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문 (80)
건빵이랑 놀자
초과근무 1. 내용① 하루 최대 4시간 / 월 최대 57시간까지 인정(초과근무 결재 승인 시에만)② 평일엔 1시간의 시간을 공제 / 휴일이나 토요일엔 공제없이 분 단위까지 합산하여 계산③ 시간 단위로 수당이 지급되며 분 단위는 인정되지 않음. ④ 월 10시간의 시간외근무수당이 지급됨(한 달에 15일 이상 지각이나 조퇴 없이 정상근무한 경우)⑤ 출장비와 시간외근무수당 동시지급이 가능함. 2. 수당 단가 2024년 교감, 장학관15,291원 30호봉 이상14,312원 20~29호봉13,333원 19호봉 이하12,003원 수당지급정액분월 10시간초과분월 57시간최대월 67시간 교원 초과근무 관련 FAQ 목) 교육부 교원정책과 > Q1. 교원도 초과근무를 할 수 있는지? ○ 「국가공무원 복무..

사전답사 유의사항 2024학년도 현장체험학습 사전답사 유의사항 안내 ○ 충남교육청 현장체험학습 운영 길라잡이(사전답사 부분, p. 24) 가. 숙박형 현장체험학습은 현장 답사를 하여야 한다. - 실시 전 1회 이상 현장 답사를 실시하되 시기, 방법, 대상 등은 당해 계약 방식 및 학교 사정 등을 고려하여 추진 1) 수학여행 현장답사는 1회 이상 실시하여야 하며 학교 사정에 따라 운영한다. 단, 현장답사 결과는 학교장에게 보고한다. 2) 현장 답사는 학생의 안전사고 예방에 중점을 두어 시행하되, 다음 사항을 중점 확인한다. 가) 실시경로ㆍ예정지와 수학여행ㆍ수련활동의 교육목적 부합 여부 나) 거리, 필요시간, 시설(식당 포함)의 수용 인원 및 안전위생 상태 다) 유해환경 인접 여부, 목적지 및 경유지의 ..
건빵이랑 놀자 안내도 1. 건방진 방랑자 삶과 앎과 함업무수업 강의&연수군대게임한문단재만남문화여행이사기서향글쓰기 순간의 순간2000~2010년(대학, 군대, 임용생) 08년09년10년2011~2020년(단재 교사, 임용생)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2021~2030년(임용생, 교사)21년22년23년24년25년26년27년28년29년30년2031~2040년(교사)31년32년33년34년35년36년37년38년39년40년2041~2050년(교사)41년42년43년44년45년46년47년48년49년50년2051~2060년(교사)51년52년53년54년55년56년57년58년59년60년 사진 기록증명건빵건강한문교육크로스군대전자기기지도 변천자료 2. 한문과 교육과..

5. 내가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禍福在己, 得失在天. 해석禍福在己, 得失在天. 재앙과 복은 나에게 달려 있고 얻고 잃음은 하늘에 달려 있다. 인용전문

4. 성현과 영웅의 기질 聖賢多畏, 英雄多忌. 해석聖賢多畏, 英雄多忌. 성인과 현인은 두려워하는 것이 많고 영웅은 꺼려하는 게 많다. 인용전문

3. 자연의 이치를 따르다 盈天地之間者, 感應報復之理也. 해석盈天地之間者, 感應報復之理也.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것은 감응하여 되갚아주는 이치다. 인용전문

2. 기교 있음과 지혜에 대해 至巧無如造化, 大智無如聖人. 해석至巧無如造化, 大智無如聖人. 엄청 기교로운 것은 조화로운 것만 한 게 없고 매우 지혜로운 이는 성인만 한 게 없다. 인용전문

1. 거스름이 없는 따름 天地之開物成務, 順之而已; 聖賢之輔世行道, 推之而已; 英雄俊傑之興事造功, 待之而已. 古語曰: “順理行將去, 隨天分付來.” 與此語一種. 해석天地之開物成務, 順之而已; 聖賢之輔世行道, 推之而已; 英雄俊傑之興事造功, 待之而已. 하늘과 땅이 사물을 열어주고 힘써 이룸은 이치를 따랐을 뿐이고 성인과 현인이 세상을 도우며 도를 유행시킴은 이치를 확충했을 뿐이며 영웅과 준수한 이들이 사업을 일으키고 공을 만듦은 이치를 대우했을 뿐이다. 古語曰: “順理行將去, 隨天分付來.” 與此語一種. 옛 말에 “이치의 유행을 따라 가고[藏去] 하늘의 분수를 따라 온다”라고 했으니 이 말과 동일한 종류다. 인용전문

듀얼센스 PC 설정법 1. 기본 작업① 듀얼센스 유선 연결② 작업표시줄의 스피커에서 ‘우클릭 – 소리’로 들어가거나 제어판에서 ‘소리’로 들어감. 2. 햅틱 피드백 적용하기① 기기 이름(Wireless Controller)에서 ‘스피커 구성’ 들어가기 ② 오디오 채널에서 ‘4채널’로 설정한 걸 확인 후 다음 클릭 ③ ‘앞 양쪽 스피커’와 ‘서라운드 스피커’ 모두 체크 ④ 기기 이름(Wireless Controller)에서 ‘속성’ 들어가기 ⑤ ‘Enhancements’의 텝에서 ‘speaker Fill’ 체크 4. 듀얼센스를 연결하면 컴퓨터 스피커 소리가 안 날 경우① ‘소리’ 항목에서 기존의 쓰던 스피커를 찾기② 그 스피커를 클릭하고 ‘기본 장치로 설정’을 선택함. 인용목차
2022 개정 교육과정 문해력 향상을 위한 2024 중등 교육과정 현장교원 배움자리 추진계획 2024. 5 교육과정과Ⅰ 근거 및 목적 1. 근거 ○ 2024 충청남도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제2023-21호) ○ 2024 충청남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제2023-22호) ○ 2024 중등 교육과정 편성·운영 계획(교육과정과-1639, 2024.1.19.) 2. 목적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내실화 지원 ○ 교원의 교육과정 문해력 향상과 협업을 통한 민주적 학교문화 조성 ○ 2022 개정 교육과정 역량 강화 연수로 교실 수업 개선과 수업 나눔 확..

일과계 활동 컴시간 프로그램 구입 – 2월 ① 컴시간 프로그램에서 ‘서류신청’ 클릭 및 핸드폰 인증 받으며 신청하기. ② 아래의 기안문으로 기안2025학년도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컴시간 프로그램 구입 1. 관련: 학교교육과정운영계획2. 2025학년도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컴시간 알리미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구입하고자 합니다. 가. 지출품목: 컴시간 프로그램 나. 소요금액: 440,000원. 끝. 컴시간(주간) 새 시간표 작성법 ① 컴시간 사전작업 파일에 교사별 시수표 정리하기② 컴시간(주간) 열어 안내된 작성 절차대로 진행③ ‘시간표 작성하기’에 들어와선 부장회의시간 및 학년회의시간, 체육교사 스포츠 시간에 배정되지 않도록 ‘배정금지’ 체크하기④ ‘일괄 배정하기’로 창체, 동아리와 같이 한 번에 들..
기획주제 Ⅱ ‘한문 고전 읽기의 고전 교육 실천방안 탐색’ 발표‘한문 고전 읽기’ 중 유가 경전·제자서 활용에 대한 이론과 적용 모색 발표자 : 김수경(공주대) ∥ 토론자 : 공민정(세종시교육청) ‘한문 고전 읽기’ 중 유가 경전⋅제자서 활용에 대한 이론과 적용 모색 김수경(국립공주대) Ⅰ. 서론 본 발표는 2022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 ‘한문 고전 읽기’의 교과서 편찬 과정이나 수업 운영 과정에서 유가 경전⋅제자서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데 주요 목적이 있다. 2022 개정교육과정이 공포되고 해당 교육과정에 교과서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문 고전 읽기’ 교육과정의 교과서 성격⋅목표체계⋅성취기준 및 교과서 개발 방향에 대한 논의들이 진행..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성취수준 및 평가 도구 개발-언어생활과 한자- 이군선(원광대학교), 오주학(가정고등학교) 1. 서론 ‘언어생활과 한자’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과목으로 정확하고 풍부한 언어생활에 필요한 한자와 한자 어휘를 익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고등학교 융합선택 과목이다. 신설된 과목이지만 2015 고등학교 한문의 내용 체계와 중복되는 부분(한자와 어휘,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과 새로운 개념으로 들어온 부분이 혼재해 있다. 그러나 언어생활 속에서 한자와 어휘의 활용이 주가 되는 만큼 현장 교사가 교수․학습 활동을 하는 데 생소하지는 않다. 그러나 아직 교육과정이 적용되지 않았고 성취수준이 결정되지도 않았으며 교과서가 존재하지 않아 수..

2. 영역별 성취수준 ∘한자와 어휘성취수준일반적 특성A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B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C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대체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D일부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E일부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문의 독해성취수준일반적 특성A문장의 구조, 문장 성분의 생략과 도치 등 문법적인 지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글의 내용과 ..

고등학교 한문 II 1. 교육과정 성취기준⋅평가준거 성취기준⋅평가기준 교육과정 성취기준 평가기준 [12한문Ⅱ01-01]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 상 모양․음․뜻이 다른 한자를 구별할 수 있다. 중 해당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 수 있다. 하 해당 한자의 모양이나 음이나 뜻을 알 수 있다. [12한문Ⅱ01-02] 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상 문장에 사용된 서로 다른 단어의 짜임을 구별할 수 있다. 중 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짜임을 알 수 있다. 하 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짜임을 추측해 볼 수 있다. [12한문Ⅱ01-03] 문장에 사용된 실사와 허사를 구별한다. 상 문장에 사용된 실사와 허사의 쓰임을 구별할 수 있다. 중 문장에 사용된 실사와 허사를 알 수 있다. 하 문장에 사용된 실사와 ..

2. 영역별 성취수준 ∘한자와 어휘 성취수준 일반적 특성 A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B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중 다수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C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중 다수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대체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D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중 일부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E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중 일부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

고등학교 한문 Ⅰ 1. 교육과정 성취기준⋅평가준거 성취기준⋅평가기준 교육과정 성취기준 평가기준 [12한문Ⅰ01-01]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 상 모양․음․뜻이 다른 한자를 구별할 수 있다. 중 해당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 수 있다. 하 해당 한자의 모양이나 음이나 뜻을 알 수 있다. [12한문Ⅰ01-02] 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 상 해당 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을 수 있다. 중 해당 한자의 부수를 추측하여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할 수 있다. 하 해당 한자의 부수를 추측해 볼 수 있다. [12한문Ⅰ01-03] 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 상 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른 모양으로 쓸 수 있다. 중 한자를 순서에 맞게 쓸 수 있다. 하 한자를 ..

2. 영역별 성취수준 ∘한자와 어휘 성취수준 일반적 특성 A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B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 중 다수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C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 중 다수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대체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D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 중 일부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E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 중 일..

Ⅱ. 성취기준ㆍ평가기준 중학교 한문 1. 교육과정 성취기준⋅평가준거 성취기준⋅평가기준 교육과정 성취기준 평가기준 [9한01-01]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 상 모양․음․뜻이 다른 한자를 구별할 수 있다. 중 해당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 수 있다. 하 해당 한자의 모양이나 음이나 뜻을 알 수 있다. [9한01-02] 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 상 해당 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을 수 있다. 중 해당 한자의 부수를 추측하여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할 수 있다. 하 해당 한자의 부수를 추측해 볼 수 있다. [9한01-03] 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 상 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른 모양으로 쓸 수 있다. 중 한자를 순서에 맞게 쓸 수 있다. 하 한자를..

5. 예시 평가도구의 활용 방안 학교 현장의 교사는 교과 교육과정에 입각하여 교수·학습을 진행하며, 수업과 연계된 평가를 통해 학생의 교육목표 도달도를 확인하여야 한다. 교과별로 다양한 평가 유형(선다형, 서술형, 수행평가) 및 상황(토론, 체크리스트, 관찰보고서, 체험 활동 보고서, 포트폴리오)에 알맞은 예시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써 학교현장에서의 평가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예시 평가도구는 지역별, 학교별 특성에 따라 개발되었다기보다는 전국의 평균적인 학교의 여건 및 수준을 고려하여 개발하였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단위학교에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교별 특성과 여건, 학생들의 실제 능력 수준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수정·보완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예시 평가도구의 활용 방안..

4. 단원/영역별 성취수준의 활용 방안 단원/영역별 성취수준은 각 단원 또는 영역에 해당하는 교수·학습이 끝났을 때 학생이 성취하기를 기대하는 지식, 기능, 태도에 도달한 정도를 수준별로 ‘종합적’이고 ‘포괄적’으로 기술한 것이다. 이 성취수준은 단원/영역별 교수‧학습의 계획 수립을 비롯하여 학생의 성취 정도 평가, 학생 및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단원/영역별 교수‧학습 설계 및 개선에 활용 단원/영역별 성취수준은 무엇보다 교수‧학습을 설계하거나 개선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평가기준이 개별 성취기준에 따른 학생의 성취 정도를 수준별로 제시하고 있어 단위 수업의 교수‧학습을 설계할 때 도움이 된다면, 단원/영역별 성취수준의 경..
수능한문 기출문제 목차 2015학년도 수능(2014년 실시)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 2016학년도 수능(2015년 실시)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 2017학년도 수능(2016년 실시)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 2018학년도 수능(2017년 실시)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 2019학년도 수능(2018년 실시)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 2020학년도 수능(2019..
‘조선후기 한시 쇄신의 방향과 주자학: 진시(眞詩)’ 후기 목차 1. 형술쌤이 초대한 한시의 세계에서 한바탕 춤을 추다 한문과 마주 보고, 한문과 한바탕 어우러지다 형술쌤 한시의 세계로 들입다 초대하다 2. 건빵이 한시특강을 듣는 이유 참새가 방앗간을 찾듯, 건빵은 한시특강을 듣네 한시특강을 들으러 온 사람들 전공자가 들으니 더욱 유익한 한시 특강 3. 훅하고 들어가 좌중을 압도한 16세기 한시 이야기 나도 모르는 새에 한시의 세계로 빠져들다 당나라 시풍이 우세를 떨치며 개성이 사라진 한시들 4. 복고파가 문단을 휩쓸다 복고파의 의의와 한계 복고파의 억눌림을 뚫고 분출한 생기발랄한 목소리 5. 천기를 문학에 담으려던 사람들 공안파를 비판한 김창협 공안파의 천기와 백악시단 천기는 다르다 6. 천기가 가득 ..
1. 형술쌤이 초대한 한시의 세계에서 한바탕 춤을 추다 긴 시간 돌고 돌아 다시 한문 임용을 준비하면서 많은 것들이 바뀌었다는 걸 느끼고 있다. 그 중 가장 큰 것은 단재학교에서 교사로서의 경험과 무수한 얘기들을 썼던 글쓰기가 한문공부를 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줬다는 사실이다. 어쨌든 교사 경험이나 글쓰기 경험은 학문을 하는 진정성과 맞닿아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그건 사태를 제대로 보려는 진지한 마음이 있는 것이고, 그걸 그 누구의 말이 아닌 나의 말과 나만의 이해방식으로 흡수하는 것이니 말이다. ▲ 웰 컴 투 더 월드 오브 한시 ~ 그 매력에 빠져보실까요^^ 한문과 마주 보고, 한문과 한바탕 어우러지다 예전엔 무언가를 고민하기도 전에, 뭘 해봐야겠다고 생각하기도 전에 모든 게 나에게 닥쳐 있었다...
소화시평 책거리 목차 1. 소화시평과 함께 울고 웃던 1년 4개월여러 상황으로 진도가 수이 나가지 않다순간 순간이 알알이 박히다 2. 소화시평 정리를 끝마치다소화시평 스터디와 블로그정리 방향의 변화와 후기가 빠진 이유충실하게 보냈던 시간이여 인용 19년 글 임용 Life 상권 목차 하권 목차
1. 소화시평과 함께 울고 웃던 1년 4개월 예전에 6박 7일 동안 대구 달성에서 출발하여 낙동강을 따라 서울로 돌아오는 자전거 여행을 했었다. 그 여행을 시작하며 기록을 남겼었다. 처음에 ‘삶이란 하나의 도화지에 자신의 색채로 그림을 그려가는 일’이라고 표현했다. 순간순간 그린 그림들이 모이고 쌓여 그게 삶을 만들 것이다. 하지만 위에서 계속 얘기했듯이 그런 순간순간의 그림들이 대단할 이유도, 뭔가 엄청난 의미를 지닐 필요도, 남들 보기에 그럴 듯해 보여야 할 이유도 없다. 그저 작은 일일지라도 그 순간을 수놓으며 반복적으로 해나갈 수 있으면 되는 것이다. 자전거 여행을 떠나면서 난 그 여행을 ‘도화지에 한 획을 그리는 일’이라 생각했다. 누구나 알다시피 한 획을 긋는 것만으론 그림이 완성되지..
작은 차이가 천지의 뒤틀림을 낳는다 『소화시평』 권하 64번에선 홍만종이 생각하는 최고의 시를 선별하여 수록하고 그에 대한 평을 하고 있다. 시평은 ‘일찍이 ~함에 감탄하지 않은 적이 없다[未嘗不歎]’라는 통일된 양식으로 ‘탄(歎)’이란 글자 뒤에 ‘감개(感慨)ㆍ장려(壯麗)ㆍ정치(精緻)’와 같은 두 글자의 단어들이 들어간다. 이쯤에서 잠시 생각하고 넘어갔으면 하는 게 있다. 그건 당신은 최근에 문학작품을 읽거나 영화를 보거나 음악을 듣고 나서 감탄해본 적이 있냐는 것이다. 나의 경우를 얘기하자면 예전에 돈도 궁하고 지지리도 궁상 맞게 공부하던 시기엔 꽤나 감명 깊게 본 영화들이 많았었다. 그런데 재밌게도 막상 단재학교에 들어가 영화팀 교사가 되었고 아이들과 매년 전주와 부산의 국제영화제에 다니며 영화를 ..
2005학년도 중등학교 교사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한 문수험 번호 : ( )성 명 : ( )( 2 )교시 한 문( 27 ) 문항 ( 80 )점작성시간 ( 150 )분감독관 확인(인) 1. 다음에 주어진 한자를 교수ㆍ학습하고자 한다. ‘한자ㆍ한자어의 다양한 수업 방법’ 중 네 가지만 제시하고, 각각의 방법에 따라 지도 내용을 구성하시오. (8점)問 【2~3】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張公藝九世同居 北齊隋唐 皆旌表其門 麟德中 高宗封泰山 幸其宅 召見公藝 問其所以能睦族之道 公藝請紙筆以對 乃書忍字百餘以進 -『小學』 「善行」 2. 위 글에 나오는 漢字를 사용하여 두 字로 된 成語로 단원명을 정하고, 제7차 고등학교 한문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한문 익히기에 의거하여 세 가지의 학습 목표를 설정하시오. (5점) 3..
2001학년도 중등학교 교사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한 문수험 번호 : ( )성 명 : ( )( 2 )교시 한 문( 11 ) 문항 ( 70 )점작성시간 ( 140 )분감독관 확인(인) 1. 다음 글을 읽고, 『조건』에 맞게 300字 내외로 서술하시오. (5점)○ 교육은 실제 활용적 측면이 강조된 지식 · 기능습득교육과 가치 효용적 측면이 강조된 인성교육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한문교과 교육을 정의하면, 전반부는 도구교과로서의 역할을 일컫고, 후반부는 정서 함양이 강조된 인간교육, 곧 인성교육을 말한다. 그간 우리의 교육활동은 지나치게 전반부에 치중함으로써 인성교육이 경시되어 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근자에 이르러 후반부가 강조되고 있다. 『조건』① 한문교과 교육의 인성교육 측면을 설명..
1999학년도 중등학교 교사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한 문수험 번호 : ( )성 명 : ( )( 2 )교시 한 문( 12 ) 문항 ( 70 )점작성시간 ( 140 )분감독관 확인(인) 1. 다음 글을 읽고, 한문과 교육의 영역별 지향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7점)6차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를 보면, 한문과 교육의 목적과 본질에는 두 가지 방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나는 ‘한자, 한자어, 한문’을 중심으로 한문과 교육을 통합하는 수렴적 방향이고, 다른 하나는 이를 통해 한문과 교육을 ‘21세기를 주도할 바람직한 한국인 육성’으로까지 나아가게 하는 확산적 방향이다. 이 두 방향은 서로 대립되는 것이 아니고, 각각 한문과 교육의 출발점과 지향점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조건」 답안..
1993학년도 중등학교 교사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한 문수험 번호 : ( )성 명 : ( )( 2 )교시 한 문( 70 ) 문항 ( 70 )점작성시간 ( 140 )분감독관 확인(인) [1~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明心寶鑑』 「孝行」 居則致其敬 養則致其樂 病則致其憂 喪則致其哀 祭則致其嚴 五者備矣 然後能( ) (나) 『小學』 「明倫」 父有㉠爭子則身不陷於不義 故 當不義則子不可以弗諫於父 (다) 『小學』 「稽古」 君子 在位可畏 施舍可愛 進退可度 周旋可則 容止可觀 作事可法 德行可象 聲氣可樂 動作有文 言語有章 以臨其下 謂之有( ) (라) 『禮記』 「曲禮」 臨財毋苟( ㉡ ) 臨難毋苟( ㉢ ) 恨毋苟( ㉣ ) 分毋苟( ㉤ ) 1. 윗 글 (가)의 ( )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事親 2) 事君..
2015 개정교육과정 한문교과서 모음집 목차 1) 단문 1. 2자 성어 2. 3자 성어 3. 4자 성어 4. 격언 5. 속담 6. 기타 2) 산문 1. 고사 2. 과학 3. 명문 4. 사상 5. 설화 6. 소설 7. 역사 8. 인물 9. 일화 10. 지리 11. 풍속 12. 철학 3) 한시 1. 중국한시 2. 한국한시 4) 글 모음 효 매질에 눈물 흘린 백유 배려 洪相國瑞鳳之大夫人 賑恤 재치 음식에서 귀한 것(광해군) 借鷄騎還 지혜 旬日而體輕, 凌空而去 한 걸음의 철학 절제 子罕辭寶 욕심의 절제와 추구의 차이 직업 傳奇叟 웃긴 얘기 勸睡之物爾 신의 인용 지도

나라 표기법 가나가봉 가납(加納) 가봉(加蓬) 가이아나 감비아규아나(圭亞那) 강비아(岡比亞)과테말라 그레나다과지마랍(危地馬拉), 위지마랍(危地馬拉) 격림납달(格林納達)그리스 그린란드희랍(希臘) 녹주(綠州), 격능란군도(格陵兰群岛)기니 기니비사우기내아(幾內亞) 기내아비소(幾內亞比紹)나미비아 나우루납미비아(納米比亞) 노로(瑙魯)나이지리아 남수단니일리아(尼日利亞) 남소단(南蘇丹)남아공 네덜란드남비(南非), 남아공(南阿共) 화란(和蘭), 하란(荷蘭), 니덕란(尼德蘭)네팔 노르웨이니박이(尼泊爾) 낙위(諾威), 나위(那威)뉴질랜드 니제르신서란(新西蘭) 니일이(尼日爾)니카라과 니가랍과(尼加拉瓜) 덴마크 도미니카정말(丁抹), 단맥(丹麥) 다명니가(多明尼加), 다미니가(多米尼加)도이칠란트 동티모르독일(獨逸), 덕국(德國..

‘언어생활과 한자’ 성취기준 해설과 수업 적용의 실제 김소명․송은비 【국문초록】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우리 교육이 지향해야 할 가치와 교과교육 방향 및 성격을 기초로 미래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으로 ‘협력적 소통 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협력적 소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인 어휘력은 사람의 사고력을 보여주는 수단이자 사람의 생각을 결정짓게 하는 중추적 도구이다. 그런 의미에서 의사소통 능력과 문해력 신장을 목표로 두고 있는 ‘언어생활과 한자’는 현대 사회의 유의미한 과목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언어생활과 한자’의 성취기준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현직 교사의 관점에서 해석을 제시하고, 지도안의 형태로 수업 적용의 실제를 제안하여 새롭게 도입될 교..

가인박명(佳人薄命) 아름다운 이는 단명하리 한자어 佳 人 薄 命 뜻 아름다울 사람 엷을 목숨 음 가 인 박 명 풀이 아름다운 여인은 운명이 기구하거나 짧다는 말. 유래 아래 시를 지은 작자 소식(蘇軾)이 항주(杭州), 양주(揚州) 등의 지방장관으로 있을 때 우연히 절에서 나이 삼십이 이미 넘었다는 예쁜 여승을 보고 그녀의 아름다웠을 소녀시절을 생각하며 미인은 역사적으로 운명이 기박하였음을 시로 쓴 데서 전하여졌다. 雙頰凝酥髮抹漆 쌍협응소발말칠 두 볼은 엉긴 우유와 같고 머리는 옻칠을 한 것처럼 새까맣고, 眼光入簾珠白樂 안광입렴주백락 눈빛이 발에 들어오니 주옥과 같이 빛난다. 故將白練作仙衣 고장백련작선의 본디 흰 비단으로써 선녀의 옷을 지으니, 不許紅膏汚天質 불허홍고오천질 입술연지는 천연의 바탕을 더럽힌다..

절부지의 지도안 활동지 2장, 평가지 1장 1. 산문풀이 人有亡鈇者 意其鄰之子 문장의 구조: 주술목 구조 相其谷而得其鈇 相: 서로상, 재상상, 볼상 2. 내용이해(모둠활동, 본문을 그대로 적고 해석 쓰기) 의심나는 부분: 行步, 顏色, 言語, 動作態度 해소이유: 相其谷而得其鈇 결말: 無似竊鈇者 3. 가치관 함양(疑心) 이향: 본성, 아담과 하와 / 의처ㆍ의부 힘듦 승빈: 병, 믿질 않음 / 성경이나 고전에도 있음에 놀람 의심하는 건 사람으로서 당연한 것이지만 그렇기에 의심이 들 때마다 제어할 줄 알아야 올바른 관계를 맺을 수 있음. 자기ㆍ동료 평가지 작성 후 반장에게 제출 EBS 온라인 클래스에 업로드, 복습 시 참고 인용 목차 / 문제지 지도안(20, 21, 24) 영상(20, 21, 24)

각주구검 지도안 활동지1장, 평가지 1장 1. 산문풀이 楚人有涉江者 涉江: 술목관계(從墜. 求劍) - 從墜는 술목관계로 봤지만 다시 확인해보니 是吾劍之所從墜는 ‘이 곳은 내 검이 따라 떨어진 곳이다’로 해석되므로 수식관계로는 볼 수 있겠다. 其劍自舟中墜於水 自: ~로부터, 登高自卑 문장의 구조: 주술보구조 以此爲治 豈不難哉 문장의 유형: 감탄문(哀哉, 善哉) 2. 내용 이해(문답법, 토의ㆍ토론) 楚人 - 까마귀 / 劍 - 고기 / 舟 - 구름 (時刻)(舟料)(求人)(長劍) ⇒ 愚, 癡 3. 가치관 함양(愚) 지민 수영 성찰 틀린 거 또 틀림 설거지 그릇 깸 보완 유형 파악 천천히 인용 목차 / 문제 지도안(20, 22, 24) 영상(20, 22, 24)

이공수 지도안 1. 吾心得安 활동지2장, 평가지1장 1. 산문풀이(개사, 의문문, 수식관계) 粟積于野, 從者, 取飼馬 개사: 명사류를 서술어와 연결해주면서 처소, 대상, 도구, 시간, 원인, 비교 등의 뜻을 나타내는 단어이다.(於, 乎) 粟一束直, 布幾尺(일반) 直=値, 一束: 수식관계(從者, 兩端) 의문문: 의문문에는 화자가 청자에게 실제 대답을 요구하는 일반 의문문 외에 말하는 사람이 상대방의 대답을 바라지 않으면서도 의식적으로 물어보는 반어 유형이 있다.(焉, 寧) 人必取去, 何益(반어) 2. 내용이해 모둠학습, 활동지의 물음에 대해 모둠별 토의 후 답을 기입할 것. 말이 굶주리자 취한 행동 말이 굶주리자 취한 행동 → 길가의 조를 먹임 그때 공이 취한 행동 → 베를 잘라서 값을 대신함 종자의 반응..

20XX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한 문 수험번호 성명 관리번호 1. 문제지 1. 이전 시간에 본문을 읽고, 풀이함. 2. PPT자료를 활용할 것. 3. 수식관계의 단어짜임과 의문문의 문장유형을 지도할 것. 4. 모둠활동을 지도할 것. 5. 자기평가, 동료평가 활용할 것. 2. 학습목표 1. 산문을 풀이한다. 1. 글의 내용을 이해한다. 3. 선인들의 가치관을 함양한다. 3. 수업자료 中途馬困 無人 粟積于野 從者 取飼馬 公遂問 粟一束直 布幾尺 如其言 書布兩端 置粟積中 從者曰 人必取去 何益? 曰 吾固知之 然必如是 吾心得安 『高麗史』 「李公遂」 인용 지도 / 목차 / 문제 지도안 / 영상

불언장단 지도안 활동지 1장, 평가지 1장 1. 산문풀이 의문문: 일반, 반어유형(何, 焉, 寧, 誰) 二牛何者爲勝(이기다, 낫다) - 일반 유형 公怪之(동사, 대명사, 어조사)曰 何以附耳相語 - 일반 유형 使(사동형)牛聞之 寧無不平之心乎 - 반어 유형 내용 문답 황희가 길 가다 본 사람은? 밭 가는 농부 무얼 물었나? 두 소의 평가 농부의 반응은? 귓속말로 대답함 귓속말로 답한 이유는? 평가를 소가 들을까봐 황희의 반응: 다신 남 평가 안 함. 3. 지혜 함양(不言長短) 4모둠 6모둠 교훈 愼重 禁言 속담 낮말 쥐, 밤날 새 男兒一言重千金 이유 말의 가치 말의 무게 자기평가ㆍ동료평가지는 반장에게 제출 수업내용은 EBS 온라인 클래쓰에 업로드했으니 복습 시 참고 인용 지도 / 목차 / 문제 지도안 / 영상
한문이랑 놀자 목차 1. 한시랑 놀자 권필의 宮柳詩와 시화권필의 過松江墓有感이안눌의 江頭誰唱美人詞을지문덕의 與隋將于仲文정지상의 送人정지상의 送人2최치원과 황상, 그리고 류석춘 2. 서사한시랑 놀자 성간의 老人行 1 / 2조선의 문인이 농부의 말을 담는 이유 3. 소화시평 상권이랑 놀자 이규보의 ‘游魚’와 ‘聞鶯’ 시의 이해(30)요체시와 김지대(33)태평성대와 나이듦에 관한 시(34)가을이 왔는데 일하러 가야 한다니(35)핍진하게 자연을 담아낸 한시(37)한신의 일화를 담은 한시(39)단서만으로도 술술 해석되던 한시(40)세상을 피하려는 뜻을 담다(41)기본부터 충실히 공부해야 한다(42)문인들이 말로 하는 칼싸움(42)작가 비평의 문제점과 한계(43)이색이 지은 부벽루 이해(43)친숙함에서 ..
2020학년도 한문임용 최종 불합격기 목차 1. 장량이 한나라 삼걸이 된 이유와 배움의 조건 배우러 떠나니 신나기도 해라 장량을 통해 본 배움의 조건 겸손함과 배움 2. 스티브 잡스의 좌충우돌 인생론과 배움의 조건 시간낭비라는 관념 시간낭비라는 관념을 깨부순 스티브 잡스 6년 간의 고민이 한문공부에 영향을 주다 3. 맹상군을 통해 배운 관계론과 배움의 조건 관계학을 통한 배움론 임용의 길에 다시 들어서도록 이끌어준 관계들 4. 2019년에 찾아온 최상의 임용고사 조건 어렵던 한시가 편해지다 한문공부의 블로그 활용도가 높아지다 임용 합격을 위한 최상의 환경까지 마련되다 5. 절반의 성공과 절반의 실패 절반의 성공 절반의 실패 2020년에 대한 기대 인용 지도 공고문 경쟁률 19년 글 임용 Life 역대 임..
5. 반절의 성공과 반절의 실패 2년을 공부하며 나름 내실이 갖춰진 실력과 70명 가까운 인원을 뽑는 최상의 환경 속에서 한문과 임용 1차 고사를 봤다. A형 시험지를 풀고선 어렵다는 느낌에 절망에 빠지기도 했지만 전체적으론 작년시험보다 훨씬 나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좋은 결과를 기다리고 있었고 한 번은 사고가 날 뻔한 하자 “지금은 말고 1차 결과 여부는 보고 갈 테니 그 이후에”라고 말할 정도였다. 다행히도 1차 결과는 합격이었다. 지금껏 과거에 다섯 번 준비했던 것까지 통틀면 7번 도전을 한 셈인데, 최초로 1차 합격을 한 것이다. 그러니 얼마나 행복하고 얼마나 신이 났겠는가. 결과 발표 후 2차 시험까진 3주 정도의 시간이 주어졌다. 처음으로 2차를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 것..
4. 2019년에 찾아온 최상의 임용고사 조건 학생 시절엔 ‘배운다’고 하는 말이 그렇게 달갑거나 좋은 말은 아니었다. 학생의 본분이 배우는 것이기 때문에 선택의 권한도 없이 배워야만 한다는 압박감이 있었고, 그런 식의 배움은 늘 성적이란 매우 객관적으로 보이는 지표로 게시되어 주눅 들게 했다. 하지만 지금은 학생 시절에 공부했던 것들은 배움의 측면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걸 익히 알고 있다. 이미 앞에서 말했던 장량이나 스티브잡스나 맹상군의 일화를 통해서 배움이라는 건 단순히 책을 읽고 지식을 획득하는 과정을 넘어서 자신에게 함부로 대하는 스승을 통해 겸손해지는 법을 배울 수 있고 여러 가지 경험을 통해 넓고도 넓은 인식의 깊이를 배울 수 있으며 다양한 사람과의 관계를 통해 생각지도 못한 삶의 국면에서 배..
3. 맹상군을 통해 배운 관계론과 배움의 조건 7년 만의 임용을 결심할 수 있도록 이끈 세 번째 배움론의 주인공은 바로 맹상군孟嘗君이다. 우리에겐 ‘계명구도鷄鳴狗盜’라는 성어로 익히 알려진 인물이다. 과연 맹상군은 어떤 배움론에 대해 이야기를 할 것이며, 그게 나에겐 어떤 영향을 끼친 것일까? ▲ 맹상군은 식객을 무려 3000명이나 두었었다. 많다는 게 중요하다는 게 아니라, 어떤 구성이냐가 중요하다. 관계학을 통한 배움론 맹상군은 전국시대 말기에 활약한 인물로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형제가 무려 40명이나 되었으며 특출난 재능도 없었기에 아버지의 눈에 띄는 존재는 아니었다. 그런 그가 아버지를 찾아온 식객들을 대접하는 역할을 맡게 되었고 찾아온 식객이 볼품없더라도, 내세울 게 없더라도 인간으..
2. 스티브 잡스의 좌충우돌 인생론과 배움의 조건 2018년에 7년 만에 다시 한문공부를 시작하고 임용시험을 준비할 수 있었던 데엔 배움에 대한 생각이 변했기 때문이다. 단재학교에서 근무를 하며 참으로 여러 강의들을 따라 다녔고 그곳에서 배움에 대한 여러 생각들을 접할 수 있었다. 배움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는 데에 두 번째로 영향을 준 사람은 흔히 하는 말로 ‘모르면 간첩’이라 불려질 법한 사람이다. 바로 아이폰과 아이팟을 만들어 애플을 세계 정상급 회사로 만든 불세출의 인물인 스티브 잡스다. ▲ 잡스의 공부론은 전혀 무관할 것 같은 캘리그래피를 배우는 데서부터 시작됐다. 시간낭비라는 관념 임용을 준비하는 사람들,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이면 누구나 알리라. 이 길이 결코 순탄하지만도 않..
1. 장량이 한나라 삼걸이 된 이유와 배움의 조건 도올 선생이 쓴 『교육입국론』이란 책은 “만 권의 책을 읽고 만 리의 파랑을 격파하며 나아간다(讀萬卷書, 破萬里浪).”란 문장을 인용하며 시작한다. 구도의 길을 찾아 장도를 떠난 신라의 스님들에 대한 이야기로 그들의 학문에 대한 열정을 단 여덟 글자로 포착해낸 명구다. ▲ 도올 선생님의 교육자들에 대한 조언이 담긴 책. 배우러 떠나니 신나기도 해라 구도求道의 길을 찾아 파랑을 격파하며 천축天竺으로 떠나는 스님들의 발걸음은 가벼웠을 것이고 감정은 두렵기보다 설렜을 것이다. ‘알고자 하는 마음’은 그토록 새로운 세계에,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세상에 대한 두려움을 떨쳐낼 정도로 강하기 때문이다. 구법승들에 비할 바 아니지만 2018년에..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지 제2외국어 / 한문 영역(한문Ⅰ) 성명 수험번호 1. 그림과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에 들어갈 것은? [1점] 교사: 조선 후기 화가 신윤복의 풍속화를 감상해 볼까요? 우림: 한밤중에 담 모퉁이에서 남녀가 만나고 있네요. 조선시대에도 저런 일이 가능했나 봐요. 정우: 그런가 봐요. 그런데 달의 모습이 이상해요. 볼록한 면이 위쪽을 향하고 있어요. 우림: 잘못 그린 건가요? 아니면 실제로 보고 그린 건가요? 교사: 신윤복이 서울에 부분 월식이 일어났던 날 자정 무렵의 모습을 그린 것이라고 추론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하였답니다. 정우: 아! 그렇다면 부분 월식을 배경으로 한 사랑 이야기가 화폭에 담겨 있다고 볼 수도 있겠네요? 교사: 맞아요. 이 그림은 달빛 아래 연..
20. 시의 주제와 관계있는 것은? 친구가 원수보다 더 미워지는 날이 많다 티끌만 한 잘못이 맷방석만 하게 동산만 하게 커 보이는 때가 많다 그래서 세상이 어지러울수록 남에게는 엄격해지고 내게는 너그러워지나 보다 돌처럼 잘아지고 굳어지나 보다 멀리 동해 바다를 내려다보며 생각한다 널따란 바다처럼 너그러워질 수는 없을까 깊고 짙푸른 바다처럼 감싸고 끌어안고 받아들일 수는 없을까 스스로는 억센 파도로 다스리면서 제 몸은 맵고 모진 매로 채찍질하면서 – 신경림 ① 己所不欲, 勿施於人. ② 寬而見畏, 嚴而見愛. ③ 律己須明白, 待人要包容. ④ 不患人之不己知, 患不知人也. ⑤ 察己則可以知人, 察今則可以知古. 인용 목차 19년도 수능 답안 ③
13. 글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제 목 고전 명구 보낸 날 2018년 11월 16일 보낸 이 선생님 정승의 말씀은 땅에 엎드려 들어야 한다? 그렇다면 임금님 말씀은 땅을 파고 들어가서 들어야겠군요. -『낙하생집』 고려의 명신 주열(朱悅)이 공무로 정승을 만났을 때의 일화랍니다. 그의 꼿꼿한 태도를 못마땅하게 여긴 정승이 ‘엎드려 들어야 한다.’고 나무라자, 반박한 내용입니다. 신분에 따라 지켜야 할 예(禮)는 있지만 지나치게 공손한 것이 진정한 예라고 할 수 있을까요? 윗사람에 대한 예만 있는 것이 아니라 아랫사람에게 갖추어야 할 예도 있답니다. 상호 존중의 정신, 그것이 진정한 예의 본질이 아닐까요? ① 非禮勿視, 非禮勿聽. ② 過而不改, 是謂過矣. ③ 自重其身者, 人不敢輕之. ④ 若要人重我, 無過..
12. 그림의 한자로 만들 수 있는 사자성어의 의미와 관계있는 것은? 無 實 名 相 下 眼 有 患 ① 알려진 대로 참 뛰어난 능력을 지녔어. ② 유명세에 비해서는 실속이 없는 것 같아. ③ 남을 업신여기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아. ④ 평소 차분한 준비 덕에 재난을 극복한 것 같아. ⑤ 물건을 살 때는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 살펴봐야 해. 인용 목차 19년도 수능 답안 ②(有名無實: 명성은 있으나 실제는 없다) ① 名實相符 – 알려진 대로 참 뛰어난 능력을 지녔어. ③ 眼下無人 – 남을 업신여기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아. ④ 有備無患 – 평소 차분한 준비 덕에 재난을 극복한 것 같아. ⑤ ? - 물건을 살 때는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 살펴봐야 해.
11.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에 알맞은 것은? A: 중국에는 ‘人云亦云’이라는 말이 있어. B: 사람이 말하면 역시 말한다고? 무슨 뜻이야. A: ‘일정한 의견 없이 남을 따라 한다.’는 말이야. B: 아! (㉠)과 뜻이 통하는 구나. ① 附和雷同 ② 各樣各色 ③ 衆口難防 ④ 類類相從 ⑤ 以心傳心 인용 목차 19년도 수능 답안 ① 附和雷同-우레소리에 따라한다는 것으로 주견 없이 따라함을 말함.
10. ㉠에 들어갈 내용을 의 카드를 활용하여 완성하고자 할 때, 순서대로 바르게 배열한 것은? [1점] 君子, 貴人而賤己, (㉠), 則民作讓. -『禮記』 ㉮ 己 ㉯ 先 ㉰ 而 ㉱ 後 ㉲ 人 ① ㉮ - ㉯ - ㉰ - ㉱ - ㉲ ② ㉯ - ㉮ - ㉰ - ㉱ - ㉲ ③ ㉯ - ㉲ - ㉰ - ㉱ - ㉮ ④ ㉱ - ㉲ - ㉰ - ㉯ - ㉮ ⑤ ㉲ - ㉱ - ㉰ - ㉮ - ㉯ 인용 목차 19년도 수능 답안 ③ 先人而後己 - 남을 앞에 하도록 하고 나를 뒤에 하도록 한다.
9. 그림과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에 들어갈 것은? [1점] 日就月長 A: 어! ‘일취월장’이네. 그런데 잘못 쓴 글자가 있네. B: 맞아, 마지막 글자는 (㉠)으로 써야 해. C: 나날이 다달이 발전하자는 의미이니까. ① 場 ② 將 ③ 張 ④ 壯 ⑤ 丈 인용 목차 19년도 수능 답안 ②
8. ㉠에서 마지막으로 풀이되는 것은? ㉠轉禍而爲福, 因敗而成功. - 『戰國策』 ① 轉 ② 禍 ③ 而 ④ 爲 ⑤ 福 인용 목차 19년도 수능 답안 ④ 2 1 3 5 4 轉 禍 而 爲 福 바뀌어 재앙이 그래서 된다 복이
7. 단어장의 내용으로 보아 ㉠에 들어갈 것은? [1점] 원래의 뜻 대롱 구멍으로 사물을 봄 ㉠ ⇒ 확장된 뜻 좁은 소견이나 자신의 소견을 겸손하게 이름. ① 盲目 ② 管見 ③ 私見 ④ 可觀 ⑤ 主觀 인용 목차 19년도 수능 답안 ② 管見(대롱관 / 볼견)
6. 글에서 비판하고 있는 것은? 오늘날 사대부라고 하는 자들도 이 붓과 비슷하지 않은 경우가 드물다. 몸에 의관을 갖추어 입고 말을 조리 있게 하며, 법도에 맞게 걷고 엄숙한 기색으로 처세하고 있으니, 그들을 바라보면 모두 군자나 바른 선비 같아 보인다. 그러나 남들이 보지 않는 곳에서 이해관계가 얽히게 되면 평소의 뜻을 바꾸어 마구 욕심을 부리며, 어질지 못한 마음을 품고 의롭지 못한 행동을 하고 있다. 대개 그 겉은 아름답게 꾸몄 으나 그 속은 온통 개털로 채워져 있는 것이 이 붓과 조금도 다를 것이 없다. - 『계곡집』 ① 堂狗風月 ② 甘言利說 ③ 漸入佳境 ④ 骨肉相爭 ⑤ 表裏不同 인용 목차 19년도 수능 답안 ⑤ 表裏不同(겉과 속이 다르다)
5. 화살표 방향으로 성어를 채울 때, ㉠에 들어갈 것은? [1점] ↓ → ㉠ 【가로 열쇠】 작은 것을 탐하다가 큰 것을 잃음. 【세로 열쇠】 큰 차이 없이 거의 같음. ① 大 ② 小 ③ 代 ④ 失 ⑤ 異 인용 목차 19년도 수능 답안 ① 가로: 小貪大失 / 세로: 大同小異
4. 같은 뜻을 지닌 한자끼리 연결한 것을 에서 고른 것은? [1점] ㄱ. 選 - 擇 ㄴ. 問 - 答 ㄷ. 前 - 後 ㄹ. 製 - 造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인용 목차 19년도 수능 답안 ② ㄱ: 고르다 / ㄹ: 만들다
3.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한자는? [1점] A: 음은 ‘走’와/과 같아. B: 갑골문으로는 이렇게 생겼어. C: 총획은 ‘昇’과 같아. D: 이 글자 뒤에 ‘知’을 결합하면 ‘여러 사람이 두루 앎.’을 뜻하는 말로 쓰여. ① 州 ② 典 ③ 周 ④ 宙 ⑤ 界 인용 목차 19년도 수능 답안 ③(음: 주 / 총획: 8획 / 뜻: 두루)
2.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다음 단어에 대해 알아볼까요? ㉠ ‘백미’라고 읽어요. ㉡ ‘白眼視’와 의미가 비슷해요. 白眉 ㉢ 여럿 가운데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이나 물건을 의미하죠. ㉣ “춘향전은 한국 고전 문학의 白眉이다.”로 활용할 수 있어요. ① ㉠, ㉡ ② ㉠, ㉢ ③ ㉡, ㉣ ④ ㉠, ㉢, ㉣ ⑤ ㉡, ㉢, ㉣ 인용 목차 19년도 수능 답안 ④ 白眼視: 사람을 흘겨보거나 냉담한 태도를 보이는 것(≠靑眼視)
1. 그림과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에 들어갈 것은? [1점] 교사: 조선 후기 화가 신윤복의 풍속화를 감상해 볼까요? 우림: 한밤중에 담 모퉁이에서 남녀가 만나고 있네요. 조선시대에도 저런 일이 가능했나 봐요. 정우: 그런가 봐요. 그런데 달의 모습이 이상해요. 볼록한 면이 위쪽을 향하고 있어요. 우림: 잘못 그린 건가요? 아니면 실제로 보고 그린 건가요? 교사: 신윤복이 서울에 부분 월식이 일어났던 날 자정 무렵의 모습을 그린 것이라고 추론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하였답니다. 정우: 아! 그렇다면 부분 월식을 배경으로 한 사랑 이야기가 화폭에 담겨 있다고 볼 수도 있겠네요? 교사: 맞아요. 이 그림은 달빛 아래 연인들의 모습을 그렸다고 해서, 제목을 ‘月下( ㉠ )人’이라고 합니다. ① 淨 ② 貞 ..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지 제2외국어 / 한문 영역(한문Ⅰ) 성명 수험번호 1. 그림과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에 들어갈 것은? [1점] 교사: 조선 후기 화가 최북의 대표작이라고 알려진 그림을 소개합니다. 이 그림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요? 가은: 초가 정자와 나무 두 그루는 세밀하게 묘사되었고 계곡의 숲은 짙게 그려졌네요. 민석: 그런데 정자에 사람이 보이지 않아요. 그림 속 어디에도 사람의 모습을 찾을 수가 없어요. 교사: 제대로 보았어요. 이 작품은 사람이 없는 빈산의 모습을 그린 것이랍니다. 그래서 이 그림을 ‘( ㉠ )山無人圖’라고 한답니다. ① 公 ② 宇 ③ 雲 ④ 高 ⑤ 空 2.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다음 단어에 대해 알아볼까요? ㉠ ‘脫皮’와 ..
2.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다음 단어에 대해 알아볼까요? ㉠ ‘脫皮’와 음이 같아요. ㉡ ‘큰 물결이 지나간 뒤에 일어나는 잔물결’이라는 의미입니다. 餘波 ㉢ 유의어로는 ‘避害’가 있어요. ㉣ “폭우의 餘波로 채소 가격이 폭등했다.”와 같이 쓸 수 있어요. ① ㉠, ㉡ ② ㉠, ㉢ ③ ㉡, ㉣ ④ ㉠, ㉢, ㉣ ⑤ ㉡, ㉢, ㉣ 인용 목차 20년도 수능 답안 ③ 脫皮(탈피)로 ‘餘波(여파)’와 음이 다르며, 避害(피해)는 ‘재해를 피한다’는 뜻으로 반대의 의미를 지님.
1. 그림과 대화의 내용으로 보아 ㉠에 들어갈 것은? [1점] 교사: 조선 후기 화가 최북의 대표작이라고 알려진 그림을 소개합니다. 이 그림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요? 가은: 초가 정자와 나무 두 그루는 세밀하게 묘사되었고 계곡의 숲은 짙게 그려졌네요. 민석: 그런데 정자에 사람이 보이지 않아요. 그림 속 어디에도 사람의 모습을 찾을 수가 없어요. 교사: 제대로 보았어요. 이 작품은 사람이 없는 빈산의 모습을 그린 것이랍니다. 그래서 이 그림을 ‘( ㉠ )山無人圖’라고 한답니다. ① 公 ② 宇 ③ 雲 ④ 高 ⑤ 空 인용 목차 20년도 수능 답안 ⑤(‘빈산’이란 뜻으로 풀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빌 공’이 답이 됨)
1. 또 덤비면 다른 길이 열리는 거잖아요 (‘베토벤 바이러스’ 마지막 장면. 시립교향악단&마우스필 공연에 떠난 줄 알았던 강마에가 돌아와 강건우와 마주친다.) 마에: 안녕히 가시라니? 이 짓들을 하고 있는데 내가 어떻게 안녕히 가? 지금 누구 놀려~ 건우: 안녕히 가면 왜 안 되세요? 마에: 멍청한 짓들을 하고 있으니까 그렇지. 그렇게 실패했으면서도 몰라. 이건 끝이야. 시향도 그렇고 너희도 그렇고 끝난 거라고. 건우: 끝이라니요? 이제 시작인데. 여기서 관두면 맞는데요, 또 덤비면 또 다른 길이 열리는 거잖아요. 그렇게 될 때까지 계속 가면 그게 바로 성공이고요. 마에: (책망하듯) 인생 쉽다. 아흔 아홉 번 실패할 수도 있어. 건우: 근데 선생님도 그렇게 해서 지금 이 자리까지 오신 거잖아요. 저희..
D-1일, 기회가 왔다 ▲ 임고반 내 자리에서 만들어지는 하루 하루의 순간들. 작년 이맘때가 생각난다. 임고반으로 올라가는 길이었는데 그때 불연듯 ‘지금 내가 합격하는 게 가당키나 한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예전에 5년 동안이나 임용공부를 했다손 치더라도 7년이나 한문공부를 하지 않았고 작년에서야 겨우 다시 임용을 볼 생각을 하며 공부를 시작했고 어떻게 공부해야 하나 정립도 하지 못한 채 시간을 보내다가 4월에서야 방향을 잡고 공부했기 때문이다. 그러니 고작 7개월 정도를 공부한 것을 통해 합격 운운하는 건 도가 넘는 일이라고만 생각했다. 그래서 경수 누나를 만났을 때 “이번엔 합격은 바라지 않아요. 만약 내가 합격하게 된다면 그거야말로 여러 한문임용생들에게 낭패감을 안겨주는 게 될 테고, 저..
목차 1. 이가라시 코지, 블러드 스테인드로 자신을 증명하다 월하의 야상곡과 창월의 십자가 IGA와 메트로바니아 자신이 하는 일에 푹 빠진 사람들 2. 서사한시와 맥락, 그리고 활연관통 기습 시험으로 드러난 실력 없음 맥락을 간파하라 IGA와 한문공부 인용 지도 임용 Life
3. 문학작품을 읽는 이유, 그리고 발분하는 심정 이번엔 새로운 아이들도 함께 참석했다. 현종이와 지인이가 그들이다. 작년엔 오고 가며 얼핏얼핏 봤던 아이들인데 뒷풀이에 함께 하게 되면서 좀 더 말을 해볼 수 있었다. ▲ 보름에서 이틀이 지났지만 달은 휘영청 밝았다. 홍만종의 시평을 보며 발분하는 마음이 생기다 현종이는 오늘 스터디 준비를 하면서 특히 4번 글을 보며 “만약 홍만종의 시에 대한 평가가 없다면, 제가 홍만종처럼 저런 시평을 할 수 있을까?하는 생각을 하게 되더라구요”라는 말을 했다. 그 말엔 한문에 대해 조금 더 알고 싶고 제대로 알고 싶어하는 마음이 충분히 읽혔다. 단순히 해석이 되느냐 정도로 보려는 게 아니라 그 안에서 의미를 찾으려 하고, 한 걸음 더 나아가 홍만종에게 충분히 이입하여..
2. 30년을 해야 전문가가 된다 『소화시평』 상권이 끝났지만 책걸이나 뒷풀이는 없었다. 『소화시평』 전체가 끝난 건 아니니 ‘뭘 그렇게까지 하냐?’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그래도 한 고비 고비 넘어가며 의미를 부여하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그 안에 수많은 것들을 담아낼 수 있고 어떤 의미냐 하는 것은 개인별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이렇게 훌쩍 지나가는 게 아쉽게 느껴지던 찰나에 생각지도 못한 뒷풀이가 마련되었다.1월 22일에도 여느 때처럼 스터디는 진행되고 있었다. 하권 3번과 4번이 원체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거기에 두 개 정도를 더 예습해서 갔는데, 이날 3번을 맡은 학생이 사정 때문에 나오지 못하는 바람에 무려 하권 15번까지 일사천리로 스터디가 진행되었다. 그건 곧 예습을 못한 3..
1. 소화시평 스터디와 한문공부 『소화시평』 스터디는 작년 4월부터 참가하게 됐다. 다시 한문교사가 되겠다는 생각을 하고 공부할 장소로 서울과 전주 사이에서 갈등하다가 전주로 정하고 나서 3월에야 전주 정착이 완료되었다. 최고의 공부장소라 생각한 임고반엔 어렵지 않게 입성할 수 있었지만, 문제는 역시나 한문 공부였던 것이다. 임고반에만 들어가면 한문공부를 하는 후배들이 있어 그들과 잘 의기투합하면 어렵지 않게 스터디가 꾸려질 거라 생각했는데, 이게 웬 걸 임고반엔 한문임용을 준비하는 아이들은 없었다. 그렇게 3월 내둥 헤매며 시간을 보내게 됐던 것이다. 그렇게 한 달 보름 정도를 보내고 난 후에 소화시평 스터디가 있다는 걸 알게 됐고 참여하게 된 것이니, 참 운이 좋았다고 밖에 할 말이 없다. ▲ 왼..
3. 임용 낙방에 길이 있다 4월에 공부하는 방법을 바꾸고 그 내용들을 차곡차곡 블로그에 올리며 축적해가며 2018년 임용시험의 결과를 만들어냈다. 비록 합격은 하지 못했지만 가능성은 충분히 엿볼 수 있었다. A형은 나에겐 자신감 뿜뿜이었다 하지만 결코 여기서 만족하고 멈춰선 안 된다. 어찌 되었든 결과는 낙방이고 다시 공부를 해야만 하는 상황에 내몰려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작년 임용고시 문제를 다시 풀면서 분석을 하지 않아서 어느 부분에서 얼마나 많이 틀렸고 어떤 부분이 예상이 빗나갔는지 모른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은 기출문제를 다시 풀며 할 것이고 여기서는 피상적인 느낌을 토대로 실패의 원인을 얘기해보고 올해의 공부 방향을 설정해보려 한다. A형 시험지는 이미 말했다시피 문제들이..
1. 임용시험을 대하는 방식이 변하다 시험이 끝나고 와서 임용고사 도전기를 썼다. 그리고 공개할까 말까를 고민하기도 했지만 결국 공개하기에 이르렀다. 그만큼 그 순간에 대해 제대로 즐기고 왔다는 표현이 맞을 것이고, 최선을 다하고 왔다는 표현이 맞을 것이다. 그러니 의식의 흐름에 맞춰서 쓴 글을 조금 다듬을 필요는 있었지만, 그렇다고 공개하지 못할 이유는 없었다. ▲ 정말 오랜만에 다시 임용고사를 봤던 그 장소. 낯설지만 익숙한 이 느낌. 과거 임용고시에서 답안을 작성하던 방식 2008년에 임용고사가 3차 체제로 바뀌기 전엔 지금처럼 주관식으로 써야 했었다. 뭐 그땐 지금처럼 ‘논술하시오’, ‘서술하시오’라는 식으로 나누어졌던 건 아니지만 어떤 것은 단답식이기도 했고, 어떤 것은 ‘몇 글자 내외로 약술하..
2019학년도 한문임용 후기 1. 합격 아니구요, 즐김 맞습니다 마침내 임용고시일이 밝았다. 아기다리 고기다렸다고 할 수는 없지만, 모든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이 날 하루를 위해 일 년 동안 애를 썼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기에 설렌다는 표현이 맞을 거다. 그리고 적어도 여느 때의 임용고시일에 비하면 부담은 적었다. ▲ 아침의 잔뜩 찌푸린 하늘. 그래도 내 기분은 절로 좋다. 졸업과 동시에 합격이란 꿈이 삶을 짓누르다 2006년 12월에 처음으로 임용을 봤을 땐 첫 임용시험임에도 허황된 꿈을 꾸고 있었다. ‘졸업과 동시에 합격’이란 꿈, 말이다. 그건 그 순간을 즐길 수 있게 만들기보다 그 상황에 매몰되어 힘겹게 싸우도록 만들었다. 그래도 경기도에서 시험을 본 덕에 오랜만에 군대 친구인 민호도 만날..
2. 캠퍼스의 낭만처럼 떠난 여행 5월은 가족의 달이지만, 만물이 싱그러워지는 계절이기도 하다. 그래서 3월엔 소생하는 만물에 동화되어 내 마음도 가눌 길 없이 산들바람따라 하염없이 흔들거리고, 4월엔 어느덧 익숙해진 따스함에 마음도 차분히 가라앉으며, 5월엔 덥지도 춥지도 않은 적당한 기운에 어디로든 떠나고 싶어진다. ▲ 4월엔 전주대에도 곳곳에 봄이 내렸다. 아주 늦게 온, 하지만 적절할 때 찾아온 캠퍼스 낭만 하지만 임용을 다시 시작하고 나선 맘이 바빠져서인지, 홀로 애태워서인지, 시간에 대한 압박 때문인지 어디로 떠나질 못했다. 3월에 임용공부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때엔 2주에 한 번씩은 어디든 가야지라고 맘먹었는데, 정작 그게 한 번의 여행으로 끝나버렸다. 그렇게 몸이 근질근질하던 차였는데 5월 ..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 중국 산문 목차 가의賈誼과진론(過秦論)조굴원부(弔屈原賦)구양수歐陽脩상범사간서(上范司諫書)황주죽루기(黃州竹樓記)취옹정기(醉翁亭記)추성부(秋聲賦)악양루기(岳陽樓記)명선부(鳴蟬賦)송서무당남귀서(送徐無黨南歸序)붕당론(朋黨論)춘추론(春秋論)독이고문(讀李翶文)종수론(縱囚論) 굴원屈原이소경(離騷經)어부사(漁父辭)당경唐庚가장고연명(家藏古硯銘)상석시랑서(上席侍郞書)도연명陶淵明귀거래사(歸去來辭)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범중엄范仲淹엄선생사당기(嚴先生祠堂記) 사마광司馬光간원제명기(諫院題名記)독낙원기(獨樂園記)소순蘇洵족보서(族譜序)장익주화상기(張益州畵像記)관중론(管仲論)목가산기(木假山記)고조론(高祖論)상구양내한서(上歐陽內翰書)상전추밀서(上田樞密書)명이자설(名二子說)춘추론(春秋論) 소식蘇軾조주한문공묘비(潮..
11. 10년 임용: 시험이 끝나자 찾아온 활기 작년엔 시험을 보고 절망을 맛봤다면, 이번엔 시험을 보고 희열을 느꼈다. 마지막 시험이기에 좀 더 느긋하게 이 순간을 즐기잔 생각으로 교실에서 맨 마지막에 나왔다. ▲ 온고을 중학교는 나와 징한 인연이 있다. 시험 끝나자 활기가 찾아오다 복도엔 수많은 사람들이 지나가고 있었는데 경수 누나와 미연이가 함께 이야기를 하고 있더라. 다들 오랜만에 만났기에 반가운 마음에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게 기다리던 시험이 끝난 것이기에 한껏 들뜬 모습이 스민다. 미연이의 남자친구는 미연이의 시험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고 있더라. 처음 보지만 훈훈한 모습이 맘에 든다. 신기하게도 고등학생 때부터 사귀기 시작하여 지금까지도 사귀고 있다던 남자친구다. ..
4. 07년 임용: 광주에 시험 보러 와서 한계를 느끼다 07년도 임용은 광주에서 봤는데, 06년에도 군대 동기에게 부탁하여 하룻밤 잠을 잘 수 있었던 것처럼 이때도 광주에 살고 있는 군대 동기에게 부탁을 하여 하룻밤 머물 수 있었다. ▲ 군대인연으로 하룻밤 묵으며 이런 저런 이야기도 할 수 있었다. 지금은 목사가 되어 열심히 사는 친구. 광주에서의 인연, 그리고 악연 그러고 보면 예전의 나라면 ‘민폐 끼치기 싫다’라는 마인드로 절대 하지 않을 일들을 이젠 아무렇지도 않게 하고 있다. 꾸준히 연락하며 지냈던 것도 아님에도 무작정 연락을 하여 잠자리 부탁을 하는 것이니 ‘이기적이다’라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그보다는 이젠 어떻게든 어우러져 돕고 도우며 살아갈 수 있는 상황을 그리기 때문에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