. 若閻術. 可要塞. 及爲微職. 可以迹知往來者少多. 卽所伏藏之處.
1. 禽子問曰. 客衆而勇. 輕意見威. 以駭主人. 薪土俱上. 以爲羊坽. 積土爲高以臨民. 蒙櫓俱前. 遂屬之城. 兵弩俱上. 爲之奈何. 子墨子曰. 子問羊坽之守邪. 羊坽者. 攻之拙者也. 足以勞卒. 不足以害城. 羊坽之政. 遠攻則遠害. 近城則近害. 不至城. 矢石無休. 左右趣. 射蘭爲柱后. 望以固. 厲吾銳卒. 愼無使顧. 守者重下. 攻者輕去. 養勇高奮. 民心百倍. 多執數少. 卒乃不怠. 作士不休. 不能禁御. 遂屬之城. 以御云梯之法應之. 凡待煙衝云梯臨之法. 必應城以御之. 曰不足. 則以木**[木+享(槨??)]之. 左百步. 右百步. 繁下矢石沙炭以雨之. 薪火水湯以濟之.
호령(號令) 제칠십(第七十) 1. 安國之道. 道任地始. 地得其任. 則功成. 地不得其任. 則勞而無功. 人亦如此. 備不先具者. 無以安主. 吏卒民多. 心不一者. 皆在其將長. 諸行賞罰. 及有治者. 必出于王公. 數使人行勞賜. 守邊城關塞. 備蠻夷之勞苦者. 擧其守卒之財用. 有餘不足. 地形之當守邊者. 其器備常多者. 邊縣邑. 視其樹木惡. 則少用. 田不闢. 少食. 無大屋草蓋. 少用桑. 多財. 民好食. 爲內牒. 內行棧. 置器備其上. 城上吏卒養. 皆爲舍道內各當其隔部. 2. 養什二人. 爲符者曰養吏一人. 辯護諸門. 門者及有守禁者. 皆無令無事者. 得稽留止其**[方+方]. 不從令者戮. 敵人但至. 千丈之城. 必郭迎之. 主人利. 不盡千丈者. 勿迎也. 視敵之居曲. 衆少而應之. 此守城之大體也. 其不在此中者. 皆心術與人事參之. 3. 凡守城者..
27. 樓下人守候者. 言以報守. 中涓二人. 夾散門內坐. 門常閉. 鋪食更. 中涓一長者. 環守宮之. 術衢. 置屯道各垣. 其兩**[方+方]高丈爲埤**[阝+兒]. 立初雞足置. 夾挾視葆食. 而札書得必謹案視參食者. 節不法. 正請之. 屯陳垣外術衢街皆樓. 高臨里中. 樓一鼓聾竈. 卽有物故. 鼓. 夜以火指鼓所. 城下五十步一廁. 廁與上同圂. 請有罪過. 而可無斷者. 令杼廁利之.
26. 凡戮人于巿. 死上目行. 謁者侍. 令門外爲二曹. 夾門坐. 鋪食更無空. 門下謁者一長. 守數令入中. 視其亡者. 以督門尉. 與其官長. 及亡者. 入中報. 四人夾令門內坐. 二人夾散門外坐. 客見. 持兵立前. 鋪食更. 上侍者名. 守室下高樓. 候者望見乘車. 若騎卒. 道外來者. 及城中非常者. 輒言之守. 守以須城上候城門及邑吏. 來告其事者. 及城中非常者. 輒言之守. 守以須城上候城門及邑吏. 來告其事者. 以驗之.
25. 務色謾缶. 淫囂不靜. 當路尼衆. 后就. 逾時不寧. 其罪死. 讙囂駴衆. 其罪殺. 非上不諫. 次主凶言. 其罪殺. 無敢有樂器獘騏軍中. 有則其罪射. 非有司之令. 無敢有車馳人趨. 有則其罪射. 其罪射. 令各執罰盡殺. 有司見有罪而不誅同罰. 若或逃之亦殺. 凡將率斗其衆失法殺. 凡有司不使去卒吏民聞誓令. 代之服罪.
24. 迹坐擊缶期. 以戰備從麾所指. 望見寇. 擧一垂. 入竟. 擧二垂. 狎郭. 擧三遂. 入郭. 擧四垂. 狎. 城. 擧五垂. 夜以火皆如此. 去郭百步. 牆垣樹木小大. 盡伐除之. 外空井盡窒之. 無令可得汲也. 外空窒盡發之. 木盡伐之. 諸可以攻城者. 盡內城中. 令其人各有以記之. 事以. 各以其記取之. 事爲之券. 書其枚數. 當遂材木. 不能盡內. 卽燒之. 無令客得而用之. 人自大書版. 著之其署忠. 有司出其所治. 則從淫之法. 其罪射.
23. 出候無過十里. 居高便所樹表. 表三人守之. 比至城者三表. 與城上烽燧相望. 晝則擧烽. 夜則擧火. 寇所從來. 審知寇形. 必攻論. 小城不自守通者. 尺葆其老弱粟米畜産. 遣卒候者無過五十人. 客至堞去之. 愼無厭建. 候者曹無過三百人. 日暮出之. 爲微職. 空隊要塞之人所往來者. 令可口. 迹者無下里三人. 平而迹. 各立其表. 城上應之. 候出越陳表. 遮坐郭門之外內. 立其表. 令卒之半居門內. 令其少多無可知也. 見寇越陳去. 城上以麾指之.
22. 必重發侯. 爲養其親. 若妻子. 爲異舍. 無與員同所. 給食之酒肉. 遣他侯奉資之. 如前侯反. 相參審信. 厚賜之. 侯三發三信. 重賜之. 不欲受賜. 而欲爲吏. 許之二百石之吏. 其不欲爲吏. 而欲受構賞祿. 皆如前. 有能入深至主國者. 問之審信. 賞之倍他侯. 其不欲受賞. 而欲爲吏者. 許之三百石之吏. 扞士受賞賜者. 守必身自致之. 其親之. 其親之所見其見守之任. 其次復以佐上者. 其構賞爵祿. 罪人倍之.
21. 某縣某里某子. 家食口二人. 積粟六百石. 某里某子. 家食口十人. 積百石. 出粟米有期日. 過期不出者. 王公有之. 有能得. 若告之. 賞之什三. 愼無令民知吾粟米多少. 守入城. 先以侯爲始. 得輒宮養之. 勿令知吾守衛之備侯者. 爲異宮. 父母妻子. 皆同其宮. 賜衣食酒肉. 信吏善待之. 侯來若復就閒. 守宮三難. 外環隅爲之樓. 內環爲樓. 樓入葆宮丈五尺. 爲復道. 葆不得有室. 三日一發席蓐. 略視之. 布茅宮中. 厚三尺以上. 發侯. 必使鄕邑忠信善重士. 有親戚妻子. 厚奉資之.
20. 有能捕告. 什三. 收粟米布帛錢金. 出內畜産. 皆爲平直其賈. 與主券人書之. 事已. 皆各以其賈倍償之. 又用其賈貴賤多少賜爵. 欲爲吏者許之. 其不欲爲吏. 而欲以受賜賞爵祿. 若出親戚. 所知罪人者. 以令許之. 其受構賞者. 令葆宮見. 以與其親. 欲以復佐上者. 皆倍其爵賞.
18. 豪傑之外多交諸侯者. 常請之. 令上通知之. 善屬之所居之吏. 上數選具之. 令無得擅出入. 連質之. 術鄕長者父老豪傑之親戚父母妻子. 必尊寵之. 若貧人食. 不能自給食者. 上食之. 及勇士父母親戚妻子. 皆時酒肉. 必敬之. 舍之必近太守. 守樓臨質宮. 而善周. 必密塗樓. 令下無見上. 上見下. 下無知上有人無人. 守之所親擧吏. 貞廉忠信無害可任事者. 其飮食酒肉勿禁. 錢金布帛財物. 各自守之. 愼勿相盜. 葆宮之牆. 必三重. 牆之垣. 守者皆累瓦釜牆上. 門有吏. 主者門里. 筦閉. 必須太守之節. 葆衛. 必取戌卒有重厚者. 請擇吏之忠信者. 無害可任事者.
17. 客主人無得相與言. 及相藉. 客射以書無得譽. 外示內以善. 無得應. 不從令者. 皆斷. 禁無得擧矢書. 若以書射寇. 犯令者. 父母妻子皆斷. 身梟城上. 有能捕告之者. 賞之黃金二十斤. 非時而行者. 唯守. 及摻太守之節而使者. 守入臨城. 必謹問父老吏大夫. 請有怨仇讐不相解者. 召其人. 明白爲之解之. 守必自異其人. 而藉之. 孤之. 有以私怨害城. 若吏事者. 父母妻子皆斷. 其以城爲外謀 者. 三族. 有能得若捕告者. 以其所守邑. 小大封之. 守還授其印. 尊寵官之. 令吏大夫及卒民. 皆明知之.
16. 若非其左右及他伍捕告者. 封之二千家之邑. 城禁使卒民不. 欲寇微職和旌者斷. 不從令者斷. 非擅出令者斷. 失令者斷. 倚戟縣下城. 上下不與衆等者斷. 無應而妄讙呼者斷. 總失者斷. 譽客內毁者斷. 離署而聚語者斷. 聞城鼓聲而伍后上署者斷. 人自大書版. 著之其署隔. 守必自謀其先后. 非其署而妄入之者斷. 離署左右. 共入他署. 左右不捕挾私書. 行請謁. 及爲行書者釋守事而治私家事. 卒民相盜家室嬰兒. 皆斷無赦. 人擧而藉之. 無符節. 而柄行軍中者. 斷客在城下. 因數易其數. 而無易其養. 譽敵少以爲衆. 亂以爲治. 敵攻拙以爲巧者. 斷.
15. 吏卒民死者. 輒其人. 與次司空葬之. 勿令得坐泣. 傷甚者令歸治. 病家善養. 予醫給藥. 賜酒日二升. 肉二斤. 令吏數行閭. 視病有廖. 輒造事上. 詐爲自賊傷以闢事者. 族之. 事已. 守使吏. 身行死傷家. 臨戶而悲哀之. 寇去事已塞禱. 守以令. 益邑中豪傑. 力斗諸有功者. 必身行死傷者家. 以弔哀之. 身見死事之后. 城圍罷主. 亟發使者往勞. 有功及死傷者數. 使爵祿. 守身尊寵明白貴之. 令其怨結于敵. 城上卒若吏. 各保其左右. 若欲以城爲外謀者. 父母妻子同産皆斷. 左右知不捕告. 皆與同罪. 城下里中. 家人皆相葆. 若城上之數. 有能捕告之者. 封之以千家之邑.
14. 三老守閭. 令厲繕夫爲荅. 若他以事者微者. 不得入里中. 三老不得入家人. 傳令里中有以羽. 羽者三所差. 家人各令其官中. 失令. 若稽留令者. 斷 家有守者治食. 吏卒民無符節. 而擅入里巷官府吏三老守閭者. 失苛止. 皆斷. 諸盜守器械財物. 及相盜者. 直一錢以上皆斷. 吏卒民各自大書于傑. 著之其署同. 守案其署. 擅入者斷. 城上日臺廢席蓐. 令相錯發. 有匿不言人所挾藏在禁中者斷.
13. 傳言者十步一人. 稽留言及乏傳者. 斷. 諸可以便事者亟以疏傳言守. 吏卒民欲言事者. 亟爲傳言請之吏. 稽留不言諸者. 斷, 縣各上其縣中豪傑. 若謀 士. 居大夫. 重厚口數多少. 官府城下吏卒民家. 前后左右. 相傳保火. 火發自燔. 燔蔓延燔人. 斷. 諸以衆强凌弱少及强奸人婦女. 以讙譁者. 皆斷. 諸城門若亭. 謹侯視往來行者符. 符傳疑. 若無符. 皆詣縣廷言. 請問其所使. 其有符傳者. 善舍官府. 其有知識兄弟. 欲見之. 爲召. 勿令里巷中.
12. 悉擧民室材木瓦. 若藺石數. 署長短小大. 當擧不擧. 吏有罪. 諸卒民居城上者. 各葆其左右. 左右有罪. 而不智也. 其次伍有罪. 若能身捕罪人. 若告之吏. 皆構之. 若非伍. 而先知他伍之罪. 皆倍其構賞. 城外令任. 城內守任. 令丞尉亡. 得入當. 滿十人以上. 令丞尉奪爵各二級. 百人以上令丞尉免以卒戌. 諸取當者. 必取寇虜. 乃聽之. 募民欲財物粟米. 以貿易凡器者. 卒以賈予. 邑人知識昆弟有罪. 雖不在縣中. 而欲爲贖. 若以粟米錢金布帛他財物免出者. 令許之.
11. 非其分職. 而擅取之. 若非其所當治. 而擅治爲之. 斷諸吏卒民. 非其部界. 而擅入他部界. 輒收. 以屬都司空若侯. 侯以聞守. 不收而擅縱之. 斷. 能捕得謀反賣城踰城敵者一人. 以令爲除死罪二人. 城旦四人. 反城. 事父母去者. 去者之父母妻子.
10. 晨見掌文. 鼓縱行者. 諸城門吏. 各入請籥. 開門已. 輒復上籥. 有符節. 不用此令. 寇至. 樓鼓五. 有周鼓. 雜小鼓乃應之. 小鼓五后從軍斷. 命必足畏. 賞必足利. 令必行. 令出輒人隨. 省其可行不行. 號. 夕有號. 失號斷. 爲守備程. 而署之曰某程. 置署街街衢階若門. 令往來者. 皆視而放. 諸吏卒民. 有謀殺傷其將長者. 與謀反同罪. 有能捕告. 賜黃金二十斤. 謹罪.
9. 諸人士. 外使者來. 必令有以執將. 出而還. 若行縣. 必使信人. 先戒舍室. 乃出迎. 站守乃入舍. 爲人下者. 常司上之. 隨而行. 松上不隨下. 必須口口隨. 客卒守主人. 及以爲守衛. 主人亦守客卒. 城中戌卒. 其邑或以下寇. 謹備之. 數錄其署. 同邑者. 弗令共所守. 與階門吏爲符. 符合入勞. 符不合牧守言. 若城上者. 衣服. 他不如令者. 宿鼓在守大門中. 莫令騎若使者. 操節閉城者. 皆以執**[讒의 오른 편방]昏鼓鼓十. 諸門亭皆閉之. 行者斷. 必擊問行故. 乃行其罪.
8. 門尉晝三閱之. 莫鼓擊門閉一閱. 守時令人參之. 上逋者名. 鋪食皆于署. 不得外食. 守必謹微察視謁者. 執盾. 中涓. 及婦人侍前者. 志意顔色使令言語之請. 及上飮食. 必令人嘗. 皆非請也. 擊而請故. 守有所不說. 謁者. 執盾. 中涓. 及婦人侍前者. 守曰斷之. 衝之. 若縛之. 不如令. 及后縛者. 皆斷. 必時素誡之. 諸門下. 朝夕立若坐. 各令以年少長相次. 旦夕就位. 先佑有功有能. 其餘皆以次立. 五日官. 各上喜戲. 居處不莊. 好侵侮人者. 一
7. 需敵. 離地. 斬. 伍人不得斬. 得之除. 其疾斗卻敵于術. 敵下終不能復上. 疾斗者. 隊二人賜上奉. 而勝圍. 城周里以上. 封城將三十里地. 爲關內候. 輔將如令. 賜上鄕. 丞. 及吏比于者. 賜爵五大夫. 官吏豪傑與計堅守者. 十人. 及城上吏比五官者. 皆賜公乘. 男子有守者. 爵人二級. 女子賜錢五千. 男女老小. 先分守者. 人賜錢千. 復之三歲. 無有所與. 不租稅. 此所以勸吏民堅守勝圍也. 吏卒侍大門中者. 曹無過二人. 勇敢爲前行伍坐. 令各知其左右前后. 擅離署. 戮.
6. 敵人卒而至. 嚴令吏命. 無敢讙囂. 三最幷行. 相視. 坐泣流涕. 若視. 擧手相探. 相指. 相呼. 相麾. 相踵. 相投. 相擊. 相靡以身及衣. 訟駮言語. 及非令也. 而視敵動移者斬. 伍人不得斬. 得之除. 伍人逾城歸敵. 伍人不得斬. 與伯歸敵. 隊吏斬. 與吏歸敵. 隊將斬. 歸敵者. 父母妻子同産. 皆車裂. 先覺之除.
5. 奸民之所謀 爲外心. 罪車裂. 缶與父老. 及吏主部者. 不得皆斬. 得之使人行守. 長夜五循行. 短夜三循行. 四面之吏. 亦皆自行其守. 如大將之行. 不從令者斬. 諸竈必爲屛. 火突高. 出屋四尺. 愼無敢失火. 失火者斬. 其端失火以爲事者. 車裂. 伍人不得斬. 得之除. 救火者無敢讙譁. 及離守絶巷救火者斬. 其缶及父老有守此. 巷中部吏. 皆得救之. 部吏亟令人. 謁之大將. 大將使信人將左右救之. 部吏失不言者斬. 諸女子有死罪. 及坐失火. 皆無有所失逮. 其以火爲亂事者. 如法. 圍城之重禁.
4. 吏從卒四人以上有分者. 大將必與爲信符. 大將使人行. 守操信符. 信不合. 及號不相應者. 伯長以上輒止之. 以聞大將. 當止不止. 及從吏卒縱之. 皆斬 諸有罪. 自死罪以上. 皆遝父母妻子同産. 諸男女. 有守于城上者. 什六弩四兵. 丁女子老少人一矛. 卒有驚事. 中軍疾擊鼓者三. 城上道路. 里中巷街. 皆無得行. 行者斬. 女子到大軍令行者. 男子行左. 女子行右. 無並行. 皆就其守. 不從令者斬. 離守者. 三日而一徇. 而所以備姦也. 里缶與皆守. 宿里門. 吏行其部. 至里門. 缶與開門內吏. 與行父老之守. 及窮巷幽閒無人之處.
3. 凡守城者. 以亟傷敵爲上. 其延日持久. 以待救之至. 明于守者也. 不能此. 乃能守城. 守城之法. 敵去邑百里以上. 城將如今. 乃能盡召五官及百長. 以富人重室之親. 舍之官府. 謹令信人守衛之. 謹密爲故. 及傅城守將營無下三百人. 四面四門之將. 必選擇之有功勞之臣. 及死事之后重者. 從卒各百人. 門將幷守他門. 他門之上. 必夾爲高樓. 使善射者居焉. 女郭馮垣一人. 一人守之. 使重室子. 五十步一擊. 因城中里爲八部. 部一吏. 吏各從四人. 以行衝術及里中. 里中父老小. 不擧守之事. 及會計者. 分里以爲四部. 部一長. 以苛往來不以時行. 行而有他異者. 以得其奸.
2. 養什二人. 爲符者曰養吏一人. 辯護諸門. 門者及有守禁者. 皆無令無事者. 得稽留止其**[方+方]. 不從令者戮. 敵人但至. 千丈之城. 必郭迎之. 主人利. 不盡千丈者. 勿迎也. 視敵之居曲. 衆少而應之. 此守城之大體也. 其不在此中者. 皆心術與人事參之.
1. 安國之道. 道任地始. 地得其任. 則功成. 地不得其任. 則勞而無功. 人亦如此. 備不先具者. 無以安主. 吏卒民多. 心不一者. 皆在其將長. 諸行賞罰. 及有治者. 必出于王公. 數使人行勞賜. 守邊城關塞. 備蠻夷之勞苦者. 擧其守卒之財用. 有餘不足. 地形之當守邊者. 其器備常多者. 邊縣邑. 視其樹木惡. 則少用. 田不闢. 少食. 無大屋草蓋. 少用桑. 多財. 民好食. 爲內牒. 內行棧. 置器備其上. 城上吏卒養. 皆爲舍道內各當其隔部.
기치(旗幟) 제육십구(第六十九) 1. 守城之法. 木爲蒼旗. 火爲赤旗. 薪樵爲黃旗. 石爲白旗. 水爲黑旗. 食爲菌旗. 死士爲倉英之旗. 竟士. 爲雩旗. 多卒爲雙免之旗. 五尺童子爲童旗. 女子爲梯末之旗. 弩爲狗旗. 戰爲**[艹+征]旗. 劒盾爲羽旗. 車爲龍旗. 騎爲鳥旗. 凡所求索旗名不在書者,皆以其形名爲旗. 城上擧旗. 備具之官致財物. 之足而下旗. 凡守城之法. 石有積. 樵薪有積. 菅茅有積. 雚葦有積. 木有積. 炭有積. 沙有積. 松柏有積. 蓬艾有積. 麻脂有積. 金鐵有積. 粟米有積. 井竈有處. 重質有居. 五兵各有旗. 節各有辨. 法令各有貞. 輕重分數各有請. 主愼道路者有經. 2. 亭尉各爲幟. 竿長二丈五. 帛長丈五. 廣半幅者大. 寇傅攻前池外廉. 城上當隊鼓三. 擧一幟. 到水中周. 鼓四擧二幟. 到藩. 鼓五. 擧三幟. 到馮垣. 鼓六..
3. 城上吏卒置之背. 卒于頭上. 城下吏卒置之肩. 左軍于左肩. 中軍置之胸. 各一鼓. 中軍一三. 每鼓三十擊之. 諸有鼓之吏. 謹以次應之. 當應鼓而不應. 不當應而應鼓. 主者斬. 道廣三十步. 于城下夾階者. 各二. 其井置鐵. **[弓+雚]于道之外. 爲屛. 三十步而爲之圜. 高丈. 爲民. 圂垣高十二尺以上. 巷術周道者. 必爲之門. 門二人守之. 非有信符勿行. 不從令者斬. 城中吏卒民男女. 皆**[艹+衍]異衣章微. 令男女可知. 諸守牲格者. 三出却適. 守以令召賜食前. 予大旗. 署百戶邑. 若他人財物. 建旗其署. 令皆明白知之. 曰某子旗. 牲格內廣二十五步. 外廣十步. 表以地形爲度. 靳卒. 中敎解前后左右. 卒勞者更休之.
2. 亭尉各爲幟. 竿長二丈五. 帛長丈五. 廣半幅者大. 寇傅攻前池外廉. 城上當隊鼓三. 擧一幟. 到水中周. 鼓四擧二幟. 到藩. 鼓五. 擧三幟. 到馮垣. 鼓六. 擧四幟. 到女垣. 鼓七. 擧五幟. 到大城. 鼓八. 擧六幟. 乘大城半以上. 鼓無休. 夜以火. 如此數. 寇卻解. 輒部幟. 如進數. 而無鼓. 城爲隆. 長五十尺四面四門將. 門四十尺. 其次三十尺. 其次二十五尺. 其次二十尺. 其次十五尺. 高無下四十五尺.
1. 守城之法. 木爲蒼旗. 火爲赤旗. 薪樵爲黃旗. 石爲白旗. 水爲黑旗. 食爲菌旗. 死士爲倉英之旗. 竟士. 爲雩旗. 多卒爲雙免之旗. 五尺童子爲童旗. 女子爲梯末之旗. 弩爲狗旗. 戰爲**[艹+征]旗. 劒盾爲羽旗. 車爲龍旗. 騎爲鳥旗. 凡所求索旗名不在書者,皆以其形名爲旗. 城上擧旗. 備具之官致財物. 之足而下旗. 凡守城之法. 石有積. 樵薪有積. 菅茅有積. 雚葦有積. 木有積. 炭有積. 沙有積. 松柏有積. 蓬艾有積. 麻脂有積. 金鐵有積. 粟米有積. 井竈有處. 重質有居. 五兵各有旗. 節各有辨. 法令各有貞. 輕重分數各有請. 主愼道路者有經.
영적사(迎敵祠) 제육십팔(第六十八) 1. 敵以東方來,迎之東壇. 壇高八尺. 堂密八. 年八十者八. 人主祭. 靑旗靑神長八尺者八. 弩八. 八發而止. 將服必靑. 其牲以雞. 敵以南方來. 迎之南壇. 壇高七尺. 堂密七. 年七十者七人. 主祭. 赤旗赤神長七尺者七. 弩七. 七發而止. 將服必赤. 其牲以狗. 敵以西方來. 迎之西壇. 壇高九尺. 堂密九. 年九十者九人. 主祭. 白旗素神長九尺者九. 弩九. 九發而止. 將服必白. 其牲以羊. 敵以北方來. 迎之北壇. 壇高六尺. 堂密六. 年六十者六人. 主祭. 黑旗黑神長六尺者六. 弩六. 六發而止. 將服必黑. 其牲以彘. 從外宅諸名大祠. 靈巫或禱焉. 給禱牲. 2. 凡望氣. 有大將氣. 有小將氣. 有往氣. 有來氣. 有敗氣. 能得明此者. 可知成敗吉凶. 擧巫醫卜有所. 長具藥. 宮之. 善爲舍. 巫必近公社. ..
4. 其人爲不道. 不修義詳. 唯乃是王. 曰. 予必懷亡爾社稷. 滅爾百姓. 二參子尙夜自廈. 以勤寡人. 和心比力兼左右. 各死而守. 旣誓. 公乃退食. 舍于中太廟之右. 祝史舍于社. 百官具御乃斗. 鼓于門. 右置旂. 左置旌. 于隅練名. 射參發告勝. 五兵咸備. 乃下出挨. 升望我郊. 乃命鼓俄升,役司馬射自門右. 蓬矢射之. 茅參發. 弓弩繼之. 校自門左. 先以揮. 木石繼之. 祝史宗人告社. 覆之以甑.
3. 城上當階. 有司守之. 移中中處. 澤急而奏之. 士皆有職. 城之外. 矢之所遝壞其牆. 無以爲客菌. 三十里之內. 薪蒸水皆入內. 狗彘豚雞. 食其**[宀+丿+六]. 斂其骸以爲醢. 腹病者以起. 城之內. 薪蒸廬室. 矢之所遝. 皆爲之塗菌. 令命昏緯狗纂馬. 取緯. 靜夜聞鼓聲而**[言+參]. 所以閹客之氣也. 所以固民之意也. 故時**[言+參]則民不疾矣. 祝史乃告于四望山川社稷. 先于戎. 乃退. 公素服誓于太廟曰.
2. 凡望氣. 有大將氣. 有小將氣. 有往氣. 有來氣. 有敗氣. 能得明此者. 可知成敗吉凶. 擧巫醫卜有所. 長具藥. 宮之. 善爲舍. 巫必近公社. 必敬神之巫卜以請守. 守獨智巫卜望氣之請而已. 其出入爲流言. 驚駭恐吏民. 謹微察之. 斷罪不赦. 望氣舍近守官. 牧賢大夫. 及有方技者. 若工. 弟之. 擧屠酤者. 置廚給事. 弟之. 凡守城之法. 縣師受事. 出葆. 循溝防. 築薦通塗. 修城. 百官共財. 百工卽事. 司馬視城修卒伍. 設守門. 二人掌右閹. 二人掌左閹. 四人掌閉. 百甲坐之. 城上步一甲一戰. 其贊三人. 五步有五長. 十步有什長. 百步有百長. **[方+方]有大率. 中有大將. 皆有司吏卒長.
1. 敵以東方來,迎之東壇. 壇高八尺. 堂密八. 年八十者八. 人主祭. 靑旗靑神長八尺者八. 弩八. 八發而止. 將服必靑. 其牲以雞. 敵以南方來. 迎之南壇. 壇高七尺. 堂密七. 年七十者七人. 主祭. 赤旗赤神長七尺者七. 弩七. 七發而止. 將服必赤. 其牲以狗. 敵以西方來. 迎之西壇. 壇高九尺. 堂密九. 年九十者九人. 主祭. 白旗素神長九尺者九. 弩九. 九發而止. 將服必白. 其牲以羊. 敵以北方來. 迎之北壇. 壇高六尺. 堂密六. 年六十者六人. 主祭. 黑旗黑神長六尺者六. 弩六. 六發而止. 將服必黑. 其牲以彘. 從外宅諸名大祠. 靈巫或禱焉. 給禱牲.
비아부(備蛾傅) 제육십삼(第六十三) 1. 禽子再拜再拜曰. 敢問適人强弱. 遂以傅城. 后上先斷. 以爲**[氵+缶]程. 斬城爲基. 掘下爲室. 前上不止. 后射旣疾. 爲之奈何. 子墨子曰. 子問蛾傅之守邪. 蛾傅者. 將之忿者也. 守爲行臨射之. 校機藉之. 擢之. 太汜迫之. 燒荅覆之. 沙石雨之. 然則蛾傅之攻敗矣. 備蛾傅爲縣脾. 以木板厚二寸. 前后三尺. 旁廣五尺. 高五尺. 而折爲下磨車. 轉徑尺六寸. 令一人操二丈四方. 刃其兩端. 居縣脾中. 以鐵璅. 敷縣二脾上衡爲之機. 令有力四人. 下上之. 弗離. 施縣脾大數. 二十步一. 攻隊所在. 六步一. 2. 爲累. 荅. 廣從丈各二尺. 以木爲上衡. 以麻索大遍之. 染其索塗中. 爲鐵鏁. 鉤其兩端之縣. 客則蛾傅城. 燒荅以覆之. 連**[竹+是]抄大皆救之. 以車兩走. 軸閒廣大以圉. 犯之. **[鹵+..
4. 凡殺蛾傅而攻者之法. 置薄城外. 去城十尺. 薄厚十尺. 伐操之法. 大小盡木斷之. 以十尺爲斷. 離而深貍堅築之. 毋使可拔. 二十步一殺有**[土+虞]. 厚十尺. 殺有兩門. 門廣五步. 薄門板梯. 貍之勿築. 令易拔. 城上希薄門而置搗. 縣火四尺一椅. 五步一竈. 竈門有爐炭. 傳令敵人盡入. 車火燒門. 縣火次之. 出載而立. 其廣終隊. 兩載之閒一火. 皆立而待. 鼓音而然. 卽俱發之. 敵人闢火而復攻. 縣火復下,敵人甚病. 敵引器而楡. 則令吾死士. 左右出穴門. 擊遺師. 令賁士主將. 皆聽城鼓之音面出. 又聽城鼓之音而入. 因素出兵將施伏. 夜半. 而城上四面鼓噪. 敵人必或. 破軍殺將. 以白衣爲服. 以號相得.
3. 荅樓不會者. 以牒塞. 數暴乾. 荅爲格. 令風上下. 堞惡疑壞者. 先貍木十尺一枚一. 節壞. **[登+斤]植以押慮盧薄于木. 盧薄. 表八尺. 廣七寸. 經尺一. 數施一擊而下之. 爲上下釫而**[登+斤]之. 經一. 禾樓. 羅石. 縣苔植內毋植外. 杜格貍四尺. 高者十丈. 木長短相雜. 兌其上. 而外內厚塗之. 前行行棧. 縣荅隅爲樓. 樓必曲裹. 土五步一. 毋其二十畾. 爵穴十尺一. 下堞三尺. 廣其外. 轉**[月+甬]城上. 樓及散與池. 若攻卒擊其后. 煖失治. 車革火.
2. 爲累. 荅. 廣從丈各二尺. 以木爲上衡. 以麻索大遍之. 染其索塗中. 爲鐵鏁. 鉤其兩端之縣. 客則蛾傅城. 燒荅以覆之. 連**[竹+是]抄大皆救之. 以車兩走. 軸閒廣大以圉. 犯之. **[鹵+虫]其兩端. 以束輪. 遍遍塗其上. 室中以楡若蒸. 以棘爲旁. 命曰火捽. 一曰傳湯. 以當隊. 客則乘隊. 燒傳湯. 斬維而下之. 令勇士隨而擊之. 以爲勇士前行. 城上輒塞壞城. 城下足爲下說. **[金+??]杙長五尺. 大圉半以上. 皆剡其未爲五行. 行閒廣三尺. 貍三尺. 大耳樹之. 爲連殳. 長五尺. 大十尺. 梃長二尺. 大六寸. 索長二尺. 椎柄長六尺. 首長尺五寸. 斧柄長六尺. 刃必利. 皆**[艹+羿]. 其一后. 荅廣丈二尺. 口口丈六尺. 垂前衡四寸. 兩端接尺相覆. 勿令魚鱗三. 著其后行. 中央木繩一. 長二丈六尺.
1. 禽子再拜再拜曰. 敢問適人强弱. 遂以傅城. 后上先斷. 以爲**[氵+缶]程. 斬城爲基. 掘下爲室. 前上不止. 后射旣疾. 爲之奈何. 子墨子曰. 子問蛾傅之守邪. 蛾傅者. 將之忿者也. 守爲行臨射之. 校機藉之. 擢之. 太汜迫之. 燒荅覆之. 沙石雨之. 然則蛾傅之攻敗矣. 備蛾傅爲縣脾. 以木板厚二寸. 前后三尺. 旁廣五尺. 高五尺. 而折爲下磨車. 轉徑尺六寸. 令一人操二丈四方. 刃其兩端. 居縣脾中. 以鐵璅. 敷縣二脾上衡爲之機. 令有力四人. 下上之. 弗離. 施縣脾大數. 二十步一. 攻隊所在. 六步一.
비혈(備穴) 제육십이(第六十二) 1. 禽子再拜再拜曰. 敢問古人有善攻者. 穴土而入. 縛柱施火. 以壞吾城. 城壞或中人. 爲之奈何. 子墨子曰. 問穴土之守邪. 備穴者. 城內爲高樓. 以謹候望適人. 適人爲變. 築垣聚土非常者. 若彭有水濁非常者. 此穴土也. 急**[氵+塹]城內. 穴亓土直之. 穿井城內. 五步一井. 傅城足. 高地. 丈五尺. 下地. 得泉三尺而止. 令陶者爲罌. 容四十斗以上. 固順之以薄**[革+各]革. 置井中. 使聰耳者伏罌而聽之. 審知穴之所在. 鑿穴迎之. 令陶者爲月明. 長二尺五寸六圉. 中判之. 合而施之穴中. 偃一. 覆一. 柱之外善周塗. 亓傅柱者勿燒. 柱者勿燒. 柱善塗亓竇際. 勿令泄. 兩旁皆如此. 與穴俱前. 下迫地. 置康若炭亓中. 勿滿. 2. 灰康長五竇. 左右俱雜相如也. 穴內口爲竈. 令如窯. 令容七八員艾. 左右竇..
6. 難穴. 取城外池唇木月散之什. 斬亦穴. 深到泉. 難到泉. 難近穴爲鐵. 鈇金與扶林長四尺. 財自足. 客卽穴. 亦穴而應之. 爲鐵鉤鉅長四尺者. 財自足. 穴徹. 以鉤客穴者. 爲短矛. 短戟. 短弩. 虻矢. 財自足. 穴徹以斗. 以金劍爲難. 長五尺. 爲銎. 木杘. 杘有慮枚. 以左客穴. 戒持罌. 容三十斗以上. 貍穴中. 丈一. 以聽穴者聲. 爲穴高八尺. 廣. 善爲傅置. 具全牛交槀. 皮及𡊛. 衛穴二. 蓋陳霍及艾. 穴徹熏之以. 斧金爲斫. 杘長三尺. 衛穴四爲壘. 衛穴四十屬四. 爲斤斧鋸鑿钁財自足. 爲鐵校. 衛穴四. 爲中櫓. 高十丈半. 廣四尺. 爲橫穴八櫓. 蓋具槀枲. 財自足. 以燭穴中. 蓋持醢. 客卽熏以救目. 救目分方**[鼓+金]穴. 以益盛醢置穴中. 文盆毋少四斗. 卽熏. 以自臨醢上. 及以沺目.
5. 穴二窯. 皆爲穴月屋. 爲置吏舍人. 各一人. 必置水. 塞穴門以車兩走. 爲轀. 塗亓上. 以穴高下廣陜爲度. 令人穴中四五尺. 維置之. 當穴者客爭伏門. 轉而塞之爲窯. 容三員艾者. 令亓突入伏尺. 伏傅突一旁. 以二槖守之. 勿離 穴矛. 以鐵長四尺半. 大如鐵服說卽刃之二矛. 內去竇尺. 邪鑿之. 上穴當心. 亓矛長七尺. 穴中爲環利率穴二. 鑿井城上. 俟亓身井且通. 居版上. 而鑿亓一遍. 已而移版. 鑿一遍. 頡皐爲兩夫. 而旁狸亓植. 而數鉤亓兩端. 諸作穴者. 五十人. 男女相半. 五十人. 攻內. 爲傳士之口. 受六參. 約枲枲繩以牛亓下. 可提而與投. 已則穴七人守退. 壘之中爲大廡一. 藏穴具亓中.
4. 斬艾與柴長尺. 乃置窯竈中. 先壘窯壁. 迎穴爲連. 鑿井傳城足三丈一. 視外之廣陜. 而爲鑿井. 愼勿失. 卑穴高. 從穴難. 鑿井城上. 爲三四井. 內新**[千+山+出+斤]井中. 伏而聽之. 審之知穴之所在. 穴而迎之. 穴且遇. 爲頡皐. 必以堅材爲夫. 以利斧施之. 命有力者三人. 用頡皐衝之,灌以不潔十餘石. 趣伏此井中. 置艾亓上七分. 盆蓋井口. 毋令煙上洩. 旁亓槖口. 疾鼓之. 以車輪轀. 一束椎. 染麻索塗中. 以束之. 鐵鎖縣正當寇穴口. 鐵鎖長三丈. 端環. 一端鉤. 儠穴高七尺. 五寸廣柱. 閒也尺. 二尺一柱. 柱下傅舃. 二柱共一員十一. 兩柱同質. 橫員士. 柱大二圍半. 必固亓員士. 無柱與柱交者.
3. 凡殺以穴攻者. 二十步一置穴. 穴高十尺. 鑿十尺. 鑿如前. 步下三尺. 十步擁穴. 左右橫行. 高廣各十尺. 殺. 俚兩罌深平城. 置板亓上. 𧵡板以井聽. 五步一密. 用若松爲穴戶. 戶穴有兩蒺藜. 皆長極亓戶戶. 爲環. 壘石外**[土+厚]. 高七尺. 加堞亓上. 勿爲陛與石. 以縣陛上下出入. 具爐槖. 槖以牛皮. 爐有兩缻. 以橋鼓之百十. 每亦熏四十什. 然炭杜之. 滿爐而蓋之. 毋令氣出. 適人疾近五百穴. 穴高若下. 不室吾穴. 卽以伯鑿而求通之. 穴中與適人遇. 則皆圉而毋逐. 且戰北. 以須爐火之然也. 卽去而入. 壅穴殺. 有鼠竄. 爲之戶及關簽獨順. 得往來行亓中. 穴壘之中各一狗. 狗吠卽有人也.
2. 灰康長五竇. 左右俱雜相如也. 穴內口爲竈. 令如窯. 令容七八員艾. 左右竇皆如此. 竈用四槖. 穴且遇. 以頡皐衝之. 疾鼓槖熏之. 必令明習槖事者. 勿令離竈口. 連版. 以穴高下廣陜爲度. 令穴者與版俱前. 鑒亓版. 令容予. 參分亓疏數. 令可以救竇. 穴則遇. 以版當之. 以予救竇. 勿令塞竇. 竇則塞. 引版而郄. 過一竇而塞之. 鑿亓竇. 通亓煙. 煙通. 疾鼓槖以熏之. 從穴內. 聽穴之左右. 急絶亓前. 勿令得行. 若集客穴. 塞之以柴. 塗. 令無可燒版也. 然則穴土之攻敗矣. 寇至吾城. 急非常也. 謹備穴. 穴疑有應寇. 急穴. 穴未得愼毋追.
1. 禽子再拜再拜曰. 敢問古人有善攻者. 穴土而入. 縛柱施火. 以壞吾城. 城壞或中人. 爲之奈何. 子墨子曰. 問穴土之守邪. 備穴者. 城內爲高樓. 以謹候望適人. 適人爲變. 築垣聚土非常者. 若彭有水濁非常者. 此穴土也. 急**[氵+塹]城內. 穴亓土直之. 穿井城內. 五步一井. 傅城足. 高地. 丈五尺. 下地. 得泉三尺而止. 令陶者爲罌. 容四十斗以上. 固順之以薄**[革+各]革. 置井中. 使聰耳者伏罌而聽之. 審知穴之所在. 鑿穴迎之. 令陶者爲月明. 長二尺五寸六圉. 中判之. 合而施之穴中. 偃一. 覆一. 柱之外善周塗. 亓傅柱者勿燒. 柱者勿燒. 柱善塗亓竇際. 勿令泄. 兩旁皆如此. 與穴俱前. 下迫地. 置康若炭亓中. 勿滿.
비돌(備突) 제육십일(第六十一) 城百步. 一突門. 突門各爲窯竈. 竇入門四五尺. 爲亓門上瓦屋. 毋令水潦能入門中. 吏主塞突門. 用車兩輪. 以木束之塗其上. 維置突門內. 使度門廣狹. 令之入門中四五尺. 置窯竈. 門旁爲槖. 充竈伏柴艾. 寇卽入. 下輪而塞之. 鼓槖而熏之.
비수(備水) 제오십팔(第五十八) 1. 城內塹外周道. 廣八步備水. 謹度四旁高下. 城地中遍下. 令耳亓內. 及下地. 地深穿之令漏泉. 置則瓦井中. 視外水深丈以上. 鑿城內水耳. 幷船以爲十臨. 臨三十人. 人擅弩計四有方. 必善. 以船爲轒轀. 二十船爲一隊. 選材士有力者三十人共船. 亓二十人. 人擅有方. 劍甲鞮瞀. 十人人擅苗. 先養材士爲異舍. 食亓父母妻子以爲質. 視水可決. 以臨轒轀. 決外隄. 城上爲射檥. 疾佐之.
비제(備梯) 제오십육(第五十六) 1 禽滑釐子. 事子墨子. 三年. 手足胼胝. 面目黧黑. 投身給使. 不敢問欲. 子墨子其哀之. 乃管酒塊脯. 寄于大山. 昧葇坐之. 以樵禽子. 禽子再拜而嘆. 子墨子曰. 亦何欲乎. 禽子再拜再拜曰. 敢問守道. 子墨子曰. 姑亡姑亡. 古有亓術者. 內不親民,外不約治. 以少閒衆. 以弱輕强, 身死國亡. 爲天下笑. 子亓愼之. 恐爲身薑. 禽子再拜頓首. 願遂問守道. 2. 曰. 敢問客衆而勇. 煙資吾池. 軍卒幷進. 云梯旣施. 攻備已具. 武士又多. 爭上吾城. 爲之奈何. 子墨子曰. 問云梯之守邪. 云梯者. 重器也. 亓動移甚難. 守爲行城雜樓相見. 以環亓中 以適廣陜爲度. 環中藉幕. 毋廣亓處. 行城之法. 高城二十尺. 上加堞. 廣十尺. 左右出巨. 各二十尺. 高廣如行城之法. 爲爵宂儠. 施苔亓外. 機衝錢城. 廣與隊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