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어휘사전 - 상 본문

어휘놀이터/어휘사전

어휘사전 - 상

건방진방랑자 2020. 4. 19. 01:53
728x90
반응형

153.

 

 

()

살펴보다. 조사하다.

외계(外界)에 나타나 마음의 상상(想像)이 되는 사물의 모양을 말한다. 곧 속세를 떠났다는 말이다.

 

()

상이란 미성년으로 죽은 것을 말하는데, 19~16세에 죽으면 장상(長殤), 15~12세에 죽으면 중상(中殤), 11~8세에 죽으면 하상(下殤), 8세 이하에 죽으면 복()이 없는 상이라 한다. 의례(儀禮)』 「상복전(喪服傳)

 

상가(商歌)

곤경에 처해서도 끄떡하지 않고 의연한 기풍을 지니는 것을 말한다. 증자(曾子)10년 동안 옷을 해 입지 못하고 3일 동안 밥을 지어 먹지 못하는 고달픈 환경 속에서도 상송(商頌)을 소리 높이 부르니, 그 음성이 천지를 가득 진동시키면서 마치 금석(金石)에서 나오는 듯했다는 고사가 전한다. 장자(莊子)』 「양왕(讓王)

 

상가(商歌)

비량(悲凉)한 가락의 노래. 상성(商聲)은 가을을 상징하는 소리로, 슬프고 쓸쓸한 느낌을 자아낸다.

비통한 곡조의 노래. () 나라의 영척(寗戚)이 제 환공(齊桓公)에게서 벼슬을 하고자 하였으나 너무 곤궁하여 환공을 만날 길이 없으므로, 상려(商旅)가 되어 제 나라에 들어가 남의 소를 먹이면서 환공의 행차를 바라보고 소의 뿔을 두드리며 상가를 슬피 부르니, 환공이 그 소리를 듣고 이상히 여겨 그를 데려오게 해서 등용하였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회남자(淮南子)』 「도덕훈(道應訓)도잠(陶潛)의 시에 상가는 나와 상관없는 일, 오늘도 여전히 짝지어 밭 간다오[商歌非吾事 依依在耦耕].”라는 구절이 나온다. 도연명집(陶淵明集)3 辛丑歲七月赴假還江陵 夜行塗中, 사기(史記)八十三 노중련추양열전(魯仲連鄒陽列傳)

 

상가구(喪家狗)

초상집의 개. 여위고 초라한 모습으로 일정한 지위를 못 얻고 걸식하며 떠도는 신세. 초상집은 슬픈 나머지 개에게 먹을 것을 줄 경황이 없어서 개가 파리해지기 때문에, 기운이 없어 축 늘어진 사람에게 비유한 것인데, 춘추시대(春秋時代) () 나라 사람이, 때를 얻지 못하고 방황하는 공자에게 비유했던 말이다. 사기(史記)卷十七 공자세가(孔子世家)

 

상가금석당(商歌金石撞)

곤궁한 속에서 도를 즐김을 비유한 말이다. 증자(曾子)가 일찍이 위() 나라에 있을 적에 매우 곤궁하여 옷은 다 헤지고, 얼굴은 초췌했으며, 3일간을 굶기도 했으나, 그가 상송(商頌)을 노래하면 그 소리는 천지를 진동하여 마치 금석(金石)에서 나온 소리와 같았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장자(莊子)』 「양왕(讓王)

 

상가자유별반림(商家自有別般霖)

() 나라 임금 무정(武丁)이 부열(傅說)을 얻어 재상으로 임명한 뒤 만약 나라에 큰 가뭄이 들면, 내가 그대를 단비로 삼으리라[若歲大旱 用汝作霖雨].”라고 말한 고사가 있다. 서경(書經)』 「열명(說命)

 

상가지구(喪家之狗)

초상집의 개처럼 여위고 초라한 모습으로 일정한 지위를 못 얻고 걸식하며 떠도는 신세. 평성(平聲)으로 읽으면 상갓집의 개라는 뜻이고, 거성(去聲)으로 읽으면 집을 잃어버린 개라는 뜻이다. 공자가 정() 나라에 가서 혼자 성() 동문에 서있는데 어떤 사람이 자공(子貢)에게 말하기를, “동문에 어떤 사람이 어릿어릿 초상집 개 같더라.” 하였다. 사기(史記)卷十七 공자세가(孔子世家)

 

상가출금석(商家出金石)

증자(曾子)가 위() 나라에 있을 적에 몹시 곤궁하여 10년 동안 옷을 지어 입지 못하고, 3일 동안을 굶고도, 그가 신을 끌면서 상송(商頌)을 노래하면 그 소리가 천지에 가득 차서 마치 금석(金石)의 악기를 연주하는 듯이 고아했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장자(莊子)』 「양왕(讓王)

 

상간(霜簡)

어사가 혐의자를 탄핵하는 상주서(上奏書)인데, 또는 백간(白簡)이라고도 한다.

 

상간(象簡)

조홀(朝笏)과 같은 뜻이다. 상아(象牙)로 만든 수판(手版). 수판은 관원이 조정에 등청할 때 손에 드는 판으로, 조홀(朝笏)이라 불리기도 했는데 주청할 일이 있으면 기록해 잊어버리지 않게 하는 도구이다. / 인용: 酒吃翁夢記(허균)

 

상감만수향(霜柑滿袖香)

정월 대보름날 밤에 근신(近臣)들이 임금을 모시고 술을 마실 때 귀척들이 근신들에게 서로 다투어 감귤을 전해 주면 이것을 가지고 집에 돌아왔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상갑(上甲)

춘ㆍ하ㆍ추ㆍ동 각 철마다 첫 번째에 든 갑자일을 가리키는데, 농가에서는 이날의 일기를 가지고 해의 풍흉 등을 점친다고 한다.

 

상강구객(湘江久客)

() 나라의 굴원(屈原)을 지칭한 말로, 여기서는 귀양온 필자 자신을 의미하고 있다.

 

상강의(湘江意)

소상강(瀟湘江)에 대()가 유명한데, 여기서는 대()가 작은 분()에 있으면서, 무성하게 자란다는 뜻이 있다.

 

상강이녀(湘江二女)

() 임금의 두 아내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을 말한다. 술이기(述異記)옛날 순임금이 남쪽 지방을 순수(巡狩)하다가 붕어하자 아황과 여영이 소상강(瀟湘江) 가에 이르러 통곡하다가 빠져 죽었다.” 하였고 그곳에는 아황과 여영의 황릉묘(黃陵廟)가 세워졌다.

 

상경(上京)

천자의 수도를 말한다. / 인용: 檄黃巢書(최치원)

 

상계(上界)

천상의 세계. 곧 신선의 세계를 말한다.

 

상곡(桑穀)

모두 나무 이름으로 뽕나무와 닥나무이다. 옛날엔 이 두 나무가 한꺼번에 조정에 나면 상서롭지 못한 징조로 여겼었다. 사기(史記)』 「은본기(殷本紀)

 

상곡생조(桑穀生朝)

상과 곡은 다 나무 이름이다. 이것들이 대궐 뜰에 나는 것을 불상(不祥)으로 여겼는데, 사기(史記)』 「은본기(殷本紀)태무(太戊)가 즉위하고 이척(伊陟)이 정승으로 있을 때, 상곡이 대궐 뜰에 나서 하룻밤 사이에 두 손아귀가 가득 찰 정도로 크자, 임금이 놀라 이척에게 물으니 이척이 신은 듣건대, 요사함이 덕을 이기지 못한다 하였습니다. 임금께서 덕을 닦으십시오.’ 하므로 태무가 그대로 따르니, 상곡이 말라죽었다.” 하였다.

 

상골(霜骨)

소나무를 뜻하는 시어(詩語)이다.

 

상곽(向郭)

()나라 상수(向秀)와 곽상(郭象).

 

상관황후(上官皇后)

상관안(上官安)의 딸로 겨우 6세 때에 한 소제(漢昭帝)의 황후가 되었는데, 얼마 후에 자기 아버지는 역모(逆謀)를 하다가 발각되어 멸족(滅族)을 당하였다. 황후가 14세 때에 소제가 붕어하자, 황후는 이때부터 홀로 되어 슬픔 속에 지내다가 선제(宣帝)가 즉위한 후에 나이 52세로 붕어하였다. 한서(漢書)卷九十七

 

상광(詳狂)

미친 짓을 하다. 의 통가자(通假字).

 

상구(床龜)

거북 모양의 평상 발. 육구몽(陸龜夢)의 유거부(幽居賦)거북으로 평상을 받치고 사슴 가죽으로 수건을 만들어 생활하며 은사(隱士)를 부르지 않는 것을 의아하게 생각한다.” 하였다.

 

상구(喪狗)

초상집 개라는 뜻으로, 초상집은 슬픈 나머지 개에게 먹을 것을 줄 경황이 없어서 개가 파리해지기 때문에, 기운이 없어 축 늘어진 사람에게 비유한 것인데, 춘추시대(春秋時代) () 나라 사람이, 때를 얻지 못하고 방황하는 공자에게 비유했던 말이다. 사기(史記)卷十七 공자세가(孔子世家)

 

상구(床龜)

옛날 남방(南方)의 한 노인(老人)이 거북으로 침상(寢床)을 괴 놓고 지낸 지 20여 년 만에 죽자, 그 침상을 옮기다 보니, 그때까지 거북이 죽지 않고 살아 있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전하여 몸이 곤경에 처하여 마음이 적막함을 비유한 말이다. 사기(史記)128 귀책열전(龜策列傳)

 

상구(爽鳩)

오제(五帝)의 하나인 소호씨(少昊氏) 시대에 도적을 막는 일을 담당한 관리이다.

 

상구(相求)

주역(周易)』 「건괘(乾卦)문언(文言)같은 종류는 서로 구하여 모인다[同氣相求].” 한 데서 온 말로, 지기(知己)의 친구임을 의미한다.

 

상구(商瞿)

춘추(春秋)시대 사람. 공자(孔子)의 제자로서 유독 주역(周易)을 좋아했기 때문에 공자가 그의 뜻대로 그에게 주역을 전수하였다. 사기(史記)卷六十七

 

상구씨(爽九氏)

옛날의 관명(官名)인 사구(司寇)를 말한다. 사구는 형벌을 맡은 벼슬이다.

 

상구씨(爽鳩氏)

처음 터를 잡고 살았던 사람을 가리킨다. 춘추시대(春秋時代) () 나라 경공이 술을 마시며 옛날부터 죽는 일이 없었다면 그 즐거움이 어떠할까.”라고 하자, 안자(晏子)옛날 상구씨가 이곳에 터를 잡고 살았는데, 만약 죽는 일이 없었다면 지금까지도 이곳의 즐거움은 상구씨가 독차지하고 있었을 것이다.”라고 대답했던 고사가 전한다. 좌전(左傳)昭公 20

 

상구어산풍(上九於山風)

주역(周易)고괘(蠱卦)의 상구(上九), “군왕을 섬기지 않고 한가로움을 추구한다.(不事王侯 高尙其事)”하였다.

 

상국홍(上國洪)

상국은 중국을 말하며, 홍은 고려 때 원 나라로 귀화한 홍다구(洪茶丘)가 남양 홍씨(南陽洪氏)이므로 일컫는 말이다.

 

상군(商君)

() 나라의 공자였던 공손앙(公孫鞅)은 진() 나라의 효공(孝公)을 도와 개혁정치를 단행하여, 그 공로로 상() 땅에 봉해졌으므로 상군 또는 상앙(商鞅)이라 불렀는데, 그의 부국 강병(富國强兵) 정책에 힘입어 진 나라는 마침내 산동(山東)의 제후들을 복종시키고 천하를 통일하였으나 인의(仁義)를 버렸으므로 무도(無道)하기로 유명하여 2대 만에 망하고 말았다. 사기(史記)』 「진본기(秦本紀)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상군상지수(桑君上池水)

상군은 편작(扁鵲)에게 의술(醫術)을 전한 장상군(長桑君)을 가리킨 것이고, 상지수는 대() 잎의 이슬을 말하는데, 장상군이 편작에게 약을 주면서 상지수로 먹게 하자 편작이 그 약을 30일 동안 먹고 나서 의술을 통하였다는 고사이다. 사기(史記)卷一百五 편작창공열전(扁鵲倉公列傳)

 

상군정(賞軍政)

공민왕(恭愍王) 3년 원 나라에서 장사성(張士誠) 등 반란군을 토벌하기 위하여 고려에 원병을 요청했을 때, 부족한 장교를 보충하기 위하여 정원 외에 몇 명씩을 첨설(添設)한 일.

 

상궁사가경(傷弓事可驚)

예전에 화살을 맞아 본 경험이 있는 새는 활시위 튕기는 소리만 들어도 지레 놀라 땅에 떨어진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4

 

상궁조(傷弓鳥)

한 번 환란을 겪고 난 뒤로부터 항상 불안한 마음을 지니고 사는 것을 말한다. 화살에 한 번 혼이 났던 기러기가 활 튕기는 소리만 듣고서도 땅에 떨어졌다는 고사에서 비롯된 것이다.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

 

상궁지조(傷弓之鳥)

활에 다친 새. 한번 화살에 맞은 새가 항상 의심하고 두려워함과 같이 한번 궂은 일을 당하고 나면 늘 의심하고 두려워하게 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상규요사궁무애(上窺姚姒窮無涯)

()()의 도를 탐구한다는 뜻으로, ()는 우순(虞舜)의 성이므로 곧 순 임금을 가리킨 것이고 사()는 하우(夏禹)의 성이므로 곧 우 임금을 가리킨 것이다. 한창려집(韓昌黎集)12 진학해(進學解)위로 요사를 넘어다보건대, 혼혼하여 가이없다[上規姚姒 渾渾無涯].” 하였다.

 

상금(傷錦)

춘추시대(春秋時代) () 나라 자피(子皮)가 재능이 부족한 윤하(尹何)에게 고을을 다스리게 하려고 하자, 자산(子産)이 자피에게 말하기를 그대에게 아름다운 비단이 있다면 사람으로 하여금 그 비단으로 옷 짓는 일을 배우게 하지 않을 것이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좌전(左傳)襄公三十一年

 

상금의미석(償金疑未釋)

() 나라 때 직불의(直不疑), 같은 방에 있는 사람으로부터 금()을 훔쳐갔다는 의심을 받고는 변명도 하지 않은 채 그 금을 보상해 주었는데, 그 사람은 내내 직불의가 참으로 자기 금을 훔쳐간 것으로 의심하였으나, 결국은 직불의가 금을 훔쳐가지 않은 사실이 밝혀졌다.

 

상금재파(祥琴纔罷)

대상(大祥)을 막 지냈음을 말한다. 예기(禮記)』 「상복사제(喪服四制)대상을 지낸 날에 소금을 탄다[祥之日鼓素琴].”하였다.

 

상금졸능(傷錦拙能)

벼슬을 할 만한 경륜(經綸)이 없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후한서(後漢書)』 「유성공전(劉聖公傳)작위(爵位)와 거복(車服)은 성인(聖人)이 소중하게 여긴 것이다. 그런데 지금 그 소중하게 여긴 것을 적합하지 않은 사람에게 더해 준다면, 마치 재목을 못쓰게 만들고 비단을 상하게 하는 것과 같으니, 이것은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이다.” 한 데서 온 말이다.

 

상기제역(象寄鞮譯)

중국에서, 변방 여러 나라의 언어(言語)를 통역하는 일을 맡은 벼슬아치에 대하여 이를 동ㆍ서ㆍ남ㆍ북의 각기 해당 지역에 따라서 나눈 호칭. 이를 통틀어 상기제역(象寄鞮譯)이라고 한다. / 유의어: 상서(象胥), 제상기역(鞮象寄譯)

 

상납인정(上納人情)

뇌물의 한 가지. 조선조 때 북방야인들은 으레 모물(毛物)을 진상(進上)했다. 진상할 때에는 반드시 소속 변장(邊將)에게 품종을 검사받게 되었다. 그러면 변장은 그것의 다과(多寡)에 따라 각각 징취(徵取)하였으니, 이것을 상납인정(上納人情)이라 하였다.

 

상누(湘櫐)

원죄(寃罪)로 방축(放逐)되어 상수(湘水)에 투신 자살한 충신 굴원(屈原)을 가리킨다.

 

상달(上達)

위를 향하여 진보하는 것. 논어(論語)』 「헌문(憲問)군자는 항상 위를 향하여 진보하고 소인은 항상 아래를 향하여 퇴보한다[君子上達 小人下達].” 하였다.

 

상담(祥禫)

삼년상(三年喪) 때 지내는 소상(小祥), 대상(大祥)의 제사와 담제(禫祭)를 말한다.

 

상담(湘潭)

중국 호남성(湖南省)의 현() 이름으로, 한때 장사군(長沙郡)에 딸리기도 하였는데 한 문제(漢文帝) 때 가의(賈誼)가 장사왕 태부(長沙王太傅)로 좌천된 곳이라 하여 흔히 귀양지의 별칭으로 사용한다.

 

상담(賞膽)

오왕(吳王) 부차(夫差)가 그의 아버지가 월() 나라에게 패전하여 죽은 원수를 갚으려고 짐승의 쓸개를 거처하는 곳에 달아두고 아침저녁으로 그 쓴맛을 맛보면서 월 나라 사람이 아버지 죽인 원수를 잊지 않겠다.” 하였다. / 유의어: 상담(嘗膽)

 

상담(湘潭)

초 나라 충신 굴원(屈原)이 귀양갔던 상수(湘水) 물가로, 궁벽한 귀양지를 가리킨다.

 

상담수(湘潭愁)

() 나라 굴원(屈原)이 무고를 당하여 상수(湘水)로 쫓겨나 있으면서 시름하였다.

 

상담초사(湘潭楚辭)

상담은 중국 호남성(湖南省)에 딸린 고을 이름으로 전국시대(戰國時代) () 나라 충신 굴원(屈原)이 참소를 받고 쫓겨났던 곳이고, 초사는 그가 지은 이소경(離騷經)어부사(漁父辭)등의 총칭인데, 주로 간신은 뜻을 얻어 판을 치고 충신은 쫓겨나는 현실에 대한 비분강개한 뜻을 노래한 글이다.

 

상담축객(湘潭逐客)

조정에서 억울하게 죄를 받고 쫓겨난 사람들을 말한다. 굴원(屈原)어부사(漁父辭)굴원이 조정에서 쫓겨난 뒤에 강담(江潭)을 서성이고 택반(澤畔)에서 읊조렸다.”는 말이 나오는데, 강담은 바로 상담(湘潭)이다.

 

상담한(湘潭恨)

()굴원(屈原)이 상수(湘水) 깊은 물에 빠져 죽은 한을 말한다.

 

상당(上黨)

중국 산서성(山西省) 동남부에 위치한 군명. 지대가 너무 높아 하늘과 무리를 이루고 있다 하여 붙여진 이른다.

 

상당(上黨)

충청북도 청주(淸州)의 옛 이름으로, 곧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등 청주 한씨(淸州韓氏)의 일족(一族)을 가리킨다.

 

상당송연(上黨松煙)

상당은 지명. 득수루잡초(得樹樓雜鈔)옛사람이 먹()을 만드는 데 있어 모두 송연(松煙)을 사용하는데, () 나라 때는 상당의 송연을 사용했다.” 하였다.

 

상대(霜臺)

어사대(御史臺)로 사헌부(司憲府)의 별칭이다.

어사대부(御史大夫)의 아칭(雅稱)이 상대(霜臺)인데, ‘서릿발같이 엄한 관서라는 뜻이다.

 

상대(上台)

삼대성(三臺星)은 삼공(三公)을 표상하는 별인데, 상대는 수상(首相)을 말한다.

 

상도(常道)

떳떳한 도이다.

 

상돈(上暾)

아침해가 떠오르다.

 

상동(床東)

사위의 별칭이다. () 나라의 태위(太尉) 치감(郗鑒)이 왕 승상의 집에서 사윗감을 구했을 때, 다른 자제들은 모두 단정한 모습으로 각자 선발되기를 기대하였으나, 왕희지(王羲之)만은 동상(東床)에 엎드려 누운 채 태연자약하게 떡을 먹고 있었는데, 이에 치감이 그의 풍도에 경도된 나머지 왕희지에게 딸을 주었다는 고사가 전한다. 진서(晉書)』 「왕희지전(王羲之傳)악부(樂府)의 금곡(琴曲) 가운데 부부가 이별할 때의 아내의 슬픈 심정을 노래한 별학원(別鶴怨)’이 있다.

 

상락(桑落)

나이 들어 용모가 쇠해진 것을 말한다. 시경(詩經)위풍(衛風) ()桑之落矣 其黃而隕에서 나온 말이다.

옛날 좋은 술의 이름으로, 하동군(河東郡)에 사는 유타(劉墮)라는 사람이 황하의 물을 길어서 빚은 술이라고 한다.

 

상락공(上洛公)

상락군개국공(上洛君開國公)에 봉해진 고려의 김방경(金方慶)을 가리킨다.

 

상락백(上洛伯)

김사형(金士衡)의 봉호이다.

 

상락은(商洛隱)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이상 네 사람. 이들은 진()의 난을 피하여 상락(商洛)깊은 산으로 들어가 은둔 생활을 하였다. 한서(漢書)』 「왕공전서(王貢傳序)

 

상락주(桑落酒)술 이름이다. 하동(河東)의 상락(桑落)고을에 우물이 있는데 뽕잎이 지는 시기에 그 물을 길어다 술을 빚으면 그 술맛이 매우 좋아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비설록(霏雪錄)

 

상렴(緗簾)

비단으로 만든 주렴.

 

상령(商嶺)

상산(商山)으로 상주(尙州)의 옛 이름이다.

 

상령(爽靈)

태미령서(太微靈書)人有三魂 一曰爽靈 二曰台光 三曰幽精이라 하였다. 소식(蘇軾)의 부용성시(芙蓉城詩)天門夜開飛爽靈의 구가 있다.

 

상령(湘靈)

상수(湘水)의 신으로, 상수에 빠져 죽은 순() 임금의 비()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을 말한다. () 임금의 딸인 아황과 여영이 순 임금에게 시집 가 비가 되었는데, 순 임금이 남쪽 지방을 순행하다가 죽어 창오(蒼梧)의 들에 묻혔다. 그러자 두 비가 순 임금이 그리워 통곡하면서 흘린 눈물이 대나무에 떨어져서 반점이 생겼다. 두 비가 그 뒤에 상강에서 죽으니, 사람들이 상부인(湘夫人)이라고 칭하였다. 열녀전(列女傳)

 

상령고슬(湘靈鼓瑟)

상령(湘靈)은 상수(湘水)의 신()으로, ‘상령이 거문고를 탄다는 뜻이다. 초사(楚辭), “使湘靈鼓瑟이란 것이 보인다. () 나라 시인 전기(錢起)가 일찍이 상령고슬시(湘靈鼓瑟詩)를 지었다.

 

상로(霜露)

부모와 선조에 대한 애틋한 생각을 말한다. 예기(禮記)』 「제의(祭義)서리와 이슬이 내린 곳을 군자가 밟고 가면 반드시 처창(悽愴)한 마음이 들게 마련인데, 이는 결코 추워서 그런 것이 아니다.” 하였는데, 정현(鄭玄)의 주()이는 계절의 변화에 어버이 생각이 나서 그런 것이다.” 하여, 가을이 되면 돌아간 부모를 생각하고 제사를 지내는 의미를 말하였다.

 

상로감(霜露感)

돌아간 조상을 슬퍼하는 마음을 이른다. 예기(禮記)』 「제의(祭義)서리와 이슬이 내리면 군자(君子)가 그것을 밟아 보고는 반드시 슬픈 마음이 들게 된다.” 하였다.

 

상로병(霜露病)

감기 기운으로 일어나는 병.

 

상로비(霜露悲)

돌아간 부모를 슬퍼하는 것을 이른다. 예기(禮記)』 「제의(祭義)서리와 이슬이 내리거든 군자가 그것을 밟아 보고 반드시 슬퍼하는 마음이 있게 된다.” 한 데서 온 말이다.

 

상로지사(霜露之思)

어버이에 대한 사무친 생각을 말한다. 예기(禮記)』 「제의(祭義)서리와 이슬(霜露)이 내린 뒤에 군자가 이를 밟고 가노라면 처창(悽熗)한 마음이 들게 마련인데, 이는 그 한기(寒氣) 때문에 그렇다는 말이 아니다.” 하였는데, 정현(鄭玄)이 해설하기를 추운 계절이 돌아오자 어버이 생각이 사무치는 것을 말한 것이다.” 하였다.

 

상론자(尙論者)

고인(古人)의 언행(言行)ㆍ인격(人格)을 논한 사람.

 

상루(湘纍)

죄를 지어 관직에서 내쫓기는 것을 말한다. () 나라 굴원(屈原)이 무고를 당하여 상수(湘水)로 쫓겨나 있다가 죽었으므로 이렇게 이른 것이다.

 

상류(湘櫐)

굴원(屈原)이 죽은 것을 일컫는 말인데 여기서는 굴원을 가리킨다. 양웅(揚雄)반이소(反離騷)()의 상루에 조상한다.” 하였는데, 그 주에 죄없이 죽은 것을 누라 하며, 상강(湘江)의 멱라수(汨羅水)에 빠져 죽었으므로 상루라 한다.” 하였다.

 

상류전(上留田)

악부(樂府)의 이름이다. 그 내용은 옛날 상류전(上留田) 사람이 부모가 죽은 뒤에 그 형되는 자가 외로운 동생을 부양해주지 않으므로, 그 이웃 사람이 그 아우된 사람을 위해 슬픈 노래를 지어 그 형을 풍자한 것이라고 한다

 

상률숙금형(商律肅金刑)

상은 오음(五音) 중의 하나로 가을에 해당하며 금()은 오행(五行)의 하나로 역시 가을에 해당하는데, 상이나 금이 모두 오색(五色)으로 말하면 흰색이 된다.

 

상릉(上陵)

제왕의 선왕 능묘에 올라가서 제례(祭禮)를 행하는 것을 말한다.

 

상린(祥麟)

제왕의 말을 사육하는 곳을 말한다. () 나라 때 상린(祥麟)과 봉원(鳳苑)이라는 천자의 마구간 두 개가 있었다고 한다. 신당서(新唐書)』 「병지(兵志)

 

상린리화(祥麟罹禍)

공자가 기린()이 나왔다가 맞아 죽는 것을 보고 울었다. 그가 춘추(春秋)를 짓다가 그 때부터 붓을 끊고 말았다.

 

상림(商霖)

상 나라의 장마비. 서경(書經)』 「열명(說命)에서 상 고종(商高宗)이 부열(傅說)을 재상으로 삼고 나서 이르기를 만일 해가 큰 가뭄이 들거든 그대를 장마비로 삼으리라[若歲大旱 用汝作霖雨].” 한 데서 온 말이다. 서경(書經)』 「열명(說命)

 

상림(桑林)

지명으로, 탕왕(湯王)이 기우제를 지냈다 한다. 탕왕(湯王) 때의 음악. 또는 송()나라의 무악(舞樂)이라고도 한다.

 

상림(上林)

상림원은 진()ㆍ한()시대 때 장안(長安)에 있었던 황제의 정원으로, 대궐을 말한다.

() 나라 때 문장가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상림원(上林苑)에서 지은 상림부(上林賦)를 가리키는 말인데, 이 상림부가 문장이 훌륭하기로 유명하다.

원래 진() 나라 때부터 있던 동산이었는데 한 무제(漢武帝)가 그 규모를 크게 확장하였다. 천자(天子)가 군신들을 거느리고 사냥을 즐기는 곳. 사마상여(司馬相如), 상림부(上林賦)

궁중의 동산으로 상림원(上林苑)을 말한다. () 나라 소무(蘇武)가 흉노족에게 잡혀 있어 죽은 줄 알았는데, 하루는 천자가 상림원에서 활을 쏘아 흰 기러기를 잡으니, 기러기의 다리에 소무가 어느 못가에 있다.’고 적혀 있었다 한다. 고문진보(古文眞寶)前集 소무(蘇武)

 

상림가수응전차(上林嘉樹應全借)

당대(唐代) 이의문(李義文)의 고사를 인용한 말이다. 즉 당 태종이 이의문을 처음 불러 보고 까마귀()를 두고 시를 지으라 하니, 그가 상림원에 나무가 많기도 한데, 한 가지도 빌려서 살지 못하네[上林多少樹 不借一枝棲].” 하며 자신의 처지를 비하여 지었으므로 태종이 말하기를 앞으로 너에게 나무 전체를 빌려 줄 것인데 어찌 가지 하나뿐이겠는가.”라고 하였다 한다. 당서(唐書)』 「태종본기(太宗本紀)

 

상림부(上林賦)

상림부는 한() 나라 때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지었다.

 

상림오(上林烏)

상림은 천자(天子)의 동산인 상림원(上林苑)의 준말로, 즉 까마귀를 의인화하여 벼슬길에 나감을 비유한 말이다.

 

상림원(上林苑)

상림원은 한 무제(漢武帝)때 천자의 봄 가을 사냥놀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종 새와 짐승을 기르는 숲으로 상원(上苑), 또는 금림(禁林)이라고도 한다.

() 나라 때의 궁원(宮苑) 이름으로, 도성에 있는 왕의 비원(祕苑)을 말한다.

 

상림일지(上林一枝)

() 이의보(李義父)가 임금 앞에 불려 나가 뵈옵는데, 태종(太宗), “‘까마귀를 두고 시를 지으라.” 하니 그가 읊되, 끝 구에, “상림(上林)엔 나무도 많건만, 깃들일 한 가지도 안 빌려주는구나.” 하니, 태종이 말하기를, “장차 온 나뭇가지를 네게 빌려주리니 어찌 다만 한 가지뿐이랴.” 하였다. 뒤에 등용되어 벼슬이 상위(相位)에 올랐다.

 

상림차일지(上林借一枝)

상림(上林)은 상림원(上林苑)의 준말이다. 당 태종(唐太宗)이 이의보(李義父)를 처음으로 불러들여 영오시(詠烏詩)를 짓게 하자, 이의보가 읊기를 태양은 아침에 나부끼고 거문고에선 야제곡을 듣네. 상림원의 하많은 나무, 한 가지도 빌려주지 않네[日影颺朝彩 琴中聞夜啼 上林多少樹 不借一枝棲].” 하니, 태종이 어찌 가지 하나뿐이겠는가, 내가 너에게 나무 전체를 다 빌려주리라.” 했다는 고사이다.

 

상림축(桑林祝)

인조(仁祖)가 친히 기우제(祈雨祭)를 지낸 것을 말한다. () 나라에 큰 가뭄이 들었을 때, 탕왕(湯王)이 모든 허물을 자신에게 돌리며 상림(桑林)의 사당에 나아가 상제(上帝)에게 기도를 드리자, 말이 채 끝나기도 전에 비가 쏟아져 내렸다는 이야기가 제왕세기(帝王世紀)에 전한다.

 

상마(相馬)

진목공(秦穆公)이 좋은 말()을 구하려 하는데 말을 잘 알아 보는 백락(伯樂)이 자기보다 말을 더 잘 안다는 구방고(九方皐)를 추천하였다. 목공(穆公)이 말을 구하러 보내었더니 석달 만에 돌아왔기에, “어떤 말인가.” 하니, “암컷이고 털빛은 누릅니다.” 하였다. 사람을 시켜 말을 몰고 온즉 수컷이고 흑색이었다. 목공이 백락을 불러, “말을 구해 놓았다는 사람이 암컷인지 수컷인지 황색인지 흑색인지도 모르니 어찌 좋은 말을 알아보았겠는가.” 하였다. 백락이, “구방고는 말의 상()을 보는데 천기(天機)만을 보고 암컷ㆍ수컷, 황색ㆍ흑색을 볼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런 것은 잊은 것입니다.” 하였다. 구방고가 구한 말은 과연 천하에 제일가는 말이었다. 구방고의 높은 눈은 도리어 처음에 목공에게 의심을 받았다. 열자(列子)』 「설부(說符)

 

상마경(相馬經)

서명(書名). 옛날 말 상을 잘 보았던 백락(伯樂)이 지은 책으로, 말을 상 보는 데 대한 법을 설명한 것이다. 수서(隋書)』 「경적지(經籍志)

 

상마상(上馬桑)

말에 실은 뽕이란 뜻으로, 많은 뽕을 의미한다. 원호문(袁好問)의 추잠(秋蠶) 시에, “……아침에 그것들에게 상마상을 먹였더니, 대밭에 빗소리가 잠박 너머에서 들려오네[朝來飼却上馬桑 隔簇仍聞竹間雨].” 하였다.

 

상망도술(相忘道術)

세상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추구하는 명리(名利)가 아닌 도 속에서 서로 피아(彼我)의 구분이 없이 깊이 사귀는 벗이라는 것이다.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물고기는 강이나 호수 속에서 서로를 잊고 사람은 도의 세계에서 서로를 잊는다[魚相忘乎江湖 人相忘乎道術].” 하였다.

 

상망수각질(象罔手脚疾)

황제(黃帝)가 적수(赤水) 북쪽에서 노닐다가 돌아오는 길에 현주(玄珠)를 잃어버렸는데, 아무도 찾지 못하는 중에 상망(象罔)만이 찾아냈다는 이야기이다[黃帝游乎赤水之北, 登乎昆侖之丘而南望. 還歸, 遺其玄珠. 使知索之而不得, 使離朱索之而不得, 使喫詬索之而不得也. 乃使象罔, 象罔得之]. 장자(莊子)』 「천지(天地)여기에서 상()은 비무(非無), ()은 비유(非有)를 지시하고 있는데, 보통 무심(無心)의 상징으로 인지되고 있다.

 

상맥(桑麥)

후한(後漢) 때 장감(張堪)이 어양태수(漁陽太守)가 되어 선정을 베풀자, 백성들이 노래하기를 뽕나무는 붙은 가지가 없고 보리 이삭은 두 갈래가 졌네 장군이 정사를 하니 즐거움을 감당치 못하겠도다[桑無附枝 麥穗兩岐 張君爲政 樂不可支].”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상목(商木)

3승포(升布)상목이라 하고, 56승포를 회봉(回俸)’이라 한다. 그런데 무명, 즉 면포의 품질은 날 80올을 1(())로 하여 기준을 삼는데 새수가 많은 것일수록 곱다.

 

상문(桑門)

범어(梵語)로 사문(沙門)과 같은 말이다. 불교 또는 승려를 말한다.

 

상반고신(湘畔孤臣)

상반(湘畔)은 초() 나라 굴원(屈原)이 조정에서 쫓겨난 뒤 상수(湘水) 가를 거닐며 행음택반(行吟澤畔)하였다는 어부사(漁父辭)의 고사에서 나온 말로, 귀양 간 사람을 비유할 때 쓰는 표현이다.

 

상방(上方)

사찰의 주지(主持)가 거처하는 곳으로, 보통 사찰을 말한다.

 

상방(尙方)

상의원(尙衣院)의 별칭이다. 궁중의 기물과 의복, 음식 등을 관장하는 임무, 또는 이를 관장하는 관청. 조선 시대 임금의 의복을 진공(進供)하고 궁중의 재물과 어보(御寶) 등을 관리하던 기관이다. / 인용: 金聖基傳(정래교)

 

상방검(尙方劍)

전권(全權)을 위임하면서 임금이 대신이나 장수에게 내려 주는 검을 말한다.

 

상방참마(尙方斬馬)

() 나라 주운(朱雲)이 성제(成帝) 때 권세를 멋대로 휘두르던 장우(張禹)를 제거하겠다고 하면서 황제의 검을 빌려 달라고 청했던 고사이다. 한서(漢書)』 「주운전(朱雲傳)

 

상방하방(上方下方)

주지승의 거처를, 하방은 일반 승려의 거처를 말한다.

 

상보(尙輔)

이경석(李景奭)의 자()이다.

 

상보(尙父)

주 문왕(周文王)의 스승이었던 태공 망(太公望)으로 당 고종(唐高宗) 상원(上元) 원년에 무성왕(武成王)에 추시(追諡)되었는데, 곧 훌륭한 국사(國師)를 가리킨 것이다.

 

상복(象服)

법도의 복(). 옛날 후비(后妃)와 귀부인(貴夫人) 등이 입던 예복과 의물(儀物)을 말한다. 시경(詩經)용풍(鄘風) 군자해로(君子偕老)상복이 이에 알맞다[象服是宜].” 하였는데, 그 주에 상복은 존자(尊者)가 꾸미는 것이다.” 하였다.

 

상복(桑濮)

지명(地名)으로 상간(桑間)ㆍ복상(濮上)을 가리키는데, 예기(禮記)악기(樂記)상간ㆍ복상의 음악은 망국(亡國)의 음악이다.” 하였다.

 

상봉(桑蓬)

뽕나무 활과 쑥대 화살이라는 상호봉시(桑弧蓬矢)의 약칭으로, 천하를 경략하고자 하는 큰 뜻을 말한다. 고대에 아들이 태어나면 뽕나무로 활을 만들고 쑥대로 화살을 만들어서 천지 사방에 활을 쏘아, 남아로 태어났으면 응당 사방을 돌아다닐 뜻을 품어야 함을 표상하였다. 예기(禮記)』 「사의(射義)남자가 태어나면 뽕나무 활여섯 개와 쑥대 화살 여섯 개로 천지 사방에 쏘았으니 이는 남자가 큰 뜻을 갖는 의미라 한다.” 하였다.

 

상봉지(桑蓬志)

상봉은 상호봉시(桑弧蓬矢), 뽕나무로 만든 활과 쑥대줄기로 만든 화살이다. 상고 때 사내아이가 출생하면 뽕나무 활로 쑥대 화살 여섯 개를 천지와 사방에 각각 쏘아날려 사나이의 뜻이 사방에 있다는 의미를 붙였다. 곧 사나이의 원대한 포부를 말한다. 예기(禮記)』 「내칙(內則)

 

상부(翔鳧)

동한(東漢)의 왕교(王喬)가 섭현(葉縣)의 현령으로 임명된 뒤에 자신의 신발을 물오리로 변하게 하여 그 등 위에 타고 서울을 왕래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후한서(後漢書)82방술전(方術傳)上 王喬傳

 

상부(商婦)

장사하는 아낙을 말한다.

 

상부(祥符)

송 진종(宋眞宗)의 연호(1008-1016)

 

상부시(孀婦詩)

청상 과부(靑孀寡婦)라는 제목으로 읊은 시. 전문은 다음과 같다. “七十老孀婦單居守空壺 慣讀女史詩 頗知姙姒訓 旁人勸之嫁 善男顔如槿 白首作春容 寧不愧脂粉

 

상분(祥氛)

상서와 요기를 이르는 것이다.

 

상분(嘗糞)

지극한 효성이나,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남에게 아첨하는 뜻의 고사성어다.

 

상비(湘妃)

()의 이비(二妃)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이 순()이 남순(南巡)하다가 창오산(蒼梧山)에서 죽자, 소상강(瀟湘江)을 건너지 못하고 슬피 울다가 마침내 이 물에 빠져 죽어 상수(湘水)의 신()이 되었다는 전설에 의한 것으로 상군(湘君)이라고도 한다.

 

상비만(象鼻彎)

술병의 주둥이가 ‘s’(에스) 자로 구부러진 것을 표현한 말이다. 소식(蘇軾)의 시에 碧筩時作象鼻彎 白酒微帶荷心苦라는 구절이 있다. 소동파시집(蘇東坡詩集)19 泛舟城南 會者五人 分韻賦詩 得人皆苦炎字

 

상비배(象鼻杯)

줄기가 붙은 연잎을 이용한 술잔. ()의 정시(正始) 연간에 정각(鄭慤)이 삼복 더위에 빈료(賓僚)들을 데리고 사군림(使君林)으로 피서를 가서 큰 연잎을 연격(硯格) 위에 올려놓고 술을 따른 다음 잎 가운데를 비녀로 찔러서 줄기로 술이 흘러내리게 하고는, 그 줄기를 마치 코끼리의 코 모양과 같이 굽혀서 이를 빨아먹었는데, 그 이름을 벽통배(碧筩杯)라고 하였다 한다. 서양잡조(西陽雜俎)』 「주식(酒食)

 

상비한루흔(湘妃恨淚痕)

() 임금이 남쪽 지방을 순수하다가 죽었으므로 창오(蒼梧)에다 장사지냈다. 순 임금의 비()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이 상강(湘江)에 이르러 둘이 부둥켜안고 울다가 상강에 빠져 죽었는데, 그들이 흘린 피눈물이 대나무에 떨어졌으므로 반죽(斑竹)이 생겼다 한다. 술이기(述異記)

 

상사(上駟)

가장 좋은 사마(駟馬)를 말한다.

 

상사(上巳)

음력 3월 초3, 즉 삼짇날을 말한다. () 나라 이전에는 3월 상순(上旬)의 사일(巳日)을 상사(上巳)라고 하였는데, 위진(魏晉) 이후로는 사일(巳日)에 관계없이 33일을 상사라고 하였다.

 

상사(上舍)

진사(進士)나 생원을 가리킨다. 성균관 유생을 말한다. / 유의어: 상사생(上舍生) / 인용: 端川節婦詩(김만중)

 

상사심기제동정(常使心旗齊動靜)

마음을 언제나 잘 안정하라는 뜻이다. 심기(心旗)는 마음이 안정되지 못하여 마치 깃발처럼 동요하는 것을 말한다.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초왕(楚王)이 말하기를 과인(寡人)이 누워도 자리가 편치 않고 먹어도 맛이 달지 않고 마음이 흔들리어 마치 달아놓은 깃발(懸旌)과 같다했다.” 하였다.

 

상사일(上巳日)

음력 3월 첫째 사일(巳日)을 말한다. 예부터 이날에는 수계(修禊)하는 풍속이 있었다. 후한서(後漢書)』 「예의지(禮儀志)“3월 상사일에는 관민(官民)이 다 동쪽으로 흘러가는 물에 몸을 깨끗이 씻고 불상(不祥)을 불제(祓除)한다.” 하였는데, () 이후로는 3월 삼짇날만을 이용하였고 다시 사일을 택하지 않았다.

 

상사자(相思字)

서신(書信)을 가리키기도 하며, 이별한 시름이나 친한 이를 그리는 정을 뜻하기도 한다. 당 나라 때 장안(長安)에 사는 곽행선(郭行先)의 딸 소란(紹蘭)이 장사꾼인 임종(任宗)에게 시집갔는데, 임종이 장사를 하러 나가 오랫동안 소식이 없었다. 소란이 제비가 쌍쌍이 노는 것을 보고는 제비에게, “너는 저 바다 동쪽에서 오니 갈 때에는 반드시 상() 땅을 지나갈 것이다. 네가 가는 편에 남편에게 소식을 전하려고 한다.” 하자, 제비가 허락하는 듯이 오르락내리락하였다. 이에 상사(相思)라는 글자를 써서 제비 다리에 묶어 주었다. 임종이 형주(荊州)에 도착하였을 때 제비가 날아와서 어깨에 앉았는데, 제비 다리에 쪽지가 매여져 있었다. 이에 펴 보니 바로 아내가 보낸 것이었다.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

 

상산(裳山)

무주현(茂朱縣) 남쪽 15리에 있는 산 이른다. 속칭 상성산(裳城山)으로 불리는데, 마치 사람의 치마처럼 층층으로 잘라 놓은 듯한 절벽이 사면에 있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39

 

상산(商山)

상주(尙州)의 옛 이름이다.

섬서성(陝西省) 상현(商縣)의 동쪽에 있는 산 이름으로, 상산사호(商山四皓)가 살던 곳이다. () 나라 시대에 상산(商山)의 사호(四皓)인 하황공(夏黃公)ㆍ각리선생(角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ㆍ동원공(東園公)이 숨어살며 한가(漢家)의 작록(爵祿)을 받지 아니하였다. / 인용: 感秋(이민구)

 

상산구어(上山求魚)

산 위에서 물고기를 찾는다. 당치 않은 데 가서 되지도 않는 것을 원한다는 말이다. / 유의어: 연목구어(緣木求魚)

 

상산노옹(商山老翁)

() 나라 때에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 즉 상산사호(商山四皓). / 인용: 感秋(이민구)

 

상산만세(商山晩歲)

() 나라 말년에 전란을 피하여 섬서성(陝西省) 상산(商山)에 숨어 살던 네 노인. 즉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 사기(史記)』 「장량세가(張良世家)/ 인용: 感秋(이민구)

 

상산사호(商山四皓)

상산에 숨은 네 늙은이라는 뜻으로, 곧 동원공(東園公)ㆍ기리계(綺里季)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을 말하는데, 수염과 눈썹이 모두 희다 하여 일컬어진 말이다. 한 고조(漢高祖)가 태자를 폐위(廢位)하고, 척부인(戚夫人) 소생인 조왕 여의(趙王如意)를 세우려 하자, 장량(張良)이 계책을 내어 고조가 평소 존경해 마지않던 상산사호를 불러들이기로 했다. 그리하여 폐백과 예를 갖추고 상산사호를 초빙한 다음 고조가 연회를 베푸는 자리에, 그들로 하여금 태자를 시위(侍衛)하게 하였다. 고조가 그들이 상산사호임을 알고는 매우 놀라 태자를 폐위하려던 생각을 바꾼 다음 척부인으로 하여금 춤을 추게 하고 초가(楚歌)를 부르기를, “큰 고니가 높이 낢이여, 단번에 천리를 가도다. 날개(羽翼)가 이미 자람이여, 사해를 가로지르도다. 사해를 가로지르나니, 또한 어찌하리요. 아무리 주살이 있은들 오히려 어디에 쓰겠는가.” 하였다. 한서(漢書)』 「장량전(張良傳)/ 인용: 感秋(이민구)

 

상산선삼성(象山選三聲)

상산은 송 나라 육구연(陸九淵)의 호이고, 세 소리란 곧 베 짜는 소리, 아이가 우는 소리, 글 읽는 소리를 합해서 이른 말이다.

 

상산설(常山舌)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정의에 입각하여 상대를 꾸짖는 것을 말한다. () 나라 안진경(顔眞卿)의 아우 고경(杲卿)이 상산 태수(常山太守)로 있다가 안녹산(安祿山)에게 포로로 잡혀 혀가 끊어질 때까지 준열하게 꾸짖다가 죽은 고사에서 비롯된 것이다.

 

상산송부자(常山宋夫子)

상산은 진천(鎭川)의 고호이므로, 즉 본관이 진천인 송영구(宋英耈)를 높여 이른 말이다. 송영구의 자는 인수(仁叟)이고 호는 표옹(瓢翁)인데, 여러 관직을 거쳐 벼슬이 병조 참판에 이르렀고, 특히 광해군 때는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여 정청(庭請)에 참여하지 않아서 파직되었다.

 

상산외(商山隈)

진 나라 말기에 동원공, 녹리선생, 기리계, 하황공 등 네 사람의 은사(隱士)가 진 나라의 학정을 피하여 상산(商山)으로 들어가 숨었다.

 

상산은(商山隱)

상산의 은자는 진() 나라 말기에 80여 세의 나이로 상산 속에 숨어 살다가 장량(張良)의 권유를 받고 나와 한 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의 태자를 돌보았다는 상산사호(商山四皓)’를 가리킨다. / 인용: 感秋(이민구)

 

상산중백발사호(商山中白髮四皓)

파군(巴郡)에 귤원(橘園)이 있는데 귤이 다 없어진 뒤에 마지막 남은 큰 귤 한 개를 쪼개어 본즉, 두 노인이 그 속에서 장기를 두면서, “이 즐거움()이 상산(常山)의 사호(四皓)에서 바둑 두는 것보다 못하지 않다.” 하였다.

 

상산지(商山芝)

사호(四皓)가 처음 상산에 숨었을 때에 자지가(紫芝歌)를 지어 불렀는데, “붉은 지초는 요기(療飢)할 수 있도다.” 하였다.

 

상산하수(象山河數)

송 나라 상산 육구연(陸九淵)이 소싯적에 항상 임안(臨安)의 시장에서 바둑 두는 구경을 했으나 아무런 소득이 없었는데, 이에 바둑판 하나를 사가지고 와서 방 벽에 걸어 놓고 누워서 그것을 쳐다보다가 갑자기 깨닫고 말하기를, “이것이 하도수(河圖數)이다.”고 했다는 데서 온 말이다.

 

상상(湯湯)

물이 세차게 흐르는 모양

 

상상(象床)

상아로 장식한 침상(寢床).

 

상상(上相)

수위(首位)에 있는 재상(또는 장군)을 말한다. 영의정(領議政).

 

상상(常常)

일상, , 언제나, 무심한 모양, 성한 모양

 

상상(上上)

최상급

 

상상(惕惕)

바로 가서 빠른 모양

 

상서(象胥)

통역과 외교 절차 등을 맡는 통사(通事)의 직책을 말한다. / 유의어: 상기제역(象寄鞮譯), 제상기역(鞮象寄譯)

 

상서고예리(尙書高曳履)

() 나라의 상서 복야(尙書僕射) 정숭(鄭崇)이 직간(直諫)을 잘 올렸는데, 애제(哀帝)가 그의 신발 소리만 듣고서도 그가 온다는 것을 바로 알아차렸다는 고사가 있다. 한서(漢書)』 「정숭전(鄭崇傳)

 

상서광범(上書光範)

한유(韓愈)는 자기를 추천하는 글을 요로(要路)에 많이 올렸다. 참고로 당송팔가문(唐宋八家文) 상재상서(上宰相書) 서두에 정월 27일 전 향공진사(鄕貢進士) 한유는 삼가 광범(光範)의 문하에 엎드려 거듭 절하고 글월을 올립니다.” 하였다.

 

상서리(尙書履)

() 나라 정숭(鄭崇)이 간쟁(諫爭)을 하러 갈 때마다 가죽 신발을 끌면서 갔는데, 그럴 때마다 황제가 웃으면서 정 상서의 발자국 소리인 줄을 내가 알겠다[我識鄭尙書履聲].”고 하였다 한다. 한서(漢書)』 「정숭전(鄭崇傳)

 

상서성(尙書省)

육조(六曹)의 관아를 말한다.

 

상서팔절탄(尙書八節灘)

상서는 역시 당 나라 때 형부 상서(刑部尙書)로 치사한 백거이(白居易)를 이른다. 백거이는 만년에 용문담(龍門潭) 남쪽 팔절탄(八節灘)의 초석(峭石)들을 개착하여 백성들의 수로 통행(水路通行)을 편리하게 해주고, 그곳 향산(香山)에 누각을 짓고 여기에서 끝내 유유자적하였던 고사이다. 당서(唐書)卷一百十九

 

상석(象席)

불법(佛法)의 거물(巨物)을 용상(龍象)이라 하는데, 그것은 물에서는 용이 가장 큰 동물이요, 육지에서는 코끼리가 가장 큰 동물이기 때문에 그렇게 비유하였다.

 

상선(象先)

() 나라 때 여러 지방관을 지내면서 선정으로 대단히 명성이 높았던 육상선(陸象先)을 말한다. 그는 초명(初名)이 경초(景初)였는데, 예종(睿宗)이 특별히 그에게 상현(象賢)의 뜻을 부여하여 이 이름을 하사했다고 한다. 당서(唐書)一百十六

 

상선(象先)

()이 생기기 이전의 상태로, 선천(先天)과 같은 말이다.

 

상설(象設)

무덤 앞에 사람이나 짐승의 형상을 본떠서 만든 석물(石物).

 

상설만(霜雪滿)

눈이나 서리를 맞은 듯이 하얗게 백발(白髮)이 되었다는 뜻이다.

 

상성(商聲)

오음(五音)의 하나로 금석성(金石聲)을 가리킨다. 옛날 공자의 제자였던 증자(曾子)는 시골에 있으면서 며칠 동안 끼니를 굶었는데도 글 읽는 소리가 쩌렁쩌렁하였다 한다. 장자(莊子)』 「양왕(讓王)

오음(五音) 가운데 하나인 상() 음을 위주로 하는 소리로, 슬프고 처량하며 애원하는 듯한 소리를 말한다. 사시(四時)로는 가을에 속하고 방위(方位)로는 서방에 속하는 소리이다. 구양수(歐陽脩), 추성부(秋聲賦)

 

상성안(尙成安)

성안(成安)은 상진(尙震)의 시호(諡號)이다.

 

상소(緗素)

서권(書卷)을 말한다. 옛사람의 사본(寫本)은 겸소(縑素)를 많이 쓰는데 물들여 천황색(淺黃色)을 이룬 것을 상소라 칭한다.

 

상송금석향(商頌金石響)

상송은 시경(詩經)의 편명. 공자 제자인 증자(曾子)은 가난하여 3일 동안 굶었는데도 상송을 읽는 소리가 금석처럼 울렸다 한다. 장자(莊子)』 「양왕(讓王)

 

상수(象數)

좌전(左傳)희공(僖公) 15년의 ()는 상()이요, ()는 수()이다. () 이후에 상()이 있고, 상 이후에 자()가 있고, 자 이후에 수()가 있게 된다.”라는 말에서 기인한 것으로, ()에 나타나는 상과 수를 말한다. ()은 천(), (), (), ()과 같은 종류를 말하고, ()는 초(), (), (), ()과 같은 것을 말하는데, () 나라 소옹(邵雍)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에서 상수학이 집대성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상수(上首)

우두머리를 말한다.

 

상수(湘水)

중국 호남성(湖南省)의 가장 큰 강. 하류에서 소수(瀟水)와 합류하여 동정호(洞庭湖)로 들어가는 강으로 소상강이라 불리기도 한다. ()굴원(屈原)이 이를 건너며 원망하였고, ()의 가의(賈誼)도 이를 건너며 굴원을 조상하며 조굴원부(弔屈原賦)를 지었다.

 

상수(向戍)

춘추(春秋) 시대 송()의 대부(大夫)로 일찍이 진()ㆍ초()가 패()를 다툴 때에 그가 전쟁을 중지할 것을 제후(諸侯)들에게 통고하여 제후들이 그의 말을 따름으로써 천하를 안정시켰던 사람이다.

 

상수역(湘水驛)

경기도 적성현에 있던 객관.

 

상수지주해옥충(桑樹之籌海屋充)

세 사람의 노인들이 서로 만났는데, 나이를 물으니 한 노인이, “나는 바다가 뽕나무밭으로 변할 때마다 산가지 한 개씩을 내려놓았는데, 그 사이에 벌써 이 산가지가 열 칸짜리 집을 가득 채웠답니다.” 하였다 한다.

 

상숙(桑宿)

어떤 것에 대해 연연해하는 마음이 남아 있는 것을 말한다. 수행하는 중이 뽕나무 아래에서 쉬되 한 나무 아래에서는 세 번 이상을 쉬지 않고 자리를 옮기는데, 이는 한 곳에 오래 머무르면 연연해하는 마음이 생길까 염려해서 그렇게 하는 것이라고 한다. 후한서(後漢書)30양해열전(襄楷列傳)

 

상숙미증(桑宿未曾)

불자(佛者)는 은애(恩愛)의 정이 생길까 두려워하여 뽕나무 밑에서 사흘 밤을 계속 자지 않는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후한서(後漢書)』 「양해전(襄楷傳)

 

상슬(湘瑟)

초사(楚辭)원유(遠遊)상령으로 하여금 비파를 타게 한다[使湘靈鼓瑟兮].” 한 데서 온 말인데, 상령이란 바로 순() 임금이 창오(蒼梧)의 들에서 붕어했을 때 소상강(瀟湘江)에 투신 자살한 순비(舜妃)의 영혼이라고 한다.

 

상승(上乘)

도가(道家)의 용어로서 최상의 교법(敎法)인 제일동진(第一洞眞)을 말한다. 운급칠첨(雲笈七籤)에 의하면, 제일동진이 상승이고, 제이동현(第二洞玄)이 중승(中乘)이고, 제삼동신(第三洞神)이 하승(下乘)이라고 하였다.

 

상승선(上乘禪)

불교의 용어로, 일체의 번뇌(煩惱)를 버리고 진리(眞理)를 깨달음을 말한다.

 

상승체악부(相承棣萼跗)

서로 떠받는 상체(常棣)의 꽃받침. 상체는 아가위나무. 이는 곧 형제간에 우애 있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시경(詩經)소아(小雅) 상체(常棣)

 

상시이소(相視而笑)

자사(子社)ㆍ자여(子輿)ㆍ자리(子犛)ㆍ자래(子來) 네 사람이 생사(生死)를 초월한 친구를 서로 찾다가, 서로 보고는 웃으면서 마음에 걸리는 것이 없자 마침내 친구가 되었다(四人相視而笑 莫逆於心 遂相與爲友)는 이야기가 있다.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

 

상식(尙食)

옛날 임금의 식사를 맡은 벼슬아치를 말한다.

 

상식(上食)

상가(喪家)에서 아침저녁으로 궤연 앞에 음식을 올리는 일을 말한다. / 인용: 悼亡(신위)

 

상신(相臣)

예전에,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합하여 이르던 말이다. / 인용: 詰楊吏(허격)

 

상심영대동(傷心詠大東)

백성들이 모두 식량이 떨어졌다는 뜻이다. 시경(詩經)소아(小雅) 대동(大東)소동과 대동에 모든 그릇 다 비었네[小東大東 杼柚其空].” 하였는데, 이는 동쪽의 작은 나라나 큰 나라에 모두 양식이 떨어진 것을 읊은 것이다.

 

상아(孀娥)

달 속에 있다는 선녀의 이름으로, 즉 달을 말한다.

 

상아(桑鵝)

뽕나무 위에 생기는 버섯을 말한다.

 

상아탑(象牙塔)

학자나 예술가가 그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사색하고 연구하는 곳. 코끼리는 죽을 때 자기들만 아는 비밀스런 장소로 가서 죽어 아름다운 상아의 탑을 이룬다는 의미에서, 상아탑은 이 사회와는 조금 떨어져 진리 탐구에만 힘쓰는 대학(大學)의 특성을 지적한 표현이다. , 상아탑은 자유로운 진리탐구를 추구하는 대학(또는 대학의 연구실)을 상징하는 말이다. / 인용: 청소년을 중2병에 가두다 도올과 건빵 동아시아의 평화와 교육이 뭣이 중헌디? 발작 박동섭의 강의 스타일과 그 이유

 

상아회(喪我懷)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나오는 내용으로, 남곽자기(南郭子綦)가 멍하게 앉아 있자, 안성자유(顔成子游)가 왜 그러고 있느냐고 물었다. 이에 남곽자기가 지금 내가 나 자신을 잃고 있는 것을 그대는 아는가?”하였다.

 

상악(象樂)

주 무왕(周武王)문왕(文王)의 무공(武功)을 상징하여 지은 악무(樂舞)를 말하는데, 이 악무에는 살벌한 격자(擊刺)의 법칙이 있으므로, 가을 소리에 비유한다.

 

상안(商顔)

상산(商山)의 꼭대기. () 나라 말기에 은사(隱士)상산사호(商山四皓)가 있던 곳으로, 지금 섬서성(陝西省) 상현(商縣) 동남쪽에 있다. / 인용: 感秋(이민구)

 

상안(商顔)

상산사호(商山四皓)와 같은 얼굴빛이라는 뜻으로, 노인의 안색을 높여 부른 말이다. / 인용: 感秋(이민구)

 

상안사인(商顔四人)

상안은 상산(商山)의 남쪽이라는 뜻이며 네 분이란 곧 상산사호(商山四皓)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말하는데 이들은 모두 은자(隱者)로서 한 혜제(漢惠帝)가 태자로 있을 때 그의 부름을 받고 와서 태자를 보필했었다. 한서(漢書)』 「장량전(張良傳)/ 인용: 感秋(이민구)

 

상앙(商鞅)

전국시대(戰國時代), 진나라의 명재상. 제자 백가(諸子白家)의 한 사람. 별명은 공손앙(公孫鞅). 상군(商君). ()나라의 공족(公族) 출신. 일찍이 형명학(刑名學)을 공부하고 진나라 효공(孝公)을 섬김. 법치주의(法治主義)에 입각한 부국 강병책(富國强兵策)을 단행하여 진나라의 국세(國勢)를 신장시킴. 효공이 죽자 그간 반감이 쌓인 귀족들의 참소(讒訴)로 사형 당한다.

 

상양(相羊)

떠돌다. 머뭇거리다. 배회하다.

 

상양(商羊)

큰 비가 올 무렵이면 한쪽 다리를 구부리고 춤을 춘다는 전설상의 새 이름이다. 전하여 홍수(洪水)나 수재(水災)의 예보의 뜻으로도 쓰인다. 공자가어(孔子家語)』 「변정(辯政)天將大雨 商羊鼓舞라 하였다.

 

상양무(商羊舞)

상양은 전설상의 새 이름인데, 이 새가 춤을 추면 큰 비가 내린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상업(相業)

정승으로 이룬 업적을 말한다.

 

상여(象輿)

신상(코끼리)의 수레.

 

상여(相如)

()나라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전국(戰國) 때의 인상여(藺相如)를 사모하여 스스로 상여(相如)라고 이름을 지었다. 장경(長卿)은 사마상여의 자()이다.

 

상여간도귀(相如間道歸)

사기(史記)』 「염파인상여전(廉頗藺相如傳)相如乃使其從者 衣褐懷其璧 從間道亡 歸璧于趙라 하였다.

 

상여갈(相如渴)

한 나라 때 효문원(孝文園)의 영()을 지낸 사마상여(司馬相如)는 항상 소갈병을 앓았다. 사기(史記)117 염파인상여전(廉頗藺相如傳)

 

상여굴진(相如屈秦)

전국시대(戰國時代) 때 조() 나라 혜문왕(惠文王)이 초() 나라의 화씨벽(和氏璧)을 얻었는데, () 나라 소왕(昭王)이 이를 빼앗고자 하여 거짓으로 15개의 성()과 바꾸자고 하였다. 조 나라에서는 화씨벽만 빼앗기고 성은 얻지 못할까 염려하여 진 나라에 사신으로 갈 사람을 구하였는데, 인상여(藺相如)가 가게 되었다. 인상여는 진 나라에서 성을 주면 화씨벽을 진 나라에 줄 것이고, 성을 주지 않으면 화씨벽을 손상 없이 가지고 오겠다.” 하고는 진 나라로 갔는데, 소왕이 화씨벽만 빼앗고 성을 주려고 하지 않았다. 그러자 인상여는 화씨벽에 흠집이 있는 곳을 가르쳐 주겠다고 하면서 화씨벽을 손에 잡고 말하기를, “대왕이 성을 주지 않고 화씨벽을 빼앗으려고 하면 옥을 깨뜨려 버리겠다.” 하면서, 소왕에게 5일 동안을 재계(齋戒)하고서 받으라고 하였다. 소왕이 재계하는 사이에 인상여는 사람을 시켜서 몰래 화씨벽을 조 나라로 돌려보냈다. 소왕이 재계를 마친 뒤 화씨벽을 달라고 하자, 인상여는 화씨벽은 이미 조 나라로 보냈다. 진 나라에서 먼저 15개의 성을 주면 조 나라에서 화씨벽을 당장 돌려보낼 것이다.” 하였다. 그 뒤에 인상여는 무사히 조 나라로 돌아왔으며, 진 나라에서는 화씨벽과 성을 바꾸지 않았다. 사기(史記)81 염파인상여전(廉頗藺相如傳), 한비자(韓非子)』 「화씨(和氏)

 

상여권유(相如倦遊)

() 나라의 문인(文人), 사마상여(司馬相如). 그의 전기(傳記), “노는 데 지쳤다(倦遊).”는 말이 있다. 사기(史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

 

상여벽립(相如壁立)

()나라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임공(臨邛) 고을의 갑부인 탁왕손(卓王孫)의 딸 문군(文君)과 야합하여 함께 성도(成都)로 도망가서 살 때 매우 가난하여 살림살이라고는 아무것도 없었다 한다. 사기(史記)卷一百七十七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

 

상여소(相如痟)

상여(相如)의 소갈증이란 곧 한() 나라 때 문장가인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지병인 소갈증을 말한다.

 

상여유사벽(相如猶四壁)

상여는 사마상여(司馬相如)이다. 사기(史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탁왕손(卓王孫)이 딸 탁문군(卓文君)이 밤에 상여에게 도망해서 같이 집에 돌아가니 네 벽만 있었다.”는 말이 있다.

 

상여재(相如才)

한무제(漢武帝)의 진황후(陳皇后)가 소박을 당하여 장문궁(長門宮)에 물러가 있었는데, 무제가 부()를 좋아하므로, 황후가 부() 잘 짓는 사마상여에게 천금(千金)의 폐백을 보내어, 자기를 위하여 부()를 한 편 지어 주기를 청하니, 사마상여가 장문부(長門賦)를 지어서 황후의 고독하고 처량함과 임을 사모하는 정을 잘 표현하였다.

 

상여재부객(相如纔賦客)

() 나라 때 문호(文豪)인 사마상여는 특히 사부(辭賦)에 뛰어나, 자허부(子虛賦)상림부(上林賦)대인부(大人賦)등의 명문(名文)을 남겼다.

 

상여촉도유(相如蜀道遊)

() 땅 성도(成都) 출신인 한() 나라의 천재 문인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산천을 많이 유람하였다 한다.

 

상여피염파(相如避廉頗)

전국(戰國) 때 조() 나라의 신하 상여가 진() 나라에 외교로 공을 세우고 돌아와 중상(重賞)과 높은 벼슬을 얻으니, 당시의 명장(名將)인 염파가 불평하여 상여를 만나기만 하면 욕뵈리라 하니, 상여가 늘 피하였다. 하루는 길에서 멀리 염파가 오는 것을 보고 수레를 돌려 피해 숨었다. 부하가 그를 비겁하다 말하니 그가 대답하되, “아니다, 내가 진왕(秦王)도 두려워하지 않는데 어찌 염파를 겁내랴마는, 이제 조나라의 두 인물이 서로 싸우면 나라의 일은 누가 어찌 감당하겠느냐. 내가 염파를 피하는 것은 사사로운 원수를 뒤로 돌리고 국가의 급한 것을 먼저 함이로써이다.” 하니 파가 듣고 감복하여 가시매체()를 지고 가 사과하고 죽음을 바치는 친교(親交)가 되었다.

 

상여함궐계(相如銜橛戒)

임금에게 사냥을 간하는 것을 말한다. () 나라의 문호 (文豪) 사마상여는 사냥을 좋아하는 무제(武帝)에게 부()를 지어 간했는데, 여기에 길을 깨끗이 소제한 다음 행하고, 법에 알맞게 말을 몬다 하더라도 때로는 함궐(銜橛)의 변이 있다.” 하였다. ()은 말의 고삐이며 궐()은 말의 입에 물린 재갈로, 수레나 말이 달리다가 전복할 위험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상역(象譯)

예기(禮記)』 「왕제(王制)남방은 상()이라 하고 북방은 역()이라 한다.” 하였는데, 다 외국의 언어를 통역하는 사람들이다. / 유의어: 상기제역(象寄鞮譯), 상서(象胥), 제상기역(鞮象寄譯),

 

상연(爽然)

멍하다

망연(茫然)하다 / 인용: 正氣錄序(윤근수)

 

상영(上營)

감영이나 병영을 말한다. / 인용: 波池吏(정약용)

 

상영산뢰(顙映山罍)

제사지낼 적에 임금의 이마가 술잔에 비침을 말한다. 산뢰(山罍)는 산운(山雲)의 모양을 새긴 하후씨(夏后氏)의 술그릇이다.

 

상오(湘吳)

미주(美酒)의 이름인 상오주(湘吳酒)의 약칭인데, 상천(湘川)의 영릉현(酃陵縣)에는 물이 좋아 술을 빚기로 유명하고 오흥(吳興)의 오정현(烏程縣)에는 약하주(若下酒)가 유명하므로, 상천(湘川)의 상() 자와 오흥(吳興)의 오() 자를 합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사혜련(謝惠連), 雪賦注

 

상용(商容)

() 나라 주왕(紂王) 때 사람. 주에게 직간(直諫)하다가 쫓겨났는데 무왕(武王)이 은을 정벌한 후 그의 여리(閭里)에다 정표(旌表)를 하였다. 서경(書經)』 「무성(武成)

 

상우(尙友)

거슬러 올라가 옛 어진이를 벗으로 삼는다는 뜻이다. 맹자(孟子)』 「만장(萬章)그의 시를 외고 그의 글을 읽으면서 그 사람을 모른다면 되겠는가? 이 때문에 그 세상을 논한다. 이것이 상우(尙友)이다[頌其詩, 讀其書, 不知其人, 可乎? 是以論其世也. 是尙友也].” 하였다.

 

상우(商羽)

상조(商調) 우조(羽調). 상조는 오음(五音) 가운데 하나인 상()음을 위주로 하는 소리로 슬프고 처량하며 애원하는 듯한 소리를 말하며, 우조는 맑은 소리를 말한다.

 

상우경(相牛經)

소를 품별(品別)하는 법을 쓴 책.

 

상웅담(嘗熊膽)

공부를 부지런히 하였다는 뜻이다. 당서(唐書)』 「유중영전(柳仲郢傳)어머니 한씨(韓氏)가 중영 등 여러 아들들에게 웅담환(熊膽丸)을 만들어 주어 밤에 씹으면서 부지런히 공부하도록 하였다.” 하였다.

 

상원(上園)

임금의 동산인 장안(長安)의 상림원(上林園)을 말한다.

 

상원(上苑)

대궐 안에 있는 동산을 이르는 말이다.

왕이 풍경을 관상하고 사냥을 즐기는 동산으로, 곧 춘당대가 있는 창경궁(昌慶宮)주변의 비원(祕苑)을 가리킨다.

 

상원(上元)

도가(道家)에서 말하는 선녀(仙女) 상원부인(上元夫人)을 가리키는데, 또는 사람의 뇌()를 말하기도 한다.

115, 즉 정월 보름. 또는, 정월 대보름에 실시하던 연등 행사를 말한다.

 

상원일(上元日)

음력 정월 15일을 말하는데, 금오(金吾)에게 분부하여 밤에 통행금지를 풀게 하고 전후(前後) 1일에 걸쳐 관등(觀燈)놀이를 하게 하였다.

 

상원충엽자(上苑蟲葉字)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남곤(南袞), 심정(沈貞), 홍경주(洪景舟) 등이 조광조(趙光祖)를 모함하기 위하여 희빈(熙嬪) 홍씨(洪氏)를 이용해 궁중의 나뭇잎에다가 꿀로 주초위왕(走肖爲王)’, 즉 조씨가 왕이 된다는 글자를 써서 벌레가 파먹게 해 무고한 일을 말한다.

 

상월(霜月)

서리 속에 뜬 달. 가을 달 또는 겨울철 추운 밤의 달을 가리키는 시어이다.

 

상위(象緯)

()ㆍ월()ㆍ오성(五星)을 말한 것이다. 오성은 금성(金星)ㆍ목성(木星)ㆍ수성(水星)ㆍ화성(火星)ㆍ토성(土星)이다.

 

상유(桑楡)

서쪽 해지는 곳으로 노년(老年)을 말한다. 구당서(舊唐書) 태종기(太宗紀)몸이 점점 쇠하여지는 것을 보니, 상유가 가까워지는구나.” 하였다. / 서쪽으로 해가 기울 때면 뽕나무와 느릅나무 가지 끝에 걸린다는 회남자(淮南子)의 기사에서 유래하여 인생의 만년(晩年)을 뜻하는 표현이다.

 

상유일(桑楡日)

인생의 말년이 된 것을 말한다. 상유는 해가 질 때 햇빛이 뽕나무와 느릅나무의 꼭대기에 비치는 것으로, 태평어람(太平御覽)3권에, “해가 서산으로 떨어질 때 햇빛이 나무의 꼭대기에 비치는 것을 상유라고 한다.” 하였다.

 

상음(商音)

오음(五音)의 하나. 오음은 궁()ㆍ상()ㆍ각()ㆍ치()ㆍ우(). 상음은 굳세고 맑은 음으로 사시(四時)로는 가을, 오행(五行)으로는 금(), 방위로는 서쪽에 해당한다.

 

상의(尙衣)

임금의 의대(衣帶)를 진공(進供)하고 대궐 안의 재물과 보물을 맡아 관리하던 관아. 상의원(尙衣院).

 

상의허성(床蟻虛聲)

() 나라 은중감(殷仲堪)의 아버지가 귀를 앓을 적에 와상(臥狀) 밑에서 개미 움직이는 소리가 소 싸우는 소리처럼 크게 들렸다는 고사이다. 진서(晉書)卷八十四 은중감전(殷仲堪傳)

 

상이하정(商彝夏鼎)

()와 정()은 모두 종묘(宗廟)에서 쓰는 제기(祭器)들로서 즉 하상(夏商) 시대의 국가 보물을 가리킨 말인데, 전하여 여기서는 이를 현자(賢者)에 비유한 것이다.

 

상인(上人)

승인(僧人)의 존칭이다.

 

상인중성인(上人中聖人)

상인은 불가에서 지덕을 갖춘 사람이고 성인은 맑은 술을 칭한다. 위지(魏志)조정에서 술을 금하는데 서막(徐邈)이 몰래 취해 가지고는 이는 성인에 일치한다.’고 하였다. 태조(太祖)가 이 말을 듣고 성내자 선우보(鮮于輔)취객이 술에 대해 맑은 것을 성인이라 하고 탁한 것을 현인(賢人)이라 한다.’ 하였다.”

 

상일절진도(喪一絶塵途)

장자(莊子)』 「서무귀(徐无鬼), 천하에 제일가는 말은 자질이 뛰어나서 제몸 자체도 잊어버리고, 또 달릴 때는 질풍과 같이 빨라서 가는 길에 먼지도 나지 않는다고 한 데서 온 말인데, 상일(喪一)의 일()은 몸()을 말한다.

 

상잉(相仍)

끊이지 않다. 연이어지다. / 인용: 詰楊吏(허격)

 

상자(相者)

회동(會同)같은 것의 예식(禮式)을 행할 때 주인을 돕는 사람. 또는 관상쟁이, 상인(相人).

 

상자(向子)

후한 때의 고사(高士)로서 자가 자평(子平)인 상장(向長)을 이르는데, 그는 자녀들의 혼인을 다 마치고 나서는 오악(五嶽) 등의 명산에 두루 다니며 놀았고, 그의 죽은 곳도 모른다고 한다. 후한서(後漢書)卷八十三 혜강(嵇康) 고사전(高士傳)상장(尙長)의 자는 자평(子平)인데 하내(河內) 사람으로 숨어살아 벼슬에 나가지 않고 자녀(子女)의 혼사가 끝나자 집일도 상관하지 않고 유람으로 일삼았다.” 하였다.

 

상자평(向子平)

자평은 후한(後漢)의 고사(高士) 상장(向長)의 자()이다. 자제들을 모두 시집 장가 보내고 나서 이제는 내가 죽은 것처럼 생각하고 절대로 상관하지 말라[勿復相關 當如我死矣]”하고는 뜻이 맞는 벗들과 오악(五岳) 명산을 유람하며 종적을 감춘 고사가 있다.후한서(後漢書)』 「일민전(逸民傳)혜강고사전(康嵇고사전(高士傳))상장은 하내 사람이니 숨어살았으며 자녀(子女)의 가취(嫁娶)가 끝나자 산천유람에 나섰다.” 하였다.

 

상장(相將)

서로 전송한다는 말이다.

 

상재(桑梓)

뽕나무와 재나무로 본래 공경하여야 할 물건을 말했으나 뒤에는 향리(鄕里)에 대한 칭호로 사용하게 되었다. 시경(詩經)소아(小雅) 소반(小弁)뽕나무와 재나무를 반드시 공경하여야 한다[維桑與梓 必恭敬止]”하였는데, 이는 부모가 생전에 누에치고 재목으로 쓰는 이 나무들을 담 아래에 심어 자손에게 남겨주어 생계(生計)의 자료가 되게 하였으므로, 자손들이 부모의 유물인 그 나무에 경의(敬意)를 붙였었다. ()하여 부모의 유업(遺業)이 있는 고향을 칭하게 되었다.

 

상재감(桑梓感)

상재의 감회. 고향의 어버이 생각을 말한다. 시경(詩經)소아(小雅) 소반(小弁)뽕나무며 가래나무, 그저 공경스러워라. 보이나니 아버님, 그리나니 어머님[維桑與梓 必恭敬止 靡瞻匪父 靡依匪母].”이라는 구절이 있다.

 

상재도(桑梓圖)

고향을 그린 것. 상재는 뽕나무와 노나무로 고향에 대한 대명사로 쓴다. 시경(詩經)소아(小雅) 소반(小弁)뽕나무와 노나무를 반드시 공경해야 한다[維桑與梓 必恭敬止].” 하였는데, 이는 옛날 집 주위에 이들 나무를 심어 자손에게 물려줬으므로, 부모가 심어 놓으신 것이니, 공경해야 한다는 뜻인데 여기에서 온 것이다.

 

상재유(象載瑜)

일명 적안가(赤雁歌)라고도 하는데, 한 무제(漢武帝) 태시(太始) 3년에 동해(東海)에 행행하여 붉은 기러기 여섯 마리를 얻고 이 노래를 지었다 한다. 그리고 상재유(象載瑜)란 곧 코끼리 수레가 아름답다는 뜻으로, 이것 또한 서방(西方)에서 얻었다 한다

 

상저망국(象箸亡國)

상아로 만든 젓가락. 사치를 상징한 것으로, ()가 상저를 쓰자 기자(箕子), “그가 지금 상저를 쓰고 있으니 틀림없이 옥배(玉盃)도 만들 것이다.” 하고 그의 망국적 사치성을 통탄하였다. 사기(史記)』 「은본기(殷本紀)

 

상적광(常寂光)

부처()의 경계(境界)를 상적광토(常寂光土)라 하는데, 항상 고요하며 광명이 가득 찬 세계라는 뜻이다.

 

상전배(床前拜)

상하(床下)의 인사. 덕이 높은 은자(隱者)에게 절하는 것을 말한다. 옛날 제갈량(諸葛亮)이 매번 방덕공(龐德公)을 찾아가서 상하(床下)에서 절을 했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상우록(尙友錄)1

 

상전벽해(桑田碧海)

뽕나무 밭이 푸른 바다가 됨. 세상의 변화가 심하거나 덧없음. 마고(麻姑)라는 선녀(仙女)가 왕원(王遠)에게 그대를 만나 본 이후로 동해 바다가 세 번이나 뽕나무밭으로 변하는 것을 보았다.”라고 말한 데에서 유래한다. 신선전(神仙傳)」 「왕원전(王遠傳)/ 인용: 전주한옥마을이 던진 메시지

 

상전변(桑田變)

옛날 신선인 마고(麻姑)는 동해(東海)가 세 번이나 뽕나무밭으로 변한 것을 보았다고 한다. 신선전(神仙傳)」 「마고(麻姑)

 

상점눈한(湘簟嫩寒)

()은 중국 호남성(湖南省) 지방을 말하는 것이니, 그곳에 대()가 많이 생산되고 그 대로 고운 자리를 만들어 내는데, 여름에 그것을 깔면 매우 시원하지만 가을이 되면 도리어 차져서 맞지 않는다는 말이다.

 

상정(上丁)

봄가을로 중월(仲月)의 첫 정일(丁日)에 공자(孔子)를 향사하는 제사, 즉 석전(釋奠)을 이른 말이다.

 

상정(觴政)

주연(酒宴)의 흥을 더하기 위하여 마련한 음주(飮酒)의 규칙(規則)을 말하는데, 상령(觴令) 또는 주령(酒令)이라고도 한다.

 

상제(霜蹄)

준마(駿馬). 곧 준마를 타고 다니는 조신(朝臣)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상제선(象帝先)

()는 천지가 아직 출현(出現)하기 이전부터 존재했음을 말한 것이다. 노자(老子) 무원(無源)나는 도가 누구의 자식인지 모르겠다. 그러나 천제보다 앞서 존재한 것인 듯하다[吾不知誰之子 象帝之先].” 하였다.

 

상조(霜槽)

서리 덮인 구유(가축에게 먹이를 주는 그릇).

 

상조(商調)

오음(五音) 가운데 하나인 상() 음을 위주로 하는 소리로, 슬프고 처량하며 애원하는 듯한 소리를 말한다. 오음(五音)은 궁()ㆍ상()ㆍ각()ㆍ치()ㆍ우()이다.

 

상종(商宗)

() 나라 고종(高宗)을 말한다.

 

상주(桑洲)

해 뜨는 부상(扶桑)의 섬이라는 뜻으로, 동해 바다 속의 십주(十洲), 즉 신산(神山)을 가리킨다.

 

상주(相州)

후위(後魏) 때 설치한 하남성(河南省)의 한 고을

 

상주(霜麈)

흰색 주미. 고라니의 꼬리는 먼지가 잘 떨린다 하여 그 꼬리털로 만든 먼지떨이를 청담(淸談)하던 사람들이 많이 가졌었는데, 뒤에는 불도(佛徒)들도 많이 가지고 다녔다.

 

상주상각(商周相角)

상탕(商湯)이 하() 나라를 쳐서 천하를 차지한 일과 주 무왕(周武王)이 상 나라를 쳐서 천하를 차지한 일을 가리킨 말이다.

 

상주유치순(桑疇有雉馴)

지방관의 선정을 비유한 말이다. 후한(後漢) 때 노공(魯恭)이 중모령(中牟令)이 되어 선정을 베풀자, 뽕나무 밑에 길들은 꿩이 있는 상서가 있었던 데서 온 말이다. 후한서(後漢書)卷二十五

 

상준(上尊)

제일 좋은 술. 상준주(上尊酒).

 

상중금환(桑中金鐶)

() 나라 때 양호(羊祜)5세 적에 유모(乳母)에게 자기가 가지고 놀던 금환(金鐶)을 내놓으라고 하므로, 유모가 애당초 그런 것이 없었다고 말하자, 양호가 이웃 이씨(李氏) 집에 있는 뽕나무 속을 더듬어 금환을 찾아내니, 그 주인이 놀라면서 말하기를 이것은 우리 죽은 아이가 잃어 버린 물건이다.”고 하여 당시 사람들이 이씨 집 아이가 곧 양호의 전신(前身)이었다고 일컬었던 고사에서 온 말인데, 여기서는 곧 어릴 때의 추억을 비유한 말인 듯하다.

 

상중지희(桑中之喜)

뽕나무 밭에서의 밀회, 음사(淫事), 간통(姦通). 예법(禮法)에 맞지 않는 남녀간의 결합, 혹은 남의 눈을 피해 즐기는 청춘 남녀간의 사랑놀이를 말한다. 춘추시대(春秋時代) () 나라의 굴무신(屈巫臣)이 정() 나라의 하희(夏姬)에게 뜻을 두고는, 바야흐로 출정(出征)을 할 때 가산(家産)을 모두 수습하여 가지고 가자, 대부(大夫) 신숙궤(申叔跪)이상하도다. 그대는 삼군 출동과 관련된 두려운 임무를 맡고 있는 터에, 또 뽕나무밭에서 여자와 밀회하는 기쁨을 맛보려 하고 있구나[異哉 夫子有三軍之懼 而又有桑中之喜]”라고 비평한 고사가 있다. 좌전(左傳)成公 2

 

상중환(桑中鐶)

()나라 양호(羊祜)5세 때 유모를 시켜 옆 이씨집 담 구멍에서 전생에 가지고 놀던 금환(金環)을 가져오게 했다는 고사.

 

상지(商芝)

상산사호(商山四皓)가 지어 불렀다는 자지가(紫芝歌). 또는 그 노래 속에 나오는 버섯. 진시황(秦始皇)의 학정(虐政)을 피해 남전산(藍田山)에 숨어살면서 그들이 불렀다는 이른바 자지가(紫芝歌)’색깔도 찬란한 보랏빛 버섯이여, 배고픈 사람에겐 그만이라오[曄曄紫芝 可以療飢].”라는 구절이 있다. / 인용: 感秋(이민구)

 

상지(傷指)

춘추(春秋) 시대에 진() 나라의 범선자(范宣子)가 여덟 살 때 후원(後園)에서 채소를 뜯다가 잘못 손을 다치고 크게 울기에, 곁에 있던 사람이 아파서 우느냐?”고 묻자, 범선자가 대답하기를, “아파서가 아니라 부모로부터 받은 신체발부(身體髮膚)를 감히 훼손할 수 없기에 운다.” 하였다.

 

상지수(上池水)

상지수는 대() 잎의 이슬을 말하는데, 장상군(長桑君)이 편작에게 약을 주면서 상지수로 먹게 하자 편작이 그 약을 30일 동안 먹고 나서 의술을 통하였다는 고사가 있다. 사기(史記)卷一百五 편작창공열전(扁鵲倉公列傳)

좋은 약을 가리키는 말로, 땅에 떨어지지 않고 나뭇잎에 붙어 있는 이슬을 말한다. 사기(史記)卷一百五 편작창공열전(扁鵲倉公列傳)신선이 편작에게 약을 내어 주면서, 이것을 상지수에 타서 먹으라하였는데, 그 주에 상지수는 이슬과 대나무 위에 맺혀 있는 물이다.”라고 하였다.

() 나라 때의 명의(名醫)인 창공(倉公) 순우의(淳于意)가 꿈에 봉래산(蓬萊山)에서 노닐다가 금빛이 찬란한 높은 궁실(宮室)을 만났는데, 갑자기 한 동자(童子)가 일배수(一杯水)를 갖다 주므로 창공이 그것을 다 마시고 나니 오장(五臟)이 서늘하였다. 인하여 그 궁전을 쳐다보니 상지선관(上池仙館)’이라 쓰여 있으므로, 그제야 자기가 상지수를 마셨음을 알게 되었는데, 그로부터 그가 진맥(診脈)에 신통력을 얻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상지회(上之回)

한 무제(漢武帝) 14년에 흉노(匈奴)가 소관(蕭關)에 들어와 기병(騎兵)을 시켜 회중(回中)의 궁전(宮殿)을 불태웠는데, 뒤에 무제가 흉노를 평정하고는 자주 회중의 길을 통하여 북쪽으로 소관에 나가 노닐었던 일을 찬미한 노래이다

 

상참(常參)

() 나라 때 문관(文官) 5() 이상과 문하성(文下省)ㆍ중서성(中書省)의 공봉관(供奉官)ㆍ감찰어사ㆍ원외랑(員外郞)ㆍ태상박사(太常博土)는 매일 편전(便殿)에서 임금께 뵙고 국무(國務)를 아뢰었는데, 이를 상참이라 하고 이에 참여하는 이들을 상참관(常叅官)이라 했다.

 

상채(上蔡)

() 나라 정자(程子)의 제자 사양좌(謝良佐)를 말한다. 사양좌가 처음에 거업(擧業)을 익혀 그로 인하여 이름이 크게 났는데 어느 날 정호(程顥)로부터 너희들이 이곳에서 나를 따르면서 오직 나의 말만을 배우고 있기 때문에 마음과 입이 서로 응하는 학문이 되지 못한다. 차라리 떠나가는 것이 낫지 않은가.”라는 책망을 받았다. 송원학안(宋元學案)卷二十四 상채학안(上蔡學案)

 

상채승상동시곡(上蔡丞相東市哭)

() 나라 이사(李斯)가 사형장으로 끌려나간 때를 가리킨다. 사형을 받기 직전에 이사가 그의 아들을 돌아보며 사냥개와 매를 몰고 상채(上蔡)의 동문을 나가 토끼 사냥을 하고 싶어도 이제 어떻게 하겠는가[吾欲與若複牽黃犬俱出上蔡東門逐狡免, 豈可得乎].”라고 말한 고사가 전한다. 사기(史記)』 「이사전(李斯傳)

 

상채응(上蔡鷹)

상채의 매사냥은, ()나라 이사(李斯)가 진()나라 승상(丞相)이 되었다가 화를 당하여, 부자가 함께 함양(咸陽) 저자 거리에서 사형을 당하면서 아들을 보고 통곡하기를, “너와 내가 고향인 상채(上蔡)에서 매()와 사냥개를 데리고 사냥하던 것이 그립다[吾欲與若複牽黃犬俱出上蔡東門逐狡免, 豈可得乎].” 하였다. 사기(史記)』 「이사전(李斯傳)

 

상천(霜天)

서리 내리는 하늘. 늦가을의 추운 날씨를 말한다.

 

상천함(上天咸)

하늘에 오르는 무한다. 황제(黃帝) (혹설에는 은() 중종(中宗) ) 신무(神巫). 그가 하늘에서 땅으로 오르내렸다 한다.

 

상청(上淸)

도가(道家) 삼청(三淸)의 하나. 삼청은 상청ㆍ옥청(玉淸)ㆍ태청(太淸). 운급칠첨(雲笈七籤)상청의 하늘은 끊어진 노을 밖에 있는데 팔황노군(八皇老君)이 있어 구천(九天)의 선()을 운용(運用)하며 상청의 궁()에 거처한다.” 하였다. / 인용: 酒吃翁夢記(허균)

 

상체(喪遞)

벼슬아치가 부모상(父母喪)을 당해 관직에서 갈리는 일.

 

상체(常棣)

아가위로서 시경(詩經)의 편명인데 주공(周公)이 지은 형제들과 연회에서 즐기는 악가(樂歌)이다. 시경(詩經)소아(小雅) 상체(常棣)아가위꽃 활짝 피니 꼭지까지 광채 있네. 요새 보통 사람 중에 형제보다 친함 없어[常棣之華 鄂不韡韡 凡今之人 莫如兄弟].”라고 하였다. 이는 곧 형제간에 우애 있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상체화(常棣華)

아가위꽃. 시경(詩經)소아(小雅) 상체(常棣)아가위꽃 그 꽃송이 울긋불긋 아름답네 오늘의 모든 사람 중에 형제보다 좋은 건 없네[常棣之華 鄂不韡韡 凡今之人 莫如兄弟].”에서 나온 것으로, 우애 있는 형제를 가리킨다. 그것은 그 꽃이 한데 다닥다닥 붙어 있는 까닭이다.

 

상치(尙齒)

백거이(白居易)가 만든 것으로, 즉 노인(老人)들을 모아 나이 차례로 앉히고 연회를 베풀어 즐겁게 놀도록 하던 모임이다.

 

상탁하부정(上濁下不淨)

윗물이 흐리면 아랫물도 깨끗하지 못한다라는 뜻이다. 곧 윗사람이 바르지 않으면 아랫사람도 이를 본받아 행실이 바르지 않음.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도 맑다.

 

상태(上台)

삼정승(三政丞)을 하늘의 삼태성(三台星)에 비유하여 삼태라고 하는데 상태는 영상(領相)을 가리킨 말이다. 진서(晉書)』 「천문지(天文志)

 

상토선음우(桑土先陰雨)

위험스런 사태를 미연에 방비한다는 뜻이다. 시경(詩經)빈풍(豳風) 치효(鴟鴞), “하늘이 비 내리지 않을 적에, 저 뽕나무 뿌리를 주워다가, 틈과 구멍 튼튼히 얽어매라[迨天之未陰雨 徹彼桑土 綢繆牖戶].”하였다. 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

 

상파(上坡)

() 나라 때 간의대부(諫議大夫)로 옮겨지는 것을 비탈길을 오른다[上坡].’고 표현했던 고사가 있다. 석림연어(石林燕語)5

 

상평(尙平)

후한(後漢) 때의 고사(高士)였던 상장(尙長)의 자. 그의 자는 원래 자평(子平)이었는데, 줄여서 평()으로 한 것이며, 성의 상() 자는 상()으로 쓰기도 한다. 그는 벼슬하지 않고 은둔하였으며 손괘(損卦)익괘(益卦)를 읽고는 나는, 이미 부가 가난만 못하고 천한 것이 귀한 것만 못한 것을 알았지만 다만 죽는 것이 사는 것과 어떤지를 모른다.” 하였다. 자녀들을 모두 결혼시키고는 중국의 명산들을 유람하였는데 죽은 곳을 모른다. 후한서(後漢書)卷八十三 상장전(向長傳)

 

상평법(常平法)

조선조 초기에 상평청(常平廳)ㆍ상평창(常平倉) 등을 두고 물가 조절을 관장하게 하던 법. 뒤에 대동법(大同法)이 시행됨에 따라 선혜청(宣惠廳)이 창설되고 상평청은 진휼청(賑恤廳)과 함께 선혜청으로 통합되었다.

 

상평염법(常平鹽法)

() 나라 때 유안이 염철사(鹽鐵使)로 있으면서 백성들을 위하여 제정한 염법으로, 소금이 적은 지방에 한하여 일정한 소금을 관고(官庫)에 저장해 두었다가 소금이 귀할 때에 이를 싼 값으로 백성들에게 매출(賣出)하도록 했던 것이다. 당서(唐書)卷一百四十九

 

상평혼가(尙平婚嫁)

상평은 후한(後漢) 때의 은사로 자가 자평(子平)인 상장(尙長)을 말하는데, 상장은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면서 노자(老子)주역(周易)에 정통하였고, 늙어서 자녀들의 남혼 여가를 마치고 나서는 집안 일을 전혀 관여하지 않고 오악(五嶽)의 명산들을 두루 유람하였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후한서(後漢書)卷八十四

 

상포(觴蒲)

단오(端午)에 창포(菖蒲)를 자르거나 가루로 만들어서 술에 띄워 마신다는 말이 있다. 세시기(歲時記)

 

상포(湘浦)

() 나라 굴원(屈原)이 조정에서 쫓겨나 거닐다가 뛰어들어 자결했다는 소상강(瀟湘江)을 말한다.

 

상포객(湘浦客)

상포(湘浦) 즉 상수(湘水)에 몸을 던져 죽은 초() 나라 굴원(屈原)을 가리킨다.

 

상풍(商風)

()ㆍ상()ㆍ각()ㆍ치()ㆍ우() 오성(五聲) 중에 상성(商聲)은 금성(金聲)에 해당하며, ()은 또한 서방(西方)으로서 가을에 해당하므로 가을의 서풍을 가리킨다. / 인용: 檄黃巢書(최치원)

 

상풍고절(霜風高節)

고된 서리와 바람을 맞아도 꺾이지 않는 높은 절개. 고난에 처하여도 굽히지 않는 높은 절개

 

상하(桑下)

불사(佛寺)를 가리킨다. ‘승려는 애착을 끊기 위해 비록 뽕나무 아래라 할지라도 사흘을 묵지 않는다[浮屠不三宿桑下].’는 고사에서 비롯된 것이다. 후한서(後漢書)』 「양해전(襄楷傳)

불편한 잠자리를 말한다. 이는 원래 불가의 말로, 뽕나무 아래서도 3일 밤을 자지 않는다는 말에 근본한 것인데, 이는 대개 뽕나무 아래서라도 3일 밤을 자게 되면 애착(愛着)이 생기므로 이 애착을 버리라는 데서 나온 것이다.

뽕나무 아래라는 말로 잠시 머물며 맺은 인연이라는 뜻이다. 후한서(後漢書)』 「양해전(襄楷傳)불법(佛法)을 닦는 승려가 뽕나무 아래에서 사흘 밤을 계속 묵지 않는 것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애착이 생길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니, 이는 그야말로 정진(精進)의 극치라고 할 것이다[浮屠不三宿桑下 不欲久生恩愛 精之至].”라는 말이 나온다. / 인용: 梨花庵老僧行(최성대)

 

상하극(上下屐)

() 나라 사령운(謝靈運)이 등산(登山)을 좋아하였다. 등산할 때에 나무신()을 신고 산에 올라갈 때에는 나무신의 앞 굽을 떼고, 내려올 때에는 뒷굽을 떼었다.

 

상하련(桑下戀)

사찰에 계속 머물고 싶은 생각이 든다는 말이다. 원래 사문(沙門)은 뽕나무 아래 그늘에서 3일 이상 계속 머물러 공양을 받을 수 없다는 고사에서 유래된 말이다. 후한서(後漢書)60 양해전(襄楷傳)

 

상하상여삼숙련(桑下尙餘戀)

잠시 동안의 인연에도 연연해한다는 뜻이다. 수행하는 중이 뽕나무 아래에서 쉬되 한 나무 아래에서는 3일 이상을 쉬지 않고 자리를 옮기는데, 이는 한곳에 오래 머무르면 연연해하는 마음이 생길까 염려해서 그렇게 하는 것이라고 한다. 후한서(後漢書)30양해열전(襄楷列傳)

 

상하숙(桑下宿)

어떤 것에 대해 연연해하는 마음이 남아 있는 것을 말한다. 수행하는 중이 뽕나무 아래에서 쉬되 한 나무 아래에서는 3일 이상을 쉬지 않고 자리를 옮기는데, 이는 한곳에 오래 머무르면 연연해하는 마음이 생길까 염려해서 그렇게 하는 것이라고 한다. 후한서(後漢書)30양해열전(襄楷列傳)

 

상하연(桑下緣)

불자(佛者)는 은애(恩愛)의 정이 생길까 염려하여 뽕나무 밑에서 3일 밤을 계속 묵지 않는다는 데서 온 말이다.

 

상하중래(桑下重來)

옛말에, “(浮屠)은 한 뽕나무 밑에서 세 번 다시 자지 않는다.” 한다. 그것은 정이 들어 애착이 생길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상하탱석(上下撐石)

윗돌 빼서 아랫돌 괴고, 아랫돌 빼서 윗돌 괴기. 곧 일이 몹시 꼬이는데 임시 변통으로 견디어 나감을 이르는 말이다.

 

상학경(相鶴經)

송 신종(宋神宗) 원풍(元豊) 연간에 사맹(師孟)이란 사람이 당시의 유명한 도사(道士) 진경원(陳景元)에게서 상학경(相鶴經)을 얻었다. 상학경은 바로 선술(仙術)에 관한 책이다.

 

상학경(相鶴經)

옛날 신선 부구공(浮丘公)이 왕자 진(王子晉)과 학을 타고 놀면서 그에게 가르쳤다는 책 이른다. 당서(唐書)』 「예문지(藝文志)

 

상한부녀(桑閒婦女)

노는 계집을 말한다. 시경(詩經)용풍(鄘風) 상중(桑中)은 남녀의 밀회(密會)를 읊은 것이며, 예기(禮記)에서 상간(桑間)은 음탕한 음악이라 하였다.

 

상한취장(相漢趣裝)

한나라 초년에 조참(曹參)이란 사람이 지방에 태수로 있었는데, 중앙에서 소하라는 정승이 죽었다는 말을 듣고 곧 서울로 갈 준비를 명령하면서, “이제 내가 곧 들어가서 정승이 될 것이다.” 하였는데, 과연 황제의 부르는 명령이 내리고 들어가서 정승이 되었다.

 

상향(桑鄕)

선대(先代)의 고향을 말한다. 시경(詩經)소아(小雅) 소반(小弁), “뽕나무와 가래나무를 보면, 반드시 공경한다[維桑與梓 必恭敬止].”하였는데, 그 주(), “뽕나무와 가래나무는 부모께서 심으신 바라 반드시 공경하는 것이다.” 하였다.

속세를 떠난 시골.

 

상현(上弦)

상현달은 음력 7, 8일에 해당 한다.

 

상현(湘絃)

초사(楚辭)원유(遠遊)상령이 비파를 탐하여, 해약과 풍이를 춤추게 하도다[湘靈鼓瑟兮 令海若舞馮夷].” 한 데서 온 말인데, 상령은 곧 상수(湘水)에 빠져 죽어 수신(水神)이 되었다는 아황(娥皇)ㆍ여영(女英)의 넋을 이른 말로, 여기서는 아주 훌륭한 시가(詩歌)를 비유한 것이다.

 

상호(桑弧)

뽕나무 활로 쑥대 화살을 사방에 쏘는 것으로, 천하를 경략하고자 하는 큰 뜻을 말한다. 고대에 아들이 태어나면 뽕나무로 활을 만들고 쑥대로 화살을 만들어서 천지 사방에 활을 쏘아, 남아로 태어났으면 응당 사방을 돌아다닐 뜻을 품어야 함을 표상하였다. 예기(禮記)』 「내칙(內則)

 

상호(商皓)

상산사호(商山四皓)이다. () 나라 때 산중에 숨어살던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 등 네 노인. 광운(廣韻)/ 인용: 感秋(이민구)

 

상호(霜毫)

서리 내린 뒤의 짐승 가죽. 송서(宋書) 예지(禮志)에 보인다.

 

상호(桑扈)

장자(莊子)에 나오는 자상호(子桑戶)와 같은 사람으로 접여와 같이 세상을 피해 살았다 한다.

 

상호결우(桑戶決疣)

춘추시대(春秋時代)에 자상호ㆍ맹자반(孟子反)ㆍ자금장(子琴張) 세 사람은 매우 막역한 친구 사이였는데, 자상호가 죽자 그의 친구들이 노래를 불렀다. 이때 조문을 갔던 자공(子貢)이 그들에게 노래를 하는 것은 실례가 아니냐고 묻자, 그들이 자공에게 그대가 예의 본뜻을 어찌 알겠는가.”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자공이 돌아와 공자에게 이 사실을 말하니, 공자가 이르기를, “그들은 삶을 붙어 있는 혹으로 여기고, 죽는 것은 바로 그 혹을 터버리는 것으로 여긴다.”고 했다는 데서 온 말이다.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

 

상호봉시(桑弧蓬矢)

아들을 낳았음을 말한다. 옛날에 아들을 낳으면 뽕나무로 만든 활과 쑥대로 만든 화살 여섯 개로 천지(天地)와 사방(四方)을 향하여 한 개씩 쏘았던 데서 온 말인데, 그것은 곧 남아(男兒)가 사방에 웅비(雄飛)하기를 축원하는 뜻에서라고 한다. 예기(禮記)』 「사의(射義)편에, “남자가 태어나면 뽕나무 활 6개 쑥대살 6개로 천지사방을 쏜다[男子生 桑弧六 蓬矢六 以射天地四方].”는 말이 있다.

 

상호지(桑弧志)

큰 뜻을 품도록 다른 사람을 면려할 때 쓰는 말이다. 고대에 아들이 태어나면 뽕나무로 활을 만들고 쑥대로 화살을 만들어서 천지 사방에 화살을 쏘아, 남아로 태어났으면 응당 사방을 경략할 뜻을 품어야 함을 표상하였다.

 

상혼침침(湘魂沈沈)

충신 굴원(屈原)이 상수(湘水)에 몸을 던져 죽었는데, 억울한 혼이 잠겼다.

 

상홍양(桑弘羊)

()나라 사람. 상홍양은 무제(武帝) 때의 치속도위(治粟都尉)로서 평준법(平準法)을 실시하여 천하의 염철(鹽鐵)을 물샐틈없이 통제함으로써 국용(國用)을 풍요하게 만들었음. 사기(史記)卷三十

 

상화(賞花)

꽃을 감상하다.

 

상화(桑火)

뽕나무 불로, 화력이 강한 불을 말한다. 늙은 거북은 보통의 불로는 삶을 수가 없고 오직 뽕나무 불로만 삶을 수가 있다고 한다.

 

상화루견금문내(霜靴累趼金門內)

아침 조회 시간에 맞추기 위해 서리 가득한 신발을 신고 달려갔다는 말이다. 소식(蘇軾)의 시에 새벽 조회 시간 기다리느라 신발에 서리가 가득한 벼슬살이보다는, 한여름 해가 높이 솟도록 늦잠을 자며 북창의 시원한 바람을 즐기는 것이 훨씬 낫지 않으랴[五更待漏靴滿霜 不如三伏日高睡足北窓涼].”라는 표현이 있다. 소동파시집(蘇東坡詩集)14 박박주(薄薄酒)

 

상효(桑鴞)

교화에 감화를 받아 지난날의 흉포함을 고치고 착하게 되었다는 뜻이다. ()는 올빼미로, 흉한 소리로 우는 새인데, 오디를 먹으면 좋은 소리를 낸다. 시경(詩經)노송(魯頌) 반수(泮水), “이리저리 나는 저 올빼미, 저 반궁의 나무숲에 모였도다. 우리 뽕나무 오디를 먹고 좋은 소리로 날 회유하누나[翩彼飛鴞 集于泮林 食我桑黮 懷我好音].”하였다.

 

상효(上爻)

주역(周易)의 박괘 상효. 다 없어지고 오직 하나 남은 최후의 보루라는 뜻이다. 모든 일의 막바지.

 

 

인용

목차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어휘놀이터 > 어휘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휘사전 - 155. 색  (0) 2020.04.19
어휘사전 - 154. 새  (0) 2020.04.19
어휘사전 - 152. 삽  (0) 2020.04.19
어휘사전 - 151. 삼  (0) 2020.04.19
어휘사전 - 150. 살  (0) 2020.04.19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