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어휘놀이터/어휘사전 (1141)
건빵이랑 놀자
241. 융 융만(隆萬)명(明) 나라 중엽, 즉 융경(隆慶)·만력(萬曆) 시절. 융경은 명 목종(明穆宗, 1567~1572) 연호이며, 만력은 신종(神宗, 1573~1620) 연호이다. 융왕음월지(戎王飮月支)융왕(戎王)은 곧 서역(西域) 흉노(匈奴)의 임금인 묵특(冒頓)을 이른다. 일찍이 흉노 임금 묵특이 월지국(月支國)을 격파하여 월지왕을 죽이고 월지왕의 두개골을 술그릇으로 만들어 술을 마셨다는 고사가 있다. 융우(隆祐)대비의 존호(尊號)를 말한다. 남송(南宋) 융우황태후(隆祐皇太后) 맹씨(孟氏)가 철종(哲宗)의 황후로 있다가 폐출(廢出)된 뒤, 고종(高宗)이 즉위하고 나서 다시 복귀하여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한 고사가 있다. 『송사(宋史)』 卷26 융융(戎戎)성한 모양 융융(融融)모자(母子)가 서로 ..
240. 율 율관(律管)고대에 절후를 관측하던 기구로, 대나무나 금속으로 만들며, 모두 12개로 이루어졌다. 밀실에 이 율관을 놓아두고 갈대를 태운 재를 채운 다음 흰 천을 덮어 두면 절후가 바뀔 적마다 한 개의 율관씩 재가 올라와서 천에 달라붙는다고 한다. 율려(律呂)옛날에 악률(樂律)을 바로잡는 기구로, 대나무나 금속으로 만든 열두 개의 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율률(慄慄)두려워하는 모양, 매우 추운 모양. 율률(栗栗)두려워하며 삼가는 모양, 많은 모양. 율리(栗里)중국 강서성(江西省) 구강현(九江縣)에 있는 지명인데, 도잠(陶潛)이 이곳에서 은거하였다. 뒤에는 흔히 고향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율리구거양류재(栗里舊居楊柳在)도연명(陶淵明)이 율리(栗里)에 은거(隱居)하면서 문 앞에 버드나무 다섯 그루..
239. 윤 윤정당(尹政堂)정당문학(政堂文學) 윤택(尹澤)을 가리킨다. 윤조례(輪皁隷)돌려가면서 조례 노릇을 한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즉 조례(皁隷)와 나장(羅將)들이 역(役)을 견디지 못하고 도망하면 지방의 수령에게 숫자를 채우라고 독촉하게 되는데, 수령은 어쩔 수 없이 사천(私賤)이나 군졸(軍卒)로 충당하게 하였다. 여기에 충당된 사람들을 윤조례라 불렀는데, 이는 실정(失政)이 빚어낸 폐단의 하나이다. 윤종억(尹鍾億)자는 윤경(輪卿), 호는 취록당(醉綠堂). 정조 때 활동한 시인이다. 윤주(潤州)지금 강소성(江蘇省) 진강현(鎭江縣) 수당(隋唐) 때 이렇게 불리었다. 동쪽에 윤포(潤浦)가 있다. 윤중소(尹仲素)중소(仲素)는 윤이지(尹履之)의 자(字)이다. 윤지곡마(倫紙穀麻)채륜이 종이를 만들었는..
238. 육 육가(陸家)진(晉) 나라 때 육기(陸機) 형제가 문장으로 유명하였는데, 변망론(辯亡論) 문부(文賦)등 명작을 지었으며, 아우의 ‘구름’이라는 글도 유명하였으므로, 세칭 이륙(二陸)이라 하였다. 육가(陸賈) ① 송(宋)의 시인 육유(陸游)와 당대(唐代)의 시인 가도(賈島)의 합칭이다. ② 한(漢) 나라 사람. 한(漢) 나라 때 남월(南越)의 왕 조타(趙佗)가 스스로 왕이 되어 무제(武帝)라고 칭하였는데, 문제(文帝)가 육가를 사신으로 보내어 타이르자 황제의 호칭을 버리고 신(臣)이라 칭하였다. 『사기(史記)』 卷97 「역생육고열전(酈生陸賈列傳)」 ③ 진평(陳平)이 육가의 충고로, 음모를 꾸미던 여씨들을 제거할 수 있었다. 육가는 원래 초인(楚人)으로서 고조(高祖)를 도와 천하가 대충 안정된 뒤..
237. 유 유(遊)① 사관하다(仕官--), 벼슬살이하다② 유세하다③ 유람하다 유(維)전하여 비유적으로 도덕의 기초가 되는 것. 또 세계를 매달아 떨어지지 않게 하는바. 즉 기강, 원리 등을 말한다. 유가(儒家)공자(孔子)ㆍ맹자(孟子)ㆍ순자(荀子) 등. 유가(劉家)유씨(劉氏)인 한 나라 왕실을 말한다. 유가(劉賈)전한(前漢) 때의 경학자(經學者)인 유향(劉向)과 후한 때의 경학자인 가규(賈逵)를 합칭한 말인데, 이들은 특히 좌씨전(左氏傳)을 매우 숭상하여 강론과 저술을 많이 하였으므로 이른 말이다. 유가임(類可任)중요한 임무를 맡길 수 있을 것 같다. 유각(劉閣)한나라의 유향(劉向)이란 사람이 천록각(天祿閣)이라는 국가 도서실에서 여러 가지 고서를 교정하였다. 유각양춘(有脚陽春)가는 곳마다 덕화(德化)가..
236. 위 위감충(魏鑑忠)위징(魏徵)은 당 태종(唐太宗) 때의 명상(名相)인데, 무슨 일을 만나면 서슴없이 간하여 태종이 매우 경외(敬畏)한 나머지 그가 죽은 뒤에 한탄하기를 “구리판으로 거울을 삼으면 의관을 바로잡을 수 있고 옛날 역사로 거울을 삼으면 흥망을 알 수 있고 사람으로 거울을 삼으면 잘잘못을 알 수 있다. 짐은 일찍이 이 세 거울로 나의 과실을 예방하였는데 이제 위징이 죽어 거울 하나가 없어졌다.” 하였다. 『신당서(新唐書)』 卷九十七 「위징전(魏徵傳)」 위강(魏絳)춘추시대(春秋時代) 때 진(晉) 나라 사람으로, 융적(戎狄)과 화친(和親)하면 다섯 가지의 이로움이 있다고 도공(悼公)에게 말하여 융적들과 맹서(盟誓)를 맺었다. 『춘추좌전(春秋左傳)』 襄公 4年 위강화융(魏絳和戎)춘추 때 진(..
235. 월 월(鉞)도끼인데, 옛날에 출정하는 장군이나 지방으로 나가는 사람에게 모든 권한을 위임한다는 뜻으로 임금이 손수 주었다. 월견폐괴(越犬吠怪)월(越) 나라 지방은 기후가 따뜻하여 눈이 잘 오지 않으므로 그 지방의 개(犬)들은 눈을 보면 이상하게 여겨 마구 짖어댄다는 데서 인용한 말이다. 월관(越冠) ① 인재가 적재 적소에 쓰이지 못함을 비유한 말이다. 『회남자(淮南子)』에 이르기를 “노(魯) 나라 사람이 자신은 관(冠)을 잘 만들었고, 자기 아내는 신(履)을 만들 줄 알았는데, 그들이 월 나라로 옮겨가서는 대단히 곤궁하게 되었으니, 그것은 쓰임이 있는 것을 가지고 쓰이지 않는 고장으로 옮겨갔기 때문이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② 하는 일이 시의(時宜)에 맞지 않는다는 말이다. 『장자(莊子)』 ..
234. 원 원(畹)밭 20묘(畝)를 뜻하며 일설에는 30묘라고도 한다. 원(畹)토지의 단위로서 즉 12묘(畝), 또는 30묘(畝)에 해당한다는 설도 있는데, 『초사(楚辭)』 「이소(離騷)」에 “내가 이미 구원에 난초를 심었다[余旣滋蘭之九畹兮].” 한 데서 온 말이다. 원(元)원은 하늘을 말한다. 『이아(爾雅)』 「석천(釋天)」 원(院)공적인 임무를 띠고 지방에 파견되는 관리나 상인 등 공무 여행자에게 숙식 편의를 제공하던 공공 여관. 흔히 역(驛)과 함께 사용되었는데, 이는 역과 관련을 가지고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 인용: 題深院(조신) 원가(袁家)명말의 명장 원숭환(袁崇煥). 안찰사(按察使)로 영원(寧遠)에서 청병(淸兵)을 무찌르고 병부 상서(兵部尙書)가 되었는데 청병이 계주(薊州)로 쳐들어오므로 ..
233. 웅 웅거(熊車) ① 수레 앞의 가로댄 나무(橫木)를 웅크린 곰의 모양으로 만든 수레를 이르는데, 이는 본디 자사(刺史)가 타는 수레이므로, 전하여 지방관을 의미한다.② 엎드린 곰의 모양으로 앞턱(軾)을 장식한 수레로, 옛날 공후(公侯)들이 타던 안거(安車)이다. 웅경(熊經)도가(道家)에서 장생불사(長生不死)하기 위해 수련하는 도인법(導引法)의 한 가지, 마치 곰이 앞발로 나무를 부여잡고 매달리는 것같이 하여 기(氣)를 단련하는 것이다. 『장자(莊子)』 「각의(刻意)」 웅경조신(熊經鳥伸)곰처럼 나무에 매달리고 새처럼 다리를 펴는 선가(仙家)의 양생(養生)법이다. 『장자(莊子)』 「각의(刻意)」 웅공(熊公)웅정필(熊廷弼)을 가리킨다. 웅록(熊鹿)‘곰과 사슴을 그려놓은 과녁판’을 말한다. 웅백(熊白)..
232. 울 울결(鬱結)‘마음이 답답하게 맺힌 것’을 말한다. 울결우진(鬱結紆軫)마음이 답답하여 맺혀있음 울금의(鬱金衣)귤의 껍데기가 노란 것을 비유한 말이다. 울금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그 지하경(地下莖)은 노란빛이 매우 짙기 때문에 그 분말(粉末)을 황색의 물감으로 쓴다. 울단(鬱單)북방의 변국(邊國)이다. 울도(鬱陶) ① 마음이 답답함, 의기가 꺾여 위축된 모양. 『맹자(孟子)』 「만장(萬章)」② 바다 위에서 수시로 이동한다는 전설상의 선산(仙山) 이름이다. 울륜포(鬱輪袍)옛날 악곡의 이름으로, 당 나라 왕유(王維)가 지었다고 한다. 울림(鬱林)중국 광서(廣西)지방의 고을 이름이다. 한말(漢末) 오군(吳郡)의 육적(陸績)이 울림 태수로 있다가 그만두고 돌아올 때 바다를 건너는데, 가진 짐꾸러미..
231. 운 운(運)12세를 1운이라 한다. ☞ 원회운세(元會運世) 운각(芸閣)옛날의 장서각(藏書閣)으로 비서성(祕書省), 곧 교서관(校書館)을 가리킨다. 운각(韻脚)운자(韻字). 운각조조반악빈(雲閣早凋潘岳鬢)한참 나이에 궁정 누대(樓臺)에서 노닐면서 벌써 반백(半白)이 되었다는 말이다. 운각(雲閣)은 진(秦) 나라 2세(世) 호해(胡亥)가 세운 고루(高樓) 이름이다. 진(晉) 나라 문장가 반악(潘岳)이 32세에 벌써 백발로 변했다는 고사가 있다. 『문선(文選)』 秋興賦 序 운간원로(雲間鵷鷺)청운은 벼슬길을 뜻하고, 원로는 원추새와 백로로 조정의 관원을 가리킨다. 곧 벼슬길에 나간 벼슬아치들은 명리를 좇아 분주하다는 것이다. 운간육(雲間陸)육사룡(陸士龍)과 순명학(荀鳴鶴)은 서로 모르는 사이로 장무선(張..
230. 욱 욱욱(旭旭)아침 해가 떠오르는 모양, 기세가 좋음, 해가 막 돋아오르는 모양, 울려 퍼지는 소리, 소인이 교만을 부리는 모양, 자득의 모양, 자실의 모양 욱욱(彧彧)초목이 무성한 모양, 문체가 있는 모양, 빛나는 모양 욱욱(昱昱)태양이 눈부시게 빛나는 모양 인용목차
229. 우 우(禹)하(夏)의 개국 군주로, 아버지를 이어 홍수를 다스리는 데 공을 세워 순(舜)을 잇는 천자가 되었다. 우각가(牛角歌)빈궁한 선비가 벼슬을 구하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춘추시대(春秋時代)에 영척(甯戚)이 소의 뿔을 두드리면서(扣牛角) 노래를 불러 제 환공(齊桓公)의 상경(上卿)이 된 고사가 있다. 『사기(史記)』 八十三 「노중련추양열전(魯仲連鄒陽列傳)」 우각간전사(牛角看前史)당(唐) 나라 이밀(李密)이 소(牛) 등에 타고 쇠뿔에다 『한서(漢書)』를 걸어놓고 돌아다니면서도 읽었다 한다. 『당서(唐書)』 「이밀전(李密傳)」 우각상상가(牛角上相歌)춘추(春秋) 때 위(衛) 나라 영척(甯戚)이 쇠뿔을 두드리며 노래를 부르다가 제 환공(齊桓公)에게 발탁되어 정승이 된 고사이다. 우각횡경(牛角橫經)..
228. 용 용가(龍家)금산(錦山) 예현역(禮賢驛)에 용가(龍家)란 할머니가 있었는데, 용가는 그의 아들이다. 마을 사람들이 그 노파를 나이 많다 하여 감히 이름 부르지 못하고 아들 이름으로 불렀다. 나이 백 살이 넘도록 튼튼하고 무병(無病)하였다. 용가방(龍哥榜)사람을 조롱하는 벽보(壁報). 조선조 연산군 때, 무뢰배들이 사람을 조롱하는 벽보를 종루(鐘樓)에 붙이고, 그를 용가(龍哥)방이라고 했었다. 용강(龍岡)지명이다. 명 태조(明太祖)가 언젠가 종산(鍾山)에 행차하였다가 용강에서 순화문(淳化門)까지 걸어와서 시신(侍臣)들에게 이르기를, “내가 전답 근처를 지나보지 않은 지가 오래되었는데, 마침 농부들이 더위를 무릅쓰고 밭 가는 것을 보고는 너무 안쓰러운 마음이 들어 나도 모르게 걸어서 여기까지 왔다..
227. 욕 욕각문신종(欲覺聞晨鍾)두보(杜甫)의 시집 첫 번째로 등장하는 ‘유용문봉선사(遊龍門奉先寺)’라는 오언율(五言律) 낙구(落句)에 “잠 깰 즈음 들려오는 새벽 종소리, 사람을 대오 각성(大悟覺醒) 시키는도다[欲覺聞晨鍾 令人發深省].”라는 표현이 있다. 욕계(慾界)욕심에 젖은 세계. 욕기(浴沂)증점(曾點)이 공자(孔子)의 물음에 자기의 뜻을 대답하기를 “모춘(暮春)에 봄옷이 만들어지거든 관자(冠者) 5, 6인, 동자(童子) 6, 7인과 함께 기수에서 목욕하고 무우(舞雩)에서 바람을 쐰 다음, 시가를 읊으면서 돌아오겠습니다[浴乎沂 風乎舞雩 詠而歸].”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논어(論語)』 「선진(先進)」 욕기수(浴沂水)고상한 뜻을 품고 한가로이 유람함을 말한다. 『논어(論語)』 「선진(先進)」에 ..
226. 요 요(珧)대합조개로, 패각(貝殼)은 적갈색임, 장식용, 바둑돌 등으로 쓰인다. 일설(一說)에는 국자 가리비. 또는 조가비로 만든 칼의 장식. 요(澆)한착(寒浞)의 아들로, 소강(少康)에게 죽임을 당했다. 요가(鐃歌)군중(軍中)의 악가(樂歌)이다. 말 위에서 연주하여 군사들의 사기를 고취시키는 데 사용하고, 황제의 행렬이 출행할 때나, 공신들을 연향할 때, 개선하는 군대를 위해서도 연주한다. / 인용: 原詩(홍석주) 요객(要客)‘손님을 초청하다’라는 뜻이다. 요경(瑤京)도가에서 옥황상제(玉皇上帝)가 있다는 신선의 세계를 말한다. / 유의어: 요대(瑤臺). 요고(腰鼓)허리가 가늘게 생긴 타악기(打樂器)의 하나이다. 요공(姚公)명(明) 나라 성조(成祖) 때의 요광효(姚廣孝)를 말한다. 원래 이름이 ..
225. 외 외(廆)설문(說文)에 ‘외(廆)’는 ‘벽(癖)’이다.’라고 하였다. 외가(外價)조선시대 명종(明宗) 때 벼슬을 얻기 위하여 권귀(權貴) 본인에게 직접 뇌물을 쓰는 것. 권귀(權貴)들의 아내에게 뇌물을 쓰는 ‘내가’의 대가 되는 말이다. 외가국(外家國)원 순제(元順帝) 비(妃) 기 황후(奇皇后)가 고려 기자오(奇子敖)의 딸이므로 고려가 원(元)의 태자의 외갓집 나라가 된다. 외간서(畏簡書)간서는 이웃 나라 간에 서로 보내는 공문서로, 공무(公務) 때문에 집으로 돌아가 편히 쉴 수도 없다는 말이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출거(出車)」에 “국사가 다사다난하여, 편히 쉴 틈도 없네. 돌아가고 싶은 생각 어찌 없으랴만, 명령이 두려워 못 가는 신세로세[王事多難 不遑啓居 豈不懷歸 畏此簡書].”..
224. 왜 왜관개시(倭館開市)세종조 때 처음 시작되었다가 그 이후 삼포왜란(三浦倭亂)을 계기로 폐지되었다. 왜역(哇鶂)너무 깔끔한 사람. 제(齊)의 진중자(陳仲子)는 성품이 너무 깔끔하여 만종(萬鍾)의 녹(祿)을 먹고 있는 자기 형 대(戴)의 녹과 집이 모두 불의(不義)한 것이라 하여 먹지도 살지도 않고 오릉(於陵)이라는 곳에 따로 가 살면서 사흘씩이나 굶어야 할 정도로 궁하게 지냈는데, 하루는 자기 형 집에 왔다가 누가 산 거위를 가져온 것을 보고는 얼굴을 찌푸리며 하는 말이 꽥꽥하는 그것을 무엇 하려고 받느냐고 하였다. 그 다음 어느 날 그가 또 와서 자기 어머니가 그 거위를 잡아가지고 함께 먹고 있었는데, 때마침 자기 형이 밖에서 돌아와 그 먹는 것을 보고는, “야 그게 바로 꽥꽥하는 그 고기다...
223. 왕 왕가(王家)오대(五代) 시대 전촉(前蜀)을 세운 왕씨(王氏)의 조정을 말한다. 왕가주수(王家珠樹) ① 당나라 왕발(王勃)의 삼형제(三兄弟)가 모두 글을 잘하므로 두이간(杜易簡)이, “왕씨 집의 세 구슬나무라[王家三珠樹].”고 칭찬하였다.② 왕가(王家)는 당(唐) 나라 때의 왕복치(王福峙) 집을 가리키며, 주수(珠樹)는 선목(仙木)으로 남의 훌륭한 아들을 일컫는 말이다. 복치의 아들 발(勃) 등 5형제가 모두 문장이 뛰어나니 사람들은 주수라고 일컬었다. 한번은 복치가 한언사(韓彦思)에게 아들 자랑을 하자, 언사는 희롱하기를 “무자(武子)는 말을 자랑하는 벽(癖)이 있더니 자네는 아들을 자랑하는 벽이 있네.” 하였다. 왕가주수삼(王家珠樹三)훌륭한 형제들을 일컫는 말이다. 당(唐) 나라 때 왕거(..
222. 왈 왈가왈부(曰可曰否)어떤 일에 옳거니, 옳지 않거니 하고 말한다. 왈리왈시(曰梨曰柹)배 놓아라, 감 놓아라 한다. 즉 ‘쓸데없이 남의 일에 간섭한다’는 뜻이다. 인용목차
221. 완 완가질(阮家姪)그 숙부에 그 조카라는 세상의 좋은 평판. 진(晉) 나라 명사인 완함(阮咸)이 완적(阮籍)의 조카로서 똑같이 죽림칠현(竹林七賢)에 속했으므로 당시에 대완(大阮)과 소완(小阮) 혹은 이완(二阮)이라고 불렸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진서(晉書)』 「완함전(阮咸傳)」 완계사(浣溪沙) ① 옛 사패(詞牌) 이름이다. 43자로 되어 있다. 『사율(詞律)』 卷三② 한(漢)의 군악(軍樂) 명칭. 18곡 중의 하나로, 마음이 변한 님을 다시는 생각지도 말고 만나지도 말아야겠다는 슬픈 내용으로 되어 있다. 완공(阮公)완적(阮籍)을 말한다. 완공곡도궁(阮公哭途窮)『진서(晉書)』 「완적전(阮籍傳)」에 “그는 가끔 마음이 내키면 혼자서 수레를 타고 놀러 나가 오솔길로는 가지 않고 큰길이 끝나면 통..
220. 와 와각(蝸角)조그마한 땅덩어리를 말한다. 만(蠻)과 촉(觸)은 달팽이 뿔 위에 있는 나라로, 작은 일을 가지고 서로 아옹다옹 다투는 것을 말한다. 『장자(莊子)』 「칙양(則陽)」에, “달팽이의 왼쪽 뿔 위에 있는 나라를 촉씨(觸氏)라 하고, 달팽이의 오른쪽 뿔 위에 있는 나라를 만씨(蠻氏)라 하는데, 서로 영토를 다투어서 전쟁을 하였다.” 하였다. 와각명(蝸角名)‘하찮은 일로 서로 싸우는 것’을 말한다. 『장자(莊子)』 「칙양(則陽)」에 “달팽이의 왼쪽 뿔은 만(蠻)이란 나라요 오른쪽 뿔은 촉(觸)인데, 땅을 다투어 싸우느라 주검이 1만이나 되었다.”는 말이 있다. 와각명금현(臥閣鳴琴絃)공자의 제자 자천(子賤)이 선보(單父)에 수령(守令)이 되어 가서 거문고를 타면서 백성을 잘 다스렸다. 『공..
219. 옹 옹결(臃決)응어리가 터졌다는 것은 죽은 것을 말한다. 자상호(子桑戶), 맹자반(孟子反), 자금장(子琴張) 세 사람은 매우 절친한 친구였다. 자상호가 죽었는데 장사를 치르지 않고 한 사람은 노래를 부르고 한 사람은 거문고를 탔다. 자공(子貢)이 위문하러 갔다가 이러한 광경을 보고 돌아와서 공자(孔子)에게 말하자, 공자가 말하기를, “그들은 조물주와 동반하여 천지의 사이에서 노니는 사람들이다. 그들의 견해는, 생명체는 기가 응결된 것으로서 마치 몸에 붙어 있는 사마귀와 같고 죽는 것은 기가 흩어진 것으로서 마치 응어리가 터진 것과 같다고 여긴다. 그런데 그들이 어찌 생사(生死)의 선후를 아랑곳하겠는가.” 하였다. 이는 장자(莊子)가 지어 낸 우화(寓話)이지, 공자의 말이 아니다. 『장자(莊子)』..
218. 올 올올(兀兀)마음을 한 곳에 쏟아 움직이지 않는 모양, 쉬지 않고 힘쓰는 모양, 흔들리어 위태로운 모양 올올(仡仡)배가 움직이는 모양 올올등등(兀兀騰騰)어리숙한 모습으로 자족(自足)하며 느긋하게 즐기는 생활을 말한다. 백거이(白居易)의 시 약심(約心)에 “兀兀復騰騰 江城一上佐”라는 구절이 있다. 또 제석상인(題石上人)이라는 시에는 “騰騰兀兀在人間 貴賤賢愚盡往還”이라는 표현이 있다. 올자(兀者)형벌(刑罰)에 의해 발뒤꿈치를 잘린 불구자. 올자안도장(兀者安堵墻)다리 한쪽이 잘려 병신이 된 사람은 부역에 나가지 않고 집안에 편안히 지낸다는 말이다. 두보(杜甫)의 시 입형주(入衡州)에 “최관(崔瓘)이 고을을 다스리고부터 과부들이 외짝 다리 병신처럼 집안에서 편안히 지내게 되었다[寡妻從爲郡 兀者安堵墻]..
217. 온 온개(溫疥)연(燕) 나라 장수 이름이다. 『사기(史記)』 「한고조본기(漢高祖本紀)」 온고지신(溫故知新)옛 것을 익혀 그것을 바탕으로 해서 새 것을 앎.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옛 것을 익혀서 새로운 사실을 알면 스승이 될 수 있다[子曰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하였다. 『논어(論語)』 「위정(爲政)」 온교취태(溫嶠醉態)진원제(晉元帝) 때 왕돈이 반란을 일으킬 기미를 눈치채고, 온교가 짐짓 왕돈과 그의 심복인 전봉과 친하게 교제를 맺은 뒤, 전봉이 자신의 정체에 대해 왕돈에게 고자질하는 것을 무위로 돌릴 목적으로 일부러 취태(醉態)를 부린 것을 말한다. 『진서(晉書)』에 “왕돈이 온교에게 송별연을 베풀었을 때 온교가 일어나 행주(行酒)하였는데, 전봉의 앞에 와서 전봉이 미처 마시지 않은 것을 보고..
216. 옥 옥(屋)가옥의 꼭대기 덮개를 말한다. 허름한 집이나 아니면 제대로 완성된 형태의 구조를 갖추지 못한 장사하는 집 등, 완전하지 못한 집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주거의 공간을 뜻하기도 한다. 옥가(玉珂)5품(品) 이상의 관원이 말(馬)에 다는 옥 장식이다. 참고로 두보(杜甫)의 시에 “不寢聽金鑰 因風想玉珂”라는 구절이 있다. 『두소릉시집(杜少陵詩集)』 卷6 「춘숙좌성(春宿左省)」 옥가(玉斝)옥술잔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궁중의 술을 가리킨다. 옥갑(玉匣)주옥으로 장식한 상자를 말하는데, 한(漢) 나라 때 황제 및 제후왕의 장례(葬禮)에 쓰이던 물품이다. 옥검(玉檢)보배로운 글. 옥검은 「봉선서(封禪書)」를 담아 보관하는 상자라는 뜻을 지닌 금니옥검(金泥玉檢)의 준말로, 천지신명의 가호를 비는 뜻을..
215. 오 오(鼇)큰 거북. 봉래산을 등에 지고 넓은 바다에서 논다 한다. 『열자(列子)』 「탕문(湯問)」 오가(吳歌)슬프고 상심스러운 정을 읊은 노래를 말하는 데, 대표적인 것이 이백(李白)의 「자야오가(子夜吳歌)」이다. 오가시(吳家詩)역시 이옹에게 준 시 중의, “例及吾家詩 曠懷掃氛翳”에 보인다. 오간(烏干)백제 온조왕의 신하. 주몽(朱蒙)의 첫 부인에게서 난 유리(類利)가 태자가 되자, 둘째부인의 소생인 온조가 용납되지 못할까 두려워하여 남으로 한산(漢山)에 이르러 백제국을 세웠는데, 온조가 남하할 때 오간 등 10여 인을 데리고 왔다 한다. 오강여노기(吳江餘怒氣)춘추시대(春秋時代) 때 초 나라 사람인 오자서(伍子胥)의 한이 남아 있다는 뜻이며, 오강은 전당강(錢塘江)을 말한다. 오자서는 초 나라..
214. 예 예(羿) ① 봉황(鳳凰)과 비슷하면서도 봉황이 아닌 새의 이름이다. 『초사(楚辭)』 「이소(離騷)」에 “옥규를 사마로 삼고 예를 타노라(駟玉虯而乘翳)”하였다.② 옛날에 활을 잘 쏘던 사람의 이름이다. 『맹자(孟子)』 「이루(離婁)」 下에 “방몽(逄蒙)이 예(羿)에게 활 쏘는 법을 배워 예의 기술을 다 배우고는 천하에 오직 예만이 자기보다 낫다고 여겨 예를 죽였다.” 하였다.③ 요(堯)때의 명사수(名射手). 요 임금 때 열 개의 태양이 한꺼번에 나와 초목이 다 말라죽으므로 요가 예로 하여금 쏘게 하니 일(日)중에 있던 아홉 까마귀가 죽어서 날개를 떨어뜨리고 하나가 남았다고 한다. 예가 태양을 향해 활을 쏘았을 때 하늘의 해가 터지고 금빛 깃털들이 이리저리 흩날렸는데 떨어진 것을 보니 거대한 삼..
213. 영 영가(永嘉) ① 남조 송(南朝宋) 때 사령운(謝靈運)이 영가태수(永嘉太守)로 나갔을 적에 영가군에는 이름난 산수가 많았으므로, 사령운이 산수를 대단히 좋아하여 여러 현(縣)을 두루 돌아다니면서 마음껏 완상하고 가는 곳마다 시(詩)를 읊곤 했던 데서 온 말이다. 『송서(宋書)』 卷六十七② 복주(福州)ㆍ영가(永嘉)는 모두 안동(安東)의 고호(古號)이다.③ 진 회제(晉懷帝)의 연호 영가(嬴家)진시황(秦始皇)의 성(姓)이 영씨(嬴氏)로, 즉 진(秦) 나라를 지칭한 말이다. 영가납극개족도(永嘉蠟屐豈足道)선불교(禪佛敎)에서 말하는 깨달음 같은 것은 거론할 것도 없다는 말이다. 당(唐) 나라 영가(永嘉)의 현각선사(玄覺禪師)가 조계(曹溪)의 육조대사(六祖大師)를 만나 언하(言下)에 계오(契悟)하고 하룻밤..
212. 엽 엽각(獵較)사냥할 때 옆 사람이 사냥한 것을 서로 빼앗아 제물로 사용했던 노(魯)나라의 풍속이다. 공자가 노 나라에 벼슬살이를 할 때 그것이 예절이 아닌 줄을 알면서도 풍속을 따라 역시 그와 같이 하였다고 한다. 『맹자(孟子)』 「만장(萬章)」 下 엽고(獵鼓)공자묘정(孔子廟庭)에 있는 빗돌로 석고문(石鼓文)을 말하는데 주 선왕(周宣王)이 기양(岐陽)에서 사냥하고 수행한 신하로 하여금 새기게 했다 한다. 엽공지룡(葉公之龍)표면상으로 좋아하는 척하면서 속으로 싫어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써 옛날에 엽공이 요을 좋아하여 자기 집안의 문이며 기중에 모두 용을 그려놓고 새겨놓아 하늘의 용이 크게 기뻐하여 하늘에서 내려와 창문으로 얼굴을 내미니 엽공이 겁에 질려 도망갔다는 고사가 있다. 엽공탁내열(葉公濯..
211. 염 염가(艶歌)비파(琵琶)의 곡조. 『악부시집(樂府詩集)』 「슬조곡(瑟調曲)」에, “古今樂錄曰 艶歌行非一 有直云艶歌卽艶歌行是也 若羅敷 何嘗 雙鴻 福鍾等行 亦皆艶歌”라고 보인다. 염거(鹽車)① 소금 수송하는 수레. 이는 양마(良馬)가 노마(駑馬)와 어울려 소금수레를 끈다는 말로, 사람의 불우지탄(不遇之嘆)을 말한다.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② 소금을 실은 수레를 말한다.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에, “늙은 기(驥)가 소금 수례를 끌고 태항산(太行山)을 오를 적엔 녹즙(漉汁)을 땅에 뿌리고 흰 땀이 아울러 흘러 중판(中坂)에서 배회하며 올라가지를 못한다[夫驥之齒至矣, 服鹽車而上大行. 蹄申膝折, 尾湛胕潰, 漉汁灑地, 白汗交流, 中阪遷延, 負轅不能上].” 하였는데, 이는 어진 인재..
210. 열 열가(熱家)권세 있는 집을 이른 말이다. 열객(熱客)‘세상의 명리를 추구하는 비속한 사람’을 말한다. 열결(列缺)① 하늘이 쪼개져서 이지러짐. 번개, 번갯불, 전광, 섬광(閃光)을 말한다.② 고대의 전설 속에 나오는 뇌신(雷神)의 이름이다. 열경(悅卿)세조 때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김시습(金時習)의 자이다. 삼각산(三角山) 중흥사(重興寺)에서 공부하던 중 수양대군이 왕위에 올랐다는 소식을 듣고 책을 불태운 뒤에 전국 각지를 방랑하였는데, 청평산에도 들러 몇 수의 시를 남겼다. 열관(熱官)냉관(冷官)의 반대말로 ‘매우 권세가 있는 관원’을 말한다. 열관자수(熱官炙手)‘권세가 있는 사람이 권세가 손조차 대지 못할 정도로 대단하다’는 뜻이다. 열극(列戟)① 문 앞에 시위(侍衛)가 죽 늘어서..
209. 연 연(輦)① 임금의 수레② (수레로) 나르다. 연(聯)한시(漢詩)의 대구(對句). 연가(燕歌)비장(悲壯)한 곡조의 노래를 말한다. 전국시대(戰國時代) 연(燕) 나라의 자객(刺客) 형가(荊軻)가 진왕(秦王)을 죽이려고 떠날 때 역수(易水) 위에서 “차가운 역수 가에 바람결 쓸쓸한데, 장사 한번 떠나면 다시 돌아오지 않으리[風蕭蕭兮易水寒 壯士一去兮不復還].”라는 노래를 부른 고사가 있다.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 三 연가점여주인유(燕歌漸與酒人游)형가(荊軻)가 뜻을 품고 사방을 주유하다가 연(燕)에 와서는 시장의 개백정 또는 술꾼과 어울려 술을 진탕 마시고 취하면 노래를 하다가 또 서로 부둥켜안고 울기도 하다가 마치 곁에 아무도 없는 듯이 놀았다는 것이다. 『사기(史記)』 「자객열전(刺客..
208. 역 역간애제한(易簡愛虀汗)송나라 소이간(蘇易簡)에게 임금이 묻기를, “무슨 음식이 맛나는가.” 하니, 대답하기를, “때에 따라 일정하지 않습니다. 신이 한 번은 술을 취하게 먹고 새벽에 목이 마른데 마실 것이 없어 뜰 앞에 부추를 담근 독이 있기에 그 즙을 마셨더니 그 맛이 제일 신선하고 좋았습니다.” 하였다. 역개(酈疥)한(漢) 나라 역이기(酈食其)의 아들로 고양후(高梁侯)에 봉해졌다. 역개월정(曆改月正)하(夏)ㆍ은(殷)ㆍ주(周) 3대 이래 왕조가 바뀔 때마다 역서(曆書)의 정월이 달라졌다. 역경(酈瓊)송 상주(相州) 임장(臨漳) 사람으로 자는 국보(國寶)이다. 송과 금의 전쟁이 처음 일어났을 때 군중 수백명을 모아 종택(宗澤)을 따랐다. 남도 후에는 류광세(劉光世) 부통제(部統制)가 되었다...
207. 여 여(女) ① 남의 딸을 일컬을 때: 영애(令愛), 영녀(令女), 영원(令媛), 영교(令嬌), 영양(令孃), 영천금(令千金)② 자신의 딸을 일컬을 때: 女息(여식) 자신의 아들자신의 딸가돈(家豚), 가아(家兒), 돈아(豚兒), 미돈(迷豚), 미식(迷息), 미아(迷兒)女息(여식)남의 아들 존칭남의 딸 존칭영랑(令郞), 영윤(令胤), 영식(令息), 영교(令嬌), 영녀(令女), 영애(令愛), 영양(令孃), 영원(令媛), 영천금(令千金) 여가(驪歌)여구가(驪駒歌)의 준말로 이별을 고하는 노래이다. 고대(古代)에 고별할 때 불렀던 여구(驪駒)라는 시편(詩篇)이 있었던 데에서 기인한다. 여가(與可)송(宋) 나라 문동(文同)의 자(字)이다. 대를 제일 잘 그렸고 시문(詩文)에도 능하였으며, 예서(隷書)와 ..
206. 업 업가(鄴架)당(唐) 나라 때 업후(鄴侯)로 봉해진 이필(李泌)의 서가(書架)를 말하는데, 이필은 많은 책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장서(藏書)가 많은 사람을 업가라 말한다. 업도(業道)혹도(惑道)·업도(業道)·고도(苦道)의 3도 중 하나로, 망심(妄心으로 일어나는 몸ㆍ입ㆍ뜻으로 짓는 업이다. 업도(鄴都)하남성(河南省) 창덕부(彰德府). 업백(業白)부처의 가르침을 배우면서 착한 일을 하는 것을 말한다. 업성(鄴城)① 삼국(三國)시대 위(魏)의 도읍지. 『북제서(北齊書)』 「문원전(文苑傳)」에, “업경 속에 연기 자욱하고 안개가 집결했다[鄴京之下煙霏霧集].” 하였다.② 한(漢) 나라가 설치한 현명(縣名). 삼국 시대에 위(魏) 나라 도읍으로 되었다. 업수(鄴水)업은 삼국(三國) 시대 위(魏) 나라의 ..
205. 엄 엄가만석(嚴家萬石)집안의 형제들 가운데 고위 관원이 많이 배출된 것을 말한다. 한(漢) 나라 엄연년(嚴延年)의 형제 다섯 사람이 모두 2천 석(石)의 고위직을 차지하였으므로, 당시에 그 모친을 ‘만석 엄구(萬石嚴嫗)’라고 불렀던 고사가 전한다. 『한서(漢書)』 卷90 「엄연년전(嚴延年傳)」 엄경부(嚴敬夫)경부는 엄성(嚴惺)의 자이다. 엄공계(嚴公界)개원전신기(開元傳信記)에 “임금이 근정루(勤政樓)에 나와 백성에게 주식(酒食)을 나누어주는데, 인파가 마구 몰려들어 금오(金吾)가 제지시키지 못했다. 임금이 경조윤(京兆尹) 엄안지(嚴安之)를 불러 규약을 세우라고 하자 안지가 수판(手板)으로 땅을 그어 한계를 정해 놓고, 이 한계를 범하는 자는 사형에 처하겠다고 했다. 그러자 사람들이 그것을 ‘엄공..
204. 얼 얼신(臬臣)관찰사(觀察使)의 별칭이다. 본디 중국 원(元) 때의 염방사(廉訪使), 명(明)ㆍ청(淸) 때의 안찰사(按察使)를 얼사라 별칭한다. 얼은 법(法)의 뜻, 그 복명(復命)이 법처럼 확고하여 변동이 없다는 뜻이다. 얼얼(孼孼)머리를 화려하게 꾸민 모양, 막 무너지려는 모양 얼용(櫱樁)나무를 베어 내고 남은 그루터기, 혹은 거기에서 갓 생겨난 여린 싹으로, 재질이 미미하여 보잘것이 없음을 표현한 것이다. 얼지어(於乙於)과일의 이름이다. 그 열매는 팥같이 생겼으면서 조금 큰데 맛이 달고도 시다. 그 즙(汁)을 내어 꿀에 버무려놓으면 몹시 상쾌한 맛이 난다고 한다. 인용목차
203. 언 언감생심(焉敢生心)어찌 감히 마음을 생기게 하리오. 너무도 ~하여 감히 (그러한) 마음조차 품을 수 없음. 언건(偃蹇)말이 춤추는 모양. 우아하게 춤추는 모양. 언건지(偃蹇枝)소나무에 대한 시적 표현이다. 언근지원(言近旨遠)말은 가깝고 뜻은 멀다. ‘말이 가깝다’는 의미는 표현이 쉽고, 그 내용이 우리 일상에서 늘 친근하게 대하고 경험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친숙하고 쉽다는 뜻이다. ‘뜻이 멀다’는 것은 의미가 심오하다는 뜻이다. 언근지원(言近旨遠)은 말이나 글은 쉬우면서도 깊은 뜻을 지녀 두고두고 그 맛과 의미를 음미하고 새길 수 있는 명문(名文)을 말한다. 즉 언근지원(言近旨遠)은 ‘가까운 데서 깊은 이치를 찾아내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언내(焉乃)‘이에’라는 뜻이다. 언문일치(言文一致)실..
202. 억 억강부약(抑强扶弱)강한 자를 억누르고 약한 자를 도와줌. 억계(抑戒)『시경(詩經)』 대아(大雅) 「억(抑)」이 있는데, 위(衛)의 무공(武公)이 나이 90세에 그 시를 지어서 스스로 경계한 것이다. 억억(嶷嶷)덕이 높은 모양, 어린애 지혜가 뛰어난 모양 억억(抑抑)삼가고 조심한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억(抑)」를 말한다. 위 무공(衛武公)이 나이 95세에 자신의 행동을 경계하기 위해 억시(抑詩)를 지어 사람으로 하여금 날마다 곁에서 읽게 하였다. 억조창생(億兆蒼生)무성히 우거진 초목처럼 무수히 많은 백성을 말한다. 즉 모든 백성 또는 세상 사람 억진아(憶秦娥)이백(李白)의 악부(樂府) 이름으로, 전편은 다음과 같다. “簫聲咽秦娥夢斷 秦樓月秦樓月年年柳色灞陵傷別 樂游原上淸秋節 咸陽古道..
201. 어 어가오(漁家傲)사패명(詞牌名). 송(宋) 나라 안수(晏殊)가 지은 것이다. 사보(詞譜)에 “이 조(調)를 상고하건대 안수(晏殊)로부터 비롯되었는데, 사(詞)에 ‘신선이 사는 언덕을 어부들이 하찮게 여기네[神仙一曲漁家傲].’라는 말이 있었으므로 취하여 이름으로 삼았다.” 하였다. 어개(御鎧)임금이 하사한 갑옷을 말한다. 어경인(語驚人)소릉은 두보(杜甫)의 호인데, 그의 「강상치수여해세료단술(江上値水如海勢聊短述)」 시에 “나는 사람됨이 좋은 시구 탐하는 버릇이 있어 말이 남을 놀래지 못하면 죽어도 마지않는다오[爲人性僻耽佳句 語不驚人死不休].” 한 데서 온 말이다. 『두소릉집(杜少陵集)』 卷十 어괴종연비성도(語怪縱然非聖道)『논어(論語)』 「술이(述而)」에 “공자는 괴이와 용력과 패란과 귀신을 말하..
200. 양 양(量)많고 적음을 다는 기구. 양(梁)소연(蕭衍)이 세운 중국 남조(南朝)의 제3왕조(502~557). 소량(蕭梁)이라고도 한다. 남제(南齊) 말 내란이 일어나자 옹주자사(雍州刺史) 소연은 501년 건강(建康; 南京)을 공략, 폭군 동혼후(東昏侯)를 퇴위시키고 남강왕(南康王)을 화제(和帝)로 추대하여 스스로는 상국(相國)이 되었으나, 502년 화제를 선양(禪讓)받아 제위(武帝)에 오르고 국호를 양이라 하였다. 무제가 다스린 48년간의 전반은 내정의 정비에 힘썼고, 후반에는 무제 스스로가 불교신앙에 열중하여 문화의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나, 내정의 질서는 흩어졌다. 548년 북조(北朝)의 동위(東魏)에서 망명한 후경)侯景)이 건강에서 반란을 일으켜 궁중에 유폐된 무제는 병사하고, 2대 간문제(簡..
199. 약 약(若)바다 귀신의 이름이다. 『장자(莊子)』 「추수(秋水)」에, 북해(北海)의 약(若)이 황하(黃河)의 귀신인 하백(河伯)에게 만물의 평등한 이치를 설명해 주는 대목이 나온다. 약(約)줄을 조절하는 기구. 약가(藥加)봉계(鳳溪)에 이름이 약가(藥加)라는 열녀(烈女)가 있었는데, 그의 남편이 왜인(倭人)에게 잡혀갔다. 약가는 남편의 생사를 알지 못한 채, 무릇 8년 동안이나 고기를 먹지 않고 옷도 벗지 않고 자곤 하다가 끝내 남편이 살아서 돌아오자 다시 부부(夫婦)가 되었다. 약간(若干)『예기』 「곡례」의 주에 이르기를, “약(若)은 같다는 뜻이다. 숫자는 1에서 시작되어 10에서 이루어지는데, 간(干) 자의 글자 모양이 일(一)과 십(十)을 합친 글자이다. 그러므로 1과 같거나 10과 같음..
198. 야 야계녀(耶溪女)춘추시대(春秋時代) 오왕(吳王) 부차(夫差)의 총희(寵姬)로서, 미녀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는 서시(西施)를 가리킨다. 그녀가 일찍이 약야계(若耶溪)라는 시내에서 빨래를 했다는 전설에서 비롯된 것이다. 야광(夜光)달. 야광생백(夜光生白)『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에 “虛室生白 吉祥止止”라는 글이 있다. 야근(野芹)들 미나리. 옛사람이 미나리를 먹어보고는 맛이 아름답다고 여겨 이것을 임금에게 바치고자 했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즉 자신의 의견을 웃사람에게 바칠 때의 겸사로 쓰인 말이다. 『열자(列子)』 「양주(楊朱)」 야기(夜氣)새벽의 청정(淸淨)한 마음을 말한다. 사람이 밤으로부터 아침에까지 사물과 접촉하지 아니하였을 때에는 기(氣)가 청명(淸明)하므로 양심(良心)을 보존..
197. 앵 앵로(鸚鸕)술잔 이름인 앵무배(鸚鵡杯)와 노자표(鸕鶿杓)를 합칭한 말로, 당(唐) 나라 이백(李白)의 「양양가(襄陽歌)」에 “노자표여 앵무배여, 백 년 삼만육천 일에, 하루에 삼백 배씩 기울여야지[鸕鶿杓鸚鵡杯 百年三萬六千日 一日須傾三百杯]” 한 데서 온 말이다. 앵록(鸚綠)앵무새의 목털처럼 푸른빛을 말한다. 앵림(鸎林)꾀꼬리가 우는 깊은 숲 속이라는 뜻으로, 초야(草野)를 가리킨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벌목(伐木)」에 “도끼 소리 쿵쿵, 새 소리 꾀꼴꾀꼴. 깊은 골짜기에서 나와, 높은 나무로 옮겨 가네[伐木丁丁 鳥鳴嚶嚶 出自幽谷 遷於喬木].”라는 표현이 있다. 앵명(嚶鳴)『시경(詩經)』 소아(小雅) 「벌목(伐木)」의 “짹짹거리는 새들이여, 벗을 찾는 소리로다[嚶其鳴矣 求其友聲].”..
196. 액 액(蚅)콩망아지 또는 배추벌레. 액궁서온복(額穹犀穩伏)귀상(貴相)의 하나로 이마 양 쪽에 툭 튀어나온 뼈가 있는 것을 말한다. 액반황(額半黃)옛날 중국의 여인들이 이마에 노랑칠을 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한 나라 때부터 시작되었다 한다. 액생풍(腋生風)당 나라 노동(盧仝)이 지은 다가(茶歌)에, “일곱 잔 째는 못다 먹고, 두 겨드랑이에 펄펄 맑은 바람이 난다.” 한 구절이 있다. 액액(啞啞)웃음소리, 웃으며 이야기하는 소리 액액(砨砨)새소리, 웃음소리 액우(液雨)음력 10월에 내리는 비를 이른다. 온갖 벌레들이 이것을 마시고 겨울잠에 들어가기 때문에 또는 약우(藥雨)라고도 한다. 액원(掖垣)궁궐의 담. 당 나라 때에 한림원이 서액(西掖)에 있었다. 액원(掖垣)문하성(門下省)과 중서성(中書省)..
195. 애 애가리(哀家梨)한(漢) 나라 말릉(秣陵) 땅 애중(哀仲)의 집에 배나무가 있었는데 맛이 매우 좋고 크기가 됫박만하여 입에 넣으면 녹아서 그 당시에 애가의 배가 유명하였다. 애납(艾蒳)서국(西國)에서 생산된다는 향(香) 이름이다. 애내곡(欸乃曲)시가(詩歌)의 이름이다. 애내는 뱃사공들이 노를 저으면서 부르는 노래인데, 당(唐) 나라 원결(元結)이 이 곡을 지었다. 애막조(愛莫助)『시경(詩經)』 대아(大雅) 「증민(烝民)」에, 중산보(仲山甫)의 덕을 기리면서 “아무리 사랑해도 도와줄 여지가 없도다[愛莫助之].”라는 표현이 있다. 애매모호(曖昧模糊)사물의 이치가 희미하고 분명치 않음. 애명교(隘名敎)인륜(人倫)의 명분(名分)을 밝히는 유교(儒敎)를 말하는 것인데, 곧 도덕의 교. 단적으로 노장(老..
194. 앙 앙관부찰(仰觀俯察)하늘을 쳐다보고 천문을 살피고 땅을 굽어보며 지리를 관찰한다. 앙급지어(殃及池魚) ① 못 속의 물고기에까지 재앙이 미쳤다(殃及池魚)는 것은 무고하게 화를 당했다는 뜻으로, 보주(寶珠)를 찾으려고 못 속의 물을 모두 퍼내다 보니 물고기까지 다 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여씨춘추(呂氏春秋)』 「필기(必己)」② 초(楚)나라 성문에 불이 붙어, 성 밖에 있는 연못의 물로 이 불을 끄게 되었는데, 못의 물이 전부 없어져 그 속에 있던 고기들이 모두 말라죽은 고사에서 비롯됨. 이유 없이 재앙(災殃)을 당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앙말육마조(仰秣六馬槽)백아(伯牙)가 거문고를 타면 소리가 하도 아름다워서 꼴을 먹고 있던 여섯 마리의 말이 일제히 고개를 들고 하늘을 우러러 슬피 ..
193. 압 압각(鴨脚)① 아욱(葵)의 별명이다.② 은행나무의 별칭이다. 압강자기(鴨江紫氣)조선 태조(太祖)를 가리킨다. 압구옹(狎鷗翁)한명회(韓明澮)를 말한다. 압구정(狎鷗亭) ① 두모포(豆毛浦) 남쪽 언덕에 세워진 정자.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부귀를 원없이 누린 한명회(韓明澮)가 그곳에다 정자를 지었는데, ‘압구정’이란 이름은 그가 명(明)나라에 사신 가서 그곳 한림학사(翰林學士) 예겸(倪謙)에게서 얻어 온 것으로 당시에는 그 정자가 중국에까지 이름이 났었다고 한다. 『동사개략(東史槪略)』② 송나라 재상 한기(韓琦)에게 압구정(狎歐亭)이 있었다. 압구해객(狎鷗海客)『열자(列子)』 「황제(黃帝)」에 “바닷가에 갈매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어 아침마다 바닷가에 나가 갈매기들과 놀았는데, 백 마리가 넘..
192. 암 암거천관(巖居川觀) 은거 생활을 하며 유유자적하게 노니는 것을 말한다. 『사기(史記)』 「범수채택열전(范睢蔡澤列傳)」의 “그대는 어찌하여 이때에 정승의 인끈을 풀어 어진 이에게 주고 물러나 암혈에서 살며 냇물을 벗하려 하지 않는가[君何不以此時歸相印 讓賢者而授之 退而巖居川觀].”라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암경(巖扃) 자연적으로 된 바위문. 전하여 은자(隱者)가 사는 곳을 말한다. 암담(黯黮) 구름이 검게 낀 모양. 또한 구름이 검게 끼어서 티가 있도다. 암라(菴羅) 인도에서 나는 과일 이른다. 암마라(菴摩羅) 또는 무구청정(無垢淸淨)이라 번역하기도 한다고 한다. 『불교사전(佛敎辭典)』 암랑(巖廊) 높고 큰 낭무(廊廡)로, 묘당(廟堂)과 조정(朝廷)의 별칭이다. 곧 벼슬살이를 말한다. 암류(暗..
191. 알 알동(斡東)경흥(慶興)에 있는 지명이다. 이 태조(李太祖)의 선조인 목조(穆祖)가 맨 처음 덕원(德源)에서 이곳으로 옮겨와 살았고 아들 익조(翼祖) 또한 그 뒤를 이어 이곳에서 살았는데, 그의 덕망이 여진(女眞)에 널리 미치게 되자, 이를 시기한 여진의 침략에 의하여 부득이 가솔을 거느리고 적도(赤島)로 건너가 살았던바, 이곳에서는 움을 파고 살았다 한다. 알력(軋轢)삐꺽거릴 알(軋)과 삐꺽거릴 력(轢)이 합쳐진 글자로 수레바퀴가 맞지 않아 삐꺽거린다는 뜻이다. 서로 의견이 맞지 않아 자주 충돌하거나, 맞서는 것을 가리킨다. 알목하(斡木河)지금의 함경북도 회령(會寧) 지역이다. 알묘(揠苗)되지 않을 일을 억지로 하려는 것을 비유한 말로, 『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 上에 옛날 송(宋)..
190. 안 안가입훈(顔家立訓)안씨(顔氏)는 북제(北齊)사람 안지추(顔之推)를 말한 것으로 지추가 두 권의 『안씨가훈(顔氏家訓)』을 저술하였다. 『북사(北史)』 卷八十三 안건(顔騫)공자(孔子)의 제자 안연(顔淵)과 민자건(閔子騫)을 말한 것으로 곧 훌륭한 제자를 가리킨다. 안건(岸巾)두건을 뒤로 제껴 써서 이마가 훤히 드러나게 하는 것. 전하여 예법을 무시하고 아무에게나 친근하게 대면하는 것을 말한다. 이설에는 미천한 자가 쓰는 두건이라고도 한다. 안검(按劍)『사기(史記)』 「노중연추양열전(魯仲連鄒陽列傳)」에 “명월주(明月珠)와 야광벽(夜光璧)을 어둠 속에서 길가에 내던지면 칼자루를 잡고서(按劍) 노려보지 않는 자가 없다[明月之珠, 夜光之璧, 以闇投人於道路, 人無不按剣相眄者].”는 말이 있다. 안경파금설..
189. 악 악(鶚)물수리는 한 번 서 있으면 좀처럼 자리를 옮기지 않으므로 예부터 강직한 사람을 상징하는 말로 쓰였다. 악강신(嶽降神)훌륭한 재상임을 말한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숭고(崧高)」에 “사악이 신을 탄강시켜 보후와 신백을 내었도다 신백과 보후는 오직 주 나라의 기둥이로다[維嶽降神 生甫及申 維申及甫 維周之翰].” 한 데서 온 말인데, 여기서 말한 사악이란 바로 동쪽 태산(泰山), 남쪽 곽산(霍山)·, 서쪽 화산(華山), 북쪽 항산(恒山)을 말하고, 보후(甫侯)는 주목왕(周穆王) 때의 현상(賢相)이며, 신백(申伯)은 주 선왕(周宣王) 때의 현상이다. 악광(樂廣)진(晉) 나라 사람. 위관(衛瓘)이 그를 보고 기이하게 여기며 “이는 사람 수경(人水鏡)이다. 마치 운무(雲霧)를 헤치고 하늘..
ㅇ 188. 아 아가(阿家)아내가 남편의 어머니를 일컫는 말로, 전하여 ‘남편의 집’을 말한다. 아가(雅歌)후한 때 채준(祭遵)이 장군이 되어서는 막하(幕下)에 모두 유술(儒術)을 갖춘 사람들을 등용하여 술을 마시며 음악을 베풀 적에는 반드시 아시를 노래하고 투호(投壺)를 즐겼던 데서 온 말이다. 『후한서(後漢書)』 卷二十 아각(阿閣) ① 4층으로 된 명당(明堂)을 말하는데, 황제(黃帝) 때 이곳에 봉황이 깃을 쳤다는 기록이 전한다. 「제왕세기(帝王世紀)」② 거각(巨閣)의 별칭이다.③ 네 기둥(四柱)이 받치고 있는 고관(高館)을 아각이라고 한다. 황제(黃帝) 때에 봉황(鳳凰)이 아각에다 둥지를 틀고 살았다고 하였다. 「제왕세기(帝王世紀)」 아계(鵝溪) ① 이산해(李山海)의 호이다.② 중국 사천성 염정현(..
187. 씨 씨의(氏儀)삼국 시대 오(吳) 나라 사람이다. 인용목차
186. 쌍 쌍각반룡(雙角盤龍)송 나라 때에 임금에게 진상하는 차(茶)를 용의 형상으로 뭉쳐서 만들었다. 쌍감두주(雙柑斗酒)두 밀감과 한 말 술을 이른다. 『운선잡기(雲仙雜記)』에 “戴顒春日携雙柑斗酒 人問何之曰 往聽黃鸝聲”이라 하였다. 쌍검곡(雙劍曲)만가(挽歌)를 이른다. 쌍검은 바로 춘추시대(春秋時代)에 간장(干將)ㆍ막야(莫邪) 부부(夫婦)가 만들었던 자웅(雌雄) 이검(二劍)을 이르는데, 그 칼이 일찍이 서로 떨어져 있다가 수천 년 뒤에 다시 서로 만나서 용(龍)으로 변화하여 갔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즉 부부가 다 죽어 합장한 것을 말한다. 쌍검합(雙劍合)① 고향 땅에 부부가 합장(合葬)된다는 말이다. 진(晉) 나라 때 용천(龍泉)과 태아(太阿)의 두 보검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가 연평진(延平津)에서 ..
185. 십 십가(十駕)둔한 말이 열흘 동안 달리는 것을 이른 말로, 『순자(荀子)』 「권학(勸學)」에 “준마는 하루에 천 리를 가지만, 둔마도 열흘 동안 부지런히 가면 역시 천 리를 갈 수 있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십가유추(十駕猶追)둔한 말로도 열흘을 달리면 하루 천리를 닫는 준마(駿馬)를 따를 수 있다는 뜻이다. 『순자(荀子)』 「권학(勸學)」 십건(十愆)임금의 정사를 그르치는 열 가지 허물이다. ①춤(舞) ②노래(歌) ③재화(貨) ④여색(色) ⑤놀이(游) ⑥사냥[畎] ⑦성인의 말씀을 업신여김(侮聖言) ⑧충직을 거스림(逆忠直) ⑨덕 있는 노성한 이를 멀리함(遠耆德) ⑩못된 자를 가까이 함(比頑童)을 말한다. 삼풍(三風)은 십건(十愆)을 묶어 말한 정사를 그르치는 세 가지 풍인데, 곧 무풍(巫風..
184. 심 심가비(沈家脾)서씨는 당 나라 때 강직하기로 이름난 서회(徐晦)이고, 심가는 그와 같은 시대의 심전사(沈傳師)인데, 한림학사(翰林學士)ㆍ중서사인(中書舍人) 등 청직과 여러곳의 지방관을 오랫동안 지냈으나 세상의 영욕에 관심이 없어 권세가에 아부하지 않은 것으로 유명하다. 서회는 술을 즐겨마시고 심전사는 음식을 잘 먹어 당시의 재상인 양사복(楊嗣復)이 말하기를 “서가의 폐장과 심가의 비장은 참으로 편안한가.” 하였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당어림(唐語林)』 심경(沈勁)왕돈(王敦)과 함께 역모를 꾸며 반란을 일으킨 진(晉) 나라의 역신(逆臣) 심충(沈充)의 아들이다. 관군 장군(冠軍將軍) 진우(陳祐)의 보좌관으로, 진 애제(晉哀帝) 때 5백 군사와 함께 모용각(慕容恪)의 대군에 맞서 싸우다가, 성..
183. 실 실고보(失故步)연(燕) 나라 수릉(壽陵) 땅의 여자(餘子)가 조(趙) 나라 서울 한단(邯鄲)에 가서 걸음걸이를 배우려다가 제대로 배우지도 못한 채 본래의 자기 걸음걸이마저 잊어버린 나머지 엉금엉금 기어올 수밖에 없었다는 ‘한단학보(邯鄲學步)’의 이야기가 있다. 『장자(莊子)』 「추수(秋水)」 실록(失鹿)임금이 나라를 잃은 것을 비유하였다. 진(秦) 나라의 간신(奸臣) 조고(趙高)가 임금 앞에 사슴을 끌고 와서 말(馬)이라고 한 일이 있었으므로, 진나라가 망한 것을 사슴을 잃었다고 말하는 이가 있었다. 『사기(史記)』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실리추구(實利追求)‘현실적인 이익을 추구한다’는 뜻이다. 실마(失馬)말을 잃은 노인이란 뜻으로 새옹실마(塞翁失馬)를 가리킨다. 『회남자(淮南子)』 「인..
182. 신 신(新)왕망(王莽)이 세운 나라의 국호(國號)다. 신가항만지유함(信可行蠻只有諴)공자(孔子)가 “말이 충신(忠信)하고 행실이 독경(篤敬)하면 비록 오랑캐 나라라도 행해질 수 있다[言忠信, 行篤敬, 雖蠻貊之邦行矣].” 하였다. 『논어(論語)』 「위령공(衛靈公)」 신각(申恪)조선시대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 중위대장(中衛大將)으로서 서울 수호에 임했고, 도원수(都元帥) 김명원(金命元)휘하에서 부원수 자격으로 한강을 지키다가 패전, 유도대장(留都大將) 이양원(李陽元)을 따라 양주(楊州)로 가 있다가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이혼(李渾)의 응원으로 흩어진 병력을 다시 규합, 양주 해유령(蟹踰嶺)에서 왜군을 요격하여 대파하였다. 그러나 당시 한강에서 패전하고 임진(臨津)에 피신해 있던 도원수 김명원의..
181. 식 식객병주리(食客屛珠履)문객(門客)들을 후히 접대하였음을 비유한 말이다. 전국시대(戰國時代) 초(楚) 나라 춘신군(春申君)의 문객들이 모두 구슬로 장식한 신을 신었던 데서 온 말이다. 식괴(植槐)송(宋)나라의 왕우(王祐)가 뜰에 회화나무 세 그루를 심고는, “자손 중에 반드시 삼공(三公)의 벼슬이 나올 것이다” 했는데, 과연 그 아들 단(旦)이 정승이 되었다. 식교상우(息交尙友)식교(息交)는 세상 사람들과의 교제를 그만두는 것을 말하고, 상우(尙友)는 거슬러 올라가 옛날의 어진 사람들을 벗으로 삼는 것을 말한다. 식금(食芩)손님을 대접하는 잔치의 노래. 『시경(詩經)』 소아(小雅) 「녹명(鹿鳴)」에 귀빈을 사슴에 비유하여, “머머 우는 사슴은 들의 금풀을 먹누나[呦呦鹿鳴 食野之芩].”라고 노래..
180. 시 시가조회(詩家藻繪)조회(藻繪)는 문채(文彩)이니, ‘시가들이 쓰는 시의 문채’를 말한다. . 시가증광(詩家增光)시가들이 광채를 증가시킴. 시각해배수(始覺海杯殊)국량이 크고 작음이 있으니 얕은 식견(識見)으로는 큰 것을 헤아릴 수 없음을 알았다는 뜻이다. 『한서(漢書)』 「동방삭전(東方朔傳)」에 “표주박으로 바닷물을 헤아린다[以蠡測海].” 한 말에서 비롯한 것이다. 시강(時康)『시경(詩經)』에, 순(舜)의 정치를 말할 때에 시(時)와 강(康)이라 하였는데, 시(時)는 때에 순(順)한다는 뜻이요, 강(康)은 평안하다는 뜻이다. 시개선아영점점(時開鮮雅詠蔪蔪)아(雅)는 시의 한 체(體)이니 선아(鮮雅)는 조선(朝鮮)의 아(雅)란 뜻이며, 맥수(麥秀)는 보리 이삭이고 점점(蔪蔪)은 무성하다는 뜻으로 ..
179. 승 승가굴(僧伽窟)서울 삼각산에 있는데, 신라 중 수태(秀台)가 바위를 뚫고 굴을 만들었다. 승강왕래(升降往來)『주역(周易)』에서 말하는 천지음양(天地陰陽)의 영허(盈虛)ㆍ소식(消息)과 승강ㆍ왕래하는 이치를 이른 말이다. 승개(勝槪)‘훌륭한 경치’를 말한다. 승건지세곤(承乾地勢坤)『주역(周易)』 「곤괘(坤卦)」 상(象)에 “지세가 곤이다[地勢坤].”하였는데, 그 내용은 즉 지형(地形)은 방직(方直)하므로 불순(不順)하나, 그 형세는 하늘을 받듦으로 이것이 곧 순(順)이라는 것이다. 승겁해(僧劫解)혼례를 치른 신부가 사흘 저녁을 도승(道僧)과 잔 뒤에 신랑과 비로소 동침(同寢)하는 것을 말한다. 승견책비(乘堅策肥)튼튼한 수레를 타고 살찐 말에 채찍질을 한다. 승고월하문(僧敲月下門)이 시구에는 다음..
178. 습 습(拾)가죽으로 만든 팔싸개로서 활을 쏠 때 왼쪽 팔에 붙여 팔을 보호하는 기구이다. 습가지(習家池)호북성(湖北省) 현산(峴山)의 남쪽에 있는 못으로, 이곳의 토호(土豪)인 습씨(習氏)들의 원지(園池)인데, 고양지(高陽池)라고도 한다. 진(晉) 나라 때 산간(山簡)이 양양(襄陽)을 맡고 있으면서 이곳에 와 술을 마시면서 놀았다고 한다. 『진서(晉書)』 산도열전(山濤列傳) 산간(山簡)에 “여러 습씨는 형양(荊襄) 지방의 호족(豪族)으로 아름다운 동산과 못을 가지고 있었는데, 산간(山簡)이 양양(襄陽)을 진수할 때 늘 그곳에 나가 노닐며 술을 마셔 취하곤 했다.” 하였다. 습가지(習家池)후한(後漢) 습욱(習郁)이 현산(峴山) 남쪽에 범려(范蠡)의 양어법(養魚法)에 의해 못을 만들고 못 언덕에 대..
177. 슬 슬갑도적(膝甲盜賊)남의 시문(詩文)을 표절하여 쓰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슬관(蝨官)간악한 관리를 비유한 말이다. 관(官)의 폐해를 이(蝨)에 비유해서 이른 말이다. 슬관(蝨貫)활을 아주 잘 쏘는 것을 말한다. 기창(紀昌)이란 사람은 비위(飛衛)에게 활 쏘는 법을 배웠는데, 이를 실에 매달아 놓고 쏘면 화살이 이의 심장을 꿰뚫어 이가 실에 그대로 매달려 있었다고 한다. 『열자(列子)』 「탕문(湯問)」 슬슬(瑟瑟)푸른 색깔의 구슬 이른다. 슬하왕문도(膝下王文度)왕문도는 진(晋) 나라 왕탄지(王坦之)의 자(字)이다. 그의 아버지 왕술(王術)이 아들을 사랑하여 아들이 자란 뒤에도 무릎 위에 앉게 하였다. 슬해(瑟海)우리나라 함경북도와 러시아 국경 부근의 동해를 가리킨다. 『숙종실록(肅宗實錄)』 ..
176. 숭 숭강(崇岡)『시경(詩經)』 주남(周南) 「권이(卷耳)」에 “저 높은 묏부리에 오르려 하나 내 검은 말이 병들어 누렇게 되었으니 내 우선 저 뿔잔에 술을 부어 길이 서글퍼 하지 않으리라[陟彼高岡, 我馬玄黃. 我姑酌彼兕觥, 維以不永傷].” 하였다. 숭고길보(嵩高吉甫)시전(詩牋)에 있는 숭고(嵩高)장을 말함이니, 윤길보(尹吉甫)가 지은 시로서 방숙(方叔)과 소호(召虎)의 무공을 찬양한 시이다. 숭구(嵩丘)중국 오악(五嶽) 가운데 중악(中嶽)으로 불리는 숭산이다. 숭란(崇蘭)높은 지대에 나서 자란 난초를 말한다. 숭문관(崇文館)위(魏) 나라 명제(明帝)가 글 잘하는 문사(文士)들을 모아서 거처시킨 집이다. 숭반(崇班)고위 관원의 반열을 말한다. 숭백(崇伯)『서경(書經)』 「순전(舜典)」의, “백우가..
175. 술 술랑(述郞)신라 효소왕(孝昭王) 때의 화랑으로, 이른바 사선(四仙)의 하나이다. 남랑(南郞), 영랑(永郞), 안상(安詳)과 함께 총석정(叢石亭)에서 노닐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삼일포(三日浦)에는 ‘술랑도남석행(述郞徒南石行)’이라는 석각(石刻)이 있다고 한다. 술수화룡신칭섭(術邃畫龍神稱葉)춘추시대(春秋時代) 초(楚) 나라 섭공 자고(葉公子高)가 용을 좋아하여 실내(室內)에다 여기저기 용을 그려 붙여 놓으니, 참으로 천룡(天龍)이 그 소문을 듣고 내려와 실내에까지 들어왔다는 고사이다. 즉 섭공의 그림 솜씨가 그처럼 신기했다는 말이다. 인용목차
174. 순 순강실조추(蓴鱸失早秋)일찍 벼슬을 떠나지 못했음을 비유한 말이다. 진(晉) 나라 때 장한(張翰)이 일찍이 낙양(洛陽)에 들어가 동조연(東曹掾)으로 있다가, 어느 날 가을바람이 불어오자 자기 고향인 오중(吳中)의 특산물인 순채와 그곳 오강(吳江)의 농어회가 생각나서 이내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진서(晉書)』 卷九十二 순갱(蓴鱸)『진서(晋書)』 장한전(張翰傳)에 “진(晉)의 문장가 장한은 고향이 오군(吳郡)이었는데, 제왕 경(齊王冏)의 동조연(東曹掾)으로 있다가 가을 바람이 불자 갑자기 고향의 명산물인 순채국과 농어회[鱸膾]가 생각나므로 ‘인생이란 자기 뜻에 맞게 사는 것이 좋으니, 무엇 때문에 벼슬에 얽매여 타향에 있겠는가.’ 하고는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
173. 숙 숙경(宿耕)보리는 늦가을에 심어서 이듬해 익기 때문에 보리를 ‘숙맥(宿麥)’이라 하기에, 숙맥(宿麥)을 심으러 밭을 가는 것을 말한다. / 인용: 嶺南歎(윤현) 숙계(叔季)말세(末世)라는 뜻이다. 숙(叔)과 계(季)는 끝(末)이라는 뜻이므로 쇠란(衰亂)한 세상을 숙세(叔世)라 하고, 망하게 된 세상을 계세(季世)라 한다. 숙계(夙契)전세(前世)의 약속이란 뜻이다. 숙근(宿根)다년생의 묵은 뿌리. 숙녹비대전(熟鹿皮大典)푹 익은 사슴 가죽에 써 놓은 법전이란 말로, 법을 집행하는 관리들이 자신들의 뜻에 따라 마음대로 적용할 수 있는 애매 모호한 법이라는 뜻이다. 숙단(叔旦)주(周) 나라 성왕(成王)의 숙부(叔父)인 주공 단(周公旦)을 말한다. 『예기(禮記)』 「악기(樂記)」 숙도(叔度)동한(東漢..
172. 수 수(銖)옛날에 관문(關門)을 출입할 때 명주 조각을 부신(符信) 대신으로 썼다. 수가자(手可炙)‘세력이 불꽃 같아서 손에 닿으면 손을 지질만큼 뜨겁다’는 뜻이다. 수가재주 역가복주(水可載舟 亦可覆舟)‘물은 배를 띄울 수도 전복시킬 수도 있다’는 말로, 민심의 무서움을 표현한 말이다. 수간개석준상고(須看介石遵常固)뜻을 굳게 지켜 상도(常道)를 따른다는 뜻이다. 개석은 지조가 돌과 같이 단단함을 말한다. 『주역(周易)』 「예괘(豫卦)」에 “지조가 돌보다 단단한지라 하루가 다 안 가니 정길하다[介于石 不終日 貞吉].” 하였는데, 이것은 뜻이 굳어 안일(安逸)에 빠지지 않고 하루가 안 되어 회복하기 때문에 길하다는 뜻이다. 수간모옥(數間茅屋)‘몇 칸 안되는 초가집(띠집)’을 말한다. 수간사마(授簡司..
171. 쇄 쇄금(碎金)‘황금 조각’이라는 뜻으로, 간단하면서도 매우 아름다운 시문을 가리키는 말이다. 진(晉) 나라 환온(桓溫)이 사안석(謝安石)의 단문(短文) 한 편을 보고는 “이것은 안석의 쇄금이다[此是安石碎金].”라고 찬탄한 데에서 비롯되었다. 『세설신어(世說新語)』 「문학(文學)」 쇄복(晒腹)햇볕에 배를 쬐는 것을 이른다. 『세설신어(世說新語)』 「배조(排操)」에 진(晉) 나라 때 학륭(郝隆)이 7월 7일에 이웃 부잣집들이 비단 옷을 볕에 쬐는 것을 보고는, 그는 마당으로 나가 태양을 향해 누워 있으므로, 누가 그 까닭을 물으니 대답하기를 ‘나는 내 뱃속에 들어 있는 서책들을 볕에 쬐고 있다’[郝隆七月七日出日中仰臥 人問其故 答曰 我曬腹中書耳]고 한 고사에서 온 말이다. 쇄복중서(曬腹中書)진(晉)..
170. 쇠 쇠매(衰邁)① 늙어서 힘이 없다 ② 늙어서 맥을 못쓰다 / 인용: 嶺南歎(윤현) 인용목차
169. 송 송가장(宋家墻)전국 때 초(楚) 나라 송옥(宋玉)의 호색부(好色賦)의 일절에, “초나라에 미인이 많되 신(臣)의 마을만한 데가 없고, 신의 마을에 미인이 많으나 신의 집 동녘 집 처녀가 으뜸이온데, 그녀가 신의 담을 엿본 지가 3년이로되 신이 한 번도 거들떠보지 않았나이다.” 하였다. 송간갈도(松間喝道)관원이 출입할 때에 벽제(辟除)하는 것을 갈도(喝道)라 하는데, 소나무 사이에 갈도(喝道)하는 것은 당 나라 이의산(李義山)이 열거(列擧)한 몇 가지 살풍경(殺風景)의 하나이다. 그것은 산에 놀러가는 사람은 한가하고 맑은 취미를 찾는 것인데, 관원이 소나무 숲 사이에 벽제(辟除) 소리를 높이 하는 것을 조롱하는 말이다. 송강(松江)당나라 육귀몽(陸龜蒙)의 호(號)는 천수자(天隨子)인데, 송강(..
168. 솔 솔경서(率更書)솔경(率更)은 당(唐)의 구양순(歐陽詢)을 말한다. 구양순이 일찍이 솔경 영(率更令)을 지냈으므로 그의 서체(書體)를 일러 솔경체라고 한다. 솔무불시래의금(率舞不翅來儀禽)순(舜)의 음악인 소소(蕭韶) 아홉 곡을 연주하니 봉황이 이르러 왔고, 경쇠(磬)를 치니 온갖 짐승이 함께 춤을 추었다는 데서 온 말이다. 『서경(書經)』 「익직(益稷)」 솔선수범(率先垂範)‘앞장 서서 먼저 모범을 보인다’는 뜻이다. 솔성지위도(率性之謂道)하늘이 명(命)을 통해 부여해 준 자신의 ‘본성(本性)’을 잘 파악하고 발달시키는 것 그것을 일컬어 ‘도(道)’ 즉, 자신의 ‘길’이라고 한다. 『중용(中庸)』 1장 솔야임위진(率野任圍陳)공자가 진(陳) 나라와 채(蔡) 나라 사이에서 곤액을 당했을 때 “사람이..
167. 손 손강영설(孫康映雪)손강(孫姜)이 집이 가난하여 기름을 구하지 못해서 쌓인 눈빛에 비추어 책을 읽었다는 고사. 어려운 가운데 고생하면서 공부한다는 비유로 쓰인다. 손경폐호(孫敬閉戶)손경은 한(漢) 나라 사람으로 문을 닫고 글을 읽다가 졸음이 오면 상투를 천장에 매어달기까지 했는데, 문을 닫고 공부하였으므로 그때 사람들이 그를 폐호선생(閉戶先生)이라 일컬었다. 『상우록(尙友錄)』 卷五 손곡(蓀谷)선조(宣祖) 때의 시인 이달(李達)의 호이다. 동문인 최경창(崔慶昌)ㆍ백광훈(白光勳)과 함께 당시(唐詩)에 조예가 깊어 ‘삼당(三唐)’으로 일컬어졌는데, 그의 시집으로 『손곡집(蓀谷集)』이 현존한다. 손동조율(孫桐祖栗)손동(孫桐)은 즉 손자라는 뜻으로, 소식(蘇軾)의 글에, “무릇 나무는 본(本)이 차고..
166. 속 속거(屬車)임금이 출행할 때 시종(侍從)하는 수레를 말한다. / 인용: 麴先生傳(이규보) 속건(屬鞬)‘오른쪽에 활집을 부착한다[右屬橐鞬]’의 준말로 『좌전(左傳)』 희공(僖公) 14년 조(條)에 나오는 말이다. 속고각(束高閣)진(晋)나라 유익(庾翼)이 은호(殷浩)를 평하기를, “이 무리들은 난세(亂世)에는 쓸데가 없으니 마땅히 높은 시렁에 묶어서 엎어 두었다가 천하가 태평된 뒤에 천천히 쓸 것이다.” 하였다. 속국(屬國)대마도를 가리킨다. 속국종귀한(屬國終歸漢)한(漢) 나라에 전속국(典屬國)이란 벼슬이 있었는데 외국과의 교제를 맡은 벼슬이다. 무제(武帝)때에 전속국 소무(蘇武)가 흉노(匈奴)에 사자(使者)로 갔다가 억류(抑留) 되어 절개를 굽히지 않고 19년 만에야 마침내 돌아왔다. 속립아(..
165. 소 소(韶)순(舜) 임금의 음악 이름이다. 소(髾)줄기만 남는. 소가구황(小家救荒)첩의 집을 먹여 살리려고 토색질하는 것을 조롱하는 말이다. 소가복(蕭家僕)소씨는 당 나라의 문인 소영사(蕭穎士)를 가리킨다. 10년 동안 그를 섬긴 종이 있었는데 모진 매를 자주 맞았다. 어떤 사람이 종에게 떠날 것을 권하자, 종은 “내가 떠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훌륭한 재주를 사랑해서이다.” 하고는 끝내 떠나지 않았다. 『신당서(新唐書)』 卷二百二 「소영사전(蕭穎士傳)」 소가부자(蘇家父子)송(宋) 나라 때의 미주(眉州) 미산(眉山) 사람 노천(老泉) 소순(蘇洵)과 그의 아들 동파(東坡) 소식(蘇軾)ㆍ소철(蘇轍)을 가리킨다. 이들은 모두 문장이 뛰어나 당송 팔대가(唐宋八大家)에 들었는데, 아버지 소순을 노소..
164. 세 세(世)30년을 1세라 한다. ☞ 원회운세(元會運世) 세가(稅駕)달리는 말의 멍에를 풀어 쉬게 한다. “사물이 극하면 쇠하나니, 나는 멍에를 풀 바를 모르노라[物極則衰 吾未知所稅駕也].” 『사기(史記)』 세간강륵(世間韁勒)세상일에 얽매이는 일을 말하는 것이다. 세간손익(世間損益)상평이 일찍이 『주역(周易)』의 손괘(損卦)와 「익괘(益卦)」를 읽고는 탄식하기를 “부귀가 빈천한 것보다 못하다는 것을 내가 알았다마는, 삶과 죽음 중에 과연 어떤 것이 나은지는 아직 알지 못하겠다.”고 하였다 한다. 세갈(細葛)가는 올로 짠 베옷. 세갑만은황(洗甲挽銀潢)은하수이다. 은하수를 끌어다가 무기인 갑옷과 칼과 창을 깨끗하게 씻어 간직해 두었다는 말이다. 세객(說客)교묘하고 능란한 말솜씨로 각처를 유세(遊說)..
163. 성 성각(騂角)자식이 아버지보다 훨씬 훌륭함을 비유한 말이다. 춘추시대(春秋時代) 노(魯) 나라 염옹(冉雍)의 아버지는 아주 천하고 행실이 나빴으나, 염옹은 덕행(德行)가 뛰어났으므로, 공자(孔子)가 염옹을 두고 이르기를 “얼룩소(犁牛; 제사의 희생으로 쓰지 못하는 소임)의 새끼일지라도 색깔이 붉고 뿔이 반듯하게 잘 났으면, 비록 그를 쓰지 않으려고 하더라도 산천은 그것을 버리겠는가[犁牛之子 騂且角 雖欲勿用 山川其舍諸].” 한 데서 온 말이다. 『논어(論語)』 「옹야(雍也)」 성거산(聖居山)직산현 동쪽 20리 지점에 있다. 고려 태조가 일찍이 고을 서쪽 수헐원(愁歇院)에 주필(駐蹕)하여 동으로 산 위를 바라보니 오색의 구름이 있어 신이 있다고 여기고 제사를 지냈으므로 붙여진 것이다. 성경금간여일..
162. 섭 섭강편(涉江篇)굴원(屈原)의 『초사(楚辭)』 9장(章)의 편명으로, 굴원 자신이, 풍모가 남달리 특이하고 뜻도 고원(高遠)한데도 알아주는 이가 없으므로 강가를 배회하면서 소인(小人)들이 집권하고 군자들은 해를 당하는 것을 탄식한 내용이다. 섭공(葉公)춘추시대(春秋時代) 초(楚) 나라의 섭자고(葉子高). 섭공(涉公)전진 시대(前秦時代)의 고승으로 서역인(西域人) 승섭(僧涉)을 말한다. 『진서(晉書)』 卷九十五 섭공당(躡孔堂)학식이 이미 상당한 경지에 이른 사람이란 뜻이다. 공당은 공자(孔子)가 사는 집의 당이다. 공자의 문인들이 자로(子路)를 공경하지 않자, 공자가 말하기를, “유(由)는 당에는 올랐고 아직 방에는 들어오지 못한 것이다[由也升堂矣, 未入於室也].” 하면서 자로(子路)를 추켜 주..
161. 섬 섬(陝)중국 지역 이른다. 섬가(纖歌)미인(美人)이 부르는 고운 노랫소리를 말한다. 섬강(蟾江)강원도 횡성군(橫城郡)에서 발원하여 원성군(原城郡)을 지나 한강으로 합류하는 강. 섬계(蟾桂)월궁(月宮)을 섬(蟾)궁이라 하고 계수나무가 있다. 과거 합격에 비유한 것이다. 섬계(剡溪)지명으로, 진(晉) 나라 때 처사(處士) 대규(戴逵)의 집이 있던 곳이다. 중국 절강성(浙江省)에 있는데, 조아강(曹娥江)의 상류(上流)이다. 진(晋)나라 사람 왕자유(王子猷)가 설월(雪月)의 좋은 밤에 대안도(戴安道)를 찾아가기 위하여 섬계로 갔다가 흥이 다하여 보지도 않고 도로 돌아왔다는 고사가 있다. 섬계방대(剡溪訪戴)진(晉) 나라 왕휘지(王徽之)의 고사. 그의 자는 자유(子猷)로, 눈 내리는 어느 날 밤에 섬계..
160. 설 설거(薛據)송대(宋代)의 학자. 자는 숙용(叔容)으로 일찍이 제자백가에서 추려 뽑아 공자집어(孔子集語)를 만들고, 또 고금을 통하여 당시 재상이나 경략가들이 한 국가 정치 경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추려서 택규성감(宅揆成鑑)이라는 것을 만들어 조정에 올리기도 하였다. 『송원학안(宋元學案)』 卷四十七 설거(雪車)당(唐) 나라 때 한유(韓愈)의 친구 유차(劉叉)가 한유를 처음 찾아가서 지었다는 시(詩)의 이름인데, 노동(盧仝)ㆍ맹교(孟郊)의 시보다 뛰어났다고 한다. 설계승흥(雪溪乘興)진(晉) 나라 때 왕희지(王羲之)가 눈이 내리자 갑자기 친구인 대규(戴逵)가 보고 싶어서 밤중에 작은 배를 타고 그를 찾아갔는데, 문 앞에 도착해서는 만나 보지 않고 되돌아왔다. 사람들이 그 까닭을 묻자,..
159. 선 선(蟬)고관들이 갓 옆에 다는 장식품이니, 예복의 일부이다. 선(善)잘하다. 좋아하다. 선가(善價)자공(子貢)이, 아름다운 옥을 가지고 있을 경우 궤 속에 보관해 둘 것인지 아니면 비싼 값을 받고 팔 것인지[求善賈而沽諸]를 묻자, 공자가 “나는 비싼 값으로 나를 사 줄 사람을 기다리고 있는 사람이다[沽之哉! 沽之哉! 我待賈者也].”라고 대답한 고사가 전한다. 『논어(論語)』 「자한(子罕)」 선가계견(仙家鷄犬)한(漢) 나라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신선의 도술을 터득하여 온 가족을 데리고 승천(昇天)하였는데, 그가 먹고 남긴 선약(仙藥)을 개와 닭들이 핥아먹고는 그를 따라 하늘로 함께 올라갔다는 ‘견폐백운(犬吠白雲)’의 전설이 전한다. 『논형(論衡)』 「도허(道虛)」 선가욕란(仙柯欲爛)「..
158. 석 석(腊)추석(酋腊))으로 잘 익은 독주(毒酒). 석가(石家)만석군(萬石君)의 집안을 말한다. 한(漢) 나라 석분(石奮)과 그의 네 아들이 모두 2천 석(石)의 관직에 이르렀으므로 경제(景帝)가 석분에게 내린 호(號)인데, “만석군의 질행(質行)은 제(齊)ㆍ노(魯)의 제유(諸儒)들도 모두 미칠 수 없다고 여겼다.”는 기록이 전한다. 『사기(史記)』 卷一百三 「만석장숙열전(萬石張叔列傳)」 석가만석(石家萬石)석가는 한(漢) 나라 때의 명신(名臣) 석분(石奮)을 이른다. 그는 아들 건(建)ㆍ갑(甲)ㆍ을(乙)ㆍ경(慶) 4형제와 함께 모두 이천석(二千石)의 관직에 올랐으므로 만석군(萬石君)이라 일컬어졌는데, 그의 부자(父子)간에는 특히 효근(孝謹)으로 명망이 높았었다. 『사기(史記)』 卷一百三 「만석장..
157. 서 서가조(犀可照)서각은 물소의 뿔인데, 이를 태우면 밝은 빛을 낸다고 한다. 진(晉) 나라의 온교(溫嶠)가 여행을 하다가 무창(武昌)의 저기(渚磯)에 당도하니, 물이 아주 깊은데, 사람들이 모두들 물속에 괴물이 산다고 하였다. 이에 온교가 서각에 불을 붙여서 물 속을 비추니, 얼마 뒤에 물속에 있던 기이한 모습의 물고기들이 모두 모습을 드러냈다고 한다. 『진서(晉書)』 卷六十七 「온교열전(溫嶠列傳)」 서가지폐(徐家之肺)서씨는 당 나라 때 강직하기로 이름난 서회(徐晦)이고, 심가는 그와 같은 시대의 심전사(沈傳師)인데, 한림학사(翰林學士)ㆍ중서사인(中書舍人) 등 청직과 여러곳의 지방관을 오랫동안 지냈으나 세상의 영욕에 관심이 없어 권세가에 아부하지 않은 것으로 유명하다. 서회는 술을 즐겨마시고 ..
156. 생 생(生)남자의 성씨 뒤에 흔히 붙이던 호칭이다. 허생(許生), 심생(沈生) 등이 그것이다. 생가(笙歌)생황(笙簧)을 연주하며 노래하는 것. 옛날 연회에서 노래를 부르면서 생황을 연주하곤 했는데, 이 노래와 연주곡은 모두 『시경(詩經)』 소아에 있는 것들로, 합쳐서 생가(笙歌)라 하며, 바뀌어 전아한 노래로서의 아악(雅樂)을 뜻하기도 한다. 『예기(禮記)』 단궁(檀弓)에 의하면, 공자가 일찍이 대상(大祥)을 마친 10일 후에야 생가가 제대로 되었다고 하였다. 생계공사(省啓公事)일이 잗단 것이므로 임금에게 아뢰지 않고 처리하는 공사. 생공(生公)양(梁) 나라 때의 고승(高僧)인데, 그가 일찍이 호구사(虎丘寺)에서 돌들을 모아 청중(聽衆)으로 삼고 『불경(佛經)』를 강설하자, 그의 뛰어난 설법에 ..
155. 색 색공(色空)불가(佛家)의 용어로, 색은 물질의 현상적인 모습을 말하고 공은 본질적인 체성(體性)을 말한다. 색공신(色功臣)광해군 때 정사공신인 신응구(申應榘)에게 왕이 “뜻은 고변하려 하였고, 얼굴에는 근심하는 빛이 있었다.”고 한 것을 빗대어 신응구를 부른 말이다. 색구(色丘)한 광원을 모시고 다니며 시중드는 하인들 중의 우두머리. 색구(色驅). 구(丘)는 구사(丘史), 구(驅)는 구종(驅從). 색난(色難)공자가 말하기를, “부모를 섬기는 얼굴빛을 가지기가 어렵다.” 하였으니, 이것은 얼굴빛을 부드럽고 화하게 해서 부모를 기쁘게 하기가 어렵다는 말이다. 『논어(論語)』 「위정(爲政)」 색맹(色盲)『노자(老子)』의 “오색(五色)은 사람의 눈을 봉사로 만들고 오음(五音)은 사람의 귀를 귀머거리..
154. 새 새마(塞馬)길흉화복이 수시로 변한다는 뜻인 새옹지마(塞翁之馬)의 고사를 말한다. 『회남자(淮南子)』 「인간훈(人間訓)」에, “변방 근처에 사는 노인의 말이 도망쳐서 오랑캐 땅으로 들어가자 사람들이 모두 위로하니, 그 노인이 ‘이것이 도리어 복이 될는지 어떻게 알겠는가.’ 하였다. 몇 달 뒤에 그 말이 오랑캐의 준마 여러 마리를 데리고 돌아오자 사람들이 모두 축하하자, 노인은 ‘이것이 화가 될는지 누가 알겠는가.’ 하였다. 집에 좋은 말이 많아졌는데, 그의 아들이 말타기를 좋아하여 말을 타다가 다리가 부러지니, 사람들이 와서 위로하였다. 그러자 노인은 ‘이것이 복이 될지 누가 알겠는가.’ 하였다. 1년 뒤에 오랑캐들이 대거 침입하자 장정들이 모두 나가 싸워 변방 근처에 사는 사람들 가운데 열에..
153. 상 상(相) ① 살펴보다. 조사하다. ② 외계(外界)에 나타나 마음의 상상(想像)이 되는 사물의 모양을 말한다. 곧 속세를 떠났다는 말이다. 상(殤) 상이란 미성년으로 죽은 것을 말하는데, 19~16세에 죽으면 장상(長殤), 15~12세에 죽으면 중상(中殤), 11~8세에 죽으면 하상(下殤), 8세 이하에 죽으면 복(服)이 없는 상이라 한다. 『의례(儀禮)』 「상복전(喪服傳)」 註 상가(商歌) 곤경에 처해서도 끄떡하지 않고 의연한 기풍을 지니는 것을 말한다. 증자(曾子)가 10년 동안 옷을 해 입지 못하고 3일 동안 밥을 지어 먹지 못하는 고달픈 환경 속에서도 상송(商頌)을 소리 높이 부르니, 그 음성이 천지를 가득 진동시키면서 마치 금석(金石)에서 나오는 듯했다는 고사가 전한다. 『장자(莊子)..
152. 삽 삽(翣)상여(喪輿)의 양쪽 옆에 세우는 제구. 네모진 화포(畫布)에 길이 다섯 자의 나무 자루가 있고 깃털을 장식하였다. 삽삽(颯颯)‘바람이 부는 소리’를 형용한 말이다. 삽우한(揷羽翰)고려시대 승상의 반열에 오른 사람은 사모 위에 꿩의 날개를 꽂아 그 위의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삽화(翣畫)상여의 양쪽에 세우고 가는 제구(祭具)이다. 원래는 깃으로 만들었으나 후세에 네모진 화포(畫布)에 다섯 자 길이의 자루를 달고 깃털로 장식하였다. 『예기(禮記)』 「상대기(喪大記)」 인용목차
151. 삼 삼가(三加)관례 때의 가관(加冠)의 예로서, 먼저 치포관(緇布冠)을 쓰고 다음에 피변(皮弁)을 가하고 또 그 다음에 작변(爵弁)을 가하므로 이른 말이다. 『예기(禮記)』 「관의(冠義) 삼가(三家)춘추시대(春秋時代) 노(魯) 나라의 세 대부(大夫)를 말하는데, 모두 노 환공(魯桓公)의 자손이므로 삼환(三桓)이라고도 한다. 『논어(論語)』 「팔일(八佾)」 삼가례(三加禮)관례(冠禮)때 세 번 관을 갈아 씌우는 의식. 초가(初加)ㆍ재가(再加)ㆍ삼가(三加)로 나뉘는데 초가에는 단령(團領)ㆍ도아(絛兒)차림에 갓을 씌우고, 재가에는 단령 각대(角帶)차림에 사모(紗帽)를 씌우고, 삼가에는 공복(公服)차림에 복두(幞頭))를 쓴다. 삼가시(三家詩)한대(漢代)에 『시경(詩經)』을 전승해 온 삼가(三家), 곧 원..
150. 살 살(樧)수유(茱萸)라는 나무로서 산초나무(椒) 같으면서도 아니므로, 이는 곧 사이비 군자에 비유한 말이다. 살마(薩摩)일본 구주(九州, Kyushu)의 국명으로, 곧 일본을 가리킨다. 살생유택(殺生有擇)살생(산목숨을 죽임)할 때에는 가림이 있어야 한다. 살생을 할 때에는 가려서해야 한다는 말로, 곧 함부로 생명체를 죽이지 말라는 말 살수(薩水)청천강으로. 고구려의 을지문덕이 수(隋)나라의 백만 군사를 청천강에서 대파하였다. 살신성인(殺身成仁)몸을 죽여 인을 이룬다는 뜻으로, 자기 몸을 희생해서 세상의 대의(大義)를 지킨다는 의미이다. 『논어(論語)』 「위령공(衛靈公)」 살축(薩筑)일본(日本) 구주(九州)에 있는 살마주(薩摩州)와 축주(筑州)를 가리킨다. 살풍경(殺風景)의산잡찬(義山雜簒)에 살..
149. 산 산간(山簡)진(晋) 나라 산도(山濤)의 아들. 정남장군(征南將軍)으로 양양(襄陽)을 진수(鎭守)하면서 나가 놀기를 좋아하여, 흔히 경치 좋은 습가지(習家池)에 가서 술에 취해서는 백접리(白接䍦)를 거꾸로 쓰고 말을 거꾸로 타고 돌아오는 등 풍류 기화(奇話)를 많이 남겼다. 『진서(晉書)』 卷四十三 산간벽지(山間僻地)산골짜기 시골 오지라는 뜻으로, 아주 구석진 산골의 의미이다. 산간벽촌(山間僻村)산골의 궁벽(窮僻)한 마을. 산거원(山巨源)거원은 산도의 자(字)이다. 산경(山經)『산해경(山海經)』, 또는 산맥을 기록한 지리책을 범칭하기도 하다. 산경가보(山扃假步)과거에 자신이 은거하던 산을 벼슬길에 나간 뒤에 다시 들르는 것을 말한다. 남제(南齊) 때 주옹(周顒)이 일찍이 북산(北山)에 은거했는..
148. 삭 삭거(索居)이군삭거(離群索居)의 준말로, 친구와 떨어져서 홀로 적막하게 지내는 것을 말한다. 『예기(禮記)』 「단궁(檀弓)」 上 삭계(朔啓)호당(湖堂)에 선발된 사람이 월말에 제술(製述)하여 올리면 대제학(大提學)이 등급을 매겨서 월초에 보고하는 제도. 삭과(削瓜)외를 쪼갠 것 삭교(朔窖)한 무제(漢武帝) 때 소무(蘇武)가 흉노(匈奴)에 사신으로 갔을 때 흉노가 그를 움집에 집어넣고 음식을 전혀 주지 않았는데 때마침 내리는 눈과 모직물의 털을 씹어 먹으면서 소무가 절조를 굽히지 않았다. 『한서(漢書)』 卷54 삭막(朔漠)중국 북방의 사막(沙漠) 지대. 곧 지금의 고비사막. 삭방(朔方)중국 섬서성(陜西省) 서북방이다. 삭삭(削削)매우 약한 모양, 매우 약하다 삭삭(數數)사마표의 주에, “급급(..
ㅅ 147. 사 사(辭)시(詩)도 아니요, 산문(散文)도 아니면서 운문(韻文)이다. 말하자면 시와 병려문(騈儷文)의 중간에 속한다 할 수 있다. 부(賦)와 비슷하나, 사가 음절(音節)과 정서(情緖)를 위주로 한데 대하여, 부는 서술(敍述)을 위주고 한 점이 다르다. 사(史)형식이 내용을 앞서는 것으로[文勝質則史], 즉 내용은 없이 겉만 번지르르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논어(論語)』 「옹야(雍也)」 사가(謝家) ① 남조(南朝) 송(宋)의 시인 사영운(謝靈運)을 가리킨다. 백거이(白居易)의 시에 “記得謝家詩 淸和卽此時”라는 표현이 있다. 『백락천시후집(白樂天詩後集)』 卷20 首夏猶淸和聯句② 사씨(謝氏)는 진대(晉代)의 명문으로 사조(謝眺) 등 시인이 배출되었다. 사가(仕加)벼슬의 자급을 올리는데 있어 달수..
146. 빙 빙견기서(憑犬寄書)진(晉) 나라의 육기(陸機)가 서울에 와 있을 적에 집 소식이 오랫동안 끊기었다. 이에 웃으면서 개에게 “네가 편지를 가지고 가서 소식을 알아가지고 올 수 있겠느냐?” 하자, 개가 꼬리를 치면서 응답하는 듯한 소리를 내었다. 이리하여 편지를 써서 대통에 넣어 개의 목에 매달아 주었더니, 개가 마침내 그의 집에 이르러 답장을 받아가지고 돌아왔다고 한다. 『진서(晉書)』 卷五十四 빙공영사(憑公營私)공사(公事)를 이용하여 사리(私利)를 꾀한다. 관청이나 공적인 일을 빙자해 개인의 이익을 꾀한다. 빙군(聘君)장인(丈人). 빙금(凭衾)‘이불을 덮다’라는 말이다. 빙기설장(氷肌雪腸)얼음 같이 맑은 피부와 눈 같이 깨끗한 장이라는 뜻으로, 몸도 마음도 결백함을 의미한다. 빙로(聘魯)춘추..
145. 빈 빈개(賓介)손님 중 제일 윗자리에 모실 분을 빈(賓), 그 다음을 개(介), 기타를 중빈(衆賓)이라 한다. 옛날에는 연회의 모임에서 빈이 그 좌석의 법도를 주관하고, 개가 빈을 보좌하여 직접 실행하였다. 빈경대도장(貧傾大道漿)대도는 곧 불도(佛道)를 말한다. 즉 불도를 탐내어 신봉하기 때문에 주장(酒漿)처럼 들이마셨느냐고 조롱하는 말이다. 빈계신(牝鷄晨)『서경(書經)』에, ‘암탉이 새벽에 우는 것은 집이 망할 징조다.’ 하였다. 빈계신명(牝鷄晨鳴)암탉이 새벽에 운다는 뜻으로, 집안에서 여자가 세력을 부리면 집안이 망한다. 『소학(小學)』 「가언(嘉言)」 / 유의어: 빈계지신(牝鷄之晨) 빈과(贇科)과거의 일종. 거자(擧子)에게 문ㆍ무과의 과목(科目)을 아울러 시험보여 문무를 겸비한 인재를 선출..
144. 비 비(批)내려 치다. 비각권적(臂角拳啇)각(角)과 상(商)은 다 오음(五音) 중의 명칭이나 방위(方位)로도 논하는데, 산세(山勢)의 길형(吉形)을 말하는 풍수가들의 용어다. 비간(比干)상(商) 나라의 충신이다. 상나라 임금 주(紂)가 음란함과 포학(暴虐)함이 극도에 달하였으므로 비간이 바른 말로 간(諫)하였더니, 주가 노하여, “성인(聖人)의 심장을 한 번 시험해 보리라.” 하고, 비간을 죽여서 배를 갈라 보았다. 주 무왕(周武王)이 주를 쳐 죽인 뒤에 비간의 무덤을 찾아 봉축(封築)하여 표창하였다. / 은(殷) 나라 주왕(紂王)의 숙부. 주(紂)의 음란함을 간(諫)하여 3일을 가지 않으니 주가 “성인(聖人)은 뱃속에 일곱 개의 구멍이 있다 하니 참 그런지 보자 하고 드디어 비간을 처형시켜 배..
143. 붕 붕(鵬)『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북쪽 바다에 고기가 있는데 이름은 곤(鯀)이다. 변화해서 새가 되었는데 이름은 붕(鵬)이다. 붕새의 등은 몇 천 리인지 알 수 없으며 날면 날개가 하늘을 덮는 구름과 같다.” 하였는데 사람이 큰 뜻을 품은 것에 비유한다. 붕거(鵬擧)송조(宋朝)의 충신 악비(岳飛)를 말한다. 붕거는 그의 자(字)다. 붕격수삼천(鵬擊水三千)『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붕새가 남쪽 바다에서 옮겨갈 때에는 물을 3천 리를 치고 힘차게 날아 9만 리를 올라간다.” 하였다. 붕남사(鵬南徙)북해(北海)의 대붕새(大鵬鳥)가 남해로 옮긴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 붕당(朋黨)뜻을 같이한 사람끼리 모인 단체. / 인용: 붕당론(朋黨論) 붕배부요여척지(鵬背扶..
142. 불 불가구약(不可救藥)일이 만회할 수 없을 지경에 달하였다는 뜻의 고사성어다. 불가사의(不可思議)사람의 생각으로는 미루어 알 수 없는 이상야릇한다. 불가승(不可勝)『손자(孫子)』 「군형(軍形)」에, “옛날에 싸움을 잘 하는 자는 먼저 상대가 자신을 이길 수 없는(不可勝) 형세를 만들어 놓고 상대를 이길 수 있기를 기다렸으니, 상대가 이길 수 없는 형세는 자신에게 있고, 자신이 이길 수 있는 형세는 적에게 있었다. 그러므로 싸움을 잘하는 자는 능히 상대가 자신을 이길 수 없는 형세를 만들어서 적으로 하여금 반드시 이길 수 없게 하였다.” 하였다. 불간지서(不刊之書)영구히 전하여 없어지지 않는 양서(良書). 불감(佛鑑)거울같이 맑고 깨끗한 부처의 마음. 불감(不減)줄어들지 않다. 변함없다. 불견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