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산문놀이터 (1358)
건빵이랑 놀자
寸총획 / 획수3획 / 0획훈음마디 촌일본어 음독SON, SUN일본어 훈독HAKARU, KI, TOKI중국어 병음 유니코드U+5BF8 0 1 2对 3寺寻导 4寽対寿 5尀 6封専 7射尃尅将 8專尉將 9尌尋尊 10 11對奪 12 13導 14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宀총획 / 획수3획 / 0획훈음집 면일본어 음독 BEN, MEN일본어 훈독IE, YANE중국어 병음bǎogàir유니코드U+5B80 0 1 2宁宂它宄 3宇守宅安宆 4完宋宏宎宍宊宐宑宒 5宗定宕宜宙官宔宖宗宝实実宛宓宠审 6宣宦宥室宨客宩宪宫 7宬宮害宼宧宸家宵宲宴宷容宭宮宯宱宺宻宰宽宾 8寃寇寅寄寁寂宿寀密寈 9寒富寔寓寐寎寊寋寍寏寑寕10寘寖寗寙寚寛寜寝 11寞寡寠察寧寤寣寢寥實寨 12審寬寮寫寪寭13寰寯 14寱寲 15 16寳寵寴 17寶 18寷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子총획 / 획수3획 / 0획훈음아들 자일본어 음독SHI, SU일본어 훈독KO, MI, OTOKO중국어 병음zǐ 유니코드U+5B50 0孑孓孒 1孔 2孕 3孖字存孙 4孜孛孝孚孞斈5孤孢孡季孠孥学孧孟 6孩孫孪孨 7孭孬 8孲孮孯孰 9孱 10孳孶孴 11孷孵 12 13學孹 14孺孻 15 16 17孾孽孼 18 19孿 20 22 인용지도부수색인
女총획 / 획수3획 / 0획훈음여자 녀일본어 음독JO, NYO, NYOU일본어 훈독ME, MUSUME, ONNA중국어 병음nǚ유니코드U+5973 0 1 2奶奴奵 3奸如妁妃好她奷奺奻奼奾妇妈妅妀妆奿 娄妄 4妘妓妣妙妠妊妖妎妗妢妐妨妒妝妉妞妤妋妫妌妍妏妑妔妕妚妪妜妩妡妦妧 妟妛妥5姉姖妹姏姒姑妸妬妭妲姐妯姎姌姓妳姁姍妵姅妮始姆妷妰妱妶妺妼妽姀姂姃姄姗姈姊 姇姕妿妴妾妻委6姸姙娀娃姞姥姮姷姱姨姪姻姝姺姡姤姶姚姽姼姣姟姘姹姘姛姠姩姫姢姯姰姲姳姴姵姾娂娅娆娇 姭娈姜姿威 姧姦 7娰娗娜姬娠娙娛娌娉娖娟娥娒娩娣娘娓娭娳娴娍娏娐娔娚娝娞娡娢娦娧娨娪娫娮娯娱娲娋娊娕 娎娑娤 8婧婊婞婀婭娸娵婕婥婐婫娼婟婩婑婗婵婴婨婰婬婣娬媧婝婠婡婤婦婮婳娷娹娺娻娽娾婶婥婂婃婄婅婛婇婈婉婋婌婍婎婏婒婲婔婕婖婘婙婚婯婓婁婪娶婜婆婱 9婼媌媖媧媮媯婷婸婹媫婻婽婾婿媀媁媂媃媄媅媆媇媈媉媊媋媍媎媏媬媑媒媓..
大총획 / 획수3획 / 0획훈음클 대 / 클 태 / 클 다일본어 음독DAI, TA, TAI일본어 훈독 HAJIME, OOINI, OOKII중국어 병음dà유니코드U+5927 0夨 1夬太夫夭天 2夲失央夯夰夳头 3夸夷夼 买夵夶夹夺夻4夾夽夿奀奁奂5奇奈奉奄奃奅奆奋奌奍 6契奎奔奏奓奕奐奒奖 7套奘奚奊奙奚8奝奛奜奞奟 9奤奢奡奠奣奥10奧奦奨 11奩奫奪奬 12奭 13奮奯 14 15奰 16 17 18 19奱 20 21奲 인용지도부수색인
夕총획 / 획수3획 / 0획훈음저녁 석, 한 움큼 사일본어 음독SEKI일본어 훈독YUU, YUUBE중국어 병음xī유니코드U+5915 0 1 2外夗 3夙多夛名 4 5夝夜 6 7夞够 8夠梦 9夡 10 11夢夣夤夥 12 13 14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夊총획 / 획수3획 / 0획훈음천천히 걸을 쇠일본어 음독SUI일본어 훈독SUINYOU중국어 병음 유니코드U+590A 0 1 2 3 4夋 5夌 6㚆変复 7夎夏 8 9 10 11夐 12 13 14 15夑 16夒夓 17 18 19夔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夂총획 / 획수3획 / 0획훈음뒤져 올 치, 뒤져 올 종일본어 음독 CHI, SHU, SHUU 일본어 훈독OKURERU중국어 병음zhéwén유니코드U+5902 0 1夃 2処处 3夅 4夆 5备 6夈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士총획 / 획수3획 / 0획훈음선비 사일본어 음독 JI, SHI 일본어 훈독SAMURAI 중국어 병음 유니코드U+58EB 0 1壬 2壭 3壮 4壯声壱売 5壳 6壴壵 7壶 8壷壸 9壺壹壼壻 10壼 11壽 12壾壿夀 13夁 14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土총획 / 획수3획 / 0획훈음흙 토, 뿌리 두, 쓰레기 차일본어 음독DO, TO일본어 훈독TSUCHI중국어 병음tǔ유니코드U+571F 1圠圡 2㘦圢圤圦 圧圣圥 3圹圩圪圫圬圸圮圯地圷圲圳圴圵场圱 圶圭在 4㘧㘨㘩㘪㘫㘬㘭㘮㘯㘰圻坟圽圾圿址坁坂坃坄坅坆均坈坉坊坋坛坍坎坏坐坑坘块坜坝坞坕坖坙坚坓坔坌圼坒坠5㘱㘲垉垊㘵坡坢垇坤坥坦坧坨坩坪坫坬坭坮坯坰坱坲坳垆坵坶坷坸坹坺坻坼坽坾坿垀垁垂垃垅 㘳㘴垄坴垈坣6城㘷垵垴㘺㘻㘼垳㘾垲垌垍垎垏垰垑垱垓垔垕垖垗垘垙垯垛垜垝垞垟垠垮垢垣垤垥垭垧垨垬垪 垫垩垦垡垒垚垐型㘽㘹㘸㘶7㘿㙀㙁㙂㙃㙄㙅㙆垶垷垸垹垺垻垼﨏垾垿埛埁埂埃埄埚埆埇埈埉埐埋埌埍埏埖埗埒埓埔埕埘埙 埊埅埀垽埑 8㙇㙈㙉㙊㙋㙌㙍堵埝埞域埠埡埢埣埤埥埦埧埨埩埫埬埭埮埯埰埱埲埳埴埵堔堓埸培堒埻埼埽堎堍堀堁堌堋堄堐堆堉堈 堊堅堃堂埿堏堇堑埾基堕埶埜執9㙎㙏㙐塅塆塇㙔㙕㙖㙗㙘埪堖堗堘堙..
囗총획 / 획수3획 / 0획훈음에워쌀 위, 나라 국일본어 음독I, KOKU일본어 훈독KAKOMU, KUNI중국어 병음fāngkuàngr유니코드U+56D7 0 1 2四囚囙囘囜 3囝囡因回囟团団 4囧困囤囦囮囥囥囨囩囬园囯囱囲図围囵囶囫囪囷囸 5固囷囹囻囼国图 6囿圀 7圄圁圃圂圅圆8國圈圇圉圊 9圐圍圌圎圏 10圔園圓圑圕 11團圖圙圗 12圚 13圛圜 14 15 16 17 18 19圝 20 23圞 인용지도부수색인
口총획 / 획수3획 / 0획훈음입 구일본어 음독 KOU, KU 일본어 훈독KUCHI중국어 병음kǒu유니코드U+53E3 1 2叨叩叫叭叱叶叽叮叹叺叻叼右古叴召台 另叧只史 号可司叵句 3吐叿吀吁吔吃吓吅吆吇吒吖吋吸吗 后名吕叾吂合吉各同向吊吏4吘吙吚吟吜吡吤吥吠吧吨吣听吭吮吪吰吩吱吲吶吷吹吺吻吼吽呀呁吵呃呅呋呌呍呎呏呐呒呓呔呕呖呗呚呛呇吢呄告呑启吾吿含否君吝吞呂吳吴呆员呙呈呉 5呜呝呞呟呠呡呢呣呤呥呦呧呩呪呫呬呭咜呮呯咛呱呲味呴呵呶呷呸呹呺呻呼咚呾呿咀咁咂咃咄咙咆咇咈咉咊咋咘咍咗咏咐咑咖咓咔咕咝和咎咅命呰周咒6咞咟哚咡咢咣咤咥咦咧哝咩咪哞咬咭咮咯咰咱咲咳咴咵咶咷哙咹咺咻哘咽咾咿哖哗哂哃哄哅哆哇哈哕哊哋哌响哎哏哐哑哒哓哔哜哟哛 咨哉品咠咫咸咼哀7哠啄哢哣哤哥哦哧哨哩哪哫哬唳哮哯哰哱唕哳哴哵哶哷哸哹哺哻哼哽哾唔唀唁唂唃唄唅唆唓唈唉唊唋唌唍唎唏唒唑唖唗 唐唇哲哿哭員8啳啤唙唚唛啹..
又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또 우일본어 음독YUU일본어 훈독MATA 중국어 병음yòu유니코드U+53C8 0 1叉 2及反友双収 3叏叐 4发叒 5叓 6受叔叕取变 7叛叙叚叜叝 8叟叞 9 10 11叠 12 13 14叡 15 16叢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厶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사사 사, 아무 모일본어 음독BOU, MU, SHI일본어 훈독GOZARU중국어 병음mǒu유니코드U+53B6 0 1 2厷厹厸 3去 4厽厾 5县私 6叀叁参 7 8 9參叄 10叅 11叆 12 13叇 14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厂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기슭 엄, 기슭 한, 공장 창 일본어 음독KAN일본어 훈독GAKE 중국어 병음chǎng유니코드U+5382 0 1 2厄厃厅历 3厇厈厉 4厊压厌 5厏厎厐厑厍 6厓厔厒厕 7厚厖厙厜厗厝厘厛 8厞原厜 9厠厡厢厣厩 10厥厫厤厦厧厨11厪厫 12厭厬厮厯厰 13厱厲 14 15 16 17厴 18 19 20 21 28厵 인용지도부수색인
卩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병부 절일본어 음독SETSU일본어 훈독WARIFU중국어 병음ěrdāor유니코드U+5369 0 1卪 2卬卫 3卯卭卮 4印 危 5却卵卲即 6卸卹卶卷卺 7卽卻 卼 8 9卿卾 10 11厀厁 12 13 14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卜 / ⺊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점 복 / 무 복 / 짐바리 짐일본어 음독BOKU일본어 훈독URANAI, URANAU중국어 병음bǔ유니코드U+535C 0 1 2卞卝 3卡占卟卢 4 5卣卤 6卦卥 7卧 8 9卨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十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열 십일본어 음독JITSU, JUU일본어 훈독TOTABI, TOU중국어 병음shí유니코드U+5341 0 1卄千卂 2卅升午卆 3卉卌半 4卍卋卌华协卐毕 5 6卒協卓卑卓 丧单卖 7直卑南 8 9華卙 10博 11喪 12 13 14 15 16 17 18 19卛颦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匸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감출 혜일본어 음독KEI일본어 훈독 KAKUSU, OOU 중국어 병음 유니코드U+5338 0 1 2匹区 3 4 5 6匼 7匽 8 9區匿匾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匚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상자 방일본어 음독HOU일본어 훈독HAKO중국어 병음sānkuànglánr유니코드U+531A 0 1 2 3匛匜匝匞 4匟匠匡匢 5匣匤匥医 6 7匦匧 8匨匩匪匫 9匬匭匮 10 11匯匰 12匱匲 13匳 14匴 15匵 16 17匶 18匷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匕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비수 비일본어 음독HI일본어 훈독SAJI중국어 병음bǐ유니코드U+5315 0 1 2化 3北 4 5 6 7 8 9匙匘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勹 / 包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쌀 포일본어 음독HOU일본어 훈독TSUTSUMU중국어 병음bāo유니코드U+52F9 0 1勺 2勼勾勻勿勽匀匁匂 3匃包匄匆匇 4匈 5匉 6匌匊匋 7匍 8匎 9匐匏 10匑匒 11匓 12 13 14匔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力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힘 력일본어 음독RIKI, RYOKU일본어 훈독CHIKARA, RIKIMU, TSUTOMERU중국어 병음lì유니코드U+529B 0 1劜 2劝办 3功劢加务 4劤劥劧动攰 劦劣 5劬助劭劫努劮劯劰励劲劳労6劻劾劼劺劶劷劸効劽势劵 7勁勀勅勃勉勈勂勄勆勋勇巭8勍勌勑勎勏勐9勘勓勔勒動勖勚勗務 10勛勜勝勞 11勠勤勦勣勡勧勢勥募 12勩勨勪勫勬勭13勮勯勱勲勰 14勳 15勵勴勶 16 17勸勷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刀 / 刂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칼 도일본어 음독TOU일본어 훈독KATANA중국어 병음dāo유니코드U+5200 0刁 1刃刄 2刈切分刅 3刊刉刋刌刍 4刔列刎刓刖刑刏刐划刘则刚创刕 5刧刢利刡刜刪初判刨別刞刟刣刦刪别刬刭6刻刳刮刴刲到刷刵刺制刹刯制刽刾刿剀剁剂刱刼 券7剄剋剅剌削前剆剈剎剐剑剃剉則 剏8剛剠倒剟剝剖剕剚剭剜剗剒剘剞剢剣剤剥剔剡剦剧剙剓9剮剨剬副剫剶剪剭剱 10剴蒯剳剩創割11剾剸剹剷剿剽剻剼剺 12劀劂劁劃劄劄13劍劌劇劏劆劉劊劋劅劎劈 14劓劑劐劒劔 15劕 16 17劖 18 19劘劗 20 21劙劚 인용지도부수색인
凵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입 벌릴 감일본어 음독KAN, KON일본어 훈독KANGAMAE, KANNYOU중국어 병음dàosānkuàngr유니코드U+51F5 0 1凶 2凹凸出击 3凷 4凼 5函 6 7凾 8 9 10凿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几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안석 궤일본어 음독KI일본어 훈독TSUKUE중국어 병음jī유니코드U+51E0 0 1凡凢凣 2凤 3凥処凧 4凨凩凪凫 5凬 6凭凮凯 7巬 8 9凰 10凱凲 11 12凳凴 13 14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冫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얼음 빙, 엉길 응일본어 음독HYOU일본어 훈독KOORI 중국어 병음bīng유니코드U+51AB 0 1习 2 3冬冭冮冯 4冱冰冲决冴 5冷冸冹冶况冺6冽冼冾冿净冻7凁凂凃 8凅凎凍凇准凊凋凄凈凉凌 9减凐凑 10凓凒凔凕凖 11凗 12凘 13凚凙凛凜 14凝凞 15凟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冖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덮을 멱일본어 음독BEKI, MYAKU일본어 훈독OOU중국어 병음tūbǎogàir유니코드U+5196 0 1 2冗冘 3写冚 4农 5军冝 6冞 7冠冟 8冥冡冣冡冤冦冧 9冨 10 11 12冩 13 14冪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冂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멀 경일본어 음독KEI, KYOU일본어 훈독TOOI중국어 병음tóngzìkuāngr유니코드U+5182 0 1 2冇冃冄内円冈3冋冉冊册囘 4再冎 5冏 6冐 7冑冒 8冓冔 9冕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인용지도부수색인
八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여덟 팔일본어 음독HACHI, HATSU일본어 훈독YATABI, YATSU중국어 병음bā유니코드U+516B 0 1 2公六兮兯 3兰 4共兲关兴 5兵㒵㒶㒷 6具其典 7㒸兹养 8兼兺 9兽 10 11兾兿 12 13 14冀 15 16冁 17 18㒹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入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들 입일본어 음독JU, JUU, NYUU일본어 훈독HAIRU, IRU중국어 병음rù유니코드U+5165 0 1兦 2內 3㒰全 4全㒲 5㒳㒴 6兩 7兪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儿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어진 사람 인, 아이 아, 다시 난 이 예일본어 음독JIN, KAI, NIN일본어 훈독HITO, NINNYOU중국어 병음ér유니코드U+513F 0 1兀 2元允兂 3兄 4光兇先兆充兊尧 5克兌兎兏児兑6免兕兒兔兓兖7兗兘兙 8党兛 9兜兝兞 10兟兠 11兡 12兢 13 14兣 15 16 17 18 19兤 20 인용지도부수색인
人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사람 인일본어 음독IN, NIN일본어 훈독HITO중국어 병음rén유니코드U+4EBA 0 1亼亽亾亿 2仁仇仍仂仆什仉仃化仅仈仏今介仄仌从仐仑仒仓 3以代仫付仕仙仞仔仗仟他仡仛仜仠仢仦仨仩仪们仭 令仚仝仧 4价件仱伋休伅仿伓伐伏伕仳份伈伢伃伍仵佤仸伊任伀仲仯伉伙仮仰仴仺仼仾伂伄伆伇伌伎伒伔伖优伛伜伝伟传伡伣伤伥伦伧伨伩伪伫伬 企众会伞 5伽佢佉估佝佞你但伶佅伴伯佛伾似伺佋伸佒佑位伿佁佚作低佇伹佃佔佂佌佧伻佈佟何伭住伷佐伮伱伲伳伵佀佄佊体佖佗佡佣佤佦佨 佘余来佥 6佳佫侃供侊佼佹佶侗佬例侓侔使侈侚侍侁佯侑依佴侇佾佺佻侄佽侘侙佩侂佷佮侅侐佸佪侏侜侞侟佰佲佱併侀侉侌侎侒侕侟侟侠価侢侣侤侥侦侧侨侩侪侫侬侭佭 來侖 7係俈俇俅侷侸俚俐俛侮侼俌保俘俜俟俕俗脩信俄俉俑俁俋俊侲俥俏促侵便侻俀俔侯俒俙俠侳侶侹俓俆侰侱侺侽侾俍俖俢俣俤俦俧俨俩俪俫俬俭 俎侴俞 8個..
亠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돼지해머리 두일본어 음독TOU, ZU 일본어 훈독KEISAN, NABEBUTA중국어 병음tóu유니코드U+4EA0 0 1亡 2亢六卞亣 3 4交亦亥产 5亨亩亪 6京享 7亮亭亯亰亱亲8亳 9 10亴亵 11亶亷 12 13 14亸 15 16 17 18 19 20亹 인용지도부수색인
二총획 / 획수2획 / 0획훈음두 이일본어 음독JI, NI 일본어 훈독FUTATABI, FUTATSU중국어 병음èr유니코드U+4E8C 0 1亍于亏亐 2亓亖五云井互3亗 4亘亙亚 5些亜 6亟亞亝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亅총획 / 획수1획 / 0획훈음갈고리 궐일본어 음독KETSU일본어 훈독KAGI 중국어 병음gōu유니코드U+4E85 0 1了 2亇 3予 4 5争 6亊 7事爭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乙총획 / 획수1획 / 0획훈음새 을일본어 음독OTSU일본어 훈독 KINOTO, OTO 중국어 병음yǐ유니코드U+4E59 0乚乛 1九乜 2乞也习 3乣乢乤乥 4乧 5乩乨乪乫乬乭乮乯 6乱乲 7乳乴乵乶乷乸8乹乺乻乼乽 9 10乾乿亀 11亁 12亂亄亃 13 14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丿총획 / 획수1획 / 0획훈음삐침 별 일본어 음독HECHI, HETSU, YOU 일본어 훈독MOTORU 중국어 병음piě유니코드U+4E3F 0乁乀 1乃乂乄 2久乇乆么义乊乡乊 3之乌 4乍乏乎乐 5乑乓乒丢眾乔6乕 7乖 8乗 9乘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丶총획 / 획수1획 / 0획훈음점 주일본어 음독CHU일본어 훈독CHOBO, SHIRUSHI, TEN중국어 병음yìdiǎnr유니코드U+4E36 0 1丷 2丸 3丹为 4主丼 5 6 7丽 8举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丨총획 / 획수1획 / 0획훈음뚫을 곤일본어 음독 JO, KON, NYO, SHI일본어 훈독SHIRIZOKU, SUSUMU중국어 병음ɡǔn유니코드U+4E28 0 1丩 2丫个 3丮中丰丯书 4丱 5 6串 7丳 8临 9丵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一총획 / 획수1획 / 0획훈음한 일일본어 음독ICHI, ITSU일본어 훈독HAJIME, HITOTABI, HITOTSU중국어 병음yī유니코드U+4E00 1丁七丂丄丅丆2三上丈下万与丌 3不丐丏丑丒专4丘丕世且丙业丛东丝 5丞丟丠両 6丣两严 7並丧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인용지도부수색인
자유분방하되 방종으로 흐르지 마시라송권생상원소서(送權生尙遠小序) 이식(李植) 잘 났지만 이익에 태연한 사람, 명성에 태연한 사람大抵有所挾而無所求, 難矣. 讀書以爲博, 攻詞以爲工, 其爲挾也, 豈淺尠哉? 有是挾而能不求利祿, 固難. 卽不求利祿者, 有矣, 而能不求名聞, 爲尤難. 持此二難, 久而不渝, 困窮而自泰, 斯又古今之至難也. 세속에 얽매지 않은 진짜 사나이 권생永嘉權生尙遠, 吾所謂博文攻詞人也. 然而不習科業, 而有時乎應擧, 自喜詞學, 而不期乎名世. 敝褐破鞋, 浮遊城市. 悠悠忽忽, 土苴形骸. 間或傲言高談, 未嘗降辭色以少徇時好, 雖出入士友間, 寡與親善, 或見掃跡而去之. 자유분방한 그대여 그래도 이단으론 흐르지 마시라噫! 生於其所挾與其遭, 非有所利之, 而安之若命, 豈吾所謂古今之至難者, 非耶? 雖然君子進德修業, 盡吾..
목은에 영향을 끼친 이들과 준 이들 목은시정선서(牧隱詩精選序) 서거정(徐居正) 高麗氏開國, 文治大興. 金文烈富軾ㆍ鄭諫議知常唱之於前, 陳補闕澕ㆍ李大諫仁老ㆍ李學士奎報ㆍ金員外克己ㆍ林上舍椿, 齊名一時, 一詩道之中興也. 益齋李文忠公復起而振之, 稼亭李文孝公繼之. 先生, 稼亭之子, 益老之門弟, 其文章有家法淵源之正. 早擢元朝制科, 周旋翰院, 所得益深. 斂而東還, 敷爲文章, 措諸事業, 譽望蔚然. 元學士歐陽文忠公嘗一見先生, 深加器重, 有海外傳鉢之句, 先生之名, 隱然聞於天下. 蓋先生之文, 本之以六經, 參之以史漢, 潤色之以諸子. 鼓舞動蘯, 滃然而爲雲雷, 爛然而爲星斗, 霈然而爲江河, 躍然而爲龍虎, 變態無窮. 如晴躋終南, 衆皺前陳, 不暇應接者矣, 一時文人才士洽然宗之, 薰然浸郁. 雄峻如鄭圃隱, 簡潔如李陶隱, 豪邁如鄭三峯, 典雅如權..
십잠(十箴) 성현(成俔) 경천(敬天) 勿謂蒼蒼 天實有知 勿謂冥冥 天維顯思 作善降祥 福祿如茨 不善降禍 未免誅夷 凡百君子 敬之敬之 有嚴上帝 日監在兹 신독(愼獨) 勿謂閒居 人所不知 鬼神難誣 吾心難欺 屋漏之間 雖曰隱微 十手所指 如弩發機 欲蓋彌昌 言與行違 必愼其獨 無或作非 정심(正心) 心爲身主 與生俱生 澹然方寸 本是虛明 一塵之集 與接爲構 一念之差 乃禽乃獸 涵養性情 興發善端 火燃泉達 擴充何難 과욕(寡慾) 人之有身 爲慾所侵 紛紛擾擾 茅塞于心 能寡而寡 不亡者存 不知所寡 雖存猶昏 克祛己私 勿使滋蔓 竟罹其殃 誰咎誰怨 개과(改過) 君子之過 如日食旣 始雖遭傷 改之爲貴 有玷斯磨 有疾斯諱 兢兢夔夔 益加嚴畏 不憚不吝 勿悖吾氣 不遠祗復 君子之謂 지치(知恥) 心之羞愧 惟義之爲 恥不若人 乃行之宜 與惡人立 常懷忸怩 以暗來投 其顙有泚 衣錦..
후토에 제사 지낸 후 잔치를 열며 감회에 젖다추풍사(秋風辭) 한무제(漢武帝) 休齋云: “詩變而爲騷, 騷變而爲辭, 皆可歌也. 辭則兼詩騷之聲而尤簡邃焉者.” 漢武帝因祠后土於汾陰, 作「秋風辭」一章, 凡三易韻, 其節短, 其聲哀, 此辭之權輿乎. 上行幸河東, 祠后土, 顧視帝京欣然, 中流與群臣飮燕. 上歡甚, 乃自作「秋風辭」曰: “秋風起兮白雲飛, 草木黃落兮鷹南歸. 蘭有秀兮菊有芳. 懷佳人兮不能忘. 泛樓船兮濟汾河, 橫中流兮揚素波. 簫鼓鳴兮發棹歌, 歡樂極兮哀情多. 少壯幾時兮奈老何.” 해석休齋云: “詩變而爲騷, 휴재가 말했다. “시가 변하여 소(騷)가 되었고 騷變而爲辭, 皆可歌也. 소(騷)가 변하여 사(辭)가 되었으니 모두 노래이다. 辭則兼詩騷之聲而尤簡邃焉者.” 사(辭)라는 것은 시(詩)와 소(騷)의 소리를 겸하였으니 더욱 간..
진시황제가 객경을 쫓아내기로 한 것에 대해 올리는 글상진황축객서(上秦皇逐客書) 이사(李斯) 解題. 문장력은 있지만 이사의 어긋난 행적 迂齋云: “此, 先秦古書也. 中間再三節, 一反一覆, 一起一伏, 略加轉換數介字. 而精神愈出, 意思愈明, 無限曲折變態, 誰謂文章之妙不在虛字助詞乎.” ○ 秦始皇十年, 宗室大臣, 議曰: “諸侯人來仕者, 皆爲其主遊間耳, 宜一切逐之.” 客卿楚人李斯亦在逐中. 行且上此書, 乃召斯, 復其官, 除逐客之令. 此篇, 反覆言客之有功於秦, 援秦旣往之明効, 以爲事實, 而擧輕明重, 卽珍寶服玩聲色之事以證之, 文亦奇矣. 斯謂: “客何負於秦?” 然秦卒相斯, 斯乃附趙高, 殺扶蘇, 立胡亥, 卒使秦喪天下. 是秦無負於客而客眞有負於秦, 大矣. 且韓非亦客于秦耳, 秦王, 悅之未用. 斯乃譖之, 以爲非終於爲韓計, 不爲秦也..
2. 인재만 유독 내국인을 따지는데 그래선 안 된다 이사(李斯) 음악도 타국의 것이라도 좋은 것은 가리지 않았다夫擊甕叩缶, 彈箏搏髀而歌呼嗚嗚, 快耳目者, 眞秦之聲也. 鄭衛桑間, 昭虞象武者, 異國之樂也. 今棄擊壅叩缶而就鄭衛, 退彈箏而取昭虞, 若是者何也? 快意當前, 適觀而已矣. 타국의 것이라도 좋은 보물을 쓰듯, 인재에 상관없이 써야 한다今取人則不然. 不問可否, 不論曲直, 非秦者去, 爲客者逐. 然則是所重者, 在乎色樂珠玉, 而所輕者, 在乎人民也, 此非所以跨海內制諸侯之術也. 臣聞地廣者粟多, 國大多者人衆, 兵强則士勇, 是以泰山不辭土壤, 故能成其大; 河海不擇細流, 故能就其深; 王者不郤衆庶, 故能明其德. 是以地無四方, 民無異國, 四時充美, 鬼神降福, 此五帝三王之所以無敵也. 今乃棄黔首以資敵國, 郤賓客以業諸侯, 使天下之..
1. 선왕들은 출신에 상관없이 등용했고 타국의 좋은 것들도 사용해왔다 이사(李斯) 역대로 진나라를 부강하게 만든 임금들은 출신에 상관없이 인재를 등용했다臣聞吏議逐客, 竊以爲過矣. 昔者繆公求士, 西取由余於戎, 東得百里奚於宛, 迎蹇叔於宋, 來邳豹ㆍ公孫支於晉, 此五子者, 不産於秦. 而繆公用之, 幷國二十, 遂覇西戎. 孝公用商鞅之法, 移風易俗, 民以殷盛, 國以富强, 百姓樂用, 諸侯親服, 獲楚魏之師, 擧地千里, 至今治强. 惠王用張儀之計, 拔三千之地, 西幷巴蜀, 北收上郡; 南取漢中, 包九夷, 制鄢郢, 東據成皐之險, 割膏腴之壤, 遂散六國之從, 使之西面事秦, 功施到今. 昭王得范睢, 廢穰侯, 逐華陽, 强公室, 杜私門, 蠶食諸侯, 使秦成帝業. 此四君者, 皆以客之功, 由此觀之, 客何負於秦哉. 向使四君, 郤客而不內; 疏士而不用..
解題. 문장력은 있지만 이사의 어긋난 행적 迂齋云: “此, 先秦古書也. 中間再三節, 一反一覆, 一起一伏, 略加轉換數介字. 而精神愈出, 意思愈明, 無限曲折變態, 誰謂文章之妙不在虛字助詞乎.” ○ 秦始皇十年, 宗室大臣, 議曰: “諸侯人來仕者, 皆爲其主遊間耳, 宜一切逐之.” 客卿楚人李斯亦在逐中. 行且上此書, 乃召斯, 復其官, 除逐客之令. 此篇, 反覆言客之有功於秦, 援秦旣往之明効, 以爲事實, 而擧輕明重, 卽珍寶服玩聲色之事以證之, 文亦奇矣. 斯謂: “客何負於秦?” 然秦卒相斯, 斯乃附趙高, 殺扶蘇, 立胡亥, 卒使秦喪天下. 是秦無負於客而客眞有負於秦, 大矣. 且韓非亦客于秦耳, 秦王, 悅之未用. 斯乃譖之, 以爲非終於爲韓計, 不爲秦也. 己以客逐, 則以書爭之, 非以客來, 則以讒殺之, 斯眞傾險不忠之人哉. 或曰: “今選古文, 卽..
홀로 고상할 것인가? 진흙탕 속에 뒹굴며 어울릴 것인가? 어부사(漁父辭) 굴원(屈原) 此篇, 乃屈原所作. 漁父, 盖亦當時隱遁之士. 或曰: “亦原之設詞耳.” ○ 迂齋云: “漁父, 盖古巢ㆍ由之流, 荷蕢丈人之屬.” 或曰: “亦原託之也.” 屈原旣放, 游於江潭, 行吟澤畔. 顔色憔悴, 形容枯槁. 漁父見而問之曰: “子非三閭大夫與. 何故至於斯?” 屈原曰: “擧世皆濁, 我獨淸. 衆人皆醉, 我獨醒. 是以見放.” 漁父曰: “聖人不凝滯於物, 而能與世推移. 世人皆濁, 何不淈其泥而揚其波. 衆人皆醉, 何不餔其糟而歠其醨. 何故深思高擧, 自令放爲.” 屈原曰: “吾聞之. 新沐者必彈冠, 新浴者必振衣. 安能以身之察察, 受物之汶汶者乎. 寧赴湘流葬於江魚之腹中, 安能以皓皓之白, 而蒙世俗之塵埃乎.” 漁父莞爾而笑, 鼓枻而去. 乃歌曰: “滄浪之水淸兮..
백성이 문제가 아니라 관리가 문제다 민심편(民心篇) 신흠(申欽) 악한 관리가 하라는 대로 하기에 백성은 착하다 仕于朝者有恒言矣. 不曰民心惡則必曰民俗薄. 民心固善矣, 民俗固厚矣, 人顧不之省也. 何以知之? 以宰民者知之. 今之宰民者, 非以賄用, 卽權倖之家也; 非權倖之家, 卽權倖之家之所拔也. 始乎賄者, 常卒乎墨; 始乎權倖者, 常卒乎虐, 墨然後賄償矣, 虐然後勢彰矣. 宰之者墨而爲所宰者未聞有旅拒, 宰之者虐而爲所宰者未聞有携貳, 朝而令曰民出麻絲則出之, 夕而令曰民出穀粟則出之, 八口不厭糠籺, 而奉上則無敢嗇也. 冤氣塡於腷臆, 而期會則無敢慢也. 吾未知爲民者惡乎? 宰民者惡乎? 爲民者薄乎? 宰民者薄乎? 民居下宰居上, 以下而論上, 雖直不售; 據上而論下, 雖讆莫驗, 上與下之不得其情久矣 순박한 백성들 탓만하며 악덕을 행하는 관리들 古者..
가혹한 세금으로 백성을 괴롭히는 정치에 대해 호민론(豪民論) 허균(許筠) 백성의 세 부류 天下之所可畏者, 唯民而已. 民之可畏, 有甚於水火虎豹. 在上者方且狎馴而虐使之, 抑獨何哉? 夫可與樂成而拘於所常見者, 循循然奉法役於上者, 恒民也, 恒民不足畏也. 厲取之而剝膚椎髓, 竭其廬入地出, 以供无窮之求, 愁嘆咄嗟, 咎其上者, 怨民也, 怨民不必畏也. 潛蹤屠販之中, 陰蓄異心, 僻倪天地間, 幸時之有故, 欲售其願者, 豪民也. 夫豪民者, 大可畏也. 호민이 틈을 타면 원민과 항민이 따른다 豪民, 伺國之釁, 覘事機之可乘, 奮臂一呼於壟畝之上, 則彼怨民者聞聲而集, 不謀而同唱. 彼恒民者, 亦求其所以生, 不得不鋤耰棘矜往從之, 以誅无道也. 백성을 괴롭혀 나라가 망하다 秦之亡也, 以勝ㆍ廣, 而漢氏之亂, 亦因黃巾. 唐之衰而王仙芝ㆍ黃巢乘之, 卒..
인재를 버리는 세태에 대해유재론(遺才論) 허균(許筠) 옛날엔 사람을 능력으로 등용했다. 爲國家者, 所與共理天職, 非才莫可也. 天之生才, 原爲一代之用. 而其生之也, 不以貴望而豐其賦, 不以側陋而嗇其稟. 故古先哲辟知其然也 ,或求之於草野之中, 或拔之於行伍, 或擢於降虜敗亡之將, 或擧賊或用莞庫士. 用之者咸適其宜, 而見用者亦各展其才, 國以蒙福, 而治之日隆, 用此道也. 인재가 버려지고 있다以天下之大, 猶慮其才之或遺, 兢兢然側席而思, 據饋而歎. 奈何山林草澤, 懷寶不售者比比; 而英俊沈於下僚, 卒不得試其抱負者, 亦多有之? 信乎才之難悉得, 而用之亦難盡也. 명망가들과 과거출신들이 인재등용을 막다我國地褊, 人才罕出, 蓋自昔而患之矣. 入我朝, 用人之途尤狹. 非世胄華望, 不得通顯仕, 而巖穴草茆之士, 則雖有奇才, 抑鬱而不之用; 非科目..
자네가 애첩과 잘 되길 바라네 1608년 4월에여이여인 무신사월(與李汝仁 戊申四月) 허균(許筠) 君家文君甚警慧, 必知春色片時, 其肯爲沙吒利終守節乎. 諺曰: “十斫木無不顚.” 君其圖之. 彼雖熟金帳羔兒之味, 雪水煎茶, 殊亦雅事. 使其過我, 必曰: “幾乎虛度此生也.” 君語之曰: “飛者上有跨者.” 則必動於言矣 『所覆瓿稿』 卷之二十一 해석君家文君甚警慧, 必知春色片時, 그대 집의 문군(文君)【한 나라의 부호 탁왕손(卓王孫)의 딸 탁문군(卓文君)을 말한다. 사마상여가 유혹하는 거문고 소리에 반하여 밤중에 집을 빠져 나와 그의 아내가 되었다. 여기선 첩을 말한다】은 매우 경애롭고 지혜로워 반드시 젊음이 짧다는 걸 알리니, 其肯爲沙吒利終守節乎. 기꺼이 사타리【사타리(沙吒利): 토번족 장수 / 타인의 처첩이나 민간의 부녀..
지금 모임에 그대가 꼭 필요하네여이여인 칠월(與李汝仁 七月) 허균(許筠) 簷雨蕭蕭, 爐香細細, 方與二三子袒跣隱囊, 雪藕剖瓜, 以滌煩慮, 此時不可無吾汝仁也. 君家老獅必吼, 令君作貓面郞, 毋爲老瓌畏縮狀. 門者持傘, 足以避霂霢. 亟來亟來. 聚散不常, 此會安可數數? 分離後雖悔可追. 『所覆瓿稿』 卷之二十一 해석簷雨蕭蕭, 爐香細細, 처마 빗물 우수수 떨어지고 난로의 향불은 잘게 피어나 方與二三子袒跣隱囊, 지금 2~3명과 함께 소매 걷고 맨발로 방석【은낭(隱囊): 보료】 깔고 雪藕剖瓜, 以滌煩慮, 하얀 연꽃 옆에서 참외 쪼개고 번뇌를 씻어내니 此時不可無吾汝仁也. 이때에 나의 친구 여인(汝仁)이 없어선 안 된다네. 君家老獅必吼, 令君作貓面郞, 그대 집의 늙은 아내가 반드시 포효하여 자네를 고양이 얼굴로 만들 테지만 毋..
과거의 시만을 숭상하는 세태를 비판하다시변(詩辨) 허균(許筠) 오늘날 사람들이 기존 시인을 이길 수 있다고 하는 말에 대해今之詩者, 高則漢魏六朝, 次則開天大曆, 最下者乃稱蘇ㆍ陳, 咸自謂可奪其位也, 斯妄也已.是不過掇拾其語意, 蹈襲剽盜以自衒者, 烏足語詩道也哉. 각자가 일가를 이룬 것으로 모방은 의미가 없다三百篇自謂三百篇, 漢自漢, 魏晉六朝, 自魏晉六朝, 唐自爲唐, 蘇與陳亦自爲蘇與陳, 豈相倣傚而出一律耶. 蓋各自成一家, 而後方可謂至矣. 間或有擬作, 亦試爲之, 以備一體, 非恒然也. 其於人脚跟下爲生活者, 非豪傑也. 제대로 된 시의 조건然則詩何如而可造極耶? 曰: “先趣立意, 次格命語, 句活字圓, 音亮節緊, 而取材以緯之, 不犯正位, 不着色相. 叩之鏗如, 卽之絢如, 抑之而淵深, 高之而騰踔, 闔而雅徤, 闢而豪縱, 放之而淋..
고문을 쓴다는 건 답습하는 게 아닌 자신의 글을 쓴다는 것문설(文說) 허균(許筠) 문장이란 의사를 전달하면 그뿐客問於許子曰: “當世之稱能古文者, 必以子爲巨擘. 吾見之其文, 雖若浩汗無涯涘, 而率用常語, 文從字順, 讀之則如開口見咽. 毋論解不解者, 輒無礙滯, 業古文者果若是乎?” 余曰: “此其爲古也. 子見虞夏之『典謨』ㆍ商之『訓』ㆍ周之『三誓』ㆍ『武成』ㆍ『洪範』, 皆文之至者, 亦見有鉤章棘句, 以險辭爭工者否. 子曰: ‘辭達而已矣.’ 古者文以通上下之情, 以載其道而傳. 故明白正大, 諄切丁寧, 使聞者曉然知其指意, 此文之用也. 當三代六經聖人之書與夫黃ㆍ老諸子百家語, 皆爲論其道. 故其文易曉, 而文自古雅. 降及後世, 文與道爲二, 而始有鉤章棘句, 以險辭巧語, 爭其工者, 此文之厄也, 非文之至. 吾雖駑, 不願爲也. 故辭達爲主, 以平平..
이몽양ㆍ하경명ㆍ이반룡ㆍ왕세정, 네 명의 명나라 시를 평가하다명사가시선서(明四家詩選序) 허균(許筠) 한시의 표절을 비판하다明人作詩者, 輒曰: “吾盛唐也, 吾李ㆍ杜也, 吾六朝也, 吾漢魏也.” 自相標榜, 皆以爲可主文盟. 以余觀之, 或剽其語, 或襲其意, 俱不免屋下架屋, 而誇以自大, 其不幾於夜郞王耶. 모방하는 자의 병폐弘正之間, 光嶽氣全, 俊民蔚興, 時則北地, 李夢陽, 立幟; 信陽, 何景明, 嗣筏, 鏗鏘炳烺, 殆與李唐之盛, 爭其銖累, 詎不韙哉. 流風相尙, 天下靡然, 遂有體無完膚之誚, 是模擬者之過也, 奚病於作者. 명나라 한시계의 뛰어난 작가歷下生, 李攀龍, 以卓犖踔厲之才, 鵲起而振之. 吳郡, 王世貞, 遂繼以代興, 岳峙中原, 傲倪千古, 直與漢兩司馬爭衡於百代之下, 吁亦异哉.之四鉅公, 實天畀之以才, 使鳴我明之盛. 其所制..
고정관념을 뛰어넘어 벗을 사귀었던 세 친구의 이야기 회우록서(會友錄序) 박지원(朴趾源) 조선의 지형과 학문적 풍토의 편협함 遊乎三韓三十六都之地, 東臨滄海, 與天無極, 而名山巨嶽, 根盤其中, 野鮮百里之闢, 邑無千室之聚, 其爲地也亦已狹矣. 非古之所謂楊ㆍ墨ㆍ老ㆍ佛而議論之家四焉, 非古之所謂士農工商而名分之家四焉. 是惟所賢者不同耳, 議論之互激而異於秦越; 是惟所處者有差耳, 名分之較畫而嚴於華夷, 嫌於形跡 則相聞而不相知, 拘於等威, 則相交而不敢友. 其里閈同也, 族類同也, 言語衣冠其與我異者幾希矣, 旣不相知, 相與爲婚姻乎? 不敢友焉, 相與爲謀道乎? 是數家者, 漠然數百年之間秦越華夷焉, 比屋連墻而居矣, 其俗又何其隘也. 연행길에서 만난 3명의 중국 친구들 洪君德保, 嘗一朝踔一騎, 從使者而至中國, 彷徨乎街市之間, 屛營於側陋之中, ..
같은 시대에 사는 벗이어도 볼 수가 없구나 회성원집발(繪聲園集跋) 박지원(朴趾源) 벗은 제2의 나, 또는 주선인 古之言朋友者, 或稱第二五, 或稱周旋人. 是故造字者, 羽借爲朋, 手ㆍ又爲友. 言若鳥之兩羽而人之有兩手也. 맹자, 현재의 지기가 없다면 먼 과거에서 찾아라 然而說者曰尙友千古, 鬱陶哉是言也! 千古之人, 已化爲飄塵冷風, 則其將誰爲吾第二? 誰爲吾周旋耶? 양자운, 현재의 지기(知己)가 없다면 먼 미래에서 찾아라 揚子雲旣不得當世之知己 則慨然欲俟千歲之子雲. 吾邦之趙寶汝嗤之曰: “吾讀吾『玄』而目視之, 目爲子雲, 耳聆之耳爲子雲, 手舞足蹈, 各一子雲, 何必待千歲之遠哉?” 벗은 과거나 미래가 아닌 현재에서 찾아야 한다 吾復鬱陶焉, 直欲發狂於斯言曰: “目有時而不睹, 耳有時而不聞, 則所謂舞蹈之子雲, 其將孰令聆之孰令視之?..
뛰어난 능력에도 조선에선 인정받지 못하고 중국에서 인정받던 내 친구 홍대용 홍덕보묘지명(洪德保墓誌銘) 박지원(朴趾源) 대용의 친구 용주에게 부고를 전하려 중국 가는 사람에게 전하다 德保歿越三日, 客有從年使入中國者, 路當過三河. 三河有德保之友曰: “孫有義號蓉洲.” 曩歲, 余自燕還, 爲訪蓉洲不遇, 留書俱道德保作官南土, 且留土物數事, 寄意而歸. 蓉洲發書, 當知吾德保友也. 乃屬客赴之曰: “乾隆癸卯月日, 朝鮮朴趾源頓首白蓉洲足下, 敝邦前任榮川郡守南陽洪湛軒諱大容字德保, 以本年十月廿三日酉時不起. 平昔無恙, 忽風喎噤瘖, 須臾至此. 得年五十三, 孤子薳, 哭擗未可手書自赴, 且大江以南, 便信無階. 並祈替此轉赴吳中, 使天下知己, 得其亡日, 幽明之間, 足以不恨.” 권력에 욕심도 없이 창의적으로 과학기구를 만든 대용 旣送客, 手自..
욕심, 욕망 모두 버리고 일가를 이룬 전문가들 형언도필첩서(炯言挑筆帖序) 박지원(朴趾源) 득실을 맘에 두지 않아 대서예가가 된 최흥효 雖小技有所忘, 然後能成, 而况大道乎. 崔興孝通國之善書者也. 甞赴擧書卷, 得一字, 類王羲之坐視, 終日忍不能捨, 懷卷而歸, 是可謂得失不存於心耳. 영욕을 잊고 그림에 몰두한 이징 李澄幼登樓而習畵, 家失其所在, 三日乃得. 父怒而笞之, 泣引淚而成鳥, 此可謂忘榮辱於畵者也. 죽을 상황에서도 노래로 감동시킨 학산수 鶴山守通國之善歌者也. 入山肄, 每一闋, 拾沙投屐, 滿屐乃歸. 甞遇盜將殺之, 倚風而歌, 群盜莫不感激泣下者, 此所謂死生不入於心. 얽매임 없이 자기의 기술을 연마하라 吾始聞之歎曰: “夫大道散久矣, 吾未見好賢如好色者也. 彼以爲技足以易其生, 噫! 朝聞道夕死可也. 桃隱書『炯菴叢言』凡十三..
여름밤에 잔치를 열었던 기록 하야연기(夏夜讌記) 박지원(朴趾源) 二十二日, 與麯翁步至湛軒, 風舞夜至. 湛軒爲瑟, 風舞琴而和之, 麯翁不冠而歌. 夜深, 流雲四綴, 暑氣乍退, 絃聲益淸. 左右靜黙, 如丹家之內觀臟神, 定僧之頓悟前生. 夫自反而直, 三軍必往. 麯翁當其歌時, 解衣磅礴, 旁若無人者. 梅宕嘗見簷間, 老蛛布網, 喜而謂余曰: “妙哉! 有時遲疑, 若其思也; 有時揮霍, 若有得也; 如蒔麥之踵, 如按琴之指.” 今湛軒與風舞相和也, 吾得老蛛之解矣. 去年夏, 余嘗至湛軒, 湛軒方與師延論琴. 時天欲雨, 東方天際, 雲色如墨, 一雷則可以龍矣. 旣而長雷去天, 湛軒謂延曰: “此屬何聲?” 遂援琴而諧之. 余遂作「天雷操」. 『燕巖集』 卷之三 해석 二十二日, 與麯翁步至湛軒, 風舞夜至. 22일에 국옹【국옹(麯翁) : 누구의 호인지 알 수 ..
인재를 알아볼 안목조차 없는 더런 세상에 대해 필세설(筆洗說) 박지원(朴趾源) 3년 동안이나 팔리지 않던 그릇이 결국 비싼 값에 팔리다 有鬻古器而三年不售者. 質頑然石也, 以爲飮器也, 則外窳而內卷, 垢膩之掩其光也. 遍國中, 未有顧之者, 更歷富貴家, 價愈益下, 至數百. 一日有持而示徐君汝五者. 汝五曰: “此筆洗也. 石産於福州壽山五花石坑, 次玉而如珉者也.” 不問値高下, 立與八千. 刮其垢, 而昔之頑然者, 乃石之暈, 而艾葉綠也. 形之窳且卷者, 如秋荷之枯, 而卷其葉也, 遂爲國中之名器. 汝五曰: “天下之物, 其有不器者乎? 顧所以用得其當耳. 夫毫之含墨, 膠固則易禿, 常滌其墨而柔之, 此其器之爲筆洗也.” 제 가치를 몰라보는 세태 夫書畵古董, 有收藏鑑賞二家. 無鑑賞而徒收藏者, 富而只信其耳者也; 善乎鑑賞而不能收藏者, 貧而不負其..
취하여 운종교를 거닐던 기록 취답운종교기(醉踏雲從橋記) 박지원(朴趾源) 하릴없이 밤거리를 헤매는 연암의 무리들 孟秋十三日夜, 朴聖彥與李聖緯ㆍ弟聖欽ㆍ元若虛ㆍ呂生ㆍ鄭生ㆍ童子見龍, 歷携李懋官至. 時徐參判元德先至在座. 聖彥盤足橫肱坐, 數視夜, 口言辭去. 然故久坐, 左右視莫肯先起者, 元德亦殊無去意, 則聖彥遂引諸君俱去. 久之童子還言 “客已當去, 諸君散步街上, 待子爲酒.” 元德笑曰: “非秦者逐.” 遂起相携, 步出街上. 聖彥罵曰: “月明, 長者臨門, 不置酒爲懽, 獨留貴人語, 奈何令長者久露立?” 余謝不敏, 聖彥囊出五十錢沽酒. 少醉, 因出雲從衢, 步月鍾閣下, 時夜鼓已下三更四點. 月益明, 人影長皆十丈, 自顧凜然可怖. 남 같지 않은, 아니 우리의 모습이 투영된 호백이 街上群狗亂嘷, 有獒東來, 白色而瘦. 衆環而撫之, 喜搖其尾,..
창신만을 추구하는 제가에게 법고를 권하다 초정집서(楚亭集序) 박지원(朴趾源) 글은 옛 것을 본떠야 써야 하나? 새로운 것을 써야 하나? 爲文章如之何? 論者曰: ‘必法古.’ 世遂有儗摹倣像而不之耻者. 是王莽之周官, 足以制禮樂; 陽貨之貌類, 可爲萬世師耳. 法古寧可爲也. 然則刱新可乎? 世遂有恠誕淫僻而不知懼者. 是三丈之木, 賢於關石; 而延年之聲, 可登淸廟矣. 刱新寧可爲也. 夫然則如之何其可也? 吾將奈何無其已乎? 글은 옛 것에서 새것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噫! 法古者, 病泥跡; 刱新者, 患不經. 苟能法古而知變, 刱新而能典, 今之文, 猶古之文也. 古之人有善讀書者, 公明宣是已; 古之人有善爲文者, 淮陰侯是已, 何者? 公明宣學於曾子, 三年不讀書. 曾子問之, 對曰: “宣見夫子之居庭, 見夫子之應賓客, 見夫子之居朝廷也, 學而未能,..
영숙 백동수가 기린협으로 들어가는 걸 전송하며 쓰다 증백영숙입기린협서(贈白永叔入麒麟峽序) 박지원(朴趾源) 무사 백동수의 근실했던 삶 永叔將家子. 其先有以忠死國者, 至今士大夫悲之. 永叔工篆隸嫺掌故, 年少善騎射, 中武擧. 雖爵祿拘於時命, 其忠君死國之志, 有足以繼其祖烈, 而不媿其士大夫也. 내가 연암협에 들어갈 때 걱정해주던 영숙의 모습 嗟呼! 永叔胡爲乎盡室穢貊之鄕? 永叔嘗爲我相居於金川之燕巖峽. 山深路阻, 終日行, 不逢一人. 相與立馬於蘆葦之中, 以鞭區其高阜, 曰: “彼可籬而桑也, 火葦而田, 歲可粟千石.” 試敲鐵, 因風縱火, 雉格格驚飛, 小麞逸於前. 奮臂追之, 隔溪而還. 仍相視而笑曰: “人生不百年, 安能鬱鬱木石居食粟雉兎者爲哉?” 너 떠나는 게 맘 아프지만 나 자신의 상홍이 더 맘 아프기에 슬퍼하진 않네 今永叔將居..
배우고자 하는 마음으로 스승을 찾아 떠난 계우에게 증계우서(贈季雨序) 박지원(朴趾源) 스승과 제자의 도가 없어졌다 師道廢久矣. 自仲尼歿而孟子已下, 皆未得以師道自居. 彼曰師曰弟子云爾者, 未必眞知其師之賢, 則信道未必篤, 道旣不足以必信, 則師斯不足以爲尊矣. 공자, 제자를 스스럼없이 대하다 孔子呼門弟子, 必稱參ㆍ回ㆍ賜ㆍ商ㆍ赤ㆍ由ㆍ雍而爾汝之, 夫斥名而爾汝者, 自子弟逾下, 而至廝役僕隷, 擧得而施之也. 門人疑孔子服, 子貢曰: “昔子喪顔淵, 若喪子而無服, 今門人若喪父而無服.” 門人之於師猶父子, 然其不信矣乎. 請車則不許, 厚葬則歎, 欲其同乎子也; 詩禮之外, 未有異聞, 欲其同乎門人也. 孟子未甞名門弟子, 必稱子. 子者尊之之辭, 由敵已上, 可以至君公父師, 施之門人, 則此友與友之道也. 七十子之徒, 有稱其師賢於堯舜而不爲僭. 彼旣..
대나무를 외치다 대나무가 된 사내를 위한 헌사 죽오기(竹塢記) 박지원(朴趾源) 진부해진 대나무에 대한 글들 古來讚竹者甚多. 自『詩』之「淇澳」, 歌咏之嗟嘆之不足, 至有‘君’而尊之者, 竹遂以病矣. 然而天下之以竹爲號者不止, 又從以文而記之. 則雖使蔡倫削牘, 蒙恬束毫, 不離乎風霜不變之操, 䟽簡偃仰之態. 頭白汗靑, 盡屬飣餖, 竹於是乎餒矣. 顧以余之不文, 讚竹之德性, 以形容竹之聲色, 作爲詩文者多矣, 更何能文爲. ‘대나문 언덕’이란 호를 짓고서 기문을 부탁하다 梁君養直, 介直有志節者也. 甞自號曰‘竹塢’, 而扁其所居之室, 請余爲記. 而果未有以應之者, 吾於竹, 誠有所病焉故耳. 뭘 지어도 너무 뻔해질 대나무에 대한 글, 죽어도 못 짓네 余笑曰: “君改其額, 文當立就爾.” 爲誦古今人奇號韻題之如烟湘閣ㆍ百尺梧桐閣ㆍ杏花春雨林亭ㆍ小..
개성 지식인 양인수씨의 일일 주영염수재기(晝永簾垂齋記) 박지원(朴趾源) 주영염수재의 모습 晝永簾垂齋, 梁君仁叟草堂也. 齋在古松蒼壁之下, 凡八楹, 隔其奧, 爲深房; 踈其欞, 爲暢軒. 高而爲層樓, 穩而爲夾室, 周以竹欄, 覆以茅茨, 右圓牖, 左交窓. 軆微事備, 冬明夏陰. 齋後有雪梨十餘株, 竹扉內外, 皆古杏緋桃. 白石鋪前, 淸流激激, 引遠泉入階下, 爲方池. 나태한 양인수의 하루 梁君性懶而好深居, 倦至輒下簾, 頹然臥乎烏几一琴一劒一香爐一酒壺一茶竈一古書畵軸一碁局一之間. 每睡起, 揭簾看日早晏, 則階上樹陰乍轉, 籬下午鷄初唱矣. 於是乎據几看劒, 或弄琴數引, 細吸一盃, 以自暢懷. 或點香烹茗, 或展觀書畵, 或棋按古譜, 擺列數局已焉, 久來如納潮, 睫重若垂雲, 復頹然而臥. 客至入門, 則簾垂寂然, 落花滿庭, 簷鐸自鳴. 字呼主人三四..
글자엔 세상과 사람이 담겨있다 종북소선 자서(鍾北小選 自序) 박지원(朴趾源) 문장은 자연에 그대로 남아 유유히 전해져 왔다 嗟乎! 庖犧氏歿, 其文章散久矣. 然而蟲鬚花蘂, 石綠羽翠, 其文心不變. 鼎足壺腰, 日環月弦, 字體猶全. 其風雲雷電, 雨雪霜露, 與夫飛潛走躍, 笑啼鳴嘯, 而聲色情境, 至今自在. 그림과 글자는 천지 사이에서 나왔다 故不讀『易』則不知畵, 不知畵則不知文矣, 何則? 庖犧氏作『易』, 不過仰觀俯察, 奇偶加倍, 如是而畵矣. 蒼頡氏造字, 亦不過曲情盡形, 轉借象義, 如是而文矣. 글자엔 소리가 배어 있다 然則文有聲乎? 曰伊尹之大臣, 周公之叔父, 吾未聞其語也, 想其音則款款耳. 伯奇之孤子, 杞梁之寡妻, 吾未見其容也, 思其聲則懇懇耳. 글자에 스며든 색 文有色乎? 曰詩固有之. “衣錦褧衣, 裳錦褧裳,” “鬒髮如雲..
석치야 니가 살아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제정석치문(祭鄭石癡文) 박지원(朴趾源) 살아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生石癡, 可會哭可會吊, 可會罵可會笑. 可飮之數石酒, 相臝體敺擊, 酩酊大醉, 忘爾汝, 歐吐頭痛, 胃翻眩暈, 幾死乃已. 今石癡眞死矣. 너의 죽음을 대하는 방식이 가지각색인 네 부류의 사람들 石癡死而環尸而哭者, 乃石癡妻妾昆弟子姓, 親嫟固不乏. 會哭者握手相慰曰: “德門不幸, 哲人云胡至此?” 其昆弟子姓拜起, 頓首對曰: “私門凶禍.” 其朋朋友友相與歎息言, “斯人者固不易得之人.” 而固不乏會吊者. 與石癡有怨者, 痛罵石癡病死, 石癡死而罵者之怨已報, 罪罰無以加乎死. 世固有夢幻此世, 遊戱人間, 聞石癡死, 固將大笑, 以爲歸眞, 噴飯如飛蜂, 絶纓如拉朽. 너는 본래대로 되돌아갔지만 그리운 나의 친구여 石癡眞死. 耳郭已爛, 眼珠已..
이홍재가 지은 문집엔 옛 문장이 실려 있다 자소집서(自笑集序) 박지원(朴趾源) 중국의 풍속이 사라져 연극마당에서나 찾아보게 되다 嗟乎! 禮失而求諸野, 其信矣乎. 今天下薙髮左袵, 則不識漢宮之威儀者, 已百有餘年矣. 獨於演戱之場, 像其烏帽團領玉帶象笏, 以爲戱笑. 嗟乎! 中原之遺老盡矣, 其有不掩面而不忍視之者歟. 亦有樂觀諸此, 而想像其遺制也歟. 옛 풍속은 기생에게만 남았고 지금 궁중의 제도는 원나라 때의 것이다 歲价之入燕也, 與吳人語, 吳人曰: “吾鄕有剃頭店, 榜之曰盛世樂事.” 因相視大噱, 己而潛然欲涕云. 吾聞而悲之曰: “習久則成性, 俗之習矣, 其可變乎哉? 東方婦人之服, 頗與此事相類. 舊制有帶, 而皆闊袖長裙, 及勝國末, 多尙元公主, 宮中髻服, 皆蒙古胡制. 于時士大夫爭慕宮樣, 遂以成風, 至今三四百載, 不變其制. 衫..
자신을 보존하는 최상의 방법과 최악의 방법 이존당기(以存堂記) 박지원(朴趾源) 장중거의 호탕한 성격 進士張仲擧, 魁傑人也. 身長八尺餘, 落落有氣岸, 不拘小節, 性嗜酒自豪, 乘醉多口語失. 以故鄕里厭苦之, 目之以狂生, 謗議溢於朋曺間. 장중거가 이존(以存)이란 당호를 걸고 비방을 막으려 하다 有欲以危法中之者, 仲擧亦自悔焉曰: “我其不容於世乎.” 思所以避謗遠害之道, 掃一室, 閉戶下簾而居, 大書‘以存’而顔其堂. 『易』曰: ‘龍蛇之蟄, 以存身’ 蓋取諸斯也. 一朝謝其所從飮酒徒曰: “子姑去. 吾將以存吾身.” 중거, 자신을 해치는 것이 외부에 있지 않고 내부에 있음을 알지 못한다 余聞而大笑曰: “仲擧存身之術止此, 則難乎免矣. 雖以曾子之篤敬, 終身所以服而誦之者何如也? 常若莫保其朝夕, 至死之日, 啓示手足, 始能自幸其全歸, ..
대대로 남기려 하지 말고 잘 빌려주길 유씨도서보서(柳氏圖書譜序) 박지원(朴趾源) 돌에 잘 새기던 연옥 連玉善刻章. 握石承膝, 側肩垂頤, 目之所瞬, 口之所吹, 蚕飮其墨, 不絶如絲. 聚吻進刀, 用力以眉, 旣而捧腰仰天而欷. 대대로 남기기 위해 새기다 懋官過而勞之曰: “子之攻堅也, 將以何爲?” 連玉曰: “夫天下之物, 各有其主. 有主則有信, 故十室之邑, 百夫之長, 亦有符印. 無主乃散, 無信乃亂. 我得暈石, 膚理膩沃, 方武一寸, 瑩然如玉. 獅蹲其鈕, 鞠乳獰吼, 鎭我文房, 綏厥四友. 我祖軒轅, 氏柳名璉, 文明爾雅, 鼎鼓鳥雲, 印我書秩, 遺我子孫, 無憂散佚, 百卷其全.” 화씨의 구슬도 만리장성까지 쌓아가며 지키려 했지만 지키지 못했다 懋官笑曰: “子以和氏之璧, 爲何如也?” 曰: “天下之至寶也.” 曰: “然. 昔秦皇帝旣..
조선의 노래를 담아내다 영처고서(嬰處稿序) 박지원(朴趾源) 이덕무의 시가 현재의 시라고 비판 받다 子佩曰: “陋哉! 懋官之爲詩也. 學古人而不見其似也. 曾毫髮之不類, 詎髣髴乎音聲? 安野人之鄙鄙, 樂時俗之瑣瑣, 乃今之詩也, 非古之詩也.” 지금이 옛날이 되고 같지 않음은 전범(典範)이 되리라 余聞而大喜曰: “此可以觀. 由古視今, 今誠卑矣. 古人自視, 未必自古. 當時觀者, 亦一今耳. 故日月滔滔, 風謠屢變, 朝而飮酒者, 夕去其帷, 千秋萬世, 從此以古矣. 然則今者對古之謂也, 似者方彼之辭也. 夫云似也似也, 彼則彼也, 方則非彼也, 吾未見其爲彼也 紙旣白矣, 墨不可以從白; 像雖肖矣, 畵不可以爲語. 영처고엔 어린아이의 진솔함이 담겨 있다 雩祀壇之下, 桃渚之衕, 靑甍而廟, 貌之渥丹而鬚儼然, 關公也. 士女患瘧, 納其牀下, 戄神..
편지글의 가치 영대정잉묵 자서(映帶亭賸墨 自序) 박지원(朴趾源) 아무 뜻도 없이 쓰는 상투적인 말들에 대해 (缺六十字.) 所謂右謹陳, 誠俚且穢. 獨不知世間操觚者何限. 印板總是餖飣餕餘, 則何傷於公格之頭辭發語之例套乎? 『堯典』之‘曰若稽古’, 『佛經』之‘如是我聞', 迺今時之右謹陳爾. 과거의 글들은 그 당시 편지글에서 배웠다 獨其聽禽春林, 聲聲各異, 閱寶海市, 件件皆新. 荷珠自圓, 楚璞不劚, 則此尺牘家之祖述『論語』, 泝源風雅, 其辭令則子産ㆍ叔向, 掌故則『新序』ㆍ『世說』, 其核實剴切, 不獨長策之賈傅, 執事之宣公爾. 지금의 작가들은 편지글의 가치를 모른다 彼一號古文辭, 則但知序記之爲宗, 架鑿虛譌, 挐挹浮濫. 指斥此等爲小家玅品, 明牕淨几, 睡餘支枕. 夫敬以禮立, 而嚴威儼慤, 非所以事親也. 若復廣張衣袖, 如見大賓, 略..
이루어질 수 없는 일에도 노력했던 송욱처럼 그대도 노력하게 염재기(念齋記) 박지원(朴趾源) 송욱 자신이 없어진 걸 알게 되다 宋旭醉宿, 朝日乃醒. 臥而聽之, 鳶嘶鵲吠, 車馬喧囂. 杵鳴籬下, 滌器廚中. 老幼叫笑, 婢僕叱咳. 凡戶外之事, 莫不辨之, 獨無其聲. 乃語矇矓曰: “家人俱在, 我何獨無?” 周目而視, 上衣在楎, 下衣在椸, 笠掛其壁, 帶懸椸頭. 書帙在案, 琴橫瑟立, 蛛絲縈樑, 蒼蠅附牖. 凡室中之物, 莫不俱在, 獨不自見. 急起而立, 視其寢處, 南枕而席, 衾見其裡. 於是謂旭發狂, 裸體而去, 甚悲憐之, 且罵且笑, 遂抱其衣冠, 欲往衣之, 遍求諸道, 不見宋旭. 이루어질 수 없는 일 = 송욱의 과거보기 遂占之東郭之瞽者, 瞽者占之曰: “西山大師, 斷纓散珠, 招彼訓狐, 爰計算之.” 圓者善走, 遇閾則止. 囊錢而賀曰: “..
평범한 이야기를 기록해야 하는 이유 순패서(旬稗序) 박지원(朴趾源) 나의 주변, 우리 일상을 담아내다 小川菴雜記域內風謠民彛方言俗技, 至於紙鷂有譜, 丱謎著解. 曲巷窮閭, 爛情熟態, 倚門鼓刀, 肩媚掌誓, 靡不蒐載, 各有條貫. 口舌之所難辨, 而必則形之; 志意之所未到, 而開卷輒有. 凡鷄鳴狗嘷, 虫翹蠡蠢, 盡得其容聲. 於是配以十干, 名爲旬稗. 지금의 문장들은 강정 같다 一日袖以示余曰: “此吾童子時手戱也. 子獨不見食之有粔𥺌乎? 粉米漬酒, 截以蚕大, 煖堗焙之, 煮油漲之, 其形如繭. 非不潔且美也, 其中空空, 啖而難飽, 其質易碎, 吹則雪飛. 故凡物之外美而中空者, 謂之粔𥺌. 今夫榛栗稻秔, 卽人所賤. 然實美而眞飽, 則可以事上帝, 亦可以贄盛賓. 夫文章之道, 亦如是, 而人以其榛栗稻秔, 而鄙夷之. 則子盍爲我辨之?” 일상의 일을 ..
여름밤에 연암 어르신과 허심탄회하게 이야기 나누다하야방연암장인기(夏夜訪燕巖丈人記) 이서구(李書九) 季夏之弦, 步自西隣, 訪燕巖丈人. 時微雲在天, 林月蒼翳. 鍾聲初起, 其始也殷殷, 其終也泛泛, 若水漚之方散. 意以爲丈人在家否, 入其巷, 先覘其牖, 燈照焉.入其門, 丈人不食已三朝矣, 方跣足解巾, 加股房櫳, 與廊曲賤隸相問答. 見余至, 遂整衣坐, 劇談古今治亂及當世文章名論之派別同異, 余聞而甚奇之也. 時夜已下三更. 仰見窓外, 天光焂開焂翕, 輕河亙白, 益悠揚不自定. 余驚曰: “彼曷爲而然?” 丈人笑曰: “子試觀其側.” 蓋燭火將滅, 焰動搖益大. 乃知向之所見者, 與此相映徹而然也.須臾燭盡. 遂兩坐黑室中, 諧笑猶自若. 余曰: “昔丈人與余同里, 嘗雪夜訪丈人, 丈人爲余親煖酒. 余亦手執餠, 爇之土爐中, 火氣烘騰, 余手甚熱, 數墮餠于灰..
호기로움만은 젊은 시절 못지 않네 수소완정하야방우기(酬素玩亭夏夜訪友記) 박지원(朴趾源) 六月某日, 洛瑞夜訪不侫, 歸而有記. 云: “余訪燕巖丈人, 丈人不食三朝. 脫巾跣足, 加股房櫳而臥, 與廊曲賤隸相問答.” 所謂燕巖者, 卽不侫金川峽居, 而人因以號之也. 不侫眷屬, 時在廣陵. 不侫素肥苦暑, 且患草樹蒸鬱, 夏夜蚊蠅, 水田蛙鳴, 晝夜不息以故, 每當夏月, 常避暑京舍. 京舍雖甚湫隘, 而無蚊蛙草樹之苦. 獨有一婢守舍, 忽病眼, 狂呼棄主去, 無供飯者. 遂寄食廊曲, 自然款狎, 彼亦不憚使役, 如奴婢. 靜居無一念在意. 時得鄕書, 但閱其平安字. 益習疎懶, 廢絶慶弔. 或數日不洗面, 或一旬不裹巾. 客至或黙然淸坐, 或販薪賣瓜者過, 呼與語孝悌忠信禮義廉恥, 款款語屢數百言. 人或讓其迂濶無當, 支離可厭, 而亦不知止也. 又有譏其在家爲客, 有妻如..
세상으로 책을 보고 마음을 비움으로 완미하라 소완정기(素玩亭記) 박지원(朴趾源) 책으로 둘러싸인 환경에서 문제점 完山李洛瑞, 扁其貯書之室曰素玩, 而請記於余. 余詰之曰: “夫魚游水中, 目不見水者, 何也? 所見者皆水, 則猶無水也. 今洛瑞之書盈棟而充架, 前後左右無非書也, 猶魚之游水. 雖效專於董生, 助記於張君, 借誦於東方, 將無以自得矣, 其可乎?” 책에서 둘러싸인 환경에서 나오라 洛瑞驚曰: “然則將奈何?” 余曰: “子未見夫索物者乎? 瞻前則失後, 顧左則遺右. 何則? 坐在室中, 身與物相掩, 眼與空相逼. 故爾莫若身處室外, 穴牖而窺之, 一目之專, 盡擧室中之物矣.” 洛瑞謝曰: “是夫子挈我以約也.” 해가 불꽃이 되려면 관조를 통해 모아져야 한다 余又曰: “子旣已知約之道矣. 又吾敎子, 以不以目視之, 以心照之可乎. 夫日者, ..
과거합격자 모범답안 모음집을 보는 자세 소단적치인(騷壇赤幟引) 박지원(朴趾源) 글짓기와 병법의 유사점 善爲文者, 其知兵乎. 字譬則士也, 意譬則將也, 題目者, 敵國也; 掌故者, 戰場墟壘也. 束字爲句, 團句成章, 猶隊伍行陣也; 韻以聲之, 詞以耀之, 猶金皷旌旗也. 照應者, 烽埈也; 譬喩者, 遊騎也. 抑揚反復者, 鏖戰撕殺也; 破題而結束者, 先登而擒敵也. 貴含蓄者, 不禽二毛也; 有餘音者, 振旅而凱旋也. 염파와 조괄의 차이 속에 글짓기의 이치가 숨어 있다 夫長平之卒, 其勇㥘非異於昔時也; 弓矛戈鋋, 其利鈍非變於前日也. 然而廉頗將之, 則足以制勝; 趙括代之, 則足以自坑. 故善爲兵者, 無可棄之卒; 善爲文者, 無可擇之字. 苟得其將, 則鉏耰棘矜, 盡化勁悍, 而裂幅揭竿, 頓新精彩矣; 苟得其理, 則家人常談, 猶列學官而童謳里諺, ..
대나무도 없는 집에 사는 이가 ‘대나무 동산[竹園]’이란 호를 지은 이유불이당기(不移堂記) 박지원(朴趾源) 대나무 없는 집의 죽원옹士涵自號竹園翁, 而扁其所居之堂曰不移, 請余序之. 余嘗登其軒, 而涉其園, 則不見一挺之竹. 余顧而笑曰: “是所謂無何鄕烏有先生之家耶? 名者實之賓, 吾將爲賓乎?” 士涵憮然爲間曰: “聊自寓意耳.” 원령, 측백나무를 그려달란 부탁에 설부를 써서 주다余笑曰: “無傷也. 吾將爲子實之也. 曩李學士功甫, 閒居爲梅花詩, 得沈董玄墨梅以弁軸. 因笑謂余曰: ‘甚矣! 沈之爲畵也. 能肖物而已矣.’ 余惑之曰: ‘爲畵而肖, 良工也. 學士何笑爲?’ 曰: ‘有之矣. 吾初與李元靈遊, 嘗遣絹一本, 請畵孔明廟柏. 元靈良久, 以古篆書雪賦以還. 吾得篆且喜, 益促其畵, 元靈笑曰: ‘子未喩耶? 昔已往矣.’ 余驚曰: ‘昔者來..
불치하문의 정신으로 조금이라도 낫다면 배워야 한다 북학의서(北學議序) 박지원(朴趾源) 모르는 게 있으면 배우는 게 학문의 방법 學問之道無他, 有不識, 執塗之人而問之可也, 僮僕多識我一字姑學. 汝恥己之不若人而不問勝己, 則是終身自錮於固陋無術之地也. 잘 배운 이 순과 공자 舜自耕稼陶漁, 以至爲帝, 無非取諸人. 孔子曰: “吾少也賤, 多能鄙事.” 亦耕稼陶漁之類是也. 雖以舜ㆍ孔子之聖且藝, 卽物而刱巧, 臨事而製器, 日猶不足, 而智有所窮. 故舜與孔子之爲聖, 不過好問於人, 而善學之者也. 우리나라 학자들은 배우려하지 않다 吾東之士, 得偏氣於一隅之土, 足不蹈凾夏之地, 目未見中州之人, 生老病死, 不離疆域. 則鶴長烏黑, 各守其天, 蛙井蚡田, 獨信其地. 謂禮寧野, 認陋爲儉, 所謂四民, 僅存名目, 而至於利用厚生之具, 日趨困窮. 此無..
누이가 시집가던 날의 어여쁜 모습이 산천에 그대로 담겨 있네 백자증정부인박씨묘지명(伯姉贈貞夫人朴氏墓誌銘) 박지원(朴趾源) 초상 지르던 날의 풍경 孺人諱某, 潘南朴氏, 其弟趾源仲美誌之曰: “孺人十六, 歸德水李宅模伯揆. 有一女二男, 辛卯九月一日歿, 得年四十三. 夫之先山曰‘鵶谷’, 將葬于庚坐之兆. 伯揆旣喪其賢室, 貧無以爲生, 挈其穉弱婢指十, 鼎鎗箱簏, 浮江入峽, 與喪俱發. 仲美曉送之斗浦舟中, 慟哭而返. 28년 전 일이 스치듯 떠올라 嗟乎! 姊氏新嫁曉粧, 如昨日. 余時方八歲, 嬌臥馬𩥇, 效婿語口吃鄭重. 姊氏羞, 墮梳觸額, 余怒啼, 以墨和粉, 以唾漫鏡. 姊氏出玉鴨金蜂, 賂我止啼, 至今二十八年矣. 28년 전 일이 현재의 풍경과 뒤섞이다 立馬江上, 遙見丹旐翩然, 檣影逶迤, 至岸轉樹隱不可復見. 而江上遙山, 黛綠如鬟, ..
가난한 우리 집 살림을 책임 진 형수님을 그리며 백수공인이씨묘지명(伯嫂恭人李氏墓誌銘) 박지원(朴趾源) 대대로 벼슬했던 집임에도 가난했던 연암의 가문 恭人諱某, 完山李東馝之女, 王子德陽君之後也. 十六, 歸潘南朴喜源, 生三男, 皆不育. 恭人素羸弱身, 嬰百疾. 喜源大父, 爲世名卿, 先王時每擧漢卓武故事, 以增秩. 其居官, 不長尺寸爲子孫遺業, 淸寒入骨, 捐舘之日, 家乏無十金之產. 歲且荐喪, 恭人力能存活其十口, 奉祭接賓, 恥失大家規度, 綢繆補苴. 且廿載嘔膓擢髓, 甁槖垂倒, 屈抑挫銷, 無所展施. 每値高秋木落天寒, 意益廓然霣沮, 疾益發, 綿延數歲, 竟以上之二年戊戌七月廿五日歿. 어려운 가족을 건사하기 위해 애쓴 형수님 嗟乎! 貧士之妻, 昔人比之弱國之大夫. 其拄傾支覆, 莫保朝夕, 猶能自立於辭令制度之間, 而澗繁沼毛, 不餒其..
이름이 후세에 남겨지길 바라는 꺾이지 않는 바람을 지닌 김홍연의 이야기 발승암기(髮僧菴記) 박지원(朴趾源) 금강산을 유람하다 새겨진 이름을 보고 불쾌감을 느끼다 余東遊楓嶽. 入其洞門, 已見古今人題名, 大書深刻, 殆無片隙, 如觀場疊肩, 郊阡叢墳. 舊刻纔沒苔蘚, 新題又煥丹硃. 至崩崖裂石, 削立千仞, 上絶飛鳥之影, 而獨有金弘淵三字. 余固心異之曰: “古來觀察使之威, 足以死生人, 楊蓬萊之耽奇, 足跡無所不到, 猶未能置名此間. 彼題名者誰耶? 乃能令工與鼯猱爭性命也.” 어느 산에 가도 있던 그 이름, 왜 이리 반갑던지 其後余遊歷方內名山, 南登俗離ㆍ伽倻, 西登天摩ㆍ妙香. 所至僻奧, 自謂能窮世人之所不能到, 然常得金所題. 輒發憤罵曰: “何物弘淵, 敢爾唐突耶?” 大凡好遊名山者, 非犯至危排衆難, 亦不得搜奇探勝. 余平居追思往䠱, ..
너만의 색채 그걸 응원해 능양시집서(菱洋詩集序) 박지원(朴趾源) 달사와 속인 達士無所恠, 俗人多所疑. 所謂少所見, 多所恠也. 夫豈達士者, 逐物而目覩哉? 聞一則形十於目, 見十則設百於心, 千恠萬奇, 還寄於物而己無與焉. 故心閒有餘, 應酬無窮. 所見少者, 以鷺嗤烏, 以鳧危鶴. 物自無恠己, 廼生嗔一事不同, 都誣萬物. 까마귀의 검은색 속에 감춰진 여러 색 噫! 瞻彼烏矣, 莫黑其羽. 忽暈乳金, 復耀石綠. 日映之而騰紫, 目閃閃而轉翠. 然則吾雖謂之蒼烏可也, 復謂之赤烏, 亦可也. 彼旣本無定色, 而我乃以目先定. 奚特定於其目? 不覩而先定於其心. 검기 때문에 거울이 된다 噫! 錮烏於黑足矣, 廼復以烏錮天下之衆色. 烏果黑矣, 誰復知所謂蒼赤乃色中之光耶? 謂黑爲闇者, 非但不識烏, 並黑而不知也. 何則? 水玄故能照, 漆黑故能鑑. 是故有色..
말머리에 무지개 기운이 날리던 기록 마수홍비기(馬首虹飛記) 박지원(朴趾源) 맑던 하늘에 구름 한 점이 생기네 夜宿鳳翔邨, 曉入沁都. 行五里許, 天始明, 無纖氛點翳. 日纔上天一尺, 忽有黑雲, 點日如烏頭, 須臾掩日半輪. 慘憺窅冥, 如恨如愁, 頻蹙不寧. 光氣旁溢, 皆成彗孛, 下射天際如怒瀑. 갑자기 생긴 구름으로 하늘은 삽시간에 어두워져 번쩍이네 海外諸山, 各出小雲遙相應, 蓬蓬有毒. 或出電, 耀威日下, 殷殷有聲矣. 少焉, 四面䢔遝正黑, 無縫罅. 電出其間, 始見雲之積疊襞褶者, 千朶萬葉, 如衣之有緣, 如花之有暈, 皆有淺深. 雷聲若裂, 疑有墨龍跳出, 然雨不甚猛, 遙望延ㆍ白之間, 雨脚如垂疋練. 저 멀리 연안과 배천 사이를 바라보니 빗발이 한 필의 비단에 드리운 듯했다. 흐리던 하늘이 갠 풍경 促馬行十餘里, 日光忽透, ..
담헌이 소장한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에 쓴 발문 담헌소장청명상하도발(湛軒所藏淸明上河圖跋) 박지원(朴趾源) 우리나라에 건너온 위조품이 많다 吾爲跋此圖, 亦已多矣. 皆稱仇英十洲, 孰爲眞蹟. 孰爲贋本? 吳兒狡獪, 東俗眯眊, 宜乎其此軸之多東渡鴨水也. 진품을 원할수록 위조품이 늘어간다 書何必鍾ㆍ王ㆍ顔ㆍ柳, 畵何必顧ㆍ陸ㆍ閻ㆍ吳, 鼎彛何必宣德五金? 求其眞蹟, 故詐僞百出, 愈似而愈假. 위조품이 아닌 정신을 따른 물건이라면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 隆福之寺, 玉河之橋, 有自賣其手筆書畵, 當略辨雅俗, 收而有之. 爐則雖乾隆年製, 卽取型範古恠敦厚者, 庶不爲燕市之一笑. -『燕巖集』 卷之七 해석 우리나라에 건너온 위조품이 많다 吾爲跋此圖, 亦已多矣. 나는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 명(明) 십주(十洲) 구..
같아지려 할수록 가짜가 된다 녹천관집서(綠天館集序) 박지원(朴趾源) 모방으로 비슷해질 수 없고 倣古爲文, 如鏡之照形, 可謂似也歟? 曰: “左右相反, 惡得而似也?” 如水之寫形, 可謂似也歟? 曰: “本末倒見, 惡得而似也?” 如影之隨形, 可謂似也歟? 曰: “午陽則侏儒僬僥, 斜日則龍伯防風, 惡得而似也?” 如畵之描形, 可謂似也歟? 曰: “行者不動, 語者無聲, 惡得而似也?” 비슷하다는 말 속에 짝퉁이란 말이 숨어 있으니 曰: “然則終不可得而似歟?” 曰: “夫何求乎似也? 求似者非眞也. 天下之所謂相同者, 必稱‘酷肖’; 難辨者亦曰‘逼眞’. 夫語眞語肖之際, 假與異在其中矣. 故天下有難解而可學, 絶異而相似者. 鞮象寄譯, 可以通意; 篆籒隷楷, 皆能成文, 何則? 所異者形, 所同者心故耳. 繇是觀之, 心似者志意也, 形似者皮毛也.” ..
오래 남기려 한다면 오히려 장독 덮개로 쓰이는 게 낫다네 냉재집서(泠齋集序) 박지원(朴趾源) 돌을 깎아내는 공과 새기는 공을 다투다 匠石謂剞劂氏曰: “夫天下之物, 莫堅於石, 爰伐其堅, 斷而斲之. 螭首龜趺, 樹之神道, 永世不騫, 是我之功也.” 剞劂氏曰: “久而不磨者, 莫壽於刻. 大人有行, 君子銘之, 匪余攸工, 將焉用碑?” 잘라지는 돌, 써지는 글 그렇기에 영원할 수 없어라 遂相與訟之於馬鬣者, 馬鬣者寂然無聲, 三呼而三不應. 於是石翁仲啞然而笑曰: “子謂天下之至堅者, 莫堅乎石, 久而不磨者, 莫壽乎刻也. 雖然石果堅也, 斲而爲碑乎? 若可不磨也, 惡能刻乎? 旣得以斲而刻之, 又安知築竈者不取之, 以爲安鼎之題乎?” 揚子雲好古士也, 多識奇字. 方艸『太玄』, 愀然變色易容, 慨然太息曰: “嗟乎! 烏爾其知之? 聞石翁仲之風者, 其..
여의주를 부러워하지 않는 말똥구리 같은 시 모음집에 써준 서문 낭환집서(蜋丸集序) 박지원(朴趾源) 비단옷 입은 봉사와 비단옷 입고 밤에 거니는 사람 子務ㆍ子惠出遊, 見瞽者衣錦. 子惠喟然歎曰: “嗟乎! 有諸己而莫之見也.” 子務曰: “夫何與衣繡而夜行者?” 遂相與辨之於聽虗先生. 先生搖手曰: “吾不知吾不知.” 이는 옷에서 생겨나나? 살에서 생겨나나? 昔黃政丞自公而歸. 其女迎謂曰: “大人知蝨乎? 蝨奚生? 生於衣歟?” 曰: “然,” 女笑曰: “我固勝矣.” 婦請曰: “蝨生於肌歟?” 曰: “是也” 婦笑曰: “舅氏是我.” 夫人怒曰: “孰謂大監智, 訟而兩是.” 政丞莞爾而笑曰: “女與婦來. 夫蝨非肌不化, 非衣不傅, 故兩言皆是也. 雖然, 衣在籠中, 亦有蝨焉; 使汝裸裎, 猶將癢焉, 汗氣蒸蒸, 糊氣蟲蟲, 不離不襯衣膚之間.” 짝짝..
이 문집에서 이명은 못 듣더라도 코골이를 듣거든 알려주시오 공작관문고 자서(孔雀館文稿 自序) 박지원(朴趾源) 글이란 뜻만 전달하면 그뿐 文以寫意則止而已矣. 彼臨題操毫, 忽思古語, 强覓經旨, 假意謹嚴. 逐字矜莊者, 譬如招工寫眞, 更容貌而前也. 目視不轉, 衣紋如拭, 失其常度, 雖良畵史, 難得其眞. 爲文者亦何異於是哉? 글의 소재가 진실하기만 하다면 버릴 게 없다 語不必大, 道分毫釐, 所可道也, 瓦礫何棄? 故檮杌惡獸, 『楚史』取名, 椎埋劇盜, 遷ㆍ固是叙, 爲文者惟其眞而已矣. ‘나만 알고 너는 모르는’ 이명(耳鳴) 以是觀之, 得失在我, 毁譽在人, 譬如耳鳴而鼻鼾. 小兒嬉庭. 其耳忽鳴. 啞然而喜, 潛謂鄰兒曰: “爾聽此聲, 我耳其嚶, 奏鞸吹笙, 其團如星.” 鄰兒傾耳相接, 竟無所聽, 閔然叫號, 恨人之不知也. ‘너만 알고..
허명에 매이지 말고 명(命)과 리(理)로 세상을 대하라관재기(觀齋記) 박지원(朴趾源) 불타는 향에 자신을 이입한 동자 歲乙酉秋, 余溯自八潭, 入摩訶衍, 訪緇俊大師. 師指連坎中, 目視鼻端. 有小童子, 撥爐點香, 團如綰鬉, 鬱如蒸芝, 不扶而直, 無風自波, 蹲蹲婀娜, 如將不勝. 童子忽妙悟發, 笑曰: “功德旣滿, 動轉歸風. 成我浮圖, 一粒起虹.” 師展眼曰: “小子汝聞其香, 我觀其灰; 汝喜其烟, 我觀其空. 動靜旣寂, 功德何施?” 공에 집중하길 권하다 童子曰: “敢問何謂也?” 師曰: “汝試嗅其灰, 誰復聞者? 汝觀其空, 誰復有者?” 마음속에 두지 말고 기운이 막히지 않도록 하라 童子涕泣漣如, 曰: “昔者夫子摩我頂, 律我五戒, 施我法名. 今夫子言之, 名則非我, 我則是空, 空則無形, 名將焉施? 請還其名.” 師曰: “汝順..
남의 평판보다 스스로 만족하는 글을 쓸 줄 알며 스스로를 잘 아는 사람이길 바라며자지암기(自知菴記) 이천보(李天輔) 人之患, 不在於不知人, 而在於不知己. 惟其不知己, 故人譽之而以爲喜, 人毁之而以爲慽. 夫天下之色, 吾視以吾目, 而不借人之目; 天下之聲, 吾聽以吾耳, 而不借人之耳. 今乃閉吾之目, 而求人之視; 掩吾之耳, 而求人之聽, 是豈理也哉? 聲與色, 自外而至者也, 然吾之所以視聽之者, 其權在吾而不在人, 况吾不能知吾, 而僕僕然仰人之齒牙, 得不病乎? 是以, 古之君子, 獨立不屈, 紛然爲取於人, 而無所加益; 脫然爲棄於人, 而無所加損者, 其自知甚明, 吾之爲吾者, 一也. 吾友杞溪兪泰仲, 少而有奇志, 耻與今之人相俯仰, 一朝廢擧, 隱居海濱. 人有問其故者, 泰仲輒笑而不言, 而名其室曰自知. 嗟乎! 若泰仲者, 可謂信於己, 而不求..
묵도(黙道)와 진언(眞言)과 진시(眞詩)제묵와시권후(題默窩詩卷後) 이천보(李天輔) 어딜 가든 시를 써재끼는데 웬 침묵?海平尹汝精, 病世之人, 以言而取敗, 自號默窩. 或者有問於余曰: “詩者, 性情之發而爲言者也. 汝精好爲詩, 殆將廢百事而爲之. 凡其飮食夢寐, 無往而非詩也, 無往而非詩者, 卽無往而非言也. 然則天下之多言者, 無過於汝精, 而今乃自托於默, 其孰信之?” 침묵 같은 말, 침묵 같은 시余曰: “子不聞深谷之有聲乎? 其聲也不自爲聲, 而必待乎物. 故曰: ‘聲之出於谷’ 非也; 曰: ‘聲之不出於谷’ 又非也, 惟其無意於聲, 而聲自聞也. 古之至人, 何嘗無言乎哉. 言而無意於言, 是以其言高如升天, 而人不敢疑其高; 深如入地, 而人不敢疑其深, 是皆默之道, 而汝精之所願學者也. 竊觀汝精之爲詩, 緣境而生情, 緣情而成言, 亦惟曰: ..
지금의 율시란 교언영색하는 시이기에 싫어할 뿐원시 하(原詩 下) 홍석주(洪奭周) 지금의 근체시만 법칙을 따른다는 생각을 버려余之惡律詩也, 非惡夫律也. 苟以其律則三百篇之有律也, 必有過於今之律詩者矣. 古之君子, 溫恭而易直, 肅敬而齊一, 言語有則, 動作有矩, 周旋有度, 進退有法, 是以其威可畏, 其儀可象, 而其民則而效之. 今夫作三百篇者固多, 向所謂溫恭而易直, 肅敬而齊一者也. 君子之於道, 不可以須臾離也, 是豈獨於詩而棄夫律也? 夫以今之律詩而謂之律也, 則其他詩, 皆無律者也. 是齷齪粉澤, 曲謹小廉, 恒愈於平易紆餘豁達奇偉之士, 而繁音促節, 反加於韶頀之上 周公ㆍ召公ㆍ尹吉甫ㆍ衛武公之賢, 皆不若沈約ㆍ徐陵之徒也. 卽古人無論已, 至如郭景純陶淵明輩, 亦豈弊弊焉終身於無律之詩而不悟者哉? 남을 즐겁게 할 시 말고, 천진함이 저절로 담긴..
율시 일변도의 문단을 비판하며 민요의 가치를 말하다원시 중(原詩 中) 홍석주(洪奭周) 정이 드러난 여항의 노래엔 시경의 풍조가 살아 있다或曰: “子之言詩也如此, 則唯三百篇, 可以當之, 舍是以往, 皆非詩歟?” 曰: “惡惡可? 氣之在時者, 有盛衰; 而情之在人者, 無古今. 今夫人怒則勃然而咜, 喜則怡然而笑, 悲哀憂戚, 嗚咽而太息者, 斯固人眞情之所動, 而古今不能以隔之者也. 故爲詩之深淺高下, 或不能齊, 而其竗感之機, 固千載而如一日也. 是以, 由其感神明也, 則安世練時, 固無以異乎烈祖ㆍ我將之篇也; 由其感軍旅也, 則鐃歌皷吹, 亦無以異乎小戎ㆍ出車之篇也. 及其奮然而作, 潸然而涕, 令人神𨓏而不知, 則離騷ㆍ九歌, 易水秋風, 固未嘗無興觀羣怨之美也, 至若淫聲曼詞, 使民蕩志而移情, 則雖降而子夜ㆍ讀曲, 亦或不異乎桑間濮上之音也. 唐之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