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박종채 (56)
건빵이랑 놀자
과정록(過庭錄) 목차 1권 꿈에 붓을 얻다 자서 1 2 3 4 5 6연암의 성향을 걱정한 장인 이보천 7 8 9 10 11 12 13 14 15과거급제엔 전혀 관심도 없어라 16어렵게 금강산에 가다 연암이 지은 총석정시를 보고 놀란 홍상한叢石亭觀日出17 18 19 20형과 형수를 부모처럼 모시다 21 22급제시키려는 사람들과 피해 다니는 연암 23‘연암’으로 자호를 삼은 사연 24 25돈독한 친구 홍대용 손기술이 뛰어난 석치와 토론을 밤새도록 했던 무관ㆍ혜풍ㆍ재선과 제일 아낀 강산26 27음악을 좋아한 연암ㆍ담헌ㆍ효효재ㆍ풍무자「伐木」28 29 30권력자 홍국영을 거슬러 연암으로 피하다 31학문의 즐거움을 연암협에서 전수하다 32 33 34아버지의 세초된 작품들에 대한 아쉬움 35홍국영의 위협은 사라졌지만..
11. 윤음을 멋대로 유포하는 사람에게 충고하다 丙申冬, 先君適在鄕舍, 有鄕人士來謁曰: “有綸音行京洛, 故錄來耳.” 出諸袖中以進之, 先君覽其首語數行, 還與其人, 而誡之曰: “子是鄕人也. 儻有朝綸, 早晚自縣道頒布, 得而讀之, 可矣. 私錄公家文字, 流布鄕曲, 出入京洛, 傳說京洛音耗, 此亂民之事, 切不可爲也.” 其人憮然而去. 未幾, 有僞綸音傳布之獄, 上親鞫, 株連甚衆. 해석 丙申冬, 先君適在鄕舍, 병신(1776)년 겨울에 선군은 마침 시골집에 계셨는데 有鄕人士來謁曰: “有綸音行京洛, 故錄來耳.” 시골 선비가 뵈고서 “서울에서 배포된 윤음이 있었기 때문에 기록하여 왔습니다.”라고 말했다. 出諸袖中以進之, 先君覽其首語數行, 소매에서 꺼내 드리자 선군께선 첫 몇 줄을 보시고 還與其人, 而誡之曰: 다시 그 사람에게 ..
10. 선경지명으로 사람을 꿰뚫어 보다 先君先見之明, 往往有出人意表者. 少時, 在遺安公座, 有一姻婭人, 來拜而去. 先君曰: “噫! 某其死矣.” 公正色曰: “何其言之易也?” 後數日, 果死而訃至, 公呼先君曰: “君何以知某之死也?” 先君曰: “疇昔, 見其進止, 形與神已離矣.” 해석 先君先見之明, 往往有出人意表者. 선군께선 선견지명이 있어 이따금 사람의 의표를 벗어나는 생각이 있으셨다. 少時, 在遺安公座, 어렸을 적에 유안공 이보천의 집에 계실 적에 有一姻婭人, 來拜而去. 친척 한 사람이 와서 절을 하고 떠나갔다. 先君曰: “噫! 某其死矣.” 그러자 아버지는 “아! 아무개가 죽겠는데요.”라고 말했다. 公正色曰: “何其言之易也?” 유안공은 정색하며 “어째서 말을 쉽게 하느냐?”라고 말씀하셨다. 後數日, 果死而訃至..
9. 처남 이재성에 대한 평가 先君嘗言: “芝溪之文, 沉容典則, 不露鋒穎. 少時多讀『戴記』所致, 若與吾文, 性不相契合, 而其於論文, 有隻眼, 能知古人苦心處.” 每一篇出, 必曰: “爲我評隲之.” 芝溪公嘗曰: “燕岩筆力雄强, 識致精到, 近代諸作家, 所未有也.” 半生一室, 有偲怡ㆍ塤篪之樂, 論文知心, 一人而已. 해석 先君嘗言: “芝溪之文, 선군께서는 일찍이 말씀하셨다. “지계공 이재성의 문장은 沉容典則, 不露鋒穎. 침착하고 용의주도하며 법칙이 있지만 자기의 생각은 붓끝으로 드러나질 않는다. 少時多讀『戴記』所致, 어렸을 적에 대부분 『예기』를 읽은 것이 지극했던 것이니 若與吾文, 性不相契合, 나의 문장과는 성격이 서로가 맞지가 않다. 而其於論文, 有隻眼, 그러나 문장을 논한 것에 있어선 식견이 있어 能知古人苦心..
8. 글을 쓸 때의 모습과 다 쓴 후의 모습 先君之爲文也, 每遇題締構, 輒專心致思. 苟於自己議論有未契者, 雖先儒斷論, 亦不欲阿隨苟同. 必用烏絲欄紙, 操筆淨書, 點畫不草率. 其有字句, 當塗改處, 雖篇將垂畢, 必從頭更寫, 易藁而新之. 每一篇出, 便可編入★弓+二縛. 不若此則如病在躳, 雖在忙遽中, 亦然. 해석 先君之爲文也, 每遇題締構, 선군께서 글을 지으려 매번 제목을 짓는 순간에 마주치거나 구성을 엮으려는 순간엔 輒專心致思. 갑자기 마음을 전일하게 하셨고 생각을 집중하셨다. 苟於自己議論有未契者, 만약 자기의 의견이 아직 정리되지 않은 게 있다면 雖先儒斷論, 비록 선배 유학자들의 확고한 논리가 있더라도 亦不欲阿隨苟同. 또한 아부하며 따르거나 구차하게 같아지려 하진 않으셨다. 必用烏絲欄紙, 操筆淨書, 반드시 오사..
7. 남보다 책 읽는 속도가 느린 연암 先君看書甚遲, 日不過一卷書. 常曰: “吾記性甚短, 每看書, 掩卷卽忘, 胸中茫然, 若無一字. 至或臨事處宜, 或命題構思, 始也頭頭現出, 終焉森森羅布. 古人往蹟及先輩格言之襯當於目前情境者, 有左右逢原, 不可勝用之意.” 芝溪公嘗言: “燕岩看書甚遲, 我下三四板之頃, 僅下一板. 且其記誦之才, 若差損於我, 而至如上下商論, 較絜長短, 則有如酷吏斷獄, 無微不勘. 始知公之遲看, 蓋有所究竟到底者故耳.” 해석 先君看書甚遲, 日不過一卷書. 선군께선 책을 보는 속도가 매우 느려 하루에 한 권의 책도 채 읽지 못하셨다. 常曰: “吾記性甚短, 每看書, 항상 말씀하셨다. “나의 기억력은 매우 짧아 매번 책을 보다가 掩卷卽忘, 胸中茫然, 若無一字. 책을 덮으면 곧 잊어버려 머릿속에 아득히 한 글자도..
5. 「주공탑명」에 대한 여러 사람의 이현령비현령 先君少時, 著有「麈公墖銘」, 輩行金公魯永讀之曰: “此至精之文.” 遂記誦焉, 每凉宵晴朝, 輒朗咏一過. 後內從李正履爲余言: “近者更讀「麈公墖」, 得知其爲闢佛文字, 金公所云至精之文, 深得旨意也.” 不肖每聽人論此篇, 未嘗有此解. 一日示一老衲, 老衲一讀, 便憮然曰: “是乃闢佛文.” 해석 先君少時, 著有「麈公墖銘」, 선군께선 어렸을 적에 「주공탑명」을 저술한 적이 있는데 輩行金公魯永讀之曰: “此至精之文.” 일행인 김노영이 이것을 읽고 “이것은 지극히 정밀한 문장이다.”라고 말했다. 遂記誦焉, 每凉宵晴朝, 마침내 기억하고 암송하며 매일 서늘한 밤이 갠 아침에 輒朗咏一過. 갑자기 낭낭하게 한 번 지나치듯 읊조렸다. 後內從李正履爲余言: 훗날 사촌인 이정리가 나를 위해서 ..
4. 초년과 중년과 만년의 문장 차이 先君初年得力, 專在於『孟子』ㆍ『馬史』. 故氣槩之發越於文章者, 可知其根基之所在也. 至如『左』ㆍ『國』ㆍ韓ㆍ歐, 亦嘗心摹手追, 深得其神理義法. 中年以後, 脫畧世網, 隱居ㆍ遠遊, 往往寓言諧笑遊戱之作, 出入『莊』ㆍ『佛』二家者有之. 晚年最好賈陸奏議之文ㆍ朱子論事之書, 公私書牘多出於此, 此先君文章初晚之別也. 해석 先君初年得力, 專在於『孟子』ㆍ『馬史』. 선군께서는 초년에 힘을 얻음이 온전히 『맹자』와 『사기』에서 있었다. 故氣槩之發越於文章者, 그러므로 기의 뼈대가 문장에서 발산되어 초월하는 것은 可知其根基之所在也. 근본이 있는 것임을 알 만하다. 至如『左』ㆍ『國』ㆍ韓ㆍ歐, 『좌전』과 『국어』와 한유와 구양수의 경우에 이르러서 亦嘗心摹手追, 또한 일찍이 마음으로 모방하고 손으로 따라 ..
3-2. 시대적 옳음을 담아내는 글을 써라 嘗言: “惟忠武侯, 識其大者. 爲文之道, 亦貴乎識其大者.” 해석 嘗言: “惟忠武侯, 識其大者. 일찍이 선군께선 말씀하셨다. “오직 충무후 제갈량은 큰 도를 아는 사람이었으니 爲文之道, 亦貴乎識其大者.” 글을 짓는 방법이란 또한 그 큰 도를 아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 인용 목차
3-1. 옛 사람들과 지금 사람들의 글짓는 자세 차이 嘗言: “今人學八家文, 不能得其神理, 徒習粗跡. 凡作一篇文字, 其起伏照應, 關鎖結尾, 務要歷歷, 分明模索, 可知其工者爲之, 已不足喜. 況拙者, 只得以字眼彌縫, 尤無足論矣. 古人有許大心胸, 許大學問, 發言吐辭, 只要明鬯典雅, 不是用意安排, 而自然有成章之妙. 後來批評家, 段分句析, 挑出層節, 不害爲拈示古人精神注處, 俾初學之士有所開發. 但謂古人操䉉臨紙, 胸中先具此一篇排鋪, 則不可. 學古文者, 當求自然層節. 生出在自家文字, 不宜竊古人言語去, 塡寫格子上耳. 難易之分, 於是乎在, 而眞贋之辨, 隨而定焉. 留下一副格子, 千篇萬篇, 一範榻出者, 其唯今人科體文字乎!” ▲ 김홍도의 [화첩평생도] 중 '소과응시' 부분이다. 해석 嘗言: “今人學八家文, 선군께선 일찍이 말씀..
33-2. 야만스러움을 변화시키려는 사람 時有客在松園金公座, 談胡服之說. 金公遽曰: “君曾見綰髻之胡乎?” 曰: “未也. 胡辮.” 金公又曰: “曾見衣純之胡乎?” 曰: “胡衣無純.” 金公曰: “吾聞燕岩衣玄純之衣, 印童皆令解辮綰髻. 然則, 燕岩用夏變胡者也.” 해석 時有客在松園金公座, 談胡服之說. 당시 손님 중 송원 김이도의 댁에 있던 사람은 ‘호복임민(胡服臨民)’의 이야기에 대해 말했다. 金公遽曰: “君曾見綰髻之胡乎?” 김공이 갑자기 “그대는 일찍이 관을 쓰고 상투를 튼 오랑캐를 보았는가?”라고 물었다. 曰: “未也. 胡辮.” 그러자 손님이 “아닙니다. 오랑캐는 변발을 하지요.”라고 대답했다. 金公又曰: “曾見衣純之胡乎?” 김공이 또한 “일찍이 옷에 가선을 두른 오랑캐를 보았는가?”라고 물었다. 曰: “胡衣無..
33-1. 안의에 있을 때 ‘오랑캐를 따른다’는 비난을 받다 1. 몽고의 풍속을 바로잡았지만 비난을 사다 先君嘗病吾東婦人服飾及童子辮髮專襲蒙古. 盖高麗忠宣王, 自元而歸也, 效其俗, 辮髮而出. 當時士大夫郊迎者, 皆飮泣不忍見. 其後國俗因襲不改, 流弊至今. 吾東雖嚴於尊攘, 而此等陋俗, 恬不知恥. 及宰安義, 義乃桐溪鄭先生之鄕也. 先生之斥和歸鄕也, 童子皆令解辮雙髻. 尤菴先生之居巴串也, 亦用此制, 盖深痛一世之不復識華制也. 又其鄕之賢士劉君處一, 遵林葛川ㆍ盧玉溪之所嘗被服者, 倣朱子野服, 爲素衣玄純之制, 先君愛其高雅, 荷堂竹館, 時或以燕居焉, 知印童子之辮髮者, 皆令解而丱之. 不肖亦以四袿雙丱髻, 侍側焉, 皆先君好古曠惑之意. 而鄰宰過客, 皆瞠其駭俗也. 且荷堂甎築, 亦涉刱見, 或戲問曰: “此皆胡制歟?” 先君哂鹵莽也, 而不與辨...
1. 몽고의 풍속을 바로잡았지만 비난을 사다 先君嘗病吾東婦人服飾及童子辮髮專襲蒙古. 盖高麗忠宣王, 自元而歸也, 效其俗, 辮髮而出. 當時士大夫郊迎者, 皆飮泣不忍見. 其後國俗因襲不改, 流弊至今. 吾東雖嚴於尊攘, 而此等陋俗, 恬不知恥. 及宰安義, 義乃桐溪鄭先生之鄕也. 先生之斥和歸鄕也, 童子皆令解辮雙髻. 尤菴先生之居巴串也, 亦用此制, 盖深痛一世之不復識華制也. 又其鄕之賢士劉君處一, 遵林葛川ㆍ盧玉溪之所嘗被服者, 倣朱子野服, 爲素衣玄純之制, 先君愛其高雅, 荷堂竹館, 時或以燕居焉, 知印童子之辮髮者, 皆令解而丱之. 不肖亦以四袿雙丱髻, 侍側焉, 皆先君好古曠惑之意. 而鄰宰過客, 皆瞠其駭俗也. 且荷堂甎築, 亦涉刱見, 或戲問曰: “此皆胡制歟?” 先君哂鹵莽也, 而不與辨. 해석 先君嘗病吾東婦人服飾及童子辮髮專襲蒙古. 선군께서 일찍이 ..
32-1. 박지원을 불편하게 여긴 정조 1. 순정한 글을 지어 올리라고 분부하다 時上以文風不古, 屢下嚴旨. 詞垣諸臣, 皆有訟愆之作. 一日上下敎于直閣南公轍曰: “近日文風如此, 莫非朴某之罪也. 『熱河日記』, 予旣熟覽, 焉敢欺隱? 『日記』行世後, 文體如此, 自當使結者解之. 斯速著一部純正之書, 卽爲上送, 以贖『日記』之罪, 雖南行文任, 豈有可惜者乎? 不然則當有重罪, 須以此意, 卽爲貽書.” 南公書畧曰: “此實出於我聖上敦世敎ㆍ振文向ㆍ正士趨之苦心至德, 敢不對揚其萬一? 况執事則其在訟愆贖罪之道, 尤不容暫緩”云云. ⇒해석보기 2. 주상의 분부에 답한 내용 先君答書畧曰: “天地之大, 無物不育, 日月之明, 無微不燭, 豈意兎園之遺册, 上汚龍墀之淸塵哉? 疎野一个之賤, 而恩敎無間於近密. 不惟不加以兩觀熒惑之誅, 乃反命贖其一部純正之書,..
4. 글을 지으란 하교를 어기는 이유 時在衙諸文士, 皆欣踊. 操管札攤書卷, 將以替勞草寫及攷證之事. 先君語之曰: “上之此敎, 固曠絕恩眷也. 上方以此爲罪, 其在臣分, 惟當受而爲罪, 可也. 安有荷譴之蹤, 作爲文字, 自許純正, 要掩前愆? 且况以文任二字, 開其自新之路, 若因此揚揚著作進呈, 則此希覬也. 希覬, 人臣之大罪也. 不復以著進爲計畧, 選著作若干篇, 幷南中所著幾篇, 作數卷册子, 若更有俯索之敎, 將以黽勉承膺, 粗伸臣分而已.” 해석 時在衙諸文士, 皆欣踊. 당시 안의현에 있던 선비들이 모두 기뻐하며 뛰었다. 操管札攤書卷, 將以替勞草寫及攷證之事. 붓을 잡고 책을 펼쳐 장차 대신하여 베껴 쓰거나 고증하는 일을 하려 했었다. 先君語之曰: 선군께서 말씀하셨다. “上之此敎, 固曠絕恩眷也. “주상이 이번 하교는 참으로 전에도..
3. 순정한 글을 쓰라는 편지가 쇄도하다 先是, 上進覽『武藝圖譜通志』, 指李德懋著「禦倭」諸論, 敎曰: “諸篇皆圓好.” 又敎曰: “此燕岩體也.” 是以京中諸公, 皆以爲: “此實非怒之敎, 將有格外異數. 且聖敎中, 歷數諸人之愆, 而特擧朴某爲罪魁者, 乃大聖人抑而進之, 推任文權之意. 又况擧『熱河日記』爲眞贓, 而加以熟覽字以寵之乎! 是必有一部文字趁早撰進.” 皆書勸其著作, 芝溪公書畧曰: “執事之文, 筆力高强, 而用字則不甚矜古, 何嘗是明淸小品? 特其典則之作, 人未嘗見, 而『日記』盛行一世故耳. 盖其不自珍惜, 放倒不矜重, 則有之矣, 何嘗纖靡委弱如近時諸人之爲耶? 若曰: ‘學執事而文風至此’ 則誠冤矣. 愚意則就『日記』中, 揀別其一分詼氣而去之, 則此便是純正之書”云云. 해석 先是, 上進覽『武藝圖譜通志』, 이에 앞서 주상께서 『무예도보..
2. 주상의 분부에 답한 내용 先君答書畧曰: “天地之大, 無物不育, 日月之明, 無微不燭, 豈意兎園之遺册, 上汚龍墀之淸塵哉? 疎野一个之賤, 而恩敎無間於近密. 不惟不加以兩觀熒惑之誅, 乃反命贖其一部純正之書, 蟣蝨賤臣, 何以得此? 僕中年以來, 落拓潦倒, 不自貴重, 以文爲戱, 有時窮愁無聊之發, 無非駁襍無實之語. 性又懶散, 不善收檢, 旣自誤而誤人, 或以訛而傳訛. 文風由是而不振, 士習由是而日頹, 則是固傷化之災民, 文苑之棄物也, 得兎憲章, 亦云幸矣. 究厥本情, 雖伎倆之所使, 是誠何心? 自楚撻而爲記, 敢不亟圖黥刖之補, 無復作聖世之辜民也”云云. 해석 先君答書畧曰: “天地之大, 無物不育, 선군께서 답한 편지는 대략 이렇다. “천지가 커서 사물마다 기르지 않은 게 없고 日月之明, 無微不燭, 해와 달아 밝아 미물이라도 밝히지 ..
1. 순정한 글을 지어 올리라고 분부하다 時上以文風不古, 屢下嚴旨. 詞垣諸臣, 皆有訟愆之作. 一日上下敎于直閣南公轍曰: “近日文風如此, 莫非朴某之罪也. 『熱河日記』, 予旣熟覽, 焉敢欺隱? 『日記』行世後, 文體如此, 自當使結者解之. 斯速著一部純正之書, 卽爲上送, 以贖『日記』之罪, 雖南行文任, 豈有可惜者乎? 不然則當有重罪, 須以此意, 卽爲貽書.” 南公書畧曰: “此實出於我聖上敦世敎ㆍ振文向ㆍ正士趨之苦心至德, 敢不對揚其萬一? 况執事則其在訟愆贖罪之道, 尤不容暫緩”云云. 해석 時上以文風不古, 屢下嚴旨. 당시에 주상께서 문풍이 예스럽지 못하다고 여겨 자주 엄한 교지를 내리셨다. 詞垣諸臣, 皆有訟愆之作. 한림원의 뭇 신하들은 모두 잘못을 다스려 바로잡는 글을 지어야 했다. 一日上下敎于直閣南公轍曰: 하루는 주상께서 직각 남..
2-2. 고문은 그 당시엔 금문이었다 又曰: “古人爲文, 在當時, 何嘗義奥而旨微耶? 『書』之「典」ㆍ「謨」, 『詩』之「風」ㆍ「雅」, 『易』之「彖」ㆍ「象」, 『春秋』諸傳, 卽當時之今文, 人皆曉之, 後來世彌降而義漸晦, 所以有傳箋註疏也. 今人不知此義, 必模擬依樣, 强作險澀之態, 自以爲簡古也, 可笑哉! 若使他人讀自家文, 便費自家註釋, 將焉用是文爲哉?” 해석 又曰: “古人爲文, 선군께서 또 말씀하셨다. 옛 사람이 지은 문장이 在當時, 何嘗義奥而旨微耶? 당시대에 있었지 어찌 일찍이 뜻이 심오하고 내용이 미세한 데 있었던가? 『書』之「典」ㆍ「謨」, 『詩』之「風」ㆍ「雅」, 『서경』의 「요전(堯典)」과 「대우모(大禹謨)」, 『시경』의 「풍」과 「아」와 『易』之「彖」ㆍ「象」, 『春秋』諸傳, 『주역』의 「괘사」와 「효사」, ..
2-1. 지금 사람이 지은 비지문은 너무 진부하다 先君又嘗言: “吾於文無他長, 惟紀事狀物之才, 稍勝於今人. 今人碑誌之作, 大抵多印板例套, 一篇之作, 可移用於人人. 而其人之神精典型, 從何想見? 此三淵翁所謂: ‘東人文集, 如人家哭婢聲’者, 是也. 古人所謂: ‘貌圓方寫, 貌長短寫’者, 馬傳韓碑所以可讀, 而今人不知此義. 但取累累滿紙陳談死句曰: ‘如此然後, 可謂典實.’ 吾不知此爲何許文法.” 해석 先君又嘗言: “吾於文無他長, 선군께서는 또한 일찍이 말씀하셨다. “나는 글에 대하여 다른 장점은 없지만 惟紀事狀物之才, 稍勝於今人. 오직 사태를 기술하고 사물을 형상하는 재주는 조금 지금 사람보다 낫다. 今人碑誌之作, 大抵多印板例套, 지금 사람의 묘지명 작품은 대체로 많이들 판을 찍어낸 듯 상례(常例)되어 진부하기만 해서..
36. 음악을 좋아했지만 악기를 없애버린 사연, 안의현을 음악고을로 만든 사연 家中舊有笙琴諸器, 或風舞輩來, 使之彈吹. 及哭湛軒, 遂有絃斷之悲, 不復入耳也. 後五年, 偶過湛軒宅, 歸而忽愴然, 竝散其器以與人. 是以不肖幼時, 未得見匏絃之屬. 及宰安義也曰: “山水旣絶勝, 且時屬昇平, 宜有以賁飾之.” 適有梨園老樂師流落嶠南者, 召而廩置之, 使敎習工伎歌樂數月間, 並傳京腔, 時稱此邑絲管爲一道最. 해석 家中舊有笙琴諸器, 집 안엔 오래된 생황과 거문고 등의 악기들이 있어 或風舞輩來, 使之彈吹. 간혹 풍무 김억의 무리들이 오면 그들에게 연주하게 했다. 及哭湛軒, 遂有絃斷之悲, 담헌이 돌아가시자 마침내 거문고 줄을 끊는 슬픔이 있어 不復入耳也. 다시 귀로 듣지 않으셨다. 後五年, 偶過湛軒宅, 5년이 지나 우연히 담헌의 집을..
31. 안의현에서의 치적과 연회에 관심 갖던 정조 時上嘗語閣臣某曰: “朴某平生無一畝之宅, 流離栖屑於窮鄕江干, 今白首一麾, 宜若汲汲於求田問舍, 而聞構亭鑿池, 邀致文酒之朋於千里之外, 文人事, 信是不俗, 難矣哉! 且聞其吏治極善.” 後數日, 敎朴齊家曰: “朴某之邑, 文人多往遊, 而汝獨縻公不能往, 宜有向隅之歎. 乞暇一往, 可也.” 齊家遂承命來會, 誦致前後恩敎如此. 해석 時上嘗語閣臣某曰: 이때에 임금께서 일찍이 각신 아무개에게 말씀하셨다. “朴某平生無一畝之宅, 流離栖屑於窮鄕江干, “박지원은 평생 한 넓이의 집도 없이 궁벽한 시골이나 강가에서 유리걸식하며 살다가 今白首一麾, 宜若汲汲於求田問舍, 이제 늙어서야 한 번 고을수령이 되었지만 마땅히 밭과 집에 대한 일에만 급급할 것이다. 而聞構亭鑿池, 邀致文酒之朋於千里之外,..
29. 안의현감이 되어 친구들을 초대하여 시회를 열다 邀芝溪公及金公箕懋光瑞ㆍ李甥鍾穆維肅ㆍ李甥謙秀益之, 以爲溪山文酒之遊. 及癸丑春, 倣蘭亭故事, 流觴咏詩, 一世傳誦爲盛事. 按芝溪與人書有曰: “僕到花林邑之別號, 四十日處荷風竹露之館. 主人使君, 時豐政簡, 封篆可有, 三分日晷, 輒來居客位. 琴樽古雅, 書劒整暇, 韵釋名姬, 動在左右, 酒酣縱談千古文章事, 此樂可敵百年. 不知僕他日能擁麾專城如花林之勝, 安能得客如燕岩其人乎?” 同時來者, 有李喜經聖緯ㆍ尹仁泰五一, 皆門下士也, 韓惠仲ㆍ梁元聘諸人, 皆燕峽時門生也. 時設妓樂於別館, 必撰屨先歸, 任其跌蕩. 芝溪公邀臨, 凡三度. 해석 邀芝溪公及金公箕懋光瑞ㆍ李甥鍾穆維肅ㆍ李甥謙秀益之, 선군께서는 지계공과 광서 김기무ㆍ큰 사위 유숙 이종목ㆍ작은 사위 익지 이겸수를 맞이하여 以爲溪山文酒..
37-2. 『열하일기』를 비판하는 사람들 人有囫圇說「渡江」諸編句語, 妄有評論. 不肖出「筆談」一編, 試使讀之, 不識其爲何語, 亦不能屬其句讀. 文理疎短如此, 而尙復論評人文字, 殊令人無限慚愧然, 而此猶無足道者. 至如以虜號之藁四字, 造謗而劫辱者, 大爲鹵莽. 嗚呼, 尙何足言哉! 說見下. 해석 人有囫圇說「渡江」諸編句語, 사람 중에 우물쭈물 「도강록」의 여러 편과 구어를 말하며 妄有評論. 망령되이 평론하는 사람이 있었다. 不肖出「筆談」一編, 試使讀之, 내가 「혹정필담(鵠汀筆談)」 한편을 꺼내 시험삼아 그에게 읽게 하니 不識其爲何語, 亦不能屬其句讀. 무슨 말인지도 몰랐으며 또한 구도조차 떼질 못했다. 文理疎短如此, 而尙復論評人文字, 문리가 어설프고 짧은 게 이와 같은데 오히려 다시 남의 글을 논평하여 殊令人無限慚愧然,..
37-1. 『열하일기』가 탈고하기도 전에 세상에 유행하다 先君嘗歎息言: “吾中年以來, 灰心世路, 漸有滑稽逃名之意, 而末俗滔滔, 無可與語. 每對人, 輒以寓言笑談, 爲彌縫打乖之法, 而心界常鬱鬰, 無可自樂. 及其遊燕而還也, 大方所見聞, 頗有可述, 往來山中, 筆硯隨身, 檢取槖中散草而漫書之, 以爲老年消閑之資. 裒然成幾編書, 初未嘗以傳後爲計也. 誰料脫藁未半, 人已傳寫, 遂至遍行一世, 莫可收藏. 初甚怵然自悔, 撫心長歎, 末亦無可柰何, 亦復任之而已. 至於未見其書面目, 而輒隨衆訿毀者, 吾亦如之何哉!” 해석 先君嘗歎息言: 선군께서는 일찍이 탄식하며 말씀하셨다. “吾中年以來, 灰心世路, “나는 중년 이후로 세상사에 대한 관심이 사라져 漸有滑稽逃名之意, 而末俗滔滔, 점점 골계와 이름을 숨기고자 하는 뜻이 늘어나 말세의 풍속이..
27. 음악을 좋아한 연암ㆍ담헌ㆍ효효재ㆍ풍무자 先君精於審音, 而湛軒公尤曉樂律. 一日先君在湛軒室, 見樑上掛歐羅鐵絃琴數張. 盖因燕使歲出吾東, 而時人無解彈者. 先君命侍者解下, 湛軒笑曰: “不解腔何用爲?” 先君試以小板按之曰: “君第持伽倻琴來, 逐絃對按, 驗其諧否也.” 數回撫弄, 腔調果合不差, 自是鐵琴始盛行於世. 時有琴師金檍, 號風舞子, 嘐嘐齋所命也. 爲娛新飜鐵琴, 會湛軒室, 時夜靜樂作, 嘐嘐公乘月不期而至, 聽笙琴迭作, 意甚樂, 扣案上銅盤以節之, 誦『詩』「伐木」章興勃勃也. 已而嘐嘐公起出戶, 久不入, 出視之, 不見公. 湛軒語先君, “吾輩恐有失儀, 令長者歸也.” 遂與共步月, 向嘐嘐宅, 至水標橋. 時方大雪初霽, 月益明, 見公膝橫一張琴, 岸巾坐橋上望月. 衆皆驚喜, 移設杯盤樂具, 陪遊盡歡而罷. 先君嘗語此而曰: “自嘐嘐公沒..
41. 이야기 벗 이광려 李叅奉匡呂, 文章奇偉士也. 先君之寓平谿也, 嘗與芝溪公, 聯袂過鄰衕, 見人家柴門內有小車. 制頗精工, 就視之. 主人下堂迎笑曰: “君豈非朴燕巖乎? 吾乃李匡呂也.” 遂上堂坐, 輒論文章. 先君問之曰: “君平生讀書, 識得幾個字?” 座客皆大駭, 心笑之曰: “孰不知李公文章博洽士也?” 李公點檢良久語曰: “僅識得三十餘字.” 座客又大駭, 不知其何謂也. 自是李公定爲一言知己, 頻頻來訪. 有新成詩文, 必袖以請評. 每先君過訪, 必盥手設時菓于案上曰: “此待尊賓禮也.” 談辨竟日, 未嘗一言及於黨論歧異者云. 해석 李叅奉匡呂, 文章奇偉士也. 참봉 이광려는 문장이 기이하고 위대한 선비다. 先君之寓平谿也, 嘗與芝溪公, 선군께서 평계에 사실 적에 일찍이 지계공 이재성(李在誠)과 함께 聯袂過鄰衕, 見人家柴門內有小車. 소매..
35. 홍국영의 위협은 사라졌지만 옛 친구도 모두 죽다 庚子撤還京師, 寓平谿, 卽芝溪公宅也. 時洪國榮敗, 禍色始熄, 而老成舊要, 凋謝殆盡. 風氣一變, 非復舊日者. 益濩落自放, 反喜其爲存身之訣. 然常鬱鬱, 有遐擧之想. 會先君三從兄錦城都尉, 以賀使赴燕, 要先君共行. 五月啓程, 六月渡江, 八月入燕京. 尋又轉向熱河, 是月復還燕京, 十月歸國. 及歸, 尤徜徉無韵况. 時獨入處燕峽, 或經年或半歲, 乃歸. 해석 庚子撤還京師, 寓平谿, 경자(1780)년에 서울로 철수하여 돌아와 평계에 사셨는데 卽芝溪公宅也. 곧 처남인 지계공 이재성(李在誠)의 집이었다. 時洪國榮敗, 禍色始熄, 당시 홍국영이 실각하여 재앙의 빌미가 비로소 식었지만 而老成舊要, 凋謝殆盡. 어른스럽던 옛 친구들 중 죽은 이들이 거의 다였다. 風氣一變, 非復舊日..
25. 아버지의 친구들 1. 돈독한 친구 홍대용 先君天姿豪邁, 於名利戒愼若浼. 中歲旣不輒赴場屋, 而交遊亦簡, 惟洪湛軒大容ㆍ鄭石癡喆祚ㆍ李薑山書九, 時相往還, 而李懋官德懋ㆍ朴在先齊家ㆍ柳惠風得恭, 常從遊焉. 湛軒公長先君六歲, 學識精邃, 亦廢擧閑養. 與先君爲道義交, 最相親篤, 而言辭稱謂, 相敬如初交時也. 先君常病吾東士大夫, 多忽於利用厚生ㆍ經濟ㆍ名物之學, 類多因訛襲謬, 麤鹵已甚. 湛軒平日持論亦如此. 每相盍簮, 輒留連累日, 上自古今治亂興亡之故, 古人出處大節, 制度沿革, 農工利病, 貨殖糶糴, 與夫山川關防, 曆象樂律, 以至艸木鳥獸, 六書算數, 無不貫穿該括, 皆可記而誦也. ⇒해석보기 2. 손기술이 뛰어난 석치와 토론을 밤새도록 했던 무관ㆍ혜풍ㆍ재선과 제일 아낀 강산 石癡文雅, 有絕藝. 凡機轉諸器, 如引重ㆍ升高ㆍ磨轉ㆍ取水..
2. 손기술이 뛰어난 석치와 토론을 밤새도록 했던 무관ㆍ혜풍ㆍ재선과 제일 아낀 강산 石癡文雅, 有絕藝. 凡機轉諸器, 如引重ㆍ升高ㆍ磨轉ㆍ取水之類, 能心究手造. 皆欲倣古試今, 需諸世用也. 懋官ㆍ惠風ㆍ在先, 皆博學治聞之士, 每有攷據, 輒應口辨證, 於先君執禮惟謹. 每聚會談讌, 不覺焚膏以繼晷也. 薑山年最少, 而穎拔出羣, 沈靜有識量, 先君愛重之. 家中老傔僕, 亦往往說當時事, 多可聞. 해석 石癡文雅, 有絕藝. 석치 정철조는 문학에 대한 식견이 있고 예술적 수완이 뛰어났다. 凡機轉諸器, 대체로 기계가 움직이는 여러 기구들, 如引重ㆍ升高ㆍ磨轉ㆍ取水之類, 예를 들면 무거운 거 당기는 기계(引重), 높이 올리는 기계(升高), 갈며 도는 기계(磨轉), 물 끌어들이는 기계(取水) 등을 能心究手造. 마음에 연구하고서 손수 만들 ..
1. 돈독한 친구 홍대용 先君天姿豪邁, 於名利戒愼若浼. 中歲旣不輒赴場屋, 而交遊亦簡, 惟洪湛軒大容ㆍ鄭石癡喆祚ㆍ李薑山書九, 時相往還, 而李懋官德懋ㆍ朴在先齊家ㆍ柳惠風得恭, 常從遊焉. 湛軒公長先君六歲, 學識精邃, 亦廢擧閑養. 與先君爲道義交, 最相親篤, 而言辭稱謂, 相敬如初交時也. 先君常病吾東士大夫, 多忽於利用厚生ㆍ經濟ㆍ名物之學, 類多因訛襲謬, 麤鹵已甚. 湛軒平日持論亦如此. 每相盍簮, 輒留連累日, 上自古今治亂興亡之故, 古人出處大節, 制度沿革, 農工利病, 貨殖糶糴, 與夫山川關防, 曆象樂律, 以至艸木鳥獸, 六書算數, 無不貫穿該括, 皆可記而誦也. 해석 先君天姿豪邁, 선군께서는 천부적인 자질이 호탕하고 고매하여 於名利戒愼若浼. 명예와 이익에 있어 내 몸을 더립힐까 경계하고 삼가셨다. 中歲旣不輒赴場屋, 而交遊亦簡, 중년..
34. 연암가의 청렴결백 1. 선조 박상충과 박은의 청렴결백한 예화 嘗詔不肖輩曰: “爾曹, 他日雖得祿食, 毋望家計之足也! 吾家傳世淸貧, 淸貧卽本分耳.” 因歷擧家傳故事曰: “吾先祖潘南先生, 旣以斥元尊明, 爲羣兇所阸, 卒於靑郊驛. 未能返櫬, 而葬于其地, 卽國東門外耳. 其貧無以爲力, 可知也. 平度公自言: ‘孤貧且疾, 志氣猶存.’ 及際會風雲, 久秉匀軸, 猶不免脫粟飯, 幾乎狼狽. 公家在駱山下. 一日, 太宗倉卒臨門, 怒公出迎之遲也. 公曰: ‘臣適得粟飯, 恐妨奏對, 水漱然後敢出也.’ 上命取而視之, 愈怒曰: ‘無亦公孫布被耶? 安有大臣而飯荒粟者?’ 左右言: ‘大臣之宗族親友, 待而擧火者甚衆, 祿米入室, 一夕散盡.’ 上憮然曰: ‘予之過也! 予爲國君, 使布衣故人, 不厭麤糲, 予不及卿之賢, 遠矣!’ 卽席賜興仁門外鼓巖田十結. ⇒..
5. 할아버지 박필균과 할머니의 청빈 曾王父有德無年, 尹夫人辛勤敎養, 成就王父兄弟. 王父纔釋褐, 而尹夫人下世, 未享一城之奉. 王父兄弟廬墓于通津之鳯翔邨, 此地本崔簡易別業, 忠翼公嘗買而居之. 以此王父兄弟, 亦有薄田一區, 瀕海斥鹵, 歲率失稔. 從姪章翼公居留沁都, 常繼米鹽醬豉之屬, 得行饋奠. 王父位躋列卿, 而屢空如寒士. 城西弊廬樸陋逼窄, 平生不易居. 嘗有頽圮甚處, 客請修葺之, 適除外任. 王父謂: ‘作守令而修室屋, 不可也.’已之. 通津薄田, 海溢堰缺, 方築之, 適拜畿伯. 又謂: ‘作道伯而治農庄, 不可也.’ 送人停其役. 客恨之曰: ‘爲方伯守宰, 將以撥貧也, 如公家則反有害焉.’ 傳以爲笑. 其時士大夫, 亦多廉白立家, 而吾家規模, 在當時亦以太過稱之. 然而猶避名不居. 外邑例有饋問, 時方屢空, 分裂其腒鱐之屬, 以代朝饍. 或..
4. 증조부 박미와 증조모 정안옹주의 검약 國朝儉德, 固出前代, 而亦吾祖妣, 性有所安. 仁穆后喪畢, 分賜服御器物諸王子女家, 率得金銀珍玩, 貞安主獨取宣廟御畵蘭竹一屛以歸, 所尚在此, 則所不屑可以知也. 文貞公雖早貴, 而車馬僕從不能備也. 嘗有詩云: ‘八十導前卒, 蹣跚鞚馬奴. 小童且隨後, 嚴沍尙無襦. 市井嘲儀簡, 妻孥愧跡孤. 試看呼唱處, 猶使路人趨.’ ‘八十導前卒’者, 引路卒, 歷事三世, 年將八十云. 盖分窶如此, 而處之泊如也. 公之風流文采, 輝映當時, 座客常傾一代之選. 性又喜酒, 然往往不得一醉, 鎭日淸坐而罷, 猶且急人之難, 脫驂分宅, 曾無吝色. 忠翼公久謫南荒, 全家隨往, 公旣抱隱痛, 疋馬短衣, 長在道路. 又遭母夫人之喪, 長姑叔弟, 皆卒於南千里之外, 三返旅櫬. 是時貞安主獨處京舍, 摒當拮据, 辦應有無, 甁罄槖倒, 鞠..
3. 충익공의 근검절약과 부마 문정공의 청렴함 及忠翼公, 早被上知, 歷敭顯要. 而皆在國步艱難之日, 身且不得自顧, 况家事乎哉? 搶攘八年之間, 吾家多在延安ㆍ遂安ㆍ安州之地, 流轉飄泊, 飢困萬狀. 中興以來, 公亦復出鎭雄蕃, 入掌邦計. 然長於謀國, 而短於謀家, 田畝之入, 不足以支數朔, 養生之具, 十闕七八, 終身銀盃, 乃策勳日賞賜也, 餘無一酒鎗茶鼎. 酷好書畵, 嘗遇良畵師, 篋無一絹之貯, 謀之又不得, 乃漂洗朝衣以繪之. 晚處謫籍, 蔬糟屢空, 見於詩牘者亦多. 蓋冢子文貞公, 駙馬也, 而其窘乏猶如此焉. 文貞公初被儀賓之選, 賜宅於貞洞, 以其侈大而辭之, 更占太平洞第, 亦爲近於親舍, 以便覲省也. 忠翼公舊宅, 今尙在倉洞, 其外堂爲房二間板廳一間而已. 文貞公最受宣廟眷愛, 然於王子女應給田結外, 別無私賜與. 貞安主被服, 雖垢汙渝黦, 命宮..
2. 야천 선생과 다섯 아들의 청렴결백 冶川先生, 慍于羣小, 遯跡流寓, 卒於嶺表, 竟亦不能返葬. 于時, 長子贊成公十九歲, 次子潘城公九歲, 三子文貞公八歲, 四子吾七世祖都憲公五歲, 季子都正公三歲, 啼號滿室. 洪夫人左提右挈, 間關北歸. 吾在嶺邑, 屢拜先生之墓, 獨立在萬疊空山, 追念當日情事, 每思之欲哭, 患難貧窮, 一至於此. 及夫五子登朝, 皆爲名公卿賢大夫, 而贊成公屢典郡邑, 往往不得挈家, 文貞公方食卿祿, 一半分獻邱嫂. 每公退, 不脫朝衣, 往問何有何無, 躬發甁甔而視之, 有空者, 辦而充之. 然文貞公冰蘖淸操, 畏服一世, 其食貧, 固自如也. 潘城公貴爲國舅, 而一室蕭然. 大婚時, 中外助資, 故事也, 獨不受一物, 儉以成禮. 而吾先祖都憲公, 時方有新進雅望, 乃自以地近戚畹, 謙約彌甚, 杜門掃跡, 唯以書史花竹自娛, 以此平生, ..
1. 선조 박상충과 박은의 청렴결백한 예화 嘗詔不肖輩曰: “爾曹, 他日雖得祿食, 毋望家計之足也! 吾家傳世淸貧, 淸貧卽本分耳.” 因歷擧家傳故事曰: “吾先祖潘南先生, 旣以斥元尊明, 爲羣兇所阸, 卒於靑郊驛. 未能返櫬, 而葬于其地, 卽國東門外耳. 其貧無以爲力, 可知也. 平度公自言: ‘孤貧且疾, 志氣猶存.’ 及際會風雲, 久秉匀軸, 猶不免脫粟飯, 幾乎狼狽. 公家在駱山下. 一日, 太宗倉卒臨門, 怒公出迎之遲也. 公曰: ‘臣適得粟飯, 恐妨奏對, 水漱然後敢出也.’ 上命取而視之, 愈怒曰: ‘無亦公孫布被耶? 安有大臣而飯荒粟者?’ 左右言: ‘大臣之宗族親友, 待而擧火者甚衆, 祿米入室, 一夕散盡.’ 上憮然曰: ‘予之過也! 予爲國君, 使布衣故人, 不厭麤糲, 予不及卿之賢, 遠矣!’ 卽席賜興仁門外鼓巖田十結. 해석 嘗詔不肖輩曰: 일찍이 ..
47-2. 사라져버린 어머니를 애도하며 지은 시 先妣喪, 有悼亡詩二十絕句, 失稿不得承見, 嗚呼痛惜! 해석 先妣喪, 有悼亡詩二十絕句, 어머님이 돌아가시자 아버지께서 도망시 20 절구를 지으셨지만 失稿不得承見, 嗚呼痛惜! 원고를 잃어버려 받들어 볼 수 없으니, 아! 애통하고 서글프구나! 인용 목차
47-1. 두 편의 애도시와 이덕무의 비평 七月遭伯父喪, 窆于燕巖屋後子坐之兆. 戊戌伯母恭人李氏之喪, 先窆于此, 今祔焉. 先君後入燕峽也, 嘗臨流而坐, 悲摧不自勝, 有詩自悼云: “我兄顔髮曾誰似, 每憶先君看我兄. 今日思兄何處見, 自將巾袂映溪上.” 李懋官讀而揮涕曰: “情到語, 令人涙無從, 始得謂眞切. 吾於公詩, 讀而垂涙者再. 其舟送姉氏喪行云: ‘去者丁寧留後期, 猶令送者淚沾衣. 扁舟一去何時返, 送者徒然岸上歸’ 眼水自不禁潸然.” 해석 七月遭伯父喪, 窆于燕巖屋後子坐之兆. 7월에 큰 아버지께서 돌아가셔서 연암협 집 뒤 자좌의 자리에 하관했다. 戊戌伯母恭人李氏之喪, 先窆于此, 무술(1778)년 큰 어머니 공인 이씨께서 돌아가셔서 먼저 이곳에 하관했는데 今祔焉. 이제 합장한 것이다. 先君後入燕峽也, 嘗臨流而坐, 선군께서 ..
46. 아내와의 일화, 그리고 어려운 살림을 책임 진 형수님 丁未正月初五日甲戌, 遭先妣淑人全州李氏喪, 遺安處士諱輔天女. 先妣與先君同年生, 自幼薰陶遺安公敎訓, 已有女士行, 十六歸先君. 時章簡公, 位躋亞卿, 而淸貧如布衣時. 家舍狹窄, 無所容庇, 故少時多在遺安翁側. 中年以來, 食貧喫苦, 流離遷徙, 殆不堪其憂, 而未嘗皺眉, 如固窮讀書之君子也. 及先君筮仕未半歲, 而先妣下世焉. 嗚呼慟哉! 先君嘗言: “吾少時, 嘗有用餘錢二千, 念淑人衣具缺用, 齎衣襆以遺之. 淑人言: ‘伯嫂中饋常艱乏, 何乃以此入私室乎?’ 吾時甚慚其言, 至今不能忘也.” 伯母性度賢淑, 養育先君. 先妣友愛篤至. 而久經貧困, 晚來病在痰火, 言語之間, 或有不能忍煩者. 先妣輒溫顏左右, 默以待之, 得降辭色然後, 始歸私次執業. 及伯母卒而無育, 吾先兄年甫十許歲, 當入..
20. 형과 형수를 부모처럼 모시다 王考喪後, 先君事伯兄及嫂氏如父母. 親戚知友間, 多擧溫公之事伯康以況之. 嫂氏李恭人, 飽經貧寒, 鞠瘁已甚, 有時躁鬱不能遣. 先君一以和顏好語慰藉之. 每有所得, 雖甚微細, 必不入私室, 敬納於嫂氏. 해석 王考喪後, 先君事伯兄及嫂氏如父母. 할아버지께서 돌아가신 후 선군은 큰 형과 형수 섬기기를 부모 같이 했다. 親戚知友間, 多擧溫公之事伯康以況之. 친척들과 친구들은 많이들 사마온공이 백강을 섬긴 것을 들어 비유했다. 嫂氏李恭人, 飽經貧寒, 형수인 이공인은 실컷 가난함과 추위를 경험하여 鞠瘁已甚, 有時躁鬱不能遣. 몸이 야윈 게 너무 심하였고 이따금 조울증을 풀어낼 수 없었다. 先君一以和顏好語慰藉之. 선군께선 한결같이 온화한 표정과 좋은 말로 형수를 위로해드렸다. 每有所得, 雖甚微細,..
39. 홍대용과의 우정 癸卯哭洪湛軒. 先君中年交遊益鮮, 惟湛軒公終始無替, 有物外許心之契. 嘗於燕峽, 答湛軒書曰: “平生交遊, 不爲不廣, 挈德量地, 皆許以友. 然其所與者, 不無馳名涉世之嫌, 所見者, 惟名勢利而已. 今僕自逃於蓬藋之間, 山高水深, 安用名爲? 古人所謂: ‘動輒得謗, 名亦隨之’者, 殆亦虛語. 纔得寸名, 已招尺謗, 好名者老當自知. 每中夜自檢, 齒出酸㳄, 名實之際, 自削之不暇, 况復近之耶? 勢與利, 亦嘗涉此塗. 盖人皆思取諸人而有諸己, 未嘗見損諸己而益於人. 名兮本虛, 人不費價, 或易以相與, 至於實利實勢, 豈肯推以與人? 徒自近油, 點衣而已. 旣去此三友, 始乃明目求見, 所謂友者, 盖無一人焉. 俛仰今古, 安得不鬱鬱於心耶? 入山以來, 亦絕此念. 每念德操趣黍, 佳趣悠然, 沮ㆍ溺耦耕, 眞樂依依, 登山臨水, 未嘗不..
30. 권력자 홍국영의 비위를 거슬러 연암으로 피하다 戊戌避世挈家, 入燕巖峽. 兪相公彥鎬, 於先君, 知照最深. 每有事難處, 輒就咨於先君. 以先君言議峻激, 多觸忤權貴, 深戒之. 一日朝退, 忽憂愁不樂, 夜訪先君, 握手歎曰: “君何大忤洪國榮也? 啣之深毒, 禍不可測. 彼之欲修隙, 久矣, 特以非朝端人, 故姑緩之. 今睚眦幾盡, 次及君矣. 每語到君邊, 眉睫甚惡, 必不免矣. 爲之柰何? 可急離城闉.” 先君自念: ‘平日言議徑直, 名譽太盛, 所以招禍.’ 遂有斂影息跡之意. 於是挈家入燕巖峽, 結數椽艸屋而居. 兪公乃求外, 得居留松京, 卽日簡騶徒入峽, 訪先君曰: “溪山大佳, 然白石不可煮. 此去松京一舍耳, 城府中有親知可爲之周旋者否? 近郭亦多精舍可僦, 盍謀之? 我在此, 日得與源, 源亦固喜也.” 時松京人梁浩孟ㆍ崔鎭觀, 慨然有氣義, 聞先..
28. 芝溪公祭之以文曰: “維歲月日, 婦弟完山李在誠, 謹操文, 哭訣于燕岩朴公之靈曰: 嗚呼哀哉! 人固有言, 文章有定品, 人物有定評. 苟無眞知, 曷惟求定? 如彼法寶, 宏麗瓌宕, 心目所罕, 蓋難名狀. 龍文之鼎, 不便鎗鐺; 琱玉之觴, 不適瓠★康+瓦. 赤刀弘璧, 不列市坊; 天書雲篆, 不充篋箱. 神鏡炤妖, 靈珠攝忘, 續弦有膠, 還魂有香. 駭聞刱覩, 詭奇不常, 不見所施, 以爲無當. 嗚呼我公! 名一何盛, 謗一何競? 噪名者, 未必得其情; 吠謗者, 未必見其形. 嗚呼我公! 學不苟奇, 文不苟新, 切事故奇, 造境故新. 家常茶飯, 皆爲至文, 嬉笑怒罵, 亦見天眞. 流水紆遠, 烟瀾泫沄, 巖峀疊重, 乃興霞雲, 自然變態, 非故駭人. 管商功實, 學者羞稱, 賈陸詞華, 文苑不登, 敢問所安, 竊比於我, 何才之高, 何志之下. 病世爲文, 痴矜自古..
16-2. 연암이 지은 총석정시를 보고 놀란 홍상한 先君於金剛之遊, 有「叢石亭觀日出」詩一篇. 洪尚書象漢, 從子舍見之驚曰: “今世能有此筆力乎? 是不可空讀也.” 以湖筆大小共二百枝, 送門下客致之, 寄意鄭重焉. 해석 先君於金剛之遊, 有「叢石亭觀日出」詩一篇. 선군께서 금강산을 유람할 적에 「총석정에서 일출을 보며」라는 시 한 편을 지으셨다. 洪尚書象漢, 從子舍見之驚曰: 상서 홍상한이 아들 집에서 그 시를 보고 놀라며 말했다. “今世能有此筆力乎? 是不可空讀也.” “지금 세상에도 이러한 필력의 작품이 있는가. 이 시는 헛되이 읽을 수 없다.” 以湖筆大小共二百枝, 送門下客致之, 호주부에서 나는 크고 작은 붓 모두 200개를 문하의 객에게 보내 치하하게 했으니 寄意鄭重焉. 뜻의 정중함을 표시한 것이다. 인용 목차
16-1. 어렵게 금강산에 가다 乙酉秋, 東遊金剛. 時兪公彦鎬ㆍ申公光蘊, 方聯鑣入山, 懇先君偕行. 先君爲親在, 不敢自擅遠遊, 往謝且別而歸. 王考問: “汝何不共往? 名山有緣, 年少一遊, 好矣!” 顧無盤纏可帶. 時金公履中, 適至聞之, 歸撤買驢錢一萬以送曰: “此可以遊乎?” 顧無僮指可俱. 乃使小婢, 呼於巷中曰: “有能從吾家小郞, 襆被擔笈, 入金剛山者乎?” 應募者數人. 乃曉發, 抵樓院遇兪ㆍ申二公, 皆驚喜過素約焉. 遍踏表裏諸勝, 題名於萬瀑洞中而歸. 三日浦ㆍ四仙亭, 又有聯句縣板. 해석 乙酉秋, 東遊金剛. 을유(1756, 영조 41년으로 연암 29세)년 가을에 동쪽으로 금강산을 유람하셨다. 時兪公彦鎬ㆍ申公光蘊, 方聯鑣入山, 그때 유언호와 신광온이 금방 말을 나란히 달려 산에 들어가려 하며 懇先君偕行. 선군께 함께 가길..
6. 연암의 성향을 걱정한 장인 이보천 年十六冠, 就館於處士遺安齋李公之門. 處士謹嚴淸高, 以經禮律己. 其弟學士公亮天, 酷嗜書史, 文章甚高. 先君從處士受『孟子』, 從學士受『太史公書』, 已得其立言大致. 嘗倣『項羽本紀』, 作「李忠武傳」, 學士大加歎賞, 以爲有班ㆍ馬地步. 先君自弱冠時, 志氣高厲, 不拘拘於繩墨, 往往詼諧游戱, 而處士特愛重之, 誨責規切, 以古人事業期之. 嘗語學士曰: “某也, 見其才氣, 大非凡類, 必爲異日偉人. 但疾惡太甚, 英氣太露, 是可憂也.” 先君於處士, 平生服膺最深. 해석 年十六冠, 就館於處士遺安齋李公之門. 나이 16살에 관례를 하셨고 처사 유안재 이보천 공의 집안에 장가드셨다. 處士謹嚴淸高, 以經禮律己. 처사는 근엄하고 청렴하고 고결하여 일상적인 예법으로 자기를 구속하였다. 其弟學士公亮天, 酷..
87. 혼자서 쌍륙놀이를 하다 先君於博奕諸器, 皆知其法, 特未嘗接手, 不肖惟見與人對棊者再. 一日雨中, 徘徊軒堂, 忽引雙陸, 以左右手擲骰, 爲甲乙對局. 時非無客子在傍, 而獨自撫弄. 已而, 笑而起, 援筆答人書牘曰: “雨雨三晝, 可憐繁杏, 銷作紅泥. 永日悄坐, 獨弄雙陸, 右手爲甲, 左手爲乙, 呼五呼六之際, 猶有物我之間, 勝負關心, 翻成對頭. 吾未知, 吾於吾兩手, 亦有所私歟. 彼兩手者, 旣分彼此, 則可以謂物, 而吾於彼, 亦可謂造物, 猶不勝私, 扶抑如此. 昨日之雨, 杏雖衰落, 桃則夭好. 吾又未知, 彼造物者, 扶桃抑杏, 亦有所私者歟.” 客笑曰: “我固知先生意, 不在雙陸, 乃爲拈出一段文思.” 해석 先君於博奕諸器, 皆知其法, 선군께서는 장기와 바둑의 여러 놀이 기구에 대해 모두 방법을 아셨지만 特未嘗接手, 다만 일찍이..
68. 백동수와 연암의 인연 白博川東脩, 與先君同庚. 膂力絕倫, 精悍有瞻. 畧事先君執禮, 如褊裨之事主帥, 夷險燥濕, 少無憚勞. 一日從他醉歸, 使酒於前. 先君曰: “君無禮, 可受杖.” 以剪紙板, 打其臀十, 戒其粗率. 白君初以爲戱, 後乃知其誨責也. 自是不復敢被酒入謁曰: “吾嘗被燕岩公責矣!” 해석 白博川東脩, 與先君同庚. 박천군수를 지낸 백동수는 선군과 동갑이다. 膂力絕倫, 精悍有瞻. 팔 힘이 매우 뛰어났고 정신은 예리하고도 담력이 있었다. 畧事先君執禮, 如褊裨之事主帥, 대략 선군을 섬김에 예를 갖췄으니 마치 부하장수가 장군을 섬기는 듯하여 夷險燥濕, 少無憚勞. 평탄하거나 험하거나 마르거나 습할 때 어느 때라도 조금도 수고로움을 꺼리지 않았다. 一日從他醉歸, 使酒於前. 하루는 다른 데서 고주망태로 취해 돌아와..
6. 가짜 유학자를 나무라는 글을 쓰다 先君文篇, 或有譏切世儒之假飾盗名者. 於是人或有慍怒不平. 兪忠文笑曰: “此友所譏者, 僞儒耳, 特有激而發. 吾常怪君輩多事出氣力, 代爲僞儒攄憤耳.” 해석 先君文篇, 或有譏切世儒之假飾盗名者. 선군의 문장 중에 간혹 세상 유학자들의 가식적인 모습과 훔친 명성을 나무라고 꾸짖은 것이 있었다. 於是人或有慍怒不平. 그래서 사람 중에선 간혹 화를 내며 불평스러워하는 경우도 있다. 兪忠文笑曰: “此友所譏者, 僞儒耳, 충문 유언호는 웃으며 말했다. “이 벗이 나무란 사람은 가짜 유학자일 뿐으로 特有激而發. 다만 격노하여 발설한 것이네. 吾常怪君輩多事出氣力, 나는 항상 그대들이 많은 일에 기력을 내뿜으며 代爲僞儒攄憤耳.” 가짜 유학자들을 위해 대신하여 분노를 피력하는 게 이상할 뿐이네...
22. 과거시험에 급제시키려는 사람들과 그걸 피해 다니는 연암 庚寅, 赴監試, 俱魁初終場. 出榜之夕, 有特旨入侍卧內, 使知申讀奏試券. 上親叩書案以節之, 盛加奬諭焉. 先君欲不赴會圍, 親友多强勸者, 遂黽勉入場屋, 不呈券而出. 有識者聞之, 皆以爲進取不苟, 有古人風. 遺安翁時在鄕廬, 語其子曰: “某之會圍, 吾不甚喜也. 及聞其不呈券, 甚欣然也.” 盖先君兩場之魁, 皆遇然之得, 而及其偏被隆渥, 名聲益壯. 時議必欲於會圍援引之以爲功. 先君戒其或涉機也, 勇決如此云爾. 해석 庚寅, 赴監試, 俱魁初終場. 선군께서는 경인(1770)년에 감시에 응시해 모두 초종장에서 장원을 하셨다. 出榜之夕, 有特旨入侍卧內, 방이 붙던 날 저녁에 임금께선 寢殿으로 입시하라 명령을 내리고 使知申讀奏試券. 知申事에게 시권을 읽도록 하셨다. 上親叩書..
15. 과거급제엔 전혀 관심도 없어라 時先君文章之名, 已喧動一世, 每有科試, 主試者, 必欲援引. 先君微知其意, 或不赴, 或赴而不呈券. 一日在場屋, 漫筆畵古松老石, 一世傳笑其踈迂. 然盖示其不屑之意者. 해석 時先君文章之名, 已喧動一世, 당시 선군의 문장에 대한 명성이 이미 한 세상을 시끄럽게 할 정도로 유명해 每有科試, 主試者, 매번 과거시험이 있으면 과거시험을 주관하는 사람이 必欲援引. 반드시 끌어다 급제시키려 하였다. 先君微知其意, 或不赴, 선군께서는 은밀하게 그 뜻을 알아 혹은 시험장에 가질 않았고 或赴而不呈券. 혹은 가더라도 시권을 내지 않았다. 一日在場屋, 漫筆畵古松老石, 하루는 과거시험장에 있었는데 늙은 소나무와 묵은 바위를 일필휘지로 그리고 있었으니 一世傳笑其踈迂. 한 세상 사람들이 급제에 관심..
76. 연암의 시가 적은 이유 先君詩稿甚寡, 古今體共五十首. 古體則專學昌黎, 而奇嶮過之, 情境逼造, 而筆力不窮. 至於律絕諸體, 常病其拘束於聲律之間, 不可直寫胸中所欲言, 故往往一二句而止者, 有之. 李懋官『淸脾錄』稱: “燕岩文章玅天下. 而於詩獨矜愼, 不肯輕出, 如包龍圖之笑, 比河淸, 不得多見”云. 朴在先詩云: “從古文章恨橘鰣, 幾人看見燕岩詩? 優曇一現龍圖笑, 正是先生落筆時.” 해석 先君詩稿甚寡, 古今體共五十首. 선군의 시집은 매우 적어 고체시와 근체시 모두 합해 50수였다. 古體則專學昌黎, 而奇嶮過之, 고체시는 오로지 한유를 배웠지만 기이하고 험한 것이 그를 넘어섰고 情境逼造, 而筆力不窮. 실정과 경치를 묘사함은 핍진하여 필력이 무궁무진했다. 至於律絕諸體, 常病其拘束於聲律之間, 율시와 절구의 모든 시체에 이..
1. 박지원의 문장관 先君之論文章也. 常以爲文無古無今, 不必模楷韓ㆍ歐, 步趣馬ㆍ班, 矜壯自大, 低視今人也. 惟自爲吾文而已. 擧耳目之所睹聞, 而無不能曲盡其形聲, 畢究其情狀, 則文之道極也. 又病吾東之士汨沒於功令之餘習, 綴拾陳談, 依樣畵葫, 而自附純質, 日就鹵莽也. 故曰: “法古者病泥跡, 刱新者患不經. 苟能法古而知變, 創新而能典, 今之文, 猶古之文也.” 又曰: “苟得其理, 則家人常談, 猶列學官, 童謳里諺, 亦屬『爾雅』. 故文之不工, 非字之罪也. 彼評字句之雅俗, 論篇章之高下者, 譬如不勇之將, 心無定策, 猝然臨題, 屹如堅城. 其患常在於自迷蹊徑未得要領.” 又曰: “天地雖久, 不斷生生, 日月雖久, 光輝日新, 載籍雖博, 旨意各殊. 故飛潛走躍, 或未著名; 山川草木, 必有秘靈; 朽壤蒸芝, 腐草化螢. 禮有訟, 樂有議. 書不..
3. 어디에도 쓸 데 없는 글 嘗言: “不痛不癢, 句節汗漫, 優游不斷, 將焉用哉?” 해석 嘗言: “不痛不癢, 句節汗漫, 아프게 하지도 않고 가렵게 하지도 않고 구절마다 優游不斷, 將焉用哉?” 허황되며 우유부단하다면, 그런 글을 어디에 쓸 수 있겠는가? 인용 목차 연암의 글에 반하다 문체반정과 열하일기 순간순간의 감정에 휩쓸리는 사람에 대해
34. 아버지의 세초된 작품들에 대한 아쉬움 연암에 대한 세간의 평과 실질적인 모습 先君自少時, 頗有文酒跌蕩之事. 人或以喜繁華厭拘檢目之. 然天稟實澹泊於物, 最喜閑居靜坐, 究觀理致. 관조를 즐겨 수많은 작품을 남기다 其在燕峽也, 終日不下堂, 或遇物注目, 瞪默不言者移時. 嘗言: “雖物之至微, 如艸卉禽蟲, 皆有至境, 可見造物自然之玅.” 毎臨溪坐石, 微吟緩步, 忽嗒然若忘也. 時有玅契, 必援筆箚記, 細書片紙, 充溢篋箱. 遂藏之溪堂, 曰: “他日更加攷檢, 有條貫然後可以成書.” 그 많던 작품들이 세초된 내역 後棄官入峽, 出而視之, 眼昏已甚, 不能察細字. 乃悵然發歎曰: “惜乎! 宦遊十數年, 便失一部佳書.” 已而又曰: “終歸無用, 徒亂人意.” 遂令洗草溪下. 嗟乎! 不肖輩, 時未侍側, 遂失檢拾焉. 해석 연암에 대한 세간의..