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산문놀이터 (1358)
건빵이랑 놀자
낙양이 지은 독락원에 쓴 기문독락원기(獨樂園記) 사마광(司馬光) 司馬溫公, 自號迂叟, 其退居, 適意於園圃, 其樂如此. 迂叟平日讀書, 上師聖人, 下友群賢, 窺仁義之原, 探禮樂之緖, 自未始有形之前, 曁四達無窮之外, 事物之理, 擧集目前, 可者學之, 未至夫可, 何求於人, 何待於外哉. 志倦體疲, 則投竿取魚, 執衽采藥, 決渠灌花, 操斧剖竹, 濯熱盥水, 臨高縱目, 逍遙徜徉, 惟意所適, 明月時至, 淸風自來. 行無所牽, 止無所柅, 耳目肺腸, 卷爲己有, 踽踽焉, 洋洋焉, 不知天壤之間, 復有何樂, 可以代此也. 因合而命之曰獨樂. 해석司馬溫公, 自號迂叟, 사마온공은 스스로 우수(迂叟)라 호를 짓고 其退居, 適意於園圃, 其樂如此.물러나 거처할 땐 마침 후원(後園)에 뜻을 두어 즐거움이 이와 같다. 迂叟平日讀書, 上師聖人, 下友群..
상주의 주금당에 쓴 기문 상주주금당기(相州晝錦堂記) 구양수(歐陽脩) 解說. 고향으로 돌아와 뻗대지 않고 단심(丹心)을 드러낸 글 迂齋曰: “文字委曲, 善於形容.” ○ 富貴不歸故鄕, 如衣錦夜行, 後人, 遂以富貴歸故鄕者, 爲衣錦晝行, 盖本前說而反言之也. 韓魏公琦, 字稚圭, 以德量文章政事功業, 爲宋相臣第一. 時封魏國公, 本相州人. 仁宗朝, 旣罷相, 以武康軍節度使, 知本州, 上蓋以是榮之也. 公因作晝錦堂于州宅後圃, 又有詩焉. 歐陽公, 爲作此記, 謂: “公不以常情之榮爲榮.” 末又謂: “非徒爲州里一時之榮.” 盖本韓公詩意, 述其心事而廣之. 文甚明白正大, 兒童執不熟讀之. 而韓公「晝錦堂」詩則鮮知之, 今附見於此云. 詩曰: “古人之富貴, 歸於本郡縣. 譬若衣錦游, 白晝自光絢. 否則如夜行, 雖麗胡由見. 事累載方冊, 今復著俚諺. ..
상주의 주금당에 쓴 기문상주주금당기(相州晝錦堂記) 구양수(歐陽脩) 현달을 뽐내지 않고 선정을 펼친 위국공 한기(韓琦) 염량세태(炎凉世態)仕宦而至將相, 富貴而歸故鄕, 此人情之所榮, 而今昔之所同也. 蓋士方窮時, 困阨閭里, 庸人孺子皆得易而侮之, 若季子不禮於其嫂, 買臣見棄於其妻. 一旦高車駟馬, 旗旄導前而騎卒擁後, 夾道之人, 相與騈肩累跡, 瞻望咨嗟, 而所謂庸夫愚婦者, 奔走駭汗, 羞愧俯伏, 以自悔罪於車塵馬足之間, 此一介之士, 得志當時, 而意氣之盛, 昔人比之衣錦之榮也. 현달했음에도 자랑하기보다 기본에 충실히 하다惟大丞相魏國公則不然, 公相人也. 世有令德, 爲時名卿. 自公少時, 已擢高科, 登顯仕, 海內之士, 聞下風而望餘光者, 蓋亦有年矣. 所謂將相而富貴, 皆公所宜素有, 非如窮阨之人, 僥倖得志於一時, 出於庸夫愚婦之不意, 以..
상주의 주금당에 쓴 기문상주주금당기(相州晝錦堂記) 구양수(歐陽脩) 解說. 고향으로 돌아와 뻗대지 않고 단심(丹心)을 드러낸 글 迂齋曰: “文字委曲, 善於形容.” ○ 富貴不歸故鄕, 如衣錦夜行, 後人, 遂以富貴歸故鄕者, 爲衣錦晝行, 盖本前說而反言之也. 韓魏公琦, 字稚圭, 以德量文章政事功業, 爲宋相臣第一. 時封魏國公, 本相州人. 仁宗朝, 旣罷相, 以武康軍節度使, 知本州, 上蓋以是榮之也. 公因作晝錦堂于州宅後圃, 又有詩焉. 歐陽公, 爲作此記, 謂: “公不以常情之榮爲榮.” 末又謂: “非徒爲州里一時之榮.” 盖本韓公詩意, 述其心事而廣之. 文甚明白正大, 兒童執不熟讀之. 而韓公「晝錦堂」詩則鮮知之, 今附見於此云. 詩曰: “古人之富貴, 歸於本郡縣. 譬若衣錦游, 白晝自光絢. 否則如夜行, 雖麗胡由見. 事累載方冊, 今復著俚諺. 或..
저주(滁州)에 유배되어 취옹정을 짓고 쓴 기문취옹정기(醉翁亭記) 구양수(歐陽脩) 解說. 저주(滁州)의 산수를 사랑하여 남긴 글 迂齋云: “此文, 所謂筆端有畵. 又如累疊階級, 一層高一層, 逐旋上去, 都不覺.” ○ 歐陽公年四十, 守滁州, 愛其山水之勝, 作醉翁亭而日遊之. 今觀公詩, 有曰: “四十未爲老, 醉翁偶題篇. 醉中遺萬物, 豈復記吾年.” 又贈沈遵曰: “我時四十猶强健, 自號醉翁聊戱客. 爾來憂患十年間, 鬢髮未老嗟先白.” 又曰: “顔摧鬢改眞一翁, 心以憂醉安知樂.” 大略可見守滁之樂, 後來不復有矣. 他如「醉翁吟」ㆍ「憶滁南幽谷」, 眷眷不忘, 不一而足, 不能盡述于此也. 年方四十而云年又最高, 盖是時僚佐賓客, 偶皆妙年耳. 一篇二十七也字, 讀之, 不覺其多, 此又一體. 公有「祈雨祭漢高祭文」, 又有「祭吳尙書文」, 皆是此體. 坡..
저주(滁州)에 유배되어 취옹정을 짓고 쓴 기문취옹정기(醉翁亭記) 구양수(歐陽脩) 취옹정을 지은 사람 따로, 즐기며 자호로 삼고서 즐기는 사람 따로 산으로 둘러싸인 취옹정環滁皆山也. 其西南諸峰, 林壑尤美, 望之蔚然而深秀者, 瑯琊也, 山行六七里, 漸聞水聲潺潺, 而瀉出于兩峰之間者, 釀泉也, 峰回路轉, 有亭翼然, 臨于泉上者, 醉翁亭也. 作亭者誰? 山之僧智僊也. 名之者誰? 太守自謂也. 太守與客, 來飮于此, 飮少輒醉, 而年又最高. 故自號曰: “醉翁也.” 醉翁之意, 不在酒, 在乎山水之間也. 山水之樂, 得之心而寓之酒也. 취옹정에서 본 절경若夫日出而林霏開, 雲歸而巖穴暝, 晦明變化者, 山間之朝暮也, 野芳發而幽香, 嘉木秀而繁陰, 風霜高潔, 水落而石出者, 山間之四時也. 朝而往, 暮而歸, 四時之景不同而樂亦無窮也. 태수의 즐거움..
저주(滁州)에 유배되어 취옹정을 짓고 쓴 기문취옹정기(醉翁亭記) 구양수(歐陽脩) 解說. 저주(滁州)의 산수를 사랑하여 남긴 글 迂齋云: “此文, 所謂筆端有畵. 又如累疊階級, 一層高一層, 逐旋上去, 都不覺.” ○ 歐陽公年四十, 守滁州, 愛其山水之勝, 作醉翁亭而日遊之. 今觀公詩, 有曰: “四十未爲老, 醉翁偶題篇. 醉中遺萬物, 豈復記吾年.” 又贈沈遵曰: “我時四十猶强健, 自號醉翁聊戱客. 爾來憂患十年間, 鬢髮未老嗟先白.” 又曰: “顔摧鬢改眞一翁, 心以憂醉安知樂.” 大略可見守滁之樂, 後來不復有矣. 他如「醉翁吟」ㆍ「憶滁南幽谷」, 眷眷不忘, 不一而足, 不能盡述于此也. 年方四十而云年又最高, 盖是時僚佐賓客, 偶皆妙年耳. 一篇二十七也字, 讀之, 不覺其多, 此又一體. 公有「祈雨祭漢高祭文」, 又有「祭吳尙書文」, 皆是此體. 坡..
남쪽으로 돌아가는 서무귀를 전송하며송서무당남귀서(送徐無黨南歸序) 구양수(歐陽脩) 解說. 문장보다 덕행에 더 신경 쓰길 바라 此篇, 謂古人有三不朽, 德行功業文章是也. 文章之虛, 不如功業之實, 而文章功業, 皆本於德行之深, 功業之不朽者, 固不待見於文章, 而德行之不朽者, 亦不待見於功業. 後世之士, 其不得以功業自見, 而以文章自見者多矣. 然往往泯沒不傳, 而不能終古不朽者, 豈非徒用力於文章, 而不知本於德行哉. 所以勉徐生以思, 欲其因文章而反求諸其本也. 글 짓길 좋아하는 사람에게 불후함에 대해 알려주겠다 성현만이 불후하는 이유草木鳥獸之爲物, 衆人之爲人, 其爲生雖異, 而爲死則同, 一歸於腐壞澌盡泯滅而已. 而衆人之中, 有聖賢者, 固亦生且死於其間, 而獨異於草木鳥獸衆人者, 雖死而不朽, 愈遠而彌存也. 其所以爲聖賢者, 修之於身, 施之..
남쪽으로 돌아가는 서무귀를 전송하며송서무당남귀서(送徐無黨南歸序) 구양수(歐陽脩) 글 짓길 좋아하는 사람에게 불후함에 대해 알려주겠다 성현만이 불후하는 이유草木鳥獸之爲物, 衆人之爲人, 其爲生雖異, 而爲死則同, 一歸於腐壞澌盡泯滅而已. 而衆人之中, 有聖賢者, 固亦生且死於其間, 而獨異於草木鳥獸衆人者, 雖死而不朽, 愈遠而彌存也. 其所以爲聖賢者, 修之於身, 施之於事, 見之於言, 是三者, 所以能不朽而存也. 공업을 일에 베푼 사람, 덕행을 몸으로 닦은 사람修於身者, 無所不獲, 施於事者, 有得有不得焉, 其見於言者, 則又有能, 有不能焉. 施於事矣, 不見於言可也. 自『詩』ㆍ『書』ㆍ『史記』所傳, 其人豈必皆能言之士哉. 修於身矣, 而不施於事, 不見於言, 亦可也. 孔門弟子, 有能政事者矣, 有能言語者矣, 若顔回者, 在陋巷, 曲肱飢臥..
남쪽으로 돌아가는 서무귀를 전송하며송서무당남귀서(送徐無黨南歸序) 구양수(歐陽脩) 解說. 문장보다 덕행에 더 신경 쓰길 바라 此篇, 謂古人有三不朽, 德行功業文章是也. 文章之虛, 不如功業之實, 而文章功業, 皆本於德行之深, 功業之不朽者, 固不待見於文章, 而德行之不朽者, 亦不待見於功業. 後世之士, 其不得以功業自見, 而以文章自見者多矣. 然往往泯沒不傳, 而不能終古不朽者, 豈非徒用力於文章, 而不知本於德行哉. 所以勉徐生以思, 欲其因文章而反求諸其本也. 해석此篇, 謂古人有三不朽, 이 글은 옛 사람이 세 가지 썩지 않는 게 있다고 했으니 德行功業文章是也. 덕행(德行)과 공업(功業)과 문장(文章)이 이것이다. 文章之虛, 不如功業之實문장의 공허함이 공업의 내실함만 못하고 而文章功業, 皆本於德行之深, 문장과 공업이 모두 덕행의 ..
사형수를 풀어주고 사면한 사건을 비판하다종수론(縱囚論) 구양수(歐陽脩) 解說. 간명하지만 분명한 내용을 지닌 글 唐太宗貞觀七年, 去年帝親錄繫囚, 見應死者, 悶之, 縱使歸家, 期以來秋來就死. 仍勅天下死囚皆縱遣, 至期來詣京師. 至是九月, 去歲所縱天下死囚凡三百九十人, 無人督率, 皆如期自詣朝堂, 無一人亡匿者, 上皆赦之. ○ 歐公論此事, 得太宗之情, 盡用刑之理. 文尤簡而當, 婉而明, 宜熟讀. 죄인이 돌아온 특별한 상황이 일반적인 상황이 될 순 없다 사형수들이 기한 내에 모두 돌아오다信義行於君子, 而刑戮施於小人, 刑入于死者, 乃罪大惡極, 此又小人之尤甚者也. 寧以義死, 不苟幸生, 而視死如歸, 此又君子之尤難者也. 方唐太宗之六年, 錄大辟囚三百餘人, 縱使還家, 約其自歸以就死, 是以君子之難能, 期小人之尤者以必能也. 其囚及期..
사형수를 풀어주고 사면한 사건을 비판하다종수론(縱囚論) 구양수(歐陽脩) 죄인이 돌아온 특별한 상황이 일반적인 상황이 될 순 없다 사형수들이 기한 내에 모두 돌아오다信義行於君子, 而刑戮施於小人, 刑入于死者, 乃罪大惡極, 此又小人之尤甚者也. 寧以義死, 不苟幸生, 而視死如歸, 此又君子之尤難者也. 方唐太宗之六年, 錄大辟囚三百餘人, 縱使還家, 約其自歸以就死, 是以君子之難能, 期小人之尤者以必能也. 其囚及期而卒自歸, 無後者, 是君子之所難, 而小人之所易也, 此豈近於人情? 풀어준 것도, 돌아왔다고 사면해준 것도 잘못이다或曰: “罪大惡極, 誠小人矣, 及施恩德以臨之, 可使變而爲君子, 蓋恩德入人之深而移人之速, 有如是者矣.” 曰: “太宗之爲此, 所以求此名也. 然安知夫縱之去也, 不意其必來以冀免, 所以縱之乎, 又安知夫被縱而去也, ..
사형수를 풀어주고 사면한 사건을 비판하다종수론(縱囚論) 구양수(歐陽脩) 解說. 간명하지만 분명한 내용을 지닌 글 唐太宗貞觀七年, 去年帝親錄繫囚, 見應死者, 悶之, 縱使歸家, 期以來秋來就死. 仍勅天下死囚皆縱遣, 至期來詣京師. 至是九月, 去歲所縱天下死囚凡三百九十人, 無人督率, 皆如期自詣朝堂, 無一人亡匿者, 上皆赦之. ○ 歐公論此事, 得太宗之情, 盡用刑之理. 文尤簡而當, 婉而明, 宜熟讀. 해석唐太宗貞觀七年, 去年帝親錄繫囚, 당태종 정관 7년에 지난해 황제가 친해 갇혀 있는 죄수를 기록하다 見應死者, 悶之, 사형에 응하는 사람들을 보고 안타깝게 여겨 縱使歸家, 期以來秋來就死. 풀어주고서 집으로 돌아가게 했고 내년 가을으로 기한을 정하고 와서 사형장에 나오도록 했다. 仍勅天下死囚皆縱遣, 인하여 천하의 사형수들을 ..
미주(眉州)에 사는 소씨들의 족보를 만들며족보서(族譜序) 소순(蘇洵) 解說. 이글을 보면 효제(孝悌)의 마음이 일어난다 迂齋曰: “議論簡嚴, 字數少而曲折多, 非特文章之妙, 可以見忠厚氣象.” ○ 族譜規模, 分親踈詳略, 可爲世法. 中分兩段, 結語同而意略不同, 前段, 是自己身單說上祖考去, 後段, 是自祖考旁說開近族去, 各以孝悌之心可油然而生, 結之. 使人自思而得之 有有餘不盡一唱三歎之意焉. 老泉, 又有「蘇氏族譜亭記」及「譜例序」, 皆可以警世, 宜倂觀之. 족보를 만든 이유 족보에 적는 것과 적지 않는 것의 이유蘇氏族譜, 譜蘇之族也. 蘇氏出於高陽, 而蔓延於天下. 唐神堯初, 長史味道刺眉州, 卒于官, 一子留于眉, 眉之有蘇氏, 自此始而譜不及者, 親盡也. 親盡則曷爲不及? 譜爲親作也. 凡子得書而孫不得書者, 何也? 著代也. 自吾之..
미주(眉州)에 사는 소씨들의 족보를 만들며족보서(族譜序) 소순(蘇洵) 족보를 만든 이유 족보에 적는 것과 적지 않는 것의 이유蘇氏族譜, 譜蘇之族也. 蘇氏出於高陽, 而蔓延於天下. 唐神堯初, 長史味道刺眉州, 卒于官, 一子留于眉, 眉之有蘇氏, 自此始而譜不及者, 親盡也. 親盡則曷爲不及? 譜爲親作也. 凡子得書而孫不得書者, 何也? 著代也. 自吾之父, 以至吾之高祖, 仕不仕, 娶某氏, 享年幾, 某日卒皆書, 而它不書者, 何也? 詳吾之所自出也. 自吾之父, 以至吾之高祖, 皆曰諱某, 而它則遂名之, 何也? 尊吾之所自出也. 譜爲蘇氏作, 而獨吾之所自出, 得詳與尊, 何也? 譜吾作也. 嗚呼, 觀吾之譜者, 孝悌之心, 可以油然而生矣. 형제가 남남처럼 되는 걸 막기 위해情見于親, 親見于服, 服始于衰, 而至于緦麻, 而至于無服, 無服則親盡, ..
미주(眉州)에 사는 소씨들의 족보를 만들며족보서(族譜序) 소순(蘇洵) 解說. 이글을 보면 효제(孝悌)의 마음이 일어난다 迂齋曰: “議論簡嚴, 字數少而曲折多, 非特文章之妙, 可以見忠厚氣象.” ○ 族譜規模, 分親踈詳略, 可爲世法. 中分兩段, 結語同而意略不同, 前段, 是自己身單說上祖考去, 後段, 是自祖考旁說開近族去, 各以孝悌之心可油然而生, 結之. 使人自思而得之, 有有餘不盡一唱三歎之意焉. 老泉, 又有「蘇氏族譜亭記」及「譜例序」, 皆可以警世, 宜倂觀之. 해석迂齋曰: “議論簡嚴, 우재가 말했다. “의론이 간략하고 엄정하며 字數少而曲折多, 글자 수는 적지만 복잡한 부분이 많으니 非特文章之妙, 可以見忠厚氣象.”문장이 오묘할 뿐만 아니라 충성스러움이 두터운 기상을 볼 만하다.” ○ 族譜規模, 分親踈詳略, 족보의 규모가 친..
장방평(張方平)의 화상을 기리고 쓴 기문장익주화상기(張益州畵像記) 소순(蘇洵) 解說. 두 아들도 짓지 못할 소순의 장점이 드러난 글 張方平, 字安道, 號樂全居士. 除參知政事, 不拜, 以宣徽使太子太保致仕卒, 年八十五. ○ 迂齋曰: “詞氣嚴重, 有法度. 說不必有像而亦不可以無像, 此三四轉, 奇甚, 是好處. 是善回護蜀人, 公蜀人也, 所以尤難言.” ○ 老泉之文, 老辣健峭, 頓挫宛轉, 甚有古氣, 子由, 固遠不及, 子瞻亦不能爲此也. 1. 촉지방을 안정시켜 백성들에게 인정받은 정방평 정방평이 도적이 쳐들어온 촉지방을 안정시키다至和元年秋, 蜀人傳言, 有寇至邊. 邊軍夜呼, 野無居人, 妖言流聞, 京師震驚. 方命擇帥, 天子曰: “毋養亂, 毋助變. 衆言朋興, 朕志自定. 外亂不作, 變且中起, 旣不可以文令, 又不可以武競. 惟朕一二..
장방평(張方平)의 화상을 기리고 쓴 기문장익주화상기(張益州畵像記) 소순(蘇洵) 2. 백성들의 성화로 사당을 만들고 화상을 만들다 화상으로라도 공을 추억하고 싶은 백성들蘇洵又曰: “公之恩在爾心, 爾死在爾子孫, 其功業在史官, 無以像爲也. 且公意不欲, 如何?” 皆曰: “公則何事於斯? 雖然於我心, 有不釋焉. 今夫平居, 聞一善, 必問其人之姓名, 與其鄕里之所在, 以至於其長短大小美惡之狀, 甚者或詰其平生所嗜好, 以想見其爲人, 而史官亦書之於其傳, 意使天下之人, 思之於心, 則存之於目. 存之於目, 故其思之於心也固, 由此觀之, 像亦不爲無助.” 蘇洵無以詰, 遂爲之記. 公南京人, 爲人慷慨有大節, 以度量雄天下, 天下有大事, 公可屬. 공의 사당이 만들어진 내역을 시로 읊다系之以詩曰: “天子在祚, 歲在甲午, 西人傳言, 有寇在垣. 庭有..
장방평(張方平)의 화상을 기리고 쓴 기문장익주화상기(張益州畵像記) 소순(蘇洵) 1. 촉지방을 안정시켜 백성들에게 인정받은 정방평 정방평이 도적이 쳐들어온 촉지방을 안정시키다至和元年秋, 蜀人傳言, 有寇至邊. 邊軍夜呼, 野無居人, 妖言流聞, 京師震驚. 方命擇帥, 天子曰: “毋養亂, 毋助變. 衆言朋興, 朕志自定. 外亂不作, 變且中起, 旣不可以文令, 又不可以武競. 惟朕一二大吏, 孰能爲處玆文武之間? 其命往撫朕師.” 乃惟曰: “張公方平, 其人.” 天子曰: “然.” 公以親辭, 不可. 遂行冬十一月至蜀, 至之日歸屯軍, 撤守備, 使謂郡縣, “寇來在吾, 無以勞苦.” 明年正月朔旦, 蜀人相慶如它日, 遂以無事. 又明年正月, 相告留公像于淨衆寺, 公不能禁. 장방평을 소순이 기리는 말眉陽蘇洵, 言于衆曰: “未亂易治也, 旣亂易治也, 有..
장방평(張方平)의 화상을 기리고 쓴 기문장익주화상기(張益州畵像記) 소순(蘇洵) 解說. 두 아들도 짓지 못할 소순의 장점이 드러난 글 張方平, 字安道, 號樂全居士. 除參知政事, 不拜, 以宣徽使太子太保致仕卒, 年八十五. ○ 迂齋曰: “詞氣嚴重, 有法度. 說不必有像而亦不可以無像, 此三四轉, 奇甚, 是好處. 是善回護蜀人, 公蜀人也, 所以尤難言.” ○ 老泉之文, 老辣健峭, 頓挫宛轉, 甚有古氣, 子由, 固遠不及, 子瞻亦不能爲此也. 해석張方平, 字安道, 號樂全居士. 장방평의 자는 안도이고 호는 낙전거사이다. 除參知政事, 不拜, 참지정사에 제수(除授) 되었지만 부임하지 않았고 以宣徽使太子太保致仕卒, 年八十五.선휘사 태자태보로 벼슬하다가 죽었으니 나이 85세였다. ○ 迂齋曰: “詞氣嚴重, 有法度. 우재가 말했다. “말의..
유방은 번쾌를 처리하여 후환을 남기지 말았어야 했다고조론(高祖論) 소순(蘇洵) 解說. 번쾌 처리의 문제 『漢』「樊噲傳」, 盧綰叛, 帝遣噲伐之, 人有言: “噲黨呂氏, 一日宮車晏駕, 噲欲以兵誅戚氏趙王.” 帝大怒, 使陳平載絳侯代將, 卽軍中斬噲. 平畏呂氏, 執噲詣長安, 至則帝已崩, 后釋噲, 惠帝六年噲卒. ○ 此篇, 反覆論高帝爲身後慮, 全在斬樊噲上, 樊噲妻, 呂后女弟嬃也. 不去呂后者, 欲扶惠帝之弱, 斬樊噲者, 欲剪呂后之黨, 斬噲則高帝可死而無憂矣. 平ㆍ勃不悟此, 乃留噲不斬, 豈非遺帝身後之憂也. 幸噲後來自先死耳. 議論抑揚反覆, 極有精神. 1. 고제의 부족한 부분과 여후를 없애지 않은 이유 유방의 부족한 부분漢高祖挾數用術, 以制一時之利害, 不如陳平, 揣摩天下之勢, 擧指搖目, 以劫制項羽, 不如張良, 微此二人, 則天下不歸..
유방은 번쾌를 처리하여 후환을 남기지 말았어야 했다고조론(高祖論) 소순(蘇洵) 2. 번쾌는 남겨두지 말았어야 했다 번쾌를 남겨둔 것은 큰 후환이다呂后旣不可去, 故削其黨, 以損其權, 使雖有變, 而天下不搖. 是故以樊噲之功, 一旦遂欲斬之而無疑. 嗚呼! 彼獨於噲不仁耶. 且噲與帝偕起, 拔城陷陣, 功不爲少, 方亞父嗾項莊時, 微噲譙羽, 則漢之爲漢, 未可知也. 一旦人有惡噲, 欲滅戚氏者, 時噲出伐燕, 立命平ㆍ勃, 卽軍中斬之. 夫噲之罪未形也. 惡之者誠僞, 未必也. 且帝之不以一女子, 斬天下功臣, 亦明矣. 彼其娶於呂氏, 呂氏之族, 若産祿輩, 皆庸才, 不足恤, 獨噲豪健, 諸將所不能制, 後世之患, 無大於此矣. 번쾌가 그나마 일찍 죽어 다행이지夫高帝之視呂后, 猶醫者之視菫也, 使其毒, 可使治病, 而無至於殺人而已. 噲死則呂氏之毒, 將..
유방은 번쾌를 처리하여 후환을 남기지 말았어야 했다고조론(高祖論) 소순(蘇洵) 1. 고제의 부족한 부분과 여후를 없애지 않은 이유 유방의 부족한 부분漢高祖挾數用術, 以制一時之利害, 不如陳平, 揣摩天下之勢, 擧指搖目, 以劫制項羽, 不如張良, 微此二人, 則天下不歸漢, 而高帝乃木强之人而止耳. 然天下已定, 後世子孫之計, 陳平ㆍ張良, 智之所不及, 則高帝常先爲之規畫處置, 使夫後世之所爲, 曉然如目見其事而爲之者. 蓋高帝之智, 明於大而暗於小, 至於此而後見也. 고제가 여후를 없애지 않은 이유帝常語呂后曰: “周勃重厚少文, 然安劉氏者, 必勃也, 可令爲太尉.” 方是時, 劉氏旣安矣, 勃又將誰安耶? 故吾之意曰: ‘高帝之以太尉屬勃也, 知有呂氏之禍也.’ 雖然其不去呂后, 何也? 勢不可也. 昔者武王沒, 成王幼而三監叛, 帝意百歲後, 將相大..
유방은 번쾌를 처리하여 후환을 남기지 말았어야 했다고조론(高祖論) 소순(蘇洵) 解說. 번쾌 처리의 문제 『漢』「樊噲傳」, 盧綰叛, 帝遣噲伐之, 人有言: “噲黨呂氏, 一日宮車晏駕, 噲欲以兵誅戚氏趙王.” 帝大怒, 使陳平載絳侯代將, 卽軍中斬噲. 平畏呂氏, 執噲詣長安, 至則帝已崩, 后釋噲, 惠帝六年噲卒. ○ 此篇, 反覆論高帝爲身後慮, 全在斬樊噲上, 樊噲妻, 呂后女弟嬃也. 不去呂后者, 欲扶惠帝之弱, 斬樊噲者, 欲剪呂后之黨, 斬噲則高帝可死而無憂矣. 平ㆍ勃不悟此, 乃留噲不斬, 豈非遺帝身後之憂也. 幸噲後來自先死耳. 議論抑揚反覆, 極有精神. 해석『漢』「樊噲傳」, 盧綰叛, 『한서(漢書)』 「번쾌전」에 연왕(燕王) 노관이 배반하자 帝遣噲伐之, 人有言: “噲黨呂氏, 황제가 번쾌에게 정벌하게 하니 사람들이 말했다. “번쾌의 무..
내한 구양수에게 올린 편지상구양내한서(上歐陽內翰書) 소순(蘇洵) 解說. 배움의 태도를 배울 수 있는 글 離合二字, 爲前段綱領而以己之道未成, 將成, 粗成, 大成等字, 參錯之. 中間, 叙六君子中有已先死而不及見者, 有貴與遠而難見者, 可以書見者, 唯歐公而已. 遂以一段, 頌公之文, 又以一段, 自述己之文, 節節相生, 前後照應, 無一語出律令外. ○ 選此篇, 又有一說. 老泉二十五歲, 方知讀書學文, 彼其用力精專, 後來成就高卓如此. 後生徒以過時自棄而不肯用力者, 尤宜讀此, 以自鞭策焉. 1. 자천할 타이밍이 기어코 왔구나 실력을 길러 자천하려 했지만 좋은 관리들은 다들 떠나버렸네洵布衣窮居, 常竊自歎, 以爲: “天下之人, 不能皆賢, 不能皆不肖. 是以賢人君子之處於世, 合必離, 離必合.” 往者天子方有意於治, 而范公在相府, 富公在樞..
내한 구양수에게 올린 편지상구양내한서(上歐陽內翰書) 소순(蘇洵) 3. 제 실력은 이미 갖춰졌으니 맘껏 쓰소서 저 여기에 있다는 걸 잊으면 아니 되오夫樂道人之善而不爲謟者, 以其人誠足以當之也. 彼不知者, 則以爲譽人以求其悅己也, 夫譽人以求其悅己, 洵亦不爲也. 而其所以道執事光明盛大之德而不自知止者, 亦欲執事之知其知我也. 雖然執事之名, 滿於天下, 雖不見其文, 而固已知有歐陽子矣, 而洵也不幸, 墮在草野泥塗之中, 而其知道之心, 又近而粗成, 欲徒手奉咫尺之書, 自托於執事. 將使執事, 何從而知之, 何從而信之哉. 부족한 실력을 알고 학문을 연마하다洵少年不學, 生二十五歲, 始知讀書, 從士君子游, 年旣已晩, 而又不遂刻意厲行, 以古人自期, 而視與己同列者, 皆不勝己. 則遂以爲可矣. 其後困益甚, 復取古人之文而讀之, 始覺其出言用意與己大異..
내한 구양수에게 올린 편지상구양내한서(上歐陽內翰書) 소순(蘇洵) 2. 자천하고 싶지만 쉽지가 않네 찾아가 뵈며 자천해야 하는데旣又反而思其向之所慕望愛悅之而不得見之者, 蓋有六人焉, 今將往見之矣, 而六人者, 已有范公尹公二人亡焉, 則又爲之潸焉出涕以悲. 嗚呼, 二人者不可復見矣, 而所恃以慰此心者, 猶有四人也. 則又以自解, 思其止於四人也. 則又汲汲欲一識其面, 以發其心之所欲言. 而富公又爲天子之宰相, 遠方寒士, 未可遽以言通於其前, 而余公蔡公, 遠者又在萬里外. 獨執事在朝廷間, 而其位差不甚貴, 可以叫呼攀援而聞之以言, 而飢寒衰老之病, 又痼而留之, 使不克自至於執事之庭. 夫以慕望愛悅其人之心, 十年而不得見, 而其人已死, 如范公尹公二人者, 則四人者之中, 非其勢不可遽以言通者, 何可以不能自往而遽已也. 집사의 문장을 가장 잘 아는 나執事..
내한 구양수에게 올린 편지상구양내한서(上歐陽內翰書) 소순(蘇洵) 1. 자천할 타이밍이 기어코 왔구나 실력을 길러 자천하려 했지만 좋은 관리들은 다들 떠나버렸네洵布衣窮居, 常竊自歎, 以爲: “天下之人, 不能皆賢, 不能皆不肖. 是以賢人君子之處於世, 合必離, 離必合.” 往者天子方有意於治, 而范公在相府, 富公在樞密, 執事與余公蔡公爲諫官, 尹公馳騁上下, 用力於兵革之地, 方是之時, 天下之人, 毛髮絲粟之才, 紛紛而起, 合而爲一. 而洵也自度其愚魯無用之身, 不足以自奮於其間. 退而養其心, 幸其道之將成, 而可以復見於當世之賢人君子. 不幸道未成, 而范公西, 富公北, 執事與余公蔡公, 分散四出, 而尹公亦失勢奔走於小官. 소인이 판치는 세상에 나는 나의 도를 기르며 기다리리洵時在京師, 親見其事, 忽忽仰天歎息, 以爲斯人之去, 而道雖成,..
내한 구양수에게 올린 편지상구양내한서(上歐陽內翰書) 소순(蘇洵) 解說. 배움의 태도를 배울 수 있는 글 離合二字, 爲前段綱領而以己之道未成, 將成, 粗成, 大成等字, 參錯之. 中間, 叙六君子中有已先死而不及見者, 有貴與遠而難見者, 可以書見者, 唯歐公而已. 遂以一段, 頌公之文, 又以一段, 自述己之文, 節節相生, 前後照應, 無一語出律令外. ○ 選此篇, 又有一說. 老泉二十五歲, 方知讀書學文, 彼其用力精專, 後來成就高卓如此. 後生徒以過時自棄而不肯用力者, 尤宜讀此, 以自鞭策焉. 해석離合二字, 爲前段綱領而以己之道未成, 이(離)와 합(合) 두 글자로 앞 단락의 강령을 삼고 자기의 도가 ‘완성되지 않았다[未成]’ 將成, 粗成, 大成等字, ‘장차 완성되면[將成]’과 ‘대강 완성되면[粗成]’와 ‘크게 완성되면[大成]’ 등의 ..
추밀 전황(田況)께 올린 편지 상전추밀서(上田樞密書) 소순(蘇洵) 田公名況, 字元鈞, 嘉祐三年, 爲樞密使. ○ 東萊云: “此篇, 議論反覆, 極有法度, 最宜詳味. 意實求知, 辭不卑屈.” 1.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에 최선을 다한 공자와 맹자 내가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天之所以與我者, 夫豈偶然哉. 堯不得以與丹朱, 舜不得以與商均, 而瞽瞍不得奪諸舜, 發於其心, 出於其言, 見於其事, 確乎其不可易也. 聖人不得以與人, 父不得奪諸其子, 於此見天之所以與我者, 不偶然也. 夫其所以與我者, 必有以用我也, 我知之, 不得行之, 不以告人, 天固用之, 我實置之, 其名曰棄天. 自卑以求幸其言, 自小以求用其道, 天之所以與我者何如, 而我如此也, 其名曰褻天. 棄天我之罪也, 褻天亦我之罪也, 不棄不褻而人不我用, 不我用之罪也, 其名曰..
추밀 전황(田況)께 올린 편지 상전추밀서(上田樞密書) 소순(蘇洵) 3. 이젠 일 했으면 좋겠네 일취월장한 학문과 작문 실력 曩者見執事於益州, 當時之文, 淺狹可笑. 飢寒窮困, 亂其心, 而聲律記問, 又從而破壞其體, 不足觀也已, 數年來, 退居山野, 自分永棄, 與世俗日疏闊. 得以大肆其力於文章, 詩人之優游, 騷人之淸深, 孟ㆍ韓之溫醇, 遷ㆍ固之雄剛, 孫ㆍ吳之簡切, 投之所向, 無不如意. 嘗試以爲董生, 得聖人之經, 其失也流而爲迂, 鼂錯得聖人之權, 其失也流而爲詐, 有二子之才而不流者, 其惟賈生乎. 惜乎, 今之世, 愚未見其人也. 저술을 드리니 국정에 활용하고 저의 등용까지도…… 作策二道曰: “審勢審敵.” 作書十篇曰: “權書.” 洵有山田一頃, 非凶歲, 可以無飢, 力耕而節用, 亦足以自老, 不肖之身, 不足惜, 而天之所與者, 不忍..
추밀 전황(田況)께 올린 편지상전추밀서(上田樞密書) 소순(蘇洵) 2. 열심히 공부하여 한 마디 말이 도에 가깝게 되다 나의 일을 할 뿐, 등용되느냐는 다른 사람에 달렸다夫聖人賢人之用心也, 固如此, 如此而生, 如此而死, 如此而貧賤, 如此而富貴, 升而爲天, 沈而爲淵, 流而爲川, 止而爲山, 彼不預吾事, 吾事畢矣. 竊怪夫後之賢者, 不能自處其身也, 飢寒窮困之不勝而號於人. 嗚呼! 使吾誠死於飢寒困窮耶, 則天下後世之責, 將必有在, 彼其身之責, 不自任以爲憂, 而我取而加之吾身, 不亦過乎. 성인과 현인에 가깝길 강구하여 말 한 마디가 도에 가깝게 되다今洵之不肖, 何敢亦自列於聖賢? 然其心, 有所甚不自輕者, 何則? 天下之學者, 孰不欲一蹴而造聖人之域? 然及其不成也, 求一言之幾乎道, 而不可得也. 千金之子, 可以貧人, 可以富人, 非..
추밀 전황(田況)께 올린 편지상전추밀서(上田樞密書) 소순(蘇洵) 1.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에 최선을 다한 공자와 맹자 田公名況, 字元鈞, 嘉祐三年, 爲樞密使.○ 東萊云: “此篇, 議論反覆, 極有法度, 最宜詳味. 意實求知, 辭不卑屈.” 내가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天之所以與我者, 夫豈偶然哉. 堯不得以與丹朱, 舜不得以與商均, 而瞽瞍不得奪諸舜, 發於其心, 出於其言, 見於其事, 確乎其不可易也. 聖人不得以與人, 父不得奪諸其子, 於此見天之所以與我者, 不偶然也. 夫其所以與我者, 必有以用我也, 我知之, 不得行之, 不以告人, 天固用之, 我實置之, 其名曰棄天. 自卑以求幸其言, 自小以求用其道, 天之所以與我者何如, 而我如此也, 其名曰褻天. 棄天我之罪也, 褻天亦我之罪也, 不棄不褻而人不我用, 不我用之罪也, 其名曰逆天...
식(軾)과 철(轍)로 두 아들의 이름을 지은 이유명이자설(名二子說) 소순(蘇洵) 老泉先生二子, 長曰軾, 次曰轍. 觀此老之所以逆料二子之終身, 不差毫釐, 可謂深於知二子矣. 迂齋云: “字數不多而宛轉折族, 有無限意思 此文字之妙也.” 輪輻蓋軫, 皆有職乎車, 而軾獨若無所爲者. 雖然去軾則吾未見其爲完車也, 軾乎, 吾懼汝之不外飾也. 天下之車, 莫不由轍, 而言車之功, 轍不與焉. 雖然車仆馬斃, 而患不及轍, 是轍者禍福之間. 轍乎, 吾知免矣. 해석老泉先生二子, 長曰軾, 次曰轍. 노천선생은 두 아들을 낳았으니 장남은 식이고 차남은 철이다. 觀此老之所以逆料二子之終身, 노천 생각이 두 아들의 종신을 미리 헤아린 것을 보면 不差毫釐, 可謂深於知二子矣. 터럭만큼도 차이가 없으니 두 아들을 앎에 깊었다고 할 만하다. 迂齋云: “字數不多而..
조주에 만들어진 문공 한유의 사당에 쓴 명조주한문공묘비(潮州韓文公廟碑) 소식(蘇軾) 解說. 불교의 말이 깊이 들어 있는 글이다 郞曰: “『東坡外集』, 載與吳子野書, 論此碑云: ‘文公廟碑, 近已寄去矣. 潮州自文公來到, 已有文行之士如趙德者, 蓋風俗之美久矣. 先伯父與陳文惠公相知, 公在政府, 未嘗一日忘潮也, 云: ‘潮民雖小民, 亦知禮義.’ 信如子野言也, 碑中已具論矣.’” ○ 洪容齋曰: “劉夢得ㆍ李習之ㆍ皇甫湜ㆍ李南紀, 皆稱頌文公之文, 各極其至, 及東坡之碑一出而衆說盡廢. 騎龍白雲之詩, 蹈厲發越, 直到雅頌, 所謂若捕龍蛇搏虎豹者, 大哉言乎.” ○ 秦漢以後, 振文章而反之古, 一昌黎耳. 此碑, 誠大題目, 非東坡大手筆, 誰宜爲之? 坡文之雄偉不常者, 此是也. 然方虛谷, 嘗因論感生帝之說而言曰: “維嶽降神, 生甫及申.” 詩人盖盛..
조주에 만들어진 문공 한유의 사당에 쓴 명조주한문공묘비(潮州韓文公廟碑) 소식(蘇軾) 3. 한유의 사당에 지은 시 한유는 죽어서도 어디에나 있다或曰: “公去國萬里而謫于潮, 不能一歲而歸, 沒而有知, 其不眷戀于潮也審矣.” 軾曰: “不然. 公之神在天下者, 如水之在地中, 無所往而不在也, 而潮人獨信之深思之至, 焄蒿悽愴, 若或見之, 譬如鑿井得泉而曰, ‘水專在是.’ 豈理也哉.” 元豊元年, 詔封公昌黎伯. 故榜曰: ‘昌黎伯韓文公之廟.’ 潮人請書其事于石, 因爲作詩以遺之, 使歌以祀公. 한유의 사당에 소식이 지은 시其辭曰: “公昔騎龍白雲鄕, 手抉雲漢分天章, 天孫爲織雲錦裳. 飄然乘風來帝旁, 下與濁世掃粃糠. 西游咸池略扶桑, 草木衣被昭回光, 追逐李杜參翶翔, 汗流籍湜走且僵, 滅沒倒景不得望. 作書詆佛譏君王, 要觀南海窺衡湘, 歷舜九疑弔英..
조주에 만들어진 문공 한유의 사당에 쓴 명 조주한문공묘비(潮州韓文公廟碑) 소식(蘇軾) 2. 한유가 하늘에 일에 최선을 다했기에 죽어서도 기름을 받다 한유는 하늘의 일엔 영향을 줄 수 있었지만 사람 마음엔 영향을 줄 수 없었다 蓋嘗論天人之辨, 以謂, 人無所不至, 惟天不容僞. 智可以欺王公, 不可以欺豚魚, 力可以得天下, 不可以得匹夫匹婦之心. 故公之精誠, 能開衡山之雲, 而不能回憲宗之惑, 能馴鰐魚之暴, 而不能弭皇甫鎛李逢吉之謗, 能信於南海之民, 廟食百世, 而不能使其身一日安於朝廷之上, 蓋公之所能者天也, 其所不能者人也. 조주의 백성들이 한유를 아껴 새로운 사당을 짓게 되다 始潮人未知學, 公命進士趙德, 爲之師, 自是潮之士, 皆篤於文行, 延及齊民. 至于今號稱易治, 信乎. 孔子之言曰: “君子學道則愛人, 小人學道則易使也.” ..
조주에 만들어진 문공 한유의 사당에 쓴 명 조주한문공묘비(潮州韓文公廟碑) 소식(蘇軾) 1. 호연한 기운을 만난 한유가 세상을 변화시키다 기운이 돌고 돌아 사람에게 그렇게 하도록 한다 匹夫而爲百世師, 一言而爲天下法, 是皆有以參天地之化, 關盛衰之運, 其生也有自來, 其逝也有所爲. 故申呂自嶽降, 傳說爲列星, 古今所傳, 不可誣也. 孟子曰: “我善養吾浩然之氣.” 是氣也, 寓於尋常之中, 而塞乎天地之間, 卒然遇之, 王公失其貴, 晉楚失其富, 良平失其智, 賁育失其勇, 儀秦失其辯, 是孰使之然哉. 其必有不依形而立, 不恃力而行, 不待生而存, 不隨死而亡者矣. 故在天爲星辰, 在地爲河嶽, 幽則爲鬼神, 而明則復爲人, 此理之常, 無足怪者. 동한 이후의 쓰러진 문풍을 한유가 세우다 自東漢以來, 道喪文弊, 異端幷起, 歷唐貞觀開元之盛, 輔以..
조주에 만들어진 문공 한유의 사당에 쓴 명 조주한문공묘비(潮州韓文公廟碑) 소식(蘇軾) 解說. 불교의 말이 깊이 들어 있는 글이다 郞曰: “『東坡外集』, 載與吳子野書, 論此碑云: ‘文公廟碑, 近已寄去矣. 潮州自文公來到, 已有文行之士如趙德者, 蓋風俗之美久矣. 先伯父與陳文惠公相知, 公在政府, 未嘗一日忘潮也, 云: ‘潮民雖小民, 亦知禮義.’ 信如子野言也, 碑中已具論矣.’” ○ 洪容齋曰: “劉夢得ㆍ李習之ㆍ皇甫湜ㆍ李南紀, 皆稱頌文公之文, 各極其至, 及東坡之碑一出而衆說盡廢. 騎龍白雲之詩, 蹈厲發越, 直到雅頌, 所謂若捕龍蛇搏虎豹者, 大哉言乎.” ○ 秦漢以後, 振文章而反之古, 一昌黎耳. 此碑, 誠大題目, 非東坡大手筆, 誰宜爲之? 坡文之雄偉不常者, 此是也. 然方虛谷, 嘗因論感生帝之說而言曰: “維嶽降神, 生甫及申.” 詩人盖..
육일거사 구양수의 문집에 쓴 서문육일거사집서(六一居士集序) 소식(蘇軾) 解說. 이단을 격파하기 위해 지은 글 東萊云: “此篇曲折最多. 破頭說大, 故下面應言亦大, 今人文字, 上面言大, 下面未必言大, 言遠, 下面未必言遠, 如此以文章配天, 孔ㆍ孟配禹, 果然大而非誇.” ○ 陳靜觀云: “本意, 只是以歐公比韓子, 以介甫新學之害比佛老, 却逆推上韓子比孟子, 孟子配禹說來, 盖人不知韓子之功則歐公之功不明. 人不知孔孟之功則韓子之功不明. 但中間於韓子配孟子處, 語有斟酌而以申ㆍ韓一段, 旁證孟子之功, 尤淸切而精神.” ○ 此篇議論則是自孟子答公都子一段來, 人但不能如此發明精神耳. 此段精神, 全在說申韓之禍不減洪水, 却入楊墨之禍不減申韓處. ○ 人知洪水ㆍ亂臣賊子ㆍ楊墨ㆍ申韓ㆍ佛老ㆍ新學, 等是一般禍患, 方知大禹孔孟韓歐是一樣功業. 但力量有輕重, 功..
육일거사 구양수의 문집에 쓴 서문 육일거사집서(六一居士集序) 소식(蘇軾) 2. 사도가 사라진 한유 이후로 구양수가 되살리다 한유의 바톤을 이어받은 구양수 愈之後三百有餘年而後, 得歐陽子, 其學推韓愈ㆍ孟子, 以達於孔氏, 著禮樂仁義之實, 以合於大道. 其言簡而明, 信而通, 引物連類, 折之於至理, 以服人心, 故天下翕然師尊之. 自歐陽子之存, 世之不悅者, 譁而攻之, 能折困其身, 而不能屈其言. 士無賢不肖, 不謀而同曰: “歐陽子今之韓愈也.” 하늘이 구양수를 그렇게 하도록 시켰다 宋興七十餘年, 民不知兵, 富而敎之, 至天聖景祐極矣, 而斯文終有愧於古, 士亦因陋守舊, 論卑而氣弱. 自歐陽子出, 天下爭自濯磨, 以通經學古爲高, 以救時行道爲賢, 以犯顔敢諫爲忠, 長育成就, 至嘉祐末, 號稱多士, 歐陽子之功爲多. 嗚呼! 此豈人力也哉. 非天..
육일거사 구양수의 문집에 쓴 서문 육일거사집서(六一居士集序) 소식(蘇軾) 1. 우임금과 맹자, 한유의 비견될 만한 점 공자와 맹자는 우임금에 비견할 만한가? 夫言有大而非誇, 達者信之, 衆人疑焉. 孔子曰: “天之將喪斯文也, 後死者不得與於斯文也.” 孟子曰: “禹抑洪水, 孔子作『春秋』, 而余距楊墨.” 蓋以是配禹也. 文章之得喪, 何與於天, 而禹之功, 與天之幷, 孔子孟子以空言配之, 不已誇乎. 우임금 치수의 공처럼 위대한 맹자의 공 自『春秋』作而亂臣賊子懼, 孟子之言行, 而楊墨之道廢, 天下以爲是固然, 而不知大其功. 孟子旣沒, 有申ㆍ商ㆍ韓非之學, 違道而趨利, 殘民以厚生(主), 其說至陋也, 而士以是, 罔其上, 上之人僥倖一切之功, 靡然從之. 而世無大人先生如孔子ㆍ孟子者, 推其本末, 權其禍福之輕重, 以救其惑. 故其學遂行, 秦..
육일거사 구양수의 문집에 쓴 서문 육일거사집서(六一居士集序) 소식(蘇軾) 解說. 이단을 격파하기 위해 지은 글 東萊云: “此篇曲折最多. 破頭說大, 故下面應言亦大, 今人文字, 上面言大, 下面未必言大, 言遠, 下面未必言遠, 如此以文章配天, 孔ㆍ孟配禹, 果然大而非誇.” ○ 陳靜觀云: “本意, 只是以歐公比韓子, 以介甫新學之害比佛老, 却逆推上韓子比孟子, 孟子配禹說來, 盖人不知韓子之功則歐公之功不明. 人不知孔孟之功則韓子之功不明. 但中間於韓子配孟子處, 語有斟酌而以申ㆍ韓一段, 旁證孟子之功, 尤淸切而精神.” ○ 此篇議論則是自孟子答公都子一段來, 人但不能如此發明精神耳. 此段精神, 全在說申韓之禍不減洪水, 却入楊墨之禍不減申韓處. ○ 人知洪水ㆍ亂臣賊子ㆍ楊墨ㆍ申韓ㆍ佛老ㆍ新學, 等是一般禍患, 方知大禹孔孟韓歐是一樣功業. 但力量有輕重, ..
정원에 세 그루 홰나무를 심은 이유삼괴당명(三槐堂銘)삼괴당명(三槐堂銘): 왕문호(王文誥)의 『소문충공시편주집성총안(蘇文忠公詩編注集成總案)』 13권에 “이 글을 지은 정확한 시기는 상고할 수 없다.”라 하고, 덧붙여 “희녕(熙寧) 8년(1075) 이후에 지어졌다.”고 기재되어 있다. 주(周) 나라 때에 궁정 밖에 세 그루의 회화나무가 심어져 있었는데, 부자(天子)를 조견(朝見)할 적에 삼공(三公)이 세 그루의 회화나무를 마주 대하여 서 있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주례(周禮)』 「추관(秋官)」 조사(朝士)에 “세 그루의 회화나무를 마주 대하는 곳이 삼공(三公)의 자리이다.[面三槐 三公位焉]”라고 하였다. 이에 따라 후세에는 이 세 그루의 회화나무로써 삼공(三公)과 같은 높은 지위를 비유하게 되었다. 왕호(王..
정원에 세 그루 홰나무를 심은 이유삼괴당명(三槐堂銘) 소식(蘇軾) 하늘은 그 사람의 행위에 따라 반응한다 자신의 행동에 따라 하늘은 반응하는가?天可必乎? 賢者不必貴, 仁者不必壽. 天不可必乎? 仁者必有後. 二者將安取衷哉? 吾聞之, 申包胥曰: “人衆者勝天, 天定亦能勝人.” 世之論天者皆不待其定而求之. 故以天爲茫茫, 善者以怠, 惡者以肆, 盜跖之壽, 孔ㆍ顔之厄, 此皆天之未定者也. 松栢生於山林, 其始也, 困於蓬蒿, 厄於牛羊, 而其終也, 貫四時閱千歲而不改者, 其天定也. 善惡之報, 至於子孫, 則其定也久矣. 吾以所見所聞而考之, 其可必也審矣. 진국공을 통해 본 하늘은 기필할 수 있다는 예시國之將興, 必有世德之臣, 厚施而不食其報, 然後其子孫, 能與守文太平之主, 共天下之福. 故兵部侍郞晉國王公, 顯於漢周之餘, 歷事太祖太宗, 文..
정원에 세 그루 홰나무를 심은 이유삼괴당명(三槐堂銘) 소식(蘇軾) 解說. 하늘과 사람을 발명한 좋은 글이다 宋太祖始欲相王晉公祜, 公請以百口保符彦卿不反, 忤太祖意, 遂不相. 或有惜之者, 曰: “吾雖不做, 兒子二郞必做.” 二郞文正公旦也. ○ 此篇, 發明天人意好. ○ 迂齋曰: “序文, 理致甚長, 然猶可到. 至銘詩則不可及矣. 學者看了序文, 且掩卷默想銘文當如何下語, 却來看他作, 方有長進.” 해석宋太祖始欲相王晉公祜, 송태조가 처음에 진국공(晉國公) 왕호를 재상으로 삼고 公請以百口保符彦卿不反, 공은 100명으로 부언경이 배반하지 않을 것을 보장하겠다고 청했는데 忤太祖意, 遂不相. 태조의 뜻을 거슬러 마침내 재상이 되지 못했다. 或有惜之者, 曰: 혹은 그걸 애석하게 여기는 사람이 있었는데 왕호는 말했다. “吾雖不做, ..
전씨의 봉분을 관리하기 위한 표충관을 세운 까닭 표충관비(表忠觀碑) 소식(蘇軾) 解說. 서한의 문체를 담았지만 유종원의 글을 본뜨다 王荊公云: “此作, 絶似西漢.” 坐客歎聲不已. 公笑曰: “西漢誰人可擬?” 楊德逢曰: “王褒.” 盖易之也. 公曰: “不可草草.” 德逢曰: “司馬相如ㆍ揚雄之流乎?” 公曰: “相如賻「子虛」ㆍ「大人」洎「喩蜀文」ㆍ「封禪書」爾, 雄所著「太玄」ㆍ「法言」, 以準「易」ㆍ「論語」, 未見其叙事典贍, 如此也. 直須與子長馳騁上下.” 坐客, 又從而贊之. 公曰: “畢竟似子長何語?” 坐客竦然. 公徐曰: “漢興以來諸侯王年表也.” ○ 迂齋云: “發明吳越之功與德, 全是以他國形容, 比並出來, 方見朝廷坐收土地, 不勞兵革 知他是全了多少生靈, 說墳墓尤切, 意在言外, 文極典雅. ○ 按碑序, 全作守臣趙抃奏疏, 此盖法柳..
전씨의 봉분을 관리하기 위한 표충관을 세운 까닭 표충관비(表忠觀碑) 소식(蘇軾) 2. 두융보다 못한 대접을 받던 전씨의 봉분을 관리하도록 하다 두융보다 대접이 못했던 전씨 昔竇融, 以河西歸漢, 光武詔右扶風, 修理其祖父墳塋, 祠以大牢. 今錢氏功德, 殆過於融, 而未及百年, 墳墓不治, 行道傷嗟, 甚非所以勸獎功臣, 慰答民心之義也. 전씨 봉분을 관리하도록 묘인원을 표충관으로 바꾸다 臣願以龍山廢佛寺曰妙因院者爲觀, 使錢氏之孫爲道士曰自然者居之, 凡墳墓之在錢塘者, 以付自然, 其在臨安者, 以付其縣之淨土寺僧曰道微, 歲各度其徒一人, 使世掌之, 籍其地之所入, 以時修其祠宇, 封植其草木, 有不治者, 縣令丞, 察之, 甚者易其人, 庶幾永終不墜, 以稱朝廷待錢氏之意. 臣抃昧死以聞. 制曰可, 其妙因院, 改賜名曰表忠觀. 銘曰: “天目之山, ..
전씨의 봉분을 관리하기 위한 표충관을 세운 까닭 표충관비(表忠觀碑) 소식(蘇軾) 1. 오대의 반란을 제압하는 손길들 오대의 반란을 제압하여 복속하다 熙寧十年十月戊子, 資政殿大學士右諫議大夫知杭州軍事臣抃言. 故吳越國王錢氏墳墓, 及其父祖妃夫人子孫之墳, 在錢塘者二十有六, 在臨安者十有一, 皆蕪廢不治, 父老過之, 有流涕者. 謹按故武肅王鏐, 始以鄕兵, 破走黃巢, 名聞江淮, 復以八郡兵, 討劉漢宏, 幷越州, 以奉董昌而自居於杭, 及昌以越叛, 則誅昌而幷越, 盡有浙東西之地. 傳其子文穆王元瓘, 至其孫忠獻王仁佐, 遂破李景兵, 取福州, 而仁佐之弟忠懿王俶, 又大出兵攻景, 以迎周世宗之師, 其後卒以國入覲, 三世四王, 與五代相終始. 어지럽던 세상이 정리되어 태평성대를 누리다 天下大亂, 豪傑蜂起, 方是時, 以數州之地, 盜名字者, 不可勝數...
전씨의 봉분을 관리하기 위한 표충관을 세운 까닭 표충관비(表忠觀碑) 소식(蘇軾) 解說. 서한의 문체를 담았지만 유종원의 글을 본뜨다 王荊公云: “此作, 絶似西漢.” 坐客歎聲不已. 公笑曰: “西漢誰人可擬?” 楊德逢曰: “王褒.” 盖易之也. 公曰: “不可草草.” 德逢曰: “司馬相如ㆍ揚雄之流乎?” 公曰: “相如賻「子虛」ㆍ「大人」洎「喩蜀文」ㆍ「封禪書」爾, 雄所著「太玄」ㆍ「法言」, 以準「易」ㆍ「論語」, 未見其叙事典贍, 如此也. 直須與子長馳騁上下.” 坐客, 又從而贊之. 公曰: “畢竟似子長何語?” 坐客竦然. 公徐曰: “漢興以來諸侯王年表也.” ○ 迂齋云: “發明吳越之功與德, 全是以他國形容, 比並出來, 方見朝廷坐收土地, 不勞兵革 知他是全了多少生靈, 說墳墓尤切, 意在言外, 文極典雅. ○ 按碑序, 全作守臣趙抃奏疏, 此盖法柳..
가뭄 끝 기쁘게 내린 비를 기리기 위해 정자의 이름으로 짓다희우정기(喜雨亭記)희우정기(喜雨亭記): 동파(東坡)는 가우(嘉祐) 6년(1061) 12월에 봉상부(鳳翔府) 첨서판관(簽書判官)으로 부임하였는데, 본편 가운데 “내가 부풍(扶風)에 부임한 다음 해[余至扶風之明年]”라는 구(句)가 있어 이 글이 가우(嘉祐) 7년(1062)에 쓰였음을 알 수 있다. 희우정(喜雨亭)은 봉상부(鳳翔府) 성(城) 동북쪽에 있다. 소식(蘇軾) 迂齋云: “蟬蜕汙濁之中, 浮游塵埃之表, 所謂以文爲戱者.”東坡登第初, 任鳳翔府判官, 其年, 二十有八耳, 筆力, 已如此. 此篇, 與「凌虛臺記」, 皆官鳳翔時所作, 眞天才也. 기쁨을 잊지 않으려 이름을 지은 예들亭以雨名, 志喜也. 古者有喜, 卽以名物, 示不忘也. 周公得禾, 以名其書, 漢武得鼎,..
현판에 새겨진 네 보살을 보관하기 위한 누각을 만들다사보살각기(四菩薩閣記)사보살각기(四菩薩閣記): 이 글은 희녕(熙寧) 원년(1068) 10월 26일에 쓰였는데, 이때 동파(東坡)는 고향에서 부친의 상중(喪中)이었다. 소식(蘇軾) 坡作僧家文字多矣. 今獨取此, 以後一半議論反覆之妙故也. 捨施不足信而其守畵之說. 愈轉愈妙. 吁! 吾之所以因此有所感者, 豈獨菩薩畵而已哉. 1. 그림에 벽(癖)이 있던 아버지가 가장 좋아하던 그림 그림을 좋아하던 아버지始吾先君, 於物無所好, 燕居如齋, 言笑有時, 顧嘗嗜畵, 弟子門人, 無以悅之, 則爭致其所嗜, 庶幾一解其顔. 故雖爲布衣, 而致畵與公卿等. 선친이 최고로 좋아하던 문짝의 그림長安有故藏經龕, 唐明皇帝所建. 其門四達八板, 皆吳道子畵. 陽爲菩薩, 陰爲天王, 凡十有六軀. 廣明之亂, ..
현판에 새겨진 네 보살을 보관하기 위한 누각을 만들다사보살각기(四菩薩閣記) 소식(蘇軾) 2. 유간 스님에게 아버지 그림을 주어 보관할 누각을 만들다 스님 유간에게 그림을 주다旣免喪, 所嘗與往來浮屠人惟簡, 誦其師之言, 敎軾爲先君捨施, 必所甚愛, 與所不忍捨者, 軾用其說, 思先君之所甚愛, 軾之所不忍捨者, 莫若是板. 故遂以與之, 且告之曰: “此明皇帝之所不能守而焚於賊者也, 而況於余乎. 余視天下之蓄此者多矣, 有能及三世者乎. 其始求之, 若不及, 旣得惟恐失之, 而其子孫, 不以易衣食者鮮矣. 余自度不能長守此也, 是以予子, 子將何以守之?” 그림을 지키는 방법簡曰: “吾以身守之, 吾眼可矐, 吾足可斮, 吾畵不可奪, 若是足以守之歟.” 軾曰: “未也. 足以終子之世而已.” 簡曰: “吾又盟於佛而以鬼守之, 凡取是者, 與凡以是予人者, 其..
현판에 새겨진 네 보살을 보관하기 위한 누각을 만들다사보살각기(四菩薩閣記) 소식(蘇軾) 1. 그림에 벽(癖)이 있던 아버지가 가장 좋아하던 그림 坡作僧家文字多矣. 今獨取此, 以後一半議論反覆之妙故也. 捨施不足信而其守畵之說. 愈轉愈妙. 吁! 吾之所以因此有所感者, 豈獨菩薩畵而已哉. 그림을 좋아하던 아버지始吾先君, 於物無所好, 燕居如齋, 言笑有時, 顧嘗嗜畵, 弟子門人, 無以悅之, 則爭致其所嗜, 庶幾一解其顔. 故雖爲布衣, 而致畵與公卿等. 선친이 최고로 좋아하던 문짝의 그림長安有故藏經龕, 唐明皇帝所建. 其門四達八板, 皆吳道子畵. 陽爲菩薩, 陰爲天王, 凡十有六軀. 廣明之亂, 爲賊所焚, 有僧忘其名, 於兵火中, 拔其四板以逃, 旣重不可負, 又迫於賊. 恐不能皆全. 遂竅其兩板以受荷, 西奔於岐, 而託死於烏牙之僧舍, 板留於是, ..
전표성의 임금께 올린 의론에 쓴 서문 전표성주의서(田表聖奏議序) 소식(蘇軾) 意深切, 文縝密, 事的當, 冠冕佩玉之文也. 옛날의 군자는 다스려진 세상과 현명한 군주를 위태롭게 여겼다 故諫議大夫贈司徒田公表聖, 奏議十篇. 嗚呼, 田公古之遺直也. 其盡言不諱, 蓋自敵以下, 受之有不能堪者, 而況於人主乎. 吾以是知二宗之聖也. 自太平興國以來, 至于咸平, 可謂天下大治, 千載一時矣, 而田公之言, 常若有不測之憂, 近在朝夕者, 何哉. 古之君子, 必憂治世而危明主, 明主有絶人之資, 而治世無可畏之防. 夫有絶人之資, 必輕其臣, 無可畏之防, 必易其民, 此君子之所甚懼者也. 치세임에도 명군임에도 간언을 한 가의 方漢文時, 刑措不用, 兵革不試, 而賈誼之言曰: “天下有可長太息者, 有可流涕者, 有可痛哭者.” 後世不以是少漢文, 亦不以是甚賈誼, ..
전당의 혜근 스님 시집에 쓴 서문 전당근상인시집서(錢塘勤上人詩集序) 소식(蘇軾) 解說. 스님 혜근과 구양수의 깊은 우정 西湖僧惠勤, 長於詩, 見知於歐陽公. 公嘗作「山中樂」三章, 贈之, 熙寧四年, 坡公, 通判杭州, 見公於汝陰之南, 公謂坡曰: “子求人於湖山間而不可得, 則往從勤乎.” 坡到官三日, 卽訪之. 明年, 歐公卒, 坡哭之於勤舍, 七年, 坡除知密州, 勤, 以其詩求序. 此序前一大截, 全不及勤, 末漸漸引上, 以勤之生死不忘公, 而知其能不負公, 以勤之不負公, 而媿士之負公者, 乃是先有末後一段意思, 而遂立前一段議論也. 若其詩則不甚言之, 則人之賢如此, 詩不言可知矣. 甚文而長於詩, 又見於「六一泉銘」云. 구양수의 소개로 알게 된 혜근, 그는 어진 불자였네 염량세태를 풍자한 적공은 속이 좁다 昔翟公罷廷尉, 賓客無一人至者, ..
전당의 혜근 스님 시집에 쓴 서문 전당근상인시집서(錢塘勤上人詩集序) 소식(蘇軾) 구양수의 소개로 알게 된 혜근, 그는 어진 불자였네 염량세태를 풍자한 적공은 속이 좁다 昔翟公罷廷尉, 賓客無一人至者, 其後復用, 賓客欲往. 翟公大書其門曰: “一死一生, 乃知交情, 一貧一富, 乃知交態, 一貴一賤, 交情乃見.” 世以爲口實. 然余嘗薄其爲人, 以爲客則陋矣, 而公之所以待客者, 獨不爲小哉. 구양수와 적공의 손님을 대하는 방식의 차이 故太子太師歐陽公好士, 爲天下第一. 士有一言中於道, 不遠千里而求之, 甚於士之求公. 以故盡致天下豪傑, 自庸衆人, 以顯於世者固多矣. 然士之負公者亦時有之. 蓋嘗慨然太息, 以人之難知, 爲好士者之戒. 意公之於士, 自是少倦, 而其退老於潁水之上, 余往見之, 則猶論士之賢者, 惟恐其不聞於世也, 至於負者, 則曰..
전당의 혜근 스님 시집에 쓴 서문 전당근상인시집서(錢塘勤上人詩集序) 소식(蘇軾) 解說. 스님 혜근과 구양수의 깊은 우정 西湖僧惠勤, 長於詩, 見知於歐陽公. 公嘗作「山中樂」三章, 贈之, 熙寧四年, 坡公, 通判杭州, 見公於汝陰之南, 公謂坡曰: “子求人於湖山間而不可得, 則往從勤乎.” 坡到官三日, 卽訪之. 明年, 歐公卒, 坡哭之於勤舍, 七年, 坡除知密州, 勤, 以其詩求序. 此序前一大截, 全不及勤, 末漸漸引上, 以勤之生死不忘公, 而知其能不負公, 以勤之不負公, 而媿士之負公者, 乃是先有末後一段意思, 而遂立前一段議論也. 若其詩則不甚言之, 則人之賢如此, 詩不言可知矣. 甚文而長於詩, 又見於「六一泉銘」云. 해석 西湖僧惠勤, 長於詩, 서호의 스님 혜근은 시에 장점이 있어 見知於歐陽公. 구양공에게 인정 받았다. 公嘗作「山中樂」..
추밀 위국공(魏國公) 한기(韓琦)께 올린 편지상추밀한태위서(上樞密韓太尉書) 소철(蘇轍) 迂齋云: “胸臆之談, 筆勢規模, 從司馬子長自序中來. 從歐陽公, 轉韓太尉身上, 可謂奇險. 子由時年十九歲, 或云老泉代作. ○ 按此篇, 雄健恢踈, 眞老泉之作. 子由, 文平正純熟, 不類此也. 其後, 馬存「子長游」一篇, 意實出於此, 但不用其文耳. 맹자나 사마천이 글 짓는 법을 배우지 않았음에도 글을 지을 수 있던 이유轍生好爲文, 思之至深, 以爲文者, 氣之所形. 然文不可以學而能, 氣可以養而致.’ 孟子曰: ‘我善養吾浩然之氣.’ 今觀其文章, 寬厚宏博, 充乎天地之間, 稱其氣之小大.太史公行天下, 周覽四海名山大川, 與燕趙間豪俊交遊, 故其文疏蕩, 頗有奇氣. 此二子者, 豈嘗執筆, 學爲如此之文哉. 其氣充乎其中而溢乎其貌, 動乎其言而見乎其文而不自..
약의 치료과정을 나라 다스림에 비유하다약계(藥戒) 장뢰(張耒) 議論濶大, 文意紆餘, 醫國者固所當知, 醫身者亦不可不知也. 1. 빠르게 고친 병과 느리게 고친 병 체기는 고쳤는데 몸은 허약해져 가네客有病痞, 積於其中者, 伏而不能下, 自外至者, 捍而不得納. 從醫而問之, 曰: “非下之不可.” 歸而飮其藥, 旣飮而暴下, 不終日而向之伏者散而無餘, 向之捍者柔而不支, 焦鬲導達, 呼吸開利, 快然若未始有疾者, 不數日, 痞復作, 投以故藥, 其快然也亦如初. 自是不逾月而痞五作五下, 每下輒愈, 然客之氣一語而三引, 體不勞而汗, 股不步而慄, 膚革無所耗於前, 而其中薾然, 莫知其所來. 嗟夫! 心痞非下不可已, 予從而下之, 術未爽也, 薾然獨何歟. 빠른 치료만큼이나 후유증은 크다聞楚之南, 有良醫焉, 往而問之, 醫曰: “子無歎是然者也. 凡子之術..
약의 치료과정을 나라 다스림에 비유하다약계(藥戒) 장뢰(張耒) 2. 폭정으로 빠르게 안정된 나라와 인의로 천천히 안정된 나라 가혹한 정치로 나라의 병페를 치료했기에 진나라는 망했다客謁醫, 再拜而謝之, 坐而問其故, 醫曰: “是醫國之說也, 豈特醫之於疾哉. 子獨不見夫秦之治乎. 民悍而不聽令, 惰而不勤事, 放而不畏法. 令之不聽, 治之不變, 則秦之民, 嘗痞矣. 商君見其痞也, 厲以刑法, 威以斬伐, 悍戾猛鷙, 不㒃毫髮, 痛剗而力鋤之, 於是乎秦之政, 如建瓴, 流蕩四達, 無敢或拒, 而秦之痞, 嘗一快矣. 自孝公, 以至二世也, 凡幾痞而幾快矣乎. 頑者已圮, 强者已柔, 而秦之民, 無歡心矣. 故猛政一快者, 懽心一亡. 積快而不已, 而秦之四支枵然, 徒有其物而已, 民心日離而君孤立於上. 故匹夫大呼, 不終日而百病皆起, 秦欲運其手足肩膂, 而..
약의 치료과정을 나라 다스림에 비유하다약계(藥戒) 장뢰(張耒) 1. 빠르게 고친 병과 느리게 고친 병 議論濶大, 文意紆餘, 醫國者固所當知, 醫身者亦不可不知也. 체기는 고쳤는데 몸은 허약해져 가네客有病痞, 積於其中者, 伏而不能下, 自外至者, 捍而不得納. 從醫而問之, 曰: “非下之不可.” 歸而飮其藥, 旣飮而暴下, 不終日而向之伏者散而無餘, 向之捍者柔而不支, 焦鬲導達, 呼吸開利, 快然若未始有疾者, 不數日, 痞復作, 投以故藥, 其快然也亦如初. 自是不逾月而痞五作五下, 每下輒愈, 然客之氣一語而三引, 體不勞而汗, 股不步而慄, 膚革無所耗於前, 而其中薾然, 莫知其所來. 嗟夫! 心痞非下不可已, 予從而下之, 術未爽也, 薾然獨何歟. 빠른 치료만큼이나 후유증은 크다聞楚之南, 有良醫焉, 往而問之, 醫曰: “子無歎是然者也. 凡子之術..
소장 진구(秦覯)를 전송하는 글송진소장서(送秦少章序) 장뢰(張耒) 秦覯(覿), 字少章, 兄觀, 字少游. ○ 迂齋云: “老於世故之後, 方有此等議論, 凡學者當知此理.” 1. 시듦의 영화로움 식물의 계절에 따른 변화『詩』不云乎. “蒹葭蒼蒼, 白露爲霜.” 夫物不受變則材不成, 人不涉難則智不明. 季秋之月, 天地始肅, 寒氣欲至, 方是時, 天地之間, 凡植物, 出於春夏雨露之餘, 華澤充溢, 支節美茂, 及繁霜夜零, 旦起而視之, 如戰敗之軍, 卷旗棄鼓, 裹瘡而馳, 吏士無人色, 豈特如是而已. 於是天地閉塞而成冬, 則摧敗拉毁之者過半, 其爲變亦酷矣. 실패 속에 담긴 성공의 의미然自是, 弱者堅, 虛者實, 津者燥, 皆斂其英華於腹心而各效其成, 深山之木, 上撓靑雲, 下庇千人者, 莫不病焉, 況所謂蒹葭者乎. 然匠石操斧, 以遊山林, 一擧而盡之, ..
소장 진구(秦覯)를 전송하는 글송진소장서(送秦少章序) 장뢰(張耒) 2. 환란이 그댈 성장시키려니 관리 일 하는 것 괘념치 마시게 남을 따르게 체질이 아님에도 가족을 위해 관리노릇을 해야 하다니吾黨有秦少章者, 自余爲大學官時, 以其文章示余, 愀然告我曰: “余家貧, 奉命大人而勉爲科擧之文也, 異時率其意, 爲詩章古文, 往往淸麗奇偉, 工於擧業百倍.” 元祐六年及第, 調臨安主薄, 擧子中第, 可少樂矣, 而秦子每見余, 輒不樂, 余問其故, 秦子曰: “余世之介士也. 性所不樂, 不能爲, 言所不合, 不能交, 飮食起居, 動靜百爲, 不能勉以隨人, 今一爲吏, 皆失己而惟物之應, 少自偃蹇, 悔禍響至. 異時一身資養於父母, 今則婦子仰食於我, 欲不爲吏, 又不可得. 自今以往, 如沐漆而求解矣.” 환란이 사람을 성장시킨다余解之曰: “子之前日, 春夏..
소장 진구(秦覯)를 전송하는 글송진소장서(送秦少章序) 장뢰(張耒) 1. 시듦의 영화로움 秦覯(覿), 字少章, 兄觀, 字少游. ○ 迂齋云: “老於世故之後, 方有此等議論, 凡學者當知此理.” 식물의 계절에 따른 변화『詩』不云乎. “蒹葭蒼蒼, 白露爲霜.” 夫物不受變則材不成, 人不涉難則智不明. 季秋之月, 天地始肅, 寒氣欲至, 方是時, 天地之間, 凡植物, 出於春夏雨露之餘, 華澤充溢, 支節美茂, 及繁霜夜零, 旦起而視之, 如戰敗之軍, 卷旗棄鼓, 裹瘡而馳, 吏士無人色, 豈特如是而已. 於是天地閉塞而成冬, 則摧敗拉毁之者過半, 其爲變亦酷矣. 실패 속에 담긴 성공의 의미然自是, 弱者堅, 虛者實, 津者燥, 皆斂其英華於腹心而各效其成, 深山之木, 上撓靑雲, 下庇千人者, 莫不病焉, 況所謂蒹葭者乎. 然匠石操斧, 以遊山林, 一擧而盡之, ..
오대사(五代史)의 「곽숭도전(郭崇韜傳)」 뒤에 쓰다서오대곽숭도전후(書五代郭崇韜傳後) 장뢰(張耒) 迂齋云: “說盡固位吝權者之情狀, 思深計工, 反成淺拙, 論極有理, 氣味深長.” ○ 郭崇韜, 後唐莊宗之相也. 재주 있는 사람이기보다 정도를 걷는 사람으로自古大臣, 權勢已隆極, 富貴已亢滿, 前無所希, 則退爲身慮, 自非大姦雄包異志, 與夫甚庸駑昏闟茸, 鮮有不然者. 其爲謀實難, 不憂思之不深, 計之不工. 然異日釁之所起, 往往自夫至深至工, 是故莫若以正. 夫正者, 操術簡而周, 智者爲緖多而拙. 夫正者無所事計也, 行所當然, 雖怨讐, 不敢議之, 況繼之者賢乎. 총명하고 지혜로운 곽숭도, 그 지혜로움 때문에 죽다郭崇韜於五代, 亦聰明權智之士也. 佐莊宗, 決策減梁, 遂一天下, 自見功高權重, 姦人議己, 而莊宗之昏, 爲不足賴也, 乃爲自安之計..
이추관【추관(推官): 예전에, 추국할 때 죄인을 신문하는 관원을 이르던 말】에게 답한 편지답이추관서(答李推官書) 장뢰(張耒) 迂齋云: “曲盡作文之妙.” 1. 기이한 문장을 짓는 족하께 글을 잘 짓는다고는 평가는 과합니다南來多事, 久廢讀書, 昨送簡人還, 忽辱惠及所作「病暑賦」及雜詩, 誦詠愛歎, 旣有以起竭涸之思, 而又喜世之學者, 比來稍稍追古人之文章, 述作體製, 往往已有所到也, 耒不才. 少時喜爲文辭, 與人遊, 又喜論文字, 謂之嗜好則可, 以爲能文則世自有人, 決不在我. 足下與耒, 平居飮食笑語, 忘去屑屑, 而忽持大軸, 細書題官位姓名, 如卑賤之見尊貴, 此何爲者? 豈妄以耒爲知文, 繆爲恭敬若請敎者乎. 欲持納而貪於愛玩, 勢不可得捨, 雖怛然不以自寧, 而旣辱勤厚, 不敢隱其所知於左右也. 족하의 문장은 기괴합니다足下之文, 可謂奇矣..
이추관에게 답한 편지 답이추관서(答李推官書) 장뢰(張耒) 2. 이치를 아는 것으로 지금의 기이함만을 쫓는 풍토를 극복하길 글을 잘 짓고 싶으면 이치를 아는 것으로부터 夫文何爲而設也? 不知理者, 不能言, 世之能言者多矣, 而文者獨傳, 豈獨傳哉? 因其能文也而言益工, 因其言工也而理益明. 是以聖人貴之. 自六經, 下至于諸子百氏, 騷人辯士論述, 大抵皆將以爲寓理之具也. 是故理勝者, 文不期工而工, 理媿者巧於粉澤而間隙百出. 此猶兩人, 持牒而訟, 直者操筆, 不待累累, 讀之如破竹, 橫斜反覆, 自中節目, 曲者雖使假辭於子貢, 問字於揚雄, 如列五味而不能調和, 食之於口, 無一可愜, 何況使人玩味之乎. 故學文之端, 急於明理. 夫不知爲文者, 無所復道, 如知文而不務理, 求文之工, 世未嘗有是也. 물의 흐름과 글 짓기의 공통점 夫決水於江河淮海..
이추관에게 답한 편지 답이추관서(答李推官書) 장뢰(張耒) 1. 기이한 문장을 짓는 족하께 迂齋云: “曲盡作文之妙.” 글을 잘 짓는다고는 평가는 과합니다 南來多事, 久廢讀書, 昨送簡人還, 忽辱惠及所作「病暑賦」及雜詩, 誦詠愛歎, 旣有以起竭涸之思, 而又喜世之學者, 比來稍稍追古人之文章, 述作體製, 往往已有所到也, 耒不才. 少時喜爲文辭, 與人遊, 又喜論文字, 謂之嗜好則可, 以爲能文則世自有人, 決不在我. 足下與耒, 平居飮食笑語, 忘去屑屑, 而忽持大軸, 細書題官位姓名, 如卑賤之見尊貴, 此何爲者? 豈妄以耒爲知文, 繆爲恭敬若請敎者乎. 欲持納而貪於愛玩, 勢不可得捨, 雖怛然不以自寧, 而旣辱勤厚, 不敢隱其所知於左右也. 족하의 문장은 기괴합니다 足下之文, 可謂奇矣. 損去文墨常體, 力爲瓌奇險怪, 務欲使人讀之, 如見數千歲前科斗鳥跡..
소유 진관(秦觀)에게 준 편지여진소유서(與秦少游書) 진사도(陳師道) 解說. 진사도의 청렴하며 굳센 기개가 묻어난 글 迂齋曰: “委曲而不失正, 嚴厲而不傷和, 深得不惡而嚴之道.” ○ 後山, 平生守道固窮, 卓然莫奪, 此書可見. 趙挺之聞其貧, 懷銀欲濟之, 聽其議論, 竟不敢出, 末焉, 不肯衣趙家衣, 寧忍凍以死. 進退取予之不苟如此, 巍乎高哉! 平生不輕見一人, 其肯見章子厚乎? 此書纔二百許字, 而有無限折轉, 不特文字之妙不可言, 其氣節, 亦可以廉頑立懦焉. 每一讀之, 不勝敬歎. 장돈 공의 초빙에 응할 수 없는 이유 辱書喩以章公, 降屈年德, 以禮見招, 不佞何以得此? 豈侯嘗欺之耶. 公卿不下士尙矣, 乃特見於今而親於其身, 幸孰大焉. 愚雖不足以齒士, 猶當從侯之後, 順下風而成公之名. 然先王之制, 士不傳贄爲臣, 則不見於王公. 夫相見所..
소유 진관(秦觀)에게 준 편지여진소유서(與秦少游書) 진사도(陳師道) 장돈 공의 초빙에 응할 수 없는 이유 辱書喩以章公, 降屈年德, 以禮見招, 不佞何以得此? 豈侯嘗欺之耶. 公卿不下士尙矣, 乃特見於今而親於其身, 幸孰大焉. 愚雖不足以齒士, 猶當從侯之後, 順下風而成公之名. 然先王之制, 士不傳贄爲臣, 則不見於王公. 夫相見所以成禮, 以其弊必至於自鬻. 故先王謹其始以爲之防, 而爲士者世守焉. 師道於公, 前有貴賤之嫌, 後無平生之舊, 公雖可見, 禮可去乎. 且公之見招, 公豈以能守區區之禮乎. 若冒昧法義, 聞命走門, 則失其所以見招, 公又何取焉. 雖然有一於此, 幸公之他日, 成功謝事, 幅巾東歸, 師道當御款段, 乘下澤, 候公於上東門外, 尙未晩也. 해석辱書喩以章公, 降屈年德, 보내주신 편지에 장돈(章惇)께서 나이와 덕을 낮추고 굽혀 以..
소유 진관(秦觀)에게 준 편지여진소유서(與秦少游書) 진사도(陳師道) 解說. 진사도의 청렴하며 굳센 기개가 묻어난 글 迂齋曰: “委曲而不失正, 嚴厲而不傷和, 深得不惡而嚴之道.” ○ 後山, 平生守道固窮, 卓然莫奪, 此書可見. 趙挺之聞其貧, 懷銀欲濟之, 聽其議論, 竟不敢出, 末焉, 不肯衣趙家衣, 寧忍凍以死. 進退取予之不苟如此, 巍乎高哉! 平生不輕見一人, 其肯見章子厚乎? 此書纔二百許字, 而有無限折轉, 不特文字之妙不可言, 其氣節, 亦可以廉頑立懦焉. 每一讀之, 不勝敬歎. 해석迂齋曰: “委曲而不失正, 우재가 말했다. “곡진하여 바름을 잃지 않았고 嚴厲而不傷和, 엄정하여 화합됨을 상하지 않았으니 深得不惡而嚴之道.”나쁜 말을 안 하고도 엄한 도를 깊이 얻었다.” ○ 後山, 平生守道固窮, 후산은 평생 도를 지킴이 곤궁함을..
수주 임희(林希)께 올린 글 상림수주서(上林秀州書) 진사도(陳師道) 迂齋云: “讀『儀禮』熟, 故其區別精, 非特議論好, 讀其文, 氣正辭嚴, 凜然有自重難進不可回撓之節. 此後山所以爲後山, 而曾子宣ㆍ章子厚諸公, 欲羅致而不可得也.” ○ 此篇, 當與答少游書, 參看, 此是後山所求見者也, 彼是欲後山來見而不肯見者也, 二人之賢否, 可知矣. 소개로 분별을 후하게 하고 말로 명칭을 바르게 한다 宗周之制, 士見于大夫卿公, 介以厚其別, 詞以正其名, 贄以效其情, 儀以致其敬, 四者備矣, 謂之禮成. 士之相見, 如女之從人, 有願見之心, 而無自行之義. 必有紹介爲之前焉, 所以別嫌而愼微也. 故曰: “介以厚其別.” 名以擧事, 詞以道名, 名者先王所以定民分也, 名正則詞不悖, 分定則民不犯. 故曰: “詞以正其名.” 폐백으로 정을 드리는 것과 의식으로..
어버이가 생각나는 정자라 이름 지은 이유사정기(思亭記) 진사도(陳師道) 迂齋曰: “節奏相生, 血脈相續, 無窮之意, 見於言外.” ○ 此篇, 可爲不肖子孫之戒, 有補世敎之文也 어버이가 절로 생각나는 정자甄故徐富家, 至甄君, 始以明經敎授, 鄕稱善人而家益貧, 更數十歲, 不克葬, 乞貸邑里, 葬其父母兄弟凡幾喪, 邑人憐之, 多助之者. 旣葬益樹以木, 作室其旁而問名於余, 余以謂: “目之所視而思從之. 視干戈則思鬪, 視刀鋸則思懼, 視廟社則思敬, 視第家則思安, 夫人存好惡喜懼之心, 物至而思, 固其理也. 今夫升高而望松梓, 下丘壟而行墟墓之間, 荊棘莽然, 狐兎之迹交道, 其有不思其親者乎. 請名之曰: ‘思亭.’ 정자를 지어 어버이를 잊지 않도록 하다親者人之所不忘也, 而君子愼之. 故爲墓於郊而封溝之, 爲廟於家而嘗禘之, 爲衰爲忌而悲哀之, 所以..
자장 사마천의 유람에 대해 써서 개방식에게 주다자장유 증개방식(子長遊 贈蓋邦式) 마존(馬存) 解說. 사마천의 장쾌한 유람을 담아내다 盡天下之大觀以助吾氣, 此一篇骨子. 意實自子由上韓太尉書來, 中間鋪叙司馬遷所嘗遊, 蓋本「太史公自序」也. 子才, 名存, 有集行于世, 嘗有書見東坡云. ○ 「太史公自序」曰: “遷生龍門, 耕牧河山之陽, 年十歲, 則通古文, 二十而南遊江淮, 上會稽, 探禹穴, 窺九疑, 浮沅湘, 北涉汶泗, 講業齊魯之都, 觀夫子遺風, 鄕射鄒嶧, 阨困鄱ㆍ薛ㆍ彭城, 過梁楚以歸. 於是, 遷仕爲郞中, 率使西征巴ㆍ蜀以南, 略邛ㆍ笮ㆍ昆明, 還報命. 是歲, 天子始建漢家之封, 而太史公留滯周南, 不得與從事. 子遷, 適返, 見父於河洛之間.” 1. 『사기』의 문장엔 일곱 가지의 특징이 있다 『사기』엔 사마천의 장쾌한 유람이 담겨..
자장 사마천의 유람에 대해 써서 개방식에게 주다자장유 증개방식(子長遊 贈蓋邦式) 마존(馬存) 2. 사마천처럼 유람한 후에 글을 지으라 사마천의 유람을 먼저 배우라凡天地之間萬物之變, 可驚可愕, 可以娛心, 使人憂, 使人悲者, 子長盡取而爲文章. 是以變化出沒, 如萬象, 供四時而無窮, 今於其書而觀之, 豈不信哉. 予謂欲學子長之爲文, 先學其遊可也. 不知學遊以采奇, 而欲操觚弄墨, 組綴腐熟者, 乃其常常耳. 유람한 후에 저술하라昔公孫氏善舞劒, 而學書者得之, 乃入於神, 庖丁氏善操刀, 而養生者得之, 乃極其妙, 事固有殊類而相感者, 其意同故也. 今天下之絶蹤詭觀, 何以異於昔. 子果能爲我遊者乎. 吾欲觀子矣. 醉把杯酒, 可以呑江南吳越之淸風, 拂劒長嘯, 可以吸燕趙秦隴之勁氣然後, 歸而治文著書, 子畏子長乎? 子長畏子乎? 不然斷編敗冊, 朝吟..
자장 사마천의 유람에 대해 써서 개방식에게 주다자장유 증개방식(子長遊 贈蓋邦式) 마존(馬存) 1. 『사기』의 문장엔 일곱 가지의 특징이 있다 『사기』엔 사마천의 장쾌한 유람이 담겨 있다予友蓋邦式, 嘗爲予言: “司馬子長之文章, 有奇偉氣, 切有志於斯文也, 子其爲說以贈我.” 予謂: “子長之文章, 不在書, 學者每以書求之, 則終身不知其奇. 予有『史記』一部, 在名山大川壯麗可怪之處, 將與子周遊而歷覽之, 庶幾乎可以知此文矣. 子長平生喜遊, 方少年自負之時, 足迹不肯一日休, 非直爲景物役也. 將以盡天下之大觀, 以助吾氣然後, 吐而爲書, 今於其書觀之, 則平生之所嘗遊者, 皆在焉. 남쪽을 유람하며 사마천 문장에 담긴 네 가지 특징南浮長淮, 泝大江, 見狂瀾驚波, 陰風怒號, 逆走而橫擊. 故其文奔放而浩漫. 望雲夢洞庭之陂, 彭蠡之瀦, 涵混..
자장 사마천의 유람에 대해 써서 개방식에게 주다자장유 증개방식(子長遊 贈蓋邦式) 마존(馬存) 解說. 사마천의 장쾌한 유람을 담아내다 盡天下之大觀以助吾氣, 此一篇骨子. 意實自子由上韓太尉書來, 中間鋪叙司馬遷所嘗遊, 蓋本「太史公自序」也. 子才, 名存, 有集行于世, 嘗有書見東坡云. ○ 「太史公自序」曰: “遷生龍門, 耕牧河山之陽, 年十歲, 則通古文, 二十而南遊江淮, 上會稽, 探禹穴, 窺九疑, 浮沅湘, 北涉汶泗, 講業齊魯之都, 觀夫子遺風, 鄕射鄒嶧, 阨困鄱ㆍ薛ㆍ彭城, 過梁楚以歸. 於是, 遷仕爲郞中, 率使西征巴ㆍ蜀以南, 略邛ㆍ笮ㆍ昆明, 還報命. 是歲, 天子始建漢家之封, 而太史公留滯周南, 不得與從事. 子遷, 適返, 見父於河洛之間.” 해석盡天下之大觀以助吾氣, 此一篇骨子. ‘대체로 천하의 위대한 봄을 다하여 나의 기운을 ..
시랑 석익(席益)에게 올린 글상석시랑서(上席侍郞書) 당경(唐庚) 解說. 하률의 말이 조정에 받아들여졌더라면 迂齋云: “古人, 未嘗鑿事以爲功. 故有功不爲誇, 無功不爲慊, 若恥於無功, 則不安於無事矣. 發明甚佳, 此是規諷宣政間紛紜制作之病. 何丞相, 何㮚也, 此言用, 倘可以救後來之禍乎. 未幾, 蔡京ㆍ王黼之徒, 開邊求功, 而靖康之禍, 不忍言矣, 何文緽, 則丁其變者也. 席侍郞, 當是席益, 字大光.” 1. 때가 그러하였기에 부득이하게 공을 이룬 성현들 공직에 나가시니 제 말을 채택하소서某備員學校, 三載于此. 在輩流中, 年齒最爲老大, 詞氣學術, 最爲淺陋, 敎養訓導之方, 最爲疏拙, 所以未卽遂去, 正賴主人以爲重. 今閤下還朝, 曉夕大用, 爲執政, 爲宰相, 爲公, 爲師, 此誠門下小子之所願聞. 然孤宦小官, 遽奪所依, 此其胸中,..
시랑 석익(席益)에게 올린 글 상석시랑서(上席侍郞書) 당경(唐庚) 2. 보좌하는 신하의 공이 없음이 공이 되는 까닭 보좌한 이들의 공이 없는 공 伊陟ㆍ臣扈ㆍ巫咸, 相大戊, 無它奇功, 以格上帝乂王家爲功, 巫賢ㆍ甘盤ㆍ傅說, 相祖乙, 相武丁, 不聞有功, 以保乂有商爲功, 君陳相成王, 畢公相康王, 不自立功, 以循周公之業爲功. 後世知有功之爲功, 而不知無功之爲功, 其去道已遠, 至謂聖賢有心於功名, 其探聖賢, 亦淺矣. 태평성대의 이 시기에 관리로서 해야 할 일 天下承平日久, 綱紀文章, 纖悉備具, 無有毫髮未盡未便, 一部『周禮』, 擧行略遍, 但不姓姬耳. 竊謂今日, 正當持循法度, 不宜復有增廣建置, 歌呼於吏舍者勿問, 醉吐於車茵者勿逐, 客至欲有所開說者, 飮以醇酒, 勿聽, 擇士唯取通大體知古誼者, 用之, 雖不立功, 功在其中矣. 某之..
시랑 석익(席益)에게 올린 글상석시랑서(上席侍郞書) 당경(唐庚) 1. 때가 그러하였기에 부득이하게 공을 이룬 성현들 공직에 나가시니 제 말을 채택하소서某備員學校, 三載于此. 在輩流中, 年齒最爲老大, 詞氣學術, 最爲淺陋, 敎養訓導之方, 最爲疏拙, 所以未卽遂去, 正賴主人以爲重. 今閤下還朝, 曉夕大用, 爲執政, 爲宰相, 爲公, 爲師, 此誠門下小子之所願聞. 然孤宦小官, 遽奪所依, 此其胸中, 不能無介然者. 日夜思慮, 求所以補報萬一, 而書生門戶, 無有它技. 因效其所得於古人者, 惟閤下裁擇. 옛 성현은 부득이해서 공을 이룬 것입니다某初讀書時, 未習時事. 意謂: ‘古之聖賢, 例須建立功名.’ 其後涉世益深, 更事益多, 攷論前代經史, 益見首尾, 乃知古人之心, 本不如此. 舟遇險則有功, 燭遇夜則有功, 藥遇病則有功, 桔橰遇旱則有功..
시랑 석익(席益)에게 올린 글상석시랑서(上席侍郞書) 당경(唐庚) 解說. 하률의 말이 조정에 받아들여졌더라면 迂齋云: “古人, 未嘗鑿事以爲功. 故有功不爲誇, 無功不爲慊, 若恥於無功, 則不安於無事矣. 發明甚佳, 此是規諷宣政間紛紜制作之病. 何丞相, 何㮚也, 此言用, 倘可以救後來之禍乎. 未幾, 蔡京ㆍ王黼之徒, 開邊求功, 而靖康之禍, 不忍言矣, 何文緽, 則丁其變者也. 席侍郞, 當是席益, 字大光.” 해석迂齋云: “古人, 未嘗鑿事以爲功. 우재가 말했다. “옛 사람은 일찍이 일에 천착함으로 공을 삼지 않았다. 故有功不爲誇, 無功不爲慊, 그러므로 공이 있어도 자랑하지 않았고 공이 없어도 한스럽게 여기지 않았으니 若恥於無功, 則不安於無事矣. 만약 공이 없음을 부끄러워 했다면 일이 없음에 편하게 여기지 않았으리라. 發明甚佳..
「낙양명원기」의 뒤에 쓰다서낙양명원기후(書洛陽名園記後) 이격비(李格非) 迂齋曰: “苑囿何關於世道輕重? 所以然者, 興廢可以占盛衰, 盛衰可以占治亂 盛衰, 不過洛陽而治亂, 關於天下. 斯文之作, 爲洛陽, 非爲苑囿; 爲天下, 非爲洛陽也. 文字不過二百字, 而其中, 該括無限盛衰之變, 意有含蓄, 事存鑑戒, 讀之, 令人感歎.” 洛陽處天下之中, 挾殽黽之阻, 當秦ㆍ隴之襟喉, 而趙ㆍ魏走集, 蓋四方必爭之地也. 天下當無事則已, 有事則洛陽, 必先受兵. 余故嘗曰: “洛陽之盛衰者, 天下治亂之候也. 方唐貞觀開元之間, 公卿貴戚, 開館列第於東都者, 號千有餘邸, 及其亂離, 繼以五季之酷, 其池塘竹樹, 兵車蹂蹴, 廢而爲丘墟, 高亭大榭, 煙火焚燎, 化而爲灰燼, 與唐共滅而俱亡, 無餘處矣. 余故嘗曰: “園囿之興廢, 洛陽盛衰之候也.” 且天下之治亂, 候..
태극에서 만물이 생성되는 그림을 해설하며태극도설(太極圖說) 주돈이(周敦頤) 解說 1. 이기(二氣)와 오행(五行) 太極者, 其本體也, 陽動者, 太極之用; 陰靜者, 太極之體, 陽變而陰合. 水金, 陰也, 居右; 火木, 陽也, 居左. 土冲氣, 故居中. 陰根陽, 陽根陰, 二五合, 萬物生. 태극은 무극이다 無極而太極, 太極動而生陽, 動極而靜, 靜而生陰, 靜極復動. 一動一靜, 互爲其根, 分陰分陽, 兩儀立焉, 陽變陰合, 而生水火木金土, 五氣順布, 四時行焉. 五行一陰陽也, 陰陽一太極也, 太極, 本無極也. 五行之生也, 各一其性, 無極之眞, 二五之精, 妙合而凝, 乾道成男, 坤道成女, 二氣交感, 化生萬物, 萬物生生而變化無窮焉. 惟人也得其秀而最靈, 形旣生矣, 神發知矣. 五性感動, 而善惡分, 萬事出矣. 聖人定之以中正仁義而主靜, ..
태극에서 만물이 생성되는 그림을 해설하며태극도설(太極圖說) 주돈이(周敦頤) 解說 2. 시대순으로 작가를 배치한 이유 千古道統, 自堯舜傳至孔ㆍ孟, 孟之歿, 其傳遂絶. 漢之董子, 唐之韓子, 雖能著衛道之功於一時, 而無以任傳道之責於萬世, 傳千載之絶學者, 周子也. 由周而程張, 由程張, 又數傳而朱子, 道學淵源, 上泝洙泗, 盛矣哉! 此篇, 周子所自著道學之精語也, 不特道理淵永, 文亦簡重正大, 粹然聖經賢訓之文焉. 今選古文而終之以「太極」ㆍ「西銘」二篇, 豈無意者? 盖文章道理, 實非二致, 欲學者由韓ㆍ柳ㆍ歐ㆍ蘇詞章之文, 進而粹之以周ㆍ程ㆍ張ㆍ朱理學之文也. 以道理, 深其淵源; 以詞章, 壯其氣骨, 文於是乎無弊矣, 此愚詮次之深意也. 朱子於「太極」ㆍ「西銘」, 注釋精詳, 今不暇盡錄, 學者欲觀其詳, 宜自於朱子之書求之云. 新安陳櫟, 謹書. ..
태극도설(太極圖說) 주돈이(周敦頤) 태극은 무극이다 無極而太極, 太極動而生陽, 動極而靜, 靜而生陰, 靜極復動. 一動一靜, 互爲其根, 分陰分陽, 兩儀立焉, 陽變陰合, 而生水火木金土, 五氣順布, 四時行焉. 五行一陰陽也, 陰陽一太極也, 太極, 本無極也. 五行之生也, 各一其性, 無極之眞, 二五之精, 妙合而凝, 乾道成男, 坤道成女, 二氣交感, 化生萬物, 萬物生生而變化無窮焉. 惟人也得其秀而最靈, 形旣生矣, 神發知矣. 五性感動, 而善惡分, 萬事出矣. 聖人定之以中正仁義而主靜, 立人極焉, 故聖人與天地合其德, 日月合其明, 四時合其序, 鬼神合其吉凶, 君子修之吉, 小人悖之凶. 故曰: “立天之道曰, 陰與陽, 立地之道曰, 柔與剛, 立人之道曰, 仁與義.” 又曰: “原始反終. 故知死生之說.” 大哉. 『易』也! 斯其至矣. 해석無極而太..
태극에서 만물이 생성되는 그림을 해설하며태극도설(太極圖說) 주돈이(周敦頤) 解說 1. 이기(二氣)와 오행(五行) 太極者, 其本體也, 陽動者, 太極之用; 陰靜者, 太極之體, 陽變而陰合. 水金, 陰也, 居右; 火木, 陽也, 居左. 土冲氣, 故居中. 陰根陽, 陽根陰, 二五合, 萬物生. 해석太極者, 其本體也, 태극이란 본체로 陽動者, 太極之用; 양(陽)의 동함은 태극의 용(用)이고 陰靜者, 太極之體, 음(陰)의 고요함은 태극의 체(體)이니 陽變而陰合. 양(陽)이 변하고 음(陰)은 합한다. 水金, 陰也, 居右; 물과 쇠는 음(陰)이니 오른쪽에 거하고 火木, 陽也, 居左. 불과 나무는 양(陽)이니 왼쪽에 거하며 土冲氣, 故居中. 흙은 중화이기 때문에 가운데 거한다. 陰根陽, 陽根陰, 음(陰)은 양(陽)에 근본하고 ..
장횡거가 학당의 서쪽 창문에 새긴 글서명(西銘) 장재(張載) 乾稱父, 坤稱母, 予玆藐焉, 乃混然中處. 故天地之塞, 吾其體, 天地之帥, 吾其性, 民吾同胞, 物吾與也. 大君者吾父母宗子, 其大臣宗子之家相也. 尊高年所以長其長, 慈孤弱所以幼吾幼, 聖其合德, 賢其秀者也, 凡天下疲癃殘疾惸獨鰥寡, 皆吾兄弟之顚連而無告者也. 于時保之, 子之翼也, 樂且不憂, 純乎孝者也. 違曰悖德, 害仁曰賊, 濟惡者不才, 其踐形惟肖者也. 知化則善述其事, 窮神則善繼其志. 不愧屋漏爲無忝, 存心養性, 爲匪懈. 惡旨酒, 崇伯子之顧養, 育英才, 穎封人之錫類. 不弛勞而底豫, 舜其功也, 無所逃而待烹, 申生其恭也. 體其受而歸全者, 參乎, 勇於從而順令者, 伯奇也. 富貴福澤, 將以厚吾之生也, 貧賤憂戚, 庸玉汝於成也, 存吾順事, 沒吾寧也. 해석乾稱父, 坤稱母,..
농담과 농지거리, 잘못된 말과 잘못된 행동에 대해동명(東銘) 장재(張載) 戱言出於思也, 戱動作於謀也. 發於聲, 見乎四肢, 謂非己心, 不明也, 欲人無己疑, 不能也; 過言非心也, 過動非誠也. 失於聲, 繆迷其四體, 謂己當然, 自誣也, 欲他人己從, 誣人也. 或者謂出於心者, 歸咎爲己戱, 失於思者, 自誣爲己誠, 不知戒其出汝者, 反歸咎其不出汝者, 長傲且遂非, 不知孰甚焉. 해석戱言出於思也, 戱動作於謀也. 농담은 생각에서 나오고 장난스런 행동은 꾀에서 나온다. 發於聲, 見乎四肢, 소리에서 나오고 사지로 나타나는데 謂非己心, 不明也, ‘내 마음이 아니다’라고 말한다면 현명하지 못한 것이고 欲人無己疑, 不能也; 남이 자기를 의심하지 말길 원한다면 할 수 없는 것이다. 過言非心也, 過動非誠也. 잘못된 말은 진심이 아니고 잘못..
극기복례(克己復禮)에 대한 새겨놓은 문장 극기명(克己銘) 여대림(呂大臨) 勝己之私之謂克, 蓋謂克去己私, 復還天理也. 篇中, 多用將帥卒徒寇讐臣僕等字, 分八節, 每四句, 一換韻. 凡厥有生, 均氣同體, 胡爲不仁. 我則有己. 物我旣立, 私爲町畦, 勝心橫發, 擾擾不齊. 大人存誠, 心見帝則, 初無吝驕, 作我蟊賊. 志以爲帥, 氣爲卒徒. 奉辭于天, 誰敢侮矛. 且戰且徠, 勝私窒慾, 昔爲寇讐, 今則臣僕. 方其未克, 窘吾室廬, 婦姑勃磎, 安取厥餘. 亦旣克之, 皇皇四達, 洞然八荒, 皆在我闥. 孰曰, 天下不歸吾仁. 癢痾疾痛, 擧切吾身, 一日至焉, 莫非吾事, 顔何人哉, 希之則是. 해석 勝己之私之謂克, 자기의 사욕(私慾)을 이기는 것을 ‘극(克)’이라고 하니 蓋謂克去己私, 復還天理也. 대체로 자기의 사욕을 이겨 제거하여 다시 천리..
헛된 부귀욕을 버리고 내 멋대로 살리화귀거래사(和歸去來辭) 이인로(李仁老) 歸去來兮! 陶潛昔歸吾亦歸. 得隍鹿而何喜, 失塞馬而奚悲? 蛾赴燭而不悟, 駒過隙而莫追. 纔握手而相誓, 未轉頭而皆非. 摘殘菊以爲飡, 緝破荷而爲衣. 旣得反於何有, 誰復動於玄微? 蝸舍雖窄, 蟻陣爭奔. 蛛絲網扇, 雀羅設門. 臧穀俱亡, 荆凡孰存? 以神爲馬, 破瓠爲樽. 身將老於菟裘, 樂不减於商顔. 遊於物而無忤, 在所寓以皆安. 鱗固潛於尺澤, 翅豈折於天關. 肯逐情而外獲, 方收視以內觀. 途皆觸而無礙, 興苟盡則方還. 鵬萬里而奚適, 鷦一枝而尙寬. 信解牛之悟惠, 知斲輪之對桓, 歸去來兮, 問老聃之所遊. 用必期於無用, 求不過於無求. 化蝶翅而猶悅, 續鳧足則可憂. 閱虛白於幽室, 種靈丹於良疇. 幻知捕影, 癡謝刻舟. 保不材於櫟社, 安深穴於神丘. 功名須待命, 遲暯宜歸..
천자가 오랑캐를 다스리지 않는 이유 왕자불치이적론(王者不治夷狄論) 소식(蘇軾) 嘉祐六年, 命翰林吳奎等, 就秘閣, 考試制科, 奎等, 上王介ㆍ蘇軾ㆍ轍論各六首, 此篇, 其一也. ○ 東萊云: “統體好. 前面閑說長, 後正說甚短, 讀之, 全不覺長短. 盖後面一句, 轉一句故也.” 선왕은 오랑캐를 다스리지 않음으로 다스렸다 論曰: “夷狄不可以中國之治, 治也, 譬若禽獸然, 求其大治, 必至於大亂. 先王知其然, 是故以不治治之, 治之以不治者, 乃所以深治之也. 『春秋』書公會戎于潛, 何休曰: ‘王者不治夷狄, 錄戎, 來者不拒, 去者不追也.’ 춘추에서 쓰는 방법의 차이 夫天下之至嚴而用法之至詳者, 莫過於『春秋』, 凡『春秋』之書公書侯書字書名, 其君得爲諸侯, 其臣得爲大夫者, 擧皆齊晉也, 不然則齊晉之與國也; 其書州書國書氏書人, 其君不得爲諸侯..
농사 짓는 것을 말해 동년에 급제한 장호를 전송하다가설 송동년장호(稼說 送同年張琥) 소식(蘇軾) 迂齋云: “觀公此說, 豈以一世盛名自居者. 其朋友兄弟之相切磋如此, 所以名益盛而學益進也. 부잣집의 농사와 가난한 우리 집 농사의 차이蓋嘗觀於富人之稼乎. 其田美而多, 其食足而有餘, 其田美而多, 則可以更休而地力得完, 其食足而有餘, 則種之常不後時, 而斂之常及其熟.. 故富人之稼常美, 少秕而多實, 久藏而不腐. 今吾十口之家而共百畝之田, 寸寸而取之, 日夜而望之, 鋤耰銍刈, 相尋於其上者如魚鱗, 而地力竭矣, 種之常不及時, 而斂之常不待其熟, 此豈能復有美稼哉. 옛 사람이 지금 군자보다 나은 이유古之人, 其才非有大過今之人也. 其平居, 所以自養而不敢輕用, 以待其成者, 閔閔焉如嬰兒之望長也, 弱者養之, 以至於剛; 虛者養之, 以至於充, 三十..
사람이란 정의를 캐다원인(原人) 한유(韓愈) 論人者, 夷狄禽獸之主, 聖人一視而同仁. 形於上者, 謂之天, 形於下者, 謂之地, 命於其兩間者, 謂之人, 形於上, 日月星辰, 皆天也; 形於下, 草木山川, 皆地也, 命於其兩間, 夷狄禽獸皆人也. 曰: “然則吾謂禽獸曰人, 可乎?” 曰: “非也. 指山而問焉曰山乎 曰山可也, 山有草木禽獸皆擧之矣, 指山之一草而問焉曰山乎, 曰山則不可.” 故天道亂而日月星辰, 不得其行, 地道亂而草木山川, 不得其平, 人道亂而夷狄禽獸, 不得其情, 天者日月星辰之主也, 地者草木山川之主也, 人者夷狄禽獸之主也, 主而暴之, 不得其爲主之道矣. 是故聖人一視而同仁, 篤近而擧遠. ▲ 주세페 아르침볼도(Giuseppe Arcimboldo)의 [채소기르는 사람(The Vegetable Gardener)] 해석論人者, 夷..
위대한 당나라가 중흥됨을 기리며대당중흥송(大唐中興頌) 원결(元結) 안록산의 난이 평정되고 태평성대를 되찾은 당태종께 바칩니다 天寶十四年, 安祿山陷落陽, 明年陷長安, 天子幸蜀, 太子卽位於靈武. 明年皇帝移軍鳳翔, 其年復兩京, 上皇還京師. 於戱, 前代帝王, 有盛德大業者, 必見於歌頌, 若今歌頌大業, 刻之金石, 非老於文學, 其誰宜爲. 頌曰: “噫嘻前朝, 孼臣姦驕, 爲昏爲妖. 邊將騁兵, 毒亂國經, 郡生失寧. 大駕南巡, 百僚身, 奉賊稱臣. 天將昌唐, 繄睨我皇, 匹馬北方. 獨立一呼, 千麾萬旟, 戎卒前驅. 我師其東, 儲皇撫戎, 蕩攘郡凶. 復復指期, 曾不踰時, 有國無之. 事有至難, 宗廟再安, 二聖重歡. 地闢天開, 蠲除妖災, 瑞慶大來. 凶徒逆儔, 涵濡天休, 死生堪羞. 功勞位尊, 忠烈名存, 澤流子孫. 盛德之興, 山高日昇, ..
위대한 당나라가 중흥됨을 기리며대당중흥송(大唐中興頌) 원결(元結) 解說. 칭송하기 위해 쓴 마애비를 비판의 대상으로 바꾼 범성대 安祿山反, 明皇幸蜀. 肅宗時爲太子 自卽位於靈武, 命郭子儀ㆍ李光弼, 復兩京, 迎明皇還京師, 唐業中興. 元結, 遂於湖南永州祁陽縣南之浯溪石崖上, 刻此頌, 顔魯公眞卿書之, 後人, 因名磨崖碑, 詩人文士, 論此事者多矣. 黃山谷之「題磨崖碑」, 楊誠齋之「浯溪賦」, 皆是也而范石湖一詩, 尤明言之焉. 謂: “頌者, 美盛德之形容, 次山, 乃以魯史筆法, 婉辭含譏, 後之詞人, 又從而發明之, 則是碑, 乃一罪案耳.” 其詩曰: “三頌遺音和者希, 丰容寧有刺譏辭. 可憐元子春秋筆, 却寓唐家淸廟詩. 歌詠但諧琴搏拊, 策書自管璧瑕疵. 紛紛健筆剛題破, 從此磨崖不是碑.” 讀者所當知也, 故倂錄焉. 해석安祿山反, 明皇幸蜀. ..
당태종에게 전하는 성군이 되는 방법대보잠(大寶箴) 장온고(張蘊古) 解說. 당태종을 경계하기 위한 글 한 편 聖人之大寶曰位, 此篇, 專箴人主以守位之難. 盖自唐太宗初卽位時, 張蘊古直中書省, 乃上「大寶箴」, 其辭委曲, 可是鑑戒. 1. 임금의 쉽지 않은 역할과 너무 극단적인 즐거움은 누리지 마소서 임금의 쉽지 않은 역할에 대해今來古往, 俯察仰觀, 惟辟作福, 爲君實難. 主普天之下, 處王公之上, 任土貢其所求, 具寮陳其所唱. 是故恐懼之心, 日弛, 邪僻之情, 轉放, 豈知事起乎所忽, 禍生乎無妄. 固以聖人受命, 拯溺亨屯, 歸罪於己, 因心於民, 大明無私照, 至公無私親. 故以一人治天下, 不以天下奉一人. 禮以禁其奢, 樂以防其佚, 左言而右事, 出警而入蹕, 四時調其慘舒, 三光同其得失. 故身爲之度, 而聲爲之律. 임금이 하지 말아야 ..
당태종에게 전하는 성군이 되는 방법대보잠(大寶箴) 장온고(張蘊古) 2. 조화로움을 체득하고 태평성대를 이루어주소서 조화로움을 체득하소서『詩』之不識不知, 『書』之無偏無黨, 一彼此於胸臆, 損好惡於心想, 衆棄而後加刑, 衆悅而後行賞, 弱其强而治其亂, 伸其屈而直其枉. 故曰: “如衡如石, 不定物以限, 物之懸者, 輕重自見; 如水如鏡, 不示物以情, 物之鑑者, 姸媸自生.” 勿渾渾而濁, 勿皎皎而淸, 勿汶汶而闇, 勿察察而明. 雖冕旒蔽目, 而視於未形; 雖黈纊塞耳, 而聽於無聲. 縱心乎湛然之域, 遊神於至道之精, 扣之者應洪纖而效響, 酌之者隨淺深而皆盈. 故曰: “天之經, 地之寧, 王之貞.” 四時不言而代序, 萬物無言而化成, 豈知帝力而天下和平. 모범을 보여 주소서吾王撥亂, 戡以智力, 民懼其威, 未懷其德, 我皇撫運, 扇以淳風, 民懷其始,..
당태종에게 전하는 성군이 되는 방법대보잠(大寶箴) 장온고(張蘊古) 解說. 당태종을 경계하기 위한 글 한 편 聖人之大寶曰位, 此篇, 專箴人主以守位之難. 盖自唐太宗初卽位時, 張蘊古直中書省, 乃上「大寶箴」, 其辭委曲, 可是鑑戒. 해석聖人之大寶曰位, 성인의 큰 보물을 ‘위(位)’라 한다. 此篇, 專箴人主以守位之難. 이 글은 온전히 임금이 지위를 지키기 어려운 것을 경계했다. 盖自唐太宗初卽位時, 대체로 당태종이 처음 즉위할 때로부터 張蘊古直中書省, 乃上「大寶箴」, 장온고가 중서성에 숙직하며 곧 「대보잠」을 올렸으니, 其辭委曲, 可是鑑戒.그 말이 자세하여 경계로 삼을 만했다. 인용목차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