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문과 (50)
건빵이랑 놀자
한문과 중등임용 시험모집 인원 & 경쟁률 & 합격선 2025학년도(24.11.23 1차시험 / 25.01.21~22 2차시험) 지역인원경쟁률합격선사전일반장애합계지원비율1차2차광주--------대구--------대전--------부산22-2 서울66-6 세종--------인천--------울산--------강원4516 경기1215217 경남---- 경북22-2 전남2213 전북5516 제주---- 충남5527 충북22-2 합계4044751 2024학년도(23.11.25 1차시험 / 24.01.23~24 2차시험) 지역인원경쟁률합격선사전일반장애합계지원비율1차2차광주--------대구--------대전22-3261375미공개부산-------..

20XX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한 문수험번호 성명 관리번호 ♠ 2015개정교육과정의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라 다음의 학습내용을 조건에 맞게 지도하시오. 조건1) 다음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학습목표를 3가지 이상 제시할 것. [12한문Ⅰ02-01]문장의 구조를 구별한다.[12한문Ⅰ02-02]문장에서 생략되거나 도치된 성분을 찾고, 이를 문장 풀이에 활용한다.[12한문Ⅰ02-03]문장의 유형을 구별한다. 2) “자전”과 “한자카드”를 포함한 교수ㆍ학습도구를 3가지 이상 활용할 것. 3) 학생 참여활동으로 “자경문 만들기”와 “성찰 일지 쓰기”를 할 것. 학습내용 趙光一余嘗從容問曰: “夫醫者賤技, 閭巷卑處也. 以子之能, 何不交貴顯取聲名, 乃從閭巷小民遊乎, 何其不自重也?” 生笑曰: “丈夫不爲宰相,..

20XX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한 문수험번호 성명 관리번호 * 2015개정교육과정의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라 다음의 학습내용을 조건에 맞게 지도하시오. 조건1) 학습목표를 3가지 이상 제시할 것.2) ‘한시의 형식과 특징’을 수업내용요소 포함할 것. 3) 교수ㆍ학습방법 중 ‘낭송하기’, ‘토 달아 읽기’ 방법을 적용할 것. 4) 교수학습도구를 1가지 이상 활용할 것. 5) 학생 참여활동을 포함할 것. 학습내용那將月姥訟冥司來世夫妻易地爲我死君生千里外使君知我此心悲* 위의 수업은 총 2차시 분량의 학습내용으로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의 학문수업이며, 1차시 한시의 형식과 특징 관련 내용은 이미 수업을 완료하였다. 인용목차사진
2015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교육과정 목차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7] ① 한자와 어휘[9한01-0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12한문Ⅰ01-0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12한문Ⅱ01-0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9한01-02]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12한문Ⅰ01-02]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 [9한01-03]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12한문Ⅰ01-03]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 [9한01-04]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12한문Ⅰ01-04]한자의 짜임을 구별한다. [9한01-05]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12한문Ⅰ01-05]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12한문Ⅱ..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한문 • 문장의 구조나 문장 성분 찾기, 문장의 유형을 구별하도록 하되, 학습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 형태가 되도록 하고 문법적 내용보다는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학습의 경험 이전과 이후의 변화에 집중하며 학습의 과정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지필 평가, 관찰, 면담, 점검표, 논술 등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지필 평가의 결과, 토의 및 토론의 참여도와 결과물 등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다양한 산출물 및 참여 태도를 종합하여 평가 자료로 활용한다. 한문 Ⅰ • 문장의 구조나 문장 성분 찾기, 문장의 유형을 구별하도록 하되, 학습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 형태가 되도록 하고 문법적 내용보다는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교수・학습 방법 한문 • ‘문장의 구조’를 학습할 때에는 문장 구조 분석하기, 어순에 유의하여 문장 독해하기, 허사의 쓰임에 유의하여 문장 독해하기, 비교・분석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문장의 유형’을 학습할 때에는 비교・분석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소리 내어 읽기’를 학습할 때에는 낭송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끊어 읽기’를 학습할 때에는 토 달아 읽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내용과 주제’를 학습할 때에는 토의・토론하기, 역할 놀이 학습, 그림・만화 활용하기, 연극・방송 대본 만들기, 역사 신문 만들기, 가상 인터뷰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
2022 개정 교육과정 한문(고)[12한문02-04] 한시의 특징을 통해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가) 성취기준 해설• [12한문02-04] 이 성취기준은 한시의 특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한시의 특징이란 한시의 시체(詩體), 압운, 대우(對偶), 시상 전개 방식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한시의 형식적 특징을 이해하면 함축과 상징의 시어로 구성된 한시를 다면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한시를 감상할 때는 한시의 표면적 뜻뿐만 아니라 시어 속에 숨겨진 의미, 창작 배경, 문학적 영향 관계, 심미적 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아야 시를 감상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나) 성취기준 적용 시 ..

2015 개정 교육과정 한문 [9한02–06] 한문 산문은 문학적인 글은 물론 역사적・철학적인 글이나 심지어 실용적인 글조차도 각기 감상의 대상이 되는 하나의 작품이기도 하다. 여기서 감상(鑑賞)은 작품의 내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의 가치를 평가・감정(鑑定)하고 아름다움과 재미를 느끼는 심미적(審美的) 활동이다.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고 감정할 때에는 작품의 내용이 가지는 의미를 자신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어야 하며, 작품의 아름다움과 재미를 느낄 때에는 작품에서 자신이 느끼기에 특별히 멋있거나 재미있는 부분이 왜, 그리고 어떻게 멋있거나 재미있는지를 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문 Ⅰ[12한문Ⅰ02–07]한문 산문은 글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서술 방식을 사용한다. ① 가령,..

(라)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한문 • 한자는 그와 관련된 기초적인 지식의 성취와 활용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단순히 한자를 쓰는 순서를 묻기보다는 한자를 정확하고 바르게 쓰는 것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단순히 한자의 짜임이 무엇인지를 묻기보다는 한자의 짜임을 이해하고 한자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단순히 단어의 짜임이 무엇인지를 묻기보다는 단어의 짜임을 이해하고 한문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단순히 실사와 허사가 무엇인지를 묻기보다는 그 차이점을 구분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 텍스트만 제시하기보다는 삽화나 사진, 신문, 광고 등 실생활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평가 방식을 다양화한다. 한문 Ⅰ ..
2022 개정 교육과정 한문(고)[12한문01-04] 실사와 허사를 구별한다. (가) 성취기준 해설• [12한문01-04] 이 성취기준은 기본 품사를 이해하여 실사와 허사의 차이를 구별하고 단어, 성어, 문장의 풀이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품사에는 단독으로 어휘적 의미를 가진 ‘실사’와 문법적 의미만을 나타내는 ‘허사’가 있다. 실사에 속하는 품사로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부사가 있으며, 허사에 속하는 품사로는 개사, 접속사, 어조사, 감탄사가 있다. 개사(介詞)는 일반적으로 명사나 대명사 등 명사류(名詞類) 앞에 놓여 그 명사류를 서술어와 연결해주면서 처소, 대상, 도구, 시간, 원인, 비교 등의 뜻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접속사(接續詞)는 단어와 단어, 어구(語句)..

나. 성취기준 (1) 한자와 어휘 한문 한자는 글자 하나하나가 높은 형상성과 강력한 의미 전달력, 풍부한 조어력을 지닌 문자이다. 따라서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중심으로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문장 학습과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9한01-0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9한01-02]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9한01-03]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9한01-04]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9한01-05]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9한01-06]문장에 사용된 실사와 허사를 구별한다. 한문 Ⅰ 한자는 글자 하나하나가 높은 형상성과 강력한 의미 전달력, 풍부한 조어력을 지닌 문자이다. 따라서 한문 교육..

1. 성격 한문은 고전 문언문(文言文)으로 한자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던 국제적 표기 수단의 하나였다. 우리 조상들 역시 수천 년 동안 한자와 한문을 사용하여 사상과 감정을 표현해 왔으므로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사상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한문으로 기록된 각종 전적(典籍)들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독해력을 길러야 한다. 또한 우리가 일상생활에 쓰는 상당 부분의 어휘가 한자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특히 다른 교과에서 주로 사용하는 학습 용어의 상당수가 한자 어휘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원활한 언어생활과 다른 교과에서 사용하는 학습 용어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한문 학습이 필요하다. 그리고 한문 기록 속에는 우리의 정신문화가 대부분 축적되어 있어 현재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가치관의 문제 등을 치..

3.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가. 내용 체계 영역핵심 개념일반화된 지식내용 요소기능한문의 이해한자와 어휘한자는 하나의 글자가 모양・음・뜻을 지니고 있다.한자의 모양・음・뜻읽기풀이하기이해하기표현하기탐구하기조사하기분석하기활용하기한자의 부수한자의 필순한자의 짜임단어를 구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에는 일정한 결합 관계가 있다.단어의 짜임한문의 품사에는 단독으로 어휘적 의미를 가지는 실사와 문법적 의미만을 나타내는 허사가 있다.실사와 허사한문의 독해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 사이에는 일정한 결합 방식이 있다.문장의 구조읽기풀이하기이해하기표현하기비평하기감상하기탐구하기조사하기분석하기토의・토론하기활용하기화자(話者)가 자기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문장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문장의 유형글을 이루는 단어, 구절, 문장..
2. 醫員 趙光一 지도안 1. 실사와 허사의 구별所哀憐, 獨閭巷窮民耳.1) 所: 불완전 명사(所謂) – 실사 2) 耳: 귀이, 뿐이다(=耳, 而已, 而已矣, 爾, 已, 也已) - 어조사行吾志而已 2. 일상용어 활용(모둠활동) - 3개씩 찾기貴賤1모둠大小, 乾濕2모둠男女, 出入3모둠天地, 明暗 3. 가치관 정립1) 가치관: 베풂, 측은지심, 생명존중 2) 직업과 윤리관① 효민: 가수 / 노래로 아픈 마음을 치유하러② 민석: 프로게이머 / 게임이란 만국공통 언어로 국위선양할 수 있었으면③ 민지: 걸그룹 / BTS에 대등한 걸그룹 단원이 되어 많은 청소년들에게 희망을 주었으면④ 현경: 판사 / 약자의 편에 서서 사회 정의를 구현했으면 3. 醫員 趙光一 피드백 1. 당부단호하지만 겸손의 모습. 소통하는 모습을 ..

20XX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한 문수험번호 성명 관리번호 본문(醫員 趙光一)吾爲是術, 非要其利, 行吾志而已. 故不擇貴賤焉. (중략) 彼貴顯者, 寧少吾輩哉. 所哀憐, 獨閭巷窮民耳. (중략) 吾今年四十餘, 復數十年, 可活萬人. 活人至萬, 吾事畢矣. -『耳溪集』 학습목표1. 문장에 사용된 허사를 구별할 수 있다(所, 耳).2. 한자로 이루어진 일상용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일상용어를 활용하여 의미망 만들기).3. 글을 통해 건전한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다. 활동지1본문 속 한자를 활용하여 일상용어 의미망 만들어 보기 활동지21.조광일이 의원으로서 중요하게 생각한 가치(덕목)은 무엇인가요? 2. 자신의 희망직업과 그 직업에 필요한 직업윤리 선서를 발표해 봅시다. • 희망직업: • 선..
2. 刻舟求劍 지도안 수업방식블록타임제, 문답법, 토의ㆍ토론법 1.산문 읽고 풀이1) 단어의 짜임楚人: 주술, 술목, 술보, 병렬, 수식(수식어+피수식어, 동사류나 명사류 수식) 2) 其劍自舟中墜於水의 문장구조其劍自舟中墜於水13254 그 검이 배속으로부터 물에 떨어졌다. 문장의 구조: 주술, 주술목, 주술보, 주술목보(우리말과 어순이 다르고 영어와 같음) 3) 自: 스스로(코 모양 본뜸)~부터: 개사 2. 주제찾기 – 토의(모둠)1모둠: 어리석음2모둠: 멍청함3모둠: 바보1) 물에 빠뜨렸는데 배에만 새김2) 고기를 숨긴 장소를 기억하지 않고 흐르는 구름만 기억함. 3. 가치관 학습1) 자료1과 자료2 관련짓기楚人-까마귀劍-고기舟-구름 2) 의미망 만들기를 통해 고사성어 찾기時 方 刻 舟 求 劍 人 客시간..
2. 竊鈇之疑 지도안 1. 문장의 구조1) 종류: 意其鄰之子주술나는 본다我見주술목나는 하늘을 본다我見天주술보나는 산에 오른다我登山주술목보나는 친구에게 선물을 보내다.我送膳物於親舊 2) 같은 뜻의 한자相(보다) - 見, 視 2. 내용의 감상1) 문답법으로 내용 훑음.2) 모둠별로 활동지 채우기 – 걸음걸이 / 안색 / 언어 / 동작태도 (가) 골짜기를 보다가 도끼를 찾음.(나) 이웃집 아이가 훔치지 않은 것 같음. 3. 선인들의 사상이해 - 토론하기1모둠의심 = 본성성경의 아담도 뱀의 유혹을 의심부터 했음.2모둠친하지 않던 친구가 잘 해주면 벌컥 의심부터 듦.3모둠의심 = 병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의심으로 사람을 바보로 만듦.4모둠괜한 의심은 그 사람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림. 자기평가2모둠: 전 팀원이 활..

20XX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한 문수험번호 성명 관리번호 학습목표1) 한문산문을 풀이한다.2) 한문산문의 내용을 설명한다.3) 선인들의 사상을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한다. 조건1. 1차시에서 신습한자와 읽기에 대한 학습을 마쳤음.2. PPT자료를 활용할 것. 3. ㉠을 대상으로 문장의 구조를 설명하시오.4. ㉡과 동일한 의미를 지닌 한자를 설명하시오.5. 을 활용하여 산문 내용을 설명하시오.6. 를 활용하여 토의ㆍ토론 수업을 진행하시오. “竊鈇之疑”人有亡鈇者 ㉠意其鄰之子 視其行步 竊鈇也 顏色 竊鈇也 言語 竊鈇也 動作態度 無爲而不竊鈇也 ㉡相其谷而得其鈇 他日復見其鄰之子 動作態度無似竊鈇者 -『呂氏春秋』 ● 본문의 내용전개 설명하기1.상황→2. 의심의 시작→3. 의심나..
2. 借鷄騎還 지도안 1. 내용의 이해인물본문속마음주인家貧市遠絶無兼味 惟淡泊是愧耳반찬 없으니 그런 줄 아시오. 김선생金曰大丈夫不惜千金 當斬吾馬 佐酒에잇 그게 뭔 소리요. 내 말이라도 반찬으로 써야 할 정도이니, 다른 반찬 속히 내오시오.주인斬一馬 騎何物而還말을 베면 타고 갈게 없을 것인데, 너무 무리하는 거 아니요. 김선생借鷄騎還 主人大笑 殺鷄餉之정원에 당신네 닭들이 있으니, 그걸로 대덥해주시오. 2. 내용의 감상-대본1) 김선생은 농담을 잘 함. 2) 친구집에 방문했는데 채소 밖에 없었음. 3) 짐짓 사양하며 “집 가난 시장 멀어 보탤 만한 반찬이 없어 부끄럽소.”4) 마침 닭이 지나가자5) 김선생은 “천금이 아깝지 않으니 내 말을 베어 반찬에 더하시오.”6) 친구 “말 베면 뭐 타고 가려고”7) 김선..

20XX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한 문수험번호 성명 관리번호 단원명과 차시와 학습내용단원명차시학습내용08. 닭을 빌려 타고 가야지(借鷄騎還)1/2차시• 신습한자• 읽기• 본문풀이• 글의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2/2차시• 대본 만들기 활동을 통해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을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다. 조건1. 도입ㆍ정리 부분은 제시되어 있음. 2. 전개1 내용 다시 정리하기.을 활용하여 작성하시오.각 빈칸에 들어갈 내용을 제시하시오.모둠활동을 실시하고 순회지도 및 소외되는 학생이 없도록 할 것.판서 계획을 구조화하여 작성하시오. 3. 전개2이야기꾼이 되어 본문을 생동감있게 이야기하기.를 활용하여 작성하시오.개별활동으로 수업을 진행하시오.학생 발표의 ..
Ⅰ. 본문내용 1. 한시의 형식과 특징을 설명한다. 2. 한시의 내용과 주제를 이해하고 감상한다. 3. 노래를 찾는 사람들의 ‘사계’라는 노래와 ‘蠶婦’의 화자 중 한 명을 선택해 가상 인터뷰한다. 昨日入城市 徧身羅綺者 歸來淚滿巾 不是養蠶人 -장유, 「蠶婦」 Ⅱ. 지도안단원Ⅴ. 한시로 그려낸 사회소단원명9. 蠶婦차시2/2지도일시20.1.4(토)주제사회를 비판한 한시를 이해하고 감상한다.지도대상2학년 1반(30명)학습목표1. 한시의 형식과 특징을 설명한다. 2. 한시의 내용과 주제를 설명한다. 3. 노래를 찾는 사람들의 ‘사계’라는 노래와 ‘蠶婦’의 화자 중 한 명을 선택해 가상 인터뷰한다.학습단계학습요소교수-학습 활동시간자료 및 유의점교사학생도입•인사 및 출석•반갑게 인사하고 출석확인을 한다. •인사하고..

차계기환 수업실연 활동지 2장, 평가지 1장 1. 산문풀이 金先生者 善談笑 잘하다: 善牘書 / 착하다: 善惡 / 좋다: 善哉 主人設酌 只佐蔬菜 병렬관계: 江河, 居住 主人曰斬一馬 騎何物而還 의문문: 何, 焉, 耶 3. 지혜 이해 1모둠 3모둠 문장 當斬吾馬 佐酒 借鷄騎還 풀이 이유 우회적 나무람 우스갯소리로 응답 인용 지도 / 목차 / 문제 / 후기 지도안(21, 22, 24) 영상(21, 22, 24)

원일 수업실연 학습지 1장, 활동지 2장, 평가지 1장 즐거운 우리의 명절 15. 元日 元엔 元亨利貞하듯 첫째라는 뜻이 있어 원일은 첫째날을 뜻하고 새해의 첫날을 우린 설날이라 부른다. 산문 풀이 문화 이해 逢親舊年少 以登科進官 …중략… 德談 以相賀 덕담: 행운을 비는 말 / 수식관계 단어: 年少, 新衣 登科, 進官 京都俗歲 謁家廟行 祭曰茶禮 男女年少卑幼者 皆着新衣曰歲粧 訪族戚長老曰歲拜 설세. 활동지 1(모둠별 덕담 카드 만들기) 成熟, 善行, 和睦 가치관 내면화 2모둠 4모둠 대보름 달 보며 소원 쥐불놀이 단오 액운쫓기 창포물 계승이유 民族意識 溫故知新 액운쫓기는 동짓날 팥을 뿌려 행하는 것이다. 그러니 ‘그네뛰기’나 ‘씨름’이 들어가야 한다. ‘내 더위사려’는 정월대보름에 하는 행사의 일종이다. 인용..
수업실연 녹취록 배경지식 우리가 저번 주에 한, 또 새로운 단원을 배웠어요. 그러면서 신습한자도 읽고 또 본문의 풀이도 한 번 해봤었는데, 그때 우리가 재밌는 내용을 배웠는데, 그 내용이 뭔지 여러분 알고 있나요? 기억나는 사람 한 번 손들어서 얘기를 해봅시다. 음~ 지수가 손들었네. 지수 한 번 얘기해볼까? 음! 맞아! 우리 정말 그때 재밌게 배웠잖아. 너무 잘 아는 내용이지! 낭랑공주와 호동왕자의 사랑이야기. 근데 그때 막상 얘기를 하다보니까 선생님이 빼드린 부분이 있었어. 그 내용이 뭐냐면? 그 내용을 담고 있는 역사책이 있었거든. 바로 ‘삼국사기’라는 책이 있어. 삼국사기는, 바로 이 삼국사기에 이 내용이 담겨져 있는데, 이 내용을 담고 있는 내용은, 바로 삼국사기에 있고 이 사람은 고려 사람인데..

20XX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한 문수험번호 성명 관리번호 조건사항1. 전시에 신습 한자를 익히고, 본문풀이를 하였음. 2. 교수ㆍ학습 방법 중 ‘역할 놀이 학습’ 또는 ‘가상 인터뷰하기’를 활용할 것(둘 중 1가지만 사용할 것)3. 활동지를 활용할 것. 학습목표1. 한자 ‘妻’의 여러 가지 뜻을 구별할 수 있다. 2. 서사적 서술방식을 알 수 있다. 3. 낙랑과 호동 이야기를 현재적 관점에서 감상할 수 있다. 21. 낙랑과 호동夏四月, 王子好童, 遊於沃沮. 樂浪王崔理, 出行, 因見之問曰: “觀君顔色, 非常人, 豈非北國神王之子乎?” 遂同歸, 以女妻之. 後好童還國, 潛遣人, 告崔氏女曰: “若能入而國武庫, 割破鼓角則我以禮迎; 不然則否.” 인용목차사진문제지도안녹취록피드백영상(18, 21)후기..

20XX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한 문수험번호 성명 관리번호 조건사항1. 전시에 신습 한자를 익히고, 본문풀이를 하였음. 2. 교수ㆍ학습 방법 중 ‘명언ㆍ명언 속에서 핵심 사상 찾기’ 또는 ‘의미망 만들기’를 활용할 것(둘 중 1가지만 사용할 것)3. 활동지를 활용할 것. 학습목표1. 한자 ‘食’의 여러 가지 뜻과 음을 구별할 수 있다. 2. 글의 내용과 주제를 알 수 있다. 3. 백락과 천리마의 이야기를 이해하고, 현재적 의미에서 가치가 있는 것을 발견하여 내면화한다. 24. 백락과 천리마世有伯樂, 然後有千里馬, 千里馬常有而伯樂不常有. (중략) 馬之千里者, 一食或盡粟一石, 今食馬者不知其能千里而食也. 是馬雖有千里之能, 食不飽, 力不足, 才美不外見, 且欲與常馬等, 不可得, 安求其能千里也? ..

송인 지도안 활동지 3장 1. 한시풀이 2. 내용 이해(그림ㆍ만화 활용하기) 起: 雨歇長堤草色多 많다 / 짙다 承: 送君南浦動悲歌 움직인다 / 흐른다, 울렁인다 이별의 정한, 시상 이어 받음 轉: 大同江水何時盡 문장유형: 의문문(何), 반어유형 대동강 물로 시점 전환, 내용의 전환 結: 別淚年年添綠波 단어의 짜임: 병렬, 是非, 可否 이별의 눈물 이어짐, 결론 지음 3. 한시 감상 민석 현세 구절 기구 결구 이유 비와 풀빛 눈물과 강 사례 소나기 후 잔디 이별 후 눈물 펑펑 인용 지도 / 목차 / 후기 지도안(22, 24) / 영상

홍상국대부인 지도안 산문풀이 洪相國之大夫人 洪은 성씨이며 ‘大夫人’은 남의 어머니를 높여 부르는 말이다. 家甚貧 疏食菜羹 每多空乏 거친 밥(소사), 수식관계: 肉色, 首飾 遣婢買肉而來 遣은 사동형: 사(使), 령(令), 교(敎) 所賣之肉 有幾許塊耶 의문문: 일반, 반어유형 而埋于墻下 于: 서술어+()+명사류[개사] 내용 이해 (2) 문제상황(고기상함) (4) 문제해결(파묻음) (5) 병들까봐 가치관 함양 ‘덕목’과 ‘실천’으로 표현 상현: 善行, 화장실 청소 영지: 陰德, 구두 닦음 자기ㆍ동료 평가지 작성 후 반장에게 제출 EBS 온라인 클래쓰에 업로드했으니 복습할 때 활용할 것. 인용 목차 / 문제 / 후기 지도안(20, 21, 22, 24) 영상(20, 21, 22, 24①, 24②)
수업실연 녹취록 수업을 여는 말 (저번처럼 그래도 우리가 익히 아는 것들이 나올 줄 알았다. 그렇다고 해서 함부로 했던 건 아니고 아침에 부랴부랴 한문Ⅰ에 나오는 한시들을 다 보고 가긴 했다. 그런데 펴는 순간 전혀 모르는 한시가 나와 어찌할지 모르겠더라. 그래도 시간 체크할 겸 스마트폰을 챙겨 와서 유혹을 이기지 못하고 바로 해석을 참고했다. 그런 다음에야 이 시가 착취에 대한 얘기이고 벌과 인간과의 관계에 대한 얘기임을 알겠더라. 그제야 조금이나마 시작할 수 있었다.) 저번에 선생님하고 같이 이번에 우리가 해야될 한시를 배웠는데 선생님이 수업이 끝나고 복도를 지나가고 있었는데 그때 배웠던 그 반 학생이 선생님한테 와서 “선생님 한시가 너무 어려워요. 너무 어려운 것들이 많은 것 같아요. 한시는 형식도..

20XX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한 문수험번호 성명 관리번호 * 2015개정교육과정의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라 다음의 학습내용을 조건에 맞게 지도하시오. 조건1) 학습목표를 3가지 이상 제시할 것.2) 교수학습도구를 1가지 이상 활용할 것. 3) 교수ㆍ학습방법 중 ‘다른 창작물과 비교하기’ 방법을 적용할 것. 4) 학생 참여활동을 포함할 것. 학습내용春眠不覺曉 處處聞啼鳥夜來風雨聲 花落知多少* 위의 수업은 총 2차시 분량의 학습내용으로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의 학문수업이며, 1차시 한시의 형식과 특징 관련 내용은 이미 수업을 완료하였다. 인용목차사진

20XX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한 문수험번호 성명 관리번호 * 2015개정교육과정의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라 다음의 학습내용을 조건에 맞게 지도하시오. 조건1) 학습목표를 3가지 이상 제시할 것.2) 교수학습도구를 1가지 이상 활용할 것. 3) 교수ㆍ학습방법 중 ‘그림ㆍ만화 활용하기’ 방법을 적용할 것. 4) 학생 참여활동을 포함할 것. 학습내용不論平地與山尖無限風光盡被占采得百花成蜜後爲誰辛苦爲誰甛* 위의 수업은 총 2차시 분량의 학습내용으로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의 학문수업이며, 1차시 한시의 형식과 특징 관련 내용은 이미 수업을 완료하였다. 인용목차사진영상문제녹취록피드백후기 - 더 많이 실패하고 더 많이 도전하라

맹자 지도안 1. 활동지 2장 之의 여러 뜻? ① ② ③ 수업 태도 및 학습활동에 대한 평가 자기( ) 동료( ) 2. 내용이해 之의 여러 뜻: 가다(동사), 그것(대명사), ~의(어조사) 我雖不敏 請嘗試之: 그것을(맹자의 가르침) 及陷於罪 然後從而刑之: 그들을(백성을) 然後驅而之善 故民之從之也輕: 가다 / 어조사 / 그를(임금을) 핵심문장 恆産恆心: 일정한 수익이 있어야 일정한 착한 마음이 있게 된다. 3. 가치관 함양 영훈: 농어촌 특별 전형 가유: 청소년 활동 지원비 제도 자기평가ㆍ동료평가 짝을 지어 각 사람을 평가함 막상 수업실연에선 이 부분을 완전히 잊어버려 평가행위 자체를 하지 않음. 심각한 감점 사유. 조건은 반복 숙달하며 꼭 해야 함. 인용 지도 / 목차 지도안 / 영상
수형시(受刑詩) 수업실연 녹취록 수업안내 이번에 그 중간고사를 봤는데 한문시험 어땠어요? 어~ 어려웠다고. 선생님이 이번에 여러분들하고 이렇게 소통을 하는 과정 속에 문제를 내다보니까, 난이도가 조금 오버되는 게 있었던 거 같습니다. 여러분들이 풀다가 궁금했던 부분들은 쉬는 시간에 선생님에게 와서 얘기를 해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여러분들하고 수업을 하기 전에 재밌는 얘기를 조금 할까 합니다. 선생님이 대학생 때 맘에 드는 여학생이 있었는데 하루는 그 여학생한테 선생님이 고백을 하고 싶은 거예요. 보통 우리 남자들이 고백할 때 하는 것들이 있죠? 꽃 한 다발을 사고, 아주 그럴 듯한 명언이 담겨 있는 말들을 외워서 꽃을 딱 전해주면서 그 명언이나 시를 외워주면 여자가 ‘아~ 이 남자, 믿고 따라도 되겠구..
20XX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한 문수험번호 성명 관리번호 상황1. 총 2차시로 진행되는 수업이며 고등학교 2학년 1반 30명을 대상으로 한다. 2. 1차시 수업에선 신습한자와 본문을 간략하게 해석한 정도로 마쳤다.3. 중간고사가 끝난 첫 수업 시간이며 점심식사 후 진행되는 5교시 수업 시간이다. 조건1. 학습목표를 2가지 이상 제시하시오.2. 교수학습도구(한자카드, 신문, 영상 등)를 2가지 이상 활용하시오.3. 한시의 문법적인 내용보다 학생들이 ‘한시는 어렵지 않고 재밌어.’라고 느낄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시오.4. 교사의 경험담을 수업에 녹여내시오. “10. 나 가거든”受刑詩성삼문擊鼓催人命 回頭日欲斜 黃泉無一店 今夜宿誰家 ----- 상황1. 총 2차시로 진행되는 내용 중 고등학교..
20XX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한 문수험번호 성명 관리번호 조건사항1. 학습목표를 3가지 이상 제시할 것. 2. ‘실사와 허사’를 학습내용요소에 표함할 것. 3. 교수학습도구(한자카드, 신문, 영상)를 1가지 이상 활용할 것. 3. 학생 개별 참여활동을 포함할 것. 학습목표1. 수식관계를 안다. 2. 실사와 허사3. 성어활용 1. 木의 부수와 짜임을 알고 활용할 수 있다. 2. 수식관계를 안다. 3. ‘사이비’ 모둠 학습 “고사성어의 향기”白眉 鷄肋 桑田碧海 不惑似而非斷機之戒*위의 수업은 총 2차시 분량의 학습내용으로 고등학교 2학년 대상의 한문수업이며, 1차시 신습한자 관련 내용은 이미 수업을 완료하였다. -------- 조건사항1. 학습목표를 3가지 이상 제시할 것. 2. ‘단어의 ..

학원 강사의 일주일 구름도 많이 끼고 많이 추움(15:21) 요즘 생활 패턴은 단순명료하다. ‘아침에 일어나 학원에 가기 → 이것 저것하며 시간 보내기 → 수업이 끝나고 좀 더 공부하다가 집에 와서 자기’ 학원과 집의 단순한 이동패턴을 반복하며 생활을 하고 있다. 그리그 그 속에서 임용공부도 조금씩 한다곤 하지만 그냥 하는 흉내만 낸다는 표현이 맞을 정도다. ▲ 학원과 집만을 오고 가는 생활의 반복. 일주일 생활 평가 학원에서 일하게 된 지 1주일이 지났다. 뭐 이쯤 되면 다 적응되었다고 할 만하다. 어찌 보면 적응이랄 것도 없었다. 급수 공부를 해봤으니까 새롭게 공부해야 할 것은 없었으니까. 단지 간혹 2급, 1급 한자 중 갑자기 생각나지 않는 한자들이 있어서 답답하다고나 할까. 그리고 70명..
토론의 방법 수업실연 수업실연 학습내용 안내 어제 전주에 많은 눈이 왔잖아. 어제 선생님이 그 눈을 뚫고서 한참 달려갔거든. 어디를 갔냐면, 토론회장에 갔어. 요새 전북에서 가장 중심으로 삼는 게, ‘학생 인권 어떻게 할 것인가?’ 이게 핵심이거든. 그래서 한참 선생님이 그 토론회 얘기를 듣고 있는데, 거기에는 주요 장학사 선생님들과 또는 경력이 많으신 선생님들이 모였어. 얘기를 하는데 이게 지금 토론을 하는 건지, 얘기를 하는 건지, 그냥 각자 자기 얘기만 하려 하는 건지 선생님은 모르겠어. 근데 뭔가 얘기가 갔으면, 얘기를 받고 다른 얘기가 나오고, 이렇게 가야 서로 토론한다고 우리가 늘 그렇게 배워왔잖아. 근데 거기에 있는 사람들은 다 자기 얘기만 하고 있는 거야. 그래서 ‘아! 우리가 어려서부터 ..
20XX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한 문수험번호 성명 관리번호 * 단원명 : 의녀 대장금* 학습목표1. 허사 ‘於’의 쓰임을 안다. 2. 역사 속의 인물에 관한 글을 이해한다. 3. 한자로 이루어진 일상용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 조건1. 을 통해 한문산문을 풀이하는 지도안을 작성하시오.- ‘於’의 쓰임을 지도하시오. - 역사 속의 인물에 관한 글을 지도하시오. - 한자로 이루어진 일상용어를 지도하시오. 2. 과 를 바탕으로 두 번째 학습목표에 관한 지도안을 작성하시오.3. 과 을 바탕으로 세 번째 학습목표에 관한 지도안을 작성하시오.4. 한문의 독해 교수ㆍ학습 방법 중 1가지를 활용할 것. 5.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의 교수ㆍ학습 방법 중 1가지를 활용할 것.*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지..
20XX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한 문수험번호 성명 관리번호 조건사항1. 이전 시간에 본문을 읽고, 풀이함. 2. PPT자료를 활용할 것. 3. 한문과 인성의 교수ㆍ학습방법 중 1가지를 활용할 것. 학습목표1. 爲의 여러 가지 뜻을 안다. 2. 주술목 구조를 이해한다. 3. 선인의 바람직한 토론 태도를 이해하고 내면화한다. 자료先生與學者講論到疑處, 不主己見, 必博采衆論. 雖章句卑儒之言, 亦且留意聽之, 虛心理會, 反復參訂, 終歸於正而後已. 其論辨之際, 氣和辭暢, 理明義正. 雖羣言競起, 而不爲參錯. 說話必待彼言之定然後, 徐以一言條析之. 然不必其爲是, 第曰鄙見如此, 未知如何. -『退溪集』 인용목차사진문제 지도안녹취록피드백영상(18, 21)후기 – 두 번째 수업실연, 시나브로 나아진다

시절인연 오전에 비가 오다가 오후에 그침. 꽃샘 추위가 찾아온다.(20:00) 드디어 내일이면 임용 1차 결과가 나온다. 시험을 본 지 어느덧 3주가 흘렀다는 이야기다. 스터디도 했고 학교에도 나왔고 이래저래 바쁘게 보낸 것 같긴 하지만 솔직히 너무 빨리 지나간 느낌이다. 뭐 솔직한 얘기로 발표날이 빨리 오길 기다리기도 했었다. 확실한 점수대는 아니었지만 그래도 가능성 있는 점수였기 때문에 그 결과가 못내 궁금했으니까. 과연 내일 결과는 어떻게 나올 것인가? 던져진 주사위에 온갖 신경이 집중된다. 법정과 고미숙의 시절인연 내일 특별한 일이 있음에도 오늘은 평범하게 보냈다. 모처럼만에 독서를 했다. 하루종일 책을 읽고 맘에 들었던 부분을 발췌해 놓는다. 이건 여유가 어느 정도 있을 때 할 수 있는 ..

형제투금 지도안 1. 산문풀이 兄弟投金 형제는 단어의 짜임 중 병렬관계 주술목 구조를 지님. 본문 중 주술목 구조의 문장은? 弟得黃金二錠, 兄怪而問之 以其一 與兄 개사: 명사류(名詞類) 앞에 놓여 그 명사류를 서술어와 연결해주면서 처소, 대상, 도구, 시간, 원인, 비교 등의 뜻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玉人以爲寶也: ‘以爲’가 함께 묶여 말하다 여기다로 해석됨. 내용 이해 문답법을 통해 내용 파악하기 가치관: 활동지 학습 등장인물: 宋人, 子罕 자한에게 준 것: 玉 자한 반응: 弗受 반응 이유: 我以不貪爲寶 공통된 가치관: 信義 그냥 생각나는 대로 信義를 공통 가치관으로 잡았는데 22년에 했던 것처럼 ‘不貪’을 가치관으로 잡는 게 맞는 거 같다. 인용 목차 / 문제 지도안(20, 22, 24) 영상(20, ..

20XX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한 문수험번호 성명 관리번호 1. 문제지1. 이전 시간에 본문을 읽고, 풀이함. 2. PPT자료를 활용할 것. 3.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의 교수ㆍ학습방법 중 1가지를 활용할 것. 학습목표1. 乎의 쓰임을 안다. 2. 고사성어의 유래를 안다. 3. 고사성어의 속뜻을 이해하여 언어생활에 활용한다. “三人成虎”방총이 태자와 함께 趙나라로 떠나면서 위나라 왕에게 당부한 이야기다. 龐葱與太子質於邯鄲, 謂魏王曰: “今一人言市有虎, 王信之乎?” 王曰: “否.” “二人言市有虎, 王信之乎?” 王曰: “寡人疑之矣.”“三人言市有虎, 王信之乎?” 王曰: “寡人信之矣.”龐葱曰: “夫市之無虎, 明矣. 然而三人言而成虎.” -『戰國策』 인용목차사진영상문제지도안녹취록피드백후기 – 1. ..
Ⅰ. 본문내용 1. 한시의 특징인 대우법을 이해한다. 2. 한시의 내용과 주제를 설명한다. 3. 역할극을 통해 한시를 감상한다. 春種一粒粟 四海無閒田 秋收萬顆子 農夫猶餓死 -이신, 「憫農」 Ⅱ. 지도안단원Ⅴ. 한시의 맛과 멋소단원명11. 서민의 삶 속으로차시2/2지도일시18.12.22(토)주제 지도대상2학년 1반(30명)학습목표1. 한시의 특징인 대우법을 이해한다. 2. 한시의 내용과 주제를 설명한다. 3. 역할극을 통해 한시를 감상한다. 학습단계학습요소교수-학습 활동시간자료 및 유의점교사학생도입•인사 및 출석•반갑게 인사하고 출석확인을 한다. •인사하고 교사의 호명에 답한다. 7분•출석부•과제 및 전시학습확인•전시에 배운 한시의 띄어읽기에 대해 질의응답하며 간략히 설명한다. •교사의 질문에 답하며 한시..
Ⅰ. 본문내용 1.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한시를 바르게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한다. 2. 한시이 형식과 시상전개방식을 통해 한시를 이해한다. 3. 한시를 통해 옛 선인들이 벗과 소통하던 모습을 그려보고, 그 과정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들을 통해 한시의 주제를 이해하고 공감한다. 雪色白於紙 莫敎風掃地 擧鞭書姓字 好待主人至 -이규보, 「雪中訪友人不遇」 Ⅱ. 지도안단원Ⅵ. 마음에 스미는 한시소단원명눈 위에 남긴 마음차시4/4지도일시17.12.18(월)주제옛 선인들이 벗과 소통하던 모습을 통해 벗을 생각하는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하기.지도대상고등학교 2학년 1반 28명학습목표1.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한시를 바르게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한다. 2. 한시의 형식과 시상전개방식을 통해 한시를 이..
Ⅰ. 본문내용 1. 한시의 형식과 특징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2. 작가와 작품에 대한 사전적인 지식을 활용하여 한시의 내용과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3. 한시의 주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江碧鳥逾白 今春看又過 山靑花欲然 何日是歸年 -두보, 「絶句」 Ⅱ. 지도안단원Ⅱ. 한시로 전하는 향수소단원명6. 절구차시2/2지도일시16.01.02주제 지도대상고등학교 2학년 1반 30명학습목표1. 한시의 형식과 특징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2. 작가와 작품에 대한 사전적인 지식을 활용하여 한시의 내용과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3. 한시의 주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학습단계학습요소교수-학습 활동시간자료 및 유의점교사학생도입•인사 및 출석•반갑게 인사하고 출석을 확인한다. •인사..
Ⅰ. 본문내용 1. 허사 ‘則’의 쓰임을 알 수 있다. 2. 묵자의 사상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3. 선인들의 지혜를 통한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다. 若使天下兼相愛 國與國不相攻 家與家不相亂 盜賊無有 君臣父子皆能孝慈 若此 則天下治 故聖人以治天下爲事者 惡得不禁惡而勸愛 故天下兼相愛則治 交相惡則亂 故子墨子曰不可以不勸愛人者 此也 『墨子』 「兼愛」 上 14 Ⅱ. 지도안단원고전의 가르침소단원명20. 묵자차시2/2지도일시1.8.금 5교시주제겸애를 주장한 묵자지도대상2학년 1반(30명)학습목표1. 허사 ‘則’의 쓰임을 알 수 있다. 2. 묵자의 사상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3. 선인들의 지혜를 통한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학습단계학습요소교수-학습 활동시간자료 및 유의점교사학생도입•인사 및 출석•..
Ⅰ. 본문내용上試問於諸王子曰饌品之中 何物爲上 光海對曰鹽也 上問其故 對曰調和百味 非鹽則不成矣 -『燃藜室記述』 Ⅱ. 지도안단원선인들의 지혜와 비법소단원명20. 으뜸으로 여긴 반찬은차시2/3지도일시17.12.21(금)주제선인들이 으뜸으로 여긴 반찬을 통해 선인들의 지혜로운 모습을 이해하고 계승ㆍ발전할 수 있다. 지도대상고등학교 2학년 1반 30명학습목표1. 주술목 구조의 문장을 알고, 이를 문장풀이에 활용할 수 있다. 2. 선인들이 지혜를 이해하고, 이를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킬 수 있다. 학습단계학습요소교수-학습 활동시간자료 및 유의점교사학생도입•인사 및 출석•반갑게 인사하고 출석을 확인한다.•인사하고 출석에 응답한다7분•출석부•과제 및 전시학습확인•과제를 확인한다. •전시에 배운 신습한자를 제시하고 학생들에..
Ⅰ. 본문내용讀書水魚之交知音管鮑之交 Ⅱ. 지도안단원Ⅱ. 이야기로 전하는 뜻소단원명4. 우정차시2/2지도일시18.12.15(토)주제 지도대상고등학교 2학년 1반 30명학습목표1. 단어의 술목ㆍ병렬 관계를 구별할 수 있다. 2. 성어의 겉뜻ㆍ속뜻ㆍ유래를 설명할 수 있다. 3.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학습단계학습요소교수-학습 활동시간자료 및 유의점교사학생도입•인사 및 출석•반갑게 인사하고 출석을 확인한다. •인사하고 교사의 호명에 답한다. 7분•출석부•과제 및 전시학습확인•전시에 배운 고사성어의 의미와 그 쓰임에 대해 발문한다. •지난 시간에 배운 것을 회상하며 간단하게 대답한다. •발문 후 내용 정리•동기부여•가장 친한 친구는 누구인지,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질문한다. •각자 자유롭고 ..
Ⅰ. 본문내용不入虎穴 不得虎子君子之交 淡若水割鷄 焉用牛刀 Ⅱ. 지도안단원Ⅳ. 지혜의 샘물 앞에서소단원명三. 金科玉條차시6/6지도일시08.01.16주제 지도대상고등학교 2학년 1반 30명학습목표1. 속담ㆍ격언을 해석한 후 의미를 파악하여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2. 허자(焉, 不, 若 등)의 쓰임을 알아 문장을 바르게 풀이할 수 있다. 3. 문자의 형식(비교형, 반어형, 금지형, 사동형 등)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4.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바람직한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학습단계학습요소교수-학습 활동시간자료 및 유의점교사학생도입•인사 및 출석••7분•수행평가에 반영함을 인지시킨다.•전시학습확인•질문을 통하여 신습 한자를 확인한다.(신습한자 중 5~7자를 PPT로 띄운다.)•지명된..
Ⅰ.단원명1. 대단원명 : Ⅱ. 함께 사는 세상2. 소단원명 : 八. 未來産業 Ⅱ. 대단원 설정의 취지인간은 누구나 혼자서는 생활할 수 없다. 공동체 생활을 통해서만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고 최소한의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한 이유로 예로부터 우리의 선인들은 여러 경제활동을 혼자서 하지 않고 공동으로 함께 해왔다. 이 단원에서는 경제활동과 산업에 관련된 한자어를 익히고, 활용해봄으로써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또한 풍부한 언어생활을 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Ⅲ. 대단원의 학습 목표1. 한자의 음과 뜻을 알고 바르게 쓸 수 있다. 2. 음이 같은 한자어(‘漁 : 魚’, ‘賣 : 買’, ‘弟 : 第’)를 구별하여 올바르게 쓸 수 있다.3. 한자어의 짜임(주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