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어휘놀이터/어휘사전 (1141)
건빵이랑 놀자
인부 이(人部 二) 美婦人 賢婦人 老 미부인(美婦人) 方言曰: 秦晉之間 美貌謂之娥 美狀爲窕 美色爲豔 美心爲窈 毛詩曰: 窈窕淑女 君子好逑 又曰: 碩人其頎 衣錦褧衣 手如柔荑 膚如凝脂 領如蝤蠐 齒如瓠犀 螓首娥眉 又曰: 有美一人 婉如淸陽 左傳曰: 宋華父督見孔父之妻于路 曰: 美而豔 又曰: 昔有仍氏生女 黰黑而甚美 光可鑒 名曰玄妻 禮含文嘉 曰: 禹卑宮室 垂意溝洫 則玉女敬養 穆天子傳曰: 赤烏之人甚好 獻二女于天子 以爲嬖人 赤烏 美人之地 韓子曰: 魏王遺楚王美女 王甚悅之 莊子曰: 毛嬙驪姬 人之所美也 魚見之深潛 鳥見之高飛 尹文子曰: 齊有黃公者 二女皆國色 以其美也 常謙辭毁之爲醜惡 醜惡之名遠布 而一國之人無敢娉者 愼子曰: 毛嬙西施 天下之至姣胡茅反 也 衣以皮褐倛 欺旣反 則見者走 易以玄裼 則行者皆止 楚辭曰: 姱容脩態緪洞房 娥眉曼綠目騰..
현부인(賢婦人) 毛詩曰: 柏舟 共姜自誓也 衛世子共伯蚤死 其妻守義 父母欲奪而嫁之 誓而弗許 故作是詩 以絶之也 列女傳曰: 楚昭貞姜 齊侯之女 楚昭王之夫人也 昭王出遊 留夫人漸臺之上而去 王聞江水大至 使使者迎夫人 忘持符 使者至 請夫人出 夫人曰: 大王與宮人約 命曰: 召宮○列女傳四 太平御覽四百四十一 宮下有人字 必以符 今使者不持符 妾不敢從使者而行 妾聞之 貞女之義不犯約 勇者不畏死 守節而已 妾知從使者必生 留必死也 然妾不敢棄約 越義而求生 大水至而死 乃號曰貞姜 又曰: 楚白貞姬者 楚白勝之妻也 白公早死 其妻紡績不嫁 吳王聞其美 使大夫操金百鎰 白璧一雙 以聘焉 因以輜軿三十乘迎之 將以爲夫人 夫人辭曰: 白公無恙時 妾幸得充後宮 執箕帚 今白公不幸而死 妾願守其墳墓 以終天年 今王賜金璧之聘 夫人之位 非愚妾之所聞也 吳王賢其守節而有義 號曰楚貞姬 又曰: ..
노(老) 說文曰: 老 考也 七十曰耆 八十曰■■ 九十曰● 釋名曰: 九十曰鮐背 或曰黃耈 或曰凍梨 或曰鯢齒 或曰眉壽 易曰: 枯楊生荑 老夫得其女妻 尙書曰: 五福 一曰壽 禮記曰: 百年曰期頤 又曰: 凡養老 有虞氏以燕禮 夏后氏以饗禮 殷人以食禮 周人脩而兼用之 又曰: 六十養於國 七十養於學 八十拜君命 一坐再至 又曰: 五十始衰 六十非肉不飽 七十非帛不煖 又曰: 五十杖於家 六十杖於鄕 七十杖於國 八十杖於朝 毛詩曰: 執子之手 與子偕老 又曰: 酌以大斗 以祈黃耈 黃耈鮐背 以引以翼 左傳曰: 燭之武對鄭伯曰: 臣之壯也 猶不如人 今老矣 無能爲 事具遊說篇 又曰: 晉悼大夫○太平御覽三百八十三作夫人 食輿人 絳縣人或年長矣 使問之年 曰: 臣小人也 不知紀年 臣生之歲 正月甲子朔 四百有四十五甲子矣 其年○御覽作季 於今三之一也 使問諸師曠 曰: 七十三矣 論語讖曰..
인부 삼(人部 三) 言語 謳謠 吟 嘯 笑 언어(言語) 釋名曰: 言 宣也 宣彼此之意也 語 敘也 敘己所欲說述也 說文曰: 直言曰言 論議曰語 易曰: 君子出其言善 則千里之外應之 出其言不善 則千里之外違之 又曰: 言行君子之樞機 毛詩曰: 哿矣能言 巧言如流 又曰: 無易由言 又曰: 斯言之玷 不可爲也 又曰: 于時言言 于時語語 左傳曰: 晉叔向適鄭 鬷篾惡 從收器者立於堂下 一言而善 叔向聞之曰: 必鬷明也 又曰: 鄭子大叔卒 趙簡子爲之臨 甚哀 曰: 黃父之會 夫子語我九言 曰: 無始亂 無怙富 無恃寵 無違同 無傲禮 無驕能 無復怒 無謀非德 無犯非義 禮記曰: 事君 大言入則望大利 小言入則望小利 故君子不以小言受大祿 不以大言受小祿 又曰: 王言如絲 其出如綸 王言如綸 其出如綍 又曰: 言不危行 行不危言 又曰: 五方之人 言語不通 大戴禮曰: 黃帝弱而能言 事..
구요(謳謠) 爾雅曰: 徒歌謂之謠 毛詩曰: 心之憂矣 我歌且謠 左傳曰: 宋城 華元爲植 巡功 城者謳曰: 睅其目 皤其腹 棄甲而復 于思于思 棄甲復來 家語曰: 孔子相魯 齊人歸女樂 魯君淫荒 孔子遂行 師乙○太平御覽四百六十五作已 送孔子曰: 吾欲歌 可乎 歌曰: 彼婦人之口 可以出走 彼婦人之謁可以死敗 優哉游哉 聊以卒歲 列子曰: 堯微服遊康衢 童兒謠曰: 立我蒸民 莫匪爾極 不識不知 順帝之則 事具雜文部詩篇 韓子曰: 齊桓公飮酒醉 遺其冠 恥之 管仲曰: 公不雪之以政 公曰: 善 因發倉 賜貧窮 三日而民歌之曰: 公胡不復遺其冠乎 呂氏春秋曰: 魏襄王使史起爲鄴令 引漳水灌田 民大得利 相與歌曰: 鄴有聖令爲史公 決漳水 灌鄴旁 終古斥鹵生稻粱 史記曰: 曹參爲漢相國 百姓歌之曰: 蕭何爲法 講若畫一 曹參代之 守而勿失 載其淸靜 民以寧一 又曰: 衛子夫爲皇后 弟靑貴震..
음(吟) 說文曰: 吟 歎也 釋名曰: 吟 嚴也 其聲本出於憂愁 故聲嚴肅 使聽之悽歎也 毛詩序曰: 吟詠情性 以風其上 鹽鐵論曰: 曾子傍山而吟 山鳥下翔 東觀漢記曰: 梁鴻常●戶吟詠書記 魏志曰: 管輅隨軍西行 過毌丘儉墓下 倚松樹哀吟 精神不樂 人問其故 輅曰: 林木雖茂 無形可久 碑誄雖美 無後可守 陳武別傳曰: 陳武 字國本 休屠胡人 常騎驢牧羊 諸家牧豎十數人 或有知歌謠者 武遂學太山梁父吟 幽州馬客吟及行路難之屬 文士傳曰: 李康 淸廉有志節 不能和俗 爲鄕里豪右所共害 故宦塗不進 作遊山九吟 蜀志諸葛亮梁父吟曰: 步出齊城門 遙望蕩陰里 里中有三墳 纍纍正相似 問是誰家冢 田强古冶子 力能排南山 文能絶地理 一朝被讒言 二桃殺三士 誰能爲此謀 國相齊晏子 晉潘尼逸民吟曰: 我顧傲 世自遺 舒志六合 由巢是追 沐浴池洪迅羽衣 陟彼名山 採此芝薇 朝雲靉靆 行露未晞 遊魚群..
소(嘯) 雜字解詁曰: 嘯 吹聲 毛詩曰: 有女仳離 條其嘯矣遇人之不淑矣 列女傳曰: 魯漆室邑之女 過時未適人 倚柱而嘯 傍人聞之 心莫不爲之慘者 鄰婦從之遊曰: 何嘯之悲也 子欲嫁乎 吾爲子求偶 漆室女曰: 吾豈爲不嫁之故而悲哉 憂吾君老太子少也 莊子曰: 童子夜嘯 鬼數若齒 吳越春秋曰: 吳王闔閭 將欲伐楚 登臺向南風而嘯 有頃而歎 群臣莫有曉王意者 伍子胥深知王憂 乃薦孫武 善爲兵法 人莫知其能 魏略曰: 諸葛亮在荊州遊學 每晨夜 常抱膝長嘯 竹林七賢論曰: 阮籍 性樂酒 善嘯 聲聞數百步 又曰: 籍常箕踞嘯歌 酣放自若 時蘇門山中 忽有眞人在焉 籍親往尋 其人擁膝巖巓 遂登嶺從之 箕坐相對 籍乃商略終古以問之 仡然不應 籍因對之長嘯 有間 彼乃齗然笑曰: 可更作 籍乃爲嘯 意盡 退還半嶺 嶺巓●然有聲 若數部鼓吹 顧瞻乃向人之嘯也 孫登別傳曰: 孫登 魏末處■l北山中 以石室..
소(笑) 說文曰: 欣 笑喜也 易曰: 同人 先號咷而後笑 又曰: 旅人 先笑而後號咷 又曰: 笑言啞啞 毛詩曰: 終風且暴 顧我則笑 謔浪笑傲 中心是悼 又曰: 兄弟不知 咥其笑矣 又曰: 載笑載言 又曰: 宴笑語兮 左傳曰: 晉侯使郤克徵會于齊 齊頃公帷婦人 使觀之 郤子登 婦人笑於房 又曰: 晉士彌牟送○太平御覽三百九十一作逆 叔孫于箕 叔孫使梁其跮○御覽作■A 待于門內 曰: 余左顧而欬 乃殺之 右顧而笑 乃止 穀梁傳曰: 季孫行父禿 晉郤克跛 衛孫良夫眇 曹公子首僂 同聘於齊 齊使禿者御禿者 跛者御跛者 僂者御僂者 蕭同叔子處臺而笑之 客不悅 事具治政部 論語曰: 子問公叔文子於公明賈曰: 信乎夫子不言不笑不取乎 公明賈對曰: 夫子時然後言 人不厭其言 樂然後笑 人不厭其笑 義然後取 人不厭其取 又曰: 子游爲武城宰 子之武城 聞弦歌之聲 夫子莞爾而笑曰: 割雞焉用牛刀 禮斗..
인부 사(人部 四) 聖 賢 忠 孝 성(聖) 尙書曰: 睿作聖 又曰: 聖作則 莊子曰: 以德分人謂之聖 白虎通曰: 才稱萬人曰傑 倍傑曰聖 風俗通曰: 聖者 聲也 通也 言其聞聲知情 通於天地 條暢萬物也 家語曰: 聖者 德合天地 變通無方也 易曰: 備物致用 立成器以爲天下利 莫大乎聖人 知進退存亡而不失其正者 其唯聖人乎 禮記曰: 大哉聖人之道 洋洋乎發育萬物 峻極于天 譬如天地之無不持載 無不覆燾 譬如四時之錯行 如日月之代明 又曰: 唯天下至聖 爲能聰明叡智 足以有臨也 發强剛毅 足以有執也 齋莊中正 足以有敬也 文理密察 足以有別也 毛詩曰: 周公攝政 遠則四國流言 近則王不知 周大夫美不失其聖也 又曰: 思齊 文王所以聖也 大戴禮曰: 聖人有國 則日月不食 星辰不孛 又曰: 哀公問曰: 何謂聖人 孔子對曰: 所謂聖人者 智通乎大道 應變而不窮 測物之情性者也 論語曰: ..
현(賢) 毛詩曰: 丘中有麻 思賢也 又曰: 南山有臺 樂得賢也 得賢則能爲邦家立太平之基矣 春秋繁露曰: 氣之淸者爲精 人之淸者爲賢 治身者以積精爲寶 治國者以積賢爲道 尙書曰: 所寶惟賢 則邇人安 又曰: 野無遺賢 論語曰: 賢者避世 其次避地 其次避色 其次避言 又曰: 見賢思齊焉 見不賢而內自省者也 又曰: 賢哉回也 一簞食 一瓢飮 回也不改其樂 又曰: 臧文仲其○太平御覽四百零二其下有竊位者歟四字 此脫 知柳下惠之賢而不與立也 又曰: 賢賢易色 京房易飛候曰: 視四方常有大雲 五色具而不雨 其下有聖賢人隱 家語曰: 孔子讀史 至楚復陳 喟然曰: 賢哉楚莊王 輕千乘之國 而重一言之信 非申叔時之忠 弗能見其義 非莊王賢 弗能受其訓 又曰: 哀公問孔子曰: 當今之君 孰者最賢 孔子曰: 有衛靈公乎 公曰: 吾聞其閨門無別 而子賢之何也 對曰: 靈公之弟曰公子渠牟 其智足以治千乘 ..
충(忠) 說苑曰: 逆命利君謂之忠 孝經曰: 進思盡忠 退思補過 將順其美 匡救其惡 左傳曰: 晉獻公使荀息傅奚齊 對曰: 臣竭其股肱之力 加之以忠貞 其濟君之靈也 不濟則以死繼之 公曰: 何謂忠貞 對曰: 公家之利 知無不爲 忠也 送往事居 耦俱無猜 貞也 又曰: 晉懷公命無從亡人 狐突之子毛及偃 從重耳在秦 弗召 懷公執突曰: 子來則免 對曰: 子之能仕 父敎之忠 策名委質 貳乃辟也 父敎子貳 何以事君 乃殺之 又曰: 楚子滅若敖氏 其孫葴尹克黃使於齊 聞亂 其人曰: 不可以入矣 葴尹曰: 君 天也 天可逃乎 遂歸復命 自拘司敗 又曰: 季文子卒 無衣帛之妾 無食粟之馬 無藏金玉 無重器備 君子是以知季文子之忠於公室也 相三君矣 而無積 可不謂忠乎 又曰: 楚子囊將死 遺言謂子庚曰: 必城郢 君子謂子囊忠 將死不忘衛社稷 可不謂忠乎 忠 民之望也 家語曰: 孔子曰: 晏子於君爲忠臣..
효(孝) 爾雅曰: 善事父母曰孝 孝經曰: 夫孝天之經也 地之義也 民之行也 又曰: 夫孝始於事親 中於事君 終於立身 又曰: 愛親者 不敢惡於人 敬親者 不敢慢於人 愛敬盡於事親 而德敎加於百姓 刑于四海 蓋天子之孝也 禮記曰: 曾子曰: 孝有三 大孝尊親 其次弗辱 其下能養 又曰: 公明儀問於曾子曰: 夫子可以爲孝乎 曾子曰: 孝者先意承志 諭父母於道 參直養者也 安能爲孝乎 又曰: 先王之孝也 色不忘乎目 聲不絶乎耳 心志嗜欲 不忘乎心 又曰: 生則敬養 死則敬享 毛詩曰: 哀哀父母 生我劬勞 無父何怙 無母何恃 出則銜恤 入則靡至 父兮生我 母兮鞠我 撫我育我 長我畜我 顧我復我 出入腹我 欲報之■■ 昊天罔極 論語曰: 三年無改於父之道 可謂孝矣 又曰: 孟懿子問孝 子曰: 無違 樊遲曰: 何謂也 子曰: 生事之以禮 死葬之以禮 祭之以禮 子游問孝 子曰: 父母唯其疾之憂 尸..
인부 오(人部 五) 德 讓 智 性命 友悌 交友 絶交 덕(德) 易曰: 君子進德脩業 又曰: 見龍在田 德施普也 尙書曰: 惟德動天 無遠不屆 又曰: 皐陶邁種德 德乃降 左傳曰: 君人者 將昭德塞違 以臨照百官 又曰: 故昭令德 以示子孫 又曰: 官之失德 寵賂彰也 又曰: 夫德 儉而有度 又曰: 楚子問鼎大小輕重焉 王孫滿對曰: 德之休明 雖小重也 又曰: 德以柔中國 毛詩曰: 德輶如毛 民鮮克擧之 孝經曰: 先王有至德要道 又曰: 聖人之德 無以加於孝乎 論語曰: 爲政以德 譬如北辰 又曰: 德行顔淵閔子騫 又曰: 有德者不必有言 有言者不必有德 又曰: 君子之德風 小人之德草 又曰: 驥不稱其力 稱其德也 老子曰: 上德不德 是以有德 下德不失德 是以無德 文子曰: 川廣者魚大 地廣者德厚 鹽鐵論曰: 以道德爲城 以仁義爲郭 又曰: 以道德爲胄 以仁義爲劍 呂氏春秋曰: 宋..
양(讓) 尙書曰: 舜帝曰: 兪 咨禹 汝平水土 惟時懋哉 禹拜稽首 讓于稷■■曁皐陶 周官大司徒職曰: 以陽禮敎讓 則民不爭 禮記曰: 君子恭敬樽節退讓以明禮 又曰: 子云 觴酒豆肉 讓而受惡 民猶犯齒 衽席之上 讓而坐下 民猶犯貴 朝庭之位 讓而就賤 民猶犯忠 又曰: 君子貴人而賤己 先人而後己 則民作讓 又曰: 天子有善 讓德於天 諸侯有善 歸諸天子 左傳曰: 宋穆公疾 召大司馬孔父而屬殤公焉 曰: 先君舍與夷而立寡人 若棄德不讓 是廢先君之擧也 豈曰能賢 又曰: 齊侯使管夷吾平戎于晉 王使隰朋平戎于晉 王以上卿之禮饗管仲 辭曰: 臣賤有司也 有天子之守國高在 若節春秋 來承王命 何以禮焉 陪臣敢辭 王曰: 舅氏 余嘉乃勳 應乃懿德 謂督不忘 往踐乃職 管仲受下卿之禮而還 君子曰: 管氏之世祀也 宜哉 讓不忘其上 又曰: 讓禮之主也 范宣子讓 其下皆讓 論語曰: 子曰: 太伯三以..
지(智) 爾雅曰: 距齊州以南 戴日爲丹穴 丹穴之人智 易曰: 智周萬物 道濟天下 論語曰: 智者樂水 又曰: 智者動 又曰: 甯武子 邦有道則知 又曰: 若臧武仲之智 又曰: 智者不惑 禮記曰: 舜其大智歟 事具帝王部 周書曰: 智與衆同者 非人師也 且成事必在大智 家語曰: 孔子曰: 好學則智 商君書曰: 愚者闇於成事 而智者見於未萌 莊子曰: 巧者勞而智者優 又曰: 大智閑閑 小智閒閒 孫卿子曰: 言而當 智也 嘿而當 亦智也 又曰: 是是非非謂之智 戰國策曰: 今六國相伐 適足以强秦 天下爲秦相烹 秦曾不出薪 何秦之智 而山東之愚耶 淮南子曰: 夫聖人之智 固已多矣 愚人之智 固已少矣 又曰: 裨諶出郊而智 又曰: 文公種米 曾子枷羊 猶爲智也 唐子曰: 命相在天 才智由人 由人可學致 在天無可冀 符子曰: 堯舜之智 桀紂以爲不智 堯舜以爲智 惡知堯舜之非桀紂 桀紂之非堯舜乎 ..
성명(性命) 易曰: 乾道變化 各正性命 又曰: 樂天知命而不憂 毛詩曰: 文王受命 有此武功 又曰: 文王受命以作周 尙書曰: 無墜天之降寶命 又曰: 用集大命於厥躬 又云 天其永我命于茲新邑 春秋曰: 劉子曰: 人受天地之中以生 所謂命也 禮記曰: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論語 子夏曰: 死生有命 富貴在天 又曰: 子罕言利與命與仁 又曰: 五十而知天命 又曰: 道之將行也歟 命也 道之將廢也歟 命也 楚辭曰: 哀時命者 屈原之所作也 家語曰: 魯哀公問於孔子曰: 人之命與性何謂 孔子對曰: 分於道謂之命 形於一謂之性 史記曰: 孟嘗君五月五日生 其父靜郭君曰: 五月子 長至戶則害父 孟嘗君曰: 人受命於天 豈受命於戶 漢書曰: 高祖曰: 吾起自布衣 提三尺■z 以取天下 豈非命也 事具軍器部劍篇 范曄後漢書曰: 藝可學而行 天爵高懸 得之者命也 【賦】晉仲長敖覈性賦曰..
우제(友悌) 爾雅曰: 善兄弟爲友 尙書曰: 惟孝友于兄弟 毛詩曰: 陟彼岡兮 瞻望兄兮 又曰: 棠棣之華 萼不韡韡 凡今之人 莫如兄弟 死喪之威 兄弟孔懷 原隰裒矣 兄弟求矣 鶺鴒在原 兄弟急難 又曰: 兄弟旣翕 和樂且湛 又曰: 衛宣公之二子 爭相爲死 孝經曰: 孝悌之至 通於神明 禮記曰: 兄弟親戚 稱其慈也 寮友稱其悌也 又曰: 兄良弟悌 夫義婦聽 家之肥也 論語曰: 兄弟怡怡如也 列女傳曰: ○御覽四百十六作宋躬孝子傳 任延壽之妻 字季兒 有三子 季兒兄季宗 □○宗下原空一字 太平御覽四百十六作與延壽爭事五字 延壽與其友殺季宗 後會赦 乃以告季兒 季兒曰: 嘻 乃今語我乎 季兒曰: 殺夫不義 事兄之讎亦不義 何面目以生 而戴天履地乎 延壽慚 自經 ○按御覽 乃季兒遂自經死 事見列女傳五 此有脫字 又曰: 古師安妻呂君 少寡無子 其兄犯法 君乃泣曰: 少遭家不造 兄弟單渺 門宗..
교우(交友) 周易曰: 二人同心 其義斷金 同心之言 其臭如蘭 又曰: 上交不諂 下交不瀆 毛詩曰: 伐木 燕朋友故舊也 自天子至于庶人 未有不須友以成者也 又曰: 雖有兄弟 不如友生 又曰: 伐木丁丁 鳥鳴嚶嚶 出自幽谷 移于喬木 又曰: 嚶其鳴矣 求其友聲 又曰: 朋友攸攝 攝以威儀 禮記曰: 君子之交淡如水 小人之交甘如醴 君子淡以成 小人甘以壞 又曰: 寡婦之子 非有見焉 弗與爲友 又曰: 君子不盡人之歡 以全交也 又曰: 儒有合志同方 營道同術 久不相見 聞流言不信 義同而進 不同退 其交友有如此者 大戴禮曰: 與君子遊 苾乎如入蘭芷之室 久而不聞其香 則與之化矣 孝經曰: 士有爭友 則身不離於令名 論語曰: 與朋友交 言而有信 雖曰未學 吾必謂之學矣 又曰: 朋友數 斯疏矣 又曰: 朋友切切偲偲 兄弟怡怡 又曰: 願車馬 衣輕裘 與朋友共 敝之而無憾 事具敘志篇 又曰: 益..
절교(絶交) 毛詩曰: 天下俗薄 朋友道絶焉 習習谷風 維風及雨 將恐將懼 惟予與汝 將安將樂 汝轉棄予 又曰: 伐木廢 則朋友缺矣 漢書曰: 張耳陳餘 始居約時 相然信死 豈顧問哉 及據國爭權 卒相滅亡 勢利之交 古人羞之 又曰: 蕭育少與朱博爲友 著聞當世 故長安語曰: 蕭朱結綬 王貢彈冠 始育公卿子顯 博尙爲杜陵亭長 爲育進擧 遂至丞相 與博有隙 世記曰: 王恭王都○本條見世說識鑒篇 云王恭隨父在會稽 王大( 忱)自都來拜墓云云 此有脫訛 二人素相友善 恭父曰: 恐非子之 ○世說之下有友字 後遂不終 【書】魏應瑒報龐惠恭書曰: 夫蕭艾之歌 發於信宿 子衿之思 起不嗣音 況實三載 能不有懷 雖萱草樹背 皐蘇在側 悒憤不逞 秖以增毒 朝隱之官 賓不往來 喬木之下 曠無休息 抱勞而已 足下剖符南面 振威千里 行人子羽 朝夕相繼 曾不枉咫尺之路 問蓬室之舊 過意賜書 辭不半紙 慰藉輕於繒..
인부 육(人部 六) 公平 品藻 質文 공평(公平) 尙書曰: 無偏無黨 王道蕩蕩 無黨無偏 王道平平 左傳曰: 賈季奔狄 宣子使臾騈送其帑 夷之蒐 賈季戮臾騈 臾騈之人欲盡殺賈氏以報焉 臾騈曰: 不可 吾聞前志有之曰: 敵惠敵怨 不在後嗣 忠之道也 夫子禮於賈季 我以其寵報私怨 無乃不可乎 又曰: 祁奚請老 晉侯問嗣焉 稱解狐 其讎也 將立之而卒 又問焉 對曰: 午也可 於是羊舌職死矣 晉侯曰: 孰可以代之 對曰: 赤也可 於是使祁午爲中軍尉 羊舌赤佐之 君子謂祁奚能擧善矣 稱其讎 不爲諂 立其子 不爲比 擧其偏 不爲黨 禮記曰: 昔衛獻公出奔 反國 及郊 將頒邑於從者而後入 柳莊曰: 如皆守社稷 則孰執羈靮而從 如皆從 則孰守社稷 君反國而有私也 無乃不可乎 於是弗果頒 又曰: 天無私覆 地無私載 日月無私照 奉三無私 以勞天下 韓子曰: 解狐薦其讎以爲相 其讎往拜謝 解狐引弓 迎..
품조(品藻) 家語曰: 子貢曰: 陳靈公君臣宣淫於朝 泄冶諫而煞之 是與比干同也 可謂仁乎 子曰: 比干於紂 親則叔父 官則少師 忠款之心 在於宗廟而已 固以必死爭之 冀身死之後 紂當悔悟 本其情志 在乎仁者也 泄冶位下大夫 無骨肉之親 懷寵不去 以區區之身 欲止一國之淫昏 死而益亡 ○太平御覽四百四十五作■益 可謂懷矣 詩曰: 民之多僻 無自立辟 其泄冶之謂也 又曰: 子路曰: 澹臺子羽 有君子之容 而行不勝其貌 宰我有文雅之辭 而智不充其辯 孔子曰: 相馬以輿 相士以居 弗可廢已 以容取人 則失之子羽 以言取人 則失之宰予 又曰: 子夏三年喪畢 見於孔子 與之琴 使之弦 侃侃而樂 作而曰: 先王制禮 不敢不及 子曰: 君子也 閔子三年喪畢 見於孔子 與之琴 使之弦 切切而悲 作而曰: 先王制禮 不敢過焉 子曰: 君子也 子貢曰: 二者殊情 而俱曰君子 賜也惑之 敢問 孔子曰: 閔子..
질문(質文) 禮記曰: 虞夏之質 殷周之文 至矣 虞夏之文 不勝其質 殷周之質 不勝其文 又曰: 禮有以文爲貴者 天子龍卷 諸侯黼 大夫黻 士玄衣纁裳 天子之冕 朱綠璪十有二旒 諸侯九 上大夫七 下大夫五 士三 此以文爲貴也 禮有以素爲貴者 至敬無文 父黨無容 大珪不瑑 大羹不和 大路素而越席 犠尊疏布■■ 此以素爲貴也 又曰: 壹獻質 三獻文 左傳曰: 言以足志 文以足言 不言誰知其志 言之無文 行而不遠 又曰: 昭公如楚 鄭伯勞于師之梁 孟僖子爲介 不能相儀 及楚 不能答郊勞 公至自楚 僖子病不能禮 乃講學之 又曰: 齊慶封來聘 叔孫與慶封食 不敬 爲賦相鼠 亦不知也 論語曰: 周監於二代 郁郁乎文哉 吾從周 又曰: 子貢問曰: 孔文子何以謂之文也 子曰: 敏而好學 不恥下問 是以謂之文也 又曰: 質勝文則野 文勝質則史 文質彬彬 然後君子 又曰: 棘子成曰: 君子質而已矣 何以文..
인부 칠(人部 七) 鑒誡 감계(鑒誡) 書曰: 兢兢業業 一日二日萬機 易曰: 君子乾乾 夕惕若厲 又曰: 天道惡盈而福謙 尙書曰: 帝曰: 來 禹 降水儆予 成允成功 克勤于邦 克儉于家 不自滿假 惟汝賢 汝惟不矜 天下莫與汝爭能 汝惟不伐 天下莫與汝爭功 又曰: 無稽之言勿聽 弗詢之謀勿庸 又曰: 玩人喪德 玩物喪志 不作無益害有益 功乃成 不貴異物賤用物 民乃足 犬馬非其土性不畜 珍禽奇獸不育于國 不寶遠物 則遠人格 所寶惟賢 則邇人安 不矜細行 終累大德 爲山九仞 功虧一簣 又曰: 功崇惟志 業廣惟勤 位不期驕 祿不期侈 又曰: 作德心逸日休 作僞心勞日拙 居寵思危 又曰: 戒愼無虞 ●失法度 又曰: 戒之用休 董之用威 毛詩曰: 惴惴小心 如臨于谷 又曰: 殷鑒不遠 在夏后之世 左傳曰: 晉旣勝楚 范宣子立於戎馬之前曰: 君幼 諸臣不佞 何以及此 天命不于常 有德之謂也 又..
인부 팔(人部 八) 諷 諫 풍(諷) 毛詩曰: 上以風化下 下以風刺上 主文而譎諫 言之者無罪 聞之者足以戒 故曰風 禮記曰: 吳侵陳 斬祀殺厲 夫差使行人儀問太宰嚭曰: 師必有名 人之稱斯師也 則謂之何 太宰嚭曰: 古之侵伐者 不斬祀 不殺厲 不獲二毛 今斯師也殺厲與 其不謂之殺厲之師與 左傳曰: 魏獻子受梗楊人賄 閻沒 汝寬欲諫 待於庭 饋入 召之食 比置三歎 旣食 使坐 魏子曰: 吾聞唯食忘憂 今置食之閒三歎 何也 同辭而對曰: 饋之始至 恐其不足 是以歎 中置自咎曰: 豈將軍食之而有不足 是以再嘆 及饋之畢 願以小人之腹 爲君子之心 屬厭而已 獻子辭梗楊人 國語曰: 晉平公射鷃 使■■搏之 不得 公怒 將殺之 叔向曰: 君必殺之 吾先君唐叔 射兕于徒林 以爲大甲 所以封于晉 今君嗣唐叔 射鷃不得 是揚吾君之恥 速殺之 無令遠聞 君忸怩 乃赦之 晏子曰: 齊景公樹竹 令吏守之 ..
간(諫) 周官曰: 保氏掌諫王惡 禮記曰: 爲人臣禮不顯諫 三諫而不聽 則逃之 子之事親也 三諫而不從 則號泣而隨之 左傳曰: 公將如棠觀魚者 臧僖伯諫曰: 凡物不足以講大事 其材不足以備器用 則君不擧焉 故春蒐夏苗 狄獮冬狩 皆於農隙以講事也 若夫山林川澤之實 器用之資 皂隷之事 官司之守 非君所及也 公曰: 吾將略地焉 遂往陳魚而觀之 僖伯稱疾不從 又曰: 宋華父督以郜大鼎賂公 納於太廟 非禮也 臧哀伯諫曰: 君人者 將昭德塞違 以臨照百官 猶懼或失之 故昭令德以示子孫 百官於是乎戒懼 而不敢易紀律 今滅德立違 而寘其賂器於太廟 以明示百官 百官象之 其又何誅焉 國家之敗 由官邪也 官之失德 寵賂彰也 郜鼎在廟 彰孰甚焉 又曰: 晉侯假道於虞以伐虢 宮之奇諫曰: 虢 虞之表也 虢亡 虞必從之 晉不可啓 寇不可翫 一之謂甚 其可再乎 諺所謂輔車相依 脣亡齒寒者 虞虢之謂也 事具武部戰..
인부 구(人部 九) 說 嘲戱 설(說) 左傳曰: 晉侯秦伯圍鄭 佚之狐言於鄭伯曰: 國危矣 若使燭之武見秦君 師必退 燭之武夜縋而出 見秦伯曰: 秦晉圍鄭 鄭旣知亡矣 若亡鄭而有益於君 敢以煩執事 越國以鄙遠 君知其難也 焉用亡鄭以陪鄰 夫晉何猒之有 旣東封鄭 又欲肆其西封 不●秦 焉取之 ●秦以利晉 唯君圖之 秦伯悅 又曰: 晉郤缺言於趙宣子曰: 日衛不睦 故取其地 今已睦矣 可以歸之 叛而不討 何以示威 服而弗柔 何以示懷 非威非懷 何以示德 無德何以主盟 子爲正卿 以主諸侯 而不務德 將若之何 宣子悅之 又曰: 吳伐楚 入郢 申包胥如秦乞師 曰: 吳爲封豕長蛇 荐食上國 虐始於楚 寡君失守社稷 越在草莽 使下臣告急曰: 夷德無猒 若鄰於君 疆埸之患也 逮吳之未定也 君其取分焉 若以君●撫之 世以事秦 立依於庭墻而哭 日夜不絶聲 勺飮不入口 七日 秦師乃出 又曰: 楚子饗魯昭公于..
조희(嘲戱) 毛詩曰: 善戱謔兮 不爲虐兮 左傳曰: 晉人或以廣隊 不能進 楚人惎之 脫扃 少進馬還 又惎之 拔旆投衡乃出 顧曰: 吾不如大國之數奔也 晏子春秋曰: 晏子短小 使楚 楚人爲小門於大門側 而延晏子 晏子不入 曰: 使狗國者 從狗門入 今臣使楚 不當從狗門入 王曰: 齊無人耶 對曰: 齊之臨淄 張袂成帷 揮汗成雨 何爲無人 齊使賢者使賢王 不肖者使不肖王 嬰不肖 故使王爾 又曰: 晏子使楚 楚王謂左右曰: 晏嬰習辭者也 吾欲傷之 若坐定 縛一人來 及嬰坐 左右縛人 王問何謂者 曰: 齊人 坐盜 王視晏子曰: 齊人善盜乎 晏子對曰: 嬰聞橘生江北則爲枳 葉徒相似 其實味不同 水土異也 今此人生於齊不爲盜 入楚則盜 得無楚之水土使爲盜耶 王笑曰: 寡人反取病焉 孔藂子曰: 平原君與子高飮 强子高酒 曰: 昔有遺諺 堯舜千鍾 孔子百觚 子路溘溘 尙飮百榼 古之賢聖 無不能飮也 吾..
인부 십(人部 十) 言志 언지(言志) 尙書曰: 詩言志 禮記 志之所至 詩亦至焉 詩之所至 樂亦至焉 毛詩序曰: 詩者 志之所之也 在心爲志 發言爲詩 論語曰: 顔回季路侍 子曰: 盍各言爾志 子路曰: 願車馬 衣輕裘 與朋友共 弊之而無憾 顔回曰: 願無伐善 無施勞 子路曰: 願聞子之志 子曰: 老者安之 朋友信之 少者懷之 又 子曰: 飯蔬食飮水 曲肱而枕之 樂亦在其中矣 不義而富且貴 於我如浮雲 又曰: 葉公問孔子於子路 子路不對 子曰: 汝奚不曰: 其爲人也 發憤忘食 樂以忘憂 不知老之將至云爾 又 子路曾晢冉有公西華侍坐 子曰: 居則曰不吾知也如或知爾 則何以哉 子路率爾而對曰: 千乘之國 攝乎大國之閒 加之以師旅 因之以飢饉 由也爲之 比及三年 可使有勇 且知方也 夫子哂之 求爾何如 對曰: 方六七十 如五六十 求也爲之 比及三年 可使足民 如其禮樂 以俟君子 赤爾何如..
인부 십일(人部 十一) 行旅 행려(行旅) 爾雅曰: 征 邁 行也 易曰: 天行健 又曰: 牝馬地類 行地無疆 又曰: 利有攸往 毛詩曰: 周大夫行役 過故宗廟宮室 盡爲禾黍 彷徨而不忍去 又曰: 行邁靡靡 中心搖搖 又曰: 周公東征 三年而歸 又曰: 我徂東山 慆慆不歸 我來自東 零雨其濛 又曰: 我行其野 芃芃其麥 又曰: 惠而好我 攜手同行 又曰: 行道遲遲 中心有違 尙書曰: 歲二月 東巡狩 至于岱宗 五月 南巡狩 至于南岳 八月 西巡狩 至于西岳 十有一月 北巡狩 至于北岳 左氏傳曰: 不有居者 誰守社稷 不有行者 許扞牧圉 又曰: 先王卜征五年 歲襲其祥 祥習乃行 又曰: 行李之往來 共其資糧屝屨 其可也 又曰: 凡公行 告于宗廟 反行飮至 舍爵策勳焉 禮也 又曰: 君行師從 卿行旅從 又曰: 昔周穆王欲肆其心 周行天下 將皆必有車轍馬跡焉 禮記曰: 行則有隨 立則有序 ..
인부 십이(人部 十二) 遊覽 유람(遊覽) 家語曰: 孔子北遊 登農山 子路子貢顔回侍 孔子四望 喟然歎曰: 二三子各言爾志 穆天子傳曰: 天子遂襲崑崙之丘 遊軒轅之宮 眺望鍾山之嶺 玩帝者之寶 勒石王母之山 紀跡玄圃之上 乃取其嘉木豔草 奇鳥怪獸 玉石珍瑰之器 重膏銀燭之寶 又曰: 天子北昇于舂山之上 以望四野 舂山是惟天下之高山也 天子五日觀于舂山之上 史記曰: 始皇三十七年 上會稽山 望于南海 立石刻 頌秦德 還過吳 從江乘渡 傍海上 北至琅邪 又曰: 太史公登會稽山 探禹穴 登姑蘇 望五湖 莊子曰: 莊子與惠子遊濠梁之上 莊子曰: 儵魚出遊從容 是魚樂也 惠子曰: 子非魚 焉知魚之樂也 莊子曰: 子非我 焉知吾不知魚之樂也 楚辭曰: 覽冀州兮有餘 橫四海兮焉發 又曰: 登崑崙兮四望 心飛楊兮浩蕩 日將暮兮悵忘歸 遺極浦兮悟懷 韓詩外傳曰: 齊景公遊於牛山 而北望齊曰: 美哉國..
인부 십삼(人部 十三) 別上 별상(別上) 毛詩曰: 出宿于泲 飮餞于禰 又曰: 顯父餞之 淸酒百壺 又曰: 燕燕 衛莊姜送歸妾也 又曰: 之子于歸 遠送於野 又曰: 有女仳離 慨其歎矣 禮記曰: 嫁女之家 三夜不息燭 思相離也 事具禮部 家語曰: 孔子去周 而老子送之曰: 吾聞富貴者送之以財 仁者送之以言 吾雖不能富貴 而竊仁者之號 請送子以言乎 凡當世之聰明深察而近於死者 好議人者也 博辯閎大而危其身者 好發人之惡者也 孔子曰: 敬授○初學記十八 太平御覽四百八十九作奉 敎 楚辭曰: 離 別也 騷 愁也 言己放逐離別 中心愁思 又曰: 悲莫悲兮生離別 樂莫樂兮新相知 又曰: 憭慄兮若在遠行 登山臨水送將歸 又曰: 超北梁兮永辭 送美人兮南浦 呂氏春秋曰: 吳起 魏武侯送之曰: 何以治西河 對曰: 以忠信 吳越春秋曰: 勾踐伐吳 乃命國中與之訣 而國人悲哀 皆作離別之聲 又曰: 群..
410. 희 희강(姬姜)희씨(姬氏)ㆍ강씨(姜氏). 희(姬)는 주(周) 나라 성(姓)이고. 강(姜)은 제(齊) 나라 성인데 큰 나라였으므로 그 국족(國族)의 여자에 대한 통칭이었으나, 미녀(美女)의 뜻으로 쓰이기도 하며 ‘귀빈의 아내’를 칭하기도 한다. 두 성씨가 항상 혼인 관계를 맺곤 하였다 한다. 『좌전(左傳)』 成公 9年』 / 인용: 端川節婦詩(김만중) 희견(餼牽)공가(公家)에서 공급하는 음식이다. 희경(羲經)복희씨(伏羲氏)가 지은 경서라는 뜻으로 『주역(周易)』을 가리킨다. 희고(希古)자신도 훌륭한 고인(古人)처럼 되기를 희망함을 말한다. 희고역운원(豨膏易運圓)돼지 기름은 수레 굴대에 발라서 바퀴가 잘 굴러가게 하는 것인데, 송(宋) 나라 소식(蘇軾)의 술고이시견책루불부회시(述古以詩見責屢不赴會詩)에..
409. 힐 힐굴오아(詰屈聱牙)문장이 몹시 어렵고 난삽하여 읽기가 힘듦을 말하는데, 한유(韓愈)의 「진학해(進學解)」에 “주고와 은반은 힐굴오아하다[周誥殷盤 詰屈聱牙].”고 한 데서 온 말이다. 힐향(肹蠁)소리를 아는 벌레 이름으로, 영감(靈感)이 감통(感通)한다는 뜻으로 쓰여짐. 울림이 사방으로 퍼짐을 나타낸다는 뜻으로 성하게 일어나는 모양을 말한다. / 인용: 昭代風謠序(오광운) 인용목차
408. 흥 흥경원(興慶園)인조(仁祖)의 친부모인 정원군(定遠君)과 계운궁(啓運宮)의 묘소 이름이다. 뒤에 조정 신하들의 많은 논란 끝에 정원군과 계운궁이 각각 원종(元宗)과 인헌왕후(仁獻王后)로 추존됨에 따라 흥경원도 장릉(章陵)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경기도 김포군(金浦郡) 김포읍(金浦邑) 풍무리(豐舞里)에 있다. 흥공(興公)진(晉) 손작(孫綽)의 자(字)이다. 어려서부터 고상한 뜻을 지녔으며 박학(博學)하고 시문(詩文)에 능하였다. 그가 지은 수초부(遂初賦)와 천태산부(天台山賦)는 세상에 유명하다. 흥공부수초(興公賦遂初)흥공(興公)은 진(晉) 나라 때 손작(孫綽)의 자이고, 수초(遂初)는 벼슬을 버리고 야인(野人)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숙망을 이룬다는 뜻인데, 손작이 일찍이 고상한 뜻이 있어 이에 수초..
407. 흡 흡흡(吸吸)구름이 움직이는 모양, 슬퍼하는 모양 흡흡(洽洽)넉넉하고 부드러운 모양 흡흡(恰恰)새의 울음 소리, 때마침, 화합함 흡흡(歙歙)일치하는 모양, 걱정하는 모양 인용목차
406. 흠 흠마(廞馬)출상(出喪) 때에 견거(遣車)를 끄는 말이다. 견거는 생체(牲體)를 싣는 수레이다. 흠명(欽明)요임금의 덕. 『서경(書經)』 「요전(堯典)」에 “옛날 요 임금을 상고해 보건대 공경하고 밝았다.(欽明)” 하였다. 흠앙(欽仰)흠모하여 우러르다. 흠전(欠典)잘못된 전례(典禮)를 말한다. 흠흠(欽欽)사모하여 잊지 못하는 모양, 삼가는 모양, 걱정하는 모양, 종소리가 가락에 맞는 모양 인용목차
405. 흘 흘간산두동살작(紇干山頭凍殺雀)당(唐) 나라 때 “흘간산 꼭대기 얼어 죽는 참새들, 어찌하여 좋은 곳에 날아가 살지 않나[紇干山頭凍殺雀 何不飛去生樂處].”라는 말이 유행하였는데, 당(唐) 나라 소종(昭宗)이 떠돌아다니다 이 말을 거론하며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자치통감(資治通鑑)』 唐昭宗 天佑元年 흘간산두무동작(紇干山頭無凍雀)절대 빈곤에 허덕이는 하층민들도 살아날 수 있으리라는 말이다. 흘간산(紇干山)은 일명 흘진산(紇眞山)으로, 여름에도 늘 눈이 쌓여 있기 때문에 “흘진산 꼭대기 참새 한 마리 죽었구나, 어찌하여 날아가서 즐겁게 살지 못했는고[紇眞山頭凍死雀 何不飛去生處樂]”라는 속요(俗謠)가 있었다고 한다. 『독사방여기요(讀史方輿紀要)』 山西 大同府 大同縣 흘흘(吃吃)껄껄 웃는 모양, 또는..
404. 흔 흔석(狠石) 마치 엎드린 양(羊)처럼 생긴 돌을 말한다. 흔흔(慁慁)근심으로 마음이 어지러운 모양 흔흔(忻忻)기뻐하는 모양 흔흔(欣欣)기뻐하는 모양, 스스로 만족하는 모양, 초목이 무성하고 신선한 모양 흔흔(掀掀)높이 솟은 모양, 높이 치켜드는 모양 흔흔(昕昕)밝은 모양, 환히 아는 모양 인용목차
403. 흑 흑곤륜(黑昆侖)옛날 남해(南海)에서 수입해온 흑인 노예(黑人奴隷)의 종족을 가리킨다. 흑두공(黑頭公)젊어서 삼공(三公)의 지위에 오르는 것을 말한다. 흑두삼공(黑頭三公)젊은 정승을 말한다. 송(松)자는 공(公)자가 있으므로 솔을 정승될 징조에 인용(引用)한다. 흑룡(黑龍)『장자(莊子)』 「열어구(列御寇)」에 “천금(千金)의 구슬이 저 깊은 바다 속 흑룡의 턱 아래에 숨겨져 있다.”라고 하였다. 여룡(驪龍)은 흑색의 용을 말한다. 흑삭장군(黑槊將軍) 후위(後魏) 우율제(于栗磾)를 가리킨다. 그는 무예(武藝)가 남보다 뛰어나 흑삭(黑矟)을 즐겨 사용하고 말을 달리면서 좌우로 활을 쏘기도 하였다. 유유(劉裕)가 요홍(姚泓)을 치려고 하면서 그에게 작전 도로를 빌려달라고 요청하는 편지에 ‘흑삭공(黑..
402. 흉 흉노치백년(匈奴値百年)오랑캐는 백 년의 운이 없다는 말이 있는데, 여기서는 오랑캐가 망할 때가 왔다는 말이다. 흉도(兇徒)두보(杜甫)의 시에 “北闕任群兇”이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 군흉은 토번(吐蕃)의 군사를 유도한 고휘(高暉)ㆍ왕헌충(王獻忠) 등의 무리를 가리킨다. 흉리함(胸裏函)속에 품고 있는 학문이 넉넉하다는 뜻이다. 한 나라 때 변소(邊韶)가 뱃속에다가 오경(五經)을 모두 품고 있었다고 한다. 흉만갑(胸萬甲)가슴속에 만 명의 갑병(甲兵)이 들어 있는 것처럼 훌륭한 지략이 있다는 뜻이다. 흉수(凶水)북방의 강 이름이다. 흉억장과간(胸臆藏戈干)위세(威勢)가 대단함을 비유한 말이다. 흉외뢰(胸磈磊)진(晉)나라 완적(阮籍)이 말하기를, “가슴에 생긴 불평 덩이가 있어서 술을 부어야 한다.” ..
401. 휼 휼간(譎諫)바로 말을 하지 않고 빗대서 말하여 임금으로 하여금 스스로 깨닫게 하는 것을 말한다. 『공자가어(孔子家語)』 「변정(辯政)」 편에, “충신(忠臣)이 임금을 간함에 다섯 가지 의(義)가 있으니, 첫째 휼간이다.” 하였음 휼주(恤酒)술 잘 마시던 허봉(許篈)과 강서(姜緖)를 홍문관 소리(小吏)가 일컫던 말이다. 즉 애주(愛酒)와 같은 말이다. 휼휼(恤恤)근심하는 모양 휼휼황황(矞矞皇皇)만물이 봄을 당하여 발양(發揚)하고 생장(生長)하는 모습을 말한 것이다. 양웅(揚雄)의 『태현경(太玄經)』에 “物登明堂 矞矞皇皇”이라 하였다. 인용목차
400. 휴 휴(蠵)큰 거북의 일종이다. 휴간수상포(休看水上泡)물거품을 보면 오늘의 놀이도 아쉽고 허망한 생각이 들 것이라는 뜻이다. 휴광매호소회자(休光每護昭回字)『시경(詩經)』 대아(大雅)의 「운한(雲漢)」에 “환한 저 은하수가 밝게 하늘에서 운행한다.” 하였다. 주 선왕(周宣王)이 여왕(厲王)의 뒤를 이어, 혼란했던 정치를 바로잡으려 할 때, 가뭄을 걱정하여 은하수를 바라보며 하늘에게 빌었는데 이 시는 잉숙(仍叔)이 이 일을 아름답게 여겨 지었다 한다. 휴구(休咎)화복(禍福)과 같은 말로, 정치를 하는 데에 있어 이 다섯 가지를 잘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 화복이 정해진다는 뜻이다. 『서경(書經)』 「홍범(洪範)」 휴기사(携妓謝)진(晋) 나라의 사안은 산천을 유람하면서도 반드시 기생을 수종시켰다고 한다...
399. 휘 휘과회일(揮戈回日)무용(武勇)을 말한다. 『회남자(淮南子)』 「남명훈(覽冥訓)」에 “초(楚) 나라 노양공(魯陽公)이 한(韓) 나라와 싸웠는데, 싸움이 한창 무르익을 무렵 해가 저물므로 창을 휘두르니 해가 삼사(三舍)나 뒤로 되돌아갔다.” 하였는데, 삼사는 28수(宿) 중 별 세 자리라 한다. 휘근수(揮斤手)초(楚) 나라 영인(郢人)이 자기 코끝에다 파리 날개 만한 흙을 바르고 장석(匠石)을 시켜 그를 깎아내라 하자, 장석이 자귀를 휘둘러 그 흙을 완전히 깎아냈는데도 코는 아무렇지 않았다 한다. 『장자(莊子)』 「서무귀(徐無鬼)」 휘근착(揮斤斲)『장자(莊子)』 「서무귀(徐無鬼)」에 “옛날 초(楚) 나라 서울 영(郢)에 사는 어떤 사람이 자기의 코 끝에다 흰 흙을 파리 날개처럼 얇게 발라 놓고 ..
398. 훼 훼복(卉服)풀옷을 입는다는 뜻으로, 미개인 특히 섬 오랑캐를 가리킨다. 『한서(漢書)』 지리지 상(地理志上)에 “도이훼복(島夷卉服)”이라 하였다. / 인용: 臨溟大捷歌(홍양호) 훼성(毁性)상중(喪中)에 지나치게 슬퍼하여 목숨을 잃는 것을 말한다. 훼장(喙長)육여경(陸餘慶)이 모든 일에 있어 말로는 잘하나 판결력이 부족하므로 사람들이 “말할 적에는 부리가 석 자나 길어지고 판결할 적에는 손이 닷 근처럼 무거워진다.”고 조소하였다. 『당서(唐書)』 「육여경전(陸餘慶傳)」 훼포(卉袍)도이(島夷)들이 입는 풀로 만든 옷을 말한다. 『서경(書經)』 「우공(禹貢)」에 “도이는 훼복을 입는다[島夷卉服].” 하였다. 인용목차
397. 훌&훤 훌훌(欻欻)움직이는 모양 훤(萱)망우초(忘憂草). 원추리는 본디 모친이 거처하는 북당(北堂) 앞 뜰에 심는 것이므로, 모친 건강을 상징한 말이다. 훤당(萱堂)살아 계신 남의 어머니를 말한다. 옛날에 어머니는 북당(北堂)에 거처하는데 그 뜰에 원추리(萱)를 심었으므로 이른 말이다. 『시경(詩經)』 위풍(衛風) 「백혜(伯兮)」에 “어찌 원추리를 얻어서 북당(背)에 심어볼까.(焉得諼草 言樹之背)”라 하였는데, 훤(諼)은 바로 훤(萱) 자와 같다. 그 전(傳)에 배(背)를 북당(北堂)이라 일컬었으므로 세속에서 모친을 ‘북당’이라고도 칭한다. 훤배(萱背)『시경(詩經)』 위풍(衛風) 「백혜(伯兮)」의 “망우초(忘憂草) 좀 얻어서 북쪽 뒤꼍에 심었으면. 떠난 사람 생각에 내 마음만 병드누나[焉得萱草 ..
396. 훈 훈가(勳家)나라에 큰 공을 세운 집안을 말한다. 훈득운향(薰得芸香)교서관(校書館)에 재직함을 비유한 말이다. 운향(芸香)은 운초의 향기란 뜻인데, 장서실(藏書室)에는 본디 운초로써 좀벌레를 물리치므로 이른 말이다. 훈맹(勳盟)나라에 훈공이 있어 각종 공신에 봉하여 있는 사람으로서 공신 회맹록(功臣會盟錄)에 서맹 서명(誓盟署名)한 사람. 훈모(訓謨)『서경(書經)』 6체(體) 중의 2체를 가리킨다. 훈부(勳府)공신을 맡은 관청 훈성(暈腥)맵고 냄새가 강한 채소와 어육(魚肉). 흔히 고기 반찬을 말한다. 훈유(薰蕕)훈(薰)은 향초(香草)이고 유(蕕)는 악취 나는 풀인데, 이 두 가지를 섞어 놓으면 10년이 지나도 오히려 악취가 남는다고 하였다. 즉 선(善)은 소멸되기 쉽고 악은 제거하기 어려움을 ..
395. 후 후(堠)이수(里數)를 기록한 토대(土臺)로, 한 후는 5리를 말한다. 정자통(正字通)에 “10리는 쌍후(雙堠), 5리는 척후(隻堠)이다.” 하였다. 후경(後勁)뒤를 맡은 정병(精兵)을 말한다. 『좌전(左傳)』 선공(宣公) 22년에 “中權後勁”이 있다. 후과(侯瓜)진(秦) 나라 광릉(廣陵) 사람인 소평(召平)이 동릉후(東陵侯)에 봉해졌었는데, 진 나라가 망한 뒤에 집이 가난하여 장안(長安)의 성 동쪽에 오이를 심어 생활하였다 하여 나온 말이다. 『사기(史記)』 卷五十三 「소상국세가(蕭相國世家)」 후관(侯館)원래 관망용 소루(小樓)를 말하는데, 보통 왕래하는 관원이나 외국 사신을 접대하는 역관(驛館)을 가리킨다. 후관이양월(候管移良月)초겨울 시월달이 돌아왔다는 말이다. 옛날에 절후(節候)를 알기..
394. 효 효(詨)부르짖는다는 뜻으로 ‘규(叫)’와 같다. 효경(梟獍)효파경(梟破獍)의 준말로 악인(惡人)의 비유. 효는 올빼미인데 어미새를 잡아먹는다 하며 파경은 아비를 잡아먹는 나쁜 짐승이라 한다. 효렴선(孝廉船)진(晉) 나라 때 효렴으로 천거된 재사(才士) 장빙(張憑)이 당시의 고사(高士)이던 유담(劉惔)을 찾아가 하룻밤을 묵으면서 청담(淸談)을 나누고는, 이튿날 유담을 작별하고 배를 타고 돌아오는데, 유담이 그를 대단하게 여기어 다시 장효렴(張孝廉)의 배를 찾으라고 명하여 그를 데리고 가서 간문제(簡文帝)에게 천거하였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진서(晉書)』 卷七十五 효렴선(孝廉船)진(晉) 나라 장빙(張憑)은 효렴(孝廉)으로 선거(選擧)되어 서울로 오면서, 그 재주를 믿고 당시의 명사(名士) 유담..
393. 횡 횡거(橫渠)송(宋) 나라 장재(張載)의 호인데, 그의 마음 수양하던 대략이 그가 저술한 「서명(西銘)」ㆍ「동명(東銘)」에 나타나 있다. 장재는 57세 때 여대방(呂大防)의 천거로 지태상예원(知太常禮院)이 되었다가 유사(有司)와 뜻이 맞지 않아 벼슬을 그만두고 돌아오다가 중도에서 병으로 죽었다. 『송사(宋史)』 卷四百二十七 「장재전(張載傳)」 횡경표맥(橫經漂麥)한(漢) 나라 때 사람 고봉(高鳳)이 한 번은 아내가 밭에 가면서 보리를 마당에 널어 놓고, 그에게 닭을 보라고 부탁하였는데, 마침 비가 와서 보리 멍석이 떠내려갔으나 그는 그런 줄도 모르고 장대만 들고 글을 읽었다고 한다. 『후한서(後漢書)』 卷一百十三 횡금(橫金)금어선화대(金御仙花帶)에 어부(魚符)는 차지 않는 것을 말한다. 한편 한..
392. 획 획금(獲禽)지방관이 되어 고을을 잘 다스리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춘추시대(春秋時代) 정(鄭) 나라의 재상 자피(子皮)가 윤하(尹何)에게 어느 고을을 맡겨 다스리게 하려고 하자, 자산(子産)이 윤하의 무능함을 들어 말하기를 “비유컨대 마치 사냥하는 일과 같으니, 활쏘고 말타기에 익숙하면 금수를 잡을 수 있거니와, 만일 일찍이 수레에서 활을 쏘아보지 않았다면 우선 수레가 뒤집힐까 두려워할 것인데 어느 겨를에 짐승 잡을 생각을 하겠는가.” 한 데서 온 말이다. 『좌전(左傳)』 襄公三十一年 획리가(畫鯉歌)소식(蘇軾)의 「획어가(畫魚歌)」를 전용(轉用)한 말이다. 획어는 갈고리로 고기를 끌어올린다는 뜻으로 소식은 당시의 신법(新法)이 백성을 괴롭히는 것을 은밀히 풍자하여 지은 획어가에서 “날 춥고 ..
391. 홰&회 홰홰(翽翽)퍼덕퍼덕. 날개치는 소리 회(會) ① 30운을 1회라 한다. / 유의어: 원회운세(元會運世) ② 박자. 리듬. 회가(回軻)안회(顔回)와 맹가(孟軻)를 합칭한 말이다. 회거(回車)정신을 차려 제 길로 돌아온 것을 말한다. 옛날 음악을 금기시 했던 묵자(墨子)는 고을 이름이 조가(朝歌)라는 것을 알고 수레를 돌렸으며, 효자로 유명한 증자(曾子)는 승모(勝母)라는 이름의 고을을 만나자 수레를 돌렸다는 고사가 전한다. 『사기(史記)』 「노중연추양열전(魯仲連鄒陽列傳)」 회거질어(回車叱馭)한(漢) 나라 왕양(王陽)이 익주 자사(益州刺史)로 부임할 때 공래산(邛郲山)의 구절판(九折阪)을 넘으면서 산길이 너무 험한 것을 보고는 “어버이에게 받은 이 몸을 가지고 어찌 이 험로(險路)를 자주 왕..
390. 황 황(簧)피리 등의 악기의 얇은 떨림판, 즉 리드(reed)이다. 혀 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보통 갈대로 만든다. 황각(黃閣)한대(漢代)에 승상(丞相)이 나라 일을 보던 곳을 황각이라 불렀는데, 그곳 문을 누런 색으로 칠했었기 때문이다. 당(唐) 나라 때에는 문하성(門下省)도 황각이라 불렀다. 자각(雌閣)이라고도 하는 것은 옛날엔 노란 칠을 흔히 자황(雌黃)으로써 했기 때문이다. 황각조갱(黃閣調羹)의정부(議政府)에서 국가의 정사를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황각은 의정부의 별칭이고, 국을 끓인다는 것은 재상이 국가의 일을 다스리는 것을 비유한 말로, 『서경(書經)』 「열명(說命)」 下에, “만약 국을 끓일 경우에는 너를 소금과 매실로 삼겠다.” 하였다. 황간(黃幹)주희(朱熹)의 사위이며 고제(高弟)..
389. 활 활계회종리지서(活計會從ꝃ地鼠)두더지는 땅을 마치 쟁기질하듯 뒤지는 것이므로, 전하여 농사지어 먹고사는 데에 비유한 말이다. 활락도(豁落圖)몸을 수양하는 방법이 적혀 있는 도서(道書)를 말한다. 활연(豁然)문득, 갑자기. 활인원(活人院)전에 벼슬하던 문사(文士)로서 승문원(承文院)에 들어와 학관(學官)이 되었다가 이로 말미암아 다시 벼슬길에 오르게 된 사람이 많으므로, 사람을 다시 살리는 곳이라 하여 승문원의 별명이 된 말이다. 활활(滑滑)진흙이 미끄러운 모양 활활(活活)“활활”은 틀린 독음, 올바른 독음과 뜻은 “괄괄; 물이 기운차게 흐르는 소리, 미끄러운 것, 진창을 걷는 일”이다. 인용목차
388. 환 환(歡)사랑하는 남녀를 부르는 애칭(愛稱)임. 환(環)‘빙 둘려 끊어지지 않은 고리’를 말한다. 환각주인지(喚却主人知)주희(朱熹)가 이르기를, “서암(瑞巖)의 중(僧)은 매일 항상 스스로 자신에게 묻기를 ‘주인옹(主人翁)은 성성(惺惺)하는가?’ 하고, 또 스스로 답하기를, ‘성성하노라.’고 하였다.” 한 데서 온 말이다. 「심경(心經)」 卷一 환갑(還甲)61세. 태어난 해의 갑(甲)이 다시 돌아옴(還). / 유의어: 회갑(回甲), 화갑(華甲) 환결(環玦)옛적에 신하가 죄를 얻어 쫓겨나면 국경에서 임금의 명령을 기다린다. 임금이 환(環)을 주면 돌아오라(還)는 것이요, 틈이 벌어진 결(玦)을 주면 영영 오지 말라(訣)는 것이다. 환골(換骨)탈태환골(奪胎換骨)의 준말이다. 뼈대를 바꿔 끼고 태(..
387. 확 확(臛)‘나물이 들어가지 않은 고깃국’을 말한다. 나물이 들어간 것은 갱(羹)이라 한다. 확금자불견인(攫金者不見人)‘돈을 움켜쥔 자는 사람을 보지 못한다’는 말로, ‘명예나 이욕에 미혹된 사람은 도리를 저버리거나 눈앞의 위험도 돌보지 않음’을 이르는 말이다. 『열자(列子)』 「설부(說符)」 / 인용: 雲錦樓記(이제현) 확삭(矍鑠)‘노인이 여전히 강건하여 젊은이처럼 씩씩한 것’을 말한다. 동한의 복파장군(伏波將軍) 마원(馬援)이 62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말에 뛰어올라 용맹을 보이자, 光武帝가 “이 노인네가 참으로 씩씩하기도 하다[矍鑠哉是翁也].”라고 찬탄했던 고사가 전한다. 『후한전(後漢書0』 卷24 「마원열전(馬援列傳)」 / 인용: 梨花庵老僧行(최성대) 확삭옹(矍鑠翁)늙은 나이에도 젊은이처..
386. 화 화각(畫角)옛날 군중(軍中)에서 사용했던 뿔피리. 화간(禾竿)정월 대보름날 풍년을 기원하는 뜻으로 수수깡으로 벼이삭 조이삭의 모양을 만들어 다는 것. 화간(花間)후촉(後蜀)의 조숭조(趙崇祚)가 편(編)한 화간집(花間集)의 준말로, 내용은 곧 당(唐) 나라 말기 여러 명가(名家)들의 사(詞)인데, 진진손(陳振孫)은 이를 전사(塡詞)의 시조(始祖)라고 하였다. 화개(華蓋)임금이나 고관이 사용하는 호화로운 일산이나 귀족이 타는 수레의 덮개를 말하는데, 흔히 ‘존귀한 사람의 행차’를 말할 때 인용된다. 화개성(華蓋星)대제성(大帝星) 위의 아홉 개의 별로 마치 천제(天帝)의 자리를 덮어 주는 형상을 하고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진서(晉書)』 「천문지(天文志)」 上 화견(禾絹)황제를 가리킨다. ..
385. 홍 홍간조오객(虹竿釣鼇客)당 나라 이백(李白)을 칭하는 말이다. 전하여 인품이 호매(豪邁)함을 비유한다. 당 나라 개원(開元) 연간에 이백이 재상(宰相)을 찾아뵙고 쪽지에다 “바다에서 자라 낚는 나그네[海上釣鼇客].”라고 써 바쳤다. 재상이 묻기를 “선생은 자라를 낚을 때 낚싯줄을 무엇으로 합니까?” 하니, 대답하기를 “무지개로 낚싯줄을 삼습니다.” 하였다. 홍개정(洪介亭)개정은 청 나라 홍점전(洪占銓)의 호이다. 홍거절(鴻擧絶)한(漢) 나라 고조(高祖)가 척부인(戚夫人)의 아들을 사랑하여 태자를 바꾸려 하였다가 상산(商山)의 사호(四皓)가 와서 태자를 보호하는 것을 보고 척부인에게 말하기를, “이제는 태자에게 우익(羽翼)이 생겼으니 움직이기 어렵다.” 하고 노래를 부르기를, “기러기가 높이 날..
384. 홀 홀[圭]고대에 제후가 조회(朝會)나 회동(會同)때 손에 갖는 도구. 모양이 윗 부분은 둥글고, 아래가 모진 길쭉한 옥[玉]. 천자가 제후를 봉할 때 주던 일종의 지휘권의 상징물. 홀(笏)수판(手版). 홀은 옛날에 왕과 고관(高官)이 손에 쥐던 작은 판. 천자는 옥으로, 제후(諸侯)는 상아(象牙)로, 대부는 대(竹)로 만들었음. 할 말을 잊지 않게 하기 위하여 홀(笏)에다 썼다. 홀과소선지주(忽過蘇仙之舟)소동파(蘇東坡)의 「전적벽부(前赤壁賦)」에, “외로운 학이 나의 배[舟]를 스치고 지나가는데 날개가 수레바퀴와 같다.” 한 구절이 있다. 홀만상(笏滿牀)당(唐) 나라 때 최림(崔琳)의 문족(門族)이 워낙 창성하여 종형제들이 한자리에 모이면 상홀(象笏)이 상탑에 가득했다는 데서 온 말로, 집안에..
383. 혼 혼가필(婚嫁畢) 후한 때 은사(隱士) 상장(尙長)이 자녀의 혼가(婚嫁)를 다 마친 뒤에 집안 일에서 일체 손을 떼고 동지 북해(北海)의 금경(禽慶)과 함께 삼산(三山)ㆍ오악(五岳)을 두루 노닐면서 일생을 마쳤던 고사이다. 혜강(嵇康), 『고사전(高士傳)』 혼경위(混涇渭) 경수(涇水)는 흐리고 위수(渭水)는 맑으므로, 전하여 청탁과 시비의 구별이 없어짐을 비유한 말이다. 혼돈(混沌) 천지가 개벽하기 전 원기(元氣)가 나누어지지 않아 모호하게 한 덩어리로 된 상태를 말한다.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 『장자(莊子)』 「응제왕(應帝王)」 혼돈개벽(混沌開闢) 새로운 세상을 연다는 뜻으로, 당쟁(黨爭)에 시달린 영조(英祖)가 이 광좌(李光佐)를 다시 기용하면서 ‘오늘 이전의 모든 일은 일체..
382. 혹 혹도(惑道)우주의 진리와 사물의 진상을 알지 못하는 데서 일어나는 망심(妄心)이다. 혹도고주혹명차(或棹孤舟或命車)전구(全句)가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의 구절. “혹명건거(或命巾車), 혹도고주(或棹孤舟).”의 ‘건거(巾車)’는 씌우개 있는 수레이나, 농촌의 달구지로 번역한다. 혹리(酷吏)‘혹독한 아전’을 말한다. 혹세무민(惑世誣民)세상을 어지럽히고 백성을 속이다. 이단의 설로 세상 사람들을 미혹시키고 속이다. 혹약(或躍)용(龍)이 막 용사(用事)할 즈음을 말한 것으로, 『주역(周易)』 「건괘(乾卦)」 구사효(九四爻)에 “혹 뛰거나 못에 있으면 허물이 없으리라[或躍在淵 無咎].” 한 데서 온 말이다. 혹자의봉사(或自疑封事)한유(韓愈)가 좌천되어 부임하는 도중에 지은 시 가운데 ..
381. 호 호(號)본 이름이나 자(字) 이외에 따로 지어 부르는 이름이다. 호가(壺歌)진(晉) 나라 왕돈(王敦)이 대장군(大將軍)으로 큰 공을 세웠는데, 만년에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자 술을 마실 때마다 조조(曹操)가 지은 “늙은 천리마 구유에 누웠어도 뜻은 언제나 천 리 밖이요, 열사의 나이 비록 늙었어도 장한 그 마음 변함이 없네[老驥伏 志在千里 烈士暮年 壯心不已]”라는 노래를 부르면서 타호(唾壺)를 두드려 타호가 모두 깨지곤 하였다는 고사가 전한다. 『세설신어(世說新語)』 「호상(豪爽)」 호가(浩歌)큰 소리로 노래를 부른다는 뜻이다. 호가(胡笳) ① 호인(胡人)들이 갈대의 잎을 말아서 만든 피리를 말하는데, 그 소리가 매우 애원(哀怨)의 정을 나타낸다고 한다. 한(漢) 나라 때 장건(張騫)이 서역..
380. 혜 혜가(慧可)선종(禪宗)의 제2조(祖) 혜가(慧可). 그는 40세 때에 숭산(嵩山) 소림사(少林寺)로 후위(後魏)의 고승(高僧) 보리달마(菩提達磨)를 찾아가 눈(雪) 속에 앉아 가르침을 청하여 도를 닦고 의발(衣鉢)을 전수받아 선종(禪宗)의 법통(法統)을 이어 제이조(第二祖)가 되었다. 혜가단비(惠可斷臂)후위(後魏) 때 고승으로 중국 선종의 제2조가 되었다. 그는 달마에게 도를 받을 때 그의 왼팔을 잘라서 자기의 굳은 뜻을 보였다. 혜각(慧覺)불교 용어로, 선각자(先覺者)의 큰 지혜를 스스로 깨우쳐 아는 것을 말한다. 혜감(慧鑑)중(僧) 만항(萬恒)의 시호(諡號). 속성은 박(朴)이다. 혜강(嵇康)진(晉)의 명사(名士) 자는 숙야(叔夜).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성미가 괴이하여 큰 ..
379. 형 형(兄)시인(詩人)들이 매화를 매형(梅兄)이라고 쓰는데, 이것은 황정견(黃庭堅)의 수선화(水仙花) 시(詩)에, “산번화는 아우요, 매화는 형이다[山礬是弟 梅是兄].” 한 데서 나온 것이다. 형(荊)우공구주(禹貢九州)의 하나. 지금의 호남(湖南)의 땅. 전(轉)하여 초(楚)나라의 땅. 형(衡)선기옥형(璿璣玉衡)으로서 혼천의(渾天儀)로도 불리며 천체(天體)를 관측하는 기구이다. 『서경(書經)』 虞書 「요전(舜典)」 형가(亨嘉)『역(易)』 「건괘(乾卦)」의 “형은 훌륭한 사람들의 모임이다[亨者 嘉之會也].”에서 나온 말로서 우수한 인물들이 일시에 성대하게 모이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형가(荊軻)전국 때 제(齊) 나라 사람. 연 태자(燕太子) 단(丹)을 위하여 진시황(秦始皇)을 죽이려 하다가 뜻을 ..
378. 협 협(脅)협록(脅鹿). 우사(雨師)로서 팔족양두(八足兩頭)인 사슴의 형체를 지녔다. 협가(鋏歌)칼자루를 치면서 부르는 노래로, 재주를 가지고서도 등용되지 못하는 것을 탄식하는 노래이다. 제(齊) 사람 풍환(馮驩)이 맹상군(孟嘗君)의 문객(門客)이 되었으나 중용되지 못하였다. 이에 풍환이 세 번이나 자기의 칼자루를 두들기면서 노래를 불렀는데, 첫 번째는 “긴 칼아 돌아갈지어다. 밥상에 고기가 없구나.” 하고, 두 번째는 “긴 칼아 돌아갈지어다. 외출함에 수레가 없구나.” 하고, 세 번째는 “긴 칼아 돌아갈지어다. 살 집이 없구나.” 하였다. 『전국책(戰國策)』 「제책(齊策)」, 『사기(史記)』 卷七十五 「맹상군전(孟嘗君傳)」 협객행(俠客行)협객에 대해 지은 행(行)은 행. 시체(詩軆)의 하나다...
377. 혐 혐로(嫌老)늙은 것을 혐오한다. 혐중육(嫌重肉)한 무제(漢武帝) 때의 재상이던 공손홍은 자봉(自奉)에 검소하여 조석 때마다 고기를 한 가지 이상 놓지 못하게 하였다 한다. 『사기(史記)』 「평진후주보열전(平津侯主父列傳)」 혐체(嫌遞)벼슬아치가 상관과 선대(先代) 때의 혐의가 있음으로 해서 체직되는 일. 인용목차
376. 혈 혈(穴)삼(蔘)을 사들일 수 있도록 허가하는 문서이다. 혈구(穴口)강화(江華)의 고호이다. 혈구(絜矩)혈구지도(絜矩之道)의 준말이다. 혈구는 표준으로 잰다는 뜻으로 천하를 다스리는 법. 자기의 마음을 미루어 남의 마음을 헤아리는 도덕상의 법도를 말한다. 『대학(大學)』 전10장에 “윗사람에게 내가 싫었던 것이면 나의 마음을 미루어 아랫사람에게 베풀지 않으며, 아랫사람에게 싫었던 것이면 나의 마음을 미루어 윗사람에게 베풀지 않아야 하니 이것을 혈구의 도(道)라 한다.” 하였는데, 구(矩)란 네모꼴의 표준인바 사람의 마음에 비유한 것이다. 혈구지도(絜矩之道)나의 척도로 남을 생각하여 바른 길로 이끄는 도덕 규범을 말한다. 『대학(大學)』 전10장 혈규주중도(穴竅珠中度)공자(孔子)가 구곡보주(九曲..
375. 현 현가(絃歌)거문고를 타고 시를 읊는 것으로, 전하여 학문을 부지런히 하는 것을 말한다. 현가(絃歌)현악(絃樂)에 맞추어 노래 부른다는 뜻으로, 정사를 함에 있어서 법도가 있어 백성들이 안락하게 지내는 것을 말한다. 노(魯) 나라 때 자유(子游)가 무성(武城)의 수령으로 있으면서 예악(禮樂)으로 가르쳤으므로 고을 사람들이 모두 현가하였다고 한다. 『논어(論語)』 「양화(陽貨)」 현가락(絃歌樂)어려움 속에서도 예악(禮樂)을 견지하는 생활을 하는 것을 말한다. 『공자가어(孔子家語)』 「재액(在厄)」에 “외부와 두절된 상태에서 이레나 양식이 떨어지고 채소국도 충분히 먹지 못해 종자(從者)들이 모두 괴로워했는데도 공자(孔子)만은 더욱 강개하여 강송하며 현가(絃歌)를 끊이지 않았다[外無所通, 藜羹不充,..
374. 험 험윤(玁狁)북방의 오랑캐이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유월(六月)」 편 주자(朱子)의 주(註)에 “성왕(成王)과 강왕(康王)이 이미 별세하자 주(周) 나라 왕실이 점점 쇠미하였다. 그리고 팔세(八世)를 지나 여왕(厲王)이 포학하자 주 나라 사람들이 그를 축출하여 체(彘) 땅에 거주하게 하니, 이에 험윤이 침략하여 경읍(京邑)에 이르렀다. 여왕이 죽고 아들 선왕(宣王)이 즉위하여 윤길보(尹吉甫)에게 명하여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토벌하게 하였다.” 하였다. 험희(險巇)질투하는 마음이 음험하다. 혁노(赫怒)『시경(詩經)』 대아(大雅) 「황의(皇矣)」의 “王赫斯怒”에서 나온 말로, 황제가 크게 한 번 성내어 오랑캐에게 위엄을 보여 준다는 말이다. 혁면(革面)허물을 고침. 『주역(周易)』 혁(..
373. 헐 헐후(歇後)헐후체(歇後體)를 말한다. 즉 어떤 성어(成語)의 뒷말을 약하고 그 윗부분만으로 전체의 뜻을 나타내는 일종의 은어(隱語). 예를 들면, 『서경(書經)』 「오자지가(五子之歌)」의, “이궐자손(貽厥子孫)”에서, 이궐만을 따서 자손을 나타내고, 동 군진(君陳) 편의 “우우형제(友于兄弟)”에서 우우만을 따서 형제를 나타내는 것과 같은 것이다. 『신당서(新唐書)』 「정경전(鄭綮傳)」에. “정경(鄭綮)이 시를 잘하여 그 말에 배해(俳諧)가 많으므로 세상이 모두 정오(鄭五)의 헐후체라 일렀다.”라고 보인다. 헐후체(歇後體)‘뒷말을 생략한 시체’를 말한다. 인용목차
372. 헌 헌가체부(獻可替否)시행해야 할 것을 적극 권장하고, 시행하면 안 될 것을 폐지하도록 강력히 진언(進言)하는 것을 말한다. 헌각(軒閣)황제헌원씨(黃帝軒轅氏)의 누각으로, 성군의 궁전을 말한다. 헌거(軒擧)높이 솟는 기상으로 의기가 당당함을 말한다. 헌공롱(獻空籠)전국(戰國) 시대 제왕(齊王)은 변사(辯士) 순우곤(淳于髡)을 시켜 초왕(楚王)에게 학(鶴)을 바치게 하였는데, 순우곤은 도중에서 학은 놓아주고 초 나라에 이르러 빈 새장만을 바치면서 “신(臣)이 제왕의 사신이 되어 학을 가져왔는데 도중에 학에게 물을 먹이다가 그만 놓쳐버렸습니다. 신은 즉시 죽어 사람들의 시비를 끊고 싶었습니다만 신이 만일 죽는다면 우리 임금에게 선비를 죽게 했다는 누명을 끼쳐 드릴까 염려되옵고, 단 딴 학을 사서 대..
371. 허 허(墟)‘마을’이란 뜻이다. 허격(許格)이안눌(李安訥)의 문인. 자는 춘장(春長), 호는 숭정처사(崇禎處士) 또는 창해(蒼海). 시문(詩文)에 능했다. 허공언(許功彦)공언(功彦)은 허성(許筬)의 자이다. 허곽품인(許郭品人)후한(後漢) 명사(名士) 허소(許劭)와 곽태(郭泰)가 인물을 잘 알아보기로 유명하였다. 허기(虛器)이름과 실제가 서로 부합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쓴 말이다. 허령(虛靈)명덕(明德)을 말한다. 『대학(大學)』 경일장(經一章) 주에 “명덕은 사람이 하늘로부터 얻어 허령불매(虛靈不昧)하여 온갖 이치를 구비하고 만사를 수응하는 것이다[明德者, 人之所得乎天而虛靈不昧以具衆理而應萬事者也].” 하였다. 허령불매(虛靈不昧)마음에 찌꺼기나 가린 것이 없어 사물을 환하게 비춰보는 것. 사람의 마..
370. 향 향일화(向日花)‘해를 향하는 꽃’이란 말로, ‘해바라기’란 뜻이다. 향갑(鄕甲)면임(面任)을 말한다. 향강(香姜)와연(瓦硯)의 일종. 양산집(楊愼集)에 “조조(曹操)의 동작대(銅雀臺) 기와는 이미 얻을 수 없게 되고 송 나라 사람이 수장한 것은 바로 고환(古歡)의 피서궁(避暑宮)ㆍ빙정대(氷井臺)ㆍ향강각(香姜閣) 기와이다.”라 하였다. 향거(香車)귀인(貴人)의 타는 칠향거(七香車)이다. 향공(鄕貢)당 나라 때 선비를 선발하는 제도의 하나로, 지방 고을에서 치르는 시험에 합격한 자를 말하는데, 곧 진사를 말한다. 향니(香泥)향기나는 진흙으로 여기서는 불상이나 법당의 주위에 쓰여진 흙을 말한다. 향등(香燈)제사를 지낼 때 쓰는 등불과 규문(閨門) 안, 곧 내실(內室)의 등불이란 두 가지 뜻이 있다..
369. 행 행(行)시체(詩體)의 하나이다. 행가(行歌)‘걸어가면서 노래하다’라는 말이다. 행가고녕우(行歌叩寗牛)춘추시대(春秋時代) 제(齊) 나라의 영척이 쇠뿔을 두드리며 노래하여 세상에 쓰이기를 요구했는데, 과연 제 환공(齊桓公)이 그 노래 소리를 듣고 그를 등용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설원(說苑)』 「존현(尊賢)」 행각(行脚)‘여기 저기 돌아다니며 수행한다’는 말이다. 행단(杏壇)단(壇)의 이름이다. 공자(孔子)가 제자들을 가르치던 유지(遺址)로 산동성(山東省) 곡부현(曲阜縣)의 성묘(聖廟) 앞에 있다. 『장자(莊子)』 「어부(漁父)」에 “공자는 행단 위에 앉고 제자들은 그 곁에서 글을 읽었다[孔子休坐乎杏壇之上 弟子讀書].” 하였다. 행단사자(杏壇四子)행단(杏壇)은 살구나무가 있는 단으로 공자(..
368. 해 해(䪥) 염교(Rakkyo).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중국산이며 파처럼 재배한다. 영문명의 Rakkyo는 일본 명칭(락교)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출처네이버 지식백과) 해가(薤歌) 만가(挽歌). 상여(喪輿)가 나갈 때에 부르는 노래이다. 해(薤)는 부추 종류인데 사람의 목숨이 부추 잎에 맺힌 이슬처럼 쉽게 소멸된다는 뜻에서 나온 뜻이다. 해갑당(蟹甲鐺) 게딱지솥. 작은 솥을 시속에서는 게딱지(蟹甲)라고 한다. 해개지배량원근(海豈持盃量遠近) 큰 것을 볼 줄 모른다는 말이다. 반고(班固) 「유통부(幽通賦)」에 “표주박으로 바닷물을 헤아리고 대롱 구멍으로 하늘을 본다[旣傾蠡而酌海 遂側管而窺天].” 라고 하였다. 해객사(海客査) 해변(海邊)에 8월이 되면 어디선지 떼배가 왔다..
367. 항 항간(行間)항오(行伍)의 사이라는 뜻이니, 즉 군중(軍中)이라는 말이다. 항갈(恒碣)항(恒)은 산서성(山西省) 영구현(靈邱縣)의 남쪽에 있는 항산(恒山)을 말하고, 갈(碣)은 직례성(直隷省) 동남쪽에 있는 갈석(碣石)을 말한다. 항기궁자미(恒飢窮子美)두보(杜甫). 그의 시에, “항상 굶은 어린 자식 안색이 처량하다[恒飢稚子色凄凉].”한 것이 있다. 항남(巷南)죽림칠현(竹林七賢)인 완적(阮籍)과 그 조카 완함(阮咸)이 살던 가난한 남쪽 동네로, 숙질간의 관계를 비유할 때 흔히 쓰는 표현이다. 『세설신어(世說新語)』 「임탄(任誕)」 항두득고서(航頭得古書)동진(東晉) 때 매색(梅賾)이 큰 뱃머리(大航頭)에서 고문상서(古文尙書)를 얻었다 한다. 항룡유회(亢龍有悔)항룡(亢龍)은 하늘 끝까지 올라간 용..
366. 합 합(闔)오왕(吳王) 합려. 춘추시대(春秋時代)의 오왕의 이름이다. 월왕 구천과 싸우다가 다쳐 죽었고 ‘와신상담(臥薪嘗膽)’의 고사로 알려진 인물이다. 합경(闔境)지경 안의 전부, 구역 안의 온통을 말한다. / 인용: 四月十五日(이안눌), 詰楊吏(허격) 합고(合考)시관(試官)들이 모여 앉아, 뽑아 올린 시권(試卷)을 다시 고교(考較)하여 분류 해서 입격(入格)과 낙제를 결정하는 일을 말한다. 합관요(篕寬饒)한 선제(漢宣帝) 때 사람인데 성격은 강직하였으나 인색하고 남을 해치기를 좋아하다가 남의 원망을 얻어 옥리(獄吏)에게 잡혀가서 죽었다. 그가 일찍이 평은후(平恩侯) 허백(許伯)에게 “나에게 술을 많이 권하지 마오. 나는 술에 미쳤으니 그대는 경계하라.” 했다. 『한서(漢書)』 卷七十七 합구초..
365. 함 함계설향(含雞舌香)상서랑(尙書郞)이 되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계설향은 향명(香名)인데, 한(漢) 나라 때에 상서랑들이 계설향을 입에 머금고 임금 앞에 엎드려 일을 아뢴 데서 온 말이다 함곡관(函谷關)전국시대(戰國時代) 진(秦) 나라가 설치한 진(秦)에서 산동 육국(山東六國)으로 통하는 관문(關門)으로 현재의 하남성(河南省) 영보현(靈寶縣) 서남쪽에 있는데, 효함(崤函)이라고도 한다. 함곡서자기(函谷西紫氣)주대(周代)에 함곡관의 영(令) 윤희(尹喜)가 누(樓)에 올라 사방을 관망하다가, 남극 노인성(南極老人星; 壽星)의 자기(紫氣)가 서쪽으로 향하는 것을 보고 크게 기뻐하면서 “앞으로 성인이 이곳을 경과할 것이다.” 하였는데, 과연 노자(老子)를 만나서 『도덕경(道德經)』를 전수받았다고 한다..
364. 할 할(喝)큰 소리로 고함치는 것을 말하는데, 선종(禪宗)에서 학인을 제접(提接)할 때 쓰는 일종의 선기(禪機)이다. 할계(割雞)우도할계(牛刀割雞)의 준말로, 큰 재능이 아주 작은 데에 쓰임을 비유한 것이다. 공자의 제자 자유(子游)가 무성재(武城宰)로 있으면서 훌륭한 정사를 펴자, 공자(孔子)가 그 곳을 지나다가 자유에게 장난삼아 이르기를 “닭을 잡는 데에 어찌 소 잡는 칼을 쓰는가[割雞焉用牛刀].”하는 데서 온 말이다. 전하여 지방의 수령을 한다는 뜻이다. 『논어(論語)』 「양화(陽貨)」 할계언용우도(割鷄焉用牛刀)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다. 작은 일 처리에 큰 인물의 손을 빌릴 필요가 없다는 비유. 『논어(論語)』 「양화(陽貨)」 할계우도(割鷄牛刀)공자의 제자 자유(子游)가 무..
363. 한 한가(漢歌)오랑캐를 쫓았으니 한(漢) 나라 노래 부르는 소리만이 있다는 것이다. 한가용비사수활(漢家龍飛泗水闊)한 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이 상정장(上亭長)으로 몸을 일으켰다. 한각반렴산(閑却半簾山)문을 닫고 산을 보지 않는다는 뜻이다. 한간(韓幹)당 현종(唐玄宗) 때의 이름난 화가(畫家)로서 특히 인물(人物)과 안마(鞍馬)의 그림에 뛰어났다고 한다. 처음에는 조패(曹霸)를 사사(師事)하였으나 뒤에 스스로 일가(一家)를 이루어 독보적 존재가 되었으며, 옥화총(玉花驄)ㆍ조야백(照夜白) 등의 말 그림이 특히 유명하다. 『상우록(尙友錄)』 한간마도(韓幹馬圖)한간은 당 나라 남전(藍田) 사람인데 『당서(唐書)』 「명화기(名畫記)」에는 대량(大梁) 사람으로 되어 있다. 현종(玄宗)이 큰 말을 좋아하여..
362. 학 학가(鶴駕)왕세자(王世子)를 말한다. 『열선전(列仙傳)』 「왕자교(王子喬)」에, “왕자교는 바로 주(周)나라 영왕(靈王)의 태자 진(晉)인데, 일찍이 흰 학을 타고 가 구씨산(緱氏山)에 머물렀다.” 하였다. 이를 인해서 후대에는 태자의 거가(車駕)를 학가라고 하게 되었다. 학강구(鶴降緱)주 영왕(周靈王)의 태자(太子) 진(晉)이 왕을 간하다가 쫓겨났는데, 그는 젓대를 잘 불었고, 도사(道士) 부구생(浮丘生)과 숭고산(嵩高山)에서 30년을 같이 있었다. 그 후에 환량(桓良)이란 사람을 보고 “그대가 내 집에 가서, 7월 7일에 구씨산(緱氏山) 위에서 나를 기다리라고 전해 달라.” 하였다. 그날 집안 식구가 그곳에 이르니, 진이 백학(白鶴)을 타고 나타났다 한다. 『일주서(逸周書)』 「태자진해(..
361. 하 하가찬(何家饌)진(晉) 나라 하증(何曾)이 호사(豪奢)를 좋아하여 날마다 먹는 음식에 만전(萬錢)을 쓰고도, “젓가락 댈 데가 없다.”고 하였다 한다. 「하거서(河渠書)」사마천의 『사기(史記)』의 편명으로서 천하의 강과 도랑에 대하여 그 하공(河工)과 수리(水利) 등의 일을 기록한 것임. / 인용: 梁四龍傳(이기발) 하간(河間)하간헌왕(河間獻王)의 약칭으로 한 경제(韓景帝)의 셋째 아들 유덕(劉德)인데, 민간의 선본(善本)을 많이 수집하고 학문에 뜻을 두었으므로 산동(山東)의 제유(諸儒)들이 많이 종유(從遊)했다. 하간유객성(河間有客星)어떤 사람이 떼를 타고 은하에 올라 직녀(織女)와 견우(牽牛)를 보고 여기가 어디냐고 물으니, 촉중(蜀中)의 엄군평(嚴君平)을 찾아가 물으라 하였다. 돌아와서..
360. 핍 핍박(腷膊)닭이 날개를 푸득이는 모양. 핍어(逼語)사람을 공포 속으로 몰아넣는 말이다. 진(晉) 나라 때 한현(韓玄)은 고개지(顧愷之)와 함께 은중감(殷仲堪)을 찾아가 이야기하다가 서로 가장 위험스러운 사정에 대한 것을 말했는데, 이때 은중감의 참군(參軍) 하나가 자리에 있다가 “봉사가 눈 먼 말을 타고 한 밤중에 깊은 못에 다다르는 것이다[盲人騎瞎馬 夜半臨深池].” 하자, 은중감은 한 눈을 감으면서 “이는 너무 사람을 두렵게 만든다.” 한 말에서 온 것이다. 『세설신어(世說新語)』 「배조(排調)」 핍핍(愊愊)잘못된 독음, 바른 독음은 ‘픽픽’으로 뜻은 ‘생각이 가슴에 맺힘’이다 . 인용목차
359. 픽&필 픽픽(愊愊)생각이 가슴에 맺힘 필갈양단(必竭兩端)어떤 수준의 사람이 물어오더라도 그 묻는 범위 안에서 형이하(形而下)와 형이상 두 가지를 다 따져 대답해 준다는 것이다. 『논어(論語)』 「자한(子罕)」에 “내가 아는 것이 있느냐. 아는 것이 없다. 무식한 사람이 내게 물으면 그가 아무것도 모른다 하더라도 나는 그 두 끝을 따져 빠짐없이 말해줄 뿐이다[吾有知乎哉? 無知也. 有鄙夫問於我, 空空如也, 我叩其兩端而竭焉].” 하였는데, 그 주에 “두 끝(兩端)은 두 머리란 말과 같으니 종시(終始)ㆍ본말(本末)ㆍ상하(上下)ㆍ정조(精粗)가 빠짐이 없다는 말이다.” 하였다. 필경(筆耕)최치원(崔致遠)의 저술에 계원필경(桂苑筆耕)이란 책이 있다. 필랑(畢郞)진(晉) 나라 필탁(畢卓)을 말한다. 필련성(匹..
358. 피 피교(彼狡)은 나라 주를 가리킨다. 기자(箕子)의 「맥수가(麥穗歌)」에 “저 교활한 아이가 나와 좋지 않도다[彼狡童兮 不與我好兮].” 한 데서 온 말이다. 피도(皮島)철산(鐵山) 앞바다에 있는 가도(椵島)이다. 피륙(皮陸)당(唐) 나라의 시인으로 우정이 매우 돈독했던 피일휴(皮日休)와 육귀몽(陸龜蒙)을 아울러 일컫는 말이다. 피리(被離)많은 모양 피리리양추(皮裏裏陽秋)진(晋) 나라 저부(褚裒), 자는 계야(季野)다. 그가 입으로 남의 잘잘못을 말하지 않으나 맘속으로는 시비(是非)가 분명했다. 환이(桓彝)가 그를 보고 평하여, “계야(季野)는 입으로는 말하지 않으나, 가죽속에 양추(陽秋)가 있군.” 하였다. 양추는 곧 봄과 가을로 봄에는 상을 주고 가을에는 벌을 주니 시비를 판단하는 기준이 있..
357. 풍 풍각(風角)고대의 기후를 점치는 법인데 궁ㆍ상ㆍ각ㆍ치ㆍ우 오음(五音)으로써 바람을 점쳐 길흉을 정하는 것이다. 당 나라 유효공(劉孝恭)이 풍각(風角) 10권을 저술하였다. 풍각타(風脚駝)우전(于闐)에 조그만 사슴이 있으니, 뿔이 가늘고 길다. 낙타와 교접하여 낳은 새끼를 풍각타라 이르는데, 하루에 7백 리를 가고 그 빠름이 바람과 같다.” 『흡문기(洽聞記)』 풍간(豊干)당(唐) 나라 때 중의 이른다. 봉간(封干)이라고도 하는데 아미타불(阿彌陀佛)의 화신이라고 전한다. 풍간요설(豐干饒舌)한산(寒山)과 습득(拾得) 두 중이 미친 것처럼 행세를 하여 절에서 천대를 받았는데, 풍간(豐干)이란 중이 말하기를, “한산은 문수보살(文殊菩薩)이요, 습득은 보현보살(普賢菩薩)이다.” 하였다. 그 말을 들은 ..
356. 품 품계(品階)직품(職品)과 관계(官階) 품서(品庶)‘백성’을 말한다. / 인용: 薌娘謠(이광정) 품자매(品字梅)매화의 일종으로 꽃 하나에 열매 셋이 품(品)자와 같이 서로 붙어 있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군방보(群芳譜)』 梅 품종(品從)국가에 공역(公役)이 있을 때에, 품계의 높낮음에 따라 차등하게 복종(僕從)을 내어 돕는 것을 말한다. 품휘(品彙)『당시품휘(唐詩品彙)』를 말한다. 『당시품휘(唐詩品彙)』는 명(明) 나라 고병(高棅)이 편집한 것으로 90권에 습유(拾遺) 10권으로 되어 있으며 모두 6백 20가(家)의 작품 5천 7백 69수를 수록하였다. 인용목차
355. 표 표각(豹脚)다리에 꽃무늬가 있는 모기를 가리킨다. 표각청로(杓刻靑鸕)술그릇 이름으로 노자작(鸕鶿杓)이라는 것이 있다. 표거(杓車)두표(斗杓)와 일거(日車)를 이른다. 표거(飆車)어풍(御風)의 수레. 회오리 바람을 타고 올라가는 신거(神車)로, 서왕모(西王母)가 사는 궁궐에는 표거우륜(飆車羽輪)이 아니면 이르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환린(桓驎)의 서왕모전(西王母傳)에 있다. 이백(李白)의 고풍시(古風詩)에 “羽駕滅去影 飆車絶回輪”의 글귀가 있다. 표견도(豹犬韜)병서(兵書)를 말한다. 육도(六韜)의 문도(文韜) 중에 표도(豹韜)ㆍ견도(犬韜)가 있다. 표경(漂梗)『전국책(戰國策)』 「제책(齊策)」의 우언(寓言)에, 복숭아나무를 조각하여 인형을 만들어 두었는데 빗물에 휩쓸려 치수(淄水)로 떠내려가 그 ..
354. 폭 폭건반대(幅巾鞶帶)의관(衣冠)을 갖춘 단정한 옷차림을 말한다. 두보(杜甫)의 시에 “복건도 반대도 몸에 걸치지 못했나니, 꾀죄죄한 머리와 발 씻은 적이 있으리까[幅巾鞶帶不掛身 頭脂足垢何曾洗].”라는 표현이 있다. 『두소릉시집(杜少陵詩集)』 卷14 狂歌行贈四兄 폭건한탁(幅巾澣濯)복건은 은사(隱士) 등이 쓰는 두건(頭巾)인데, 삼국(三國) 시대 오(吳) 나라 장소(張昭)가 임종시에 폭건소관(幅巾素棺)으로 염(斂)을 하라고 유명(遺命)을 내린 고사에서 온 말이다. 폭소(爆笑)폭발하듯 갑자기 터져 나오는 웃음 폭원(幅員)국토의 면적을 이른다. 폭원만리만촉국(幅員萬里蠻觸國)만승지국(萬乘之國)이라고 자부하는 위(魏) 나라도 달팽이 뿔 오른쪽의 만국(蠻國)과 왼쪽의 촉국(觸國)이 서로 영토 쟁탈전을 벌이..
353. 포 포(圃)습지(濕地)를 말한다. 포객(逋客)도망간 은자(隱者)를 뜻한 말로, 남제(南齊) 때의 은사 주옹(周顒)이 처음 북산(北山)에 은거하다가 뒤에 벼슬길에 나가자, 그의 친구인 공치규(孔稚圭)가 그 변절(變節)을 풍자한 「북산이문(北山移文)」에서 “청컨대 속사의 수레를 돌리어라, 신령을 위하여 포객을 사절하노라[請廻俗士駕 爲君謝逋客].” 한 데서 온 말이다. 포견(袍繭)제복(祭服)의 일종. 『송사(宋史)』 「여복지(輿服志)」 포계(匏繫)한 곳에 매달린 뒤웅박이라는 말로, 벼슬을 구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시골에 내려가 한가하게 지내는 것을 말한다. 『논어(論語)』 「양화(陽貨)」에 “내가 어찌 뒤웅박처럼 한 곳에 매달린 채 먹기를 구하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吾豈匏瓜也哉 焉能繫而不食].”라고 탄..
352. 폐 폐고(吠高)도척(盜跖)의 개가 요 임금을 보고 짖는다는 뜻으로 오랑캐가 예의국가를 침략하는 데 비유한 말이다. 요(堯) 자를 휘하여 고(高) 자로 썼다. 폐고(廢錮)일생동안 벼슬을 못하도록 막는 것을 말한다. / 인용: 與皇甫若水書(임춘) 폐관(閉關)관문(關門)을 막는다는 뜻으로, 엎드려 있는 것을 말한다. 『주역(周易)』 「복괘(復卦)」 단사(彖辭)에, “우레가 땅 속에 있는 것이 복괘이니, 선왕이 이를 보고 동짓날에 관문을 닫아 행상하는 사람들이 다니지 못하게 하며 후왕은 지방을 순찰하지 않는다[雷在地中 復 先王以至日閉關 商旅不行 后不省方].”하였다. 폐구(弊裘)전국(戰國)시대에 소진(蘇秦)이 처음에 집을 떠난 지 수 년에 출세를 못하여 입고 나갔던 갖옷이 해어졌었다. 폐구계자(弊裘季子)..
351. 폄 & 평 폄체(貶遞)벼슬아치가 고과(考課)에서 하등이 된 이유로 해서 체직되는 일. 평강화월(平康花月)평강은 당 나라 때 장안 단봉가(丹鳳街)에 있던 마을 이름으로, 기생들이 모여 살았다 하여 기생들이 있는 곳을 뜻하며, 꽃과 달은 아름다운 여인을 가리킨다. 평구역(平丘驛)양주(楊州)의 속역(屬驛)이다. 평금(苹芩)쑥과 덩굴진 풀. 다정한 사이에 서로 마음으로 찾는 것을 뜻한 것. “사슴이 울어대며 들에 쑥을 뜯네[呦呦鹿鳴食野之苹].” 또는 “울어대는 사슴이여 들에 덩굴풀을 뜯고 있네[呦呦鹿鳴食野之芩].”하여, 마음에 맞는 손님을 지성으로 대하고 즐거운 잔치를 베푸는 데 비유한 뜻으로 쓰였음. 『시경(詩經)』 소아(小雅) 「녹명(鹿鳴)」 평대(平臺)한(漢) 나라 양효왕(梁孝王)이 추양(鄒陽),..
350. 편 편갈성교(編葛成橋)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문충공(文忠公) 유성룡(柳成龍)은 제독(提督)이여송(李如松)의 명령에 의하여 중국 군대가 건널 다리를 놓기 위해 칡덩굴을 엮어 다리를 놓았었다고 한다. 편고(偏枯)한편이 시들어 말랐다 한다. 반신불수된 사람을 말한다. 편극(片隙)짧은 틈. 편면(便面)얼굴을 가리는 물건이라는 뜻으로, 부채의 별칭이다. 『한서(漢書)』 「장창전(張敞傳)」에 “自以便面拊馬”라 했고, 그 주에 안사고(顔師古)는 “편면은 낯을 가리는 것인데 대개 부채의 유이다. 사람을 보고자 아니할 때 이로써 얼굴을 가리면 편리하므로 편면이라 한다.” 하였다. 편미(鞭弭)말채찍과 꾸미지 아니한 활. 왕의 행차 때 쓰던 도구들이다. 편방(偏旁)편(偏)은 한자의 왼쪽, 방(旁)은 오른쪽. 편번(..
349. 팽 팽갱(彭鏗) ① 팽조(彭祖)로 음식의 조미를 잘했다고 하며, 요임금의 신하로서 은나라 말년까지 팔백세 살았다고 한다. 轉하여 사람의 장수를 말한다. ② 신선(神仙)의 이름이다. 팽담(彭聃)옛날에 오래 살았다는 팽조(彭祖)와 노담(老聃)을 지칭한다. 노담은 곧 노자(老子)이다. 팽두이숙(烹頭耳熟)‘머리를 삶으면 귀까지 삶아진다’는 말로, ‘중요한 것만 해결하면 나머지는 따라서 해결된다’는 뜻이다. 팽려(彭蠡)호수 이름이다. 강서성(江西省)에 있는 파양호(鄱陽湖). 『서경(書經)』 「우공(禹貢)」 팽상(彭殤)팽조(彭祖)와 상(殤)을 말한다. 팽조는 상고 시대에 8백 세를 살았다는 전설적인 인물이며, 상이란 미성년으로 죽은 것을 말하는데, 19~16세에 죽으면 장상(長殤), 15~12세에 죽으면 ..
348. 패 패(伯)힘으로 사람을 굴복시키는 것이라 말하였는데, 유교에서는 덕으로 사람을 감화시켜야 한다고 하여 힘으로 굴복시키는 패(伯)를 천시(賤視)한다[以力假仁者霸, 霸必有大國, 以德行仁者王]. 『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 패가대(覇家臺)일본 구주(九州)의 동북쪽에 있는 지명으로 현재는 하까다[博多]라는 땅인데, 그것이 패가대와 음이 근사하고 또 그 땅에는 그 시대에 그 땅의 총독이 있던 곳이므로 우리 나라 사람들이 그렇게 불렀던 것이다. 패가망신(敗家亡身)‘가산을 탕진(蕩盡)하고 몸을 망침’이란 뜻이다. 패강(浿江)대동강(大同江)의 옛 이름이다. 패결인(佩玦人)결옥(玦玉)은 한쪽이 터진 옥고리인데, 쫓겨난 신하가 도성 밖에서 명을 기다리다가 왕이 환옥(環玉)을 내리면 돌아가고 결옥을 내리면..
347. 팔 팔가(八家) 당송팔가(唐宋八家)를 말한다. 팔개(八凱) 개(凱)는 화(和)의 뜻으로, 고양씨(高陽氏)의 여덟 재자인 창서(蒼舒)ㆍ퇴애(隤敱)ㆍ도인(檮戭)ㆍ대림(大臨)ㆍ방강(尨降)ㆍ정견(庭堅)ㆍ중용(仲容)ㆍ숙달(叔達)을 말한다. 팔결문(八結文) 세금을 걷을 적에 팔결(八結)을 단위로 한 사람씩 정하여 세금 수납을 맡기는 데, 이 사람이 결내(結內)의 사람들의 문서를 모아놓은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즉 문의(文義)가 없는 글이라는 뜻이다. 팔계(八溪) 초계(草溪)의 고호이다. 팔고(八苦) 중생(衆生)들이 받는 8종의 고통. 생고(生苦)ㆍ노고(老苦)ㆍ병고(病苦)ㆍ애별리고(愛別離苦)ㆍ원증회고(怨憎會苦)ㆍ구부득고(求不得苦)ㆍ오음성고(五陰盛苦). 팔공(八公) 왕일(王逸)의 「초은사서(招隱士序)」에, “..
346. 판 판동(板桐)신선이 사는 산 이름이다. 판별방(辦別房)조선시대 때 각 지방의 토산물인 공물(貢物)은 호조 관하의 각사(各司) 장무관(掌務官)이 수납하여 관리하고 호조의 낭관(郞官)이 다만 가끔 창고를 돌며 문부(文簿)와 수량을 대조하여 재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관례였으나, 이괄의 난을 거친 후 제도가 문란해져서 호조에서 각사의 장무관을 무시하고 낭관들을 파견하여 공물을 직접 받아들이게 하였는 바, 당시에 이 임무를 맡은 낭관을 ‘판별방’이라 칭하였다. 판부(判付)심리를 끝내고 품신한 사안(事案)에 대하여 임금이 재결(裁決)하여 내리는 분부. 판여(板輿)노인의 보행을 대신하는 들것과 같은 부들 방석을 깐 노인용 기구인데, 부모를 맞이하여 봉양하는 것을 말한다. 주로 지방관이 모시고 있는 늙은..
ㅍ 345. 파 파강(播降)후손을 전파시키다. 곧 왕통을 이음. 파강미(播糠眯)『장자(莊子)』 「천운(天運)」에 “공자(孔子)가 노자(老子)를 보고 인의(仁義)를 말하자, 노자는 ‘겨를 뿌려 눈에 들어가면 천지와 사방이 뒤바뀐다.’ 했다.” 한 말이 있다. 파개(爬疥)한유(韓愈)의 시에, “번거로움을 덞이 종기를 째는 것 같아라. 옴 오른 데를 긁듯이 정말 기분이 시원하다네[祛煩類決癰 愜興劇爬疥].”하였다. 파경(破鏡)깨진 거울이란 뜻으로 부부의 이별 또는 이혼을 비유한 고사성어다. / 인용: 설씨녀(薛氏女), 이생규장전(李生窺牆傳) 파경(葩經)『시경(詩經)』은 내용이 꽃봉오리처럼 아름답다 한다. 한유(韓愈)의 「진학해(進學解)」에 “『시경(詩經)』은 바르고 꽃봉오리와 같다[詩正而葦]” 하였다. 이때문에..
344. 특 특달규장(特達圭璋)덕성(德性)을 갖춘 인물이라는 말이다. 『예기(禮記)』 「빙의(聘義)」에 “규장 한 가지만으로 예를 이루고 다른 폐백을 쓰지 않는 것은 그 덕을 인함이다[圭璋特達 德也].”라고 하였다. 특립독항인(特立獨行人)뜻을 고결하게 지니고 시류(時流)에 휩쓸리지 않는 사람을 말한다. 『예기(禮記)』 「유행(儒行)」,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後集) 「백이송(伯夷頌)」 인용목차
343. 투 투간동해(投竿東海)‘온 세상에 경륜(經綸)을 크게 펴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옛날 임(任) 나라 공자(孔子)가 큰 낚싯대와 굵은 낚싯줄을 만들어 50마리의 황소를 미끼로 꿰어서 회계산(會稽山)에 걸터앉아 동해에 낚싯대를 드리우고 낚시질을 한 결과 1년이 넘은 뒤에야 이루 형용할 수도 없는 큰 고기를 낚아냈는데, 그는 이 고기를 말려 포(脯)로 만들어서 백성들에게 나누어주었더니, 절강(浙江) 동쪽으로부터 창오(蒼梧)의 북쪽에 사는 사람들까지 모두가 이 고기를 실컷 먹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장자(莊子)』 「외물(外物)」 투간육오분(投竿六鰲奔)발해(渤海)의 동쪽에 깊은 골짜기가 있는데, 그 안에 대여(岱輿), 원교(圓嶠), 방호(方壺), 영주(瀛洲), 봉래(蓬萊)의 다섯 선산이 있다. 이..
342. 퇴 퇴계(魋髻)만이(蠻夷)의 수식(首飾)인 북상투를 말한다. / 인용: 梨花庵老僧行(최성대) 퇴고(推敲)시문(詩文)을 지을 때 자구(字句)를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치는 일. 당(唐)나라의 시인 가도(賈島)가 나귀를 타고 가다 시 한 수가 떠올랐다. 그것은 “새는 연못 가 나무에 자고 중은 달 아래 문을 민다.(鳥宿池邊樹僧推月下門)”라는 것이었는데, 달 아래 문을 민다보다는 두드린다(敲)고 하는 것이 어떨까 하고 골똘히 생각하다 그만 경조윤(京兆尹) 한유(韓愈)의 행차 길을 침범하였다. 한유 앞으로 끌려간 그가 사실대로 이야기하자 한유는 노여운 기색도 없이 한참 생각하더니 “역시 민다는 퇴(推)보다는 두드린다는 고(敲)가 좋겠군” 하며 가도와 행차를 나란히 하였다는 고사(故事)에서 생겨난 말로 이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