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盡心章句上 (46)
건빵이랑 놀자
진심장구상(盡心章句上) 제십삼(第十三) 凡四十六章. 1. 마음을 다하는 사람은 하늘을 알리 孟子曰: “盡其心者, 知其性也. 知其性, 則知天矣. 心者, 人之神明, 所以具衆理而應萬事者也. 性則心之所具之理, 而天又理之所從以出者也. 人有是心, 莫非全體, 然不窮理, 則有所蔽而無以盡乎此心之量. 故能極其心之全體而無不盡者, 必其能窮夫理而無不知者也. 旣知其理, 則其所從出. 亦不外是矣. 以『大學』之序言之, 知性則物格之謂, 盡心則知至之謂也. 存其心, 養其性, 所以事天也. 存, 謂操而不舍; 養, 謂順而不害. 事, 則奉承而不違也. 殀壽不貳, 修身以俟之, 所以立命也.” 殀壽, 命之短長也. 貳, 疑也. 不貳者, 知天之至, 修身以俟死, 則事天以終身也. 立命, 謂全其天之所付, 不以人爲害之. ○ 程子曰: “心也, 性也, 天也, ..

46. 급선무(急先務) 孟子曰: “知者無不知也, 當務之爲急; 仁者無不愛也, 急親賢之爲務. 堯ㆍ舜之知而不徧物, 急先務也; 堯ㆍ舜之仁不徧愛人, 急親賢也. 知者之知, 並去聲. ○ 知者固無不知, 然常以所當務者爲急, 則事無不治, 而其爲知也大矣; 仁者固無不愛, 然常急於親賢, 則恩無不洽, 而其爲仁也博矣. 不能三年之喪, 而緦小功之察; 放飯流歠, 而問無齒決, 是之謂不知務.” 飯, 扶晩反. 歠, 昌悅反. ○ 三年之喪, 服之重者也. 緦麻三月, 小功五月, 服之輕者也. 察, 致詳也. 放飯, 大飯. 流歠, 長歠, 不敬之大者也. 齒決, 齧斷乾肉, 不敬之小者也. 問, 講求之意. ○ 此章言君子之於道, 識其全體, 則心不狹; 知所先後, 則事有序. 豐氏曰: “智不急於先務, 雖徧知人之所知, 徧能人之所能, 徒弊精神, 而無益於天下之治矣. 仁不急..
45. 유교의 차등적 가치관: 친친(親親)ㆍ인민(仁民)ㆍ애물(愛物) 孟子曰: “君子之於物也, 愛之而弗仁; 於民也, 仁之而弗親. 親親而仁民, 仁民而愛物.” 物, 謂禽獸草木. 愛, 謂取之有時, 用之有節. 程子曰: “仁, 推己及人, 如老吾老以及人之老, 於民則可, 於物則不可. 統而言之則皆仁, 分而言之則有序.” 楊氏曰: “其分不同, 故所施不能無差等, 所謂理一而分殊者也.” 尹氏曰: “何以有是差等? 一本故也, 無僞也.” 해석 孟子曰: “君子之於物也, 愛之而弗仁; 於民也, 仁之而弗親. 親親而仁民, 仁民而愛物.” 맹자께서 “군자는 외물에 대해서 그것을 아끼되 인하게 여기진 않고 백성에 대해서 인하게 여기되 친히 하진 않는다. 친척을 친하게 여기고서 백성을 인하게 여기며, 백성을 인하게 여기고서 외물을 아끼는 것이다.”라..
44. 세 가지 유형의 폐단 孟子曰: “於不可已而已者, 無所不已; 於所厚者薄, 無所不薄也. 已, 止也. 不可止, 謂所不得不爲者也. 所厚, 所當厚者也. 此言不及者之弊. 其進銳者, 其退速.” 進銳者, 用心太過, 其氣易衰, 故退速. ○ 三者之弊, 理勢必然, 雖過ㆍ不及之不同, 然卒同歸於廢弛. 해석 孟子曰: “於不可已而已者, 無所不已; 於所厚者薄, 無所不薄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만 두어선 안 됨에도 그만 두면 그만두지 않을 게 없고 후하게 해야 할 것임에도 박하게 하면 박하게 하지 않을 게 없다. 已, 止也. 이(已)는 그친다는 것이다. 不可止, 謂所不得不爲者也. 불가지(不可止)는 그치지 않아선 안 됨을 말한다. 所厚, 所當厚者也. 소후(所厚)는 마땅히 두텁게 해야 할 것이다. 此言不及者之弊. 여기선 미치..
43. 물어도 대답해주지 않는 경우 公都子曰: “滕更之在門也, 若在所禮. 而不答, 何也?” 更, 平聲. ○ 趙氏曰: “滕更, 滕君之弟, 來學者也.” 孟子曰: “挾貴而問, 挾賢而問, 挾長而問, 挾有勳勞而問, 挾故而問, 皆所不答也. 滕更有二焉.” 長, 上聲. ○ 趙氏曰: “二, 謂挾貴, 挾賢也.” 尹氏曰: “有所挾, 則受道之心不專, 所以不答也.” ○ 此言君子雖誨人不倦, 又惡夫意之不誠者. 해석 公都子曰: “滕更之在門也, 若在所禮. 而不答, 何也?” 공도자가 “등경이 문하에 있을 적에 예우해야 할 것이 있는 듯했는데 대답하지 않은 건 무엇 때문입니까?”라고 여쭈었다. 更, 平聲. ○ 趙氏曰: “滕更, 滕君之弟, 來學者也.” 조기(趙岐)가 말했다. “등경은 등문공의 아우로, 와서 배운 사람이다.” 孟子曰: “挾貴..

42. 자신의 도를 굽혀 남을 따르는 것은 없다 孟子曰: “天下有道, 以道殉身; 天下無道, 以身殉道. 殉, 如殉葬之殉, 以死隨物之名也. 身出則道在必行, 道屈則身在必退, 以死相從而不離也. 未聞以道殉乎人者也.” 以道從人, 妾婦之道. ○ 趙岐曰: “殉, 從也. 天下有道, 得行王政, 道從身施功實也; 天下無道, 道不得行, 以身從道, 守道而隱. 不聞以正道從俗人也.” 해석 孟子曰: “天下有道, 以道殉身; 天下無道, 以身殉道.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천하에 도가 있을 적엔 도(道)로 몸을 따르게 하고, 천하에 도가 없을 적엔 몸으로 도(道)를 따르게 하니, 殉, 如殉葬之殉, 순(殉)은 순장할 때의 순(殉)이니 以死隨物之名也. 죽음으로 사물을 따른다는 명칭이다. 身出則道在必行, 道屈則身在必退, 몸이 가면 도는 반드시 행..

41. 활시위를 팽팽하게 당기되 쏘진 않는다 公孫丑曰: “道則高矣, 美矣, 宜若登天然, 似不可及也. 何不使彼爲可幾及而日孶孶也?” 幾, 音機. 孟子曰: “大匠不爲拙工改廢繩墨, 羿不爲拙射變其彀率. 爲, 去聲. 彀, 古候反. 率, 音律. ○ 彀率, 彎弓之限也. 言敎人者, 皆有不可易之法, 不容自貶以殉學者之不能也. 君子引而不發, 躍如也. 中道而立, 能者從之.” 引, 引弓也. 發, 發矢也. 躍如, 如踊躍而出也. 因上文彀率, 而言君子敎人, 但授以學之之法, 而不告以得之之妙, 如射者之引弓而不發矢, 然其所不告者, 已如踊躍而見於前矣. 中者, 無過不及之謂. 中道而立, 言其非難非易. 能者從之, 言學者當自勉也. ○ 此章言道有定體, 敎有成法; 卑不可抗, 高不可貶; 語不能顯, 黙不能藏. 해석 公孫丑曰: “道則高矣, 美矣, 宜若登天然..
40. 군자가 가르치는 5가지 방법 孟子曰: “君子之所以敎者五: 下文五者, 蓋因人品高下, 或相去遠近先後之不同. 有如時雨化之者, 時雨, 及時之雨也. 草木之生, 播種封植, 人力已至而未能自化, 所少者, 雨露之滋耳. 及此時而雨之, 則其化速矣. 敎人之妙, 亦猶是也. 若孔子之於顔ㆍ曾是已. 有成德者, 有達財者, 財, 與材同. 此各因其所長而敎之者也. 成德, 如孔子之於冉ㆍ閔; 達財, 如孔子之於由ㆍ賜. 有答問者, 就所問而答之, 若孔ㆍ孟之於樊遲, 萬章也. 有私淑艾者. 艾, 音乂. ○ 私, 竊也. 淑, 善也. 艾, 治也. 人或不能及門受業, 但聞君子之道於人, 而竊以善治其身, 是亦君子敎誨之所及, 若孔ㆍ孟之於陳亢, 夷之是也. 孟子亦曰: “予未得爲孔子徒也, 予私淑諸人也.” 此五者, 君子之所以敎也.” 聖賢施敎, 各因其材, 小以成小, ..

39. 3년상에 대한 맹자의 확고한 신념 齊宣王欲短喪. 公孫丑曰: “爲朞之喪, 猶愈於已乎?” 已, 猶止也. 孟子曰: “是猶或紾其兄之臂, 子謂之姑徐徐云爾, 亦敎之孝弟而已矣.” 紾, 之忍反. ○ 紾, 戾也. 敎之以孝弟之道, 則彼當自知兄之不可戾, 而喪之不可短矣. 孔子曰: “子生三年, 然後免於父母之懷, 予也有三年之愛於其父母乎?” 所謂敎之以孝弟者如此. 蓋示之以至情之不能已者, 非强之也. 王子有其母死者, 其傅爲之請數月之喪. 公孫丑曰: “若此者, 何如也?” 爲, 去聲. ○ 陳氏曰: “王子所生之母死, 厭於嫡母而不敢終喪. 其傅爲請於王, 欲使得行數月之喪也. 時又適有此事, 丑問如此者, 是非何如?” 按『儀禮』: “公子爲其母練冠, 麻衣, 縓緣, 旣葬除之.” 疑當時此禮已廢, 或旣葬而未忍卽除, 故請之也. 曰: “是欲終之而不可得也. ..
38. 생겨 먹은 대로 자신의 타고난 가치를 실현하라 孟子曰: “形色, 天性也; 惟聖人, 然後可以踐形.” 人之有形有色, 無不各有自然之理, 所謂天性也. 踐, 如踐言之踐. 蓋衆人有是形, 而不能盡其理, 故無以踐其形; 惟聖人有是形, 而又能盡其理, 然後可以踐其形而無歉也. ○ 程子曰: “此言聖人盡得人道而能充其形也. 蓋人得天地之正氣而生, 與萬物不同. 旣爲人, 須盡得人理, 然後稱其名. 衆人有之而不知, 賢人踐之而未盡, 能充其形, 惟聖人也.” 楊氏曰: “天生烝民, 有物有則. 物者, 形色也. 則者, 性也. 各盡其則, 則可以踐形矣.” 해석 孟子曰: “形色, 天性也; 惟聖人, 然後可以踐形.” 맹자께서 “형체와 색은 천성적으로 타고난다. 오직 성인인 후에야 타고난 형체를 실천할 수 있다.”라고 말씀하셨다. 人之有形有色, 사람은 ..
37. 임금이 현자를 제대로 대우하는 방법 孟子曰: “食而弗愛, 豕交之也; 愛而不敬, 獸畜之也. 食, 音嗣. 畜, 許六反. ○ 交, 接也. 畜, 養也. 獸, 謂犬馬之屬. 恭敬者, 幣之未將者也. 將, 猶奉也. 『詩』曰: “承筐是將.” 程子曰: “恭敬雖因威儀幣帛而後發見, 然幣之未將時, 已有此恭敬之心, 非因幣帛而後有也.” 恭敬而無實, 君子不可虛拘.” 此言當時諸侯之待賢者, 特以幣帛爲恭敬, 而無其實也. 拘, 留也. 해석 孟子曰: “食而弗愛, 豕交之也; 愛而不敬, 獸畜之也. 맹자께서 “먹이기만 하고 아끼지 않으면 돼지로 사귀는 것이고 아끼기만 하고 공경하지 않으면 짐승으로 기르는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食, 音嗣. 畜, 許六反. ○ 交, 接也. 畜, 養也. 교(交)는 접한다는 말이다. 축(畜)은 기른다는 것이다..
36. 어디에 사느냐에 따라 내 몸도 바뀐다 孟子自范之齊, 望見齊王之子. ○ 范, 齊邑. 喟然歎曰: “居移氣, 養移體, 大哉居乎! 夫非盡人之子與?” 夫, 音扶. 與, 平聲. ○ 居, 謂所處之位. 養, 奉養也. 言人之居處, 所繫甚大, 王子亦人子耳, 特以所居不同, 故所養不同而其氣體有異也. 孟子曰: “王子宮室, 車馬, 衣服多與人同, 而王子若彼者, 其居使之然也; 況居天下之廣居者乎? 張鄒皆云羡文也. 廣居, 見前篇. 尹氏曰: “睟然見於面, 盎於背, 居天下之廣居者然也.” 魯君之宋, 呼於垤澤之門. 守者曰: ‘此非吾君也, 何其聲之似我君也?’ 此無他, 居相似也.” 呼, 去聲. ○ 垤澤, 宋城門名也. 孟子又引此事爲證. 해석 孟子自范之齊, 望見齊王之子. 맹자께서 범(范) 땅으로부터 제나라에 가셔서 제나라 임금의 아들을 바라보..
35. 순임금의 아버지가 사람을 죽였다면, 순임금은 어떻게 행동할까? 桃應問曰: “舜爲天子, 皐陶爲士, 瞽瞍殺人, 則如之何?” 桃應, 孟子弟子也. 其意以爲舜雖愛父, 而不可以私害公; 皐陶雖執法, 而不可以刑天子之父. 故設此問, 以觀聖賢用心之所極, 非以爲眞有此事也. 孟子曰: “執之而已矣.” 言皐陶之心, 知有法而已, 不知有天子之父也. “然則舜不禁與?” 與, 平聲. ○ 桃應問也. 曰: “夫舜惡得而禁之? 夫有所受之也.” 夫, 音扶. 惡, 平聲. ○ 言皐陶之法, 有所傳受, 非所敢私, 雖天子之命亦不得而廢之也. “然則舜如之何?” 桃應問也. 曰: “舜視棄天下, 猶棄敝蹝也. 竊負而逃, 遵海濱而處, 終身訢然, 樂而忘天下.” 蹝, 音徙. 訢, 與欣同. 樂, 音洛. ○ 蹝, 草履也. 遵, 循也. 言舜之心. 知有父而已, 不知有天下..

34. 오릉 중자는 작은 절개만 중시하여 큰 절개를 버렸다 孟子曰: “仲子, 不義與之齊國而弗受, 人皆信之, 是舍簞食豆羹之義也. 舍, 音捨. 食, 音嗣. ○ 仲子, 陳仲子也. 言仲子設若非義而與之齊國, 必不肯受. 齊人皆信其賢, 然此但小廉耳. 人莫大焉, 亡親戚ㆍ君臣ㆍ上下. 以其小者信其大者, 奚可哉?” 其辟兄離母, 不食君祿, 無人道之大倫, 罪莫大焉. 豈可以小廉信其大節, 而遂以爲賢哉? 해석 孟子曰: “仲子, 不義與之齊國而弗受, 人皆信之, 是舍簞食豆羹之義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중자는 불의하게 제나라를 주더라도 받지 않는다는 것은 사람들이 모두 믿지만 이것은 한 대나무의 밥과 한 그릇의 국을 거절하는 뜻이다. 舍, 音捨. 食, 音嗣. ○ 仲子, 陳仲子也. 중자는 진중자다. 言仲子設若非義而與之齊國, 必不肯受. ‘..

33. 선비란 뜻을 고상히 하는 일을 하는 사람이다 王子墊問曰: “士何事?” 墊, 丁念反. ○ 墊, 齊王之子也. 上則公卿大夫, 下則農工商賈, 皆有所事; 而士居其閒, 獨無所事, 故王子問之也. 孟子曰: “尙志.” 尙, 高尙也. 志者, 心之所之也. 士旣未得行公ㆍ卿ㆍ大夫之道, 又不當爲農ㆍ工ㆍ商ㆍ賈之業, 則高尙其志而已. 曰: “何謂尙志?” 曰: “仁義而已矣. 殺一無罪, 非仁也; 非其有而取之, 非義也. 居惡在? 仁是也; 路惡在? 義是也. 居仁由義, 大人之事備矣.” 惡, 平聲. ○ 非仁非義之事, 雖小不爲; 而所居所由, 無不在於仁義, 此士所以尙其志也. 大人, 謂公ㆍ卿ㆍ大夫. 言士雖未得大人之位, 而其志如此, 則大人之事體用已全. 若小人之事, 則固非所當爲也. 해석 王子墊問曰: “士何事?” 왕자 점(墊)이 “선비는 무슨 일을..

32. 군자가 농사짓지 않는데도 먹고 살 수 있는 이유 公孫丑曰: “『詩』曰, ‘不素餐兮.’ 君子之不耕而食, 何也?” 餐, 七丹反. ○ 詩魏國風「伐檀」之篇. 素, 空也. 無功而食祿, 謂之素餐, 孟子曰: “君子居是國也, 其君用之, 則安富尊榮; 其子弟從之, 則孝弟忠信. 不素餐兮, 孰大於是?” 此與告陳相ㆍ彭更之意同. 해석 公孫丑曰: “『詩』曰, ‘不素餐兮.’ 君子之不耕而食, 何也?” 공손추가 “『시경』에 ‘공짜밥을 먹지 않는다【세 스탄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불소찬혜(不素餐兮)’가 매번 마지막 구절을 장식하고 있다. 이 노래는 황하를 건너가 사냥을 해오는 동네청년들을 격려하는, 어느 강가 동네사람들의 민요이다. 그러니까 마지막에 저 무위도식하는 듯이 보이는 지배계급의 선비들도 결코 공짜밥을 먹지는 않으니 부지런..
31. 이윤이 태갑을 추방하다 公孫丑曰: “伊尹曰: ‘予不狎于不順. 放太甲于桐, 民大悅. 太甲賢. 又反之, 民大悅. 子不狎于不順, 「太甲」篇文. 狎, 習見也. 不順, 言太甲所爲, 不順義理也. 餘見前篇. 賢者之爲人臣也, 其君不賢, 則固可放與?” 與, 平聲. 孟子曰: “有伊尹之志, 則可; 無伊尹之志, 則簒也.” 伊尹之志, 公天下以爲心而無一毫之私者也. 해석 公孫丑曰: “伊尹曰: ‘予不狎于不順. 放太甲于桐, 民大悅. 太甲賢. 又反之, 民大悅. 공손추가 말했다. “이윤이 ‘나는 불순한 것을 익숙히 보지 않을 것이다.’라고 하고 태갑을 동땅으로 추방하니 백성들이 크게 기뻐했다. 태갑이 어질어져서 또한 돌아오니, 백성들이 크게 기뻐했다. 子不狎于不順, 「太甲」篇文. 자불압우불순(子不狎于不順)이란 「태갑」 편의 글이다..
30. 요순과 탕무와 오패의 차이 孟子曰: “堯舜, 性之也; 湯ㆍ武, 身之也; 五霸, 假之也. 堯舜天性渾全, 不假修習. 湯武修身體道, 以復其性. 五霸則假借仁義之名, 以求濟其貪欲之私耳. 久假而不歸, 惡知其非有也.” 惡, 平聲. ○ 歸, 還也. 有, 實有也. 言竊其名以終身, 而不自知其非眞有. 或曰: “蓋歎世人莫覺其僞者.” 亦通. 舊說, 久假不歸, 卽爲眞有, 則誤矣. ○ 趙岐曰: “五霸而能久假仁義, 譬如假物, 久而不歸, 安知其不眞有也.” ○ 尹氏曰: “性之者, 與道一也; 身之者, 履之也, 及其成功則一也. 五霸則假之而已, 是以功烈如彼其卑也.” 해석 孟子曰: “堯舜, 性之也; 湯ㆍ武, 身之也; 五霸, 假之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요임금과 순임금은 본성대로 하셨고, 탕임금과 무왕은 수신(修身)함으로 도를 회복하..
29. 우물 파기와 성실함 孟子曰: “有爲者辟若掘井, 掘井九軔而不及泉, 猶爲棄井也.” 辟, 讀作譬. 軔, 音刃, 與仞同. ○ 八尺爲仞. 言鑿井雖深, 然未及泉而止, 猶爲自棄其井也. ○ 呂侍講曰: “仁不如堯, 孝不如舜, 學不如孔子, 終未入於聖人之域, 終未至於天道, 未免爲半塗而廢, 自棄前功也.” 해석 孟子曰: “有爲者辟若掘井, 掘井九軔而不及泉, 猶爲棄井也.” 맹자께서 “하려 하는 사람은 우물 파는 행위에 비유할 수 있으니, 아홉 길까지 파내려갔는데 샘물에 미치지 못하면 오히려 우물을 버림이 된다.”라고 말씀하셨다. 辟, 讀作譬. 軔, 音刃, 與仞同. ○ 八尺爲仞. 8척이 인(仞)이 된다. 言鑿井雖深, 然未及泉而止, 우물을 판 것이 비록 깊지만 샘물에 미치지 않아 그쳤다면 猶爲自棄其井也. 오히려 스스로 우물을 ..
28. 외적인 요인에 지조가 흔들리지 않았던 유하혜 孟子曰: “柳下惠不以三公易其介.” 介, 有分辨之意. 柳下惠進不隱賢, 必以其道, 遺佚不怨, 阨窮不憫, 直道事人, 至於三黜, 是其介也. ○ 此章言柳下惠和而不流, 與孔子論夷齊不念舊惡意正相類, 皆聖賢微顯闡幽之意也. 해석 孟子曰: “柳下惠不以三公易其介.” 맹자께서 “유하혜는 삼공의 지위로 절개를 바꾸지 않았다.”라고 말씀하셨다. 介, 有分辨之意. 개(介)는 분별함이 있다는 뜻이다. 柳下惠進不隱賢, 유하혜는 나가선 어짊을 숨기지 않았고 必以其道, 遺佚不怨, 반드시 도(道)로써 했으며 버려져도 원망하지 않고 阨窮不憫, 直道事人, 곤궁해도 근심하지 않고 도를 곧게 하여 사람을 섬겨 至於三黜, 是其介也. 세 번 쫓겨남에 이르렀으니 이것이 절개다. ○ 此章言柳下惠和而不流..
27. 배고플 때 먹는 음식과 가난할 때 마음의 공통점 孟子曰: “飢者甘食, 渴者甘飮, 是未得飮食之正也, 飢渴害之也. 豈惟腹有飢渴之害? 人心亦皆有害. 口腹爲飢渴所害, 故於飮食不暇擇, 而失其正味; 人心爲貧賤所害, 故於富貴不暇擇, 而失其正理. 人能無以飢渴之害爲心害, 則不及人不爲憂矣.” 人能不以貧賤之故而動其心, 則過人遠矣. 해석 孟子曰: “飢者甘食, 渴者甘飮, 是未得飮食之正也, 飢渴害之也. 豈惟腹有飢渴之害? 人心亦皆有害.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굶주린 이가 달게 먹고, 목 타는 이가 달게 마시는 것은 이것은 음식의 바른 맛을 얻은 게 아니니 굶주림과 목마름이 해치기 때문이다. 어찌 오직 배에만 굶주림과 목마름의 해가 있겠는가? 사람 마음이 또한 다 해치는 게 있는 것이다. 口腹爲飢渴所害, 입과 배가 굶주림과 ..

26. 양주와 묵적과 자막은 권도(權道)를 모른다 孟子曰: “楊子取爲我, 拔一毛而利天下, 不爲也. 爲我之爲, 去聲. ○ 楊子, 名朱. 取者, 僅足之意. 取爲我者, 僅足於爲我而已, 不及爲人也. 列子稱其言曰“伯成子高不以一毫利物”, 是也. 墨子兼愛, 摩頂放踵利天下, 爲之. 放, 上聲. ○ 墨子, 名翟. 兼愛, 無所不愛也. 摩頂, 摩突其頂也. 放, 至也. 子莫執中, 執中爲近之, 執中無權, 猶執一也. 子莫, 魯之賢人也. 知楊ㆍ墨之失中也, 故度於二者之閒而執其中. 近, 近道也. 權, 稱錘也, 所以稱物之輕重而取中也. 執中而無權, 則膠於一定之中而不知變, 是亦執一而已矣. 程子曰: “中字最難識, 須是黙識心通. 且試言一廳, 則中央爲中; 一家, 則廳非中而堂爲中; 一國, 則堂非中而國之中爲中, 推此類可見矣.” 又曰: “中不可執也,..
25. 순임금과 도척의 나눠짐은 한 끗 차 孟子曰: “雞鳴而起, 孶孶爲善者, 舜之徒也. 孶孶, 勤勉之意. 言雖未至於聖人, 亦是聖人之徒也. 雞鳴而起, 孶孶爲利者, 蹠之徒也. 蹠, 盜蹠也. 欲知舜與蹠之分, 無他, 利與善之閒也.” 程子曰: “言閒者, 謂相去不遠, 所爭毫末耳. 善與利, 公私而已矣. 纔出於善, 便以利言也.” ○ 楊氏曰: “舜蹠之相去遠矣, 而其分, 乃在利善之閒而已, 是豈可以不謹? 然講之不熟, 見之不明, 未有不以利爲義者, 又學者所當深察也.” 或問: “雞鳴而起, 若未接物, 如何爲善?” 程子曰: “只主於敬, 便是爲善.” 해석 孟子曰: “雞鳴而起, 孶孶爲善者, 舜之徒也. 맹자께서 “닭이 울면 일어나 부지런히 선을 행하는 사람은 순의 무리다. 孶孶, 勤勉之意. 자자(孶孶)는 근면하다는 뜻이다. 言雖未至於聖人..

23. 물과 불을 쉽사리 나눠주듯 곡식도 나눠 줄 수 있으려면? 孟子曰: “易其田疇, 薄其稅斂, 民可使富也. 易, 斂, 皆去聲. ○ 易, 治也. 疇, 耕治之田也. 食之以時, 用之以禮, 財不可勝用也. 勝, 音升. ○ 敎民節儉, 則財用足也. 民非水火不生活, 昏暮叩人之門戶, 求水火, 無弗與者, 至足矣. 聖人治天下, 使有菽粟如水火. 菽粟如水火, 而民焉有不仁者乎?” 焉, 於虔反. ○ 水火, 民之所急, 宜其愛之而反不愛者, 多故也. 尹氏曰: “言禮義生於富足, 民無常産, 則無常心矣.” 해석 孟子曰: “易其田疇, 薄其稅斂, 民可使富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밭을 다스리고, 세금을 적게 내면 백성들이 부유해질 수 있다. 易, 斂, 皆去聲. ○ 易, 治也. 疇, 耕治之田也. 이(易)는 다스린다는 것이다. 주(疇)는 다스린..
22. 헐벗음과 굶주림이 없는 정치 孟子曰: “伯夷辟紂, 居北海之濱, 聞文王作興, 曰: ‘盍歸乎來! 吾聞西伯善養老者.’ 太公辟紂, 居東海之濱, 聞文王作興, 曰: ‘盍歸乎來! 吾聞西伯善養老者.’ 天下有善養老, 則仁人以爲己歸矣. 辟, 去聲, 下同. 大, 他蓋反. ○ 己歸, 謂己之所歸. 餘見前篇. 五畝之宅, 樹牆下以桑, 匹婦蠶之, 則老者足以衣帛矣. 五母雞, 二母彘, 無失其時, 老者足以無失肉矣. 百畝之田, 匹夫耕之, 八之家足以無飢矣. 衣, 去聲. ○ 此文王之政也. 一家養母雞五, 母彘二也. 餘見前篇. 所謂西伯善養老者, 制其田里, 敎之樹畜, 導其妻子, 使養其老. 五十非帛不煖, 七十非肉不飽. 不煖不飽, 謂之凍餒. 文王之民, 無凍餒之老者, 此之謂也.” 田, 謂百畝之田. 里, 謂五畝之宅. 樹, 謂耕桑. 畜, 謂雞彘也. ..

21. 군자는 내면이 꽉 차 절로 드러나고 절로 사람들이 깨닫게 된다 孟子曰: “廣土衆民, 君子欲之, 所樂不存焉. 樂, 音洛, 下同. ○ 地闢民聚, 澤可遠施, 故君子欲之, 然未足以爲樂也. 中天下而立, 定四海之民, 君子樂之, 所性不存焉. 其道大行, 無一夫不被其澤, 故君子樂之, 然其所得於天者則不在是也. 君子所性, 雖大行不加焉, 雖窮居不損焉, 分定故也. 分, 去聲. ○ 分者, 所得於天之全體, 故不以窮達而有異. 君子所性, 仁義禮智根於心. 其生色也, 睟然見於面, 盎於背, 施於四體, 四體不言而喩.” 睟, 音粹. 見, 音現. 盎, 烏浪反. ○ 上言所性之分, 與所欲所樂不同, 此乃言其蘊也. 仁義禮智, 性之四德也. 根, 本也. 生, 發見也. 睟然, 淸和潤澤之貌. 盎, 豐厚盈溢之意. 施於四體, 謂見於動作威儀之閒也. 喩, 曉..

20.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孟子曰: “君子有三樂, 而王天下不與存焉. 樂, 音洛. 王, 與, 皆去聲, 下並同.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 此人所深願而不可必得者, 今旣得之, 其樂可知. 仰不愧於天, 俯不怍於人, 二樂也. 程子曰: “人能克己, 則仰不愧, 俯不怍, 心廣體胖, 其樂可知, 有息則餒矣.” 得天下英才而敎育之, 三樂也. 盡得一世明睿之才, 而以所樂乎己者敎而養之, 則斯道之傳得之者衆, 而天下後世將無不被其澤矣. 聖人之心所願欲者, 莫大於此, 今旣得之, 其樂爲何如哉? 君子有三樂, 而王天下不與存焉.” 林氏曰: “此三樂者, 一係於天, 一係於人. 其可以自致者, 惟不愧不怍而已, 學者可不勉哉?” 해석 孟子曰: “君子有三樂, 而王天下不與存焉.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에게 세 가지 즐거움이 있으니, 여기에 천하에서 임..

19. 인품의 네 등급 孟子曰: “有事君人者, 事是君則爲容悅者也. 阿殉以爲容, 逢迎以爲悅, 此鄙夫之事, 妾婦之道也. 有安社稷臣者, 以安社稷爲悅者也. 言大臣之計安社稷, 如小人之務悅其君, 眷眷於此而不忘也. 有天民者, 達可行於天下而後行之者也. 民者, 無位之稱. 以其全盡天理, 乃天之民, 故謂之天民. 必其道可行於天下, 然後行之; 不然, 則寧沒世不見知而不悔, 不肯小用其道以殉於人也. 張子曰: “必功覆斯民然後出, 如伊ㆍ呂之徒.” 有大人者, 正己而物正者也.” 大人, 德盛而上下化之, 所謂“見龍在田, 天下文明”者. ○ 此章言人品不同, 略有四等. 容悅佞臣不足言. 安社稷則忠矣, 然猶一國之士也. 天民則非一國之士矣, 然猶有意也. 無意無必, 惟其所在而物無不化, 惟聖者能之. 해석 孟子曰: “有事君人者, 事是君則爲容悅者也. 맹자께서 말..

18. 어려움 속에 있을 때 통달한다 孟子曰: “人之有德慧術知者, 恒存乎疢疾. 知, 去聲. 疢, 丑刃反. ○ 德慧者, 德之慧. 術知者, 術之知. 疢疾, 猶災患也. 言人必有疢疾, 則能動心忍性, 增益其所不能也. 獨孤臣孽子, 其操心也危, 其慮患也深, 故達.” 孤臣, 遠臣; 孽子, 庶子, 皆不得於君親, 而常有疢疾者也. 達, 謂達於事理, 卽所謂德慧術知也. 해석 孟子曰: “人之有德慧術知者, 恒存乎疢疾.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덕스러움과 지혜와 기술과 깨침이 있는 이는 항상 어려움 속에 있다. 知, 去聲. 疢, 丑刃反. ○ 德慧者, 德之慧. 덕혜(德慧)는 덕의 지혜로움이다. 術知者, 術之知. 疢疾, 猶災患也. 술지(術知)는 기술의 지혜로움이다. 진질(疢疾)은 재앙과 같다. 言人必有疢疾, 사람이 반드시 재앙 속..

17. 하지 않아야 할 것과 하고자 함이 없는 것 孟子曰: “無爲其所不爲, 無欲其所不欲, 如此而已矣.” 李氏曰: “有所不爲不欲, 人皆有是心也. 至於私意一萌, 而不能以禮義制之, 則爲所不爲, 欲所不欲者多矣. 能反是心, 則所謂擴充其羞惡之心者, 而義不可勝用矣, 故曰如此而已矣.” 해석 孟子曰: “無爲其所不爲, 無欲其所不欲, 如此而已矣.” 맹자께서 “하지 않아야 할 것을 함이 없고 하고자 하지 않는 것을 하고자 함이 없어야 하니, 이와 같을 뿐이다.”라고 말씀하셨다. 李氏曰: “有所不爲不欲, 이욱(李郁)이 말했다. “하지 않아야 하는 것과 하고자 하지 않아야 하는 것은 人皆有是心也. 사람들이 모두 이 마음이 있다. 至於私意一萌, 而不能以禮義制之, 그러나 사적인 뜻이 한 번 싹틈에 이르러 예의(禮義)로 그것을 제재할..
16. 순이 야인이었다가 성인이 될 수 있었던 이유 孟子曰: “舜之居深山之中, 與木石居, 與鹿豕遊, 其所以異於深山之野人者幾希. 及其聞一善言, 見一善行, 若決江河, 沛然莫之能禦也.” 行, 去聲. ○ 居深山, 謂耕歷山時也. 蓋聖人之心, 至虛至明, 渾然之中, 萬理畢具. 一有感觸, 則其應甚速, 而無所不通, 非孟子造道之深, 不能形容至此也. 해석 孟子曰: “舜之居深山之中, 與木石居, 與鹿豕遊, 其所以異於深山之野人者幾希. 맹자께서 “순이 깊은 산속에 살며 나무와 돌과 살았고 사슴과 돼지와 함께 노니 깊은 산속의 촌사람들과 다른 것이 거의 드물었다. 居深山, 謂耕歷山時也. 거역산(居深山)은 역산에서 밭갈 때를 말한다. 及其聞一善言, 見一善行, 若決江河, 沛然莫之能禦也.” 그러나 하나의 선한 말을 듣고 하나의 선한 행동..

15. 양능(良能)과 양지(良知) 孟子曰: “人之所不學而能者, 其良能也; 所不慮而知者, 其良知也. 良者, 本然之善也. 程子曰: “良知良能, 皆無所由; 乃出於天, 不繫於人.” 孩提之童, 無不知愛其親者; 及其長也, 無不知敬其兄也. 長, 上聲, 下同. ○ 孩提, 二三歲之閒, 知孩笑, 可提抱者也. 愛親敬長, 所謂良知良能者也. 親親, 仁也; 敬長, 義也. 無他, 達之天下也.” 言親親敬長, 雖一人之私, 然達之天下無不同者, 所以爲仁義也. 해석 孟子曰: “人之所不學而能者, 其良能也; 所不慮而知者, 其良知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배우지 않고도 할 수 있는 것을 양능(良能)이라 하고, 생각하지 않고도 아는 것을 양지(良知)라 한다. 良者, 本然之善也. 량(良)이란 본연의 선이다. 程子曰: “良知良能, 皆無所由;..

14. 인한 말과 인한 소문, 선한 정치와 선한 가르침 孟子曰: “仁言, 不如仁聲之入人深也. 程子曰: “仁言, 謂以仁厚之言加於民. 仁聲, 謂仁聞, 謂有仁之實而爲衆所稱道者也. 此尤見仁德之昭著, 故其感人尤深也.” 善政, 不如善敎之得民也. 政, 謂法度禁令, 所以制其外也. 敎, 謂道德齊禮, 所以格其心也. 善政民畏之, 善敎民愛之; 善政得民財, 善敎得民心.” 得民財者, 百姓足而君無不足也; 得民心者, 不遺其親, 不後其君也. 해석 孟子曰: “仁言, 不如仁聲之入人深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인한 말은 인한 소문이 사람에게 깊이 들어가는 것만 못하다. 程子曰: “仁言, 정이천(程伊川)이 말했다. “인언(仁言)이란 謂以仁厚之言加於民. 인후한 말을 백성에게 더하는 것을 말한다. 仁聲, 謂仁聞, 인성(仁聲)은 인한 소문을 말..
13. 지나가면 교화되고 머물면 신묘함이 깃든다 孟子曰: “霸者之民, 驩虞如也; 王者之民, 皞皞如也. 皞, 胡老反. ○ 驩虞, 與歡娛同. 皞皞, 廣大自得之貌. 程子曰: “驩虞, 有所造爲而然, 豈能久也? 耕田鑿井, 帝力何有於我? 如天之自然, 乃王者之政.” 楊氏曰: “所以致人驩虞, 必有違道干譽之事; 若王者則如天, 亦不令人喜, 亦不令人怒.” 殺之而不怨, 利之而不庸, 民日遷善而不知爲之者. 此所謂皞皞如也. 庸, 功也. 豐氏曰: “因民之所惡而去之, 非有心於殺之也, 何怨之有? 因民之所利而利之, 非有心於利之也, 何庸之有? 輔其性之自然, 使自得之, 故民日遷善而不知誰之所爲也.” 夫君子所過者化, 所存者神, 上下與天地同流, 豈曰小補之哉?” 夫, 音扶. ○ 君子, 聖人之通稱也. 所過者化, 身所經歷之處, 卽人無不化, 如舜之耕歷山..

12. 백성을 죽여도 원망하지 않는 이유 孟子曰: “以佚道使民, 雖勞不怨; 以生道殺民, 雖死不怨殺者.” 程子曰: “以佚道使民, 謂本欲佚之也, 播穀乘屋之類是也. 以生道殺民, 謂本欲生之也, 除害去惡之類是也. 蓋不得已而爲其所當爲, 則雖咈民之欲而民不怨, 其不然者反是.” 해석 孟子曰: “以佚道使民, 雖勞不怨; 以生道殺民, 雖死不怨殺者.” 맹자께서 “편안하게 해주는 방법으로 백성을 부리면 비록 수고롭더라도 원망하지 않고, 살리려는 방법으로 백성을 죽이면 비록 죽더라도 죽인 자를 원망하지 않는다.”라고 말씀하셨다. 程子曰: “以佚道使民, 정이천(程伊川)이 말했다. “이일도사민(以佚道使民)은 謂本欲佚之也, 본래 그들을 편안히 하고자 하는 것으로 播穀乘屋之類是也. 곡식의 씨를 뿌리고 지붕의 띠를 잇는 종류가 이것이다. ..

11. 돈 많은 걸 별스럽지 않게 볼 수 있는 사람 孟子曰: “附之以韓ㆍ魏之家, 如其自視欿然, 則過人遠矣.” 欿, 音坎. ○ 附, 益也. 韓魏, 晉卿富家也. 欿然, 不自滿之意. 尹氏曰: “言有過人之識, 則不以富貴爲事.” 해석 孟子曰: “附之以韓ㆍ魏之家, 如其自視欿然, 則過人遠矣.” 맹자께서 “한과 위의 부잣집을 더해주더라도 만약 스스로 만족스럽지 않게 볼 수 있다면 사람을 넘어선 것이 멀다.”라고 말씀하셨다. 欿, 音坎. ○ 附, 益也. 부(附)는 더해준다는 것이다. 韓魏, 晉卿富家也. 한위(韓魏)는 진나라 경(卿)으로 부잣집이다. 欿然, 不自滿之意. 감연(欿然)은 스스로 만족하지 않는 뜻이다. 尹氏曰: “言有過人之識, 윤순(尹淳)이 말했다. “남을 넘어서는 지식이 있으면 則不以富貴爲事.” 부귀를 일삼지..

10. 평범한 사람과 호걸한 선비의 차이 孟子曰: “待文王而後興者, 凡民也. 興者, 感動奮發之意. 凡民, 庸常之人也. 若夫豪傑之士, 雖無文王, 猶興.” 夫, 音扶. ○ 豪傑, 有過人之才智者也. 蓋降衷秉彝, 人所同得, 惟上智之資無物欲之蔽, 爲能無待於敎, 而自能感發以有爲也. 해석 孟子曰: “待文王而後興者, 凡民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문왕을 기다린 후에야 흥기하는 사람은 백성들이다. 興者, 感動奮發之意. 흥(興)은 감동하고 분발한다는 뜻이다. 凡民, 庸常之人也. 범민(凡民)은 평범한 사람이다. 若夫豪傑之士, 雖無文王, 猶興.” 만약 호걸한 선비라면 비록 문왕이 없더라도 오히려 흥기한다.” 夫, 音扶. ○ 豪傑, 有過人之才智者也. 호걸(豪傑)은 남을 지나치는 재주와 지혜가 있는 사람이다. 蓋降衷秉彝, 人所..

9. 미천하여도 영달하여도 모두 좋다 孟子謂宋句踐曰: “子好遊乎? 吾語子遊. 句, 音鉤. 好, 語, 皆去聲. ○宋, 姓. 句踐, 名. 遊, 遊說也. 人知之, 亦囂囂; 人不知, 亦囂囂.” 趙氏曰: “囂囂, 自得無欲之貌.” 曰: “何如斯可以囂囂矣?” 曰: “尊德樂義, 則可以囂囂矣. 樂, 音洛. ○ 德, 謂所得之善. 尊之, 則有以自重, 而不慕乎人爵之榮. 義, 謂所守之正. 樂之, 則有以自安, 而不殉乎外物之誘矣. 故士窮不失義, 達不離道. 離, 力智反. ○ 言不以貧賤而移, 不以富貴而淫, 此尊德樂義見於行事之實也. 窮不失義, 故士得己焉; 達不離道, 故民不失望焉. 得己, 言不失己也. 民不失望, 言人素望其興道致治, 而今果如所望也. 古之人, 得志, 澤加於民; 不得志, 脩身見於世. 窮則獨善其身, 達則兼善天下.” 見, 音現. ..

8. 임금이 어진 선비를 만나보는 방법 孟子曰: “古之賢王好善而忘勢, 古之賢士何獨不然? 樂其道而忘人之勢. 故王公不致敬盡禮, 則不得亟見之. 見且由不得亟, 而況得而臣之乎?” 好, 去聲. 樂, 音洛. 亟, 去吏反. ○ 言君當屈己以下賢, 士不枉道而求利. 二者勢若相反, 而實則相成, 蓋亦各盡其道而已. 해석 孟子曰: “古之賢王好善而忘勢, 古之賢士何獨不然? 樂其道而忘人之勢.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옛날에 어진 임금들은 선을 좋아하고서 세력을 잊었는데 옛날의 어진 선비들은 어찌 홀로 그렇지 않았겠나. 도를 즐기며 사람의 세력을 잊었다. 好, 去聲. 樂, 音洛. 故王公不致敬盡禮, 則不得亟見之. 見且由不得亟, 而況得而臣之乎?” 그러므로 임금과 고관들이 공경을 다하고 예를 극진히 하지 않으면 자주 볼 수 없었다. 보는 것 또..
7. 부끄러워할 줄 안다는 것 孟子曰: “恥之於人大矣. 恥者, 吾所固有羞惡之心也. 存之則進於聖賢, 失之則入於禽獸, 故所繫爲甚大. 爲機變之巧者, 無所用恥焉. 爲機械ㆍ變詐之巧者, 所爲之事皆人所深恥, 而彼方且自以爲得計, 故無所用其愧恥之心也. 不恥不若人, 何若人有?” 但無恥一事不如人, 則事事不如人矣. 或曰: “不恥其不如人, 則何能有如人之事.” 其義亦通. ○ 或問: “人有恥不能之心如何?” 程子曰: “恥其不能而爲之, 可也, 恥其不能而掩藏之, 不可也.” 해석 孟子曰: “恥之於人大矣.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부끄러움이 사람에게 있어서 큰 것이다. 恥者, 吾所固有羞惡之心也. 치(恥)는 내가 진실로 소유한 수오지심이다. 存之則進於聖賢, 失之則入於禽獸, 그것을 보존하면 성현에 나아가고 그것을 잃으면 짐승에 들어가기 때문에 ..

6. 부끄럼이 없다는 것을 부끄러워하는 사람 孟子曰: “人不可以無恥. 無恥之恥, 無恥矣.” 趙氏曰: “人能恥己之無所恥, 是能改行從善之人, 終身無復有恥辱之累矣.” 해석 孟子曰: “人不可以無恥. 無恥之恥, 無恥矣.” 맹자께서 “사람이 부끄러움이 없을 수 없다. 부끄럼이 없음을 부끄러워한다면, 부끄러워할 일이 없다.”라고 말씀하셨다. 趙氏曰: “人能恥己之無所恥, 조기(趙岐)가 말했다. “사람이 자기가 부끄럼이 없는 것을 부끄러워할 수 있다면 是能改行從善之人, 이것은 행동을 고치고 선을 따를 수 있는 사람으로 終身無復有恥辱之累矣.” 종신토록 다시는 치욕스러운 연루됨이 없다.” ○ 오늘도 보람 없이 하루를 보냈구나. 하루를 보내면서 아쉬움이 없다니, 내 정신이 이렇게 타락할 줄이야. -1967. 2. 14 전태일..
5. 행동하면서 익혔으면서도 따르면서도 그 이유를 모르는 사람이 많다 孟子曰: “行之而不著焉, 習矣而不察焉, 終身由之而不知其道者, 衆也.” 著者, 知之明; 察者, 識之精. 言方行之而不能明其所當然, 旣習矣而猶不識其所以然, 所以終身由之而不知其道者多也. 해석 孟子曰: “行之而不著焉, 習矣而不察焉, 終身由之而不知其道者, 衆也.” 맹자께서 “행하면서도 밝게 알지 못하고 익히면서도 앎이 정밀하지 못하며 종신토록 그것을 따르면서도 방법을 알지 못하는 사람이 여럿이다.”라고 말씀하셨다. 著者, 知之明; 察者, 識之精. 저(著)는 앎의 분명함이다. 찰(察)은 지식의 정밀함이다. 言方行之而不能明其所當然, 곧 그것을 행동하면서 당연한 것에 밝질 못하고, 旣習矣而猶不識其所以然, 이미 익히면서도 오히려 까닭을 알지 못하며, 所..
4. 만물의 이치가 내 몸에 다 구비되어 있다 孟子曰: “萬物皆備於我矣. 此言理之本然也. 大則君臣父子, 小則事物細微, 其當然之理, 無一不具於性分之內也. 反身而誠, 樂莫大焉. 樂, 音洛. ○ 誠, 實也. 言反諸身, 而所備之理, 皆如惡惡臭, 好好色之實然, 則其行之不待勉强而無不利矣, 其爲樂孰大於是. 强恕而行, 求仁莫近焉.” 强, 上聲. ○ 强, 勉强也. 恕, 推己以及人也. 反身而誠則仁矣, 其有未誠, 則是猶有私意之隔, 而理未純也. 故當凡事勉强, 推己及人, 庶幾心公理得而仁不遠也. ○ 此章言萬物之理具於吾身, 體之而實, 則道在我而樂有餘; 行之以恕, 則私不容而仁可得. 해석 孟子曰: “萬物皆備於我矣.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만물이 다 나에게 구비되어 있으니, 此言理之本然也. 여기선 이치의 본연에 대해 말했다. 大則君臣父..

3. 인의예지(仁義禮智)를 추구하는 사람과 부귀이달(富貴利達)을 추구하는 사람 孟子曰: “求則得之, 舍則失之, 是求有益於得也, 求在我者也. 舍, 上聲. ○ 在我者, 謂仁義禮智, 凡性之所有者. 求之有道, 得之有命, 是求無益於得也, 求在外者也.” 有道, 言不可妄求. 有命, 則不可必得. 在外者, 謂富貴利達, 凡外物皆是. ○ 趙氏曰: “言爲仁由己, 富貴在天, 如不可求, 從吾所好.” 해석 孟子曰: “求則得之, 舍則失之, 是求有益於得也, 求在我者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구하면 얻고 버리면 잃는다. 구함이 얻는 데에 유익하니, 나에게 있는 것을 구하기 때문이다. 舍, 上聲. ○ 在我者, 謂仁義禮智, 재아(在我)라는 것은 인의예지로 凡性之所有者. 모든 성에 소유된 것이다. 求之有道, 得之有命, 是求無益於得也, 求在..

2. 정명(正命)과 비정명(非正命)에 대해 孟子曰: “莫非命也, 順受其正. 人物之生, 吉凶禍福, 皆天所命. 然惟莫之致而至者, 乃爲正命, 故君子修身以俟之, 所以順受乎此也. 是故知命者, 不立乎巖牆之下. 命, 謂正命. 巖牆, 牆之將覆者. 知正命, 則不處危地以取覆壓之禍. 盡其道而死者, 正命也. 盡其道, 則所値之吉凶, 皆莫之致而至者矣. 桎梏死者, 非正命也.” 桎梏, 所以拘罪人者. 言犯罪而死, 與立巖牆之下者同, 皆人所取, 非天所爲也. ○ 此章與上章蓋一時之言, 所以發其末句未盡之意. 해석 孟子曰: “莫非命也, 順受其正.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명(命)이 아닌 게 없으니 바름을 순응하며 수용해야 한다. 人物之生, 吉凶禍福, 皆天所命. 사람과 동물의 살아감에 길흉화복은 모두 하늘이 명한 것이다. 然惟莫之致而至者, 乃爲正命..

1. 마음을 다하는 사람은 하늘을 알리 凡四十六章. 孟子曰: “盡其心者, 知其性也. 知其性, 則知天矣. 心者, 人之神明, 所以具衆理而應萬事者也. 性則心之所具之理, 而天又理之所從以出者也. 人有是心, 莫非全體, 然不窮理, 則有所蔽而無以盡乎此心之量. 故能極其心之全體而無不盡者, 必其能窮夫理而無不知者也. 旣知其理, 則其所從出. 亦不外是矣. 以『大學』之序言之, 知性則物格之謂, 盡心則知至之謂也. 存其心, 養其性, 所以事天也. 存, 謂操而不舍; 養, 謂順而不害. 事, 則奉承而不違也. 殀壽不貳, 修身以俟之, 所以立命也.” 殀壽, 命之短長也. 貳, 疑也. 不貳者, 知天之至, 修身以俟死, 則事天以終身也. 立命, 謂全其天之所付, 不以人爲害之. ○ 程子曰: “心也, 性也, 天也, 一理也. 自理而言謂之天, 自稟受而言謂之性, 自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